JIT는 부품과 원자재를 원활히 공급받는데 초점을 두고, JITⅡ는 부품, 원부자재, 설비공구, 일반자재 등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2.
JIT는 개별적인 생산현장(plant floor)을 연결한 것이 라면, JITⅡ는 공급체인(supply chain)상의 파트너의 연결과 그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3.
JIT는 기업 간의 중복업무와 가치없는 활동을 감소∙제거하는데 주력하는 반면, JITⅡ는 자사 공장 내의 가치없는 활동을 감소∙제거하는데 주력한다.
4.
JIT는 푸시(push)형인 MRP와 대비되는 풀(pull)형의 생산방식인데 비해, JITⅡ는 JIT와 MRP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기업 간의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5.
JIT가 물동량의 흐름을 주된 개선대상으로 삼는데 비해, JITⅡ는 기술, 영업, 개발을 동시화(synchronization)하여 물동량의 흐름을 강력히 통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JIT: 재고를 0으로 만드는 기법(재고비용 낮춤) JIT2: 납품업자가 발주한공장에 상주하면서 재고관리
3번이 반대로 설명해서 틀림
1. 폭이 더 넓어짐 2. 포괄적 4. MRP: 최종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부품을 전반적으로 관리 ↔ JIT [해설작성자 : 호맨]
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한정서비스 도매상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현금거래도매상(cash-and-carry wholesalers)
2.
트럭도매상(truck jobbers)
3.
직송도매상(drop shipper)
4.
진열도매상(rack jobber)
5.
판매대리인(sales agent)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직송도매상=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운반해 주는 유통 상인. [해설작성자 : AJ29]
AJ29님의 해설에 덧붙이자면, 직송도매상은 제품(물품)에 대한 소유권은 가지고 있지만,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은 도매상을 의미합니다. 위의 상품예시처럼 직송도매상이 주로 거래하는 제품은 석탄, 목재, 중장비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재고로 자신이 가지고 있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물품입니다. 따라서 제조업체가 물품을 만들고 제조업체 자체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직송도매상에게 주문이 들어오면 제조업체의 창고에서 바로 소비자에게 이동하는 유통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상자 밑부분에 보면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운반할 수 있는 제조업체를 찾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한방 합격 가즈아...]
5.
아래 글상자의 구매 관련 공급자 개발 7단계 접근법이 옳은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
2.
㉤-㉥-㉦-㉠-㉡-㉢-㉣
3.
㉥-㉦-㉠-㉡-㉢-㉣-㉤
4.
㉦-㉠-㉡-㉢-㉣-㉤-㉥
5.
㉡-㉠-㉢-㉤-㉣-㉥-㉦
정답 : [
5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이 맨 뒤에 와야 하는데 보기 중 5번이 유일함 [해설작성자 : 스티치]
6.
아래 글상자의 내용은 기사를 발췌한 것이다.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리쇼링(re-shoring)
2.
오프쇼링(off-shoring)
3.
지연(postponement) 전략
4.
기민성(agility) 생산방식
5.
린(lean) 생산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오프쇼링(off-shoring)=(기업의) 해외 업무 위탁 [해설작성자 : AJ29]
리쇼링: 외국으로 나갔던 공장을 다시 국내로 오프쇼링: 생산기지 해외로. (기업의 해외업무위탁) 린(lean): 인력설비등의 생산능력을 필요한 만큼만 → 생산성 극대화 [해설작성자 : 호맨]
7.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조직구성원에 대한 성과평가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단순서열법(simply ranking)
2.
강제배분법(forced distribution method)
3.
쌍대비교법(paired-comparison method)
4.
행위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5.
행동관찰척도법(BOS: behavioral observation scale)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강제배분법=근무성적평정 등에서 평정 결과의 분포가 과도하게 집중되거나 관대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성적 분포의 비율을 미리 정해 놓고 평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AJ29]
8.
인적자원관리(HRM)의 글로벌화 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아래 글상자에서 5단계 중 글로벌(Global)단계에서 각 HRM 과업을 수행하는 방안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
2.
㉡
3.
㉢
4.
