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틱치료, 심리치료, 대체의학, 마사지/물리치료등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소매틱심리치료에서의 BODYWORK - 감정과 트라우마가 신체에 저장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몸을 통해 감정을 해소하거나 자각을 일으키는 기법들을 통칭함. 언어로 표현이 어렵거나 억제된 내담자/만성긴장, 신체화증상, 외상후 신체감각 단절이 있는경우/주의력분산이 심해 감정조절이 어려운 경우/ 말보다 감각 기반 접근이 더 효과적인 청소년, 아동, 예술가 타입 성인 [해설작성자 : 청풍]
5.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공통적으로 적용한 상담이론은?
1.
개인심리학
2.
교류분석
3.
현실치료
4.
정신분석
5.
실존주의 상담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주요개념 열등감과 보상 우월성 추구 사회적관심 목표지향성 * 내담자의 현재와 미래의 목표에 집중해 문제 해겨하는데 중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주요 행동적 개입방법 - 사회적 모델링: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모델, 인물영상상상 관찰하게 하여 행동 학습 유도 - 역할연기및 시연: 실제 상황 연습하여 새로운 행동 익히고 자신감 높임 - 자기관리기법 - 과제부여 - 이완훈련, 자기점검등: 불안감소, 충도조절
*재결단작업(재결정)은 교류분석 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으로 어린시절 상담 내린 부적응적이거나 제한적인 초기 결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더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 신념이나 행동양식을 새로운 결단으로 바꾸는 과정 [해설작성자 : solssam]
8.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이다.
2.
내담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수정, 보완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전문적 소견이므로 이론적, 추상적 용어를 사용한다.
4.
사례개념화는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5.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9.
다음에서 설명하는 상담이론은?
1.
해결중심상담
2.
자아초월상담
3.
수용전념치료
4.
실존주의 상담
5.
변증법적 행동치료
정답 : [
3
] 정답률 : 50%
10.
상담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청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집중해서 보고 듣는 것으로 내담자가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게 한다.
2.
감정반영은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을 상담자가 다른 말로 부연해주는 것으로 내담자로 하여금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
3.
명료화는 모호한 표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질문 형태의 기술로 내담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측면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4.
해석은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역동을 피드백하는 것으로 내담자는 자신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된다.
5.
재진술은 내담자가 진술한 내용을 상담자의 말로 바꾸어 기술하는 것으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한 말에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S-척도) 결과가 35점 이상이면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된다.
4.
고위험 사용자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로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5.
스마트폰 과의존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성이 증가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해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스마트 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 (S-척도)청소년 점수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이 검사는 조절 실패, 현저성, 문제적 결과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특히 1~3번 문항은 역채점(점수를 반대로 계산) 방식이 적용되니, 채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 진단 S형(10~19세 청소년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적절한 수준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조절력이 약해질 가능성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PMO]
14.
다음 상황에 해당하는 키치너(K. Kitchener)의 윤리적 의사결정 원칙으로 옳은 것은?
1.
ㄱ: 선의(beneficence), ㄴ: 충실성(fidelity)
2.
ㄱ: 무해성(nonmaleficence), ㄴ: 충실성(fidelity)
3.
ㄱ: 무해성(nonmaleficence), ㄴ: 공정성(justice)
4.
ㄱ: 충실성(fidelity), ㄴ: 자율성(autonomy)
5.
ㄱ: 선의(beneficence), ㄴ: 자율성(autonomy)
정답 : [
5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키치너의 윤리원칙 다섯가지 1.자율성 (Autonomy) 내담자가 자신의 삶과 선택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정보 제공과 선택의 자유 보장이 핵심. 2.비유해성 (Nonmaleficence) “해를 끼치지 말라”는 원칙으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신체적·정신적·정서적 피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 3.선행 (Beneficence) 단순히 해를 피하는 것을 넘어서, 내담자의 복지와 성장을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4.공정성 (Justice) 모든 내담자를 차별 없이 공평하게 대우해야 하며, 자원과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해야 한다. 5.성실성 (Fidelity)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약속을 지키고, 정직하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 [해설작성자 : PMO]
15.
