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클로이스터 가든 원로의 중심에는 파라디소(paradiso) 설치 - 수목 식재, 수반, 분천, 우물 등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
다음 중 고대 로마의 주택 정원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1.
메갈론(Megalon)
2.
아트리움(Atrium)
3.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
4.
지스터스(Xystus)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고대 그리스의 건축 양식으로 중정의 원형으로 아트리움의 전신으로 볼 수 있단말씀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3.
고려시대 경남 합천군의 홍류동 계곡에 위치한 정자로 전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분의 건물은?
1.
거연정(居然亭)
2.
초간정(草澗亭)
3.
사륜정(四輪亭)
4.
농산정(籠山亭)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농산정 경남합천군 가야면 구원리 해인사 홍류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최치원이 신라말의 난세에 뜻을 펴지 못하고 가야산에 들어와 수도한 곳으로 조선시대에 유림에서 그를 추모하여 정자를 세우고 농산정이라고 하였다. [해설작성자 : 제이크]
4.
다음 중 소쇄원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쇄원을 경관유형(임수형, 내륙형)으로 분류할 때 산지 내륙형에 해당된다.
2.
정자 방의 위치에 따른 유형(중심, 편심, 분리, 배면) 구분 중 광풍각은 배면형에 해당된다.
3.
구성요소 중 경물은 작은 못, 비구, 물방아, 유수구, 석가산, 긴 담이 등장한다.
4.
소쇄원의 정원요소는 ‘소쇄원 48영시’에 잘 나타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광풍각은 임대정, 명옥헌, 세연정과 함께 '중심형'에 해당되며, '배면형'에는 부암정, 거연정이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조경학도]
5.
다음 백제의 궁남지(궁남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사비궁 남쪽에 못(池)을 파고,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들였다.
2.
못 가운데에는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을 상징하는 섬을 만들었다.
3.
못(池) 주변에는 능수버들을 심었다.
4.
634년(무왕 35년)에 조영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삼국사기』에 “백제 무왕 35년(634) 궁의 남쪽에 못을 파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6.
서양도시에서 발생한 “광장”의 변천과정을 고대에서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gora → Forum → Squars → Piazza → Place
2.
Agora → Forum → Piazza → Place → Square
3.
Forum → Piazza → Agora → Place → Square
4.
Forum → Agora → Piazza → Place → Square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그리스시대 (agora) - 로마시대 (forum) - 중세시대 (piazza) - 프랑스 (place) - 영국 (square) [해설작성자 : 랄라]
7.
프랑스에서 르 노트르(Le Notre)의 조경양식이 이탈리아와 다르게 발전한 가장 큰 요인은?
1.
기온
2.
역사성
3.
국민성
4.
지형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산과 구릉이 많은 이탈리아는 노단 건축양식이 발달하고, 평지가 많은 프랑스는 넓은 평면기하학식 건축양식이 발달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8.
프랑스에 있는 보르비콩트(Vaux-Le-Vicomte)원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건축이 조경에 종속됨으로써 이전의 공간 계획과는 차이가 있다.
2.
앙드레 르 노트르(Andre Le Notre)의 출세작이다.
3.
강한 중심축선을 사용하여 공간을 하나로 조직화하고 있다.
4.
앙드레 르 노트르가 조경을, 라퐁테느가 건축을, 몰리에르는 실내장식을 맡아 완성시켰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7세기 프랑스 최고 호사가로 재무장관인 니콜라스 푸케가 건축가 르 보(Louis Le Vau), 정원조경사 르 노트르(André Le Nôtre), 화가 르 브룅(Charles Le brun)을 불러다가 최고로 멋진 성을 건축할 것을 명령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 사상과 이념은 후에 현대 도시환경개념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워드의 전원도시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인구를 3~5만 명 정도로 제한할 것
2.
주민의 자유결합의 권리를 최대한으로 향유할 수 있을 것
3.
중심도시와 주위를 둘러싼 전원도시와의 기능적 연관성 분석
4.