㉣
5.
㉤
정답 : [
5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5. 인적자원의 교류가 필요함 [해설작성자 : 호맨]
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조직구조로 옳은 것은?
1.
라인조직
2.
라인-스태프 조직
3.
프로젝트 조직
4.
매트릭스 조직
5.
네트워크 조직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라인-스태프 조직(직계참모) : 스태프의 기능을 분화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라인(작업)부문과 지원(스태프) 부문을 분리해 직능형(라인) 조직의 단점 보완. 규모가 큰 물류기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4. 매트릭스 조직 : 한시적 개별 프로젝트에 사람을 임명하는 데 유연성이 있다. 조직 내 협력과 팀 활동을 촉진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는 단점도 있다. 프로젝트 조직에서 발전했으며, 수직적인 기능 구조+수평적인 사업 구조 결합 형태. 평소에는 자기 부서에서 근무하다가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다른 부서의 인원이 모여서 조직된다. 이중 권한구조를 갖는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10.
포터(M. Porter)의 가치사슬분석에 의하면 기업 활동을본원적 활동과 보조적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보조적 활동에 속하지 않는 것은?
4. 가맹희망인에게 운영권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 부여 5. 조합의 구성원으로 참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소매상을 위한 도매상의 역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상품구색의 제공
2.
신용의 제공
3.
시장의 확대
4.
컨설팅서비스 제공
5.
물류비의 절감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번은 제조업자를 위한 도매상의 역할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프로]
20.
유통경로의 길이(channel length)가 상대적으로 긴 제품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표준화된 전문품
2.
시장 진입과 탈퇴가 자유롭고 장기적 유통비용이 안정적인 제품
3.
구매빈도가 낮고 비규칙적인 제품
4.
생산자수가 적고 생산이 지역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제품
5.
기술적으로 복잡한 제품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
유통경로가 짧아지는 경우 1. 기술적으로 복잡하여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유통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중간상이 적어짐) 2. 변질, 파손 위험이 큰 경우 3. 구매단위가 큰 제품인 경우 4. 구매빈도가 높고 불규칙적인 제품(갑자기 자주 판매되니 재고위험이 높아 경로가 짧아짐)
유통경로가 길어지는 경우 1. 기술적 전문성이 필요없는 제품(진입장벽이 낮아 다수의 중간상이 개입) 2. 구매단위가 작은 제품(조금씩 구매하는 제품은 소매상이 취급하기가 좋음) 3. 구매빈도가 낮고 규칙적인 제품 [해설작성자 : Freshbread]
21.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현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업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을 병행해서 운영하기도 한다.
2.
모바일을 이용한 판매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3.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대량구매를 통해 경제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4.
단순구매를 넘어서는 쇼핑의 레저화, 개성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5.
패키지 형태의 구매보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상품을 구입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소량구매 고객이 증가함 [해설작성자 : 팡이 사랑]
22.
주요 운송수단의 상대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운송은 원유, 광물과 같이 부패성이 없는 제품을 운송하는데 유리하다.
2.
철도운송은 부피가 크거나 많은 양의 화물을 운송하는데 경제적이다.
3.
항공운송은 신속하지만 단위 거리 당 비용이 가장 높다.
4.
파이프라인운송은 석유나 화학물질을 생산지에서 시장으로 운반해주는 특수운송수단이다.
5.
육상운송은 전체 국내운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지 않다.
정답 : [
5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5. 국내운송에서 육상운송 (대표적으로 택배)이 차지하는 비율이 제일 많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아래 글상자는 소매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 유통물류기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당 유통물류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QR(quick response)
2.
SCM(supply chain management)
3.
JIT(just-in-time)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5.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QR (Quick Response) 에 대한 설명입니다. *키워드: 미국 의류, 섬유제조, 리드타임 단축, 재고감축, 빠른 대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종업원 보상제도는?
1.
이익배분제(profit sharing)
2.
종업원지주제(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3.
판매수수료(commissions)
4.
고과급(merit pay)
5.
표준시간급(standard hour plan)
정답 : [
2
] 정답률 : 81%
25.