현실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담자는 자신의 정서와 행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
2.
우볼딩(R. Wubbolding)은 지지적인 상담환경을 강조하여 구체적인 권장사항을 제시하였다.
3.
내담자의 욕구를 탐색하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해왔는지 파악한다.
4.
내담자의 현재 행동에 초점을 두고 행동의 효과성에 따라 새로운 전행동(total behavior)을 선택하도록 한다.
5.
내담자의 선택을 중요시하여 계획을 실천하지 못할 경우 변명을 허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7%
16.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에 명시된 ‘내담자의 권리와 보호’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청소년 내담자에게 무력, 정신적 압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청소년상담사는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3.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해 윤리적 기준에 따라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4.
내담자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담내용을 기록하고 보관한다.
5.
청소년상담사는 사적 대화에서 내담자의 신원확인이 가능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17.
해결중심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ㄴ, ㄷ,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56%
18.
교류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담자의 자아상태 분석을 통해 성격구조와 기능을 파악한다.
2.
카프만(S. Karpman)은 게임분석을 위해 드라마 삼각형을 고안하였다.
3.
굴딩(M. Goulding)은 각본분석에 의한 금지령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4.
라켓감정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성 여부와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5.
교차교류는 상대방의 하나 이상의 자아상태를 향해서 상보적 교류와 잠재적 교류가 동시에 작용하는 교류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드라마삼각형-정서적 게임안에서 반복되는 피해자-박해자-구조자 간의 역동으로 건강하지 않은 대인관계를 지속시키는 심리적 패턴 금지령목록-어린시절 부모의 메시지로부터 생긴 '하지마라'명령이며 자기각본의 핵심을 이룸. 교차교류-응답이 예상된 자아상태에서 벗어남(A-->C, P로 응답) 이중교류-표면교유롸 숨겨진 교류가 동시에 존재하는 복합적 교류 [해설작성자 : 청풍]
19.
청소년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의 잠재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청소년 고용, 보호 기관 관련자도 상담 대상에 포함된다.
3.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보다는 대면상담에 주력한다.
4.
일상에서 당면한 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해 교육을 실시한다.
5.
위기개입 및 자립을 지원하여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돕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지적 오류로 옳은 것은?
1.
개인화
2.
선택적 추론
3.
흑백논리적 사고
4.
부정적 예측
5.
과잉일반화
정답 : [
2
] 정답률 : 71%
21.
합리정서행동상담(REB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간의 본성에 대해 결정론적인 입장을 강조한다.
2.
심리적 문제는 미해결과제가 해소되지 못할 때 발생한다.
3.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억압된 정서를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4.
내담자가 자기실현 경험을 바탕으로 이상적 자기에 부합하도록 돕는다.
5.
인지, 정서, 행동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요인이 핵심이 된다.
정답 : [
5
] 정답률 : 73%
22.
상담단계와 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77%
23.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 청소년안전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 보호법령에 명시되어 있다.
2.
지역사회기반으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3.
청소년에 대한 상담, 긴급구조, 보호, 의료지원 등을 지원한다.
4.
필수연계기관에 시ㆍ도 교육청과 초ㆍ중등학교 등이 포함된다.
5.
필수연계기관은 위기청소년에 대한 지원 의뢰가 있을 경우 최우선적으로 지원하도록 상호 협력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24.
청소년상담에서 사전동의(informed consent)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자의 경력
2.
상담을 거부할 권리
3.
상담약속과 취소 방법
4.
상담 성과에 대한 보장
5.
상담참여의잠재적위험
정답 : [
4
] 정답률 : 56%
25.
청소년상담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시도이다.
2.
다양한 이론과 기법을 통합하여 치료효과를 증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3.
내담자에게 동일한 치료관계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안해낸 접근법이다.
4.
라자루스(A. Lazarus)의 다중양식치료는 기술적 통합 접근에 해당한다.
