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하인리히 의 사고연쇄성 이론 도미노 현상 (Heinrich) [ (domino) ] ① 1단계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요소 ② 2단계 개인적 결함 ③ 3단계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물리적 기계적 위험 ④ 4단계 사고 ⑤ 5단계 재해 [해설작성자 : 미니5]
2.
안전관리조직의 형태 중 직계식 조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안전에 관한 명령지시가 빠르다.
3.
안전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다.
4.
별도의 안전관리 전담요원이 직접 통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번은 직계참모형 조직의 특성이다. [해설작성자 : moon78]
4. 라인스테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건설기술진흥법령상 안전점검의 시기·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알맞은 내용은?
1.
긴급점검
2.
정기점검
3.
특별점검
4.
정밀안전점검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전점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0조, 안전관리계획을 대상으로 점검) 자체안전점검 : 공종별 시공상태와 안전성(매일) 정기안전점검 : 임시(가설)시설의 안전성, 시공상태, 공사장 주변 안전조치(공사 종류 및 규모에 따라 3~5차 실시) 정밀안전점검 : 물리적, 기능적 결함 분석, 조치대책 마련(정기안전점검 결과 결함이 발견되어 필요한 경우) 초기점검 : 중점 유지관리 사항(위험부위) 도출, 안전성 평가의 기준이 되는 초기치 마련(건설공사 준공 전) 시공재개점검 : 시공자의 판단에 따라 자체안전점검 또는 정기안전점검의 수준으로 시행(1년 이상 중단된 공사를 재개할 때) [해설작성자 : Woo]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타워크레인 지지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알맞은 내용은?
1.
ㄱ: 45, ㄴ: 3
2.
ㄱ: 45, ㄴ: 4
3.
ㄱ: 60, ㄴ: 3
4.
ㄱ: 60, ㄴ: 4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시 준수사항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고 와이어로프를 클립, 샤클 등의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풀리지 않도록 하며 가용 중에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유지해야 함 -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건승]
5.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3단계의 분석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현장 조사
2.
교육 및 훈련의 개선
3.
기술의 개선 및 인사조정
4.
사고 및 안전활동 기록 검토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1단계 : 조직 ①경영층의 참여 ②안전관리자 임명 ③안전의 라인 및 참모조직 구성 ④안전활동 방침 및 계획 수립 ⑤조직을 통한 안전활동 2단계 : 사실의 발견 ①사고 및 안전활동 기록 검토 ②작업분석 ③안전점검 및 안전진단 ④사고조사 ⑤안전회의 및 토의 ⑥근로자의 제안 및 여론조사 ⑦관찰 및 보고서의 연구 등을 토하여 불안전요소 발견 3단계 : 분석평가 ①사고보고서 및 현장조사 ②사고기록 및 인적 물적 조건의 분석 ③작업공정 분석 ④교육 훈련 분석 등을 통하여 사고의 직접원인 및 간접원인을 규명 4단계 : 시정방법의 선정 ①기술적 개선 ②인사조정(배치조정) ③교육 훈련의 개선 ④안전행정의 개선 ⑤규정 및 수칙 작업표준 제도의 개선 ⑥확인 및 통제체제 개선 5단계 : 시정책의 적용(3E 적용) ①기술적(engineering) ②교육적(education) ③단속적(enforcement)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노사협의체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노사협의체 정기회의는 1개월마다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이 소집한다.
2.
공사금액이 20억원 이상인 공사의 관계수급인의 각 대표자는 사용자 위원에 해당된다.
3.
도급 또는 하도급 사업을 포함한 전체 사업의 근로자대표는 근로자 위원에 해당된다.
4.
노사협의체의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합의하여 노사협의체에 공사금액이 20억원 미만인 공사의 관계수급인 및 관계수급인 근로자대표를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노사협의체의 회의는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구분하여 개최하되.정기회의는 2개월마다 노사협의체의 위원장이 소집하며,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소집한다. 참고: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65조 [조사협의체의 운영 등] [해설작성자 : bom]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대상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가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발생한 사업장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화재,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해설작성자 : bom]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대상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대상은 다릅니다.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대상은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의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보건 조치를 이행하지 않아 중대재해 발생 3. 직업성 질병자 2명 이상 발생 4. 유해인자 노출기준을 초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 대상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보건 조치를 이행하지 않아 중대재해 발생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 근로자가 1천명 이상 시 3명 이상) 4. 작업환경 불량,화재,폭발 등으로 인해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장
1천명이 넘어가니까 3명이 되겠죠?? 그러니 답은 1번 ㄱ,ㄴ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할끄니까~]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중대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 1명이 발생한 재해
2.
12명의 부상자가 동시에 발생한 재해
3.
2명의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발생한 재해
4.
5개월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3명 발생한 재해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중대재해 1.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해설작성자 : 찌니리]
제3조(중대재해의 범위) 법 제2조제2호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한다.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14.
T.B.M 활동의 5단계 추진법의 진행순서로 옳은 것은?
1.
도입 → 확인 → 위험예지훈련 → 작업지시 → 정비점검
2.
도입 → 정비점검 → 작업지시 → 위험예지훈련 → 확인
3.
도입 → 작업지시 → 위험예지훈련 → 정비점검 → 확인
4.
도입 → 위험예지훈련 → 작업지시 → 정비점검 → 확인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T.B.M(Tool Box Meeting) 5단계 (단기간 미팅 즉시 즉응훈련 진행요령) 1단계 - 도입 (정렬, 인사, 건강확인, 직장체조, 목표 제창, 안전 연설) 2단계 - 정비점검 (복장, 보호구, 공구, 사용기기, 재료 등의 정비 점검) 3단계 - 작업지시 (전달연락 사항, 금일의 작업지시 5W1H + 위험예지, 지적확인(중점실시사항 2point, 복창) 4단계 - 위험예지훈련 (설정해놓은 도해로 one point 위험예지훈련 실시) 5단계 - 확인 (one point 지적 확인 연습, touch&call, 끝맺음) [해설작성자 : 강릉쌍기사 목표]
15.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 방음용 귀마개의 기호는?
1.
EM
2.
EP-1
3.
EP-2
4.
EP-3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EM : 귀덮개 EP-1 :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 것 EP-2 : 주로 고음을 차음하여 회화음 영역인 저음은 차음하지 않는 것 [해설작성자 : bom]
16.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상 명시된 보험급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장례비
2.
요양급여
3.
휴업급여
4.
