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고구려 > 고려 > 조선세종 > 조선세조 (궁원) (내원서) (상림원) (장원서)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7.
중국의 사자림에는 「견산루(見山樓)」의 편액을 볼 수 있는데, 그 이름은 다음 중 누구의 문장에서 나왔는가?
1.
왕희지(王羲之)
2.
주돈이(周敦頤)
3.
도연명(陶淵明)
4.
황정견(黃庭堅)
정답 : [
3
] 정답률 : 67%
8.
서양의 중세 수도원 정원에 나타난 사항이 아닌 것은?
1.
채소원
2.
약초원
3.
과수원
4.
자수원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자수원은 조선시대의 비구니사찰이다. [해설작성자 : 해피조경]
9.
이집트인은 종교관에 따라 거대한 예배신전이나 장제 신전을 건설하고, 그 주위에 신원(神苑)을 설치하였다. 그 중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것으로 대표적인 조경유적이 있는 신전은?
1.
Thutmois 3세의 신전
2.
Menes왕의 장제신전
3.
Amenophis 3세의 장제신전
4.
Hatshepsut여왕의 장제신전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델 엘바하리 신전 - 가장 오래된 조경유적 - 핫셉수트 여왕의 장제신전 - 태양신 아몬 신전 - 건축가 센누트가 설계 - 향목을 수입하여 식재 - 인공과 자연의 조화 - 수평축에 의한 공간 구성 - 주랑 건축 전면에 파진 식재용 돌구멍 [해설작성자 : 요거 잘 나옴]
10.
정약용이 조성한 다산초당(茶山草堂)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중도형 방지이다.
2.
풍수지리설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화계수법의 정원이다.
3.
유교사상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중도형의 방지이다.
4.
임전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화계수법의 정원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11.
질 클레망이 자연, 운동, 건축, 기교의 원리로 개조한 것은?
1.
시트로엥 공원
2.
라빌레뜨 공원
3.
발비 공원
4.
루소 공원
정답 : [
1
] 정답률 : 68%
12.
고구려의 안학궁원(安鶴宮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구문은 동쪽과 서쪽에 설치되어 있었다.
2.
궁의 북서쪽 모서리에 태자궁이 있었다.
3.
정원 터는 서문과 외전 사이와 북문과 침전 사이에 있었다.
4.
가장 큰 규모의 정원 터는 동문과 내전 사이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안학궁원의 수구문은 북쪽과 남쪽에 설치되어있다. 2. 궁의 북동쪽 모서리에 태자궁이 있었다. 3. 가장 큰 규모의 정원 터는 서문과 외전(남궁) 사이이다. [해설작성자 : 조경학과 곽도영]
13.
정자에 만들어진 방의 형태가 “중심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쇄원 광풍각
2.
담양 명옥헌
3.
예천 초간정
4.
화순 임대정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예천 초간정 - 편심형 [해설작성자 : 해찬이짱]
14.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센트럴 파크(Central Park)의 설계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연경관의 뷰(View) 및 비스타(Vista)
2.
정형적인 몰(Mall) 및 대로
3.
입체적 동선 체계
4.
넓은 커낼(Grand Canal)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센트럴파크 설계안-그린스워드 안의 특징 1. 입체적 동선체계 2. 차음, 차폐를 위한 외주부 식재(주변 식재) 3.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view및 vista 조성 4. 드라이브 코스 설정 :건강, 위락, 운동 5. 전형적인 산책용 몰과 대로 : 산책, 대담, 만남 6. 넓고 쾌적한 마차 드라이브 코스 7. 산책로 8. 넓은 평탄한 평지의 잘 가꾸어진 잔디밭 : 퍼레이드를 위한 장소 9. 동적 놀이를 위한 경기장(운동장) 10. 보트 타기와 스케이팅을 위한 넓은 호수 11. 교육적 효과를 위한 화단과 수목원 [해설작성자 : kwonheedhi]
15.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권씨가의 청암정 지완(靑巖亭池園)에서 볼 수 있는 못의 형태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82%
16.
