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 수술실과 같이 외부 오염공기와 침입을 피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환기방법은?(2019년 04월)
1.
압입식 환기법
2.
흡출식 환기법
3.
병용식 환기법
4.
자연식 환기법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 3번
병원 수술실은 병용식 강제 급배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답 1번 맞음 건축설비기사 이상화 지음 요약 및 문제지 확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수술실은 일반적으로 제1종 환기법(병용식)을 사용합니다. 제 2종 환기(압입식) 경우 실내의 압력이 정압(+), 다른 실에서의 공기 침입이 없으므로 병원의 수술실과 같이 외부의 오염공기 침입을 피하는 실에도 이용됩니다. 3번이 정답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설비고수]
[오류신고 반론] 설비고수님 설명은 1번으로 하고 3번이라네요? [해설작성자 : 똘똘이파파]
철근콘크리트 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이어붓기를 할 때 그 위치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의 단부
2.
스팬의 1/8 지점
3.
스팬의 1/5 지점
4.
스팬의 1/2 지점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이어붓기를 할 때는 응력이 가장 적은 곳(스팬의 1/2지점)에서 한다 [해설작성자 : konggo]
12.
종합병원에서 클로즈드 시스템(closed system)의 외해 진료부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부속 진료시설을 인접하게 하여 이용이 편리하게 한다.
2.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3.
내과계통은 진료검사에 시간을 요하므로 소진료실을 다수 설치하는 것보다 대진료실을 1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실내환경에 대한 배려로서 환자의 심리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환경심리적 요인을 반영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13.
사무소 건물의 코어계획(core pla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3년 08월)
1.
임대 면적이 작아진다.
2.
코어의 외벽을 내진벽으로 할 수 있다.
3.
설비계통을 집중시킬 수 있다.
4.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14.
중앙에 케이스, 대 등에 의한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고리모양부분을 설치하고 이 안에 레지스터, 포장대 등을 놓는 상점의 평면배치 형식은?(2017년 09월)
1.
굴절배열형
2.
직렬배열형
3.
환상배열형
4.
복합형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굴절배열형 - 진열장 배치와 고객동선이 굴절 또는 직선인것, 대면판매와 측면판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직렬배열형 - 통로가 직선이며 고객흐름이 빠르다. 환상배열형 - 중앙에 키이스 등에 의한 직선이 도는 곡선에 의한 환상 부분을 설치한 형식 복합형 - 위에 배열형 복합한 형식
15.
단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단열효과가 좋다
2.
공기층은 기밀성이 떨러져도 단열효과에는 영향이 없다.
3.
단열재에 수분이 침투하면 단열성이 매우 나빠진다.
4.
10cm 공기층을 1개층 설치하는 것보다 5cm 공기층을 2개층 설치하는 것이 단열에 유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16.
아파트 건축의 각 평면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편복도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2.
집중형은 채광조건이 양호하며 각 세대의 환경조건이 균일하다.
3.
중복도형은 대지에 대해서 건물이용도가 높다.
4.
홀형은 통행과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17.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결하는 전단연결철물(shear connector)로 사용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스터드 볼트
2.
고장력 볼트
3.
앵커 볼트
4.
TC 볼트
정답 : [
1
] 정답률 : 81%
18.
건축의 생산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치수조정(modular coordination)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설계 작업이 단순해진다.
2.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3.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4.
치수비가 황금비로 되어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19.
철골구조 용접에서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되는 부분은?(2019년 03월)
1.
언더컷
2.
블로홀
3.
오버랩
4.
피트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언더컷은 용접 후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되는 부분을 말합니다. 언더컷은 용접 전 모재의 청소 상태가 불량하거나, 용접 전류가 너무 낮거나,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정s]
20.
상점을 계획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종업원의 동선은 가능한 길게 하고, 고객의 동선은 가능한 짧게 한다.
2.
심리적인 저항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매장을 계획한다.
3.
외관이 고객에게 좋은 인상을 주도록 한다.
4.
상점내의 동선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2%
2과목 : 위생설비
21.
