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카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또는 카틀, car frame)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상부틀(또는 상부체대, cross head)
2.
카 바닥(car platform)
3.
하부틀(또는 하부체대, flank)
4.
브레이스 로드(brace road)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카플레임, 껍데기만 말하고 바닥재는 내부자재임 [해설작성자 : 진욱이아빠]
5.
승강기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승강기의 정격속도에 따라서 고속 승강기와 중저속 승강기로 구분하는데 이를 구분하는 정격속도의 크기는?
1.
3.5 m/s
2.
4 m/s
3.
4.5 m/s
4.
5 m/s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고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 m/s를 초과하는 승강기이고, 중저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m/s이하인 승강기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6.
주로 1대의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경우 적용되는 방식으로 승강장의 누름 버튼을 상승용, 하강용의 양쪽 모두 동작이 가능한 방식이며, 상승 또는 하강으로의 진행방향에 승객이 합승을 원할 경우 합승 호출에 응답하면서 운전하는 방식은?
1.
단식자동식
2.
하강 승합 전자동식
3.
승합 전자동식
4.
홀 랜턴 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72%
7.
적절한 권상능력 또는 전동기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매다는 로프의 무게에 대한 보상수단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보상수단 중 하나인 튀어오름 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엘리베이터 정격속도의 기준은?
1.
1.75 m/s를 초과한 경우
2.
2.5 m/s를 초과한 경우
3.
3.0 m/s를 초과한 경우
4.
3.5 m/s를 초과한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튀어오름방지장치(제동 또는 록다운 장치)가 장착된 인장 도르래가 있는 균형로프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0.035v2 값을 도르래의 이동 가능한 거리(사용된 로프에 따라)에 카의 주행거리의 1/500을 더한 값(로프의 탄성을 고려하여 0.2 m 이상)으로 틈새 계산을 대신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강기관리맨]
8.
카 자중 3500kg, 정격하중 2000kg, 승강행정 60m, 로프 6본, 균형추의 오버밸런스율이 40% 일 때 전부하시 카가 최상층에 있는 경우 트랙션비(권상비)는 약 얼마인가? (단, 로프는 1.2 kg/m 이고, 보상율이 90%가 되는 균형 체인을 설치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기름이 흐르도록 하는 밸브로서 상승 방향에는 흐르지만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밸브는?
1.
체크 밸브
2.
스톱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상승용 유량제어 밸브
정답 : [
1
] 정답률 : 76%
11.
엘리베이터 제어방식 중 카의 실속도와 지령속도를 비교하여 사이리스터 점호각을 바꿔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1.
교류1단 속도제어
2.
교류2단 속도제어
3.
교류귀환제어
4.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67%
12.
에스컬레이터에 진입방지대가 설치되는 경우 그 설치요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입방지대는 입구에만 설치해야 하며, 자유구역에서는 출구에 설치할 수 없다.
2.
뉴얼의 끝과 진입방지대 및 진입방지대와 진입방지대 사이의 자유로운 입구 폭은 500mm 이상이어야 하며, 사용되는 쇼핑 카트 또는 수하물 카트 유형의 폭보다 작아야 한다.
3.
진입방지대는 승강장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것도 허용되지만, 가급적이면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어야 한다.
4.
진입방지대의 높이는 700mm에서 900mm 사이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진입방지대가 사용되는 경우, 다음의 요구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가) 진입방지대는 입구에만 설치해야 한다. 자유구역에서는 출구에 설치할 수 없다. 나) 진입방지대 설계는 다른 위험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다) 뉴얼의 끝과 진입방지대 및 진입방지대와 진입방지대 사이의 자유로운 입구 폭은 500 mm 이상이어야 하며, 사용되는 쇼핑 카트 또는 수하물 카트 유형의 폭보다 작아야 한다. 라) 진입방지대의 높이는 900 mm에서 1,100 mm 사이이어야 한다. 마) 진입방지대 및 고정장치는 높이 200 mm에서 3000 N의 수평력을 견뎌야 한다. 비) 진입방지대는 가급적이면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어야 한다. 승강장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것도 허용된다. 이 경우, 마)에서 정의된 힘이 적용될 때, 영구 변형 및 틈새의 증가/추가가 없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13.
권동식(확동구동식)과 비교하여 트랙션식(마찰구동식) 권상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로프의 미끄러짐이나 주 로프 및 도르래에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2.