다음 서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무성서원은 최초의 가사문학 「상춘곡」이 저술된 곳이다.
2.
도동서원은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은 서원 중 하나이다.
3.
도산서원에는 절우사 축조 후 매, 죽, 송, 국이 식재되었다.
4.
병산서원의 광영지(光影池)는 자연석 지안에 방지방도형의 연못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광영지는 선비들이 마음을 닦고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한 '서원 속의 정원'이다. 네모난 연못 가운데 둥근 섬이 있는데, 이러한 한국 전통 연못의 모습을 천원지방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와이지]
17.
네덜란드 르네상스의 정원과 관련된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것은?
1.
커 낼
2.
캐스케이드
3.
폭 포
4.
창살울타리
정답 : [
1
] 정답률 : 79%
18.
일본 침전조 정원 양식과 관련된 저서는?
1.
해유복
2.
송고집
3.
작정기
4.
벽암록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작정기: 헤이안(평안) 시대 때 귤준강이 일본 최초로 정원 축조(침전조 양식)에 관한 비전서를 적었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떡잎]
19.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의 조경 발달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6세기 건축가 브라망테(Bramante)가 설계한 벨베데레(Belvedare)원은 이탈리아 빌라를 건축적 노단 양식으로 만든 계기가 된다.
2.
16세기에는 메디치가가 가장 번성하여 플로렌스는 후기 르네상스의 중심지가 되었다.
3.
15세기 중서부 터스카니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초기 르네상스의 발라들은 원근법, 수학적 단계 등을 중요시하였고, 미켈로지(M.Michelozzi)는 당대의 대표적 조경가이다.
4.
소 필리니(Pliny the Younger)의 빌라에 대한 연구, 비트리비우스의 「De Architecture」 등이 빌라 조경에 영향을 주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초기 르네상스 - 피렌체 중심 중기 르네상스 - 로마 중심 후기 르네상스 - 베네치아 중심 [해설작성자 : 동국대조경학과 ]
2. 메디치가 - 15세기 [해설작성자 : kwonheedhi]
20.
다음 중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정원으로서 10개의 노단(Ten Terraces)으로 이루어진 바로크식 정원은?
1.
Villa Lante
2.
Isola Bella
3.
Villa Farnese
4.
Villa Petraia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Villa Lante - 4개의 노단 3. Villa Farnese - 4개의 노단 [해설작성자 : kwonheedhi]
1번 빌라 란테(랑테), 3번 빌라 페르네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중기 정원이다 [해설작성자 : muu]
2과목 : 조경계획
21.
다음 조경 접근방법 중 이용자들이 공유하는 경험과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1.
기호학적 접근
2.
미학적 접근
3.
환경심리적 접근
4.
현상학적 접근
정답 : [
4
] 정답률 : 65%
22.
다음 중 미기후(Microclimate)가 가장 안정된 상태는?
1.
지표면의 알베도가 낮고, 전도율이 낮은 경우
2.
지표면의 알베도가 낮고, 전도율이 높은 경우
3.
지표면의 알베도가 높고, 전도율이 높은 경우
4.
지표면의 알베도가 높고, 전도율이 낮은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9%
23.
공원관리청이 공원구역 중 일정한 지역을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일정 기간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제한하거나, 일정한 지역을 탐방예약구간으로 지정하여 탐방객 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 자연공원의 보호를 위한 경우
2.
인위적인 요인으로 훼손되어 자연회복이 불가능한 경우
3.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의 안전을 위한 경우
4.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제28조(출입 금지 등) ① 공원관리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원구역 중 일정한 지역을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 또는 임시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하여 일정 기간 사람의 출입 또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ㆍ제한하거나, 일정한 지역을 탐방예약구간으로 지정하여 탐방객 수를 제한할 수 있다. <개정 2011. 4. 5., 2017. 4. 18., 2020. 5. 26.> 1.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 자연공원의 보호를 위한 경우 2.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훼손된 자연의 회복을 위한 경우 3.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의 안전을 위한 경우 4.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5. 그 밖에 공원관리청이 공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영남대 조경]
24.
