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속도에 적합하도록 프로그램 자료를 가지고 단독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안전교육 방법은?
1.
실연법
2.
모의법
3.
토의법
4.
프로그램 학습법
정답 : [
4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1.실연법 ☞ 이미 설명을 듣고 시범을 보아서 알게 된 지식이나 기능을 교사의 지도 아래 직접 연습을 통해 적용하는 교육법 2.모의법 ☞ 실제의 장면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비슷하게 만들어두고 교육하는 방법 3.토의법 ☞ 교육생들이 해당 교육주제에 대해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참여하는 방법으로 심포지엄, 포럼, 버즈세션, 패널 디스커버션, 사례연구의 종류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가비]
2.
헤드십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2.
권한행사는 임명된 헤드이다.
3.
구성원과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4.
상관과 부하와의 관계는 개인적인 영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헤드십의 특성 권한부여: 위에서 위임 권한귀속:공식화된 규정에 의함 상관과 부하의 관계: 지배적임 책임귀속: 상사 권한근거: 법적, 공식적
* 상관과 부하의 관계가 개인적인 영향인 것은 리더십의 특성임 [해설작성자 : 연습삼아]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정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에 사용되는 안전 ⸱ 보건표지의 색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5G 4/10
2.
5Y 8.5/12
3.
2.5PB 4/10
4.
7.5R 4/14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2.5G 4/10 - 녹색 안내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2. 5Y 8.5/12 - 노란색 경고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위험경고 이외의 위험경고, 주의표지 또는 기계방호물 4. 7.5R 4/14 - 빨간색 금지 정지, 소화설비 및 그 장소, 유해행위의 금지, 경고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위험경고 [해설작성자 : dadapapa]
인간관계의 메커니즘 중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은?
1.
공감
2.
모방
3.
동일화
4.
일체화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간관계의 메커니즘- 동일화 :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 투사 : 표출하는 것 커뮤니케이션 모방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같거나 가까운 행동 암시 : 무비판적으로 논리적, 사실적 근거 없이 받아들이는 것 [해설작성자 : 열심히해봅시다]
*혼동하기 쉬운 단어 비교* -동일화: 내면의 가치관과 태도를 수용하는 것 -모방: 외적인 행동을 따라하는 것 [해설작성자 : 닥터김]
5.
다음의 교육내용과 관련 있는 교육은?
1.
지식교육
2.
기능교육
3.
태도교육
4.
문제해결교육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 보건 교육의 3단계 1)제1단계(지식교육) : 강의, 시청각 교육을 통한 지식의 전달과 이해 - 안전의식을 향상 - 안전의 책임감을 주입 - 기능, 태도 교육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주입
2) 제2단계 (기능교육) : 교육대상자가 그것을 스스로 행하고, 개인의 반복적 시행 착오에 의해서만 얻어짐. - 전문적 기술 기능 - 안전 기술 기능 - 방호 장치 관리 기능 - 점검 검사 장비 기능
3) 3단계 (태도교육) : 생활지도, 작업 동작 지도 등을 통한 안전의 습관화 - 표준 작업 방법의 습관화 - 공구 보호구 취급과 관리 자세의 확립 - 작업 전후의 점검 검사요령의 정확한 습관화 - 안전 작업 지시 전달 확인 등 언어 태도의 습관화 및 정확화 [해설작성자 : 젊은직장인]
6.
데이비스(K.Davis)의 동기부여 이론에 관한 등식에서 그 관계가 틀린 것은?
1.
지식 x 기능 = 능력
2.
상황 x 능력 = 동기유발
3.
능력 x 동기유발 = 인간의 성과
4.
인간의 성과 x 물질의 성과 = 경영의 성과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상황 * 능력 = 동기유발 (x) → 상황 * 태도 = 동기유발 (o) [해설작성자 : 한문제차이]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호구 안전인증 대상 방독마스크의 유기화합물용 정화통 외부 측면 표시 색으로 옳은 것은?
1.
갈색
2.
녹색
3.
회색
4.
노랑색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갈색 : 유기화합물용 회색 : 할로겐,황화수소,시안화수소용 노란색 : 아황산용 녹색 : 암모니아용 [해설작성자 : 붙어보자]
8.
재해원인 분석기법의 하나인 특성요인도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뼈는 특성이 일어나는 요인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크게 분류하여 기입한다.
2.
등뼈는 원칙적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여 가는 화살표를 기입한다.
3.
특성의 결정은 무엇에 대한 특성요인도를 작성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기입한다.
4.
중뼈는 특성이 일어나는 큰뼈의 요인마다 다시 미세하게 원인을 결정하여 기입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좌측에서 우측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상희]
9.
TWI의 교육 내용 중 인간관계 관리방법 즉 부하 통솔법을 주로 다루는 것은?
1.
JST(Job Safety Training)
2.
JMT(Job Method Training)
3.
JRT(Job Relation Training)
4.
JIT(Job Instruction Training)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JST(Job Safety Training)= 작업 안전기법 2.JMT(Job Method Training)= 작업 방법기법 3.JRT(Job Relation Training)= 인간관계괸리기법 & 부하통솔법 4.JIT(Job Instruction Training)= 작업 지도기법 [해설작성자 : 과락통과]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재해코스트 분석 방법
2.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
3.
작업장 안전 및 보건관리
4.
안전 및 보건 관리조직과 그 직무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안전보건관리 규정의 세부내용 1. 총칙 2. 안전,보건 관리조직과 그 직무 3. 안전,보건 교육 4. 작업장 안전관리 5. 작업장 보건관리 6. 사고조사 및 대책수립 7. 위험성 평가에 관한 사항 8. 보칙 [해설작성자 : 쉽살재빙]
재해코스트 분석 방법은 보험과 관련된 추가 사항이지 필수적인 사항은 아님 [해설작성자 : 보라매옥기마스터]
11.
재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사목적에 무관한 조사는 피한다.
2.
조사는 현장을 정리한 후에 실시한다.
3.
목격자나 현장 책임자의 진술을 듣는다.
4.
조사자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조사는 현장보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쿠쿠루빙뽕]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경고표지의 기본모형(형태)이 다른 것은?
1.
고압전기 경고
2.
방사성물질 경고
3.
폭발성물질 경고
4.
매달린 물체 경고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전보건 표지 중 경고 표지는 "방사선물질 경고, 고압전기 경고, 매달린 물체 경고, 낙하물 경고, 고온 경고, 저온 경고, 몸균형 상실 경고, 레이저광선 경고, 위험장소 경고"가 있습니다. 이는 모두 노란색의 삼각형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3번 폭발성물질 경고는 마름모 모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3.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안전보건은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및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로 시작된다.
2.
안전보건을 추진하는 데에는 관리감독자들의 생산 활동 속에 안전보건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모든 재해는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파악⸱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야한다.