균형추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요 동력이 작아진다.
3.
와이어로프의 안전율이 확보되면 승강 행정에는 제한이 없다.
4.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저속에서 초고속까지 넓게 사용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권동식 권상기의 단점 1. 과하게 감는 위험이 있다. 2. 승강행정이 달라질 때 마다 다른 권동이 필요하다. 특히 높은 행정은 곤란하다 3. 균형추를 쓰지 않으므로 감아올리는 중력이 커지고, 소비전력이 크다 [해설작성자 : 김미]
14.
하나의 승강로에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경우 카 벽에 비상구출문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카 간의 수평거리는 몇 m를 초과하면 안되는가?
1.
0.8m
2.
1.0m
3.
1.2m
4.
1.5m
정답 : [
2
] 정답률 : 59%
15.
경사형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 따라 승강로 벽을 설계할 때 승강로 벽의 높이 기준은 경사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기준의 경계가 되는 경사각도는 약 몇 ° 인가?
1.
35°
2.
40°
3.
45°
4.
50°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경사형 엘베 경사각도는 45도 [해설작성자 : 김미]
16.
승강기의 정격속도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완충기로 옳은 것은?
1.
스프링 완충기
2.
유압 완충기
3.
우레탄 완충기
4.
고무 완충기
정답 : [
2
] 정답률 : 66%
17.
에스컬레이터의 공칭속도에 대한 기준이다. 괄호 안의 내용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 : 0.6, ㉡ : 0.4
2.
㉠ : 0.6, ㉡ : 0.5
3.
㉠ : 0.75, ㉡ : 0.4
4.
㉠ : 0.75, ㉡ : 0.5
정답 : [
4
] 정답률 : 65%
18.
권상식 엘리베이터에서 주 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권부각을 크게 한다.
2.
속도 변화율을 크게 한다.
3.
균형체인이나 균형로프를 설치한다.
4.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계수를 크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로프의 미끄러짐이 쉽게 발생하는 경우 1. 로프의 권부각이 작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 권부각을 크게하면 안미끄러짐 2. 카의 가속도와 감속도가 클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 속도 변화율을 작게하면 안끄러짐 3. 카측과 균형추축의 로프에 걸리는 장력비가 클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 균형체인이나 균형로프를 설치하면 장력비가 작아져 안미끄러짐 4. 로프와 도르래 간의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미끄러지기 쉽다. <> 마찰계수를 크게하면 안미끄러짐 [해설작성자 : 김미]
19.
엘리베이터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머신(door machine) 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어용 모터는 토크가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냉각시설이 필요하다.
2.
동작회수가 승강기 기동빈도의 2배 정도이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3.
주로 엘리베이터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서 소형이면서 경량일수록 좋다.
4.
도어 작동에 있어서 동작이 원활하고 소음이 적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20.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 따라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으로 틀린 것은?
1.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유효폭은 0.7m 이상으로 한다.
2.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는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는 소방관 접근 지정층에서 소방관이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하여야 한다.
4.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는 1m/s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방구조용 입구폭 800mm이상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2과목 : 승강기 설계
21.
정격속도 90m/min 인 엘리베이터 에너지분산형 완충기에 필요한 최소 행정거리는 약 몇 mm 인가?
1.
121
2.
152
3.
184
4.
213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완충기 행정구하는 공식 V^2/53.35 -> m/min 일 경우 or 0.0674*V^2 -> m/sec 일 경우 [해설작성자 : 오답체크]
22.
카 추락방지안전장치가 작동될 때, 무부하 상태의 카 바닥 또는 정격하중이 균일하게 분포된 부하 상태의 카 바닥은 정상적인 위치에서 몇 %를 초과하여 기울어지지 않아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 : [
3
] 정답률 : 66%
23.
엘리베이터 설비계획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량 계산의 결과 해당 건물의 교통 수요에 적합한 충분한 대수를 설치한다.
2.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공간은 복도의 통로가 아닌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한다.
3.
초고층 빌딩의 경우 서비스 층을 분할하는 것을 검토한다.
4.
여러 대를 설치할 경우 이용자의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 가능한 분산 배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이용자의 접근을 쉽게하려면 한곳에 모아 집중 배치하는게 좋음.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24.