다음 표를 토대로 한 보기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롱테일 법칙을 재고관리에 활용한 것이다.
2.
재고를 중요한 소수의 재고품목과 덜 중요한 다수의 재고품목을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3.
연간수량가치를 구하여 연간수량가치가 높은 순서대로 배열, 연간수량가치의 70~80%를 차지하는 품목을 A로 분류하였다.
4.
A품목의 경우 긴밀한 관리가 필요하고 제품가용성이 중요하다.
5.
C품목의 경우 주문주기가 긴 편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롱테일 법칙이 아닌 고객관리분석기법(ABC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롱테일법칙은 이와 반대인 꼴임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파레토 법칙을 적용한 것 [해설작성자 : 1234]
2과목 : 상권분석
26.
소매상권을 분석하는 기법을 규범적분석과 기술적분석으로 구분할 때, 나머지 4가지와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Applebaum의 유추법
2.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3.
Reilly의 소매중력법칙
4.
Converse의 무차별점 공식
5.
Huff의 확률적 공간상호작용이론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기술적 분석(유추법,체크리스트법,비율법,CST,현지조사법)
2~5. 규범적분석 [해설작성자 : 호맨]
27.
소비자들이 유사한 인접점포들 중에서 선택하는 상황을 전제로 상권의 경계를 파악할 때 간단하게 활용하는 티센다각형(Thiessen polygon)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접구역이란 어느 점포가 다른 경쟁점포보다 공간적인 이점을 가진 구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티센다각형의 크기는 경쟁수준과 역의 관계를 가진다.
2.
두 다각형의 공유 경계선 상에 위치한 부지를 신규점포부지로 선택할 경우 이곳은 두 곳의 기존 점포들로부터 최대의 거리를 둔 입지가 된다.
3.
소비자들이 가장 가까운 소매시설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며, 공간독점 접근법에 기반한 상권 구획모형의 일종이다.
4.
소매 점포들이 규모나 매력도에 있어서 유사하다고 가정하며 각각의 티센다각형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다각형 내에 둘러싸인 점포의 상권을 의미한다.
5.
다각형의 꼭짓점에 있는 부지는 기존 점포들로부터 근접한 위치로 신규 점포 부지로 선택시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각형의 꼭짓점에 있는 부지는 거리가 근접한 것이 아닌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머구이]
28.
소매점의 입지 대안을 확인하고 평가할 때 의사결정의 기본이 되는 몇 가지 원칙들이 있다. 아래 글상자가 설명하는 원칙으로 옳은 것은?
1.
접근가능성의 원칙(principle of accessibility)
2.
수용가능성의 원칙(principle of acceptability)
3.
가용성의 원칙(principle of availability)
4.
동반유인원칙(principle of cumulative attraction)
5.
고객차단의 원칙(principle of interception)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도소매입지 개요
1. 동반유인의 원칙: 유사하거나 보충적인 점포는 군집하면 더 큰 유인잠재력을 가진다(누적적 흡인력) 2. 점포밀집의 원칙: 지나치게 유사하거나 보충 가능한 점포는 밀집할수록 매출액이 감소한다 3. 접근가능성 원칙: 지리적으로 인접하거나 교통이 편리하면 매출이 증대된다 4. 보충가능성 원칙: 두 개의 사업이 고객을 서로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하면 매출이 증가한다(양립성) 5. 고객차단원칙: 사무실 밀집지역, 쇼핑지역 등은 고객이 특정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시 점포를 방문하게 한다(고객을 중간에서 차단하여 가로챈다)
점포밀집이 부정적인 의미라는 것과 동반유인과 보충가능성을 서로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개념이 잡혀 있으면 관련 문제를 거의 틀리지 않고 풀 수 있을 겁니다. [해설작성자 : Freshbread]
29.
소매점포의 입지선정과정에서 광역 또는 지역시장의 매력도를 비교분석할 때 특정지역의 개략적인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구매력지수(BPI: Buying Power Index)를 이용하기도 한다. 구매력지수를 산출할 때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변수로 옳은 것은?