5.
동화적 통합 접근은 특정한 주요 이론을 선택하고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결합ㆍ적용하는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다음 사례에서 연구가설이 표현하고 있는 효과는?
1.
B의 직접효과
2.
B의 매개효과
3.
A의 간접효과
4.
M의조절효과
5.
B의 이월효과
정답 : [
3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간접효과(매개효과): A가 M에 영향을 주고,M이 B에 영향을 주는 효과 직접효과: A가 M을 거치지 않고 B에 직접 미치는 효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가설 설정 및 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설 설정은 주로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한다.
2.
유의수준보다 유의확률(p값)이 작으면 영가설을 기각한다.
3.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분석 방법은 논문의 연구방법에 기술한다.
4.
영가설을 기각했을 때 이 결정이 오류일 확률을 1종 오류라고 한다.
5.
자료분석 결과가 연구자의 예측과 다르게 나타나면 연구가설을 수정해서 논문에 보고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구가설은 자료 수집 및 분석 전에 설정 가설 검정은 자료로부터 가설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기각하거나 채택하는 절차 결과가 예상과 다르더라고, 그 결과 자체를 그대로 보고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연구 수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ㄷ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2
] 정답률 : 48%
29.
상담 연구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덩이표집은 확률표집의 일종이다.
2.
군집분석은 사람뿐 아니라 진술문이나 검사문항을 범주화하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3.
자기보고식 검사는 심층면접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시하기 용이하다.
4.
이론은 인간 행동을 개념화할 뿐 아니라, 가설 도출 및 검증의 기반이 된다.
5.
연구자마다 다른 이론을 토대로 동일한 변인을 다르게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30.
양적 연구 패러다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구성주의 관점을 따른다.
2.
주로 영역코딩, 축코딩, 개방코딩 등 귀납적인 자료분석을 실시한다.
3.
표본의 대표성, 관찰의 객관성, 실증주의적 관점을 중시한다.
4.
근거이론, 현상학적 연구, 합의적 질적 연구가 해당된다.
5.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대상이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양적연구: 실증주의 관점, 연역적 접근, 가설 설정 및 검정, 표본의 대표정, 수치화된 자료 분석, 객관성, 일반화 가능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양적 연구의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표집(random sampling)을 실시하면 일반적으로 외적타당도가 증가한다.
2.
연구참여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할당(random assignment)하면 일반적으로 내적타당도가 감소한다.
3.
일반적으로 실험연구는 가외변인을 통제하기 때문에 내적타당도가 높다.
4.
연구 수행 중에 참여자들이 이탈하고 측정도구가 바뀔 경우 연구의 타당도가 위협받는다.
5.
변인 간상관관계를 토대로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7%
32.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27%
33.
척도의 타당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8%
34.
측정도구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복된 측정으로 인한 연습효과가 예상될 경우, 연구자는 동형검사(parallel forms)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높으면 타당도 또한 당연히 높다고 가정한다.
3.
측정도구 선정 시 검사의 경제성, 피검자의 피로도는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4.
측정도구가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타당화되었다면 다른 연령대에도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가정한다.
5.
일반적으로 한 개의 측정도구로도 특정 구성개념을 완벽히 구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측정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35.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ㄹ
3.
ㄱ, ㄹ
4.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반분신뢰도는 문항이 두 개 이상일 때만 계산 가능 신뢰도는 대상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크론바흐알파는 내적 일관성 측정 지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각각의 사례에 적절한 분석 방법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경로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2.
ㄱ: 요인분석, ㄴ: 경로분석
3.
ㄱ: 군집분석, ㄴ: 메타분석
4.
ㄱ: 군집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5.
ㄱ: 메타분석, ㄴ: 반복측정 분산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군집분석: 하위척도 점수 기반 집단 구분 위계적 회기분석: A와 B의 관계에서 c의 조절 효과 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논문 작성 시 ‘논의 및 결론’에 포함될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구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연구결과는 보고하거나 해석하지 않는다.
