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선충,바이러스,파이토플라스마는 기주식물이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 그러므로 인공배지에서 배양 불가능 [해설작성자 : 감튀킬러]
6.
다음 중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미치는 주요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부적 이상 비대
2.
기주로부터 양분과 수분 탈취
3.
저장물질의 변화 및 생장 둔화
4.
태양광선의 차단에 의한 생장 불량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겨우살이: 영양분 흡수, 국부적 이상비대(->물리적 강도 약화), 병든 부위 위축, 미성숙 노화, 종자형성 불량, 목재의 질 저하, 병해충 저항성 감소. *새삼: 양•수분 빼앗아 감. *더부살이 [해설작성자 : Allom]
7.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도 조절
2.
태양열 소독
3.
훈증제 사용
4.
경엽처리제 사용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 - 습도조절 - 태양열 소독 - 훈증제 사용 - 담수 등 (경엽처리제 사용 시 밀폐된 공간이라 잔류 문제로 부적절함} [해설작성자 : XXO]
8.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마토에만 감염된다.
2.
담자균에 의한 병이다.
3.
병원균은 주로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
4.
병원균이 뿌리로 침입하면 뿌리가 흰색으로 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세균이다 [해설작성자 : 허버허버]
1. 토마토 및 가지과작물 2. 담자균이 아닌 세균에 의한 병 4. 뿌리가 갈변하고 부패 [해설작성자 : 개복치]
9.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 줄기, 열매 등에 발생한다.
2.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3.
발병 후기에는 발병 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4.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25℃ 이상의 고온이 되면 발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균핵이 땅속에 묻혀있다가 저온에서 발아함 [해설작성자 : xxo]
10.
종묘 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농약만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2.
종자의 발아율을 좋게 하는 방법이다.
3.
종자의 이물질이 없도록 정선하는 방법이다.
4.
종자와 종묘 이외도 덩이뿌리 등 영양번식체를 소독하는 방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자나 괴경, 구근 등에 혼입, 부착 또는 침입하여 차세대의 식물에 전염하는 바이러스, 세균, 사상균, 선충 등을 약제 또는 열처리 등으로 살멸하는 것. 묘목이나 수목 등을 이식, 또는 접목전에 약제나 열 등으로 처리하여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죽이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종묘소독이라 하는데 넓은 의미의 종자소독에 속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종자소독 [seed disinfection, 種子消毒]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11.
병원균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보이는 식물병은?
1.
오이 잘록병
2.
옥수수 오갈병
3.
벼 이삭누룩병
4.
밤나무 줄기마름병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밤나무 줄기마름병=동고병. 빗방울. 조류. 곤충에 의한 균의 포자이동으로 상처에 감엽. 병원균은 병반부위(줄기에 검은 작은 돌기생김)월동.봄 가을에 증세 나타남. 산균제처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이 잘록병: 진균, 난균(Pythium) 또는 담자균(Thanatephorus) 옥수수 오갈병: 바이러스 벼 이삭누룩병: 자낭과 형성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Aspergillus flavus와 A. parasiticus가 생산하는 진균 독소. 16종의 이성질체가 알려져 있고 그 가운데 아플라톡신 비 원(B1)은 강력한 발암성 물질이다. 옥수수, 땅콩, 목화씨와 콩에 수확 전 또는 수확 후에 이 진균이 자라 생성된다. 주로 오랜 동안 습한 조건에 노출되거나 가뭄에 손상을 입었을 때에 감염되기 쉽다. 섭취하게 되면 간에서 대사되어 활성을 가진 중간 산물인 아플라톡신 엠 원(M1)이 된다. 사람과 동물에서 간 손상과 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아플라톡신 중독증을 일으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플라톡신 [aflatoxin] (식품과학사전)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13.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체로 옳은 것은?
1.
곰팡이
2.
바이러스
3.