양수펌프의 크기 결정에 있어서 실양정(actual head)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2009년 08월)
1.
흡입 실양정 + 토출 실양정
2.
흡입 실양정 + 압력수두
3.
흡입 실양정 + 속도수두
4.
토출 실양정 + 토출관 내 전손실수두
정답 : [
1
] 정답률 : 63%
22.
다음은 기구배수부하단위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내용은?(2021년 09월)
1.
12.5 L/min
2.
22.5 L/min
3.
28.5 L/min
4.
35.5 L/min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구배수부하단위(FU)는 세면기의 배수량(28.5L/min)을 기준으로 단위화한것
기구급수부하단위(FU)는 세면기의 급수량(14L/min)을 기준으로 단위화한것 [해설작성자 : 어쩔티브이]
23.
다음의 급수방식 중 설비비 및 유지관리 비용이 가장 저렴한 방식은?(2014년 03월)
1.
수도직결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펌프직송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82%
24.
다음 중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것은?(2015년 09월)
1.
세면기
2.
대변기
3.
식기세정기
4.
청소용 싱크
정답 : [
3
] 정답률 : 81%
25.
관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시 필요 없는 것은?(2017년 05월)
1.
균등수
2.
유량선도
3.
기구의 접속관경
4.
기구의 동시사용률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량선도는 급수부하단위(FU)를 이용하여 동시 사용 유량을 구한 뒤 유량 선도에서 관경을 구할 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konggo]
26.
다음의 통기배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통기관과 우수수직관은 겸용하는 것이 좋다.
2.
간접배수계통의 통기관은 다른 통기계통에 접속하지 말고 단독으로 대기 중에 개구한다.
3.
각개통기방식에서는 반드시 통기수직관을 설치한다.
4.
배수수직관의 상부는 연장하여 신정통기관으로 사용하여 대기 중에 개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27.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급탕배관에는 팽창관이 필요하다.
2.
급탕순환방식에는 중력식과 강제식이 있다.
3.
급탕규모가 큰 곳에는 환탕관에 순환펌프를 설치한다.
4.
급탕배관에는 보온재를 사용해야 하나 환탕배관은 보온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급탕설비의 저탕조와 배관(급탕관, 환탕관)은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두 보온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2. 활성오니법 (접촉폭기) 호기성 조건하에서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기질(基質)로 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호흡 및 합성과정을 통해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으로서 활성오니법이 있으며, 활성오니공법의 원리를 이용한 변법으로서 계단식포기(Step Aeration), 접촉안정법(Contact Stabilization), 개량폭기법(Modified Aeration), 장기폭기법(Extended Aeration), 순수산소 활성슬러지법(Pure Oxygen Activated Sludge)이 있다.
3. 회전원판법 폐수의 흐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중의 플라스틱 원판은 축이 회전함에 따라 원판 위에 부착된 미생물은 폐수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미생물은 유기물을 흡수하고 과잉의 미생물은 탈리하게된다. 또한 미생물이 대기에 노출될 때 산소를 흡수하여 호기성상태가 되도록 하여 미생물이 대사에 의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며, 단단회전원판접촉조(Single-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과 다단회전원판접촉조(Multi-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이있다.
- HBC 공법 Lace or Loop의 HBC-Ring에 부착성장한 미생물막과 수중의 유기물과의 번복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즉, 폭기조의 측면에서 공기를 공급하면 수중에 산소가 용해되며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오염된 물고 의교반이 이루어진다. 이때 HBC-Ring에 부착된 미생물군과 수중의 오염물질이 반복 접촉하여 유기성 오염물의 산화, 분해가 이루어지며 링 내부에 증식하는 혐기성균에 의해 잉여오니는 분해되므로 오니발생량이 저감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출처] (설비) HBC공법 폐수처리장 [해설작성자 : AKI]
33.
다음 중 워터해머의 방지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워터해머흡수기를 적절하게 설치한다.
2.
관내의 수압이 평상시 높아지지 않도록 구획한다.
3.