4.
안전보건은 각자 자신의 문제이며, 동시에 동료의 문제로서 직장의 팀 멤버와 협동 노력하여 자주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3 : 무재해 운동의 3원칙 내용임 [해설작성자 : 요아부]
무재해 운동의 3원칙
무(Zero)의 원칙 : 단순히 재해만 없으면 된다는 소극적 사고에서 잠재위험요인을 사전 발견하여 해결함으로써 근원적 산업재해를 없앤다는 개념 참가의 원칙 : 모두가 참여의식을 가지고 의욕을 가지고 문제나 위험을 해결하는 것 선취의 원칙 :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하여 해결함으로써 재해를 미리 예방하는 것
무재해 운동의 3요소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 안전보건은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 필요 안전활동의 라인화 : 안전보건을 실천하는데 있어 관리감독자의 생산활동 라인에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관리감독자의 강한 결의와 실천으로 무재해 운동이 시작된다. 직장 자주 운동의 활성화 : 근로자 한사람 한사람이 모두 안전보건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여 자주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 [해설작성자 : 열]
무언가를 어떻게 하겠다 마음가짐 자세등 이러한건 추진요소가 될것이고 근본적으로 원인을 찾아서 재거하겟다 요건 운동의 요소 [해설작성자 : 마스터님]
안전보건이라는단어가들어가면. 요소 없으면 원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근로손실일수 = (강도율 x 총근로시간) / 1,000 = ( 1.15 x 100,000 ) / 1,000 = 115 [해설작성자 : 요아부]
*참고사항: 10만시간 이라는건 연간 근로시간을 2,000시간으로 설정해서 50년 근속을 가정했을 때 총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 문제는 좀 더 분명한 전제를 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환산강도율 1.15 * 100 = 115 [해설작성자 : 포즈]
16.
학습을 자극(Stimulus)에 의한 반응(Response)으로 보는 이론에 해당하는 것은?
1.
장설(Field Theory)
2.
통찰설(Insight Theory)
3.
기호형태설(Sign-gestalt Theory)
4.
시행착오설(Trial and Error Theory)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장설(레윈) 인간은 어떤 특정 목표를 추구하려는 내적 긴장에 의해 행동한다 3. 기호형태설(톨만) 학습자의 머리속에 인지적 지도 같은 인지구조를 바탕으로 학습하려는 것 4. 시행착오설 ( 손티아크) 학습이란 맹목적인 시행을 되풀이하는 가운데 자극과 반응의 결합의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하늘게]
통찰설(퀄러) : 문제 상황에서 문제 요소들을 재구성하여 갑작스럽게 문제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 인지주의 학습이론(여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게 된다는 이론) [해설작성자 : 삐약삐약이]
17.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기본원리 5단계 중 시정방법의 선정 단계에 있어서 필요한 조치가 아닌 것은?
1.
인사조정
2.
안전행정의 개선
3.
교육 및 훈련의 개선
4.
안전점검 및 사고조사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하인리히 5단계 중 4단계; 시정방법 선정 1. 기술적 개선: 추가적인 기능을 만드는 등 안전성을 개선한다. 2. 안전 운동 전개: 안전을 지키기 위한 구호나 SOP를 시작함 3. 교육훈련 분석: 직원들에게 안전 교육을 하고 변화를 살펴봄 (3) 4. 안전행정의 개선: 불합리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한다.(2) 5. 배치 조정(인사 조정): 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을 위해 근무 환경을 변경한다. (1) 6. 규칙 및 수칙 등 제도의 개선 [해설작성자 : 한문제차이]
안전점검 및 사고조사 - 2단계 : 사실의 발견 [해설작성자 : 루피]
*하인리히 사고방지 5단계 1) 안전관리 조직 2) 사실의 발견 3) 분석평가 4) 시정책 선정 5) 시정책 적용 [해설작성자 : 소소]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중 관리감독자 정기교육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2.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3.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은 채용 시 교육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채용담당자]
위 내용은 관리감독자 정기교육내용입니다.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은 "근로자 채용시" 교육사항이며 관리감독자의 채용시 교육에는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없습니다. -> 해설시 근로자인지 관리감독자인지 명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 별표5 교육내용 참고하세요 [해설작성자 : 명확하게]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협의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알맞은 내용은?
1.
매월 1회 이상
2.
2개월마다 1회
3.
3개월마다 1회
4.
6개월마다 1회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업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급을 주어하는 사업의 경우, 매월 1회 이상 정기적 회의 개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방호장치의 기능
2.
언로드밸브의 기능
3.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4.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언로드밸브의 기능은 공기압축기를 사용한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필기합격자]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일반적으로 은행의 접수대 높이나 공원의 벤치를 설계할 때 가장 적합한 인체 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1.
조절식 설계
2.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3.
최대치수를 이용한 설계
4.
최소치수를 이용한 설계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조절식 설계: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에 맞도록 조절. 자동차 좌석 전후 조절, 사무실 의자 상하 조절 등 평균치 설계: 최대치수나 최소치수를 기준으로 설계하기도 부적절하고 조절식으로도 불가능할 때, 평균치를 기준으로 설계. 손님의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만든 은행의 계산대 등. 최대치수 설계: 거의 모든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 문, 통로, 탈출구 등.(상위 백분위 수 기준 90, 95, 99%) 최소치수 설계: 선반의 높이, 조장창치까지의 거리 등.(하위 백분위 수 기준 1, 5, 10%) [해설작성자 : 설계 장인]
22.
위험분석기법 중 고장이 시스템의 손실과 인명의 사상에 연결되는 높은 위험도를 가진 요소나 고장의 형태에 따른 분석법은?
1.
CA
2.
ETA
3.
FHA
4.
FTA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CA(위험도 분석, criticality analysis) - 고장이 직접 시스템의 손실과 사상에 연결되는 높은 위험도를 가진 요소나 고장의 형태에 따른 분석법
2.ETA(event tree analysis) -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한 시스템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모델의 하나로써 귀납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방법으로 재해의 확대 요인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디시젼 트리를 재해 사고의 분석에 이용할 경우의 분석법을 ETA라고 한다. - 디시젼 트리(decision tree) 요소의 신뢰도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모델의 하나로써 귀납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방법이다.
3.FHA(결함사고분석, fault hazard analysis) -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한 계약자만으로 모든 시스템의 설계를 담당하지 않고 몇 명의 공동 계약자가 각각의 서브 시스템을 분담하고 통합 계약 업자가 그 것을 통합하는데, FHA는 이런 경우의 서브 시스템 해석 등에 사용되는 해석법이다.
4.FTA(결함수 분석법) - 연역적, 정량적 해석이 가능한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궁디]
23.
