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배합설계에서 결합재로 시멘트와 고로 슬래그 미분말이 사용되 었다. 결합재 전체 질량이 550 kg/m3이라고 할 때, 제빙 화학제에 대한 내구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최 대 혼입량은? (단,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1.
68. 7 kg/m3
2.
137.5 kg/m3
3.
192.5 kgm3
4.
275.0 kg/m3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 최대 혼화재 비율 - 고로슬래그 미분말 : 50% [해설작성자 : 부산사하]
5.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수밀성이 향상된다.
2.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철근 보호성능이 향상된다.
3.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탄산화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4.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는 포틀랜드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고로슬래그는 탄산화(중성화)가 촉진될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별찬]
고로 슬래근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알칼리 골재 반응 억제에 대한 효과가 있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6.
시멘트 비중 시험을 실시한 결과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광유를 주입 하고 측정 한 눈금이 0.5 mL였다. 이 비중병에 시멘트 64 g을 넣고 광유가 올라온 눈금을 측정한 결과 21.0 mL가 되었다면 이 시멘트의 비중은?
1.
3. 06
2.
3.12
3.
3. 18
4.
3.24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멘트 비중= 64/(21-0.5)=3.12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7.
황산나트륨 포화용액을 사용한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서 반복 시험을 실시할 경우 황산나트륨 포화용액의 골재에 대한 잔류 유무를 조사하여야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염화바륨을 사용하며, 용액의 농도는 5∼ 10%로 한다.
2.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며, 용액의 농도는 3%로 한다.
3.
탄닌산 용액을 사용하며, 용액의 농도는 2 ∼ 3%로 한다.
4.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며, 용액의 농도는 1%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황산나트륨 포화용액의 잔류유무를 알기 위해 염화바륨 농도를 5~10%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시약용 용액의 골재에 대한 잔류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염화바륨을 사용하며, 농도는 5~10%로 한다. [해설작성자 : 콘콘]
정해진 횟수로 시험한 시료를 깨끗한 물로 씻는데 씻은 물에 염화바륨 용액을 넣어 흰색으로 탁해지지 않게 될 때까지 씻는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8.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굵은 골재 최대치 (Gmax) 와 조립률 (F.M)을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혼화재로 사용되는 실리카 퓸의 품질 시험을 실시하고자 할 때 시험 모르타르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실리카 퓸의 질량비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9
2.
9:1
3.
1:6
4.
6:1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험 모르타르는 실리카퓸의 품질시험에 사용됩니다. 당연히 시멘트의 질량비가 높을 것이고, 질량비는 9:1입니다. [해설작성자 : 콘콘]
실리카 퓸의 품질시험에서 사용되는 모르타르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실리카 퓸을 질량비 9:1로 하여 제작한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1.
혼화재료와 그 성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감수제 - 단위수량 감소
2.
AE제 - 워커빌리티 개선
3.
방청제 - 콘크리트 부식 방지
4.
발포제 - 부재의 경량화 및 단열성 향상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방청제 - 철근의 부식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청제는 철근 콘크리트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속의 강재의 방청을 목적으로 하는 혼화제이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2.
콘크리트의 배합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압축강도 보다 크게 정하여야 한다.
2.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4회 일 경우 표준편차의 보정 계수는 1.04이다.
3.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9회 이하이고 15회 이상인 경우 그것으로 계산한 표준편차에 보정 계수를 곱한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할 수 있다.
4.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25회 이상의 시험 실적으로부터 결정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이상의 시험실적으로 결정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좋은 품질의 플라이 애시를 적절하게 사용한 콘크리트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알칼리골재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다.
2.
포졸란 반응으로 수화반응속도를 향상시킨다.
3.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수밀성이나 화학적 침식에 대한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포졸란 반응으로 수화반응속도를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별찬]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초기강도는 작으나 포졸란 반응에 의해 장기강도 발현성이 좋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4.
분말도(fineness)가 큰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풍화하기 쉽다.
2.
건조수축이 작아진다.
3.
수화가 빨리 진행된다.
4.