조경계획에서 환경심리학적 접근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2.
공원 이용자의 수를 추정하여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연구
3.
공원에 있어서 이용자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4.
주민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계획에 반영하는 연구
정답 : [
2
] 정답률 : 61%
2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계획은?
1.
공원기본계획
2.
공원조성계획
3.
공원녹지기본계획
4.
공원별 보전⋅관리계획
정답 : [
1
] 정답률 : 74%
26.
문화재로서 해당 문화재가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며, 기타의 조건을 만족할 때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사적(국가지정문화재)으로 지정될 수 없는 유형은?
1.
사당 등의 제사⋅장례에 관한 유적
2.
우물 등의 산업⋅교통⋅주거생활에 관한 유적
3.
서원 등의 교육⋅의료⋅종교에 관한 유적
4.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 자연의 미관적으로 현저한 가치를 갖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사적으로 지정되는 유형 선사유적 및. 고분 , 제사와 신앙에 관한 유적, 전쟁에 관한 유적, 산업/교통/토목 관계된 유적 ,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 [해설작성자 : 티오박살]
27.
정밀토양도에서 토양의 명칭을 “Mn C2”라고 명명하였을 경우 '2'가 의미하는 것은?
1.
침식정도
2.
경사도
3.
비옥도
4.
배수정도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토양부호표기법(토양상)> Mn - 토양통 : 토양통 및 토성(토양구) 표시 C - 경사도 : A(0~2%) ... C(7~15%) ... F(60~100%) 2 - 침식정도 : 1(침식이 없거나 적음), 2(침식이 있음), 3(침시이 심함), 4(침식이 매우 심함) [해설작성자 : 숲사랑]
28.
래드번(Radburn) 택지계획의 개념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차도와 보도의 분리
2.
개발제한구역(Green Belt) 지정
3.
자동차 전용 도로망을 최초로 도입
4.
고밀도 주거지와 그 사이 넓은 녹지공간의 조화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레드번 계획은 슈퍼블록을 도입해 도로를 기능과 등급에 따라 체계화했다 차도와 보도를 분리하고 집합적인 정원을 구성했으며 쿨데삭을 중심으로 거주자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확보했다 또한 근린주구 시설을 같은 보도로 연결시켜 전체단지의 골격을 형성했다 [해설작성자 : 티오박살]
29.
근린공원 계획 시에는 근린공원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음 중 근린공원의 개념 정의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일상 생활권 내에 거주하는 시민을 위한 공원
2.
연령, 성별 구분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공원
3.
주민의 규모, 구성 및 행태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여 조성될 수 있는 공원
4.
도보접근 내에 있는 여러 계층의 주민들에게 필요한 시설과 환경을 갖춰주는 공원
정답 : [
4
] 정답률 : 85%
30.
다음 사후환경영향조사의 대상사업 중 조사 기간이 다른 것은?
1.
도시의 개발사업 부문의 주택건설사업 및 대지조성사업
2.
도시의 개발사업 부문의 마을정비구역의 조성사업
3.
항만의 건설사업 부문의 항만재개발사업
4.
공항의 건설사업 부문의 비행장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2,3번은 준공후 3년 4번은 준공후 5년 [해설작성자 : 기술사꿈나무]
31.
다음 중 조경과 관련한 타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건축은 주로 환경 속에 실체로 나타난 건물의 계획이나 설계에 관련된 분야이다.
2.
토목은 주로 도로, 교량, 지형변화, 댐, 상하수설비 등의 설계와 공법에 관심이 있다.
3.
도시계획은 도시 혹은 어느 대단위지역에 관한 사회적, 물리적 계획에 관련한다.
4.
도시설계는 자연과 도시의 조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자연생태계의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32.
