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위의측랑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에서 연직각의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얼마 이내일 때에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하는가?
1.
2분 이내
2.
3분 이내
3.
4분 이내
4.
5분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77%
14.
지적삼각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삼각점표지는 관측후에 설치한다.
2.
삼각형의 각 내각은 30도 이상 120도 이하로 한다.
3.
지적삼각점의 일련변호는 측랑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시·도 단위로 부여한다.
4.
지적삼각점의 명칭은 측랑지역이 소재하고 있는 시 도의 명칭 중 두 글자를 선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15.
다음 중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하는 자는?
1.
지적소관청
2.
시·도지사
3.
국토교통부장관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지적측량 시행규칙> 제3조(지적기준점성과의 관리 등) 법 제27조제1항에 따른 지적기준점성과의 관리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지적삼각점성과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가 관리하고, 지적삼각보조점성과 및 지적도근점성과는 지적소관청이 관리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교회법에서 삼각형의 3내각을 같은 정도로 측정하였을 때에 그 합계 180°와의 차에 대한 배부는?
1.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부한다.
2.
3등분하여 각각에 1/3 씩 배부한다.
3.
각의 크기에 역비례하여 배부한다.
4.
대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17.
축척 1000분의 1로 평판측량을 할 때 제도의 허용오차 q=0.2mm 이내로 하려면 지적도근점을 중심으로 반경 몇 cm 이내에 있도록 평판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6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 : [
2
] 정답률 : 53%
18.
지적삼각점측량 시 두 지점의 기지점에세 소구점까지 평면거리가 각각 4700m, 3900m일 때, 두 기지점에서 소구점의 표고를 계산한 교차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문제 해설> 편각설치법 : 노선 측량에 있어서 큰 반경의 곡선을 정밀하게 설치할 때에 이용되는 방법으로, 현 길이의 접선에 대한 편각을 구하여 설치해 가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축척 1:5000의 지형 측랑에서 위치의 허용오차를 도상±0.5mm, 실제 관측 높이의 허용오차를 ±1.0m로 하는 경우에 토지의 경사가 25°인 지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등고선의 최대 오차는?
1.
±2.51m
2.
±2.17m
3.
±2.04m
4.
±1.83m
정답 : [
2
] 정답률 : 32%
27.
그림과 같이 측정 A의 밑에 기계를 세워 천장에 설치된 측점 A,B 를 관측하였을 때 두정의 높이차(H)는?
1.
42.5m
2.
43.5m
3.
45.5m
4.
46.5m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sin1법칙에 의해 85/sin90=x/sin30 => x=42.5m B의 높이 = 42.5+2.5 = 45m A의 높이 = 45-1.5 = 43.5m [해설작성자 : 바른대국]
28.
GNSS 측량에서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문해(differential solution)를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 위성의 수는?
1.
2
2.
4
3.
6
4.
8
정답 : [
2
] 정답률 : 67%
29.
수준기의 감도가 20"인 레벨(Level)을 사용하여 40m 떨어진 표척을 시준할 때 발성할 수 있는 시준 오차는?
1.
±0.5mm
2.
±3.9mm
3.
±5.2mm
4.
±8.5mm
정답 : [
2
] 정답률 : 51%
30.
지하사설물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기유도법 - 고가이고 판독기술이 요구된다.
2.
지하레이더탐사법 - 비금속 탐지가 가능하다.
3.
음파탐사법 - 지중에 있는 강자성체의 이상자기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4.
전기탐사법 - 문화유적지 조사, 지중금속체 탐지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31.
수준측랑에서 n회 기계를 설치하여 높이를 측정할 때 1회 기계 설치에 따른 표준오차가 이면 전체 높이에 대한 오차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4%
32.
노선측량의 작업 단계를 A~E와 같이 나눌 때, 일반적인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A-C-D-E-B
2.
A-C-B-D-E
3.
C-A-D-B-E
4.
C-B-A-E-D
정답 : [
4
] 정답률 : 65%
33.
현장에서 수준측량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가능한 동일하게 한다.
2.
기포가 중앙에 있을 때 읽는다.
3.
표척이 연직으로 세워졌는지 확인한다.
4.
레벨의 설치 횟수는 흘수회로 끝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34.