2.
연구 결과가 상담 실무 및 관련 이론에갖는시사점을 기술한다.
3.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 및 자료 수집 절차를 상세히 기술한다.
4.
연구의 배경이 되는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소개하고 가설을 진술한다.
5.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표로 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38.
논문 작성 시 ‘연구방법’에 포함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결과
3.
연구 결과 요약 및선행연구와의비교
4.
가설 설정의 근거가 되는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5.
참여자 모집 절차 및 선정 기준
정답 : [
5
] 정답률 : 48%
39.
진실험설계가 충족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생(extraneous)변수의 통제
2.
무작위 집단 배정
3.
현장실험
4.
종속변수값 간의 비교
5.
독립변수의 조작
정답 : [
3
] 정답률 : 34%
40.
자료의 총체로부터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며, 분석적 귀납법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 이론을 개발하는 연구방법은?
1.
현상학적 연구
2.
사례연구
3.
문화기술지 연구
4.
합의적 질적 연구
5.
근거이론 연구
정답 : [
5
] 정답률 : 32%
41.
단순선형회귀분석에서 총변동(SST; sum of squares total) 중 선형관계로 설명되지 않는 변동(SSE; sum of squares error)이 차지하는 비중이 1/5이라면 결정계수 R2의 값은?
1.
1/25
2.
1/5
3.
4/5
4.
5
5.
25
정답 : [
3
] 정답률 : 20%
42.
집단간 설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34%
43.
질적 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수행되고 밀접한 상호작용이 자료의 원천이다.
2.
면접, 관찰,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을 수집한다.
3.
참여자의 관점ㆍ의미 또는 참여자의 다양한 주관적 견해에 초점을 맞춘다.
4.
이론과 가설은 수집된 자료로부터 연역적 방법으로 진화하여 발견된다.
5.
연구설계에 있어서 초기계획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고, 연구과정이 유연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44.
인간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을 때 고지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의 목적, 예상되는 기간 및 절차
2.
연구참여에 따른 잠재적 위험
3.
연구기간 중 연구참여를 철회할 권리
4.
예상되는 실험결과나 연구결과
5.
비밀보장의 한계
정답 : [
4
] 정답률 : 57%
45.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존재하지 않은 데이터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위조에 해당한다.
2.
존재하지 않은 연구결과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변조에 해당한다.
3.
타인의 아이디어를 정당한 승인 또는 인용 없이 활용하는 것을 표절이라 한다.
4.
연구에 기여하지 않은 사람에게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부당한 저자표시이다.
5.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연구결과를 해당 사실을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46.
혼합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4
] 정답률 : 48%
47.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동질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는 유사실험설계에 속한다.
2.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에 비해 내적타당도 확보가 우수하다.
3.
피험자를 무선적으로 배치하지 못한다.
4.
실험실 상황이 아닌 실제 상황에서 독립변수를 조작해 연구하는 설계이다.
5.
진실험설계에 비해 외생변수의 효과를 통제하기 어렵다.
정답 : [
2
] 정답률 : 13%
48.
상담연구에서 단일사례연구설계(single-case research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
2.
통계적 검증보다는 임상적 유의미성을 중시한다.
3.
ABAB설계(reversal design)와 다중기저선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등이 있다.
4.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설계나 연구절차를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다.
5.
한개인또는집단을 상대로연구대상 내 차이를 분석하여 처치효과를 추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5%
49.
모의상담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변수의 수준을 조작함으로써 실험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
2.
대리 내담자의 활용을 통해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3.
상담과정 단순화를 통해 연구결과의 해석이 용이해진다.
4.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 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5.
실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50.
실험실 실험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처치변인 외에 가외변인에 대한 통제가 중요하다.
2.
처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종속변인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분석한다.
3.
상담 연구의 실험실 실험연구에는 모의상담이 해당된다.
4.
일반적으로 현장 실험연구에 비해 외적타당도가 낮다.
5.
우연적 사건, 성숙효과는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가외변인에 해당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25%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규준
2.