제1종 지구단위계획으로 차 없는거리(보행자 전용 도로를 지정, 차량의 출입을 금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장법」 규정에 의한 주차장 설치기준을 얼마까지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가?
1.
100%
2.
105%
3.
110%
4.
120%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목적이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주차장법"규정에 의한 주차장 설치 기준을 100%까지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음 1. 한옥마을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 2.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지구단위계획으로 보행자전용도로를 지정하거나 차량의 출입을 금지한 경우를 포함) 3. 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kwonheedhi]
33.
근린생활권근린공원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단,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
1.
유치거리는 500m 이하
2.
1개소의 면적은 1,500m2 이상
3.
공원시설 부지면적은 전체의 60% 이하
4.
하나의 도시지역을 초과하는 광역적인 이용에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근린공원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정의 : 주로 인근에 거주하는 자의 이용에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근린공원 설치기준 : 없음 유치거리 : 500m 이하 규모 : 1만제곱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숲사랑]
1. 유치거리 500m 이하 2. 규모 1만m2 이상 3. 공원시설 부지면적 100분의 40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옥상정원 계획 시 건물, 주변현황 이용측면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그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지반의 구조 및 강도가 흙을 놓고 수목식재 및 야외조각물 설치에 견딜 정도가 되어야 한다.
2.
수목의 생육상 관수를 해야 하므로 구조체가 우수한 방수성능과 배수 계통도 양호해야 한다.
3.
측면에 담장, 차폐식재로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녹음수, 정자, 퍼골라 등을 설치하여 위로부터의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
4.
수종 선정이나 부재 선정에 있어서 미기후의 변화에 대응해야 하며, 교목식재는 40cm 정도의 최소유효토심을 확보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교목식재는 45cm 정도의 최소유효토심을 확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야야야]
교목토심은 60cm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시설물 배치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기능이 공존하는 경우, 유사기능의 구조물들은 모아서 집단별로 배치한다.
2.
다른 시설물들과 인접할 경우, 구조물들로 형성되는 옥외공간의 구성에 유의해야 한다.
3.
구조물의 평면이 장방형일 때는 긴 변이 등고선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다.
4.
시설물이 랜드마크적 성격을 갖고 있지 않다면,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형태, 색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Mitsch와 Gosselink가 제시한 습지생태계 복원을 위한 일반적인 원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지 주변에 완충지대를 배치하라
2.
범람, 가뭄, 폭풍 등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변에 제방을 계획하라
3.
식물, 동물, 미생물, 토양, 물은 스스로 분포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계획하라
4.
적어도 하나의 주목표와 여러 개의 부수적 목표를 설정하라
정답 : [
2
] 정답률 : 68%
37.
체계화된 공원녹지의 기본 목적이 아닌 것은?
1.
접근성과 개방성의 증대
2.
경제성과 효율성 증대
3.
포괄성과 연속성의 증대
4.
상징성과 식별성의 증대
정답 : [
2
] 정답률 : 75%
38.
다음 중 공장조경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효율적인 공간구성
2.
쾌적한 환경 조성
3.
부가적인 효과 창출
4.
신기술 적용
정답 : [
4
] 정답률 : 83%
39.
연결녹지를 설치할 때 고려하여야 할 기준이나 기능이 틀린 것은? (단,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
1.
산책 및 휴식을 위한 소규모 가로(街路)공원이 되도록 할 것
2.
비교적 규모가 큰 숲으로 이어지거나 하천을 따라 조성되는 상징적인 녹지축 혹은 생태통로가 되도록 할 것
3.
도시 내 주요 공원 및 녹지는 주거지역⋅상업지역⋅학교 그 밖에 공공시설과 연결하는 망이 형성되도록 할 것
4.
녹지율(도시⋅군계획시설 면적분의 녹지면적을 말한다)은 60% 이하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녹지공간과 일상생활의 동선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ㆍ관리하는 연결녹지는 다음 각 목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설치ㆍ관리하여야 한다.