바이로이드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뽕나무 오갈병은 파이토 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이고, 주로 쓰이는 치료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이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문제 해설> 플라스미드(plasmid)란 세균 원형질 내에 존재하는 주염색체를 제외한 작은 단위의 유전물질을 말합니다. 주염색체 내에는 세균의 생장이나 구조 형성에 관련된 유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플라스미드에는 주로 병원성, 저항성, 독소 생산 등에 관련된 유전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PDK]
플라스미드(plasmid) -세포 내에서 염색체와 별개로 존재하며, 자율적으로 복제할 수 있는 작은 원형 DNA 분자입니다. 주로 박테리아에서 발견되지만, 고균과 진핵 생물에서도 존재합니다. 주염색체 내에 세균의 생장이나 구조 형성에 관련된 유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편모의 구조가 결정된다. 플라스미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세균에서는 접합 전달, 항생물질 등에 대한 저항성, 항균물질(박테리오신) 합성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2.플라스미드는 플라스미드 벡터(plasmid vector)로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3.플라스미드는 구조가 간단해 조작이 쉬워 유전공학 실험에 널리 이용됩니다. 4.플라스미드 DNA로부터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16.
식물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주요 고분자는?
1.
피막과 핵
2.
세포벽과 세포질
3.
골지체와 RNA
4.
핵산과 단백질 껍질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식물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 껍질로 구성된 핵단백질이다 [해설작성자 : 김포횬]
은행나무 잎마름병: 곰팡이(불완전균) 벚나무 빗자루병: 곰팡이(자낭균)- 빗자루병 중 파이토 플라즈마가 원인이 아닌 병 뽕나무 오갈병: 파이토 플라즈마 낙엽송 잎떨림병: 곰팡이(자낭균)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19.
사과나무 뿌리혹병의 주요 발생 원인은?
1.
세균 감염
2.
사상균 감염
3.
토양 선충
4.
생리적 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뿌리 및 줄기에 혹을 형성한다. 색깔은 초기에 백색을 띠고 차차 갈색 내지 암자갈색으로 변한다. 암종직경은 수 mm에서 수십 cm크기의 다양한 모양으로 주로 뿌리에 발생한다. 암종은 병원균의 감염으로 나무의 세포조직분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뿌리의 작은 암종은 선충에 의한 암종과 혼동되기 쉽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과 뿌리혹병 [Crown gall, 根頭癌腫病] (국가병해충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20.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다.
2.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 감자 역병이 크게 발생하여 1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다.
3.
20세기 미국 동부지방 주요 수종인 밤나무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20세기 미국 전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이 크게 발생하여 관련 제품 생산에 큰 차질을 가져왔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19세기 스리랑카는 커피녹병으로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숙주 식물은 조팝나무·사과나무·배나무·귤나무 등이다. 연 10회 정도 발생한다. 조팝나무의 눈과 사과나무의 도장지, 1·2년생 가지의 눈 기부에서 알로 월동한다. 4월경 알에서 부화한 간모가 단위생식하여 무시충의 개체수가 늘어난다. 5월 상순에는 유시충이 발생하여 다른 숙주로 이동한다. 가을에 유시충이 나타나서 교미하여 나무에서 산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팝나무진딧물 [spiraea aphid]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33.
곤충의 출생방식으로 알이 몸 안에서 부화되어 애벌레 상태로 밖으로 나오는 것은?
1.
난생
2.
태생
3.
배발생
4.
난태생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난생 : 알로 낳는것 태생 : 애벌레를 몸 안에서 키워 다 큰 애벌레를 낳는 것 배발생 : 수정된 알이 세포 분열을 시작하여 배체가 생기기까지의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닌 것은?
1.
통계적 예찰법
2.
피해사정 예찰법
3.
시뮬레이션 예찰법
4.
야외조사 및 관찰 예찰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정 : 양적 수량적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 측량보다 포괄적 용어 [해설작성자 : 도오트]
35.
작물의 재배시기를 조절하여 해충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경종적 방제법
3.
기계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병충해 및 잡초를 관리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섬향기]
<문제 해설> 담배나방-고추의 주요 해충, 어린 유충은 주로 잎을 가해한다. 땅속에서 번데기 상태로 월동한다. 1년에 3회 발생, 암컷은 낮에 활동, 제3령이후 낮에는 잎 뒷면에 숨는다. 성충의 암컷은 밤에만 활동 한다. 부화유충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가해 한다. 천적으로는 쌀좀알벌, 예쁜 가는배고치벌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몸길이는 15mm, 날개편 길이는 35mm 정도이다. 몸과 날개 모두 황갈색을 띠며 앞날개에 가로줄무늬와 고리모양 무늬가 뚜렷하다. 유충은 주로 담배잎을 갉아먹으며 고추나 토마토의 열매 속으로 파고들어가 구멍을 뚫어놓고 열매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37.
