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중 국어의 특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국어의 마찰음은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3항 대립을 보인다.
     2. 국어의 단모음은 ‘ㅏ, ㅓ, ㅗ, ㅜ, ㅡ, ㅣ, ㅔ, ㅐ’로 모두 8개이다.
     3. 국어는 조사와 어미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교착어적 특성을 가진다.
     4. 국어의 어두(語頭)에는 ‘끝’과 같이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국어는 교착어 또는 첨가어의 특성을 가짐.
영어는 단어 자체가 변하는 굴절어.
한국어는 어근에 파생 접사나 어미가 붙어서 단어를 이룸.

1.국어 마찰음은 예사소리(ㅅ)-된소리(ㅆ)의 대립으로서, 거센소리가 없다.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3항의 대립으로 된 음운은 파열음과 마찰음.

2.국어 단모음은 ㅏㅐㅓㅔㅗㅚㅜㅟㅢ 10가지.

4.ㄲㄸㅃㅆㅉ 등의 된소리는 모두 하나의 자음.
둘이상의 자음인 겹자음(ㄳ ㄵ ㄶ ㄺ ㄻ ㄼ ㄽ)은 국어 어두에 올 수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의 밑줄 친 부분에는 주어 '주원'이 생략되어 있다.
     2. ㈏에서는 밑줄 친 부분뿐 아니라 '그가 성실한'도 안긴문장이다.
     3. ㈐에서 밑줄 친 부분은 부사어 구실을 하고 있다.
     4.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장 속에 안긴문장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이마에 흐르는것은 땀. 땀이 이마에 흐르다. 라는 문장이 가능. 고로 주어 '땀'이 생략되어 있음.

2. 그가 성실한'은 관형사영 어미 -ㄴ이 붙어 뒤의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절
'그가 성실한 사람'도 명사형 어미 -ㅁ이 붙어 목적어를 구성하는 명사절
관형절과 명사절은 안긴 문장이 된다.

3.'아는 것도 없이'는 서술어를 수식하는 부사어.

4.가-관형절, 나-명사절, 다-부사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한자어와 한글 독음 표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尿素 - 요소
     2. 匿名 - 익명
     3. 理髮 - 이발
     4. 雙龍 - 쌍용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龍은 뒤에 있을때는 룡. 쌍룡으로 읽어야 한다.

1,2,3은 전부 두음법칙이 적용.
뒤에 있을 때는
1.당(뇨)
2.은(닉)
3.수(리)
로 읽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중 언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언어의 자의성 : 언어 형식과 내용의 관계가 반드시 고정된 것이 아니다.
     2. 언어의 역사성 : 언어는 고정되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나 형태가 변화하기도 한다.
     3. 언어의 사회성 : 언어 내용과 형식이 일단 한 사회 속에서 약속으로 굳어지면 아무나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4. 언어의 분절성 :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 이르기까지 각 단위 혹은 단위 사이에 특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특정한 규칙이 존재하는건 언어의 체계성(규칙성)

언어의 분절성 : 연속된 세계를 언어가 분절적으로 표현.
기호의 분절 : 한 문장을 음운 형태소 단어 문장 등으로 나누는 것
개념의 분절 : 무지개를 7색으로 구분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올바른 문장은?(2015년 05월)
     1. 시민 단체는 일본 정부에 독도 문제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2. 이제 비로소 대단원(大團圓)의 막을 올리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것이다.
     3. 세종에 대해 연구한 논문과 책으로만 보아도 수백 권에 이른다.
     4. 강 교수님, 이번에 정년을 하시면서 훈장이 추서(追敍)되셨다고 들었습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에, -에게 비교.
일본정부는 무정명사. 일본정부에 가 맞음.

2.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3.연구한 논문과 읽은 책.
4.추서 : 죽은 뒤에 훈장을 줌. 수여로 변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밑줄 친 부분의 문장 성분이 다른 것은?(2019년 04월)
     1. 4월이면 매년 시에서 나무를 심었다.
     2. 어느덧 벚꽃이 활짝 피었다.
     3. 목련은 소리도 없이 진다.
     4. 사람들은 그곳에서 봄을 즐겼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에서'는 부사격조사지만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경우 주격 조사.