생산손실급여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장 보험급여
조문체계도버튼연혁위임행정규칙버튼 제36조(보험급여의 종류와 산정 기준 등) ① 보험급여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진폐에 따른 보험급여의 종류는 제1호의 요양급여, 제4호의 간병급여, 제7호의 장례비, 제8호의 직업재활급여, 제91조의3에 따른 진폐보상연금 및 제91조의4에 따른 진폐유족연금으로 한다. <개정 2010. 5. 20., 2021. 1. 26.>
X 이론 1.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2. 권위주의적 리더쉽 확립 3.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4. 상부책임제도의 강화 5. 조직구조의 고층성
Y 이론 1. 민주적 리더쉽의 확립 2.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3. 목표에 의한 관리 4. 직무확장 5.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6. 자체평가제도의 활성화 7. 조직구조의 평면화 [해설작성자 : HO!]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의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근로자의 적정배치에 관한 사항
2.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4.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1.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재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8. 안전,보건과 관련된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9. 근로자의 유해,위험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Pepsi]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명시된 안전검사대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명시된 건설용 리프트·곤돌라를 이용한 작업의 특별교육 내용으로 틀린 것은?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신호방법 및 공동작업에 관한 사항
2.
화물의 취급 및 작업 방법에 관한 사항
3.
방호 장치의 기능 및 사용에 관한 사항
4.
기계·기구에 특성 및 동작원리에 관한 사항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건설용 리프트/곤돌라를 이용한 작업의 특별교육 내용
방호장치의 기능 및 사용에 관한 사항 기계, 기구, 달기체인 및 와이어 등의 점검에 관한 사항 화물의 권상/권하 작업방법 및 안전작업 지도에 관한 사항 기계/기구에 특성 및 동작원리에 관한 사항 신호방법 및 공동작업에 관한 사항 그 밖에 안전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kdds]
23.
타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간-동작 연구를 적용하였다.
2.
생산의 효율성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3.
인간중심의 관점으로 일을 재설계한다.
4.
인센티브를 도입함으로써 작업자들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작업환경의 재설계 [해설작성자 : 쿠아봐]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 인간을 과학적,합리적,경제적,기계적존재로 파악 폴렛,메이요 의 인관관걔론 : 인간을 감정적,정서적,비경제적,비기계적 존재로 파악 [해설작성자 : 한번에 가자]
24.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self-instruction method)의 단점은?
1.
보충학습이 어렵다.
2.
수강생의 시간적 활용이 어렵다.
3.
수강생의 사회성이 결여되기 쉽다.
4.
수강생의 개인적인 차이를 조절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혼자서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받는다. 그래서 집단사고가 결여된다. [해설작성자 : 51004]
25.
작업의 어려움, 기계설비의 결함 및 환경에 대한 주의력의 집중혼란, 심신의 근심 등으로 인하여 재해를 많이 일으키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은?
1.
미숙성 누발자
2.
상황성 누발자
3.
습관성 누발자
4.
소질성 누발자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재해 빈발자 -상황성 누발자 : 작업의 어려움, 기계설비의 결함, 환경상 주의력의 집중혼란, 심신의 근심등 떄문에 재해를 누발하 는자이다 -습관성 누발자 : 재해 경험으로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되어 재해를 누발하는 자와 일종의 슬럼프상태에 빠져서 재하를 누발하는 자 -소질성 누발자 : 재해의 소질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재해자로서 사고요인은 지능, 성격, 감각(시각)기능으로 분류 -미숙성 누발자 : 기능의 부족이나 환경에 익숙하지 못했기 때문에 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사람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26.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요인 중 심리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감정의 불안정
2.
극도의 피로감
3.
신경계통의 이상
4.
육체적 능력의 초과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심리적 = 감정적 [해설작성자 : 인거니]
27.
허츠버그(Herzberg)의 2 요인 이론 중 동기요인(motivato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성취
2.
작업 조건
3.
인정
4.
작업 자체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허츠버그(Herzberg) 2요인 이론 -동기요인 : 책임감, 성취, 인정, 작업자체, 존경, 자율성부여, 권한위임 -위생요인 : 직무환경, 정책, 관리, 감독, 대인관계, 작업조건, 임금, 승진, 지휘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28.
작업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옳은 것은?
1.
강도율
2.
작업시간
3.
작업속도
4.
에너지 대사율(RMR)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에너지 대사율의 정의 기본적인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초대사량, 즉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소비량과 특정 작업시 소비된 에너지의 비율을 에너지 대사량이라 한다. ※ 작업강도가 커지는데 따라 작업 지속시간이 짧아진다 EX) RMR이 7이상일 경우 10분이상을 지속할 수 없다.
○관련공식 RMR(에너지 대사율 또는 에너지 소비량) = (작업시 소비에너지 - 휴식시 소비에너지) ÷ 기초대사량
○ 에너지 대사율 범위 0~1 : 초경작업 (주로 손가락이용:타자, 바느질) 1~2 : 경작업 (앉아서 하는 업무 : 기기운전, 선반작업) 2~4 : 중작업 (힘,동작속도가 작은 작업 : 모심기, 못박기) 4~7 : 강작업 (전신노동 : 벼베기, 중량물작업) 7이상 : 초강작업 (과격한노동)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싶다]
29.
지도자가 부하의 능력에 따라 차별적으로 성과급을 지급하고자 하는 리더십의 권한은?
1.
전문성 권한
2.
보상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위임된 권한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지도자가 부하의 능력에 따라 차별적으로 성과급을 지급하고자 하는 리더십의 권한 : 보상적 권한 [해설작성자 : City of G.O.D]
30.
인간의 욕구에 대한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를 공격적 기제, 방어적 기제, 도피적 기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도피적 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문제 해설>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3가지 욕구 1. 존재의 욕구(existence needs) 2. 관계의 욕구(relatedness needs) 3. 성장의 욕구(growth needs) [해설작성자 : 다시보기]
32.
주의력의 특성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속성: 인간의 주의력은 2시간 이상 지속된다.
2.
변동성: 인간은 주의 집중은 내향과 외향의 변동이 반복된다.
3.
방향성: 인간이 주의력을 집중하는 방향은 상하 좌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4.
선택성: 인간의 주의력은 한계가 있어 여러 작업에 대해 선택적으로 배분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주의의 특성 -선택성 : 시각정보등을 받아들일 때 주의를 기울이면 시선이 집중되는곳의 정보는 잘 받아들이나 주변부의 정보는 놓 치기 쉽다(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것)/인간의 주의력은 한계가 있어 여러 작업에 대해 선택적으로 배분된다 /중복집중 곤란 -방향성 : 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진다)/공간적으로 보면 시선의 초점을 맞았을 때는 쉽게 인지되지만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변동성 : 주의에는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존재하는 것, 고도의 주의는 장시간 지속할수 없다/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33.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과제에 대해 언어를 매개로 구조화된 질의응답을 통하여 교육하는 기법은?
