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80836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종자(임의구분)


1. 동일 품종내에서 유전적 형질이 그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갖지 아니한 개체를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1월)
     1. 이형주
     2. 이종종자주
     3. 이품종주
     4. 품종순도

     정답 : []
     정답률 : 86%

2. 채소종자 채종에 가장 알맞은 시기는 보통 어느 때인가?(2007년 07월)
     1. 유숙기
     2. 녹숙기
     3. 갈숙기
     4. 고숙기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곡류 채종시기: 황숙기
채소 채종시기: 갈숙기
[해설작성자 : 도전자]

3. 다음 중 장기 종자 저장에 가장 효과적인 용기는?(2012년 07월)
     1. 종이 용기
     2. 캔 용기
     3. 셀로판 용기
     4. 헝겊 용기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캔과 같은 알루미늄 철제 용기가 5%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애국보수]

4. 다음은 종자가 기계적인 상처가 없고 정상적인데도 발아하지 않는 내적 원인을 열거하였다. 그 원인이 아닌 것은?(2004년 07월)
     1. 발아 억제 물질의 존재
     2. 배의 미숙
     3. 종피 및 과피가 두껍다.
     4. 온도, 수분이 부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5. 전중량(全重量)이 5g, 순씨앗 중량이 4.7g 일때의 청결율(淸潔率)로 맞는 것은?(2005년 07월)
     1. 90%
     2. 92%
     3. 94%
     4. 96%

     정답 : []
     정답률 : 77%

6. 종자의 수분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라 차가 적지만 흡수속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2. 담배종자의 흡수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늦어지며 고온에서는 오히려 빨라진다.
     3. 벼 종자의 흡수율 및 흡수속도는 밭벼 > 건도(乾道) > 논벼 순이다.
     4. 종자 흡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간은 작물의 종류에 상관 없이 거의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른 차가 적지만 흡수 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2. 담배 종자의 흡수 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빨라지지만 고온에서는 오히려 줄어든다.
4. 종자 수분 흡수량은 작물 종류, 품종, 종자의 신고, 저장 조건에 따라 다르다.
[해설작성자 : J]

7. 종자 검사상 발아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흡습 후 대사 작용을 시작하여 신장에 들어가는 단계
     2. 종피를 뚫고 유아가 출현하는 것
     3. 정상생육이 가능한 묘가 출현하는 것
     4. 포장 지연에 유모일부가 출현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63%

8. 다음 중 다른 화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야 할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2년 07월)
     1. 휴한
     2. 윤작
     3. 격리재배
     4. 종자소독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연교잡에 의한 품종퇴화 방지책: 격리재배, 시간차 격리, 복대(봉지 씌우기), 망실

9. 파종 직후에 발아 할 수 있는 종자를 발아하기에 부적당한 조건하에 잠시 동안 두면 휴면 상태로 들어가는 경우를 칭하는 용어는?(2007년 07월)
     1. 1차휴면
     2. 후숙
     3. 2차휴면
     4. 자발휴면

     정답 : []
     정답률 : 50%

10. 다음 중 식물의 자가불화합성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주두(住頭) 상에서 화분이 발아하지 않는 경우
     2. 화분관이 주두 내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3. 화분의 신장속도가 느려 수정 능력을 잃는 경우
     4. 화분량이 많아 주두 내에 화분이 모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11. 종자를 안전하게 저장 관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1월)
     1. 이병개체의 선별 및 제거
     2. 해충의 구제
     3. 저장 온ㆍ습도의 큰 변화
     4. 쥐 피해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82%

12. 피자식물의 배와 배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2.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3.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4.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정답 : []
     정답률 : 82%

13. 종자산업법상 콩 종자에 발생하는 특정병은?(2007년 07월)
     1. 도열병
     2. 흰가루병
     3. 모자이크병
     4. 자반병

     정답 : []
     정답률 : 73%

14. 병해충으로부터 저장 종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9년 01월)
     1. 공기 유통이 안되게 한다.
     2. 종자 정선을 잘한다.
     3. 저장온도를 높게 한다.
     4. 저장습도를 낮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5. 다음 중 벼 종자가 저온(0℃ 이하)에서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7월)
     1. 자발휴면
     2. 타발휴면
     3. 진정휴면
     4. 배휴면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배휴면 : 파종 당시 종자가 형태적으로는 완전히 발달해 있으나, 발아에 필요한 외적 조건을 주어도 발아하지 않은 경우로서 배 차제의 생리적 원인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휴면.