한계이익 : 순매출-변동비 ex) 와인 1병 1000-400(변동비) = 600 한계비용 : 생산량이 한 단위 증가할 때 늘어나는 비용의 증가분 10병 생산가 : 1000원, 11병 생산가 : 990원, 21병 생산가 : 1010원 생산이 늘면 생산비용이 줄지만 어느 생산점부터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고니]
34.
이새봄씨가 사는 동네에는 아래 표와 같이 이용 가능한 슈퍼마켓이 3개가 있다. Huff모델을 이용해 이새봄씨의 슈퍼마켓 이용확률이 가장 큰 점포와 그 이용확률을 구하라. (단, 거리와 점포크기에 대한 민감도는 –3과 2로 가정하자. 거리와 매장면적의 단위는 생략)
1.
A 슈퍼 60%
2.
B 슈퍼 31%
3.
A 슈퍼 57%
4.
B 슈퍼 13%
5.
C 슈퍼 27%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huff모델은 거리가 가까울 수록 면적이 클 수록 이용확률이 커지므로 일단 확률이 큰 점포는 A임을 알 수 있다. 이용확률은 (면적과 민감계수 제곱/ 거리의 민감계수 제곱) 으로 구해야 하므로, A는 (6의 2승/2의 3승) = 4.5 B는 (8의 2승/4의 3승) = 1 C는 (4의 2승/2의 3승) = 2
A의 이용확률은 = 4.5/ 4.5+1+2 이므로 60% [해설작성자 : 어렵다어려워]
거리민감도가 -3이니까 거리의-3승을 구하면 1/8, 1/64, 1/8이 나오고 면적은 2승이니까 각각 36, 64, 16이 됩니다 그럼 각자 곱해주면 4.5 : 1 : 2가 나옵니다 보기편하게 그냥 2배 해주면 9 : 2 : 4가 나오니까 가장 큰것은 9인 a가 됩니다. 이제 비율을 구하면 9/(9+2+4) × 100 = 60%가 됩니다 따라서 답은 a 60%입니다. [해설작성자 : 스테비야]
35.
중심지이론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권중심지의 최대도달거리가 최소수요충족거리보다 커야 상업시설이 입점할 수 있다.
2.
소비자는 유사점포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때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3.
어떤 중심지들 사이에는 계층적 위계성이 존재한다.
4.
인접하는 두 도시의 상권의 규모는 그 도시의 인구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5.
상업중심지로부터 상업서비스기능을 제공받는 배후 상권의 이상적인 모양은 정육각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레일리의 소매중력의 법칙- 두 경쟁도시가 그 중간에 위치한 소도시의 거주자들로부터 끌어들일 수 있는 상권 규모는 그들의 인구에 비례하고 각 도시와 중간(위성)도시 가의 거리 제곱에 반비례 한다 [해설작성자 : Hun]
5번 단일 점포의 경우 원형이 이상적, 복수의 경우 정육각형이 이성적 [해설작성자 : 나그네]
4는 중심지이론이 아닌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영남대김태훈]
36.
제품 및 업종형태와 상권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품은 대부분 편의품이지만, 선물용 식품은 선매품이고 식당이 구매하는 일부 식품은 전문품일 수 있다.
2.
선매품을 취급하는 소매점포는 편의품보다 상위의 소매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더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져야 한다.
3.
소비자는 생필품을 구매거리가 짧고 편리한 장소에서 구매하려 하므로 생필품을 취급하는 점포는 주택지에 근접한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으므로 그 상권은 밀도가 높고 범위는 좁은 특성을 가진다.
5.
동일업종이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구성에 따라 점포의 상권 범위가 달라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잠재고객이 지역적으로 널리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권의 밀도는 낮으나, 범위는 넓은 특성을 갖고 있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7.
경쟁점포에 대한 조사 목적에 따른 조사 항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지위-경쟁점포의 시장점유율, 매출액
2.
운영현황-종업원 접객능력, 친절도
3.
상품력-맛, 품질, 가격경쟁력
4.
경영능력-대표의 참여도, 종업원관리
5.