심리측정
3.
척도
4.
심리검사
5.
행동 표본
정답 : [
1
] 정답률 : 45%
52.
심리검사와 평가의 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화된 검사인 경우 결과 해석 시 수검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동의할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는 평가의 본질과 목적에 대해 알려주지 않아도 된다.
3.
법률에 의해 검사가 의뢰된 경우 수검자에게 평가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된다.
4.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위험은 비밀보장의 예외적 조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5.
평가결과를수검자에게보여주면안되는경우, 사전에수검자에게이사실을알려주지않아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28%
53.
심리평가의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2.
자아 강도를 확인한다.
3.
치료적 반응을 예상하고 치료 효과를 파악한다.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5.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심리평가의 목적] ① 내담자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 ② 문제의 명료화 및 세분화 ③ 내담자에 대한 이해 ④ 치료계획 및 치료전략의 제시 ⑤ 치료적 관계의 유도 ⑥ 치료결과 및 효과에 대한 평가
[심리검사의 목적] ① 내담자에 대한 임상적 진단을 명료화·세분화한다. ② 문제의 증상 및 심각성 정도를 구체화한다. ③ 내담자의 자아강도를 평가한다. ④ 내담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한다. ⑤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유형을 제시한다. ⑥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을 기술한다. ⑦ 내담자를 치료적 관계로 유도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 강도 및 문제 영역에 대해 인식하도록 돕는다. ⑧ 내담자의 치료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며, 치료 효과를 평가한다. ⑨ 내담자의 정신역동적 진단을 명료화한다.
보기의 내용은 '심리평가'의 목적이 아니라 교재 p.319에 있는 '심리검사'의 목적으로 보이는데 심리평가와 심리검사의 목적 모두에서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라는 항목을 보이지 않습니다.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는 '치료적 관계로 유도한다'는 항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답은 4번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심리검사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신연령 개념은 Binet-Simon 검사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2.
Exner는 로샤(Rorschach) 검사의 종합체계를 고안하였다.
3.
비율 IQ는 Stanford-Binet 검사에서 도입되었다.
4.
Army Beta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언어적 검사인 Army Alpha를 제작하였다.
5.
편차 IQ는 Wechsler 지능검사에서 사용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Army Alpha 의 한계점을 보안하기 위해 Army Beta 제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면담 시 직면은 수검자가 말하려는 주제를 충분히 표현하지 않을 때 명확하게 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2.
K-SADS는 정동장애와 조현병을 알아보기 위한 성인용 면담 도구이다.
3.
면담 시실시하는 정신상태검사는 지적 기능 영역을 포함한다.
4.
면담 초기에는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폐쇄형 질문을 먼저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구조화된 면담은 수검자에게 얻은 자료를 양적으로 바꾸기 어렵다.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② K-SADS는 아동의 정신과적 질환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이다. ③ 정신상태검사의 주요 항목은 ‘일반적 기술’, ‘감정과 정서’, ‘말’, ‘지각’, ‘사고’, ‘감각과 인지’, ‘판단과 병식’, ‘정신기능 사정척도’이다. ④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해서 이후 폐쇄형 질문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구조적 면접은 비구조적 면접에 비해 다량의 자료를 객관적·체계적으로 수집할 때 유용하며, 수량화가 쉽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행동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통적 행동관찰과 비교하여 특정한 행동과 맥락 변인에 초점을 둔다.
2.
행동 면담을 통해 선행사건, 행동, 결과 간의 관련성을 기술한다.
3.
규준적(nomothetic) 접근보다 개인 특이적(idiographic) 접근을 더 선호한다.
<문제 해설> ①, ③ 신뢰도는 측정의 오차가 적을수록 높아진다. ② 예측(예언)타당도는 동시(공인)타당도와 함께 준거(기준)타당도의 종류이다. 구성타당도에는 수렴(집중)타당도, 변별(판별)타당도, 요인분석이 있다. ④ 동형검사 신뢰도는 한 검사에 대하여, 다른 문항으로 구성되지만 검사의 난이도와 점수분산 등이 같은 동형 검사를 제작하여 이들 두 검사의 실시 결과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신뢰도를 추정한다. ⑤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는 내적 일관성을 구하는 신뢰도 추정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① 검사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 높아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K-WISC-V의 소검사는?