2.부사 활짝
3.부사절 소리도 없이
4.그곳(체언)+에서(부사격조사)

2,3,4 없어도 문장이 완성되지만 1번같은경우 문장완성이 안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으로 보았을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그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꼭 말해야 한다.'의 '-어야 하-'는 행위 양태이다.
     2. '사람들이 많길래 그냥 돌아왔어.'의 '-길래'는 인식 양태이다.
     3. '민주는 영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다.'의 '-(으)ㄹ 수 있-'은 행위 양태이다.
     4. '나는 내일 반드시 집으로 돌아가겠다.'의 '-겠-'은 인식 양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겠 은 의도를 나타내므로 행위 양태.

1.어야 하 - 의무를 나타내는 행위 양태.
2.-길래 : 추측을 나타내는 인식 양태
3.-으ㄹ : 능력을 나타내는 행위 양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설명을 참고할 때, 높임 표현의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아, 선생님께 여쭤 보고 결정해라.
     2. 혜정아, 아버지께 전화를 드리고 나가니?
     3. 영수야, 주말에 할머닐 모시고 동물원에 가자.
     4. 영수야, 새벽만 되면 할아버지께서는 어디에 가실까?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선생님+께 여쭤-> 객체높임
2. 아버지+께 드리고 -> 객체높임
3. 할머니+모시고 -> 객체높임

4. 서술어 가실까의 해당하는 할아버지는 주체. 따라서 주체높임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ㄷ/', '/ㄸ/', '/ㅌ/' 소리의 공통 자질로만 묶어 놓은 것은?(2014년 03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ㄷㄸㅌ 는 파열음이면서 치조음(혀끝소리)

ㄱ은 비음 ㄴㅁㅇ
ㄴ은 자음
ㄷ은 경구개음. ㅈㅉㅊ
ㅁ은 파열음.

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2.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3.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4.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합리적이기보다는 -> 보다'는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조사. 붙여쓴다.

1,2 만큼,뿐 체언 뒤에서 조사이므로 붙여씀.
4.따위 의존명사 띄어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과 같은 글을 읽을 때, 유의할 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핵심 내용을 확인하며 읽는다.
     2. 사실과 주장을 주의하며 읽는다.
     3. 정서적이거나 공감이 되는 부분을 찾아 읽는다.
     4. 자료의 출처가 믿을 만한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13. 다음 중 문학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자연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사상과 감정의 표현을 중시하며, 현실의 제약으로부터 탈피하여 꿈과 이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조이다.
     2. '반영론적 관점'은 문학과 사회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의미한다.
     3. '패관문학'은 민간에서 수집한 이야기를 윤색하여 창작한, 흥미 본위의 문학을 말한다.
     4. '세태소설'은 특정한 시기의 풍속이나 사회의 한 단면이 변모하는 모습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소설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14. 윗글의 ㈎∼㈒의 요지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 ㈏는 인재가 버려지고 있는 현실을 기술하고 있다.
     2. ㈐는 버려진 인재의 참담한 생활에 대한 내용이다.
     3. ㈑는 인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옹호하고 있다.
     4. ㈒는 지역을 따져 인재를 등용하는 것의 부당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3. 설인귀,구준의 사례를 근거로 인재에 대한 인식을 옹호하는것이 아니라 비판하고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 머리곰 : '멀리멀리'의 의미로서 시적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2. ㉡ 졈그ᄅᆞᆯ셰라 : '저물까 두렵다'의 의미로서 야간에 남편이 해를 입을까 걱정하는 시적 화자의 심리가 나타난다.
     3. ㉢ 믜리도 괴리도 없이 :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의 의미로서 고독한 운명을 수용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4. ㉣ 드로라 : '듣는가'의 의미로서 비록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임과 함께 신비로운 소리를 듣기를 바라는 시적 화자의 바람을 드러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달님이시어 높이 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춰주소서
시장에 가 계신가요?
위험한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들고계신 짐을) 놓으십시오.
당신 가시는 곳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어디다 던지는 돌인가, 누굴 맞히려는 돌인가.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어 맞아서 울고 있노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
나문재, 굴, 조개 먹고, 바다에 살겠노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1.곰 은 강조의 의미. 머리곰은 멀리멀리
2.졈그랄셰라. ㄹ셰라 는 ~할까 두렵다의 의미. 저물까 두렵다. -> 화자의 염려
3.믜다-미워하다 괴다-사랑하다. 고독한 운명을 수용하는 태도.