가. 연결녹지는 다음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치할 것
(1) 비교적 규모가 큰 숲으로 이어지거나 하천을 따라 조성되는 상징적인 녹지축 혹은 생태통로가 되도록 할 것
(2) 도시 내 주요 공원 및 녹지는 주거지역ㆍ상업지역ㆍ학교 그 밖에 공공시설과 연결하는 망이 형성되도록 할 것
(3) 산책 및 휴식을 위한 소규모 가로(街路)공원이 되도록 할 것
나. 연결녹지의 폭은 녹지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최소 10미터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연결녹지가 하천을 따라 조성되는 구간인 경우 또는 다른 도시ㆍ군계획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등 녹지의 단절을 피하기 위하여 지형여건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녹지의 기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도시공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0미터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다. 녹지율(도시ㆍ군계획시설 면적분의 녹지면적을 말한다)은 70퍼센트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숲사랑]
40.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효용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시개발의 조절
2.
도시환경의 질 개선
3.
시민생활의 질 개선
4.
개발 유보지의 조절
정답 : [
4
] 정답률 : 75%
3과목 : 조경설계
41.
다음 중 파노라믹 경관(Panoramic Landscape)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림이나 계곡이 보이는 자연경관
2.
원거리의 물체들을 시선이 가로막는 장해물 없이 조망할 수 있는 경관
3.
아침 안개 또는 저녁노을과 같이 기상조건에 따라 단시간 동안만 나타나는 경관
4.
원거리의 물체들이 가까이 접근해 있는 물체의 일부에 가려 액자(額子)에 넣어진 듯 보이는 경관
선을 그을 때는 심을 자의 아랫변에 꼭 대고 연필을 오른쪽으로 30~40° 뉘어 사용한다.
3.
연필심이 고르게 묻도록 연필을 돌리면서 빠르고 강하게 단번에 긋는다.
4.
사선은 삼각자의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눈금자, 삼각자 등은 왼쪽에 가깝게 놓는다. [해설작성자 : 홀리몰리과콰몰리]
45.
다음 설명 중 ( )에 알맞은 것은?
1.
0.6
2.
0.9
3.
1.2
4.
1.5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자전거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1.5m이상. 부득이한 경우 1.2m [해설작성자 : 김기사가되..]
46.
분광반사율의 분포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색자극이 광원의 종류와 관찰자 등의 관찰조건을 일정하게 할 때에만 같은 색으로 보이는 경우는?
1.
연색성
2.
발광성
3.
조건등색
4.
색각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74%
47.
설계과정에서 기본구상이 이루어진 다음 구체적인 세부설계에 도달하는데 이때 현실의 제약 조건 때문에 기본구상과 계획이 또 다시 재검토되고 수정되면서 원래의 구상이 점차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상계획
2.
실시계획
3.
계획의 평가
4.
설계에서의 환류(Feedback)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환류(feedback):목표와 어긋날 시 앞 단계로 돌아와서 계획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조경설계기준상의 보행등의 배치 및 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로⋅계단⋅구석진 길⋅출입구⋅장식벽에 설치한다.
2.
보행등 1회로는 보행등 10개 이하로 구성하고, 보행등의 공용접지는 5기 이하로 한다.
3.
보행인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는 밝기를 확보하며, 보행로의 경우 3lx 이상의 밝기를 적용한다.
4.
배치간격은 설치높이의 8배 이하 거리로 하되, 등주의 높이와 연출할 공간의 분위기를 고려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배치간격 : 설치높이의 5배 이하 - 보행로 경계에서 50cm정도에 배치 - 보행공간만 비추고자 할 경우 포장면 속이나 등주의 높이 50~100cm 적용 [해설작성자 : 숲사랑]
49.
다음 중 3차원적인(입체적인) 그림이 아닌 것은?
1.
입단면도
2.
1소점투시도
3.
엑소노메트릭
4.