세부적으로 물리적 계획이나 적정인구 규모에 관한 이론 제시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원도시 6가지 개념 1. 도시인구를 제한할 것(3~5만 명) 2. 도시주위에 넓은 농업지대를 영구히 보유, 이 공지를 도시의 물리적 확장을 제한하는데 사용하며 시중에도 충분한 공지를 보유할 것 3. 시민경제 유지에 만족할 만한 산업을 확보할 것 4. 상하수도, 가스, 전기, 철도는 도시전속의 것을 사용, 도시의 성장과 번영에 의해 생기는 이익은 지역사회를 위해 보유할 것 5. 토지는 경영주체 자신에 의한 공유로 하여 사유를 인정하지 않으며, 차지의 이용에 관해서는 규제를 가할 것 6. 주민의 자유결합의 권리를 최대한으로 향유할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밍]
10.
조지 런던과 헨리 와이즈의 협력작품으로, 설계는 방사형의 소로와 중심축선의 강조를 통한 바로크적인 새로운 지면분할의 방식을 취하면서 프랑스 왕궁과 경쟁한 저명한 영국의 정원은?
1.
스토우원
2.
햄프턴 코트
3.
에르메농빌르
4.
말메종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조지 런던(George London)과 헨리 와이즈(Henry Wise)는 18세기 영국의 정원 디자이너로, 영국의 다양한 유명한 정원을 설계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의 왕궁과 경쟁하며 바로크적인 지면분할 방식을 통해 조성한 정원은 "햄프턴 코트"입니다. 따라서 답은 2. 햄프턴 코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설명하는 중국의 정원 유적은?
1.
이화원
2.
원명원
3.
장춘원
4.
졸정원
정답 : [
1
] 정답률 : 71%
12.
서원에서 춘추제향시 제물로 쓰이는 짐승을 세워놓고 품평을 하기 위해 만든 곳은?
1.
관세대(盥洗臺)
2.
정료대(庭燎臺)
3.
사대(社臺)
4.
생단(牲壇)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관세대 : 참배 전 손을 씻는곳 정료대 : 돌을 얹어 만든 설치물로, 어둠을 밝히는 일종의 조명기구 생단 : 제사에 바칠 짐승을 세워놓고 품평을 하던곳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3.
영양의 서석지(瑞石池)관련 설명이 틀린 것은?
1.
정영방이 축조
2.
지당은 중도가 없는 방지
3.
대나무, 소나무, 국화, 매화의 사우단
4.
대지 내 식물은 대부분 외부에서 옮겨 식재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대부분 기존 수목을 이용하여 축조, 자연을 최소한으로 해치고 축조하였음 [해설작성자 : 조현길]
14.
다음 설명에 적합한 통일신라의 유적은?
1.
동지
2.
안압지
3.
포석정
4.
태액지
정답 : [
3
] 정답률 : 85%
15.
신라 의상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에 근거하여 동심원적 공간구성체계로 조영된 사찰 명칭은?
1.
양산 통도사
2.
경주 불국사
3.
순천 송광사
4.
합천 해인사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송광사는 1842년(헌종 8) 큰 화재가 일어나 모든 건물이 불타 없어지고, 삼존불(三尊佛)·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금기(金器)·대종(大鐘) 및 기타 보물과 《화엄경(華嚴經)》 장판(藏板) 약간만을 건졌다 [해설작성자 : 조현길]
<문제 해설> 직사각형 건물배치 시 긴 변이 등고선에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일반적인 조경계획의 과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분석 → 기본전제 → 기본계획 → 설계
2.
기본전제 → 분석 → 설계 → 기본계획
3.
분석 → 기본전제 → 설계 → 기본계획
4.
기본전제 → 분석 → 기본계획 → 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73%
28.
휴양림 지역 내 진입(進入)도로의 종점(終點)에 설치된 주차장으로부터 휴양림의 주요시설 입구를 순환,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를 가리키는 용어는?
1.
임도
2.
목도
3.
벌도
4.
녹도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임도 : 임업경영과 산림을 보호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한 구조와규격을 갖추고 산림내 또는 산림에 연결하여 시설하는 차도 [해설작성자 : 조현길]
29.
다음 중 공원의 최대일(最大日)이용객 수 산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연간 이용객수 ÷ 365
2.
연간 이용객수 × 최대일율
3.
연간 이용객수 × 서비스율
4.