진딧물이 교미 없이 암컷 혼자 번식하는 것은?
1.
단위생식
2.
다배발생
3.
기주전환
4.
완전변태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단위생식은 수정되지 않으 난자가 발육하여 성체가 되는 것으로 처녀생식,단위생식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요미]
38.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1.
버들잎벌레
2.
솔수염하늘소
3.
복숭아명나방
4.
진달래방패벌레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진달래방패벌레는 불완전변태를하며 노린재목이다 [해설작성자 : 요미]
39.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
1.
벼멸구
2.
먹노린재
3.
흰등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벼 오갈병바이러스는 끝동 매미충에의해 경란전염됨 [해설작성자 : 요미]
40.
유충에서 성충까지 입틀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은?
1.
꿀벌
2.
말매미
3.
학질모기
4.
배추흰나비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말매미는 1세대를 경과아는데 6년 이상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요미]
3과목 : 재배학원론
41.
포도의 착색에 관여하는 안토시안의 생성을 가장 조장하는 것은?
1.
적색광
2.
황색광
3.
적외선
4.
자외선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안토시안의 생성 조장 조건은 자색광 또는 자외선이다. [해설작성자 : 니그러다ㅏ합격]
줄기 선단에 분열조직에서 합성되어 아래로 이동하여 측아의 발달로 억제하는 정아우세 현상과 관련된 식물생장조절물질은?
1.
옥신
2.
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에틸렌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정아에서 생성된 오옥신이 정아의 생장은 촉진하나 아래로 확산하여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57.
다음 중 침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침종기간은 연수보다 경수에서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2.
낮은 수온에 오래 침종 하면 양분의 소모가 적어 발아에 좋다.
3.
완두는 산소가 부족해도 발아에 지장이 없다.
4.
벼는 종자 무게의 5%의 수분을 흡수하면 발아가 개시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침종은 씨앗(종자)을 파종하기 전에 물에 담가 불림으로써 싹이 트기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게 하는 과정으로, 씨앗담그기라고도 한다. 직접 흙에 심는 방법에 비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볍씨나 옥수수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주로 파종하기 전에 종자선별, 종자소독, 침종, 최아(싹 틔우기) 과정을 거치면 효율적이다.1) 침종은 씨앗 발아의 프로그램을 개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씨껍질에 있는 발아 억제물질들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파종을 하기 위해서는 씨앗마다 적정한 시간과 온도가 있다. 옥수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침종 후 20°C 온도에서 하루 정도 지나면 뿌리가 나오고, 2-3일이면 싹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침종 후 2-3일 이내에 파종하면 입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침종 [seed soaking] (식물학백과)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2: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종자가 가지고 있는 효소가 작용하지 않아 20~30도 정도의 물을 사용한다. 너무 오래 담가두면 양분이 새어나오기 때문에 종에 따라 적절한 시간 동안 침종한다. 3: 두류는 침종을 짧게 하는 것이 좋으며 오히려 발아에 장애가 되거나 산소가 부족하면 좋지 않다. 4: 벼 발아에는 무게의 23% 정도의 수분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문제 해설> 원분제의 중량 * (원분제의 농도 / 희석할 농도 - 1 ) 100 ml * ( 50 / 0.05 - 1 ) 100 ml * ( 1000 - 1) 0,1 L (단위변경) * 999 =99.9 정답 2번
*1L 는 1000 ml 이다. [해설작성자 : 고양고양이]
65.
급성독성 강도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흡입독성 > 경피독성 > 경구독성
2.
경구독성 > 흡입독성 > 경피독성
3.
흡입독성 > 경구독성 > 경피독성
4.
경피독성 > 경구독성 > 흡입독성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흡입독성: 폐를 통해 빠르게 혈류로 흡수되므로 가장 빠르고 강한 독성을 보입니다. 경구독성: 소화기관을 거쳐 흡수되며, 일부는 간에서 대사되므로 흡입보다 낮은 독성을 가집니다. 경피독성: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속도는 매우 느리고 흡수량도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열공]
66.
경구 중독에 대한 설명과 해독 및 구호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을 통해서 소화기내로 들어와 흡수 중독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2.
인공호흡을 시키고 산소를 흡입시킨 다음 안정시킨 후 모포 등으로 싸서 보온시킨다.