4.드로라 - 듣노라.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길 바라는 시적 화자의 절박한 심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글에서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1년 03월)

    

     1. 國粹主義
     2. 衛正斥邪
     3. 嘗糞之徒
     4. 橘化爲枳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國粹主義 국수주의
2.衛正斥邪 위정척사
3.嘗糞之徒 상분지도 - 변을 맛보는 무리라는 뜻으로, 남에게 아첨하여 부끄러운 짓도 서슴없이 하는 사람들을 비유
4.橘化爲枳 귤화위지 -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
[해설작성자 : 공시생임]

17. ㈎~㈔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5년 09월)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관동별곡의 순서를 묻는 문제.
죽림에 누웠다가 임금의 성은으로 강원도로 가서 내금강과 외금강의 경치를 보고 꿈에서 신선을 만나 내적 갈등을 푼 후, 잠에서 깨어나 임금의 은혜가 천산만락에 펼쳐 있음을 노래.

나. 부임->가.진헐대 조망->마.개심대(인재양성 포부)->라.화룡소(썬정에의 포부)->바.산영루(신선사상)->사.망양정(파도의 장관)->다.망양정(자리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한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시적 정서가 가장 유사한 것은?(2017년 03월)

    

     1. 이화우(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이별ᄒᆞᆫ 님,
추풍 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천 리에 외로운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2.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ᄌᆞ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 업시 늘그리라.
     3.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ᄂᆞ다.
유자(柚子)ㅣ 안이라도 품엄 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 가 반기리 업슬ᄉᆡ 글노 설워ᄒᆞᄂᆞ이다.
     4. 흥망(興亡)이 유수(有數)ᄒᆞ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ᄂᆞᆫ 객(客)이 눈물계워 ᄒᆞ노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910년 매천야록 황현의 절명시.

조수애명해악빈
새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도 찡그리네
근화세계이침륜
무궁화 온 세상이 이젠 망해버렸어라
추등엄권회천고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지난 날 생각하니
난작인간식자인
인간세상 글 아는 사람 노릇 어렵기만 하구나.

1.나라 잃은 지식인의 고뇌와 절망의 ㅅ미정을 고백적 어조로 표현
2.활유법,과장법,대유법,의인법,감정 이입 등 다양한 시적 기법 활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빈 괄호 속에 들어갈 한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一刀兩斷
     2. 一魚濁水
     3. 一望無際
     4. 一擧兩得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일도양단 - 칼로 대번 쳐서 두 토막을 냄. 머뭇거리지 않음.
일어탁수 -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 한명 잘못으로 여러 피해를 입음
일망무제 - 한눈에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일거양득 - 한가지 일을 하여 두가지 이익을 얻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중 부자연스럽거나 잘못된 문장을 고친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우리는 비속어의 과도한 사용을 삼가해야 한다.
→ 우리는 비속어의 과다한 사용을 삼가해야 한다.
     2. 나는 부대에 있는 오빠를 만나기 위해 면회 접수를 하고 기다렸다.
→ 나는 부대에 있는 오빠를 만나기 위해 면회 신청을 하고 기다렸다.
     3. 그는 비가 오는 날마다 강수량을 측정한다.
→ 그는 비가 오는 날마다 강우량을 측정한다.
     4. 그녀는 한문으로 자기의 이름을 적어 보여 주었다.
→ 그녀는 한자로 자기의 이름을 적어 보여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우리는 비속어의 '과도한' 사용을 '삼가야' 한다.
과도하다 - 정도에 지나치다.
과다하다 - 너무 많다.

강수량 - 비 눈 우박 등 구름으로부터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
강우량 - 순수한 비만을 측정한 값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중 국어의 특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국어의 마찰음은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3항 대립을 보인다.
     2. 국어의 단모음은 ‘ㅏ, ㅓ, ㅗ, ㅜ, ㅡ, ㅣ, ㅔ, ㅐ’로 모두 8개이다.
     3. 국어는 조사와 어미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교착어적 특성을 가진다.
     4. 국어의 어두(語頭)에는 ‘끝’과 같이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국어는 교착어 또는 첨가어의 특성을 가짐.
영어는 단어 자체가 변하는 굴절어.
한국어는 어근에 파생 접사나 어미가 붙어서 단어를 이룸.