연간 이용객수 × 회전율 × 최대일율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최대일률 = 최대일 이용자수 / 연간 이용자수
* 최대일 이용객수 = 연간 이용자수 X 최대일률
* 최대시 이용자수 = 최대일 이용자수 X 회전율 [해설작성자 : 숲사랑]
30.
설문지(questionnaire)작성 시 폐쇄형 질문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민감한 주제에 보다 적합하다.
2.
부호화와 분석이 용이하여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3.
설문지에 열거하기에는 응답의 범주가 너무 클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
4.
질문에 대한 대답이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가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설문지에 열거하기에는 응답의 범주가 너무 클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 개방형 질문 [해설작성자 : min]
31.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구역은?
1.
시가화유보구역
2.
시가화관리구역
3.
시가화조정구역
4.
시가화예정구역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지 확산을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기간(5년~20년)동안 시가화를 유보하기 위해 지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구역의 하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가화조정구역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2016. 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해설작성자 : 조현길]
32.
집수(集水)구역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식생
2.
지형
3.
경관
4.
강우량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집수구역: 빗물이 상수원으로 흘러드는 지역으로서 주변의 능선을 잇는 선으로 둘러싸인 구역을 말함.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33.
도시공원 중 묘지공원의 경우 적당한 공원 면적의 규모 기준은? (단, 정숙한 장소로 장래 시가화가 예상되지 아니하는 자연녹지지역에 설치한다.)
1.
100,000m2
2.
300,000m2
3.
500,000m2
4.
700,000m2
정답 : [
1
] 정답률 : 66%
34.
계획안을 작성할 때 주어진 시간 및 비용의 범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안(案)을 가리키는 것은?
1.
최적 안(Optimal Solution)
2.
창조적인 안(Creative Solution)
3.
규범적인 안(Normative Solution)
4.
만족스러운 안(Satisficing Solution)
정답 : [
4
] 정답률 : 73%
35.
도시 및 지역차원의 환경계획으로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간계획이나 물리적 계획을 위한 모델링 도구이다.
2.
기본적으로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표로 한다.
3.
지역적 맥락에서 보전가치가 있는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4.
전체적인 맥락이나 구조측면에서 어떻게 생물종과 서식처를 보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개별적인 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도시·관리계획 결정으로 용도지역 중 “녹지지역”을 세분할 때의 분류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보전녹지지역
2.
전용녹지지역
3.
생산녹지지역
4.
자연녹지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①보전녹지지역 : 도시의 자연환경·경관·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하는 지역, 역사적, 문화적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 풍치 및 경관이 양호한 지역,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생태계보전을 위해 차단지대, 완충지대로 기능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②생산녹지지역 : 주로 농업생산을 위해 개발을 유보하는 지역, 농업진흥지역, 시가화 또는 개발을 엄격히 규제할 필요가 있는 농지, 농지가 집단화되어 있거나 경지정리가 되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③ 자연녹지지역 : 도시의 녹지공간 확보, 도시확산 방지, 장래 도시 용지 공급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으로 불가피한 경우 제한적인 개발이 가능한 지역, 보전녹지와 연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 자연·산림·녹지의 풍치와 건전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해설작성자 : 조현길]
37.
골프장 계획 시 구성 요소 중 홀의 처음 샷을 해서 출발하는 곳으로 주변보다 약간 높으며, 사각형 혹은 원형인 곳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그린(Green)
2.
러프(Rough)
3.
벙커(Bunker)
4.
티잉그라운드(Teeing ground)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그린: 홀의 종점부분, 출발지역에서 보이는 곳에 설치 러프: 풀을 깎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곳 벙커: 모래웅덩이 티: 출발지역 [해설작성자 : 제이크]
38.
자연형성 요소의 상호 관련성은 ‘매우 밀접한’, ‘밀접한’, ‘간접적인’으로 관계가 분류된다. 다음 중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요소들의 조합은?
1.
지형 - 기후
2.
지질 - 기후
3.
지질 - 식생
4.
토양 – 야생동물
정답 : [
1
] 정답률 : 66%
39.
도시지역 안에서 도시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기 위하여 도시관리계획 수립 절차에 의해 조성되는 공원의 유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린공원
2.