3.
따뜻한 물이나 소금물로 위를 세척한다.
4.
약물이 장내로 들어갈 염려가 있을 때는 황산마그네슘 용액에 규조토 등을 타서 먹여 배설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인공호흡하면 인공호흡 해준 사람도 경구중독 됨 [해설작성자 : 잘 모르겠네]
67.
미생물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약효가 속효성이다.
2.
적용병해충 범위가 제한적이다.
3.
화학농약에 비하여 약효가 저조하다.
4.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약효는 지효성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68.
다음 중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약제는?
1.
침투성 약제
2.
유용성(油溶性) 약제
3.
증발하기 쉬운 약제
4.
작물에 부착성이 큰 약제
정답 : [
3
] 정답률 : 85%
69.
농약 원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제형은?
1.
유제(乳劑)
2.
수화제(水和制)
3.
액제(液劑)
4.
수용제(水溶制)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제: 물에 녹지 않는 성분을 유기용매에 녹인 제제. 수화제: 물에 안녹는 가루 액제: 물에 녹인 제제 수용제: 물에 녹는 가루 [해설작성자 : Allom]
이것은 농약의 원제가 물에 완전히 녹는 형태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동결방지제를 넣는다는 건 액체 상태로 유통·사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열공]
70.
다음 중 희석하여 살포하는 제형이 아닌 것은
1.
유제(乳劑)
2.
분제(粉劑)
3.
수용제(水溶制)
4.
수화제(水和制)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물이 필요업싱 그대로 살포할수있다 대기오염에 가장 큰원인이되고 제초제의 제형으로는 가장부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2022식보]
71.
농약의 작용기작에 의한 분류 중 Parathion이 속하는 분류는?
1.
에너지대사 저해
2.
호르몬 기능 교란
3.
생합성 저해
4.
신경기능 저해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Parathion은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입니다. 곤충 속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는 억제되어지면 신경계가 교란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Snooooow]
72.
주성분의 조성에 따른 농약의 분류에서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arbamic acid과 amine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2.
BHC와 같이 환상구조를 가지는 것과 ethane의 유도체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 나누어진다.
3.
산소 및 황의 위치 및 수에 따라 품목이 분류된다.
4.
분자 구조내에 질소를 3개 가지는 트리아진 골격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카르복시산과 아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카바민산의 유도체로 살충제나 제초제로 사용. 살충제로 종 특이성이 높고 체내 분해가 빠르며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hE) 저해제로 접촉독 작용. 속효성이며 침투 이행성이 좋고 잔효력이 길지 않다. [해설작성자 : Allom]
73.
미탁제나 유탁제 등 신규제형이 각광받지 못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가로 인한 경제성 문제
2.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3.
보수적 농민의 선호도 부족
4.
인축 독성이 강한 유기용매의 함유
정답 : [
4
] 정답률 : 69%
74.
다음 중 사과의 부란병 방제에 적합한 약제는?
1.
polyoxin A
2.
polyoxin B
3.
polyoxin C
4.
polyoxin D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폴리옥신(polyoxin) : 1965년에 Streptomyces cacaoi의 배양액에 존재하는 뉴클레오시드에 아미노산이 결합된 A~C성분으로 구성되는 혼합물과 그 후에 발견된 D~O의 성분이 다른 방선균에 존재하는 벼의 문고병(紋枯病)에 유효한 물질로 발견된 물질. 작용기구는 진균세포벽의 구성성분인 키틴의 생성에 관여하는 키틴합성효소의 기질인 UDP-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길항적으로 저해하는 것에 있다.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은 낮다. polyoxin D 적용대상(작물) : 부란병/점무늬낙엽병(사과), 잿빛곰팡이병(가지/딸기/쑥갓/아욱/양배추/오이/토마토/파 등), 흰가루병(참외/오이/딸기/가지 등) [네이버 지식백과] 폴리옥신 [polyoxin]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Parathion의 구조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파라치온의 화학식은 C10H14NO5PS 입니다. 벤젠에서 H4개가 숨어있습니다 그렇게 하여 H14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Snooooow]
<문제 해설> 농약잔류허용기준(MRL) 설정 시 고려사항 1. 1일 섭취허용량(ADI) = 최대무작용량(NOEL)×0.01(안전계수) : 농약을 함유한 음식을 일생동안 섭취하여도 아무런 장해를 받지 않는 1일당 최대의 양 2. 최대무작용량(NOEL) : 실험동물에 매일 일정량의 농약을 혼합한 사료를 장시간 투여하여 2세대 이상에 걸쳐 전혀 건강에 이상이 없는 양 3. 안전계수 = 1/100 : 동물의 실험에 의해 얻어진 최대무작용량에서 1일 섭취 허용량(ADI)를 산출하는 환산계수 4. 국민평균체중(kg)/식품별 1일 섭취량(식품계수; kg) [출처 : 몰랑이님 블로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올방개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1.
