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2012년도 콘크리트구조기준을 적용한다.)
1.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부터 구조물의 수명기간 동안에 모든 재하단계의 강도 및 사용조건에 따른 거동에 근거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부재의 탄ㆍ소성변형, 처짐, 길이변화 및 회전 등에 의해 인접한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때 온도와 건조수축의 영향도 고려하여야 한다.
3.
긴장재가 부착되기 전의 단면 특성을 계산할 경우 덕트로 인한 단면적의 손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덕트의 치수가 과대하여 긴장재와 덕트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 있어서 부재 좌굴과 얇은 복부 및 플랜지의 좌굴 가능성에 대한 검토는 생략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3.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PSC 교량의 가설공법은?
1.
PWS(Prefabricated Parallel Wire Strand) 공법
2.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
3.
FSM(Full Staging Method) 공법
4.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78%
4.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경간 길이 5m인 단순지지 1방향 슬래브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슬래브의 최소두께[mm]는? (단, 부재는 보통중량콘크리트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 리브가 없는 1방향 슬래브이고, 2012년도 콘크리트구조기준을 적용한다.)
1.
250mm
2.
300mm
3.
350mm
4.
400mm
정답 : [
1
] 정답률 : 69%
5.
H형강을 사용하여 길이가 5m인 기둥을 설계할 때 세장비(λ)는? (단, 기둥은 양단이 힌지로 지지되고, H형강 강축의 단면2차모멘트 Ixx=20,000cm4, 약축의 단면2차모멘트 Iyy=8,100cm4이며, 면적 A=100cm2이다.)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55를 적용한다.
4.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스트럿, 절점부 및 지압부의 강도감소계수는 0.65를 적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16.
그림과 같이 압축 이형철근 4-D25가 배근된 교각이 확대기초로 축 압축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확대기초 내 다우얼(dowel)의 정착길이 ℓd[mm]는? (단, fck=25MPa, fy=400MPa, 압축부재에 사용되는 띠철근의 설계기준에 따라 배근된 띠철근 중심간격은 100mm, 다우얼 철근의 배치량은 소요량과 동일, D25 이형철근의 공칭지름 db=25mm로 가정하고, 경량콘크리트계수 λ는 고려하지 않으며, 2012년도 콘크리트구조기준을 적용한다.)
1.
200mm
2.
275mm
3.
300mm
4.
375mm
정답 : [
4
] 정답률 : 48%
17.
강재 연결(이음)부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경간에서 볼트이음은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방향의 변환점 또는 변환점 가까이 있는 곳에 있도록 해야 한다.
2.
연결부 구조는 응력을 전달하지 않아야 한다.
3.
가급적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가급적 잔류응력이나 응력집중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18.
그림과 같이 압축부재인 띠철근 기둥의 단면 크기와 철근을 결정하였다. D13 철근을 띠철근으로 사용할 경우 띠철근의 수직간격[mm]은? (단, 종(축)방향 철근으로서 4개의 D29를 사용하며, 2012년도 콘크리트구조기준을 적용한다.)
1.
450mm
2.
464mm
3.
500mm
4.
624mm
정답 : [
1
] 정답률 : 70%
19.
얕은기초의 설계를 위한 극한지지력 산정 시 지하수위가 그림과 같이 기초에 근접해 있을 경우, Terzaghi 지지력공식에서 지하수위를 고려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Terzaghi 지지력공식(띠, 연속기초) 이고, 지지력공식에서 qult=극한지지력, B=기초의 폭, c=흙의 점착력, q=γDf, γ=흙의 단위중량, γt=습윤단위중량, γ′=수중단위중량, γsat=포화단위중량, γw=물의 단위중량이며 Nc, Nq, Nγ는 지지력계수이다. 또한 Dw=지하수위의 깊이, Df=기초의 근입깊이이고, 지하수의 흐름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지하수위가 기초 바닥 위에 존재하는 경우(Case 1), 지하수위 위쪽 지반의 단위중량은 습윤단위중량 γt를 사용하고, 지하수위 아래쪽 지반의 단위중량은 수중단위중량 γ′(=γsat-γw)을 사용하여 극한지지력을 산정한다.
2.
지하수위가 기초 바닥 위에 존재하는 경우(Case 1), Terzaghi 지지력공식은 와 같이 수정하여 적용한다.
3.
지하수위가 기초 바닥 아래와 기초의 영향범위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Case 2), Terzaghi 지지력공식에서 q=γtDf를 사용하고, 1/2γBNγ는 1/2(γsat-γw)BNγ로 수정하여 극한지지력을 산정한다.
4.
지하수위가 기초의 영향범위 아래에 존재하는 경우(Case 3), 지하수위가 기초의 영향범위(Df+B)보다 깊게 위치하여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흙의 단위중량은 습윤단위중량 γt를 사용하여 극한지지력을 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20.
철근콘크리트 T형보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 T형보의 추가 압축면적을 제공하는 플랜지의 두께는 복부폭의 1/2 이상이어야 한다.
2.
독립 T형보의 추가 압축면적을 제공하는 플랜지의 유효폭은 복부폭의 4배 이하이어야 한다.
3.
정(+)의 휨모멘트를 받는 T형 단면의 중립축이 플랜지 안에 있으면, T형 단면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4.
장선구조를 제외한 T형보의 플랜지로 취급되는 슬래브에서 주철근이 보의 방향과 같을 때, 횡방향 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로 하여야 하고, 또한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②
①
②
③
②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④
④
③
④
④
②
①
③
③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