자연공원
3.
묘지공원
4.
어린이공원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연공원은 도시지역 밖이다 [해설작성자 : 조현길]
40.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는?
1.
비오톱
2.
습지훼손
3.
연안습지
4.
유비쿼터스
정답 : [
3
] 정답률 : 79%
3과목 : 조경설계
41.
직육면체의 직각으로 만나는 3개의 모서리가 모두 120°를 이루는 투상도는?
1.
사투상도
2.
정투상도
3.
등각투상도
4.
부등각투상도
정답 : [
3
] 정답률 : 74%
42.
도면에서 치수의 표시와 기입방법이 틀린 것은?
1.
전체의 치수는 가장 바깥에 나타낸다.
2.
치수선과 치수는 도형 안에 나타내지 않는다.
3.
한 도면에서 치수선의 굵기는 동일하게 한다.
4.
치수선은 외형선이나 중심선을 대신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43.
야외공연장(야외무대 및 스탠드)의 설계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
1.
객석의 전후영역은 표정이나 세밀한 몸짓을 감상할 수 있는 15cm 이내로 한다.
2.
평면적으로는 무대가 보이는 각도(객석의 좌우영역)는 90° 이내로 설정한다.
3.
객석에서의 부각은 15° 이하가 바람직하며 최대 30°까지 허용된다.
4.
객석의 바닥기울기는 후열객의 무대방향 시선이 전열객의 머리끝 위로 가도록 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객석의 전후영역은 표정이나 세밀한 몸짓을 이상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생리적 한계인 15 cm 이내로 한다. 평면적으로 무대가 보이는 각도(객석의 좌우영역)는 101∼108° 이내로 설정한다. 객석의 바닥기울기는 후열객의 무대방향 시선이 전열객의 머리끝 위로 가도록 결정한다. 객석에서의 부각은 15° 이하가 바람직하며 최대 30°까지 허용된다. [해설작성자 : min]
잔디관리 작업 중 토양의 단립(單粒)구조를 입단(粒團)구조로 바꾸기 위한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잔디깎기
2.
시비작업
3.
관수작업
4.
통기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통기작업 : 집중적인 이용으로 단단해진 토양에 지름 0.5-2m 정도의 원통형 모양을 2-5cm 깊이로 제거하고 허술하게 채워 줌으로써 물과 양분의 침입 및 뿌리의 생육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73.
잎 종류와 수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3출엽 : 복자기
2.
5출엽 : 으름덩굴
3.
단엽 : 중국단풍
4.
기수1회우상복엽 : 피나무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번 복자기 :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지 숲속에서 높이 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껍질이 벗겨진 자리는 연한 붉은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3출겹잎,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10cm, 폭 2~4cm, 끝은 뾰족하고, 2~3개의 큰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맥 위에 거센털이 있다. 작은잎자루는 길이 약 3mm, 긴 털이 성기게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3개씩 달리고, 꽃자루에 갈색 털이 있다. 열매는 시과, 9~10월에 익으며, 예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지고, 겉에 회갈색 털이 있다. 복장나무에 비해서 작은잎에 톱니가 없거나 2~3개 있고, 잎자루와 열매에 털이 있다.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단풍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식재한다. 나도박달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번 으름덩굴 : 낙엽활엽 덩굴나무로 길이 10-20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3-6cm, 너비 1-2cm이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로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다. 암꽃은 수꽃보다 크고, 꽃차례 아래쪽에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열매를 식용, 뿌리와 가지를 약용, 줄기를 세공재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3번 중국단풍 : 중국 원산이며 가로수, 공원수 등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 정도 자란다. 오래된 나무의 껍질은 불규칙하게 벗겨져 얼룩무늬가 생긴다. 잎은 마주나고, 역삼각형이고 기부가 서서히 좁아지며, 열편은 3개로 갈리며,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회백색이다. 꽃은 4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고, 꽃잎 5장, 꽃받침 5장, 수술은 8개이다. 열매는 시과, 날개의 각은 평행하거나 예각이며, 털이 없다. 8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하며, 중국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단엽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이 밋밋하며 잎이 역삼각형으로 기부가 서서히 좁아지는 특징으로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단풍나무 종류와 뚜렷이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세뿔단풍라고도 한다. 4번 피나무 : 아욱목 피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지 숲속 및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 너비 1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잎은 서로 엇갈려 달리며, 넓은 난형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아래쪽은 심장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길이는 3~9cm이다. 잎자루는 1.5~6cm이다. 꽃은 5~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산방꽃차례에 3~20개 정도가 무리를 지어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많은 수술이 꽃 밖으로 돌출한다. 열매는 견과, 도란형이며, 8~9월에 황백색으로 익으며, 겉에 줄무늬가 있고, 갈색 털이 빽빽하게 달린 기다란 포가 달려, 바람에 날린다. 식물체는 전체적으로 털이 거의 없는 점에서 별 모양의 털이 많은 찰피나무를 비롯한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조각재, 포장재로 이용하며, 나무껍질은 새끼줄 대용으로 쓴다. 달피나무, 참피나무, 털피나무, 달피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극동 지방, 중국 동북 지방 등에 분포한다. [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한번도의 생물다양성 ]
74.