*타발휴면 : 수분, 광, 온도 등의 외적 요인이 부적합하여 발아하지 않는 정지 상태.
[해설작성자 : 아네모네]

16. 외적조건이 종자의 발아에 적합하여도 내적원인에 의하여 발아할 수 없는 상태는?(2006년 07월)
     1. 강제휴면
     2. 상대휴면
     3. 자발휴면
     4. 타발휴면

     정답 : []
     정답률 : 79%

17. 고온항온 건조기법에 의한 종자건조시 건조기의 온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7년 07월)
     1. 57 ~ 78도
     2. 88 ~ 96도
     3. 105 ~ 125도
     4. 130 ~ 133도

     정답 : []
     정답률 : 53%

18. 다음 중 지상발아 작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2월)
     1.
     2. 녹두
     3.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상발아 작물은 자엽이 지면 밖으로 나와 생장점에 양분을 공급한다. 콩, 강낭콩, 녹두, 소나무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김영진]

[추가 오류 신고]
지상발아 작물에는 콩, 강낭콩, 오이, 녹두, 소나무 등이 있습니다.
2번 선지에 녹두도 정답 처리 되어야 맞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yske]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9. 휴면타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생장조절제는?(2003년 01월)
     1. 지베렐린
     2. 쿠마린
     3. 페놀산
     4. 칼륨

     정답 : []
     정답률 : 94%

20. 지하발아(hypogeal germination type)형 작물이 아닌 것은?(2006년 01월)
     1.
     2.
     3. 귀리
     4. 옥수수

     정답 : []
     정답률 : 81%

2과목 : 작물육종(임의구분)


21.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은?(2007년 07월)
     1. 절단(fragment)
     2. 결실(deficiency)
     3. 전좌(translocation)
     4. 중복(deplication)

     정답 : []
     정답률 : 70%

22. 품종의 퇴화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1월)
     1. 근교강세
     2. 돌연변이
     3. 자연교잡
     4. 타 품종의 기계적 혼입

     정답 : []
     정답률 : 54%

23. 품종의 퇴화 원인 중 다음 대의 유전자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퇴화
     2. 기계적 혼입에 의한 퇴화
     3.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4. 돌연변이에 의한 퇴화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 중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단위로 취급되는 것이 편의상 좋은 개체군이다.
     2. 자가수정을 하는 작물은 동일한 유전조성의 동형접합체(homo 개체) 집단이다.
     3. 1대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4. 품종은 그 유래로 보아 재래종과 육성종으로 구분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25.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 F2에서 자색꽃과 황색꽃의 분리비율은?(2009년 01월)
     1. 15:1
     2. 9:6:1
     3. 9:7
     4. 13:3

     정답 : []
     정답률 : 56%

26. 채소 작물에서 불임성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영양의 불균형
     2. 선택 수정
     3. 차대 형성 불가능
     4. 배의 중간에 생육 진행

     정답 : []
     정답률 : 38%

27. 약배양에 의한 육종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2008년 03월)
     1. 교배를 할 필요가 없다.
     2. 선발과정이 필요 없다.
     3. 돌연변이 개체가 다른 육종법에 비하여 많다.
     4. 순계를 얻을 수 있어 육종연한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28.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2012년 07월)
     1. 우수성
     2. 균일성
     3. 영속성
     4.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우량품조의 구비조건: 우수성, 영속성, 균일성, 광지역성

29. 종간잡종 또는 속간잡종교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교잡 종자를 얻기 힘들다
     2. 후대의 유전양상이 단순하다.
     3. 잡종식물의 생육 및 임실이 불량하다.
     4. 감자, 토마토, 목초류 등 성공한 예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30. 자연 교잡에 의한 퇴화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9년 07월)
     1. 유전적인 퇴화
     2. 생리적인 퇴화
     3. 토양적인 퇴화
     4. 병리적인 퇴화

     정답 : []
     정답률 : 60%

31. 여교잡육종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는?(2016년 01월)
     1. 유전구성이 단순한 우량형질의 이전
     2. 목표형질 이외의 형질들에 대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의 기대
     3. 다수형질의 단일 품종으로의 수렴
     4. 재배품종이 가지고 있는 소수형질의 결함 개량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여교잡 육종법 : (A X B) X A    A와 B 의 우수한 형질을 다음세대에 나타나게 하는 육종법
[해설작성자 : 감사합니다.]