설치되어 있는 기준점만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하기에 부족할 경우 설치되어 있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측량에 필요한 새로운 측점을 관측하여 결정된 기준점은?
1.
도근점
2.
경사변환점
3.
등각점
4.
이점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도근점 : 지형 측량에서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 설치하는 보조기준점으로 이미 설치한 기준점만으로는 세부 측량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에 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관측하여 결정되는 기준점 [네이버 지식백과] 도근점 [supplementary control point, 圖根點]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터널의 시점(P)과 종점(Q)의 좌표를 P(1200, 800, 75), Q(1600, 600, 100)로 하여 터널을 굴진할 경우 경사각은? (단, 좌표단위: m)
<문제 해설> 지형공간 자료는 크게 도형 자료(또는 기하학적 자료)와 속성 자료(또는 주제 자료)로 분류된다. 도형 자료는 위상·크기·모양·위치·방향의 기하를 표현하는 벡터 또는 래스터의 어떤 형태에서도 3요소는 점(또는 결점), 선(또는 호), 면(또는 다각형)을 가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Geospatial Data - 지형 공간 자료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1. 3., 이강원, 손호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BLIS 와 LMIS를 통합하여 새로 구축한 시스템이다.
2.
지하시설물관리를 중심으로 각 지자체에서 구축한 것이다.
3.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의 약자로 NGIS라 한다.
4.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지적공무관리시스템과 지적측량성과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51.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GIS엔진이 아닌 것은?
1.
Java
2.
Zeus
3.
Gothic
4.
ArcSDE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KLIS 한국 토지정보 시스템시스템 구현방향은 3계층 클라이언트/서버(3-Tiered client/server)구조로 개발하되 GIS 엔진은 PBLIS와 LMIS의 엔진으로 사용하던 GOTHIC, SDE, ZEUS를 모두 활용 가능하도록 개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래스터자료의 중첩분석에서 A xor B의| 결과로 옳은 것은? (단, 그림에서 음영 셀은 참값을 의미한다. (단, 그림에서 음영 셀은 참값을 의미한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XOR(exclusive OR) 게이트는 두 개의 입력 A와 B를 받아 입력 값이 같으면 0을 출력하고, 입력 값이 다르면 1을 출력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제2차 NGIS(국가GIS)사업의 주요 추진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리정보의 통합
2.
기본지리정보 구축
3.
GIS 전문인력 양성
4.
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
정답 : [
1
] 정답률 : 27%
54.
벡터자료의 저장 모형 중 위상(Topology)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좌표데이터만을 사용할 때보다 다양한 공간 분석이 가능하다.
2.
공간 객체 간의 위상정보를 저장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3.
인접한 폴리곤 간의 공통 경계는 각 폴리곤에 대하여 반드시 두 번 기록되어야 한다.
4.
다각형의 형상(shape), 인접성(neighborhood), 계급성(hierarchy)을 묘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55.
지적정보관리체계로 처리하는 지적공부정리 등의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을 등록할 때의 사용자 비밀번호 실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4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2.
6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3.
영문을 포함하여 3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4.
영문을 포함하여 5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56.
지적재조사사업 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개시스템으로 구축한다.
2.
토지현황조사, 새로운 지적공무 및 등기촉탁, 건축물 위치 및 건물 표시 등의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한다.
3.
토지소유자 등이 지적재조사사업과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실시간 열람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4.
취득된 필지경계 정보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련 행정정보와의 연계 활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안 시스템으로 구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57.
다음 중 SQL 같은 표준 질의어를 사용하여 복잡한 질의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게하는 데이터베이스 모형은?
1.
관계형(relational)
2.
계층형(hierarchical)
3.
네트워크형(netwokr)
4.
객체지향형(object-oriented)
정답 : [
1
] 정답률 : 56%
58.
두 개 이상의 커버리지 오버레이로 인해 폴리곤의 경계에 성기는 작은 영역을 일컬는 것은?
1.
슬리버(Sliver)
2.
스파이크(Spike)
3.
오버슈트(Overshoot)
4.
언더슈트(Undershoot)
정답 : [
1
] 정답률 : 68%
59.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적자원
2.
처리시간
3.
소프트웨어
4.
공간데이터베이스
정답 : [
2
] 정답률 : 68%
60.
지적업무처리규정상 다음 내용의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도곽파일
2.
복제파일
3.