옥상 녹화용 경량토 중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것은?
1.
화산모래
2.
피트모스
3.
펄라이트
4.
질석(버미큘라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인공경량토 피트모스(초탄, 이탄) -한랭한 습지의 갈대나 이끼가 흙 속에서 탄소화된 것 -과도하게 건조 시 본래 기능이 떨어짐 -충분한 수분보유상태에서 사용 -섬유가 얽혀서 대공극을 형성, 친수성이 있음 -통기성 확보, 보수기능 향상 -pH 3.5~4.5로 산성이 강해 석회 등으로 중화할 필요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음 ( )에 들어갈 적합한 용어는?
1.
타닌(tannin)
2.
크산토필(xanthothyll)
3.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4.
크리산테민(chrysanthemin)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타닌 - 갈색 크산토필 - 노란색 카로티노이드 - 주황색 크리산테민 - 붉은색 [해설작성자 : 머슬청솔모]
<문제 해설> 설계속도가 높으면 그만큼 이용교통에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상대적으로 건설비가 상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종단구배가 변하는 곳에서 사고의 위험 및 차량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계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단선형은 지형에 적합하여야 하며, 짧은 구간에서 오르내림이 많지 않도록 한다.
2.
길이가 긴 경사 구간에는 상향경사가 끝나는 정상 부근에 완만한 기울기의 구간을 둔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구간을 반드시 두도록 한다.
4.
교량이 있는 곳 전방에는 종단구배를 주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의 짧은 직선구배 구간은 피할 것. [해설작성자 : yee]
87.
재료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탄성은 재료에 작용하는 외력이 어느 한도에 이르러 외력의 증가 없이도 변형이 증대하는 성질을 말한다.
2.
강성은 재료의 단단한 정도로서 마감재의 내마모성 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된다.
3.
인성은 재료가 외력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도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성질이다.
4.
연성은 재료가 압력이나 타격에 의하여 파괴 없이 판상으로 펼쳐지는 성질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탄성 외력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변형 강성 외부에서 변형을 가할 때 주어진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 연성 탄성한계를 넘는 힘을 가함으로써 물체가 파괴되자 않고 늘어나는 성질 소성 외력이 어느 한도에 이르러 외력의 증가 없이도 변형이 증대 [해설작성자 : min]
88.
조명시설의 용어 중 단위 면에 수직으로 투하된 광속밀도를 가리키는 용어는?
1.
배광곡선
2.
휘도(brightness)
3.
조도(illumination)
4.
광도(luminous intensity)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조도: 단위면에 수직으로 투하된 광속밀도 배광곡선: 빛의 세기를 항향의 함수로 나타낸 곡선 휘도: 어떤 항향으로부터 본 물체의 밝기 광도: 빌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본단위 [해설작성자 : 왼손쟁이호야]
89.
절·성토 공사구간에서 5000m3의 성토량이 필요하다. 절토 할 자연상태의 토량은 얼마인가? (단, L=1.1, C=0.8이다.)
<문제 해설> 목재를 방부처리하는 방법 : 표면탄화법, 도포법, 확산법, 침지법, 가압식 주입처리법, 생리적 주입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뀨르]
9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사 계약방식은?