작업장의 설비 3대에서 각각 80 dB, 86 dB, 78 dB의 소음이 발생되고 있을 때 작업장의 음압 수준은?
1.
약 81.3 dB
2.
약 85.5 dB
3.
약 87.5 dB
4.
약 90.3 dB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체 소음 = 10log(10^(dB1/10)+10^(dB2/10)+10^(dB3/10)) [해설작성자 : 간단하쥬?]
[안전성 평가 6단계] 1) 자료 작성 검토/준비 (입지조건, 배치도, 평면도, 공정계통도, 운전요령, 안전설비 종류 및 설치 장소 등)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취급물질, 화학설비용량, 온도, 압력, 조작) 4) 안전대책 수립(설비적대책/관리적대책/보전) 5) 재해 사례에 의한 재평가 6) FTA에 의한 재평가 [해설작성자 : 소소]
25.
욕조곡선에서의 고장 형태에서 일정한 형태의 고장률이 나타나는 구간은?
1.
초기 고장구간
2.
마모 고장구간
3.
피로 고장구간
4.
우발 고장구간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우발고장 구간은 지수분포로서 고장률이 일정함 [해설작성자 : 이상희]
초기 감소 우발 일정 마모 증가 [해설작성자 : 시험기간중게임이개꿀]
초기 고장구간: 초반에는 고장률이 높다가 점차 감소 우발 고장구간: 고장률이 일정하게 유지됨 (정답!) 마모 고장구간: 시간이 지날수록 고장률 증가 [해설작성자 : 소방 화이팅!]
26.
음량수준을 평가하는 척도와 관계없는 것은?
1.
dB
2.
HSI
3.
phon
4.
sone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HSI는 Heat Stress Index로 온도 관련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간 시스템 인터페이스 human-system interface -열압박지수 heat stress lndex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27.
실효 온도(effective temperature)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온도
2.
습도
3.
복사열
4.
공기 유동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실효온도(ET) - 무풍상태, 습도가 100%일 때 건구온도계가 가리키는 눈금을 기준으로 한다.
가. 실효온도(체감온도 또는 감각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온도, 습도, 기류(공기유동) 나. 허용한계 : 정신(사무 작업)(60-64℉), 경작업(55-60℉), 중작업(50-55℉) [해설작성자 : 열심히해봅시다]
28.
FT도에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단, 모든 부품의 발생확률은 0.1 이다.)
1.
0.0033
2.
0.0062
3.
0.9981
4.
0.9936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ND 게이트에서 결함확률은 각 결함이 동시에 일어나야 하니까 곱해줘야합니다 즉, A부분 = 0.1 * 0.1 = 0.01 -OR 게이트에서는 각 결함확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함이 발생할 확률입니다 바꿔말하면 전체 확률 100%에서 동시에 성공할 확률을 빼버리면 되겠죠?? (여집합 개념) 신뢰도란 결함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이기에 (1-결함확률)로 해줍니다 즉 신뢰 * 신뢰 = 동시에 신뢰 (AND 조건) 를 전체 확률 1 에서 빼주면 B 부분 - 1 - (1-0.1)*(1-0.1) = 0.19
A B 부분에서의 결함확률이 다시 T에서 AND 로 묶이기 때문에 곱해주며 됩니다 T 부분 - 0.01 * 0.19 = 0.0019
여기까지 구한게 T에서 종합한 "결함확률" 입니다
문제에서 묻는 것은 신뢰도이므로 전체 확률 (백분율이 아닌 소수이하로 나타냈으므로 1) 1 - 0.0019 = 0.9981 이 되는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청라 만세]
29.
인간공학 연구방법 중 실제의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 및 수준이 달성되는지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1.
조사연구
2.
실험연구
3.
분석연구
4.
평가연구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인간공학 연구방법의 주요 유형 1.조사연구: 특정 현상이나 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경향이나 패턴을 파악하고 데이터를 수집. 2.실험연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통제된 환경에서 실험하고 관찰. 3.분석연구: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현상이나 문제의 원인을 규명. 4.평가연구: (문제에 서술됨.) [해설작성자 : 닥터김]
30.
어떤 설비의 시간당 고장률이 일정하다고 할 때 이 설비의 고장간격은 다음 중 어떤 확률분포를 따르는가?
1.
t분포
2.
와이블분포
3.
지수분포
4.
아이링(Eyring)분포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시간당 고장률이 일정하다=우발고장기간 우발고장기간의 고장률은 일정한 형태를 보이며, 이때의 확률분포는 지수분포를 따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시스템 수명주기에 있어서 예비위험분석(PHA)이 이루어지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구상단계
2.
점검단계
3.
운전단계
4.
생산단계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PHA : 구상단계 생산물의 적합성 검토(SSHA) : 정의 단계 FHA : 개발 단계 안전점검에 따라 평가를 내리는 시점 : 운전 단계 [해설작성자 : 은우유찬아빠]
32.
FTA에서 사용하는 다음 사상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시스템 분석에서 좀 더 발전시켜야 하는 사상
2.
시스템의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일어날 것이 기대되는 사상
3.
불충분한 자료로 결론을 내릴 수 없어 더 이상 전개 할 수 없는 사상
4.
주어진 시스템의 기본사상으로 고장원인이 분석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분석할 필요가 없는 사상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이 기호는 생략사상입니다. 생략사상은 더 이상 결론 내릴 수 없을 때 쓰는 기호입니다. [해설작성자 : 국민대기계]
배기량 90L 중 질소 80% 산소 16% 90L X 0.8 = 72L >>배기 질소량 90L X 0.16 = 14.4L >>배기 산소량
질소량은 동일하므로 흡기량에서 72L가 79%를 차지하는 걸 알면 산소21%가 몇 L인지 바로 알 수 있죠 산소량은 21%이므로
72L X 21/79 = 19.139L >>흡기 산소량
19.139L - 14.4L = 4.739L >>5분간 산소 소비량
1분당 산소소비량은 4.739L/5min = 0.9478L/min [해설작성자 : 해설이 너무 어려워보여서]
37.
의도는 올바른 것이었지만, 행동이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는?
1.
Slip
2.
Mistake
3.
Lapse
4.
Violation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Slip(실수,미끄러짐) : 상황(목표)해석은 제대로 하였으나 의도와는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채시호수]
전기기사에서 slip : 정격과 떨어진 정도. 정격을 공급하고자 했지만 정격과 멀어지는 정도. [해설작성자 : ㅇㅇ]
위반violation : 인간의 오류모형에서 알고있음에도 의도적으로 따르지 않거나 무시한 경우 실수slip : 의도와 다른 행동, 의도는 올바르지만 행동이 의도된것과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 착오착각mistake :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틀린목표를 착각하여 행항 건망증lapse : 어떤 행동을 잊고 안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38.