1.국어 마찰음은 예사소리(ㅅ)-된소리(ㅆ)의 대립으로서, 거센소리가 없다.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3항의 대립으로 된 음운은 파열음과 마찰음.

2.국어 단모음은 ㅏㅐㅓㅔㅗㅚㅜㅟㅢ 10가지.

4.ㄲㄸㅃㅆㅉ 등의 된소리는 모두 하나의 자음.
둘이상의 자음인 겹자음(ㄳ ㄵ ㄶ ㄺ ㄻ ㄼ ㄽ)은 국어 어두에 올 수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의 밑줄 친 부분에는 주어 '주원'이 생략되어 있다.
     2. ㈏에서는 밑줄 친 부분뿐 아니라 '그가 성실한'도 안긴문장이다.
     3. ㈐에서 밑줄 친 부분은 부사어 구실을 하고 있다.
     4.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문장 속에 안긴문장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이마에 흐르는것은 땀. 땀이 이마에 흐르다. 라는 문장이 가능. 고로 주어 '땀'이 생략되어 있음.

2. 그가 성실한'은 관형사영 어미 -ㄴ이 붙어 뒤의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절
'그가 성실한 사람'도 명사형 어미 -ㅁ이 붙어 목적어를 구성하는 명사절
관형절과 명사절은 안긴 문장이 된다.

3.'아는 것도 없이'는 서술어를 수식하는 부사어.

4.가-관형절, 나-명사절, 다-부사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 한자어와 한글 독음 표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尿素 - 요소
     2. 匿名 - 익명
     3. 理髮 - 이발
     4. 雙龍 - 쌍용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4.龍은 뒤에 있을때는 룡. 쌍룡으로 읽어야 한다.

1,2,3은 전부 두음법칙이 적용.
뒤에 있을 때는
1.당(뇨)
2.은(닉)
3.수(리)
로 읽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중 언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언어의 자의성 : 언어 형식과 내용의 관계가 반드시 고정된 것이 아니다.
     2. 언어의 역사성 : 언어는 고정되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나 형태가 변화하기도 한다.
     3. 언어의 사회성 : 언어 내용과 형식이 일단 한 사회 속에서 약속으로 굳어지면 아무나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4. 언어의 분절성 :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단위에 이르기까지 각 단위 혹은 단위 사이에 특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특정한 규칙이 존재하는건 언어의 체계성(규칙성)

언어의 분절성 : 연속된 세계를 언어가 분절적으로 표현.
기호의 분절 : 한 문장을 음운 형태소 단어 문장 등으로 나누는 것
개념의 분절 : 무지개를 7색으로 구분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올바른 문장은?(2015년 05월)
     1. 시민 단체는 일본 정부에 독도 문제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2. 이제 비로소 대단원(大團圓)의 막을 올리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것이다.
     3. 세종에 대해 연구한 논문과 책으로만 보아도 수백 권에 이른다.
     4. 강 교수님, 이번에 정년을 하시면서 훈장이 추서(追敍)되셨다고 들었습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에, -에게 비교.
일본정부는 무정명사. 일본정부에 가 맞음.

2.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3.연구한 논문과 읽은 책.
4.추서 : 죽은 뒤에 훈장을 줌. 수여로 변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밑줄 친 부분의 문장 성분이 다른 것은?(2019년 04월)
     1. 4월이면 매년 시에서 나무를 심었다.
     2. 어느덧 벚꽃이 활짝 피었다.
     3. 목련은 소리도 없이 진다.
     4. 사람들은 그곳에서 봄을 즐겼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에서'는 부사격조사지만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경우 주격 조사.