1.
그림기억
2.
순차연결
3.
선택
4.
공통그림찾기
5.
행렬추리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② 순차연결: 연속되는 숫자와 글자를 읽어주고, 숫자가 많아지는 순서와 한글의 가나다 순서대로 암기하도록 함. ③ 선택: 무선으로 배열된 그림과 일렬로 배열된 그림을 훑어본 후 제한 시간 안에 표적 그림들에 표시함. ④ 공통그림찾기: 두 줄 또는 세 줄로 이루어진 그림들을 제시하며, 공통된 특성으로 묶일 수 있는 그림을 각 줄에서 한 가지씩 고름. 28문항이며 높은 번호일수록 추상적 추론 능력이 점점 더 요구되는 순서로 되어 있음. ⑤ 행렬추리: 불완전한 행렬을 보고, 5개의 반응 선택지에 제시된 행렬의 빠진 부분을 찾아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RC4: 사회적 규범과 기대에 순응하지 않고 타인에게 공격적이며 갈등적인 인간관계를 보인다.
5.
RC6: 비현실감, 환각 증상이 나타난다.
정답 : [
5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C6(피해의식)에서 점수가 높은 사람은 자신이 남들의 표적이 된다고 생각하고 타인을 의심하며, 편안하고 믿을 만한 대인관계를 맺지 못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홀랜드(Holland) 직업적성검사에서 다음의 성격 특징을 포함하는 유형은?
1.
예술적(Artistic) 유형
2.
탐구적(Investigative) 유형
3.
관습적(Conventional) 유형
4.
기업적(Enterprising) 유형
5.
사회적(Social) 유형
정답 : [
1
] 정답률 : 50%
67.
MBTI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지각하는 지표로 옳은 것은?
1.
외향(E), 내향(I)
2.
감각(S), 직관(N)
3.
사고(T), 감정(F)
4.
판단(J), 인식(P)
5.
감각(S), 사고(T)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E/I: 주의 집중 및 에너지의 방향 S/N: 정보의 인식 및 수집 방식 T/F: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판단 및 결정을 내리는 경향성 J/P: 외부세계에 대한 태도, 생활방식 및 적응양식에 있어서 어떤 과정을 선호하는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MMP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L척도의 상승은 솔직한 검사태도를 시사한다.
2.
A-cyn척도의 상승은 자존감이 낮고 다른 사람만큼 유능하지 못하다는 느낌과 관련된다.
3.
A-aln척도의 상승은 절도나 반항 같은 품행장애와 관련된다.
4.
무응답 반응이 30개 이상으로 너무 많으면 전체 척도를 신뢰하기 힘들다.
5.
임상척도에서 강박척도의 상승은 다양한 행동화, 비행과 관련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69.
NEO-PI-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능을 성격의 기본적 구성요소로 간주한다.
2.
신경증(Neuroticism) 척도의 하위척도에 불안이 포함되어 있다.
3.
개방성(Openness) 척도가 높은 사람은 관습적, 현실적이다.
4.
외향성(Extraversion) 척도의 하위척도에 신중성이 포함되어 있다.
5.
성실성(Conscientiousness) 척도가 높은 사람은 창조적, 독창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70.
TCI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ㄴ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기질척도] - 자극 추구: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 잠재적인 보상 단서 등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위험 회피: 위험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사회적 민감성: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인내력: 보상이 없을 때 혹은 간헐적으로만 강화되는 경우에도 한 번 보상된 행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경향성
[성격척도] - 자율성: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가는 능력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되어 있다. - 연대감: 자기 자신을 사회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보여준다. - 자기 초월: 자기 자신을 우주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개인의 영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문제 해설> 로샤(Rorschach) 검사는 무채색 카드 5매, 부분 유채색 카드 2매, 전체 유채색 카드 3매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투사적 검사의 장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6%
75.