동작경제의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급작스런 방향의 전환은 피하도록 할 것
2.
가능한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하도록 할 것
3.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나도록 할 것
4.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양손의 동작은 동시에 시작하여 동시에 끝나야 한다. (2) 양손은 휴식시간을 제외하고는 동시에 쉬어서는 안 된다. (3) 팔의 동작은 서로 반대의 대칭적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행해져야 한다. (4) 손과 몸의 동작은 일에 만족스럽게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동작에 한정되어야 한다. (5) 작업에 도움이 되도록 가급적 물체의 관성(慣性)을 활용하고, 근육운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6) 갑자기 예각방향으로 변화를 하는 직선동작보다는 유연하고 연속적인 곡선동작을 하는 것이 좋다. (7)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는 탄도적 동작이 보다 빠르고 쉬우며 정확하다. (8) 작업을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수행하는 데는 리듬이 중요하다. 가급적 쉽고 자연스러운 리듬이 가능하도록 작업이 배열되어야 한다. (9) 눈의 고정은 가급적 줄이고 함께 가까이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밤바라기]
39.
두 가지 상태 중 하나가 고장 또는 결함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사건은?
1.
톱사상
2.
결함사상
3.
정상적인 사상
4.
기본적인 사상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문제 지문에 '결함'이 있으므로 결함사상 [해설작성자 : 어렵게 생각하지말자]
40.
설비보전 방법 중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고 그 진행을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점검, 청소, 주유 및 교체 등의 활동은?
1.
사후 보전
2.
개량 보전
3.
일상 보전
4.
보전 예방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예방보전(PM: Preventive Maintenance): 시스템 또는 부품의 사용 중 고장 또는 정지와 같은 사고를미리방지하거나, 품목을 사용 가능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계획적으로 하는 보전 활동 2.사후보전(BM: Break-down Maintenance): 시스템 내지 부품이 고장에 의해 정지 또는 유해한 성능 저하를 초래한 뒤 수리를 하는 보전 활동 3.보전예방(MP: Maintenance Prevention): 신규설비의 계획과 건설을 할 때 보전 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열화 손실을 적게 하는 보전 활동 4.개량 보전(CM: Corrective Maintenance): 설비의 재질이나 형상의 개량, 설계변경 등에 의한 설비의 체질을 개선하여 설비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보전 활동 5.일상보전(RM: Routine Maintenance):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고 그 진행을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일 설비의 점검, 청소, 주유 및 교체 등을 행하는 보전 활동 6.생산보전(PM: Production Maintenance): 미국의 GM사가 처음으로 사용한 보전으로 설계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 기계설비의 전 과정 해서 소요되는 설비의 열화 손실과 보전비용을 최소화하여 향상시키는 보전활동 [해설작성자 : 소방의 달인자]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 수위가 이상현상으로 인해 위험수위로 변하면 작업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경보등, 경보음을 발하고 자동적으로 급수 또는 단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방호장치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가 2개 설치된 경우 그 중 1개는 최고사용압력이하에서 작동된다고 할 때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의 최대 몇 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0.5
2.
1
3.
1.05
4.
2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 사용압력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만콩공주]
47.
상용운전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할 경우 보일러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너의 연소를 차단하여 정상압력으로 유도하는 장치는?
1.
압력방출장치
2.
고저수위 조절장치
3.
압력제한 스위치
4.
통풍제어 스위치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보일러의 안전장치의 종류
고저수위 조절장치 1. 고저수위 지점을 알리는 경보등, 경보음 장치 등을 설치 - 동작상태 쉽게 감시 2. 자동으로 급수 또는 단수 되도록 설치 3. 플로우트식, 전극식, 차압식 등
압력방출장치 1. 보일러 규격에 적합한 압력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사용압력(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2.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도고, 다른 압력 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 3. 매년 1회 이상 교정을 받은 압력계를 이용하여 설정압력에서 압력방출장치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 검사 후 납으로 봉인(공정안전보고서 이행상태 평가결과가 우수한 사업은 4년마다 1회 이상 설정 압력에서 압력방출장치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4. 스프링식, 중추식, 지렛대식(일반적으로 스프링식 안전밸브가 많이 사용됨)
압력제한 스위치 보일러의 과열방지를 위해 최고사용압력과 상용압력 사이에서 버너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압력 제한 스위치 부착 사용
화염검출기 연소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그 신호를 프레임 릴레이가 받아서 연소차단밸브 개폐 [해설작성자 : 궁디]
48.
용접부 결함에서 전류가 과대하고, 용접속도가 너무 빨라 용접부의 일부가 홈 또는 오목하게 생기는 결함은?
1.
언더컷
2.
기공
3.
균열
4.
융합불량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용접부 결함의 종류 1) 언더컷 : 용접선 가장자리에 모재가 패어서 홈과 같이 골이 생긴 상태이며, 그 원인은 용접봉을 쥐는 각도와 운봉 속도의 부적당, 과대한 용접전류 때문에 생김. 2) 융합불량 : 용접금속과 모재 또는 용접금속과 용접금속 사이가 충분히 융합되지 않은 것. 개선 각도가 작거나 용접속도가 빠르고 용접 전류가 낮아 용접 입열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모재와 용접금속 사이가 융합되지 않아 발생 3) 기공 : 강재 등을 용접할 때 용착 금속 속에 생기는 기포로, 국부적인 응력 집중을 일으켜 용접부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모재의 오염, 습기, 용접 재료의 건조 부족 등이 그 원인이 됨. 4) 균열 : 용접부에 균열이 생긴 현상 [해설작성자 : 젊은직장인]
전류가세서 구멍이 나기 직전까지 페임 = 언터컷 융합불량 = 100이 접촉되야하는대 100이하로 접촉이 된것 균열 = 깨지거나 금이간것 기공 = 말그대로 공기 구멍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49.
물체의 표면에 침투력이 강한 적색 또는 형광성의 침투액을 표면 개구 결함에 침투시켜 직접 또는 자외선 등으로 관찰하여 결함장소와 크기를 판별하는 비파괴시험은?
1.
피로시험
2.
음향탐상시험
3.
와류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문제 지문에 '침투력, 침투액'이 있으므로 침투탐상시험이 답 [해설작성자 : 어렵게 생각하지말자]
50.
연삭숫돌의 파괴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숫돌이 외부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2.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3.
숫돌 자체에 이미 균열이 있을 때
4.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연삭기 숫돌 파괴 원인 1. 숫돌의 회전력이 결합력보다 클 때 2.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였을 때 3. 플랜지가 숫돌 지름의 1/3보다 작았을 때 [해설작성자 : 파괴왕]
5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등 금형을 부착⸱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을 할 때,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함으로써 근로자에게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것은? (단,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신체가 위험한계 내에 있는 경우)
1.