1.
B.O.T(Build-Operate-Transfer)
2.
C.M(Construction Management)
3.
E.C(Engineering Construction)
4.
파트너링(Partnering)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번 C.M(Construction Management) : 건설사업관리란 건설공사의 기획·타당성조사·분석·설계·조달·계약·시공관리·감리·평가·사후관리 등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맡아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주는 이러한 서비스를 받으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이득을 얻는다. 건축, 부동산분야의 지식서비스사업으로 근래에 개발된 것이다. [네이버 부동산 용어 사전 중] 3번 E.C(Engineering Construction) : 종래의 단순한 시공업과 비교하여 건설사업의 발굴 및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사업 전반에 관한 것을 종합, 기확관리하는 업무영역의 확대를 말한다. [건축산업기사 17년 08월 26일 기출 중] 4번 파트너링(Partnering) : 원도급자와 하도급자가 공동으로 응찰케 하고, 입찰 시에는 일반건설업자와 전문건설업자를 동시에 심사하는 방식이다.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간 상생을 목적으로 한다. [네이버 한경 경제용어사전 중] [해설작성자 : 이응]
92.
아스팔트 및 콘트리트 포장 시 부등침하나 온도변화로 수축, 팽창에 의한 파손을 막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줄눈
2.
맹암거
3.
암거
4.
물빼기공
정답 : [
1
] 정답률 : 69%
93.
다음 돌쌓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찰쌓기의 물빼기 구멍의 배치는 서로 어긋나게 하고, 2~3m2간격마다 1개소를 계획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2.
메쌓기는 뒷채움 등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3.
메쌓기는 규격이 일정한 석재의 켜쌓기(수평축)를 원칙으로 한다.
4.
높은 돌쌓기는 밑으로 내려옴에 따라 뒷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메쌓기: 모르타르 쓰지않고 돌 쌓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메쌓기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뒤틈 사이에 굄돌을 고인 후, 뒤채움 골대로 채우며 쌓는 방법이다. 찰쌓기는 쌓아올릴 때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뒤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뒤채움을 할 때에는 조약돌을 쓰는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과 같은 지형의 기반에 성토하였을 때 포화 점토사면의 파괴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인가? (단, 토양의 포화 단위중량은 2.0ft/m3, ø=0, 흙의 전단강도정수 C=6.5tf/m2, 안정계수 Ns=5.55이다.)
1.
0.4509
2.
0.9018
3.
1.2525
4.
1.9018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일단 문제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포화단위중량 20ft/m3 이 아니라 -> 2.0ft/m3 *단순사면 안전율 = 한계고 /사면의 높이 *한계고 = (전단강도정수/포화단위중량) x 안정계수 = (6.5/2)x5.55 = 18.0375 *안전율 = 18.0375/20 = 0.9018 [해설작성자 : 핑공아자아자]
98.
다음 중 소운반 및 인력운반 공사에 대한 표준품셈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V: 평균왕복속도, T: 1일 실작업시간, L: 운반거리, t: 적재적하 시간)
1.
1일 운반 실작업시간은 8시간을 기준으로 480분을 적용한다.
2.
지게운반의 1회 운반량은 보통토사의 경우 25kg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3.
1일 운반횟수를 구하는 식은 이다.
4.
지게운반 경로가 고갯길인 경우에는 수직높이 1m는 수평거리 6m의 비율로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표준품셈 『9-1 인력운반 기본공식』중 1일 실작업시간이 480-30분(450분)으로 되어 있다. 운반량 산정시에는 운반작업에 소요되지 않는 작업준비 등의 기타시간(30분)을 제외한것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9.
살수 관개시설 설치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수량과 급수원의 흐름과 작동압력에 의해 살수기를 선정한다.
2.
살수기의 간격은 보통 살수작동 지름의 60~65%로 추정한다.
3.
살수구역에서 첫 번째와 마지막 살수기에 작동하는 압력의 차는 10%이내이어야 한다.
4.
살수기의 배치는 정사각형의 배치가 정삼각형의 배치보다 균등한 살수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삼각형의 배치가 사각형의 배치보다 더 좋은 균등계수를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플로우테스트
2.