1.
면접(interview)
2.
카운슬링(counseling)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면접 :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과제에 대해 언어를 매개로 구조화된 질의응답을 통하여 교육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34.
안전교육방법 중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거기에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다시 깊게 파고들어서 토의 하는 방법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세션(Buzz Session)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패널 디스커션 : 참가자 앞에서 소수의 전문가들이 과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고 토론한 뒤 참가자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방법 -포럼 :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거기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 가지 방 법으로 발표하게하고 다시 깊이 파고들어 토의를 행하는 방법 -심포지엄 : 몇사람의 전문가에 의하여 과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한 뒤에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여 토의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버즈세션은 먼저 여섯 사람씩 짝지어 분단을 만들고, 6분간 자유롭게 의견을 나눈 뒤에 그 결과를 가지고 전체가 토의하는 방식으로, ‘육-육토의(discussion 6-6)’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3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의 교육과정 중 건설 일용근로자의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교육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시간 이상
2.
2시간 이상
3.
3시간 이상
4.
4시간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건교육(4글자) 교육시간(4글자) 고로 4시간 [해설작성자 : 전갱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에 따라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교육시간은 4시간 [해설작성자 : 안양큰곰]
<문제 해설> □O.J.T(On the Job Training) 특징 -개개인에게 적합한 지도훈련이 가능 -직장의 실정에 맞는 실체적 훈련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즉시 업무에 연결되는 관계로 신체와 관련이 있다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용이 -교육을 통한 훈련 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 이해도가 높아진다 -동기부여가 쉽다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문제 해설> □인간기억의과정 /교육심리학에있어일반적으로기억과정의순서: 기명→파지→재생→재인 -파지 : 획득된 행동이나 내용이 지속되는것이며, 망각은 지속되지 않고 소실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39) 기억 과정 - 1단계 : 기명 (Memorizing) : 자극으로 주어진 자료를 지각하거나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 각인되는 과정 - 2단계 : 파지 (Retention) : 기명된 내용을 일정기간 기억 흔적으로 간직, 각인된 인상이 보존되는 과정 - 3단계 : 재생 (Reproduction/Recall) : 보존된 인상이 의식 수준에 이르는 것, 파지된 내용을 아무 절차 없이 생각해내는 과정 - 4단계 : 재인 (Recognition) : 과거 경험했던 것과 유사 상황에 이르렀을 때 인상이 떠오르는 것, 파지된 내용을 아무 절차 없이 상황의 도움에 의해 생각해내는 것으로, 기명된 내용과 재생한 내용의 일치성을 인식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40.
작업자들에게 적성검사를 실시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작업자의 협조를 얻기 위함
2.
작업자의 인간관계 개선을 위함
3.
작업자의 생산능률을 높이기 위함
4.
작업자의 업무량을 최대로 할당하기 위함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작업자들에게 적성검사를 하는 목적은 적성배치라 하는데, 생산을 극대화 시키기 위함입니다. [해설작성자 : 혼탁한세상]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인간공학적 수공구 설계원칙이 아닌 것은?
1.
손목을 곧게 유지할 것
2.
반복적인 손가락 동작을 피할 것
3.
손잡이 접촉 면적을 작게 설계할 것
4.
조직(tissue)에 가해지는 압력을 피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 손잡이 접촉 면적을 크게 설계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마감]
42.
NIOSH 지침에서 최대허용한계(MPL)는 활동한계(AL)의 몇 배인가?
1.
1배
2.
3배
3.
5배
4.
9배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대허용기준(MPL) 관계식 MPL(최대허용기준) = AL(감시기준) X 3 - MPL을 초과한 경우 반드시 공학적 대책 실시 - AL ~ MPL의 경우 개선을 통해 작업 전 AL이하로 내려야 함 (행정적 경영학적 관리) - AL이하 (적합한 작업수준으로 현 상태 유지)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43.
FMEA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브시스템 분석 시 FTA보다 효과적이다.
2.
양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훈련 없이 해석이 가능하다.
3.
시스템 해석기법은 정성적·귀납적 분석법 등에 사용된다.
4.
각 요소간 영향 해석이 어려워 2 가지 이상 동시 고장은 해석이 곤란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고장형태와 영향분석(FMEA) -각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고 인적원인 분석이 곤란하며, 요소가 동시에 2가지 이상이 고장이 발생되면 분석이 어렵다 -해석영역이 물체에 한정되기 때문에 인적원인 해석이 곤란하다 -양식이 간단하여 특별한 훈련 없이 해석이 가능하다 -시스템 해석의 기법은 정성적, 귀납적 분석법등에 사용 ×서브시스템 분석시 FTA보다 효과적이다 => FTA가 더 효과적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44.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설계 시 사용자를 고려한다.
2.
환경과 사람이 격리된 존재가 아님을 인식한다.
3.
인간공학의 목표는 기능적 효과, 효율 및 인간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4.
인간의 능력 및 한계에는 개인차가 없다고 인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간공학(人間工學)은 도구, 기계 등을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보다 적절하게 맞춰져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공학이다. 인체공학(人體工學)이라고도 한다. -나무위키- [해설작성자 : 한길]
45.
인간-기계시스템에서의 여러 가지 인간에러와 그것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의 예측과 개선을 위한 기법은?
1.
PHA
2.
FHA
3.
OHA
4.
THERP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시스템 위험 분석 기법 - PHA (예비위험분석) : 최초단계 (설계, 구상)에서 실시하는 분석법 - FHA : 서브시스템 분석에 사용되는 기법 - OHA - THERP : 인간 에러율 예측기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문제 해설> 개선의 ECRS - 제거 (Eliminate) : 불필요한 작업요소 제거 - 결합 (Combine) : 다른 작업요소와의 결합 - 재배열 (Rearrange) : 작업순서 변경 - 단순화 (Simplify) : 작업요소의 단순화, 간소화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47.
표시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어 조종장치를 통해 기계를 통제하는 시스템은?
1.
수동 시스템
2.
무인 시스템
3.
반자동 시스템
4.