방진구
2.
안전블록
3.
시건장치
4.
날접촉예방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제104조(금형조정작업의 위험방지) 사업주는 프레스 등의 금형을 부착/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신체가 위험한계 내에 있는 경우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함으로써 근로자에게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블록을 사용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젊은직장인]
52.
페일 세이프(fail safe)의 기능적인 면에서 분류할 때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Fool proof
2.
Fail passive
3.
Fail active
4.
Fail operational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Fool proof: "근로자"가 잘못해도 바로 사고나 재해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확고한 안전기구 Fail safe: "기계 등"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그대로 사고나 재해로 연결되지 않고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
<문제 해설> 부하할 수 있는 최대하중에서 달기기구의 중량 하중을 뺀것을 정격하중이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하기싫다.]
54.
기계설비의 안전조건인 구조의 안전화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전압 강하에 따른 오동작 방지
2.
재료의 결함 방지
3.
설계상의 결함 방지
4.
가공 결함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압 강하에 따른 오동작 방지 - 기능적 안전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구조 부분 안전화(구조부분 강도적 안전화) 1)설계상의 결함 방지 2)재료의 결함 방지 3)가공 결함 방지
기능적 안전화 1)전압 강하에 따른 오동작 방지 2)정전 및 단락에 따른 오동작 방지 3)사용 압력 변동 시 등의 오동작 방지 [해설작성자 : 둘리]
구조 부분 안전화 = ~ 결함방지 [해설작성자 : 카피바라]
55.
공기압축기의 작업안전수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공기압축기의 점검 및 청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후에 실시한다.
2.
운전 중에 어떠한 부품도 건드려서는 안 된다.
3.
공기압축기 분해 시 내부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분해한다.
4.
최대공기압력을 초과한 공기압력으로는 절대로 운전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공기압축기 내부 압력은 강력해서 그걸 이용해서 분해하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컨베이어, 이송용 롤러 등을 사용하는 경우 정전⸱전압강하 등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장치는?
1.
권과방지장치
2.
동력전달장치
3.
과부하방지장치
4.
화물의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전시 추락하면 큰 인적 및 물적 손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 [해설작성자 : 하이]
문제가 정전 전압강하 어쩌고 해서 전기와 관련된 장치를 찾아야 하는 느낌이 든다면 그건 페이크 입니다 정전.전압강하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라고 이해하면 훨씬 이해가 쉬워집니다. 출제자의 페이크에 낚이지 맙시다 ㅋ [해설작성자 : 헷갈리네용]
■정전, 전압강하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정지력 상실: 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컨베이어 벨트나 롤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중력이나 관성으로 인해 화물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2.역주행 가능성: 일부 컨베이어는 구동 메커니즘의 설계에 따라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경사가 있는 컨베이어에서 위험합니다. 3.브레이크 시스템 부재 또는 고장: 정전 시 자동으로 벨트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없다면, 화물이 이탈하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 정지 장치, 역주행 방지 장치, 그리고 전력 차단 시 작동 가능한 안전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제자의 페이크라기보단 산업안전, 재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큰 사항으로,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57.
회전하는 동작부분과 고정부분이 함께 만드는 위험점으로 주로 연삭숫돌과 작업대, 교반기의 교반날개와 몸체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은?
1.
협착점
2.
절단점
3.
물림점
4.
끼임점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협착 : 왕복 + 고정 절단 : 회전 날 자체 (톱날 등) 물림 : 회전 + 회전 끼임 : 회전 + 고정 [해설작성자 : 허허허]
회전 회전 물림 회전 고정 끼임 두개만 외워도 이유형은 틀릴일없음 [해설작성자 : 2025산안기1회 가즈아]
회(전) 회(전) 물(림) - 회 회 물 회(전) 고(정) 끼(임) - 회 고 끼 [해설작성자 : 2025년 산안기 2회 화이팅]
58.
다음 중 드릴 작업의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옷소매가 길거나 찢어진 옷은 입지 않는다.
2.
작고, 길이가 긴 물건은 손으로 잡고 뚫는다.
3.
회전하는 드릴에 걸레 등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4.
스핀들에서 드릴을 뽑아낼 때에는 드릴 아래에 손을 내밀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작고, 길이가 긴 물건은 바이스로 고정한 후 작업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국민대기계최강]
5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의 과부하방지장치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성능기준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과부하방지장치 작동 시 경보음과 경보램프가 작동되어야 하며 양중기는 작동이 되지 않아야 한다.
2.
외함의 전선 접촉부분은 고무 등으로 밀폐되어 물과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과부하방지장치와 타 방호장치는 기능에 서로 장애를 주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4.
방호장치의 기능을 정지 및 제거할 때 양중기의 기능이 동시에 원활하게 작동하는 구조이며 정지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과부하장치 작동시 경보음과 경보램프가 작동돼야 하고 양중기는 작동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과부]
4. 방호장치의 기능을 제거 또는 정지할 때 양중기의 기능도 동시에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어허]
60.
프레스기의 SPM(stroke per minute)이 200이고, 클러치의 맞물림 개소수가 6인 경우 양수기동식 방호장치의 안전거리는?
위 해설에서 곱하는 값이 250이 아니고 0.25인 이유는 v를 문제에서는 kv를 구하라이므로 v를 구하는 공식에 곱하기 1000 을 미리 한거라 보심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혹시몰라 쉽게 다시 써봅니다. 도체구 전위 식은 V=Q/r*9*10^9 입니다. 여기서 r값은 반드시 m단위로 대입해야해서 0.25m로 해주시고 9*10^9는 일반 상수로 그냥 외워주세요. 다 대입후 계산시 7200V 입니다. 문제에서 kv단위로 물어봤으며 k는 10^3이니 7.2kv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도움 한 스푼]
Q = 2 * 10^-7 엡실론 : 8.85 * 10^-12, r= 25 * 10^-2(단위cm) 전위 V = Q / 4 * pi * e(엡실론) * r
주어진 조건 및 사용 공식은 위와 같다. 그대로 대입 전위 V = 2 * 10^-7 / 4 * pi * 8.85 * 10^-12 * 25 * 10^-2 [v] 계산하면 ANS = V = 7193.443756[v]
문제에서 V[kv] 를 물어봤으니 V[v] > v[kv] 변환 ANS * 10^-3을 취해주면 약 7.2[kv]
63.
다음 중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전로가 아닌 것은? (단, 전로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이며, 기계기구에는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다.)
1.
기계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2.
기계기구가 고무, 합성수지, 기타 절연물로 피복된 경우
3.