시설현황-점포면적, 인테리어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운영현황에 따른 조사 항목으로는 영업시간과 휴일, 종업원 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8.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법률 제15791호, 2018. 10. 16., 일부개정) 제10조1항은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사이에 계약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 적용의 예외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임차인이 3기의 차임액에 해당하는 금액에 이르도록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
2.
임차인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임차한 경우
3.
서로 합의하여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상당한 보상을 제공한 경우
4.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하에 목적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대(轉貸)한 경우
5.
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의나 중대한 과실로 파손한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동의 없이 전대했을 경우 거절가능.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목적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대한 경우. [해설작성자 : 도일]
39.
아래 글상자는 체크리스트(Checklist)법을 활용하여 특정입지에 입점할 점포의 상권경쟁구조의 분석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내용과 사례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 – 동일 상권내 편의점들간의 경쟁관계
2.
㉡ - 상권내 진입 가능한 잠재경쟁자와의 경쟁관계
3.
㉢ - 도시의 도심, 부도심, 지역중심, 지구중심간의 경쟁관계
4.
㉣ - 근접한 동종점포간 보완 및 경쟁관계
5.
㉤ - 백화점, 할인점, SSM, 재래시장 상호간의 경쟁관계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업태간 경쟁구조 :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소매업체간 경쟁구조 분석 업체간 보완관계 : 단골고객의 선호도조사, 고객의 특성 및 쇼핑경향 분석 , 연령/소득/직업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 문화/사회적 특성 파악 분석 위계별 경쟁구조 : 도심, 부심, 지역중심, 지구중심의 업종을 파악 분석 잠재적 경쟁구조 : 신규 소매업 진출 예정 사업체 및 업종의 파악 분석 업태내 경쟁구조 :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는 서로 동일한 형태의 소매업체간 경쟁구조 분석 [해설작성자 : 쵸파]
1. 업태내 경쟁구조 분석 2. 잠재적 경쟁구조 분석 4. 보완 및 경쟁관계 분석 5. 업태간 경쟁구조 분석 [해설작성자 : 호맨]
40.
대도시 A, B 사이에 위치하는 중소도시 C가 있을 때 A, B가 C로부터 끌어들일 수 있는 상권규모를 분석하기 위해 레일리(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꼭 필요한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해설> F=고객이 기업에서 특정 기간 동안 얼마나 자주구매하였는가 [해설작성자 : AJ29]
2. F = Frequency 얼마나 자주 [해설작성자 : 호맨]
47.
단기적 관점의 거래중심 마케팅보다는 관계중심 마케팅의 성과 평가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자산
2.
고객충성도
3.
고객점유율
4.
시장점유율
5.
고객생애가치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은 단기적 관점의 거래중심 마케팅의 성과 평가 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조사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마케팅전략 및 믹스변수의 효과 등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본 조사 전에 사전 정보를 수집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조사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관찰적 조사(observational research)
2.
실험적 조사(experimental research)
3.
기술적 조사(descriptive research)
4.
탐색적 조사(exploratory research)
5.
인과적 조사(causal research)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무언가 행사개최를 할 때 필요한 것은 사전답사이다.
예시를 하나 들자면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수련회 장소를 선정하려고 하는데, 이 때 해당장소가 적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답사를 가서 구상했던 수련회의 커리큘럼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탐색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른 판촉 수단과 달리 고객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인적판매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의 판단과 선택을 실시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2.
정해진 시간 내에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다.
3.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4.
고객이 될 만한 사람에게만 초점을 맞추어 접근할 수 있다.
5.
고객에게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인적판매 = Push전략
2. 많은사람을 만날수 없는 한계를 가짐. [해설작성자 : 호맨]
50.
종속가격(captive pricing)결정에 적합한 제품의 묶음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도기와 면도날
2.
프린터와 토너
3.
폴라로이드 카메라와 필름
4.
케이블TV와 인터넷
5.
캡슐커피기계와 커피캡슐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터넷은 초고속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IPTV과 함께 종속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케이블 TV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뮈]
4번은 묶음가격 정책 [해설작성자 : 호맨]
51.
“100만원대”라고 광고한 컴퓨터를 199만원에 판매하는 가격정책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가격라인 결정
2.