비상통화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실 또는 비상구출운전을 위한 장소에는 카내와 통화할 수 있도록 규정된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내부통화 시스템 또는 유사한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2.
비상 시 안정적으로 이용자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단방향 음성통신이어야 한다.
3.
카 내에 갇힌 이용자 등이 외부와 통화할 수 있는 비상통화장치가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축물이나 고정된 시설물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장소에 2곳 이상에 설치되어야 한다.(단,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장소가 2곳 미만인 경우에는 1곳에만 설치될 수 있다.)
4.
비상통화장치는 비상통화 버튼을 한 번만 눌러도 작동되어야 하며, 비상통화가 연결되면 녹색 표시의 등이 점등되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단방향이 아니고 양방향이어야함. 단방향 : 승객 > 외부로만 소통가능 양방향 : 승객과 외부 둘다 소통 가능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25.
점차 작동형 추락방지안전장치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150m/min 일 때 다음 중 과속조절기가 작동해야 하는 엘리베이터의 속도로 적절한 것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엘리베이터안전기준 10.2.2.1.1.과속조절기에 의한 작동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가) 추락방지안전장치의 작동을 위한 과속저절기는 정격속도의 115%이상의 속도 및 다음 구분에 따른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속도 미만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1)캡티브 롤러 형을 제외한 즉시 작동형 추락방지안전장치 0.8m/s 2)캡티브 롤러 형의 추라방지안전장치 1m/s 3)정격속도1m/s이하에 사용되는 점차 작동형 추락방지안전장치 1.5m/s 4)정격속도1m/s초과에 사용되는 점차 작동형 추락방지안전장치 1.25 x V + 0.25/V m/s 정격 속도가 1m/s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에대해 4)에서 요구된값에 가능한 가까운작동속도선택이 추천된다.
속도 150m/min이므로 초당속도로 바꾸면2.5m/s 4번 적용 하여 계산 1.25 x 2.5 + 0.25/2.5 =3.225m/s 3.225m/s를 분당으로 바꾸면 3.225 x 60 = 193.5m/m 아닌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지랍퍼]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카의 정격 속도의 115% 이상, 1.25V+0.25/V(m/s) 미만에서 가이드레일을 잡아 카를 안전하게 정지 시킴 이므로 문제에선 172.5이상, 193.5미만이라서 193이 맞습니다. 출처:승강기연구회필답지(23년) [해설작성자 : 크크]
26.
전동기의 공칭회로 전압이 380V일 때 시험전압 500V 기준으로 절연 저항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3
2.
0.5
3.
1.0
4.
1.5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칭 회로 전압. / 시험 전압(V) / 절연 저항 Selv^a및 펠브>100VA / 250 / 0.5M옴 <=500 Felv^c 포함 / 500 / 1.0M옴 >500 / 1000 / 1.0M옴 실제로 승강기기사 실기에도 몇번 나온 기출이니 잘 기억하자 [해설작성자 : 슬러시맨]
27.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토크는 전동기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차 커지다가 최대 토크에 도달하면 그 이후 급격히 토크가 작아져 동기속도가 0이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최대 토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풀업토크
2.
전부하토크
3.
정동토크
4.
기동토크
정답 : [
3
] 정답률 : 52%
28.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자중 및 카에 의해 지지되는 부품의 중량은 1850kg, 정격하중은 1500kg이다. 전 부하 상태의 카가 완충기에 작용하였을 때 피트 바닥에 지지해야 하는 전체 수직력의 최소값은 약 몇 kN 인가?
1.
107
2.
114
3.
126
4.
131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4*9.8*(1850+1500) 131320N=131KN [해설작성자 : 4회차까지 앞으로 3일]
카와 완충기의 충돌을 고려한 피트 바닥강도 F = 4*g*(P+Q) (g:중력가속도 9.8, P:카에 지지되는 총 중량, Q:정격하중) 4*9.8*(1850+1500) = 131,320N = 131kN [해설작성자 : ㅎㅅㅎ]
29.
감아 걸기 전동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벨트를 사용하는 원통형 풀리는 벨트의 벗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을 약간 오목하게 한다.
2.
V-벨트를 이용하면 평벨트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비교적 소형으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3.
로프 풀리의 지름을 2배로 키우면 로프에 발생하는 굽힘응력은 1/2로 감소한다.
4.