대지전압 20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 이외의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이중절연구조의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대지전압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없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합격의꿈을]
지문이 말을 어렵게 해서 그렇지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시설하지 않아도 -> 반대로 설치 해야 하는 곳은 3번 220V가 아니라 150V 입니다. 1,2,4 설치 안해도 됨 [해설작성자 : CBT이용자]
암기 포인트 누전차단기 생략 예외 3가지 암기 구호:
“건-절-150”
건조한 장소 절연재 피복 대지전압 150V 이하 + 물기 없음
이 외 조건은 무조건 설치해야 함! [해설작성자 : 소방 화이팅!]
64.
고압전로에 설치된 전동기용 고압전류 제한퓨즈의 불용단전류의 조건은?
1.
정격전류 1.3배의 전류로 1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2.
정격전류 1.3배의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3.
정격전류 2배의 전류로 1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4.
정격전류 2배의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기설비기준의 판단기준 제39조에 따르면 "과전류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퓨즈 이외의 과전류 차단기와 조합하여 하나의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 안에 용단되는 것 또는 다음에 적합한 고압전류제한퓨즈이어야 한다."라고 명시 되어있습니다.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는 것은 맞습니다만 2배의 전류로 120분 버티는 것도 맞다고 생각 됩니다. 해당 법의 뒤에 붙는 120분이 정격전류의 1.3배와 2배의 전류에 모두 대응되는 시간이라면 2번이 정답일 것이고 그게아니라면 4번이 정답인것같네요. 저는 4번을 골랐지만 틀려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포장퓨즈나 비포장퓨즈의 특성의 경우에는 기존의 포장은 1.3배 견디고 2배 120분이내, 비포장 1.25배 견디고 2배 2분이내라고 공부해야 될것같습니다. 하지만 현 문제처럼 전동기용이나 발전기용 같이 종류가 나오게 된다면 한류퓨즈의 공통특성인 1.3배 2시간이내의 불용단특성으로 공부하는게 맞는것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기설비기준 39조] 정격전류 1.3배에 견디고 2배의전류로 2시간 내 용단되는 것으로 정답 2번입니다. NO2. 정격전류 1.3배의 전류로 2시간 이내에 용단되지 않을 것(견딤)-O정답 NO4. 정격전류 2배의 전류로 2시간 이내 용단되는 것-정답(그러나 용단되지 않는 것으로 변형시킴-X답) [해설작성자 : 허찬]
1. 일반, 전동기, 변압기용: 1.3배로 2시간 이내 용단되지 않을 것 2. 콘덴서용: 2배로 2시간 이내 용단되지 않을 것 [해설작성자 : 뚜뚜 33]
전기설비기술기준에관한규칙 제39조 (과전류 차단기용 퓨우즈등) 4항: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 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 (퓨즈이외의 과전류 차단기와 조합하여 하나의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정격 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안에 용단되는 것. 또는 별표 17 에서 정하는 규격에 적합한 고압 전류제한 퓨즈이어야 한다. 법령주소: https://www.law.go.kr/법령/전기설비기술기준에관한규칙/(19880610,00098,19880610)/제39조 -혼동되는 이유: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안에 용단되는 것' 에서 "견디고=불용단" 이라는 뜻입니다. 또한 규정에는 추가로 2배 조건에 대한 용단 요구가 있기에, 단편적인 조건만을 표현한 보기들에서 혼동을 야기하기는 하지만 2번이 정답이라는 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김]
<저압전로 퓨즈> 16, 63, 160, 400 적어놓고 한칸씩 아래로 땡기세요 16A초과 63 초과 160초과 63A이하 160이하 400이하 1시간 2시간 3시간 저압인 경우 불용단전류 1.25배, 용단전류 1.6배
0종 : ia 1종 : d,p,q,o,e,ia,ib,m 2종 : 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가스폭발 위험장소 -0종 : 가스폭발 분위기가 연속적, 장기간, 빈번히 발생(ia) -1종 : 가스폭발 분위기가 주기적, 간헐적 발생(ia, ib, d, p, o, s, e) -2종 : 가스폭발 분위기가 없거나 짧게 발생(비점화(n)) [해설작성자 : 소소]
71.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절연전선의 열화
2.
정전기 발생
3.
과전류 발생
4.
절연저항값의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절연저항값의 증가 → 감소 [해설작성자 : 지닝]
절연저항값의 발열
72.
배전선로에 정전작업 중 단락 접지기구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통신선 유도 장해 방지
2.
배전용 기계 기구의 보호
3.
배전선 통전 시 전위경도 저감
4.
혼촉 또는 오동작에 의한 감전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단락접지를 하는 이유 1) 전로가 정전된 경우에도 오통전, 다른 전로와의 접촉 또는 다른 전로에서의 유도작용 및 비상용 발전기의 가동 등으로 정전전로가 갑자기 충전되는 경우가 있다. 2) 이에 따른 감전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개소에 근접한 지점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단락접지기구를 사용하여 정전전로를 단락접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어느 변전소에서 고장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도전성 구조물과 그 부근 지표상의 점과의 사이(약 1m)의 허용접촉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심실세동전류: , 인체의 저항:1000Ω, 지표면의 저향률: 150Ω⸱m, 통전시간을 1초로 한다.)
관내경(mm)×유속(m/s)^2=약 600 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단비아부지]
관내경,제한유속 나오면 공학용 계산기 시험때 챙겨서 관내경x제한유속 제곱 해서 600대 나오면 맞는거고 아니면 틀린거임 [해설작성자 : 외울거 너무많아]
77.
지락이 생긴 경우 접촉상태에 따라 접촉전압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인체의 접촉상태에 따른 허용접촉전압을 나타낸 것으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1종: 2.5V 이하
2.
제2종: 25V 이하
3.
제3종: 35V 이하
4.
제4종: 제한 없음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3종: 35V → 50V [해설작성자 : 까치]
[종별 허용접촉전압] -제1종 : 2.5V 이하 (인체 대부분이 수중에 존재) -제2종 : 25V 이하 (인제 대부분이 현저히 젖어있거나 금속구조물에 상시 접촉) -제3종 : 50V 이하 (1,2종 제외하고 접촉 전압 가해지면 위험한 상태) -제4종 : 제한없음 (1,2종 제외하고 접촉 전압 가해져도 위험X) [해설작성자 : 소소]
78.
계통접지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TN계통
2.
TT계통
3.
IN계통
4.
IT계통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계통접지방식엔 TN, TT, IT방식이 존재. TN → 대지(T) - 중성선(N) 연결. TN-S, TN-C, TN-C-S 방식으로 분류 TT → 변압기측과 전기설비 측이 개별적으로 접지하는 방식으로 독립접지방식이라고도 한다. 누전차단기 설치 필수 IT → 변압기(전원부)의 중성점 접지를 비접지로 하고 설비쪽은 접지를 실시. 병원등과 같이 전원이 차단되어서는 안되는 곳에 사용. [해설작성자 : 준지에 표류중]
계통(Tong(T))접지이니까 T가 안들어간 IN계통이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임하]
79.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물체의 분리속도
2.