배관은 가능한 한 직선이 되지 않고 우회하도록 계획한다.
4.
수압이 0.4MPa을 초과하는 계통에는 감압밸브를 부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감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배관이 우회하면, 우회하는 구간에서 물이 부딪히고, 그 결과로 수압이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이거겠지]
34.
연면적 3000m2의 사무소 건물에 필요한 급수량은? (단, 이 건물의 유효 바닥면적은 연면적의 60%이고, 유효 면적당 인원은 0.2인/m2, 1인 1일당 급수량은 100L이다.)(2014년 09월)
<문제 해설> 관류보일러는 보유수량이 적기 때문에 시동시간이 짧고,고가이며 소음이 크다. 소규모 패키지 공조용에 많이 이용된다. 관류보일러는 하나의 관 내를 흐르는 동안에 예열, 가열, 증발, 과열이 행해져 과열 증기를 얻기 위한 것으로 보유수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44.
증기배관에서의 증기유속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저압 증기관 : 최소 10m/s, 고압 증기관 : 최소 70m/s
2.
저압 증기관 : 최소 18m/s, 고압 증기관 : 최대 60m/s
3.
저압 증기관 : 최대 25m/s, 고압 증기관 : 최소 55m/s
4.
저압 증기관 : 최대 35m/s, 고압 증기관 : 최대 45m/s
정답 : [
4
] 정답률 : 41%
45.
어느 작업장의 발생현열량이 2,900㎉/h일 때 필요 환기량(m3/hr)은? (단, 허용실내온도 36℃, 실외온도 28℃로 한다.)(2005년 05월)
<문제 해설> 2중 덕트방식은 하나의 공조기로 여러 개의 실이나 존을 제어할 수 있다. 전공기방식에 속하며 냉.온풍의 혼합으로 손실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51.
공기여과기를 통과하기 전의 오염농도 C1= 0.45mg/m3, 통과한 후의 오염농도 C2= 0.12mg/m3이다. 이 여과기의 여과효율은?(2012년 03월)
1.
약 27%
2.
약 42%
3.
약 58%
4.
약 73%
정답 : [
4
] 정답률 : 69%
52.
실용적 V = 3000m3, 재실자 350인의 집회실이 있다. 실내온도 tt = 19℃로 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은? (단, 외기온도는 t0= 15℃, 재실자 1인당의 발열량은 70kcal/h, 실의 손실열량 Ht = 3400kcal/h, 공기의 비중량 v = 1.2kg/m3, 공기의 비열 Cp = 0.24kcal/kg.. ℃ 이다.)(2007년 09월)
1.
10250m3/h
2.
13750m3/h
3.
18320m3/h
4.
21380m3/h
정답 : [
3
] 정답률 : 37%
53.
기온·습도·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 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2020년 08월)
1.
등가온도
2.
작용온도
3.
등온지수
4.
유효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79%
54.
유리창으로부터의 일사열 취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유리의 면적이 클수록 취득열량이 많다.
2.
투과율이 클수록 취득열량이 적다.
3.
복층유리는 열관류율이 작다.
4.
반사유리는 여름철 취득열량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55.
에어와셔의 통과공기량이 20000kg/h, 수량(水量)이 15600kg/h이고, 입구공기의 엔탈피 23.9kJ/kg, 출 구공기의 엔탈피 26.8kJ/kg 일 때,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은? (단, 에어와셔의 출구 수온은 9.3℃, 물의 비열은 4.19kJ/kg · K 이다.)(2012년 05월)
1.
8.4℃
2.
9.7℃
3.
10.2℃
4.
11.5℃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먼저, 주어진 값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000kg/h⋅(26.8kJ/kg−23.9kJ/kg)=15600kg/h⋅4.19kJ/kg⋅K⋅(Tin, water−9.3℃) 이를 정리하면, 58000kJ/h=65424kJ/h⋅K⋅(Tin, water−9.3℃) 따라서, Tin, water=65424kJ/h⋅K58000kJ/h+9.3℃ 위의 식을 계산하면,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값을 계산해보겠습니다. 계산 결과,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은 약 10.16℃ 입니다. 이 값은 근사치이며, 실제 값은 사용하는 계산기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결과는 에어와셔의 입구에서 물의 온도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에어와셔의 성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56.
