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일에 아래의 조건으로 사채를 발행하였다. 2020년 12월 31일 장부에 인식할 해당 사채와 관련된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얼마인가?(사채할인발행차금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상각하고, 소수점 이하는 절사한다.)
1.
67,618원
2.
194,332원
3.
210,000원
4.
277,618원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020.12.31 이자비용 277,618 / 현금 등 210,000(액면가액*액면이자율) (발행가핵*유효이자율) 할인발행차금 67,618 (차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회계정보의 질적특성인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회계정보의 질적특성은 회계정보가 유용하게 쓰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을 말하며 주요특성은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이며, 기타 질적특성으로는 비교 가능성이 있다.
2.
회계정보의 질적특성은 상충될 수 있다.
3.
회계정보의 신뢰성은 과거의 의사결정을 확인 또는 수정하도록 해줌으로써 유사한 미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속성이다.
4.
일반적으로 반기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비해 목적적합성은 높지만 신뢰성은 낮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뢰성은 회계정보가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해 오류가 없고, 검증 가능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표현 하는 것. [해설작성자 : 근몬]
4.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한 퇴직연금에는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이 있다.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른 확정급여형(DB)형의 회계처리 중 옳지 않은 것은?
1.
회사가 퇴직연금의 부담금 2,000,000원을 납부하면서 운용관리수수료 50,000원을 퇴직연금운용사업자에게 보통예금에서 계좌이체 하였다.
2.
회사가 연금운용사업자로부터 퇴직연금 운용수익 560,000원을 퇴직연금운용자산 원본에 가산하였다.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종업원이 퇴직하면서 퇴직일시금의 수령을 선택한다고 가정하고 이때 지급하여야 할 퇴직일시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측정하여 퇴직급여 충당부채로 5,000,000원 인식하였다.
4.
종업원이 퇴직연금에 대한 수급요건 중 가입기간 요건을 갖추고 퇴사하였으며, 일시금 3,000,000원을 선택하였다. 일시금 3,000,000원 중 퇴직연금 운용사업자가 지급한 금액은 1,600,000원이고 회사가 지급할 금액 1,400,000원을 계좌이체 하였다. (회사는 전 종업원의 퇴직급여 충당부채를 설정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5.
다음 자료를 보고 장기용역제공에 따른 2020년 당기손익을 구하시오.
1.
0원
2.
손실 240,000원
3.
손실 380,000원
4.
손실 44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발생원가+발생예정인 원가 손실로 인식 = 700,000 + 500,000 + 300,000 = 1,500,000 과거 인식한 이익을 손실로 인식 = 140,000 2020년 손익 = 1,200,000 - 1,500,000 - 140,000 = 손실 44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당사는 기계시간을 기준으로 정상원가계산에 의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있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조업도를 계산하면 몇 시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