자동 시스템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수동시스템 : 수공구, 기타 보조물로 구성, 인간의 신체적인 힘을 동력원으로 사용, 작업을 통제하는 인간 사용자와 결합 예) 연필을 사용하는 학생, 가위로 옷감을 재단하는 재단사, 삽질하는 작업자 등 2) 반자동시스템(기계화 시스템) : 동력원은 기계가 생성하여 전달, 조작자는 제어장치로 동력을 조정하거나 통제하는 것 예) 자동차 운전, 전기드릴작업 등 3) 자동시스템 : 사람이 거의 관여하지 않아도 모든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시스템. 예) 산업용 로봇, 자동으로 운영되는 화학공장 등 ※ 자동 시스템도 설계, 설치, 프로그램, 유지 보수에 사람이 관여한다. 또한, 대부분 자동시스템은 복잡한 시스템으로서 보수, 유지, 운용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인간공학적 주의 필요) [해설작성자 : paintier]
48.
Q10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고온 스트레스
2.
한랭한 작업장
3.
중량물의 취급
4.
분진의 다량발생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참고) Q10치 : 적정한 온도까지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여 생화학반응이 촉진되지만 그 이상 온도가 높아지면 효소(단백질)의 구조가 변형되어 그 기능이 상실되므로 반응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생화학적 반응과정의 반응속도는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며 온도가 10도 상승할 경우 반응속도가 몇 배로 증가하는지의 수치를 Q10치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결함수분석(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FTA에 의한 제해사례의 연구 순서 제1단계 : 톱사상의 선정 제2단계 : 사상마다의 재해원인 및 요인 규명 제3단계 : FT도 작성 제4단계 : 개선계획 작성 제5단계 : 개선안 실시계획 [해설작성자 : 커피ㅎ]
50.
물체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를 뜻하는 용어는?
1.
광도
2.
광량
3.
대비
4.
조도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도 : 물체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로 단위는 lux를 사용하며, 거리가 멀수록 역자승 법칙에 의해 감소한다. 조도 (lux) = 광도 (cd) / (거리 D)^2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1.
시각적 표시장치와 청각적 표시장치 중 시각적 표시장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는?
1.
메시지가 긴 경우
2.
메시지가 후에 재참조되지 않는 경우
3.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4.
메시지가 시간적 사상(event)을 다룬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청각 - 메세지 짧을때 - 재참조되지 않을때 - 즉각적인 행동 필요 - 시각 계통 과부하 일때 - 주위가 너무 밝거나 어두울 때 - 자주 움직이는 경우 시각 - 메세지가 길때 - 재참조 될때 - 즉각적인 행동 필요하지 않을때 - 청각계통 과부하일때 - 주위가 너무 시끄러울 때 -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2.
조작과 반응과의 관계, 사용자의 의도와 실제 반응과의 관계, 조종장치와 작동결과에 관한 관계 등 사람들이 기대하는 바와 일치하는 관계가 뜻하는 것은?
1.
중복성
2.
조직화
3.
양립성
4.
표준화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양립성 : 자극과 반응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성질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3.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기호의 명칭은?
1.
억제게이트
2.
조합AND게이트
3.
부정게이트
4.
베타적OR게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짜맞춤(조합) AND Gate 3개 이상의 입력사상 가운데 어느 것이든 2개가 일어나면 출력사상이 생긴다. 예를들면 "어느 것이든 2개"라고 기입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파티]
54.
일정한 고장률을 가진 어떤 기계의 고장률이 시간당 0.008일 때 5시간 이내에 고장을 일으킬 확률은?
<문제 해설> OTHER THAN: 완전한 대체를 의미 No/NOT: 설계 의도의 완전한 부정을 의미 REVERSE:설계의도와 논리적인 역을 의미 MORE LESS:양의 증가 또는 양의 감소로 양과 성질을 함께 나타냄 [해설작성자 : 소환포에버]
HAZOP (Hazard and Operability Analysis) 1. 개념 - 공장 설비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해저드 및 운용 상의 문제점을 찾아내는 정성적 분석 기법 - 시스템의 원래 의도한 설계와 차이가 있는 변이를 일련의 가이드 워드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식별 * 해저드 : 인적, 경제적, 환경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바람직 하지 않은 이벤트 2. 목적 - 위험성 파악, 평가 - 설계된 생산능력을 저해할 소지나 운전상의 문제점 파악 3. 안내단어 - No : 설계의도에 부적합 - Less : 정량적 감소 - More : 정량적 증가 - Part of : 정성적 감소 - As well as : 정성적 증가 - Reverse : 설계의도와 반대 현상 - Other than : 완전한 대체의 필요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6.
음압수준이 60dB일 때 1000Hz에서 순음의 phon의 값은?
1.
50phon
2.
60phon
3.
90phon
4.
100phon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Phon = 1000 Hz, 1 db 음의 크기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7.
인간의 오류모형에서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목표를 잘못 이해하고 착각하여 행하는 경우를 뜻하는 용어는?
1.
실수(Slip)
2.
착오(Mistake)
3.
건망증(Lapse)
4.
위반(Violation)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인간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러 - 착오, 착각 (Mistake) : 상황 해석을 잘못하거나 틀린 목표를 착각하여 행하는 경우 - 건망증 (Lapse) : 행동을 잊어버리고 하지 않는 경우 - 실수 (Slip) : 의도와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 - 위반 (Violation) : 알고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따르지 않고 무시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58.
프레스기어의 안전장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며 평균 수명이 1000시간일 때 ㉠, ㉡에 알맞은 값은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 제 11조 (위험성 추정) 1. 사업주는 유해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사업장 특성에 따라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 및 증대성의 크리를 추정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위험성을 추정하여야 한다. - 가능성과 중대성을 행렬을 이용하여 조합하는 방법 - 가능성과 중대성을 곱하는 방법 - 가능성과 중대성을 더하는 방법 - 그 박에 사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4과목 : 건설시공학
61.
기존에 구축된 건축물 가까이에서 건축공사를 실시할 경우 기존 건축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은?
1.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2.
언더피닝 공법
3.
슬러리 윌 공법
4.
탑다운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언더피닝공법 - 인접한 건물 또는 구조물의 침하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지반보강 방법의 총칭 [해설작성자 : 한달남았다]
언더피닝 공법 기존 건물에서 인접된 장소에서 새로운 깊은기초를 시공할때, 기존 건무의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파티]
62.
다음은 기성말뚝 세우기에 관한 표준시방서 규정이다. ( )안에 순서대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단, 보기항의 D는 말뚝의 바깥지름 임)
1.
1/50, D/4
2.
1/50, D/3
3.
1/100, D/4
4.
