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콜히친, 아세나프텐 등은 감수분열시기에 방추사 형성을 저해하여 염색체분리를 방해->배수성육종에 이용 [해설작성자 : ㅇㅇ]
10.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 둑새풀 등은 휴면이 타파된 경우라도 환경이 불량하면 2차 휴면이 유도된다.
2.
논잡초 중 다년생에 포함되는 잡초는 물옥잠, 자귀풀, 여뀌바늘 등이 있다.
3.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계통이 발생하여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4.
대부분의 경지잡초들은 광발아성 종자로서 광에 노출되는 표토에서 발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2. 논잡초 중 1년생에 포함되는 잡초는 물옥잠, 자귀풀, 여뀌바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시용]
11.
염색체의 일부 단편이 절단되었다가 비상동염색체로 자리를 옮기는 현상은?
1.
중복
2.
전좌
3.
역위
4.
결실
정답 : [
2
] 정답률 : 77%
12.
다음 보기의 설명을 모두 포함하는 무기요소는?
1.
인산
2.
질소
3.
칼리
4.
규산
정답 : [
1
] 정답률 : 79%
13.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비래해충(飛來害蟲)으로만 묶은 것은?
1.
벼멸구, 애멸구, 이화명나방
2.
벼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3.
흰등멸구, 혹명나방, 이화명나방
4.
애멸구, 벼줄기굴파리, 벼물바구미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비래해충 : 벼멸구, 흰등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해설작성자 : 시용]
14.
벼의 식물학적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벼의 염색체수(2n)는 26개이며, 자가수정작물이다.
2.
재배벼는 야생벼보다 휴면성이 강하고, 종자수명이 길다.
3.
벼의 재배종은 Oryza sativa와 Oryza glaberrima이다.
4.
벼는 식물학적으로 나자식물아문-화본과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벼의 염색체수는 24개 야생벼 종자의 휴면정도는 매우 강하다. 벼는 외떡잎식물(Liliopsida) 사초목(Cyperales) 벼과(화본과) 벼는 피자식물 겉씨식물 즉, 나자식물(裸子植物)과 속씨식물 즉, 피자식물로 나눈다.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의 핵심적 차이는 씨를 감싸는 씨방의 유무로, 피자식물만이 씨방을 가지고 있다. 이 씨방은 나중에 열매로 자라게 되는데 열매 또한 씨앗에게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된다. [해설작성자 : zk]
15.
벼의 무기양분에 의한 영양장해의 일반적인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기양분이 결핍 또는 과잉될 때는 잎의 녹색이 변하여 황백색, 갈색, 오렌지색 등이 된다.
2.
체내에서 이동이 잘 되지 않는 무기양분(Fe, B, Ca 등)이 결핍될 때는 결핍 증상이 상위엽에서 나타난다.
3.
체내에서 이동이 잘 되는 무기양분(N, P, K, S 등)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먼저 나타난다.
4.
무기양분이 과잉 흡수되면 상위엽에 많이 집적되므로 과잉증상은 상위엽에서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16.
볍씨의 발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볍씨는 산소가 전혀 없는 조건에서도 발아율이 80% 정도이다.
2.
볍씨는 한 이삭에서 위쪽에 있는 것이 아래쪽의 것보다 충실하여 발아가 빠르고 발아율이 높다.
3.
볍씨는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아한다.
4.
산소가 부족한 조건에서는 초엽이 1 cm 이하로 짧고 굵게 나오면서 씨뿌리도 함께 자란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산소가 충분한 조건에서 초엽이 1cm 이하로 짧고 굵게 나오며, 종근도 함께 자란다. 산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유근의 생장이 저해되고 유아가 먼저 신장하여 유아선단이 지상으로 노출된 후, 유근생장이 촉진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
17.
아시아 벼 생태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키는 인디카가 온대자포니카 보다 크다.
2.
온대자포니카 쌀의 형태는 둥글고 짧고, 인디카는 가늘고 길다.
3.
밥의 끈기는 온대자포니카>열대자포니카>인디카 순이다.
4.
분얼의 발생정도는 온대자포니카>인디카>열대자포니카 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18.
벼 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 줄기는 마디와 마디사이(절간)로 이루어져 있다.
2.
벼의 마디수는 보통 10~12개이지만, 신장하는 것은 이삭으로부터 아래쪽 1~2개 마디사이이다.
3.
줄기의 마디사이에는 수강이 있으며, 표피와 수강 사이에는 유관속과 통기강이 있다.
4.
담수한 논에서 자라는 벼에서는 기공을 통해서 들어온 산소가 통기강 및 통기조직을 거쳐 뿌리로 공급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벼의 마디수는 보통 14~18개이지만, 신장하는 것은 이삭으로부터 아래쪽 5~6개 마디사이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메밀의 작물적 특성과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밀꽃은 좋은 밀원이 되며, 어린 잎은 채소로도 이용할 수 있다.
2.
메밀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산간지방에서 재배하기에 알맞다.
3.
재배에 알맞은 토양산도는 pH6.0~7.0이며, 산성 토양에는 약하다.
4.
여문 종실은 떨어지기 쉬우므로 70~80%가 성숙하면 수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재배에 알맞은 토양산도는 pH5.0~6.0이 산성토양에도 내성이 강하다. [해설작성자 : zk]
20.
봄 조의 기상 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온형 작물
2.
고온에 출수 촉진
3.
만파에 유리
4.
내건성 작물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봄조는 감온형이고, 그루조는 단일 감광형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생육기간 중 고온기가 단일기보다 앞에 오므로 파종기의 조만에 불구하고 봄조가 그루조보다 먼저 출수ㆍ성숙한다. 또한, 만파에 의한 출수촉진의 정도는 감광형인 그루조에서 크다.
봄조는 그루조에 비하여 조숙이고 건조에 강하며, 다습을 싫어하므로 파종이 가능하게 되면 조파하는 것이 수량이 많아진다. [해설작성자 : zk]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①
④
③
①
③
②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②
③
④
④
④
②
③
③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