아이소메트릭
정답 : [
1
] 정답률 : 72%
50.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부대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안내표지판
2.
주민공동시설
3.
근린생활시설
4.
유치원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별표1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의 설치기준에 명시된 부대시설은 관리사무소, 주민공동시설, 근린생활시설, 유치원 문제를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고칠 때 안내표지판이 정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4장 부대시설 제 25조 진입도로, 제26조 주택단지 안의 도로, 제27조 주차장, 제28조 관리사무소 등, 제 30조 수해방지 등, 제 31조 안내표지판 등 ...으로 안내표지판이 부대시설에 해당하며, 별표 1번은 삭제된 조항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25.1.21 시행된 법령에 따르면 근린생활시설, 유치원, 주민공동시설은 복리시설에 해당하므로 정답 1번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헷갈려서찾아봄]
51.
다음 중 시각적 밸런스(Balance)를 결정짓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채
2.
통일
3.
질감
4.
형태의 크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시각적 밸런스(Balance)를 결정짓는 요소에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다음 중에서 시각적 밸런스를 결정짓는 요소가 아닌 것은 다음 중 하나입니다:
- 색채: 색채는 시각적 밸런스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색상의 사용과 조합은 작품이나 디자인의 밸런스를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 통일 (통일성): 통일성은 시각적 밸런스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소들이 조화롭게 결합되고 일관성을 유지하면 밸런스가 유지됩니다. - 질감: 질감은 시각적 밸런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양한 질감을 사용하면 시각적 다양성과 흥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 형태의 크기: 형태의 크기 또한 시각적 밸런스를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크기의 형태를 조합하여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옵션 중에서 시각적 밸런스를 결정짓는 요소가 아닌 것은 없습니다. 모든 옵션은 시각적 밸런스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조경설계기준상의 수경시설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경시설은 적설, 동결, 바람 등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
물놀이를 전제로 한 수변공간(도섭지 등)시설의 1일 용수 순환 횟수는 2회를 기준으로 한다.
3.
장애물이 없는 개수로의 유량산출은 프란시스의 공식, 바진의 공식을 적용한다.
4.
분수의 경우 수조의 너비는 분수 높이의 2배,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은 분수 높이의 4배를 기준으로 한다.
<문제 해설> 비 중은 생물군집의 특성 중 하나로서, 생물군집 내에서 각 종의 개체 수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 중은 생물군집의 구조와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른 옵션들은 생물군집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생물종 보호를 위한 자연보호지구 설계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형포유동물의 종 보전을 위해서는, 면적이 큰 녹지공간이 작은 것보다 효과적이다.
2.
여러 개의 녹지공간이 있을 경우, 원형으로 모여 있는 것보다 직선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종의 재정착에 용이하다.
3.
서로 떨어진 녹지공간 사이에 종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 경우, 종의 이입 증가와 멸종의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인접한 녹지공간이 서로 가까울수록 종 보전에 효과가 높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녹지공간은 직선적인것은 좋지 않다 중간에 끊어지면 통로의 역할을 못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식재 설계의 물리적 요소인 질감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거친 텍스처에서 부드러운 텍스처로 점진적인 사용은 흥미로운 식재구성을 할 수 있다.
2.
가장자리에 결각이 많은 수종은 그렇지 않는 것보다 거친 질감을 나타낸다.
3.
식재를 보는 사람의 눈은 거친 곳에서 가장 고운곳으로 이동되도록 해야 한다.
4.
중간지점이나 모퉁이는 제일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수목을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64.
다음 특징에 해당되는 수종은?
1.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2.
피라칸다(Pyracantha angustifolia)
3.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4.
단풍나무(Acer palmatum)
정답 : [
2
] 정답률 : 66%
65.
하천의 공간별 녹화에 관한 설명과 식재하기에 적합한 수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하천 저수부는 평상시에는 유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수부와 저수로 사이의 하안평탄지 : 물억새, 꽃창포
2.