임시파일
4.
토지이동파일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적업무처리규정] 제52조(임시파일 생성) ① 지적소관청이 지번변경, 행정구역변경, 구획정리, 경지정리, 축척변경, 토지개발사업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임시파일을 생성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임시파일이 생성되면 지번별조서를 출력하여 임시파일이 정확하게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측랑기준점의 설치를 위해 토지 등의 출입등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손실을 보상할 자와 손실을 받은 자의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 재결을 신청할 수 있는 곳은?
1.
시·도지사
2.
중앙지적위원회
3.
행정안전부장관
4.
관할 토지수용위원회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제102조(토지등의 출입 등에 따른 손실보상) ① 제101조제1항에 따른 행위로 손실을 받은 자가 있으면 그 행위를 한 자는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손실보상에 관하여는 손실을 보상할 자와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하여야 한다. ③ 손실을 보상할 자 또는 손실을 받은 자는 제2항에 따른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하거나 협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裁決)을 신청할 수 있다. ④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관하여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84조부터 제88조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잡종지로 지목을 설정 할 수 없는 것은?
1.
야외시장
2.
돌을 캐내는 곳
3.
자동차운전학원의 부지
4.
원상회목을 조건으로 흙을 파내는 곳으로 허가된 토지
정답 : [
4
] 정답률 : 63%
83.
주된 용도의 토지에 펀입하여 1필지로 할 수 있는 종펀 토지로 옳은 것은?
1.
주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1148m2인 토지로 종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116m2인 토지
2.
주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2230m2인 토지로 종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231m2인 토지
3.
주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3125m2인 토지로 종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228m2인 토지
4.
주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3350m2인 토지로 종된 지목의 토지 면적이 332m2인 토지
정답 : [
3
] 정답률 : 62%
84.
토지대장의 등록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면적
2.
지번
3.
대지권 비율
4.
토지의 소재
정답 : [
3
] 정답률 : 69%
85.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성능검사를 한 경우
2.
업무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성능검사대행 업무를 한 경우
3.
다른 행정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라 등록취소 또는 업무정지를 요구한 경우
4.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성능검사대행업무를 수행하게 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제96조(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취소 등) ① 시ㆍ도지사는 성능검사대행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정지 처분을 할 수 있다. 다만, 제1호ㆍ제4호ㆍ제6호 또는 제7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개정 2020. 4. 7.>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1의2. 제92조제5항에 따른 시정명령을 따르지 아니한 경우 2. 제93조제1항의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다만, 일시적으로 등록기준에 미달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3. 제93조제1항에 따른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 4. 제95조를 위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능검사대행자 등록증을 빌려 주거나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성능검사대행업무를 수행하게 한 경우 5. 정당한 사유 없이 성능검사를 거부하거나 기피한 경우 6.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성능검사를 한 경우 7. 업무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성능검사대행업무를 한 경우 8. 다른 행정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라 등록취소 또는 업무정지를 요구한 경우 ② 시ㆍ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하였으면 취소 사실을 공고한 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③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취소 및 업무정지 처분에 관한 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 3. 2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렁에 따른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기술인력 중 기술인과 기능사는 상호 대체할 수 있다.
2.
기술인력에 해당하는 사람은 상시 근무하는 사람이 아니어도 된다.
3.
외국인이 측량기기성능검사대행자 등록을 신청하는 경우 영업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일반성능검사대행자와 금속관로탐지기 성능검사대행자를 중복해서 신청하는 경우에는 기술인력을 50% 감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87.
임야도 작성 시 구계(區界)와 동계(洞界)가 겹치는 경우 제도하는 방법은?
1.
구계만 그린다.
2.
동계만 그린다.
3.
필지 경계만 그린다.
4.
구계와 동계를 겁쳐 그린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88.
도시·군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향으로 옳은 것은?
1.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의 계획에 관한 사항
2.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사항
3.
공간구조, 생활권의 설정 및 인구의 배분에 관한 사항
4.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 계획에 관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도시ㆍ군관리계획”이란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개발ㆍ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 이용, 교통, 환경, 경관, 안전, 산업, 정보통신, 보건, 복지, 안보, 문화 등에 관한 다음 각 목의 계획을 말한다. 가)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나) 개발제한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다) 기반시설의 설치ㆍ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라)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마)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지구단위계획 바)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입지규제최소구역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합병하고자 하는 4필지의 지번이 99-1, 100-10, 222, 325인 경우 지번의 결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토지소유자가 별도의 신청을 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222로 한다.