32.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2014년 07월)
     1. 배수체 유기
     2. 교잡
     3. 방사선 돌연변이 유기
     4. 유전공학적 기법

     정답 : []
     정답률 : 70%

33. 지방종이나 재래종과 같은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기존의 유용한 변이를 선발하여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은?(2006년 01월)
     1. 도입육종법
     2. 분리육종법
     3. 집단육종법
     4. 계통육종법

     정답 : []
     정답률 : 50%

34.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7월)
     1. 사람의 기호
     2. 품종의 분류
     3. 경제적인 상황
     4. 농업기계의 발달

     정답 : []
     정답률 : 45%

35. 교배 모본 선정시 고려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유전자원의 평가성적을 검토한다.
     2. 대량증식을 위하여 양친의 조직배양시 재분화능력을 검토한다.
     3. 교배 모본으로 사용된 실적을 검토한다.
     4. F1의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경우는 조합능력을 검정하여 교배친을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6. 꽃의 각 부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자방 - 꽃의 자성생식기관
     2. 배주 - 꽃의 웅성생식기관
     3. 약 - 수술에서 화분을 생산하는 부위
     4. 주두 - 화분을 받아들이는 부위

     정답 : []
     정답률 : 69%

37. 다음 중 작물육종 과정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2003년 01월)
     1. 유전자 탐색 →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2.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유전자 탐색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3.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 탐색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4.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유전자 탐색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정답 : []
     정답률 : 44%

38.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1월)
     1. 초우성설
     2. 동형접합성설
     3. 우성유전자연관설
     4. 유전자작용의 상승효과

     정답 : []
     정답률 : 58%

39. 육종과정에서 F2 집단에 대한 개체선발의 비율은?(2007년 01월)
     1. 1 ~ 10 %
     2. 11 ~ 15%
     3. 16 ~ 20%
     4. 21 ~ 25%

     정답 : []
     정답률 : 47%

40. 신품종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7월)
     1. 균일성, 변이성, 구별성
     2. 균일성, 안정성, 변이성
     3. 균일성, 보존성, 안정성
     4. 균일성, 구별성, 안정성

     정답 : []
     정답률 : 69%

41. 재배 환경이 과실의 저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북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2. 습지에서 생산된 과실은 건조지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 과실은 적게 준 과실보다 저장력이 떨어진다.
     4. 만생종의 경우 늦게 수확한 품질도 좋고 착색도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42. 맥류의 수발아 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은?(2002년 07월)
     1. 폭설
     2. 서릿발
     3. 비와 음랭한 날씨
     4. 높은 온도와 태풍

     정답 : []
     정답률 : 74%

43. 일반적으로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목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7월)
     1. 깜부기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2. 발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3. 도열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4.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5%

44. 콩과 같이 크기가 큰 종자의 씨 뿌림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흩어뿌림
     2. 줄뿌림
     3. 점뿌림
     4. 모둠 뿌림

     정답 : []
     정답률 : 82%

45. 개화기가 서로 다른 콩 품종을 상호 인공교배 하고자 할 때 시도할 수 있는 인위적인 일장 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7년 01월)
     1. 개화기가 빠른 품종에 단일처리를 한다.
     2.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단일처리를 한다.
     3.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장일처리를 한다.
     4. 개화기가 빠른 품종에는 단일처리를,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는 장일처리를 동시에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46.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2007년 07월)
     1. 벼멸구
     2. 이화명충
     3. 혹명나방
     4. 벼물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66%

47. 야외에서 자란 식물보다 온실에서 자란 식물이 웃자라기 쉬운 것은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이 어떤 광선을 잘 투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인가?(2015년 07월)
     1. 녹색광
     2. 적색광
     3. 청색광
     4. 황색광

     정답 : []
     정답률 : 56%

48. 봄에 싹이 터서 여름에 왕성하게 자라고, 늦여름에 씨가 맺히며 서리가 오면 죽은 한해살이 잡초는?(2015년 07월)
     1.
     2. 냉이
     3. 메꽃
     4.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70%

49. 채소의 식물학적 분류상 명아 주과에 속하는 것은?(2006년 07월)
     1. 오크라.
     2. 쑥갓
     3. 시금치
     4. 브로콜린

     정답 : []
     정답률 : 48%

50.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14년 07월)
     1.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2.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3.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4.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1.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0 ~ 4℃
     2. 5 ~ 8℃
     3. 9 ~ 14℃
     4. 20 ~ 25℃

     정답 : []
     정답률 : 70%

52. 다음 중 1년생 밭 잡초인 것은?(2007년 07월)
     1.
     2. 메꽃
     3. 가래
     4.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69%

53. 다음 중 옥수수의 생육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단일성 작물이다.
     2.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3. 수꽃이 암꽃보다 4~5일 먼저 핀다.
     4. 토양수분이 보통인 경우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26~32℃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옥수수 타가수정
[해설작성자 : 은딩]

54.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랜된 작물은?(2011년 02월)
     1. 채소
     2. 과수
     3. 화훼
     4. 곡류

     정답 : []
     정답률 : 91%

55. 다음 중 육묘시 주로 발생하는 병은?(2006년 07월)
     1. 모잘록병
     2. 탄저병
     3. 노균병
     4. 흰가루병

     정답 : []
     정답률 : 87%

56. 일반적으로 겨울철 재배온실의 이산화탄소 시비의 시기로 가장 적당한 때는?(2007년 07월)
     1. 해뜨기 1~2시간 전
     2. 해가 뜨고 2~3시간 후
     3. 정오부터 13시 사이
     4. 해지기 직전