공기조화 용어 중 엔탈피(Enthalpy)가 의미하는 것은?(2019년 04월)
1.
비체적
2.
비습도
3.
전열량
4.
현열량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엔탈피는 공기가 가지는 전열량으로 현열과 잠열의 합이다 [해설작성자 : konggo]
57.
다익형 송풍기의 압력 및 효율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최고압력점의 오른쪽 영역에서 최고 효율점이 존재 한다.
2.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동력이 현저히 증가한다.
3.
최고압력점 왼쪽영역에서 압력이 감소한다.
4.
일반적으로 고압의 공조용으로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58.
냉방부하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외벽구조에 따라 상당온도차는 다르게 나타난다.
2.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는 현열과 잠열 모두 고려한다.
3.
틈새바람량 계산법으로는 틈새법, 면적법, 환기횟수법 등이 있다.
4.
유리를 통한 열부하는 일사에 의한 직접 열 취득만을 고려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 일사에 의한 취득열량+ 관류에 의한 취득열량 [해설작성자 : 윤자윤자윤]
59.
습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습공기를 가열하면 비체적이 감소한다.
2.
습공기를 가열하면 상대습도가 감소한다.
3.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가 감소한다.
4.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가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60.
증기난방에서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EDR) 계산에 사용되는 표준 방열량은?(2017년 03월)
1.
450W/m2
2.
523W/m2
3.
650W/m2
4.
756W/m2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50kcal/m^2 온수 650kcal/m^2 증기 523W/m^2 온수 756W/m^2 증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은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 : [
3
] 정답률 : 66%
84.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한 건축물 중 건축물의 건축주가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로부터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받아 착공신고 시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표준설계도서에 따라 건축하는 건축물은 제외)(2021년 03월)
병원의 수술실과 같이 외부 오염공기와 침입을 피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환기방법은?(2019년 04월)
1.
압입식 환기법
2.
흡출식 환기법
3.
병용식 환기법
4.
자연식 환기법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 3번
병원 수술실은 병용식 강제 급배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답 1번 맞음 건축설비기사 이상화 지음 요약 및 문제지 확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수술실은 일반적으로 제1종 환기법(병용식)을 사용합니다. 제 2종 환기(압입식) 경우 실내의 압력이 정압(+), 다른 실에서의 공기 침입이 없으므로 병원의 수술실과 같이 외부의 오염공기 침입을 피하는 실에도 이용됩니다. 3번이 정답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설비고수]
[오류신고 반론] 설비고수님 설명은 1번으로 하고 3번이라네요? [해설작성자 : 똘똘이파파]
철근콘크리트 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이어붓기를 할 때 그 위치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의 단부
2.
스팬의 1/8 지점
3.
스팬의 1/5 지점
4.
스팬의 1/2 지점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이어붓기를 할 때는 응력이 가장 적은 곳(스팬의 1/2지점)에서 한다 [해설작성자 : konggo]
12.
종합병원에서 클로즈드 시스템(closed system)의 외해 진료부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부속 진료시설을 인접하게 하여 이용이 편리하게 한다.
2.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3.
내과계통은 진료검사에 시간을 요하므로 소진료실을 다수 설치하는 것보다 대진료실을 1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실내환경에 대한 배려로서 환자의 심리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환경심리적 요인을 반영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13.
사무소 건물의 코어계획(core pla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3년 08월)
1.
임대 면적이 작아진다.
2.
코어의 외벽을 내진벽으로 할 수 있다.
3.
설비계통을 집중시킬 수 있다.
4.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14.
중앙에 케이스, 대 등에 의한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고리모양부분을 설치하고 이 안에 레지스터, 포장대 등을 놓는 상점의 평면배치 형식은?(2017년 09월)
1.
굴절배열형
2.
직렬배열형
3.