다중가격 결정
3.
단수가격 결정
4.
리베이트 결정
5.
선도가격 결정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이 저렴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구매욕을 부추기는 가격전략 [해설작성자 : AJ29]
52.
상품의 코드를 공통적으로 관리하는 표준상품분류 중 유럽상품코드(EAN)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점 POS시스템과 연동되어 판매시점관리가 가능하다.
2.
첫 네자리가 국가코드로 대한민국의 경우 8800이다.
3.
두번째 네자리는 제조업체 코드로 한국유통물류진흥원에서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4.
국가, 제조업체, 품목, 체크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5.
체크숫자는 마지막 한자리로 판독오류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코드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대한민국의 경우 880 [해설작성자 : AJ29]
<EAN(유럽상품)코드> - 유럽에서 만들어져 전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코드 시스템(우라나라에서도 사용) *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EAN이 아닌 UPC코드 사용 - 국가(3자리) / 제조업체(6자리) / 품목(3자리) / 체크숫자or체크디지트(1자리) = 총 13자리로 구성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한방 합격 가즈아...]
정확히는 EAN-13이라고 해야합니다. KAN-13, GTIN-13 도 동일하게 봐도 상관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53.
상품진열방법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서점에서 고객의 주의를 끌기 위해 게시판에 책의 표지를 따로 떼어 붙이는 것은 전면진열이다.
2.
의류를 사이즈별로 진열하는 것은 아이디어 지향적 진열이다.
3.
벽과 곤돌라를 이용해 고객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사로잡을 수 있는 방법은 수직적 진열이다.
4.
많은 양의 상품을 한꺼번에 쌓아 놓는 것은 적재진열이다.
5.
여름을 맞아 바다의 파란색, 녹음의 초록색, 열정의 빨간색 등으로 제품들을 구분하여 진열하는 것은 색상별 진열이다.
1. 쿠폰보다 처리비용 높음. 3. 리베이트는 대부분 고가상품에서 효과 크다 4. 제조업체가 가격할인을 제공 5. 가격의 일부분을 돌려주니 잘 지각함. [해설작성자 : 호맨]
59.
유통업체의 상황에 따른 타당한 촉진수단의 짝(pair)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온라인쇼핑몰에서 고객을 유인할 때 - 현저한 가격할인의 제공
2.
고객의 내점을 증가시키고 싶을 때 – 특매상품(loss leader)의 제공
3.
고객충성도를 강화할 때 - 가격민감도가 높은 고객이 선호하는 내구재를 활용
4.
표적고객의 파악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싶을 때 - 회원카드 발행
5.
고객집단과 매출의 관계가 파레토법칙을 따를 때 - 단골고객 우대프로그램 활용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가격민감도가 높으면 다 도망가요.. 낮은고객한테 해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고객의 충성도는 관계를 통해서 강화됨. [해설작성자 : 호맨]
60.
아래 글상자에서 제조업자의 중간상을 대상으로 한 푸쉬전략의 예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
2.
㉠, ㉡, ㉣
3.
㉠, ㉢, ㉣
4.
㉡, ㉢, ㉣
5.
㉠, ㉡, ㉢, ㉣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푸쉬전략: 유통업체에게 자주하는 전략 풀 전략 : 최종소비자에게 자주하는 전략
(ㄷ)프리미엄: 풀전략 [해설작성자 : 호맨]
(ㄷ)프리미엄: 사은품제공 같은것 [해설작성자 : 방울토마토]
ㄷ 프리미엄은 고객을 대상으로함 [해설작성자 : 3일뒤 시험]
61.
엔드매대에 진열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점검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력 판매가 가능한 상품의 여부
2.
시즌에 적합한 상품의 여부
3.
대량 판매가 가능한 상품의 여부
4.
새로운 상품 또는 인기상품의 여부
5.
전체 매장의 테마 및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품의 여부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엔드매대: 가장 중요한 상품을 진열한다.
5. 테마나 이미지까지 전달할 필요는 없음. [해설작성자 : 호맨]
62.