문장완성검사(S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검자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지시한다.
2.
수검자의 반응을 면담에 활용할 수 있다.
3.
개인과 집단에 실시할 수 있다.
4.
반응시간에 제한이 있다.
5.
지능, 교육수준, 문장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76.
이상심리의 행동주의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상행동을 조건형성을 통해 설명한다.
2.
무의식적 욕구나 갈등은 가정하지 않는다.
3.
개념들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측정하기 어렵다.
4.
이상행동을 잘못된 학습의 결과로 본다.
5.
행동주의 모형에 입각한 치료에는 체계적 둔감법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77.
DSM-5에 포함되지 않은 정신장애는?
1.
지속적 비탄장애
2.
되새김장애
3.
유뇨증
4.
섬망
5.
병적방화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지속적 비탄장애(지속성 애도장애)는 DSM-5-TR에서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에 포함됨 [해설작성자 : 박규갱]
78.
정신장애 분류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자들과 연구자들이 일관성 있게 공통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2.
축적된 연구결과와 임상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 및 전달할 수 있다.
3.
정신장애의 공통적 특성과 원인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진다.
4.
진단된 장애 속성 이외에도 개인의 독특한 증상과 특성을 고려하며, 개인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5.
심리장애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79.
DSM-5의 지적장애 중등도 수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19%
80.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신경발달장애는?
1.
투렛장애
2.
잠정적 틱장애
3.
발달성 협응장애
4.
상동증적 운동장애
5.
지속성 운동 또는 음성 틱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48%
81.
DSM-5에서 조현병의 음성증상은?
1.
상황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정서
2.
망상
3.
환각
4.
와해된 언어
5.
정서적 둔마
정답 : [
5
] 정답률 : 50%
82.
DSM-5의 망상장애 아형(Subtypes)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정형
2.
과대형
3.
공격형
4.
피해형
5.
질투형
정답 : [
3
] 정답률 : 30%
83.
DSM-5의 각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 그 진단기준을 옳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ㄱ →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와 사고를 한 가지 이상 포함한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 음성 증상들 중 2개 이상의 증상이 1개월 중 상당 기간 나타나야 하고, 장애의 징후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ㄹ → 조현병의 주요 증상들이 하루 이상 1개월 이내로 짧게 나타난다. ㄹ에 나와 있는 설명은 ‘조현양상장애’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DSM-5의 조증 삽화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면증
2.
사고의 비약
3.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4.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5.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정답 : [
1
] 정답률 : 32%
85.
다음에 해당하는 우울증의 유형은?
1.
반응성 우울증
2.
내인성 우울증
3.
지체성 우울증
4.
정신병적 우울증
5.
신경증적 우울증
정답 : [
1
] 정답률 : 46%
86.
DSM-5의 불안장애 하위유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ㅁ
3.
ㄱ, ㄷ,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5
] 정답률 : 30%
87.
DSM-5의 공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복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일어난다.
2.
발작혹은그로인한지속적인염려와 걱정, 발작과 관련한 심각한 부적응적인 행동들이 3개월이상 나타나야 한다.
3.
공황장애 3요인 인지이론은 공황장애가 불안 민감성, 파국적 오해석, 공황적 자기 효능감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본다.
4.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청반핵과 노르에피네프린이 공황장애와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5.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 공황통제치료(panic control treatment)가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발작 후 지속적인 염려와 걱정, 심각한 부적응 행동들이 1개월 이상 나타나야 한다. [해설작성자 : 노력하는냥이]
88.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장애는?
1.
적응장애
2.
공황장애
3.
강박장애
4.
급성스트레스장애
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답 : [
4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1개월(4주) 이상 지속되었을 때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하고, 최소 3일 이상 최고 4주간 지속되었을 때는 급성스트레스장애로 진단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DSM-5의 강박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은 시간을 소모하게 만든다.