워커블한 콘크리트가 얻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건조수축이 증가 [해설작성자 : 별찬]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색이 밝게 되며 비중도 가벼워진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5.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품질시험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길이 변화비(%)
2.
휨강도의 비(%)
3.
블리딩양의 비(%)
4.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 (상대 동탄성 계수%)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감수율 블리딩 양의 비 길이 변화비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한성 (상대 동탄성 계수 %) [해설작성자 : 장명호]
휨강도 비가 아니라 압축강도비 [해설작성자 : 콘콘]
감수율, 블리딩량의 비, 길이 변화비,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상대 동탄성 계수) 경시 변화량(슬럼프, 공기량)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6.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시멘트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재료는?
1.
석고
2.
슬래그
3.
실리카(SiO2)
4.
산화마그네슘 (MgO)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시멘트에 석고 3%정도 첨가하는 이유는 급격한 응결을 방지하기 위함 [해설작성자 : 별찬]
시멘트의 응결 지연제인 석고를 2~3% 정도 첨가한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7.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1/4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거푸집 양 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의 1/5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
구조물의 단면이 큰 경우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를 표준으로 한다.
4.
개별 철근, 다발철근,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 의 3/4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슬래브두께의 1/3 [해설작성자 : 윤희섭]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다음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한다. 거푸집 양측 사이 최소거리의 1/5 슬래브 두께의 1/3 개별철근, 다발철근,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의 3/4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일반적인 경우 : 20 또는 25 단면이 큰 경우 : 40 무근 콘크리트 : 40 (부재 최소치수의 1/4를 초과해서는 안됨) [해설작성자 : 콘콘]
1.슬래브 두께의 1/3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거푸집 양 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를 1/5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구조물의 단면이 큰 경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을 표준으로 한다. 4.개별철근, 다발철근,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의 3/4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8.
시멘트 관련 KS 규격 에 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 은?
1.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수화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 저 C2S량을 규정하고 있다.
2.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황산염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C3A량을 규정하고 있다.
3.
고로 슬래그 시멘트에서는 잠재수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염기도의 최소값을 규정하고 있다.
4.
고로 슬래그 시멘트에서는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알칼리량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최소 알칼리를 규제중 [해설작성자 : 욘제이]
고로 슬래그 시멘트에서는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소 알칼리량을 규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공병작전]
19.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율 보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갈을 사용할 경우 잔골재율은 2∼ 3만큼 크게 한다.
2.
공기량이 1%만큼 클 때마다 잔골재율은 0.5∼ 1.0만큼 크게 한다.
3.
물 - 결합재비가 0.05만큼 작을 때마다 잔골재율은 1만큼 작게 한다.
4.
잔골재의 조립률이 0.1만큼 작을 때마다 잔골재율은 0.5만큼 크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자갈을 사용항 경우 잔골재울은 3~5만큼 작게 한다 2. 공기량이 1%만큼 클때마마다 잔골재율은 0.5~1.0만큼 작게 한다 3. 잔골재의 조립률이 0.1만큼 작을 때마다 잔골재율은 0.5만큼 작게 한다 [해설작성자 : 윤희섭]
20.
절대 건조 상태에서 350 g, 표면 건조 포화 상태에서 364 g, 습윤 상태에서 360g인 잔골재 시료의 흡수율은?
최초로 기록한 시각에서부터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서 스며 나온 물을 빨아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상태를 알기위한 시험 [해설작성자 : 별찬]
36.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중재하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크게 나타난다.
2.
물 - 시멘트비가 일정한 콘크리트에서 공기량이 증가하면 강도가 감소한다.
3.
원주형 공시체의 높이 H와 지름 D의 비인 H/D가 커질수록 압축강도는 크게 된다.
4.
일반적으로는 양생온도가 4∼ 40℃의 범위에 있어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재령 28일의 강도는 커 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공시체 높이와 지름(H/D)의 비가 작을수록, 높이가 낮을수록 압축강도는 크게된다. [해설작성자 : 별찬]
37.
품질의 목표를 정하고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행하는 모든 활동은?
1.
인력관리
2.
자재관리
3.
품질관리
4.