1/100, D/3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신고들이 많습니다. 출판사마다 답을 달리하고 있는것 같기도 하고... 토목과 건설은 다르다는 말도 있고... 추후 이점을 유념하시어 해당 내용을 확인후 오류신고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건설표준시방서 ㅡ 기성말뚝기초(한계산태설계법) kcs24 51 10 :2023 말뚝의 연직도나 경사도는 '강관말뚝'의 경우 1/100, '콘크리트말뚝'의 경우 1/50 이내로 하고 말뚝시공후 평면상의 위치가 설계도면의 위치로부터 D/4와 100mm중 큰값 이상으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즉 기성(강관)말뚝은 1/100 , 콘크리트말뚝은 1/50 으로 위문제는 1/100 , D/4로 1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특공배추도사]
[추가 오류 신고] 말뚝의 연직도나 경사도는 1/50 이내로 하고 말뚝박기 후 평면상의 위치가 설계도면 위치로부터 D/4와 100m/m 중 큰값이상으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답이 없어요
63.
철골공사에서 발생하는 용접 결함이 아닌 것은?
1.
피트(Pit)
2.
블로우 홀(Blow hole)
3.
오버 랩(Over lap)
4.
가우징(Gouging)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우징 - 금속판의 뒷면 깎기. 용접결함부의 제거 등을 위해 금속표면에 골을 파는 것 [해설작성자 : 쏭실장]
피트 - 블로우홀이나 용융금속이 튀는 현상이 발생한 결과 용접부의 바깥면에서 나타나는 작고 오목한 구멍 블로우 홀 - 용접부에 작은 구멍이 산재되어 있는 형태 오버 랩 - 용착금속이 변끝에서 모재에 융합되지 않고 겹친 부분 [해설작성자 : 비비]
가우징 : 탄소와 흑연으로 된 카본 가우징 봉을 전극으로 사용하며, 이 전극과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의 고온열로 모재를 순간적으로 녹이고 동시에 압축공기의 강한 바람으로 용해된 금속을 불어내는 방법 [해설작성자 : 아모르파티]
64.
원심력 고강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말뚝의 이음방법 중 가장 강성이 우수하고 안전하여 많이 사용하는 이음방법은?
철근이음의 종류 중 나사를 가지는 슬리브 또는 커플러, 에폭시나 모르타르 또는 용융 금속 등을 충전한 슬리브, 클립이나 편체 등의 보조장치 등을 이용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겹침이음
2.
가스압접 이음
3.
기계적 이음
4.
용접이음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철근이음 종류 1)겹침이음: 철근이음할 1개소에 두 군데 이상 결속선(#18~20)으로 결속하는 이음 2)용접이음: 금속이 고열에 의해 융합하는 성질을 이용한 이음 3)가스압접이음: 철근의 접합면을 맞대고 압력을 가하면서 산소 아세틸렌가스의 증성염으로 가열하면 접합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접합 4)기계적 이음 - 나사이음: 철근에 숫나사를 만들고 커플러 양단을 너트로 조여 이음 - 슬리브 압착이음: 접합부재를 슬러브 속에 넣고 유압잭으로 압착 - 슬리브 충전이음: 슬리브 구멍을 통하여 에폭시나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이음 2.철근이음시 고려사항 1)철근상세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곳에 철근의 이음을 둘 경우에는 그 이음의 위치와 방법은 KDS 14 20 00의 하드 코드에 따라 정하여야 한다. 2)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다(단,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을 압축부에서 겹침이음하는 경우 D35 이하의 철근 과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있다. 3)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지름이 다른 철근)을 겹침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는 크기가 큰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작은 철근 의 겸침이음길이 중 큰 값 이싱이어야 한다. 4)철근의 이음길이는 건축구조기준 및 철근상세도에 따르며, 갈고리의 길이는 이음길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5)이음길이는 건축구조설계기준 및 철근상세도에 제시된 길이보다 짧을 수 없으며, 건축구조설계기준 및 철근배근도의 길이를 초과할 경우의 허용차는 소정길이의 10% 이내로 한다. 6)철근의 가스용접이음은 철근배근도 및 시공계획서에 위치를 표기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압점단면의 처리는 재축 에 직각되게 정확하게 절단하고 압접 작업 당일에 유해한 부착물을 연마하여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7)철근을 용접이음하는 경우, 용접부의 강도는 철근 설계기준 항복강도의 125%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8)용접이음은 철근에 묻은 기름, 먼지 및 이 물질을 청소하고 화염으로 건조시킨 후에 실시하고, 용접 후에 손상된 아연도금은 보수하여야 한다. 9)용접철망의 이음은 서로 엇갈리게 하여 일직선상에서 모두 이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음은 최소 한 칸 이상 겹치도록 하고 겹쳐지는 부분은 결속선으로 묶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paintier]
66.
R.C.D(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공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릴파이프 직경보다 큰 호박돌이 있는 경우 굴착이 불가하다.
2.
깊은 심도까지 굴착이 가능하다.
3.
시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4.
수상(해상)작업이 불가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RCD공법의 특징 - 저소음, 저진동 공법이다. - 잔교(棧橋)등에 의한 수상시공이 가능하다. - 드릴파이프 직경보다 큰 호박돌이 있는 경우 굴착이 불가능하다. - 시공속도가 빠르다. [해설작성자 : 나는 할수 있다.]
67.
보강블록공사 시 벽의 철근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근을 배근 상세도에 따라 가공하되, 그 단부는 180〬의 갈구리로 구부려 배근한다.
2.
블록의 공동에 보강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다져 넣기 때문에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다.
3.
세로근은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까지 잇지 않고 배근하여 그 정착길이는 철근 직경의 40배 이상으로 한다.
4.
벽의 세로근은 구부리지 않고 항상 진동 없이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보강블록 공사 시 - 가로근 배근 상세도에 따라 가공하되, 그 단부는 180도의 갈고리로 구부려 배근 - 블록의 공동에 보강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다져 넣기 때문에 세로줄눈은 통줄눈으로 하는 것이 좋음 - 세로근은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 까지 이음없이 배근하여 그 정착길이가 철근 직경의 40배 이상 - 철근은 굵은 것 보다 가는 철근을 많이 넣는 것이 좋음 - 보강 블록 쌓을때 세로줄눈은 통줄눈으로 하는 것이 원칙 - 블록을 쌓을때 지나치제 물축이기를 하면 팽창 수축으로 벽체에 균열이 생기기 쉬우므로 접착면에 적당히 물 축여 모르타르 경화 강도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벽체 일체화를 위한 철근콘크리트조의 테두리보의 춤은 내력벽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68.
철근공사 시 철근의 조립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이 바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결속선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2.
철근을 조립한 다음 장기간 경과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다시 조립검사를 하고 청소하여야 한다.
3.
경미한 황갈색의 녹이 발생한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이 매우 불량하므로 사용이 불가하다.