아래 글상자에서 ㉠이 설명하는 비주얼머천다이징(Visual Merchandising) 요소로 옳은 것은?
1.
VMP(visual merchandising presentation)
2.
VP(visual presentation)
3.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4.
IP(item presentation)
5.
SI(store identity)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VP(Visual Presentation) : 쇼윈도나 매장 입구에서 고객이 매장으로 접근하게 하기 위한 진열. 중점상품/테마에 따른 매장 전체 이미지 표현. PP(Poin of sales Presentation) : 고객의 시선이 닿는 벽면, 쇼케이스, 테이블 상단 등을 활용에 어디에 어떤 상품이 있는지 알려주는 안내 역할. 상품을 정면으로 진열해 특징을 시각화하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IP(Item Presentation) : 상품을 분류, 정리해 보기 쉽게 진열해 단품 하나하나에 대해 고객이 구매의사를 갖도록 하는 진열. 보고 만지고 고르기 쉽게 진열함.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격자형 레이아웃: 내가 찾고자, 구매하고자 하는것을 바로 찾을수 있게끔.( 편의점, 슈퍼마켓) *자유형 레이아웃: 쇼핑시간을 늘려줌. (백화점) [해설작성자 : 호맨]
71.
아래 글상자의 괄호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드론(drone)
2.
블록체인(blockchain)
3.
핀테크(FinTech)
4.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5.
비트코인(bitcoin)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 나오면 블록체인
블록체인: 여러개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과 같은 위험을 막는것. (좀더 안전한 거래를 도와줌) [해설작성자 : 호맨]
72.
자기의 수요를 예측하여 해당하는 양을 주문하고자 할 때, 수요정보의 처리과정에서 왜곡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비자에게 판매될 시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원하는 정보기술로 가장 옳은 것은?
1.
POS(Point Of Sales) 시스템
2.
IoT(Internet of Things)
3.
BYOD(Bring Your Own Device)
4.
ONO(Online and Offline)
5.
JRE(Java Runtime Environment)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oint of sales: 판매시점 [해설작성자 : 호맨]
73.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근거로 경영과학 관점의 의사결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5.
㉡ - ㉣ - ㉦ - ㉤ - ㉢ - ㉥ - ㉠
정답 : [
3
] 정답률 : 61%
74.
이동성과 접근성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컴퓨팅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화
2.
편리성
3.
PC의 보편화
4.
접속의 즉시성
5.
제품과 서비스의 지역화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모바일컴퓨팅은 휴대전화 노트북등을 이용하여 이동중에도 손쉽게 컴퓨터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PC보편화보다는 스마트폰 보편화가 맞다 [해설작성자 : 나는 도백백]
75.
(주)대한전자의 상품 A의 연간 판매량은 60,000개이다. 또한, 주문한 상품 A가 회사에 도착하기 까지는 10일이 소요되며, 상품 A의 안전재고량은 3,000개이다. (주)대한전자는 연간 300일을 영업할 경우, 상품 A에 대한 재주문점의 크기를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
1.
2,000개
2.
3,000개
3.
4,000개
4.
5,000개
5.
6,000개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일 수요 x 리드타임 + 안전재고량
1일 수요 =60,000/300 = 200 리드타임 = 10 안전재고량 = 3,000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무야호]
76.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웨어하우스 내의 데이터는 주제지향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데이터 웨어하우스 내의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저장된다.
3.
데이터 웨어하우스 내의 데이터는 거래 및 사건의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저장된다.
4.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다양한 정보시스템의 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지원해준다.
5.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데이터 마트(Data Mart)의 하위시스템으로 특정 이용자를 위해 디자인된 특화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마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구성요소이다. 데이터 웨어하우스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저장하고 분배하는 도매상의 역할 데이터 마트 : 데이터가 필요한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간편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소매상의 역할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77.
웹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GI는 서버와 외부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정의
2.
XML은 HTML과 달리 규정된 태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태그를 만들어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
3.
XML은 다른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
4.
HTML, XML 순으로 발전하고 SGML은 HTML, XML 단점을 보완하여 등장
5.