2.부사 활짝
3.부사절 소리도 없이
4.그곳(체언)+에서(부사격조사)

2,3,4 없어도 문장이 완성되지만 1번같은경우 문장완성이 안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으로 보았을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그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꼭 말해야 한다.'의 '-어야 하-'는 행위 양태이다.
     2. '사람들이 많길래 그냥 돌아왔어.'의 '-길래'는 인식 양태이다.
     3. '민주는 영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다.'의 '-(으)ㄹ 수 있-'은 행위 양태이다.
     4. '나는 내일 반드시 집으로 돌아가겠다.'의 '-겠-'은 인식 양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겠 은 의도를 나타내므로 행위 양태.

1.어야 하 - 의무를 나타내는 행위 양태.
2.-길래 : 추측을 나타내는 인식 양태
3.-으ㄹ : 능력을 나타내는 행위 양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설명을 참고할 때, 높임 표현의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아, 선생님께 여쭤 보고 결정해라.
     2. 혜정아, 아버지께 전화를 드리고 나가니?
     3. 영수야, 주말에 할머닐 모시고 동물원에 가자.
     4. 영수야, 새벽만 되면 할아버지께서는 어디에 가실까?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선생님+께 여쭤-> 객체높임
2. 아버지+께 드리고 -> 객체높임
3. 할머니+모시고 -> 객체높임

4. 서술어 가실까의 해당하는 할아버지는 주체. 따라서 주체높임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ㄷ/', '/ㄸ/', '/ㅌ/' 소리의 공통 자질로만 묶어 놓은 것은?(2014년 03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ㄷㄸㅌ 는 파열음이면서 치조음(혀끝소리)

ㄱ은 비음 ㄴㅁㅇ
ㄴ은 자음
ㄷ은 경구개음. ㅈㅉㅊ
ㅁ은 파열음.

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2.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3.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4.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합리적이기보다는 -> 보다'는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조사. 붙여쓴다.

1,2 만큼,뿐 체언 뒤에서 조사이므로 붙여씀.
4.따위 의존명사 띄어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밑줄 친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은 풀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측면을 묘사한 것이다.
     2. ㉡은 봄바람으로 풀의 조언자를 의미한다.
     3. ㉢은 풀의 강인함을 나타낸 것이다.
     4. ㉣은 풀이 더 심하게 밑둥까지 쓰러져 눕는다는 뜻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동풍은 풀을 핍박하는 억압자로 해석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다음과 같은 글을 읽을 때, 유의할 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핵심 내용을 확인하며 읽는다.
     2. 사실과 주장을 주의하며 읽는다.
     3. 정서적이거나 공감이 되는 부분을 찾아 읽는다.
     4. 자료의 출처가 믿을 만한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13. 다음 중 문학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자연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사상과 감정의 표현을 중시하며, 현실의 제약으로부터 탈피하여 꿈과 이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조이다.
     2. '반영론적 관점'은 문학과 사회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의미한다.
     3. '패관문학'은 민간에서 수집한 이야기를 윤색하여 창작한, 흥미 본위의 문학을 말한다.
     4. '세태소설'은 특정한 시기의 풍속이나 사회의 한 단면이 변모하는 모습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소설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14. 윗글의 ㈎∼㈒의 요지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 ㈏는 인재가 버려지고 있는 현실을 기술하고 있다.
     2. ㈐는 버려진 인재의 참담한 생활에 대한 내용이다.
     3. ㈑는 인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옹호하고 있다.
     4. ㈒는 지역을 따져 인재를 등용하는 것의 부당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3. 설인귀,구준의 사례를 근거로 인재에 대한 인식을 옹호하는것이 아니라 비판하고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 머리곰 : '멀리멀리'의 의미로서 시적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2. ㉡ 졈그ᄅᆞᆯ셰라 : '저물까 두렵다'의 의미로서 야간에 남편이 해를 입을까 걱정하는 시적 화자의 심리가 나타난다.
     3. ㉢ 믜리도 괴리도 없이 :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의 의미로서 고독한 운명을 수용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4. ㉣ 드로라 : '듣는가'의 의미로서 비록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임과 함께 신비로운 소리를 듣기를 바라는 시적 화자의 바람을 드러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달님이시어 높이 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춰주소서
시장에 가 계신가요?
위험한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들고계신 짐을) 놓으십시오.
당신 가시는 곳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어디다 던지는 돌인가, 누굴 맞히려는 돌인가.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어 맞아서 울고 있노라
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
나문재, 굴, 조개 먹고, 바다에 살겠노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1.곰 은 강조의 의미. 머리곰은 멀리멀리
2.졈그랄셰라. ㄹ셰라 는 ~할까 두렵다의 의미. 저물까 두렵다. -> 화자의 염려
3.믜다-미워하다 괴다-사랑하다. 고독한 운명을 수용하는 태도.