4.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고임재 및 간격재를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녹이 조금 있을 경우 부착면이 커져 부착력이 좋아집니다. 즉, 경미한 녹은 오히려 부착면을 높여 사용하는데 문제 없습니다. 다만 녹이 많고 진행이 오래되어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었으면 철근의 강도저하로 인한 시공 후에 무너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시공전에 교체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 합격기원]
KCS 14 20 11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철근공사(2022년 1월 11일 개정) 3.1.2 철근의 조립 (1) 철근의 표면에는 부착을 저해하는 흙, 기름 또는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경미한 황갈색의 녹이 발생한 철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해치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paintier]
69.
공사계약방식에서 공사실시 방식에 의한 계약제도가 아닌 것은?
1.
일식도급
2.
분할도급
3.
실비정산보수가산도급
4.
공동도급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공사 실시 방식에 따른 계약 - 일식도급 - 분할도급 - 공동도급
공사비 지불 방식에 따른 계약 - 정액도급 - 단가도급 - 실비정산보수가산도급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70.
알루미늄 거푸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으로 설치시간이 단축된다.
2.
이음매(Joint)감소로 견출작업이 감소된다.
3.
주요 시공 부위는 내부벽체, 슬래브, 계단실 벽체이며, 슬래브 필러 시스템이 있어서 해체가 간편하다.
4.
녹이 슬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전용횟수가 매우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알루미늄 거푸집 - 알루미늄 거푸집 세트는 100~150회 정도 사용 가능 (전용횟수가 높다) - 주요 시공부위는 내부벽체, 슬래브, 계단실 벽체 - 슬래브 필러 시스템이 있어 해체가 간편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주요 시공 부위는 내부벽체, 슬래브, 계단실 벽체이며, 슬래브 필러 시스템이 있어서 해체가 간편하다.
71.
철거작업 시 지중장애물 사전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변 공사장에 설치된 모든 계측기 확인
2.
기존 건축물의 설계도, 시공기록 확인
3.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공매설물 확인
4.
시험굴착, 탐사 확인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철거작업시 사전조사는 해체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moon78]
72.
벽돌쌓기 시 사전준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줄기초, 연결보 및 바닥 콘크리트의 쌓기면은 작업 전에 청소하고, 우묵한 곳은 모르타르로 수평지게 고른다.
2.
벽돌에 부착된 흙이나 먼지는 깨끗이 제거한다.
3.
모르타르는 지정한 배합으로 하되 시멘트와 모래는 건비빔으로 하고, 사용할 때에는 쌓기에 지장이 없는 유동성이 확보되도록 물을 가하고 충분히 반죽하여 사용한다.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 수평활동 거푸집이며 거푸집 전체를 그대로 떼어 다음 사용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이다.
3.
터널폼(Tunnel Form) : 한 구획 전체의 벽판과 바닥판을 ㄱ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짜서 이동시키는 형태의 기성재 거푸집이다.
4.
워플폼(Waffle Form) : 거푸집 높이는 약 1m이고 하부가 약간 벌어진 원형 철판 거푸집을 요오크(yoke)로 서서히 끌어 올리는 공법으로 Silo 공사 등에 적당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트레블링 폼 : 해체 및 이동에 편리하도록 제작한 시스템화된 이동식 거푸집으로써 건축분야에서 쉘, 아치, 돔 같은 건축물에도 적용되는 거푸집, 수평이동 거푸집이며 거푸집 전체를 그대로 떼어 다음장소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 터널 교량 지하철 등에 주로 적용 - 슬라이딩 폼 : 1일 5~10m 수직시공 가능. 시공속도 빠름. 구조물 형태에 따른 사용 제약, 돌출 구조 시 사용 불가, 시공오차 적다, 마감 작업이 동시에 진행 - 와플 폼 : 무량판구조 또는 평판구조에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커다란 스팬의 공간확보 및 층고 낮출 수 있는 거푸집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1번 : 와플폼 2번 : 트레블링 폼 4번 : 슬라이딩 폼 [해설작성자 : 건설마법사]
76.
강구조물 부재 제작 시 마킹(금긋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요부재의 강판에 마킹할 때에는 펀치(punch)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강판 위에 주요부재를 마킹할 때에는 주된 응력의 방향과 압연 방향을 일치시켜야 한다.
3.
마킹 할 때에는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 구조물의 부재로서 남을 곳에는 원칙적으로 강판에 상처를 내어서는 안된다.
4.
마킹 시 용접열에 의한 수축 여유를 고려하여 최종 교정, 다듬질 후 정확한 치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강구조물 부재 마킹 시 - 주요부재 강판에 마킹 시 펀치 등을 사용하지 않아야 함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참고]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2016 3. 시공 / 3.2 마킹(금긋기) (2) 마킹을 할 때에는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 구조물의 부재로서 남을 곳에는 원칙적으로 강판에 상처를 내어서는 안 된다. 특히, 고강도강 및 휨 가공하는 연강의 표면에는 펀치, 정 등에 의한 흔적을 남겨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paintier]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은 전문직종으로 분할하여 도급을 주는 것으로 건축주의 의도를 철저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정별 분할도급 - 장점 : 예산 배정상 구분이 편리, 부분/분할 발주 가능 - 단점 : 후속 공종 연체 및 도급업체 변경 어려움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78.
두께 110mm의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275의 항복강도(fy) 기준값은?
1.
275MPa 이상
2.
265MPa 이상
3.
245MPa 이상
4.
235MPa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두께 16mm 이하 : 275 N/mm2 이상 16mm 초과 ~ 40mm 이하 : 265 N/mm2 이상 40mm 초과 ~ 100mm 이하 : 245 N/mm2 이상 100mm 초과 : 235 N/mm2 이상 [해설작성자 : jsk3736]
79.
건설사업이 대규모화, 고도화, 다양화, 전문화 되어감에 따라 종래의 단순 기술에 의한 시공만이 아닌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업무영역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은?
1.
BTL
2.
EC
3.
BOT
4.
SOC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EC :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사업 전반에 관한 것을 종합 및 계획 관리 - BTL : 민간 도급자가 사회기반시설을 설계 시공하여 시설물을 완성한 후 국가 지자체에 소유권을 이전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시설물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는 계약 제도 - BOT : 민간 도급자가 사회간접시설을 설계 시공하여 시설물을 완성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시설물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양도하는 계약 제도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문제 해설>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팽창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약화시킨다. -> 수밀성 강화 시킨다.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플라이애시에 의한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 [해설작성자 : 이준호]
84.
대리석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황갈색의 반문이 있고 갈면 광택이 나서 우아한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것은?
1.
테라죠
2.
트래버틴
3.