환상배열형
4.
복합형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굴절배열형 - 진열장 배치와 고객동선이 굴절 또는 직선인것, 대면판매와 측면판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직렬배열형 - 통로가 직선이며 고객흐름이 빠르다. 환상배열형 - 중앙에 키이스 등에 의한 직선이 도는 곡선에 의한 환상 부분을 설치한 형식 복합형 - 위에 배열형 복합한 형식
15.
단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단열효과가 좋다
2.
공기층은 기밀성이 떨러져도 단열효과에는 영향이 없다.
3.
단열재에 수분이 침투하면 단열성이 매우 나빠진다.
4.
10cm 공기층을 1개층 설치하는 것보다 5cm 공기층을 2개층 설치하는 것이 단열에 유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16.
아파트 건축의 각 평면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편복도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2.
집중형은 채광조건이 양호하며 각 세대의 환경조건이 균일하다.
3.
중복도형은 대지에 대해서 건물이용도가 높다.
4.
홀형은 통행과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17.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결하는 전단연결철물(shear connector)로 사용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스터드 볼트
2.
고장력 볼트
3.
앵커 볼트
4.
TC 볼트
정답 : [
1
] 정답률 : 81%
18.
건축의 생산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치수조정(modular coordination)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설계 작업이 단순해진다.
2.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3.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4.
치수비가 황금비로 되어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19.
철골구조 용접에서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되는 부분은?(2019년 03월)
1.
언더컷
2.
블로홀
3.
오버랩
4.
피트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언더컷은 용접 후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게 되는 부분을 말합니다. 언더컷은 용접 전 모재의 청소 상태가 불량하거나, 용접 전류가 너무 낮거나,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정s]
20.
상점을 계획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종업원의 동선은 가능한 길게 하고, 고객의 동선은 가능한 짧게 한다.
2.
심리적인 저항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매장을 계획한다.
3.
외관이 고객에게 좋은 인상을 주도록 한다.
4.
상점내의 동선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2%
2과목 : 위생설비
21.
양수펌프의 크기 결정에 있어서 실양정(actual head)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2009년 08월)
1.
흡입 실양정 + 토출 실양정
2.
흡입 실양정 + 압력수두
3.
흡입 실양정 + 속도수두
4.
토출 실양정 + 토출관 내 전손실수두
정답 : [
1
] 정답률 : 63%
22.
다음은 기구배수부하단위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내용은?(2021년 09월)
1.
12.5 L/min
2.
22.5 L/min
3.
28.5 L/min
4.
35.5 L/min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구배수부하단위(FU)는 세면기의 배수량(28.5L/min)을 기준으로 단위화한것
기구급수부하단위(FU)는 세면기의 급수량(14L/min)을 기준으로 단위화한것 [해설작성자 : 어쩔티브이]
23.
다음의 급수방식 중 설비비 및 유지관리 비용이 가장 저렴한 방식은?(2014년 03월)
1.
수도직결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펌프직송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82%
24.
다음 중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것은?(2015년 09월)
1.
세면기
2.
대변기
3.
식기세정기
4.
청소용 싱크
정답 : [
3
] 정답률 : 81%
25.
관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시 필요 없는 것은?(2017년 05월)
1.
균등수
2.
유량선도
3.
기구의 접속관경
4.
기구의 동시사용률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량선도는 급수부하단위(FU)를 이용하여 동시 사용 유량을 구한 뒤 유량 선도에서 관경을 구할 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konggo]
26.
다음의 통기배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통기관과 우수수직관은 겸용하는 것이 좋다.
2.
간접배수계통의 통기관은 다른 통기계통에 접속하지 말고 단독으로 대기 중에 개구한다.
3.
각개통기방식에서는 반드시 통기수직관을 설치한다.
4.
배수수직관의 상부는 연장하여 신정통기관으로 사용하여 대기 중에 개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27.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급탕배관에는 팽창관이 필요하다.
2.
급탕순환방식에는 중력식과 강제식이 있다.
3.