뷰타클로르 액제
2.
펜티메탈린 유제
3.
페녹슐람 액상수화제
4.
피라조설퓨론에틸 수화제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올방개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벤퓨러세이트가 혼합된 제초제, 페녹슐람 액상수화제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82.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잡초방제법에서 천적이 갖춰야 할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1.
포식자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2.
지역환경에 쉽게 적응하여야 한다.
3.
접종지역에서의 이동성이 낮아야 한다.
4.
숙주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접종지역에서 이동성이 커야 그 지역의 방제율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트라이진계 제초제의 주요 이행 특성은?
1.
조기 결실
2.
비대 성장
3.
광합성 저해
4.
신초 생장 억제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트라이진계 제초제 -토양처리제초제로 화본과/광엽잡초 방제에 효과적, 뿌리로 흡수 -광합성 저해제 -과수원이나 뻔나무 밭에서 1년생 잡초에 사용되는= 시마진 -잣나무 제외, 침엽수 조림지에서 이용하는= 헥사지논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앞으로 뭐하냐]
<문제 해설> 암발아성 잡초: 냉이,별꽃,광대나물,독말풀 등 [해설작성자 : 앞으로 뭐하냐]
86.
생물학적 잡초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살초작용이 빠르다.
2.
환경에 잔류문제가 없다.
3.
동시에 여러 초종의 방제가 쉽다.
4.
방제 작업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든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87.
땅콩 포장에 문제가 되는 잡초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강아지풀, 깨풀
2.
너도방동사니, 쇠비름
3.
마디꽃, 돌피
4.
강아지풀, 쇠털골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강아지풀, 깨풀, 쇠비름, 마디꽃. 바랭이, 명아주 같은 밭잡초들은 작물의 수량 감소 문제를 야기함. [해설작성자 : ㅇㅇ]
88.
월년생 밭잡초로만 나열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이, 개꽃
2.
별꽃, 꽃다지
3.
개망초, 벼룩나물
4.
명아주, 매자기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명아주 - 1년생 밭잡초 매자기 - 다년생 논잡초 [해설작성자 : 곧시험]
89.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온화가 가능한 제초제는 음이온 치환을 통해 흡착된다.
2.
토양내 점토물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친화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3.
대부분의 제초제는 반응기를 갖고 있어서 토양 유기물과 치환혼합이 가능하다.
4.
제초제는 대부분 하나 이상의 방향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흡착: 토양 내 점토물이 제초제 표면에 부착되거나 친화력을 갖는 것 * 대부분 점토와 흙탕물은 음전하를 띄고 있고 유기물은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등의 작용기를 가지고 있고 대부분 제초제도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아민기 등의 반응기를 가지고 있어 토양 유기물과 치환 혼합 가능 * 흡착기구: 양이온 결합, 음이온 결합, 반데르발스힘, 수소결합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식물의 광합성 회로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대부분의 작물은 C4 식물이다.
2.
모든 잡초는 C4 광합성 회로를 갖는다.
3.
광합성 회로가 C4인 식물은 C3인 식물보다 광합성에서 불리하다.
4.
돌피와 향부자와 같은 잡초는 C4 식물에서 생장이 빨라 경합에서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광효율이 좋아 경합에 유리하다 생장x [해설작성자 : 김포혀니]
91.
상호대립억제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잡초가 다른 작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며 잡초 간에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다른 종의 생육을 억제하는 주된 기작은 주로 차광에 의해 일어난다.
3.
죽은 식물 조직에서 나오는 물질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4.
제초제를 오래 사용한 잡초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상호대립억제작용 : 식물체내의 생성, 분해물질이 인접식물의 생육에 부장적영향을 미치는 것 타감작용이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앞으로 뭐하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