석면
4.
점판암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트래버틴 : 실내장식재(외부사용 불가), 석질 불균일하고 다공질, 황갈색 반문, 물갈기 하면 광택 석면 : 단열재 보온재 등으로 사용하였으나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 규제 테라조 : 대리석, 화강암 등의 부순골재, 안료, 시멘트 등을 혼합한 콘크리트로 성형하고 경화한 후 표면을 연마하고 광택을 낸 제품 (인조석) 점판암 : 슬레이트, 지붕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85.
비스페놀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으로 얻어지며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성분계의 접착제로서 금속, 플라스틱, 도자기, 유리 및 콘크리트 등의 접합에 널리 사용되는 접착제는?
1.
실리콘수지 접착제
2.
에폭시 접착제
3.
비닐수지 접착제
4.
아크릴수지 접착제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에폭시수지 접착제 : 급경성으로 내알칼리성 등의 내화학성이나 접착력이 크고 내수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접착제로 금속 석재,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의 접착에 사용 •급결성으로 내알칼리성 등의 내화학성이나 접착력이 크다 •금속, 석재, 도자기, 글라스, 콘크리트, 플라스틱재등의 접착에 모두 사용 •방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내열성,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경화시 휘발성이 없으므로 용적의 감소가 극히 적다 •경화제, 충전제, 보강제등을 조합하여 사용 •유기용제에서는 침식되지 않는다(내용제성임) •비스페놀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반응에 의해 얻을수 있다 •내수성, 내습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다 •접착제의 성능을 지배하는 것은 경화제라고 할수 있다 •피막이 단단하고 유연성이 부족하다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86.
외부에 노출되는 마감용 벽돌로써 벽돌면의 색깔, 형태, 표면의 질감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은?
1.
광재벽돌
2.
내화벽돌
3.
치장벽돌
4.
포도벽돌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치장벽돌 : 외장에 사용하는 평판형 벽돌 불투명, 무광택의 착색제를 입힌 것 구조역할 x 입면디자인 효과 o [해설작성자 : 구룡리 물주먹]
87.
콘크리트의 블리딩 현상에 의한 성능저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2.
철근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3.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4.
콘크리트의 응결성 저하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블리딩에 의한 성능저하 현상 -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 철근과 시멘트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 콘크리트 수밀성 저하 -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88.
직사각형으로 자른 얇은 나뭇조각을 서로 직각으로 겹쳐지게 배열하고 방수성 수지로 강하게 압축 가공한 보드는?
1.
O.S.B
2.
M.D.F
3.
플로어링블록
4.
시멘트 사이딩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O.S.B : Oriented Strand Board - Strand(작은조각)들을 배열한 보드, 잘게 부순 나무를 접착,압착하여 제작되는 목재 패널 M.D.F : Medium-density fiberboard - 고운나무입자를 접착제와 섞어 압축, 가공한 목재합판. 밀도가 균등하고 표면과 단면이 깔끔한것이 특징 [해설작성자 : Pepsi]
89.
발포제로서 보드상으로 성형하여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며 천장재, 전기용품, 냉장고 내부상자 등으로 쓰이는 열가소성 수지는?
1.
폴리스티렌수지
2.
폴리에스테르수지
3.
멜라민수지
4.
메타크릴수지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폴리스티렌 수지 1. 무색투명 (착색쉬움) 2. 전기적 특성, 내화학성 , 가공성 우수 3. 단열재로 사용 -> 건축물 천장재, 블라인드 등에 쓰임. [해설작성자 : 구룡리 물주먹]
② 폴리에스테르 - 전기절연성, 내열성이 우수 - 특히 내약품성이 뛰어남 -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강화플라스틱 제조에 사용 [해설작성자 : 지나가겠습니다.]
흔히 말하는 스티로폼은 상표이름이며 정식명칭은 폴리스티렌 [해설작성자 : 오룡]
90.
블로운 아스팔트의 내열성, 내한성 등을 개량하기 위해 동물섬유나 식물섬유를 혼합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킨 것은?
1.
아스팔트 펠트(Asphalt felt)
2.
아스팔트 루핑(Asphalt roofing)
3.
아스팔트 프라이머(Asphalt primer)
4.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아스팔트 펠트 : 유기천연섬유 또는 석면섬유를 결합한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것 - 목면, 마사, 양모, 폐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두루마리 제품으로 흡수성이 크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방수효과가 적어 주로 아스팔트방수의 중간층 재료로 이용된다 * 아스팔트 루핑 : 아스팔트 펠트의 영면에 불로운 아스팔트를 가열‧용융시켜 피복한 것 - 평지붕의 방수층, 슬레이트평판, 금속판 등의 지붕깔기바탕 등에 이용 - 아스팔트 루핑의 생산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 불로운 아스팔트(블론 아스팔트) * 아스팔트 컴파운드 : 블로운 아스팔트의 내열성 내한성등을 개량하기 위해 동식물성 유지와 광물질분말을 혼합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킨 것 * 아스팔트 프라이머 : 불로운 아스팔트를 용제에 녹인 것으로 액상을 하고 있으며 아스팔트 방수의 바탕처리재로 이용 - 아스팔트 방수시공을 할 때 바탕재와의 밀착용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91.
목모시멘트판을 보다 향상시킨 것으로서 폐기목재의 삭편을 화학처리하여 비교적 두꺼운 판 또는 공동블록 등으로 제작하여 마루, 지붕, 천장, 벽 등의 구조체에 사용되는 것은?
시험방법 1)아스팔트를 가열하여 용기속에 넣고 21~29.5°C의 온도로 대기중에서 1~1.5시간 방치한다 2)시료를 이동용 접시와 함께 항온수조에 넣어 1~1.5시간 보관한다. 3)침입도계를 수평으로 놓은후 삼각대 위에 물을 채운 시료용기를 놓는다. 4)25°C의 온도에서 100g의 중량을 가진 표준침을 5초 동안 침입시킨다. 5)침입량 0.1mm를 침입도 1로 표시하고 3회 이상 실시하여 평균값을 취한다.
시험 목적 1)고체 반고체 아스팔트의 컨시스턴시 측정 2)아스팔트가 산포 혼합 되었을때 그 사용 목적에 적합한 굳기의 유무 확인
10mm관입 0.1mm = 침입도 1 10mm = 침입도 100
[출처] 아스팔트 침입도|작성자 써니 [해설작성자 : HO!]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틀비계(이동식비계) 사용기준 : 폭 40cm 이상 틈 3cm 이하 이것과 많이 헷갈릴거같네요 문제에서 묻는건 달비계이고 제가 말한건 틀비계니 헷갈리지않게 주의하세요 [해설작성자 : 산기따고 기사 또 따는애...]
