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국은 20×1년 직원들에게 ₩1,000의 급여를 현금 지급하였다. 20×1년 초 미지급급여가 ₩200, 20×1년 말 미지급급여가 ₩700이면 당기에 발생한 급여는?
1.
₩1,000
2.
₩1,200
3.
₩1,500
4.
₩1,700
정답 : [
3
] 정답률 : 78%
5.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제시된 ‘상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환손익 또는 단기매매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과 같이 유사한 거래의 집합에서 발생하는 차익과 차손은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고 순액으로 표시한다.
2.
확정급여제도의 초과적립액을 다른 제도의 확정급여채무를 결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권리가 있고, 순액기준으로 확정급여채무를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동시에 제도의 초과적립액을 실현하고 다른 제도의 확정급여채무를 결제할 의도가 있다면,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한 자산은 다른 확정급여제도와 관련된 부채와 상계한다.
3.
투자자산 및 영업용자산을 포함한 비유동자산의 처분손익은 처분대가에서 그 자산의 장부금액과 관련처분비용을 차감하여 표시한다.
4.
충당부채와 관련하여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한 비용은 제삼자의 변제와 관련하여 인식한 금액과 상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6.
다음의 20×1년 재무정보를 이용한 매출총이익은? (단, 회전율 계산시 기초와 기말의 평균값을 이용한다)
1.
₩1,000
2.
₩1,400
3.
₩1,900
4.
₩2,200
정답 : [
2
] 정답률 : 64%
7.
다음 설비자산 자료를 이용한 20×2년 재평가잉여금 기말 잔액은? (단, 설비자산은 취득시부터 재평가모형을 적용하고,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를 고려하지 않는다)
(주)한국은 20×1년 중에 (주)민국의 지분상품을 ₩80,000에 취득하고, 이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선택분류하였다. 이 지분상품의 20×1년 말, 20×2년 말 공정가치는 각각 ₩70,000, ₩110,000이다. (주)한국이 20×3년에 이 지분상품을 ₩90,000에 모두 처분하였을 경우 처분손익은? (단, 거래원가는 없다)
1.
₩0
2.
처분손실 ₩10,000
3.
처분이익 ₩10,000
4.
처분손실 ₩20,000
정답 : [
1
] 정답률 : 53%
13.
(주)한국의 다음 자료를 이용한 변동제조원가발생액은? (단, 기초제품 재고와 기초 및 기말 재공품재고는 없다)
1.
₩600,000
2.
₩700,000
3.
₩800,000
4.
₩900,000
정답 : [
4
] 정답률 : 64%
14.
지방자치단체회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방자치단체의 회계는 신뢰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자료와 증명서류에 의하여 공정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2.
지방재정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거래 등을 발생사실에 따라 복식부기 방식으로 회계처리 하는데 필요한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3.
지방자치단체의 회계는 재정활동의 내용과 그 성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간단ㆍ명료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4.
재무제표는 지방회계기준에 따라 작성하여야 하고, 「공인회계사법」에 따른 공인회계사의 감사의견을 첨부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공인회계사 감사의견X -> 검토의견O [해설작성자 : 회린이]
15.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상 자산과 부채의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정상태표에 표시하는 자산의 가액은 해당 자산의 취득원가를 기초로 하여 계상한다.
2.
국채는 국채발행수수료 및 발행과 관련하여 직접 발생한 비용을 뺀 발행가액으로 평가한다.
3.
일반유형자산은 해당 자산의 건설원가 또는 매입가액에 부대비용을 더한 금액을 취득원가로 하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추정한 기간에 정액법 등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한다.
4.
국가회계실체 사이에 발생하는 관리전환은 무상거래일 경우에는 자산의 공정가액을 취득원가로 하고, 유상거래일 경우에는 자산의 장부가액을 취득원가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16.
다음은 (주)한국의 20×1년 6월 중 재고자산의 매입 및 매출과 관련된 자료이다. 선입선출법과 가중평균법을 적용한 매출원가는? (단, 재고수량 결정은 실지재고조사법에 따른다)
(주)한국은 20×1년 6월 말 주거래 A은행 측 당좌예금 잔액 ₩13,000이 당사의 당좌예금 장부 잔액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과 같은 차이를 조정한 후 (주)한국과 A은행의 당좌예금 잔액은 ₩12,000으로 일치하였다. (주)한국의 수정 전 당좌예금 잔액은?
1.
₩5,000
2.
₩8,000
3.
₩9,000
4.
₩10,000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은행 회사 13000 x 1) 3000 2) 3000 3)(4000) 4) 5000 5) (1000) x+3000+5000-1000=12000 x=5000 [해설작성자 : 올해는붙자]
18.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10,000이 더 클 때, 다음의 자료를 이용한 당기 생산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