하천 둔치는 홍수 시 침수되는 공간이므로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식물의 식재가 좋음 : 갯버들, 찔레꽃
3.
제방사면부는 홍수 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목식재가 가능 : 조팝나무, 싸리류
4.
하안부는 물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으로 유속에 영향을 받음 : 갈대, 달뿌리풀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하천 식생 종단분포> 계류부: 저수부에는 달뿌리풀이 생육 상류부: 갯버들, 달뿌리풀, 물억새 등의 초본류 군락 형성 중상류부: 달뿌리풀, 고마리, 여뀌 등으로 상류보다 다양한 식물종이 존재 중하류부: 수변에는 갈대, 물억새 군락(정수식물역:하안선 중심으로 계절적 수위변동으로 인해 간헐적으로 물에 잠김) 하류부:갈대, 줄 등이 대규모 군락 형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물억새는 맞으나 꽃 창포는 틀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실내조경은 실외조경에 비해 많은 제약을 받는데, 다음 중 실내식물의 환경조건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선은 제일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광도, 광질, 광선의 공급시간 등에 대하여 검토해야 한다.
2.
온도는 식물의 생리적 과정에 작용하는데 아열대원산 식물의 생육최적온도는 20~25℃이다.
3.
물의 공급량은 빛의 공급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데, 큰 식물에는 자체 급수용기를 사용한다.
4.
식물에 있어서 최적습도는 70~90%이며, 상대습도 30% 이상이면 대부분의 식물은 적응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큰 식물 > 작은 식물
67.
다음 설명은 식재설계의 미적 요소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통일
2.
강조
3.
스케일
4.
균형
정답 : [
2
] 정답률 : 72%
68.
효과적인 교통통제를 위해 위요공간의 경우 수목의 어떤 특징을 중요시해야 하는가?
1.
폭
2.
높 이
3.
색 채
4.
질 감
정답 : [
2
] 정답률 : 72%
69.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의 특징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나자식물은 단일수정을 한다.
2.
은행나무는 나자식물에 속한다.
3.
종자가 자방 속에 감추어져 있는 식물을 피자식물이라 한다.
4.
초본류는 나자와 피자식물 모두에 들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나자식물(겉씨식물): 꽃이 피지 않고 밑씨에서 발달한 종자가 나출되는 식물군. 단일수정. Ex)은행나무, 소나무 피자식물(속씨식물): 대부분 종자식물 ex) 감나무,버드나무,벚나무,국화,벼,난초,백합 등 [해설작성자 : 냐냐]
인공지반의 식재 시 사용되는 토양의 보수성, 투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공적인 다공질 경량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토(Topsoil)
2.
피트모스(Peat Moss)
3.
펄라이트(Perlite)
4.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경량재로는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피트모스, 화산재 등이 있으며 표토는 지표흙이다. [해설작성자 : 상혁이이잉]
96.
재료의 역학적(力學的)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응력(應力, Stress)에 관한 정의는?
1.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外力)
2.
외력에 대하여 견디는 성질
3.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응하려는 내력(內力)의 크기
4.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할 때 저항하는 재료의 능력
정답 : [
3
] 정답률 : 60%
97.
콘크리트 타설 후의 재료 분리현상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AE제를 사용하면 억제할 수 있다.
2.
단위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 발생한다.
3.
물시멘트비를 크게 하면 억제할 수 있다.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지나치게 클 경우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물시멘트비가 크다 : w/c가 큼, 물이 많다. 분리억제(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배수(排水)의 지선망계통(枝線網系統)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
1.
우회곡절(迂廻曲折)을 피한다.
2.
배수상의 분수령을 중요시한다.
3.
경사가 급한 고개에는 구배가 급한 대관거를 매설하지 않는다.
4.
교통이 빈번한 가로나 지하 매설물이 많은 가로에는 대관거(大菅渠)를 매설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교통이 빈번한 가로나 지하 매설물이 많은 가로에는 대관거 매설 회피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어떤 부지 내 잔디지역의 면적 0.23ha(유출계수 0.25), 아스팔트포장 지역의 면적 0.15ha(유출계수 0.9)이며, 강우강도는 20mm/hr일 때 합리식을 이용한 총 우수유출량(m3/sec)은?