106.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동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繕)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4.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해설작성자 : 김인환]
107.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안전관리 조직표
2.
전체 공정표
3.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4.
교통처리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0]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첨부서류(제42조제3항 관련) 가. 공사 개요서(별지 제101호서식) 나.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 현황을 포함한다) 다. 전체 공정표 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서(별지 제102호서식) 마. 안전관리 조직표 바.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해설작성자 : paintier]
108.
흙막이 가시설 공사 시 사용되는 각 계측기 설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침하계 – 지표면 침하량 측정
2.
수위계 – 지반 내 지하수위의 변화 측정
3.
하중계 – 상부 적재하중 변화 측정
4.
지중경사계 – 인접지반의 수평 변위량 측정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하중계는 버팀보 또는 어스앵커 등의 실제 축하중 변화상태를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꾸꾸우]
109.
일반건설공사(갑)으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인 경우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가) 및 기초액(나)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법령이 25년 2월 12일 개정되었습니다. 건축: 2.28% 토목: 2.53% 중건설: 3.05% 특수건설공사 1.59%
110.
겨울철 공사중인 건축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의 발생 원인으로 추정 가능한 사안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진동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2.
철근 사용량이 많았다.
3.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작았다.
4.
콘크리트의 타설속도가 빨랐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측압이 커져서 무너졌다. 4. 콘크리트 타설속도가 빨랐다 -->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이 증가하였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 합격기원]
추가로 1. 기온이 낮을수록 2. 투수성이 작을수록 3. 철골 및 철근량이 적을수록 측압은 커집니다.
나머지는 증가하면 측압도 같이 커진다고 보면 됩니다. (ex. 슬럼프가 클수록, 진동기를 사용해서 다질수록, 콘크리트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거푸집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해설작성자 : 탈스코해보자]
111.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투하설비 설치에 관련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15조(투하설비) [해설작성자 : 용바기염]
사업주는 높이가 3m 이상인 장소로부터 물체를 투하하는 경우 적당한 투하설비를 설치하거나 감시인을 배치하는 등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모르파티]
112.
작업중이던 미장공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공구에 의해 상해를 입었다면 어느 부분에 대한 결함이 있었겠는가?
1.
작업대 설치
2.
작업방법
3.
낙하물 방지시설 설치
4.
비계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낙하물에 의한 위험의 방지) ① 사업주는 작업장의 바닥, 도로 및 통로 등에서 낙하물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보호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작업으로 인하여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 낙하물 방지망, 수직보호망 또는 방호선반의 설치, 출입금지구역의 설정, 보호구의 착용 등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낙하물 방지망 및 수직보호망은 「산업표준화법」 제12조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이하 “한국산업표준”이라 한다)에서 정하는 성능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개정 2017. 12. 28., 2022. 10. 18.> ③ 제2항에 따라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높이 10미터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으로 할 것 2.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30도 이하를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paintier]
113.
건설현장에서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4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2.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전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3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3.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등으로 고정시킬 것
4.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나 가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등을 사용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버팀줄말 사용할 경우--->3개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206호, 시행 2018. 12. 29.) 제209조(도괴의방지) 6.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3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367호, 시행 2023.10.19.)에서 버팀줄 3개 이상 규정(6호) 삭제됨 [해설작성자 : paintier]
114.
토공사에서 성토용 토사의 일반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져진 흙의 전단강도가 크고 압축성이 작을 것
2.
함수율이 높은 토사일 것
3.
시공장비의 주행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
4.
필요한 다짐정도를 쉽게 얻을 수 있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토공사에 사용하는 토사는 함수율이 낮아야 합니다. 함수율이 낮아야 우수시, 지하수위 상승시 등의 상황에 지반유동성이 적습니다. 함수율이 높아 흙이 물을 많이 머금고 있으면 겨울철에 그 물이 얼어 도로 등이 훼손될 수 있습니다. 적당량의 함수율의 토사를 적용하는 경우는 식물을 다루는 조경(식재)공사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 합격기원]
115.
지반의 종류가 암반 중 풍화암일 경우 굴착면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기준 적용됨)
1.
1:0.5
2.
1:0.8
3.
1:1.0
4.
1:1.5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항 규칙 [별표11])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제 339조제1항 관련) ----------암반----------- 모래 : 1 : 1.8(추가) 연암 및 풍화암 : 1 : 1.0 경암 : 1 : 0.5 그 밖의 흙 : 1 : 1.2(추가) ----------보통흙---------- 습지 : 1:1.0 ~ 1:1.5 건지 : 1:0.5 ~ 1:1.0
116.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에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파쇄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 구멍에 가력봉을 삽입하고 가력봉에 유압을 가압하여 천공한 구멍을 확대시킴으로써 구조물을 파쇄하는 공법은?
1.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공법
2.
강구(Steel Ball)공법
3.
마이크로파 공법(Microwave)공법
4.
록잭(Rock Jack)공법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①.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공법: 사람이 직접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공법 ②. 강구(Steel Ball)공법: 크레인의 선단에 강구를 매달아 수직, 수평으로 타격하는 공법 ③. 마이크로파 공법(Microwave)공법: 전기에 의한 파쇄공법으로 전자레인지의 원리를 응용한 공법 [해설작성자 : 입닫아말포이]
118.
이동식비계 조립 및 사용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2.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3.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을 위한 거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 것
<문제 해설> 중량물 취급작업 시 작업계획서에는 추락, 낙하, 전도, 협착, 붕괴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을 기재해야 함. [해설작성자 : 입닫아말포이]
120.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에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3.
침하의 정도
4.
설계상 부재의 경제성 검토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 제399호, [시행 2023. 11. 14.] 제347조(붕괴 등의 위험 방지) ① 사업주는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정기적으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1.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버팀대의 긴압(緊壓)의 정도 3. 부재의 접속부ㆍ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침하의 정도 ② 사업주는 제1항의 점검 외에 설계도서에 따른 계측을 하고 계측 분석 결과 토압의 증가 등 이상한 점을 발견한 경우에는 즉시 보강조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paintier]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④
④
①
①
③
③
③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③
②
②
④
④
①
④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②
③
③
②
①
②
④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④
①
①
④
①
④
④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①
④
④
④
③
①
②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②
④
①
②
②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④
③
③
④
②
③
③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④
①
③
③
①
②
④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④
④
②
②
③
④
①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③
③
①
①
②
①
③
④
③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①
②
①
④
④
④
④
③
①
④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③
③
①
②
③
②
④
③
②
④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