표준관입시험
3.
슬럼프테스트
4.
다짐계수시험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표준관입시험 - 자연지반의 성질을 알기 위한 시험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표준관입시험은 기초의 설계 및 흙막이설계를 위하여 사질토의 상대밀도, 점성토의 전단강도 등 여러가지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는 시험이다.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시공연도) : 단위수량이 많을수롣 재료의 분리가 생기므로 시공연도가 나쁘다. 또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 값이 감소하므로 시공연도가 나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1.
다음 중 유기물 시용의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 온도를 낮춤
2.
토양의 구조 개량
3.
토양 중의 양분 저장
4.
토양의 완충작용을 증진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기물의 시용은 양분 및 미량요소 공급 등 직접적인 효과뿐만아니라 유기물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토양의 구조개선, 양분 및 수분의 보존기능 증대, 경윤성 향상 온도상승 및 미생물 활동촉진 등의 간접적인 효과도 크기 때문에 작물의 수량을 일반적으로 증대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기물 사용시 토양온도 상승 [해설작성자 : 김기사가되..]
102.
재료별 유회시설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시설 기초부분은 조기에 부패하기 쉬우므로 항상 점검하며, 상태가 불량한 부분은 교체하거나 콘크리트 두르기 등의 보수를 한다.
2.
철재시설은 회전부분의 축부에 기름이 떨어지면 동요나 잡음이 생기지만 계속 사용하면 마모되어 소음이 줄어든다.
3.
콘크리트시설은 콘크리트 기초가 노출되면 위험하므로 성토, 모래 채움 등의 보수를 한다.
4.
합성수지시설에 벌어진 금이 생긴 경우에는 보수가 곤란하고, 이용자가 상처를 입기 쉬우므로 전면 교체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철재시설이 기름으로 인해 동요나 잡음이 생기면, 이는 보통 기계 부품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면 기계 부품은 더욱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문제 또는 작동 불능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이상이 발견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나머지 세 항목은 유회시설의 관리에 대해 올바른 설명입니다. 유회시설은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중요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바카닝닝]
103.
토양의 형태론적 분류체계 단위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목 → 아목 → 대군 → 아군 → 계 → 통
2.
목 → 아목 → 대토양군 → 계 → 통 → 구
3.
목 → 대토양군 → 아목 → 통 → 계
4.
목 → 대군 → 아군 → 아목 → 계 → 통
정답 : [
1
] 정답률 : 62%
104.
대규모 녹지공간의 풀베기를 위한 일반적인 동력예취기 사용 시 안전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예취 작업할 곳에 빈병이나, 깡통, 돌 등 위험요인을 제거한다.
2.
예취 칼날이 있는 동력예취기 작업 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작업한다.
3.
예취 칼날 교체를 위한 해체 시 볼트를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돌린다.
4.
예취작업 시에는 안전모,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등 보호구를 착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예취날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이므로 반드시 작업자의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예취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min]
3번의 예취 칼날 교체를 위한 "해체시"볼트를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돌린다---잠김장치 입니다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돌려야 해체 됩니다)- 나사의 원리가 왼쪽 나사인 관계로...... [해설작성자 : 영동 바보처럼 살자]
105.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해충은?
1.
도토리거위벌레
2.
솔껍질깍지벌레
3.
참나무재주나방
4.
호두나무잎벌레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즙액을 흡수한다는 점에서 흡즙성 해충이므로 흡츱성 해충의 대표 해충인 깍지벌레류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106.
어떤 물질이 농약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살포시 수목에 대한 약해가 없어야 한다.
2.
병해충을 방제하는 약효가 뛰어나야 한다.
3.
수목재배 전체기간 중 잔효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4.
사용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독성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107.
나무의 정지, 전정 요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장한 가지는 제거한다.
2.
병충해의 피해를 입은 가지는 제거한다.
3.
얽힌 가지와 교차한 가지는 제거한다.
4.
같은 부위, 같은 방향으로 평행한 두 가지 모두 제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평행한 두가지중 한개만 제거 [해설작성자 : 단국대 17]
108.
배수시설의 관리에 의한 효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강우 및 강설량의 조절
2.
유속 및 유량감소로 토양침식방지
3.