2.
일반적으로 발병 연령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빠르다.
3.
원하지않은불쾌한생각이 자꾸떠올라그것을제거하기위한행동을반복하게되는장애이다.
4.
심리적 치료방법으로 노출 및 반응방지법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5.
강박사고와 강박행동 둘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강박장애 진단을 내릴 수 없다.
정답 : [
5
] 정답률 : 43%
90.
다음에 해당하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 관련 이론은?
1.
외상 이론
2.
4요인 이론
3.
신해리 이론
4.
학습이론: 사회적 강화의 산물
5.
빙의 이론
정답 : [
3
] 정답률 : 30%
91.
다음에 해당하는 DSM-5의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는?
1.
신체증상장애
2.
꾀병
3.
전환장애
4.
인위성장애
5.
질병불안장애
정답 : [
4
] 정답률 : 32%
92.
다음 사례에서 보이는 행동을 설명하는 DSM-5의 진단으로 옳은 것은?
1.
해리성 정체감 장애
2.
해리성 황홀경
3.
비현실감 장애
4.
이인증
5.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동반
정답 : [
5
] 정답률 : 50%
93.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급식 및 섭식장애는?
1.
이식증
2.
폭식장애
3.
신경성 폭식증
4.
신경성 식욕부진증
5.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장애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신경성 폭식증: 폭식과 보상행동(구토, 이뇨제 사용, 금식, 과도한 운동 등)이 주 1회 3개월 이상 나타난다. 폭식장애: 보상행동이 없이 폭식하는 행동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노력하는냥이]
94.
불면장애의 치료를 위한 수면위생 교육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규칙적인 취침시간을 정한다.
2.
낮에 길게 낮잠을 자는 것을피한다.
3.
취침 전에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는다.
4.
취침 1시간 전에 격렬한 운동을 한다.
5.
잠자리에 누워 있는 동안 잠을 방해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95.
DSM-5의 성별 불쾌감 장애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성(반대 성)이 되고 싶은 강한 갈망은 있으나 자신이 이성(반대 성)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2.
최소 6개월 기간으로 진단기준의 증상들이 나타나야 한다.
3.
남자 아이 또는 여자 아이는이성(반대 성)의 복장을 선호하고 착장하기를 선호한다.
4.
자신의 해부학적 성별에 대해서는 강한 혐오를 가진다.
5.
가상 놀이 또는 환상 놀이에서 이성(반대 성)의 역할을 선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96.
DSM-5의 품행장애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물에게 신체적으로 잔인하게 대한다.
2.
다른 사람의 집, 건물 또는 자동차를 망가뜨린다.
3.
심각한 손상을 입히려는 의도로 고의적으로 불을 지른다.
4.
부모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13세 이전부터 자주 밤늦게까지 집에 들어오지 않는다.
5.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19%
97.
DSM-5의 병적 도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성에 비해 남성의 유병률이 높다.
2.
체포될 것에 대해 염려하지 않는다.
3.
발병 연령은 보통 성인기에 시작된다.
4.
훔치기 직전에 고조되는 긴장감이 나타난다.
5.
필수 증상은 돈이 필요하거나 물건이 꼭 필요해서 훔치는 행위를 하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98.
DSM-5에 포함된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중 ‘의학적 치료 및 기타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과 관련된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의학적 치료를 멀리함
2.
과체중
3.
자해의 개인력
4.
꾀병
5.
경계성 지적 기능
정답 : [
3
] 정답률 : 13%
9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성격장애는?
1.
편집성 성격장애
2.
조현성 성격장애
3.
조현형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5.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답 : [
3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조현성 성격장애는 타인과의 교류를 원치도 즐기지도 않기에, 사회적 고립을 보이는 형태이고, 조현형 성격장애는 사회적 고립은 동일하나, 대인관계로부터의 철수/인지적 왜곡/사고와 행동의 혼란 -> 3가지 요소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에서 도출될 수 있는 성격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18%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