급탕규모가 큰 곳에는 환탕관에 순환펌프를 설치한다.
4.
급탕배관에는 보온재를 사용해야 하나 환탕배관은 보온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급탕설비의 저탕조와 배관(급탕관, 환탕관)은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두 보온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2. 활성오니법 (접촉폭기) 호기성 조건하에서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기질(基質)로 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호흡 및 합성과정을 통해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으로서 활성오니법이 있으며, 활성오니공법의 원리를 이용한 변법으로서 계단식포기(Step Aeration), 접촉안정법(Contact Stabilization), 개량폭기법(Modified Aeration), 장기폭기법(Extended Aeration), 순수산소 활성슬러지법(Pure Oxygen Activated Sludge)이 있다.
3. 회전원판법 폐수의 흐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중의 플라스틱 원판은 축이 회전함에 따라 원판 위에 부착된 미생물은 폐수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미생물은 유기물을 흡수하고 과잉의 미생물은 탈리하게된다. 또한 미생물이 대기에 노출될 때 산소를 흡수하여 호기성상태가 되도록 하여 미생물이 대사에 의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며, 단단회전원판접촉조(Single-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과 다단회전원판접촉조(Multi-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이있다.
- HBC 공법 Lace or Loop의 HBC-Ring에 부착성장한 미생물막과 수중의 유기물과의 번복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즉, 폭기조의 측면에서 공기를 공급하면 수중에 산소가 용해되며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오염된 물고 의교반이 이루어진다. 이때 HBC-Ring에 부착된 미생물군과 수중의 오염물질이 반복 접촉하여 유기성 오염물의 산화, 분해가 이루어지며 링 내부에 증식하는 혐기성균에 의해 잉여오니는 분해되므로 오니발생량이 저감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출처] (설비) HBC공법 폐수처리장 [해설작성자 : AKI]
33.
다음 중 워터해머의 방지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워터해머흡수기를 적절하게 설치한다.
2.
관내의 수압이 평상시 높아지지 않도록 구획한다.
3.
배관은 가능한 한 직선이 되지 않고 우회하도록 계획한다.
4.
수압이 0.4MPa을 초과하는 계통에는 감압밸브를 부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감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배관이 우회하면, 우회하는 구간에서 물이 부딪히고, 그 결과로 수압이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이거겠지]
34.
연면적 3000m2의 사무소 건물에 필요한 급수량은? (단, 이 건물의 유효 바닥면적은 연면적의 60%이고, 유효 면적당 인원은 0.2인/m2, 1인 1일당 급수량은 100L이다.)(2014년 09월)
<문제 해설> 관류보일러는 보유수량이 적기 때문에 시동시간이 짧고,고가이며 소음이 크다. 소규모 패키지 공조용에 많이 이용된다. 관류보일러는 하나의 관 내를 흐르는 동안에 예열, 가열, 증발, 과열이 행해져 과열 증기를 얻기 위한 것으로 보유수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44.
증기배관에서의 증기유속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저압 증기관 : 최소 10m/s, 고압 증기관 : 최소 70m/s
2.
저압 증기관 : 최소 18m/s, 고압 증기관 : 최대 60m/s
3.
저압 증기관 : 최대 25m/s, 고압 증기관 : 최소 55m/s
4.
저압 증기관 : 최대 35m/s, 고압 증기관 : 최대 45m/s
정답 : [
4
] 정답률 : 41%
45.
어느 작업장의 발생현열량이 2,900㎉/h일 때 필요 환기량(m3/hr)은? (단, 허용실내온도 36℃, 실외온도 28℃로 한다.)(2005년 05월)
<문제 해설> 2중 덕트방식은 하나의 공조기로 여러 개의 실이나 존을 제어할 수 있다. 전공기방식에 속하며 냉.온풍의 혼합으로 손실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51.
공기여과기를 통과하기 전의 오염농도 C1= 0.45mg/m3, 통과한 후의 오염농도 C2= 0.12mg/m3이다. 이 여과기의 여과효율은?(2012년 03월)
1.