토양의 포화상태를 감소시켜 지내력 확보
4.
해충의 번식원인이 될 수 있는 고여 있는 물을 제거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배수시설이 무슨 수로 강우 강설량을 조절한답니까? [해설작성자 : 드불]
109.
병균이 식물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는 약제로,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효시간이 긴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은?
1.
토양살균제
2.
직접살균제
3.
종자소독제
4.
보호살균제
정답 : [
4
] 정답률 : 66%
110.
옥외레크리에이션 이용자 관리체계는 관리 프로그램적 측면과 이용자의 제특성에 대한 이해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 중 “이용자 관리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은?
1.
참가 유형
2.
이용의 분포
3.
이용자 요구도 위계
4.
이용자의 지각 특성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이용자 관리 프로그램 : 이용의 분포, 공중의 안전, 정보 및 교육 이용자에 대한 이해 : 이용자 요구도 위계, 참가유형, 이용자의 지각 특성 [해설작성자 : 짱구]
111.
화단의 비배관리에 효과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봄에 파종이나 이식이 끝난 후에 퇴비를 섞어준다.
2.
복합비료 입제는 꽃을 식재하기 일주일 정도 전에 뿌려준다.
3.
가을이나 겨울에 토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퇴비를 넣고 땅을 일구어서 섞어 준다.
4.
꽃을 피우기 시작할 때 액제의 비료를 잎이나 줄기기부에 일주일에 한 두 번씩 뿌려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봄에 파종이나 이식 전에 퇴비를 섞어준다. 이식이 끝난 후 -> 이식 전 [해설작성자 : 화이팅가자고]
112.
식재공사 후 장기간의 가뭄으로부터 수목을 보호하기 위해 실시하는 관수(灌水)의 요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을 줄 때 수관폭의 1/3 정도 또는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넓게, 높이 0.1m 정도의 물받이를 만든다.
2.
관수량은 물분(깊이 5~10cm)에 반 정도 차게 물을 붓는다.
3.
거목의 경우에는 근부(根部)뿐만 아니라 줄기 전체에도 물을 끼얹어 준다.
4.
매일 관수를 계속할 경우 하층에 뿌리가 부패하는 것을 주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수목류의 관수량은 적어도 관목은 토양이 10cm 이상, 교목은 30cm 이상 젖도록 한다. 초화류는 토양이 충분히 젖도록 관수하되, 적어도 토양이 5cm이상 젖도록 관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토양의 입경조성(粒經組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1.
토성(土性)
2.
토양통(土壤統)
3.
토양의 구조(構造)
4.
토양반응(土壤反應)
정답 : [
1
] 정답률 : 52%
114.
생울타리의 관리 방법이 옳지 않은 것은?
1.
맹아력이 약한 수종은 자주 강하게 다듬으면 잔가지 형성에 도움을 준다.
2.
전정은 목적에 맞게 보통 1년에 2~3회 실시한다.
3.
주요 수종은 쥐똥나무, 무궁화 등이 적합하다.
4.
다듬는 시기는 새잎이 나올 때부터 6월 중순경까지와 9월이 적기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맹아력이 약한 수종은 강하게 다듬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가자고]
115.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이 기생하는 나무에서 흔히 관찰되는 수목병은?
1.
그을음병
2.
빗자루병
3.
흰가루병
4.
줄기마름병
정답 : [
1
] 정답률 : 53%
116.
다음 설명은 어떤 양분이 결핍된 증상인가?
1.
Mg
2.
K
3.
N
4.
P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마그네슘Mg 결핍 (활엽수) - 잎이 얇아지며 부스러지기 쉽고 조기낙엽. 잎가 부위에 황백현상. 열매 작아짐 (침엽수) 잎 끝이 황색으로 변함
칼륨K 결핍 (활엽수) - 황화현상. 잎 끝 말림 (침엽수) - 침엽이 황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하며, 끝부분 괴사
질소N 결핍 (활엽수) - 잎이 황록색. 잎 수가 줄어들고 두꺼워 짐. 조기낙엽 (침엽수) - 침엽이 짧아지고 황색. [해설작성자 : 떡잎]
117.
식물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 중 잣나무 털녹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 있는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