현장관리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품질관리 작업의 결과에 대하여 소정의 목표가 달성되도록 검토하고, 시행방법을 수정하여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있다. [해설작성자 : 꾸벅]
38.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강알칼리성을 띄고 있으나,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접촉하여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은?
1.
염해
2.
탄산화
3.
알칼리ㆍ실리카 반응
4.
알칼리ㆍ탄산염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콘크리트 내 수산화칼슘과 공기중의 탄산가스가 만나 탄산칼슘을 형성하며 콘크리트가 약알카리로 변하는 현상을 탄산화라고 한다. <탄산화 과정> 탄산가스 침투-철근팽창-탄산화균열-콘크리트 박리,박락 [해설작성자 : 꾸벅]
39.
일반 콘크리트에 사용할 수 있는 부순 굵은 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규정 값을 표기한 것 중 틀린 것은?
1.
마모율 - 30% 이하
2.
안정성 - 12% 이하
3.
흡수율 - 3.0% 이 하
4.
절대 건조 밀도 - 2.50 g/m3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마모율 40%이하 [해설작성자 : 윤희섭]
40.
재하시험에 의한 구조물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 경우
2.
공사 중 구조물의 안전에 어떠한 근거 있는 의심이 생긴 경우
3.
공사 중에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
4.
공사 중 현장에서 취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 결과로부터 판단하여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재하시험에 의해서 구조물 설능 시험을 할 경우 2. 공사 중 구조물의 안전에 어떠한 근거 있는 의심이 생긴 경우 3. 공사 중에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 4. 공사 중 현장에서 취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 결과로부터 판단하여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김민수]
3과목 : 콘크리트의 시공
41.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골재의 조립률은 1.4∼ 2.2 범위로 한다.
2.
굵은 골재의 최소 치수는 1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최소 치수의 2∼ 4배 정도로 한다.
4.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와의 차이를 크게 하면 주입모르타르의 소요량이 많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최대,최소 치수 차이를 적게 하면 굵은골의 실적률은 적어지고 주입 모르타르의 량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김민수]
42.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
1.
VC값
2.
슬럼프 값
3.
RI 시험값
4.
다짐계수 값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VC 값]롤러다짐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는 VC시험으로 20초 +-10초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Kingfly]
43.
유사한 시공사례가 있거나 반발률과 분진농도의 관계가 분명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숏크리트의 뿜어붙이기 성능은 분진농도와 숏크리트의 초기 강도로 설정 할 수 있다. 재령 24시간일 때 숏크리트의 초기강도 표준값으로 옳은 것은?
고온ㆍ고압의 증기솥 속에서 상압보다 높은 압력과 고온의 수증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양생 은?
1.
증기 양생
2.
촉진 양생
3.
피막 양생
4.
오토클레이브 양생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고온·고압의 가마 속에 콘크리트를 넣어 콘크리트 치기가 끝난 다음 온도·하중·충격·오손·파손 따위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양생하는 일 주로 콘크리트 말뚝 같은 제품에 쓴다. 온도는 150~200℃, 압력은 5~15kg/cm2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꾸벅]
45.
신축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축이음은 균열의 제어를 목적으로 설치한다.
2.
신축이음에는 필요에 따라 이음재,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
3.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부나 홈을 두든가 전단 연결재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해당구역에 균열을 집중유발할 목적으로 설치 [해설작성자 : 환]
신축이음은 주로 온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팽창과 수축을 흡수하여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 수축줄눈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온도 변화나 건조 수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유도하여, 원치 않는 곳에서 무작위로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확보
46.
양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도중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제거한 후 타설 하여야 한다.
2.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기 위해서 한 구획 내에서 표면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3.
콘크리트의 수분을 거푸집이 홉수할 수 있으므로 흡수의 우려가 있는 부분은 미리 습하게 해두어야 한다.
4.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원칙적으로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한 후 상층의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층이상 나누어 타설할 경우 하층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상층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이음, 조인트가 발생하면 않된다 [해설작성자 : 별찬]
47.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골재의 입도는 KS F 2527의 표준 입도를 만족해야 한다.
2.