약 27%
2.
약 42%
3.
약 58%
4.
약 73%
정답 : [
4
] 정답률 : 69%
52.
실용적 V = 3000m3, 재실자 350인의 집회실이 있다. 실내온도 tt = 19℃로 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은? (단, 외기온도는 t0= 15℃, 재실자 1인당의 발열량은 70kcal/h, 실의 손실열량 Ht = 3400kcal/h, 공기의 비중량 v = 1.2kg/m3, 공기의 비열 Cp = 0.24kcal/kg.. ℃ 이다.)(2007년 09월)
1.
10250m3/h
2.
13750m3/h
3.
18320m3/h
4.
21380m3/h
정답 : [
3
] 정답률 : 37%
53.
기온·습도·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 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2020년 08월)
1.
등가온도
2.
작용온도
3.
등온지수
4.
유효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79%
54.
유리창으로부터의 일사열 취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유리의 면적이 클수록 취득열량이 많다.
2.
투과율이 클수록 취득열량이 적다.
3.
복층유리는 열관류율이 작다.
4.
반사유리는 여름철 취득열량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55.
에어와셔의 통과공기량이 20000kg/h, 수량(水量)이 15600kg/h이고, 입구공기의 엔탈피 23.9kJ/kg, 출 구공기의 엔탈피 26.8kJ/kg 일 때,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은? (단, 에어와셔의 출구 수온은 9.3℃, 물의 비열은 4.19kJ/kg · K 이다.)(2012년 05월)
1.
8.4℃
2.
9.7℃
3.
10.2℃
4.
11.5℃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먼저, 주어진 값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000kg/h⋅(26.8kJ/kg−23.9kJ/kg)=15600kg/h⋅4.19kJ/kg⋅K⋅(Tin, water−9.3℃) 이를 정리하면, 58000kJ/h=65424kJ/h⋅K⋅(Tin, water−9.3℃) 따라서, Tin, water=65424kJ/h⋅K58000kJ/h+9.3℃ 위의 식을 계산하면,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값을 계산해보겠습니다. 계산 결과, 에어와셔의 입구 수온은 약 10.16℃ 입니다. 이 값은 근사치이며, 실제 값은 사용하는 계산기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결과는 에어와셔의 입구에서 물의 온도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에어와셔의 성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56.
공기조화 용어 중 엔탈피(Enthalpy)가 의미하는 것은?(2019년 04월)
1.
비체적
2.
비습도
3.
전열량
4.
현열량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엔탈피는 공기가 가지는 전열량으로 현열과 잠열의 합이다 [해설작성자 : konggo]
57.
다익형 송풍기의 압력 및 효율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최고압력점의 오른쪽 영역에서 최고 효율점이 존재 한다.
2.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동력이 현저히 증가한다.
3.
최고압력점 왼쪽영역에서 압력이 감소한다.
4.
일반적으로 고압의 공조용으로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58.
냉방부하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외벽구조에 따라 상당온도차는 다르게 나타난다.
2.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는 현열과 잠열 모두 고려한다.
3.
틈새바람량 계산법으로는 틈새법, 면적법, 환기횟수법 등이 있다.
4.
유리를 통한 열부하는 일사에 의한 직접 열 취득만을 고려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 일사에 의한 취득열량+ 관류에 의한 취득열량 [해설작성자 : 윤자윤자윤]
59.
습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습공기를 가열하면 비체적이 감소한다.
2.
습공기를 가열하면 상대습도가 감소한다.
3.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가 감소한다.
4.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가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60.
증기난방에서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EDR) 계산에 사용되는 표준 방열량은?(2017년 03월)
1.
450W/m2
2.
523W/m2
3.
650W/m2
4.
756W/m2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50kcal/m^2 온수 650kcal/m^2 증기 523W/m^2 온수 756W/m^2 증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은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 : [
3
] 정답률 : 66%
84.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한 건축물 중 건축물의 건축주가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로부터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받아 착공신고 시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표준설계도서에 따라 건축하는 건축물은 제외)(2021년 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