물체의 특성
3.
물체의 접촉시간
4.
물체의 표면상태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물체의 특성 2. 물체의 표면 상태 3. 물체의 이력 4. 접촉면적 및 압력 5. 분리속도 [해설작성자 : 인생한방]
[정전기 발생 영향인자] 1) 분리속도 : 빠를수록 2) 특성 : 대전 서열 차이가 클수록 3) 접촉면적&압력 : 클수록 4) 분리속도 : 빠를수록 5) 표면상태 : 거칠수록 6) 이력 : 처음과 분리 시 가장 크며 이후 점차 감소 [해설작성자 : 소소]
<문제 해설>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 : 리튬, 칼륨, 나트륨, 황, 마그네슘분말, 금속분말, 알카리 금속의 수소화물, 인화물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 질산에스테르류, 아조화합물, 유기과산화물, 하이드라진 유도체 산화성 액체 및 인화성 고체 : 과산화수소 및 무기과산화물, 질산, 과염소산, 중크롬산, 염소산, 브롬산 인화성 액체 : 에틸에테르, 가솔린,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 인화성 가스 : 수소, 아세틸렌, 에틸렌,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인화한계 농도의 최저한도가 13퍼센트 이하 혹은 최고,최저한도의 차가 12퍼센트 이상) 급성 독성 물질 : LD50(경구, 쥐)가 킬로그램당 300mg-체중 이하인 화학물질 4시간 동안 흡입실험에 의하여 실험동물의 50%를 사망시킬 수 있는 물질의 농도 [해설작성자 : Kg_쭝]
87.
제1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1.
사염화탄소
2.
브롬화메탄
3.
수산화암모늄
4.
탄산수소나트륨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분말소화기] 제 1종: 탄산수소나트륨 제 2종: 탄산수소칼륨 제 3종: 제1인산암모늄 제 4종: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였을 때 생성물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수산화칼슘 + 아세틸렌
2.
수산화칼슘 + 수소
3.
염화칼슘 + 아세틸렌
4.
염화칼슘 + 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aC2 + 2H2O → Ca(OH)2 + C2H2(g)
탄화칼슘 + 물 → 수산화칼슘 + 아세틸렌(증기) [해설작성자 : 기사콜렉터입니다]
89.
다음 중 분진 폭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가스폭발보다 연소시간이 짧고, 발생에너지가 작다.
2.
압력의 파급속도보다 화염의 파급속도가 빠르다.
3.
가스폭발에 비하여 불완전 연소의 발생이 없다.
4.
주위의 분진에 의해 2차, 3차의 폭발로 파급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분진폭발> 가스폭발보다 연소시간이 짧고, 발생 에너지가 작다. 압력의 파급속도보다 화염의 파급속도가 빠르다. 가스폭발에 비하여 불완전 연소가 적게 발생한다. 주위의 분진에 의해 2차, 3차의 폭발로 파급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리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는 옳은 것은?이라 되어있지만 1,2,4번이 모두 정답입니다 4번을 선택해야 정답으로 채점이 되네요 수정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가스폭발> -화염이 크다 -연소속도가 빠르다
<분진폭발> -폭발압력,에너지가 크다 -연소시간이 길다 -불완전연소로 인한 중독이 발생한다(CO)
[오류신고 반론] <분진폭발의 특징> 연소속도가 작다. 불안전 연소. 연소시간이 길다. 발생에너지가 크다.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2차,3차 폭발로 파급한다. [해설작성자 : 허찬]
[오류신고 반론] -분진 폭발의 특징 1. 가스폭발보다 연소시간이 길고, 발생에너지가 크다 2. 압력의 파급속도보다 화염의 파급속도가 느리다. 3. 가스폭발에 비하여 불완전 연소의 발생이 있다. 4. 주위의 분진에 의해 2차, 3차의 폭발로 파급될 수 있다. 5. 폭발한계 내에서 분진의 휘발성분이 많으면 폭발 위험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11122]
90.
가연성 가스 A의 연소범위를 2.2~9.5vol% 라 할 때 가스 A의 위험도는 얼마인가?
노출기준(TWA, ppm) 값: 1.염소(Cl2): 0.5 ppm 2.암모니아(NH3): 25 ppm 3.에탄올(C2H5OH): 1,000 ppm 4.메탄올(CH3OH): 200 ppm 근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의 작업환경측정·분석 기술지침 WA(시간 가중 평균, Time-Weighted Average): 일반적으로 0.5 ppm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8시간 작업 기준으로 안전한 최대 노출 농도를 뜻함. [해설작성자 : 닥터김]
10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위험물 건조설비 중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를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하여야 하는 건조설비가 아닌 것은?
1.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2m3 인 건조설비
2.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5kg/h 인 건조설비
3.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2m3/h 인 건조설비
4.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20kW 인 건조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위험물 건조식을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해야 하는 경우 ->내용적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 *위험물이 아닌 물질 건조 ->고체, 액체연료 최대사용량 시간당 10킬로그램 이상 ->전기사용 정격용량 10킬로와트 이상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 시간당 1세제곱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윤짱]
제280조(위험물 건조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1.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 2.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의 용량에 해당하는 건조설비 가. 고체 또는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0킬로그램 이상 나.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세제곱미터 이상 다.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킬로와트 이상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
101.
부두ㆍ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85 cm
2.
90 cm
3.
100 cm
4.
120 cm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두,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설치 최소90CM 이상 ,작업면의 조도 75럭스이상 유지 [해설작성자 : 허찬]
102.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에 관한 규정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옳게 작성한 것은?
1.
매월, 6개월
2.
매월, 1년
3.
2개월 마다, 6개월
4.
2개월 마다, 1년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제89조(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 ① 건설공사도급인은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計上)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범위에서 그의 관계수급인에게 해당 사업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지급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21. 1. 19.>
② 건설공사도급인은 법 제72조제3항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사용하는 해당 건설공사의 금액(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 금액을 말한다)이 4천만원 이상인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월(건설공사가 1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사업의 경우에는 해당 건설공사가 끝나는 날이 속하는 달을 말한다) 사용명세서를 작성하고, 건설공사 종료 후 1년 동안 보존해야 한다. <개정 2021. 1. 19.> [해설작성자 : 후라보노]
추가로, 통나무비계의 경우 수직방향 5.5 m, 수평방향 7.5 m 이하의 간격을 가져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05.
굴착공사에 있어서 비탈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수의 침투를 막기 위해 표면배수공을 한다.
2.
지하수위를 내리기 위해 수평배수공을 설치한다.
3.
비탈면 하단을 성토한다.
4.