단위 용적 질량은 제시된 값에서 20% 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인공ㆍ천연 경량 잔골재의 경우 1120 kg/m3 이하의 최대 단위 용적 질량을 가져야 한다.
4.
경량골재는 함수율이 일정 하도록 저장하여야 하며, 저장 장소는 빗물이 들어가지 않고 물이 잘 빠지며 햇빛이 들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경량골재 콘크리트 단위용적질량은 제시된 값에서 10%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경량골재 콘크리트 단위용적질량은 제시된 값에서 ±10%미만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냥냥]
48.
일반적으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지기 방법은?
1.
압출성형
2.
가압다지기
3.
내부진동기
4.
원심력다지기
정답 : [
3
] 정답률 : 65%
49.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 시 이음에 대한 일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밀을 요하는 콘크리트에 있어서는 소요의 수밀성이 얻어지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시공이 음부를 두어야 한다.
2.
시공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전단력이 작은 위치에 설치하고,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외부의 염분에 의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해양 및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있어서는 시공이음부를 되도록 두지 않는다.
4.
부득이 전단이 큰 위치에 시공이음을 설치할 경우에는 시공이음에 장부 또는 홈을 두거나 적 절한 강재를 배치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공이음은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별찬]
전단력이 큰 위치, 압축력 수직 [해설작성자 : june]
1. 수밀을 요하는 콘크리트에 있어서는 소요의 수밀성이 얻어지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시공이음부를 두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시공이음은 될수 있는 대로 전단력이 작은 위치에 설치하고,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원칙
50.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현장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섬유 혼입률에 대한 품질 검사 중 강섬유 혼입률의 판정 기준은 허용오차 ±0.5%이다.
2.
강섬유 혼입률에 대한 품질 검사 중 강섬유 혼입률(숏크리트)의 판정 기준은 허용오차 ±0.5%이다.
3.
휨강도 및 인성에 대한 품질 검사 중 압축인성의 판정 기준은 설계할 때에 고려된 압축인성 값에 미달할 확률이 10% 이하이다.
4.
훰강도 및 인성에 대한 품질 검사 중 훰강도 및 휨인성계수의 판정 기준은 설계할 때에 고려된 훰 인성지수 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설계시에 고려된 휨강도 및 압축인성계수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별찬]
51.
공장 제품 콘크리트 시방 배합 설계에서 단위 수량이 166 kg/m3, 물 - 시 멘트비가 39.4%이 고, 시멘트 비중이 3.15, 공기량을 1.0%로 하는 경우 골재의 절대용적은?
기초판 윗면부터 하부철근까지 깊이는 직접기초의 경우는 150 mm 이상, 말뚝기초의 경우는 300 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기초판의 밑면적은 기초판에 의해 지반에 전달되는 힘과 훰모멘트, 그리고 치반의 허용지지력을 사용하여 산정하여야 하며, 이때 힘과 훰모멘트는 하중계수를 곱한 계수하중을 적용하여야 한다.
4.
기초판에서 훰 모멘트, 전단력 그리고 철근정 착에 대한 위험 단면의 위치를 정할 경우, 원형 또는 정다각형 인 콘크리트 기둥이나 주각은 같은 면적의 정사각형 부재로 취급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기초판의 밑면적, 말뚝의 개수와 배열은 기초판에 의해 지반 또는 말뚝에 전달되는 힘과 휨모멘트, 그리고 토질역학의 원리에 의하여 계산된 지반 또는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사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이때 힘과 휨모멘트는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사용하중을 적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67.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 콘크리트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고강도 콘크리트 및 고장력 강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일반적인 과대하중을 받은 후의 잔류 변형이 적다.
3.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보 단면을 적게 할 수 있고 장경간 제조에 적당하다.
4.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및 건조수축에 의해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해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68.
보통 중량 콘크리트와 설계기준항복강도 fy=350MPa 철근을 사용한 지간이 8m의 단순지지 보가 있다. 이 보에 대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최소두께는?
1.
372mm
2.
400mm
3.
465mm
4.
500mm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단순보 L/16 fy=400Mpa가 아닐 경우는 이식을 추가 ;(0.43+fy/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