마크업언어는 웹 서버에 저장된 문자, 그림, 표, 음성, 동영상 등을 모두 포함한 문서를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받아 웹 브라우저에서 표현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문서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는 메타언어로서의 국제표준으로 1986년에 최초로 공개되었는데, 기능이 복잡한 단점이 있어 널리 쓰이지 못한다. 웹문서를 만드는 언어로 가장 보편적인 HTML과 차세대 인터넷표준언어로 채택된 XML은 모두 SGML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해설작성자 : 5.15 합격]
4. HTML->XM->SGML 순이 아니라 SGML에 기초하여 HTML 과 XML이 만들어짐. [해설작성자 : 호맨]
78.
전자상거래 지능형 에이전트가 일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는 다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추론 능력을 갖추고 있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컴퓨터를 작동시키거나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관여하지 않아도 스스로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을 완수할 수 있다.
4.
통신능력을 확장하여 다른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외부 세계와 협동하여 일을 수행할 수 있다.
5.
필요에 따라 어떤 일을 수행하는 중에 다른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외부 세계와 통신할 수 있다.
가상공간 환경에서 특정 사용자들을 돕기 위해서 반복적인 작업들을 자동화 시켜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업무 처리 가능.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79.
아래 글상자의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피싱(phishing)
2.
파밍(pharming)
3.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4.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
5.
스미싱(smishing)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그로스 해킹 : 성장(Growth)과 해킹(Hacking)의 합성어 로서 한정된 예산 하에 빠른 성장을 해야하는 스타트업들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을 뜻한다. 온라인 마케팅의 한 종류로, 창의성, 분석적인 사고, SNS 등을 활용하여 높은 성장세를 이끌어내는 마케팅 기법으로, Adrew Chen은 Growth Hacker를 전통적인 marketer와 coder의 혼합체로 보았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에서 유행한 단어이기도 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그로스해킹 [Growth hacking]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해설작성자 : 나는 도백백]
1. 피싱 : 스팸메일을 이용한 신종 범죄. 발송자 신원을 알리지 않은 메일로 수신자의 개인정보를 빼낸 뒤, 이를 이용하는 범죄 2. 파밍 : 정확한 링크를 입력해도 가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하여 개인정보를 빼가는 범죄 3. 바이럴 마케팅 : 네이즌들이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기업이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게 하는 마케팅 기법 5. 스미싱 : SMS(문자)와 피싱(phising)의 합성어로, 스마트폰 소액결제방식을 악용한 범죄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80.
아래 글상자의 괄호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옴니채널(omni channel) ㉡ 비콘(beacon)
2.
㉠ O2O(online to offline) ㉡ 비콘(beacon)
3.
㉠ One채널(one channel) ㉡ ONO(online and offline)
4.
㉠ 옴니채널(omni channel) ㉡ O2O(online to offline)
5.
㉠ One채널(one channel) ㉡ BYOD(bring your own device)
정답 : [
4
] 정답률 : 72%
81.
바코드마킹과 관련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1.
제조업체가 생산시점에 바코드를 인쇄하는 것은 인스토어마킹이다.
2.
소매상이 자신의 코드를 부여해 부착하는 것은 소스마킹이다.
3.
소스마킹은 생산시점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바코드 부착이 가능하다.
4.
인스토어마킹은 업체간 표준화가 되어 있다.
5.
인스토어마킹은 동일상품에 동일코드가 지정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스토어마킹은 각각의 소매점포에서 청과,생선,야채,정육 등을 포장하면서 일정한 기준에 의해 라벨러를 이용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바코드 라벨을 출력하고, 이 라벨을 일일이 사람이 직접 상품에 붙이는 것을 말한다. 인스토어마킹이 된 제품은 동일품목이라도 소매업체에 따라 각각 번호가 달라질 수 있다.
소스마킹은 제조업체 및 수출업자가 상품의 생산 및 포장단계에서 바코드를 포장지나 용기에 일괄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가공식품, 잡화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되는 바코드의 체계 및 형태도 국제적인 규격에 근거한 13자리 숫자(GS1)로 구성된 바코드로 인쇄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쵸파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