비탈면 상부에 토사를 적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상부토사 적재하면 붕괴 시 쏟아져내려 더 위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최반장 : “어이 김씨! 땅 속에 묻혀서 무덤 만들고 싶으면 가서 위에다 쌓아봐 한 번” [해설작성자 : 회상]
106.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2.0m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서 세울것 [해설작성자 : 인생한방]
<강관비계 설치기준> 1)비계기둥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85미터, 장선방향 1.5미터 이하로 할 것, 선박 및 보트작업시에는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둘다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띠장간격은 2미터이하지만 준수하기 곤란한 경우 쌍기둥틀 등에 의해 해당부분을 보강한 경우엔 안해도 된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운다. 다만 브라켓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시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엔 그렇지 않다. 4)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면 안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10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분의 1
2.
3분의 1
3.
4분의 1
4.
5분의 1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규칙 제69조 1. 수직재,수평재,가새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되도록할것. 2. 비계 및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이상이 되도록 할것. 3.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 체결후 흔들림 없도록 고정. 4.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철물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 5. 벽 연결재의 설치간격은 제조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설치. [해설작성자 : 가보자구]
108.
건설현장에서 작업으로 인하여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에 대한 안전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직보호망 설치
2.
방호선반 설치
3.
울타리설치
4.
낙하물 방지망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낙하 방지 안전조치 1. 낙하물 방지망, 수직 보호망, 방호선반의 설치, 출입금지구역 설정, 보호구의 착용 2.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 1) 높이 10 m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 m 이상으로 할 것. 2)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30도 이하를 유지할 것. 3. 높이 3 m 이상인 장소로부터 물체를 투하하는 경우 적당한 투하설비를 설치하거나 감시인을 배치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울타리 설치는 케틀(kettle), 호퍼(hopper), 깔때기, 피트(pit) 등이 있는 경우에 근로자가 작업 또는 통행 시에 굴러 떨어짐으로 인하여 화상, 질식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 설치하여야 하고, 그 높이는 9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낙하 방지 안전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 정답이니까 울타리 설치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체하기 싫다]
낙하물 방지와 추락 방지 방호 조치를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울타리 설치는 추락 방지 방호조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9.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보일링(Boiling)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 현상이 발생하면 흙막이 벽의 지지력이 상실된다.
2.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발생된다.
3.
흙막이벽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
4.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굴착면의 융기로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번은 히빙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떠든아이]
히빙현상 : 연약 점토지반 굴착 시 굴착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히빙현상의 대책 1. 흙막이지보공을 깊게 박을 것. 2. 흙막이벽 배면의 토사 중량을 감소시킬 것. 3. 아일랜드 컷 공법 등을 사용할 것. //양옆을 조금 남겨두고 가운데부터 굴착
보일링현상 : 사질지반 굴착 시 지하수위의 압력차에 의해 굴착면에서 물과 모래입자가 분출되는 현상. 보일링현상의 대책 1. 웰포인트 공법을 병행할 것. //펌프 설치 2. 배수공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낮출 것. 3. 흙막이벽을 불투수층까지 깊게 박을 것. //불투수층: 암반 등 [해설작성자 : 금쪽이]
보일링의 지반은 “투수성이 좋은 사질토 지반” 입니다.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110.
거푸집동바리 동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의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한다.
2.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한다.
3.
파이프서포트를 제외한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4개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파이프 서포트는 3개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할것 [해설작성자 : 인생한방]
동바리의 사용 - 강관, 파이프 서포트, 강관틀, 조립강주, 목재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 1. 파이프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을 것. 2. 파이프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3. 높이가 3.5 m를 초과하는 경우, 높이 2 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동바리 파이프 셔포트는 최대 2개까지만 연결 사용가능 한데 지금 3개라고 하는 것은 예전 규정인가요? [해설작성자 : 열 공중 ]
[오류신고 반론] 3개 이상 금지 = 2개까지 연결사용가능….같은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블박]
건설공사도급인은 건설공사 중에 가설구조물의 붕괴 등 산업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건축 ⸱ 토목 분야의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건설공사 발주자에게 해당 건설공사의 설계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설구조물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높이 20m 이상인 비계
2.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또는 높이 5m 이상인 거푸집 동바리
3.
터널의 지보공 또는 높이 2m 이상인 흙막이 지보공
4.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가설구조물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가설구조물 1. 높이가 31M 이상인 비계 2.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또는 높이가 5M 이상인 거푸집 및 동바리 3. 터널의 지보공 또는 높이가 2M 이상인 흙막이 지보공 4.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가설구조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개정 되었네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1438호 타법 개정 되었답니다)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또는 높이가 5미터 이상인 거푸집 및 동바리로 변경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검색 검색]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은 오류신고로 인하여 2번 보기 내용을 6m에서 5m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3.
콘크리트 타설 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설순서는 계획에 의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진동기는 최대한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지보공 등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손수레로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에는 손수레를 타설하는 위치까지 천천히 운반하여 거푸집에 충격을 주지 아니하도록 타설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진동기 사용이 과하면 콘크리트가 약해집니다. 콘크리트 타설시 진동기 적당히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국민대기계최강]
114.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갱 폼(Gang Form)
2.
슬립 폼(Slip Form)
3.
유로 폼(Euro Form)
4.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1. 갱 폼 //아파트 외벽 2. 슬립 폼: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며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 3. 클라이밍 폼 4. 터널 라이닝 폼(tunnel lining form) //터널 내외 [해설작성자 : 금쪽이]
115.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그 구조를 검토한 후 조립도를 작성하고, 그 조립도에 따라 조립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조립도에 명시하여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음방법
2.
단면규격
3.
재료의 재질
4.
재료의 구입처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거푸집 동바리 등의 조립도 : 동바리·멍에 등 부재의 재질·단면규격·설치간격 및 이음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
터널 지보공의 조립도 : 재료의 재질·단면규격·설치간격 및 이음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
흙막이 지보공의 조립도 : 흙막이판·말뚝·버팀대 및 띠장 등 부재의 배치·치수·재질 및 설치방법과 순서가 명시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16.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건설공사 중 다리건설공사의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설통로 설치에 있어 경사가 최소 얼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
1.
15도
2.
20도
3.
30도
4.
40도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설통로의 구조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m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하다.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다만, 작업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만 임시로 해체할 수 있다. 5.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6.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118.
굴착과 싣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토공기계가 아닌 것은?
1.
트랙터 셔블(tractor shovel)
2.
백호(back hoe)
3.
파워 셔블(power shovel)
4.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모터그레이더는 제설작업이나 노면을 다듬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합니다. 굴착용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국민대기계최강]
119.
강관틀 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 철물을 사용할 것
2.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8m 이하로 할 것
3.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하층 및 3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4.
길이가 띠장 방향으로 4m 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띠장 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 5층 ]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참치김치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