4.드로라 - 듣노라.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길 바라는 시적 화자의 절박한 심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글에서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1년 03월)

    

     1. 國粹主義
     2. 衛正斥邪
     3. 嘗糞之徒
     4. 橘化爲枳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國粹主義 국수주의
2.衛正斥邪 위정척사
3.嘗糞之徒 상분지도 - 변을 맛보는 무리라는 뜻으로, 남에게 아첨하여 부끄러운 짓도 서슴없이 하는 사람들을 비유
4.橘化爲枳 귤화위지 -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
[해설작성자 : 공시생임]

17. ㈎~㈔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2015년 09월)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관동별곡의 순서를 묻는 문제.
죽림에 누웠다가 임금의 성은으로 강원도로 가서 내금강과 외금강의 경치를 보고 꿈에서 신선을 만나 내적 갈등을 푼 후, 잠에서 깨어나 임금의 은혜가 천산만락에 펼쳐 있음을 노래.

나. 부임->가.진헐대 조망->마.개심대(인재양성 포부)->라.화룡소(썬정에의 포부)->바.산영루(신선사상)->사.망양정(파도의 장관)->다.망양정(자리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한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시적 정서가 가장 유사한 것은?(2017년 03월)

    

     1. 이화우(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이별ᄒᆞᆫ 님,
추풍 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천 리에 외로운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2.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ᄌᆞ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 업시 늘그리라.
     3.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ᄂᆞ다.
유자(柚子)ㅣ 안이라도 품엄 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 가 반기리 업슬ᄉᆡ 글노 설워ᄒᆞᄂᆞ이다.
     4. 흥망(興亡)이 유수(有數)ᄒᆞ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ᄂᆞᆫ 객(客)이 눈물계워 ᄒᆞ노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910년 매천야록 황현의 절명시.

조수애명해악빈
새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도 찡그리네
근화세계이침륜
무궁화 온 세상이 이젠 망해버렸어라
추등엄권회천고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지난 날 생각하니
난작인간식자인
인간세상 글 아는 사람 노릇 어렵기만 하구나.

1.나라 잃은 지식인의 고뇌와 절망의 ㅅ미정을 고백적 어조로 표현
2.활유법,과장법,대유법,의인법,감정 이입 등 다양한 시적 기법 활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빈 괄호 속에 들어갈 한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一刀兩斷
     2. 一魚濁水
     3. 一望無際
     4. 一擧兩得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일도양단 - 칼로 대번 쳐서 두 토막을 냄. 머뭇거리지 않음.
일어탁수 -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 한명 잘못으로 여러 피해를 입음
일망무제 - 한눈에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일거양득 - 한가지 일을 하여 두가지 이익을 얻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중 부자연스럽거나 잘못된 문장을 고친 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우리는 비속어의 과도한 사용을 삼가해야 한다.
→ 우리는 비속어의 과다한 사용을 삼가해야 한다.
     2. 나는 부대에 있는 오빠를 만나기 위해 면회 접수를 하고 기다렸다.
→ 나는 부대에 있는 오빠를 만나기 위해 면회 신청을 하고 기다렸다.
     3. 그는 비가 오는 날마다 강수량을 측정한다.
→ 그는 비가 오는 날마다 강우량을 측정한다.
     4. 그녀는 한문으로 자기의 이름을 적어 보여 주었다.
→ 그녀는 한자로 자기의 이름을 적어 보여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우리는 비속어의 '과도한' 사용을 '삼가야' 한다.
과도하다 - 정도에 지나치다.
과다하다 - 너무 많다.

강수량 - 비 눈 우박 등 구름으로부터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
강우량 - 순수한 비만을 측정한 값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1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93456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0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08342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9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7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90130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6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10638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4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3673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3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59943)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52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51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16484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8
50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9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130982)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609351)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7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6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45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21685)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4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43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30808)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