1.
0.0032
2.
0.0075
3.
0.0107
4.
0.017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합리식 Q = 1/360*C*I*A C 유출계수 I 강우강도 A 면적 지역이 여러 곳, 유출계수도 다르므로 평균유출계수 Cm을 구해야함 Cm = {(0.23*0.25)+(0.15*0.9)}/(0.23+0.15) = 0.5065789473.... C의 자리에 대입 Q = 1/360*0.5065789473...*20*(0.23+0.15)=0.010694444444... >>> 0.0107 [해설작성자 : EASY~]
공중습도가 높고 토양수분이 많을 때에 피해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1.
산성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산성토양에서도 활동이 강한 미생물은?
1.
세 균
2.
조 류
3.
방선균
4.
사상균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토양병해를 일으키는 곰팡이라고 불리는 사상균은 산성흙에 저항력이 강한 호기성균이다. ㅅㅅ토양에 저항력이 강한 ㅅㅅ균 [해설작성자 : 건국대 조경]
112.
탄소와 화합한 질소화합물로서 물에 녹아 비교적 빨리 비효를 나타내지만 그 자체로는 유해하며 함유하는 비료로는 석회질소가 대표적인 질소 형태는?
1.
요소태 질소
2.
질산태 질소
3.
암모니아태 질소
4.
시안아미드태 질소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시안아미드태 질소는 탄소와 화합한 질소 화합물로서 화학적으로 유기태에 속한다. 물에 잘 녹아서 비교적 빠른 시일 안에 변화되어 비효를 나타내지만 그 자체로는 식물에 유해하다. 토양 중에서는 요소로된 뒤 다시 탄산암모늄으로 변화되에 흡수한다. 사용할 때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시안아미드태 질소로는 석회질소가 대표적이다.
ㅅ안아미드태 질소 -> 비료로서 ㅅ회 질소가 대표적 [해설작성자 : 건국대 조경]
113.
식물 방제용 농약의 보관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2.
농약은 잠금장치가 있는 전용 보관함에 보관한다.
3.
사용하고 남은 농약은 다른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4.
농약 빈병과 농약 폐기물은 분리해서 처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114.
공원 관리업무 수행 시 도급방식 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리비가 싸다.
2.
임기응변적 조처가 가능하다.
3.
관리주체가 보유한 설비로는 불가능한 업무에 적합하다.
4.
전문적 지식, 기능을 가진 전문가를 통한 양질의 서비스를 기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는 직영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5.
낙엽수는 낙엽 후부터 다음해 새로운 눈이 싹트기 전, 상록수는 싹트기 시작하는 전후의 시기에 실시하는 전정은?
1.
동기전정
2.
기본전정
3.
솎음전정
4.
하기전정
정답 : [
1
] 정답률 : 65%
116.
참나무류에 발생하는 참나무시들음병의 병균을 매개하는 곤충은?
1.
참나무방패벌레
2.
참나무하늘소
3.
광릉긴나무좀
4.
갈참나무비단벌레
정답 : [
3
] 정답률 : 68%
117.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의 결정인자는 고정인자와 가변인자로 구분되는데 다음 중 고정적 결정인자가 아닌 것은?
1.
특정 활동에 필요한 사람의 수
2.
특정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정도
3.
특정 활동에 필요한 공간의 최소면적
4.
특정 활동에 의한 이용의 영향에 대한 회복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고정적 결정인자-공간 및 활동의 표준(이용자) •특정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정도 •특정활동에 필요한 사람의 수 •특정활동에 필요한 공간의 최소면적 가변적 결정인자-물리적 조건 °대상지의 성격 °대상지 크기와 형태 °대상지 이용의 영향에 대한 회복능력 [해설작성자 : MJ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