체인과 스프로킷을 이용하면 벨트를 이용한 전동장치보다 정확한 속도비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평벨트를 사용하는 원통형 풀리는 벨트의 벗어짐을 방지하기위해 가운데 부분을 약간 높게한다 [해설작성자 : Lkb]
30.
자세 유형에 따른 피트 피난공간 크기의 최소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주택용 엘리베이터는 제외한다.)
1.
서있는 자세의 수평거리는 0.3m×0.4m 이다.
2.
웅크린 자세의 수평거리는 0.5m×0.7m 이다.
3.
서있는 자세의 높이는 2m 이다.
4.
웅크린 자세의 높이는 1m 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평거리(m x m) 높이(m) 서있는 자세 0.4 x 0.5 2 웅크린 자세 0.5 x 0.7 1 누운 자세 0.7 x 1.0 0.5 [해설작성자 : 유영훈]
31.
기어 전동의 특징을 벨트 및 로프 전동과 비교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효율이 낮다.
2.
큰 감속비를 얻기 어렵다.
3.
소음과 진동이 큰 편이다.
4.
동력전달이 불확실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32.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부분의 관성모멘트가 커야 한다.
2.
기동 토크가 커야 한다.
3.
기동 전류가 작은 편이 좋다.
4.
온도 상승에 대해 충분히 견디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회전부분의 관성모멘트가 작아야함. > 엘리베이터는 가속, 감속을 자주하기때문에 관성모멘트가 크면 제어가 어렵고 가속, 감속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함.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33.
그림과 같은 가이드레일에서 x방향 수평하중(Fx)이 12kN 작용할 때 x방향 처짐량은 약 몇 mm 인가? (단, 가이드 브래킷 사이 최대 거리는 250cm 이고, y축 단면 2차 모멘트는 26.48cm4 이며, 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10 GPa 이다. 그리고, 건물 구조의 처짐량은 무시하고, 처짐 공식은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 따른다.)
1.
34.3
2.
37.6
3.
43.5
4.
49.2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문자 복붙이 안되서 한글로 쓸게요. 시그마 (비슷한) 기호x=(0.7 x (Fx )x l^3) / (48E Iy) 여기서 시그마x=구해야할 x축의 처짐(mm) , Fx=x축의 지지력(N), l=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최대거리(mm) E=N/mm^2,Iy=y축의 단면 2차 모멘트 계산은 계산기로 하시면 되고, 단위는 변환해보셔요 ㅎ 화이팅 [해설작성자 : 슬러시맨]
34.
카 내부에 있는 사람에 의한 카문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해 카가 운행 중일 때, 카문의 개방은 몇 N 이상의 힘이 요구되어야 하는가? (단, 잠금해제구간 밖에 있을 때는 제외한다.)
1.
30 N
2.
50 N
3.
150 N
4.
300 N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8.11.2 문개방에 필요한 힘은 300N 초과해선 안됨 8.11.3 졍격속도 1m/s 초과 운행 엘리베이터 카문 개방 50N이상 단 잠금해제구간 제외 [해설작성자 : 비둘기]
35.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 따라 기계실의 크기 및 치수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구역의 유효 높이는 4m 이상이어야 한다.
2.
작업구역 간 이동통로의 유효 폭은 0.3m 이상이어야 한다.
3.
기계실 바닥에 0.3m를 초과하는 단차가 있는 경우, 고정된 사다리 또는 보호난간이 있는 계단이나 발판이 있어야 한다.
4.
보호되지 않은 회전부품 위로 0.3m 이상의 유효 수직거리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36.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로프의 공칭지름이 18mm일 때 풀리의 피치원 지름은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해당 건물은 상업용 건물이다.)
<문제 해설> 브레이드 패킹 : 섬유를 끈 모양으로 엮어 만든 패킹 코튼 패킹 : 면사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패킹으로, 저온 및 저압 환경에 적합 금속박 패킹 : 금속박을 얇게 겹쳐 만든 패킹으로, 고온 및 고압 환경에 적합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2.
드릴링 머신에서 너트나 볼트의 머리와 접촉하는 면을 평면으로 파는 작업은?
1.
리밍
2.
보링
3.
태핑
4.