2.
325로 한다.
3.
99-1로 한다.
4.
100-10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90.
지적재조사사업을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확한 과세부과
2.
행정구역의 조정
3.
합리적인 토지개발
4.
효율적인 토지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64%
9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류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지번”이란 필지에 부여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번호를 말한다.
2.
“경계" 란 필지별로 경계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선을 말한다.
3.
”지목”이란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것을 말한다.
4.
“등록전환”이란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등록된 토지를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등록전환”이란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시 또는 군의 개발·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군관리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2.
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랑에 관한 계획
3.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4.
용도지역·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도시ㆍ군관리계획”이란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개발ㆍ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 이용, 교통, 환경, 경관, 안전, 산업, 정보통신, 보건, 복지, 안보, 문화 등에 관한 다음 각 목의 계획을 말한다. 가)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나) 개발제한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다) 기반시설의 설치ㆍ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라)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마)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지구단위계획 바)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입지규제최소구역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시ㆍ도지사가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한다. 1. 지적삼각점의 명칭과 기준 원점명 2. 좌표 및 표고 3. 경도 및 위도(필요한 경우로 한정한다) 4. 자오선수차(子午線收差) 5. 시준점(視準點)의 명칭, 방위각 및 거리 6. 소재지와 측량연월일 7. 그 밖의 참고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등기관이 토지 소유권의 이전 등기를 한 경우 지체없이 그 사실을 누구에게 알려야 하는가?
1.
이해관계인
2.
지적소관청
3.
관할 등기소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등기관이 다음 각 호의 등기를 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토지의 경우에는 지적소관청에, 건물의 경우에는 건축물대장 소관청에 각각 알려야 한다. 1. 소유권의 보존 또는 이전 2. 소유권의 등기명의인표시의 변경 또는 경정 3. 소유권의 변경 또는 경정 4. 소유권의 말소 또는 말소회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지적업무처리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지적측랑파일”이란 측량준비파일, 측량현형파일 및 측량성과파일을 말한다.
2.
“토탈스테이션”이란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기초측량 및 세부측량에 사용되는 장비를 말한다.
3.
“측랑부”란 기초측량 또는 세부측량성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관측부·계산부 등 이에 수반되는 기록을 말한다.
4.
기초측량에서의 “기지점”이란 지적기준점 또는 지적도면상 필지를 구획하는 선의 경계점과 상호 부합되는 지상의 경계점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기지점(旣知點)" 이란 기초측량에서는 국가기준점 또는 지적기준점을 말하고, 세부측량에서는 지적기준점 또는 지적도면상 필지를 구획하는 선의 경계점과 상호 부합되는 지상의 경계점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부동산등기법상 등기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기부는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2.
공동인명부와 도면은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3.
등기부는 토지등기부와 건물등기부로 구분한다.
4.
등기부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입력·처리된 등기정보자료를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펀성한 것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 “등기부”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입력ㆍ처리된 등기정보자료를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편성한 것을 말한다. 제14조(등기부의 종류 등) ① 등기부는 토지등기부(土地登記簿)와 건물등기부(建物登記簿)로 구분한다. ② 등기부는 영구(永久)히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번을 변경하여 새로이 부여할 경우 승인을 받아야 하는 자로 옳은 것은?
1.
행정안전부 장관
2.
군수·구청장
3.
중앙지적위원회 위원장
4.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정답 : [
4
] 정답률 : 61%
100.
60일 이내에 토지의 이동 신청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경계정정 신청
2.
신규등록 신청
3.
지목변경 신청
4.
형질변경에 따른 분할 신청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60일 이내에 토지의 이동 신청 ● 신규등록 ● 등록전환 ● 분할 ● 합병 ● 지목변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①
③
④
②
④
①
④
①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②
④
①
②
②
②
③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③
③
①
②
②
②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④
④
①
③
①
③
①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②
④
②
③
②
④
③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①
③
②
④
①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③
①
①
②
④
①
④
②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③
①
③
③
②
③
②
③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④
③
③
③
④
①
③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③
①
①
②
②
④
②
④
①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