스폿 페이싱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리밍: 드릴로 뚫은 구멍의 정밀도를 높이고 내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작업 2. 보링: 이미 뚫린 구멍을 더 넓고 정밀하게 가공하는 작업 3. 태핑: 구멍에 암나사산을 내는 작업 4. 스폿 페이싱: 너트나 볼트의 머리 부분이 닿는 면을 평탄하게 가공하는 작업 이렇게 가공하면 접촉면을 넓고 고르게 할 수 있어서 체결력이 높아지고, 부품의 손상을 막아준다는 장점이 있음.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문제 해설> Al(알루미늄) Cu(구리) Mg(마그네슘) Mn(망간) [해설작성자 : 이런 문제는 내지말자]
45.
하중을 물체에 작용하는 상태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장하중
2.
압축하중
3.
전단하중
4.
교번하중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장 압축 전단은 용어해석이 물체 작용상태에 따른 뜻과 관련 교번은 뜻풀디가 관련없음 [해설작성자 : 김미]
교번하중은 인장하중과 압축하중이 교대로 작용하는하중 [해설작성자 : 김진호]
46.
정밀 주조법의 일종으로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주물을 얻는 방법으로 Al 합금, Mg 합금 등에 주로 사용되는 주조법은?
1.
원심주조법
2.
다이캐스팅
3.
셀 몰드법
4.
연속주조법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조법 설명에 알루미늄 아연 구리 들어가면 다이캐스팅 다이캐스팅 : 융해된 금속을 고형에 고압으로 주입하는 방법을 말하며, 가능한 것으로는 아연 구리 알루미늄등의 합금이다. 셀 모울드 : 주물의 표면이 아름답고 정밀도가 높다. 기계 가공을 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원심 주조법 : 파이프, 피스톤링, 실린더, 라이너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철강 시험편을 오스테나이트화한 후 시험편의 한 쪽 끝에 물을 분사하여 퀜칭하는 표준시험법은?
1.
붕화
2.
복탄
3.
조미니
4.
마르에이징
정답 : [
3
] 정답률 : 51%
48.
그림과 같이 용접이음을 하였을 때 굽힘응력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용접 길이, t : 용접치수(용접판 두께), ℓ : 용접부에서 하중 작용선까지 거리, W : 작용하중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3%
49.
호칭 지름이 50mm, 피치가 2mm인 미터 가는 나사가 2줄 왼나사로 암나사 등급이 6일 때 KS 나사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왼 2줄 M50×2-6g
2.
왼 2줄 M50×2-6H
3.
2줄 M50×2-6g
4.
2줄 M50×2-6H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KS 규격 나사 표시 방법 정리] 1.방향: 왼나사 (L), 오른나사는 생략 2.줄 수: 2줄, 3줄 등 (한 줄 나사일 경우 생략) 3.나사부: M (미터 나사), Tr (사다리꼴 나사) 등 4.호칭 지름: 50mm 5.피치: 가는 나사의 경우 피치(×2)를 명시 6.등급: 암나사(내부 나사)는 대문자 H 또는 G 수나사(외부 나사)는 소문자 g 또는 h 사용
ㅡㅡㅡㅡ 위 표시방법을 적용하여 순서에 맞게 대입해보면,
1. 방향: 왼나사 2. 줄 수: 2줄 3. 나사부: M (미터 가는 나사) 4. 호칭 지름: 50 5. 피치: ×2 (가는 나사이므로 ×2표시) 6. 등급: 암나사 등급 6이므로 6H
따라서 "왼 2줄 M50×2-6H" 임.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50.
코일의 유효권수 12, 코일의 평균지름 40mm, 소선의 지름 6mm인 압축 코일 스프링에 30N의 외력이 작용할 때, 변위(mm)는 약 얼마인가? (단, 코일 스프링 재질의 전단탄성계수는 8×103N/mm2 이다.)
<문제 해설> 레이디얼베어링 : 축선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준다. 미끄럼베어링에선 저널 베어링이라고도 한다. 스러스트베어링 : 축선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준다 테이퍼베어링 : 레이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다음 중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구멍의 내경
2.
구멍의 깊이
3.
축의 편심량
4.
공작물의 두께
정답 : [
3
] 정답률 : 67%
59.
지름 8cm, 길이 200cm인 연강봉에 7000N 인장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변형량은? (단, 탄성한도 내에서 있다고 가정하며, 세로탄성계수는 2.1×106 N/cm2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