     정답 : []
     정답률 : 55%

57. 다음 중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2012년 07월)
     1. 2mm
     2. 5mm
     3. 2cm
     4. 5cm

     정답 : []
     정답률 : 67%

58.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모래흙은 양분의 보유력이 강하다.
     2. 질흙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 공기가 많이 들어 있다.
     3. 경작지의 토성은 대체로 모래흙과 질흙이 적당하다.
     4. 토성이란 토양입자의 크기와 점토함량에 따른 토양의 분류 기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59. 다음 중 작물이 싹트기에서 성숙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13년 01월)
     1.
     2.
     3. 메밀
     4. 가을보리

     정답 : []
     정답률 : 72%

60. 일반 작물 종자가 발아하는 데 필요한 환경요건으로 가장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2006년 01월)
     1. 수분, 산소, 온도
     2. 수분, 이산화탄소, 온도
     3. 산소, 이산화탄소, 온도
     4. 수분, 온도, 양분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80836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종자(임의구분)


1. 동일 품종내에서 유전적 형질이 그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갖지 아니한 개체를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1월)
     1. 이형주
     2. 이종종자주
     3. 이품종주
     4. 품종순도

     정답 : []
     정답률 : 86%

2. 채소종자 채종에 가장 알맞은 시기는 보통 어느 때인가?(2007년 07월)
     1. 유숙기
     2. 녹숙기
     3. 갈숙기
     4. 고숙기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곡류 채종시기: 황숙기
채소 채종시기: 갈숙기
[해설작성자 : 도전자]

3. 다음 중 장기 종자 저장에 가장 효과적인 용기는?(2012년 07월)
     1. 종이 용기
     2. 캔 용기
     3. 셀로판 용기
     4. 헝겊 용기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캔과 같은 알루미늄 철제 용기가 5%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애국보수]

4. 다음은 종자가 기계적인 상처가 없고 정상적인데도 발아하지 않는 내적 원인을 열거하였다. 그 원인이 아닌 것은?(2004년 07월)
     1. 발아 억제 물질의 존재
     2. 배의 미숙
     3. 종피 및 과피가 두껍다.
     4. 온도, 수분이 부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5. 전중량(全重量)이 5g, 순씨앗 중량이 4.7g 일때의 청결율(淸潔率)로 맞는 것은?(2005년 07월)
     1. 90%
     2. 92%
     3. 94%
     4. 96%

     정답 : []
     정답률 : 77%

6. 종자의 수분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라 차가 적지만 흡수속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2. 담배종자의 흡수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늦어지며 고온에서는 오히려 빨라진다.
     3. 벼 종자의 흡수율 및 흡수속도는 밭벼 > 건도(乾道) > 논벼 순이다.
     4. 종자 흡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간은 작물의 종류에 상관 없이 거의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른 차가 적지만 흡수 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2. 담배 종자의 흡수 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빨라지지만 고온에서는 오히려 줄어든다.
4. 종자 수분 흡수량은 작물 종류, 품종, 종자의 신고, 저장 조건에 따라 다르다.
[해설작성자 : J]

7. 종자 검사상 발아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흡습 후 대사 작용을 시작하여 신장에 들어가는 단계
     2. 종피를 뚫고 유아가 출현하는 것
     3. 정상생육이 가능한 묘가 출현하는 것
     4. 포장 지연에 유모일부가 출현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63%

8. 다음 중 다른 화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야 할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2년 07월)
     1. 휴한
     2. 윤작
     3. 격리재배
     4. 종자소독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연교잡에 의한 품종퇴화 방지책: 격리재배, 시간차 격리, 복대(봉지 씌우기), 망실

9. 파종 직후에 발아 할 수 있는 종자를 발아하기에 부적당한 조건하에 잠시 동안 두면 휴면 상태로 들어가는 경우를 칭하는 용어는?(2007년 07월)
     1. 1차휴면
     2. 후숙
     3. 2차휴면
     4. 자발휴면

     정답 : []
     정답률 : 50%

10. 다음 중 식물의 자가불화합성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주두(住頭) 상에서 화분이 발아하지 않는 경우
     2. 화분관이 주두 내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3. 화분의 신장속도가 느려 수정 능력을 잃는 경우
     4. 화분량이 많아 주두 내에 화분이 모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11. 종자를 안전하게 저장 관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1월)
     1. 이병개체의 선별 및 제거
     2. 해충의 구제
     3. 저장 온ㆍ습도의 큰 변화
     4. 쥐 피해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82%

12. 피자식물의 배와 배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2. 배(2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3.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2n)는 웅핵 + 극핵
     4. 배(3n)는 웅핵 + 난핵, 배유(3n)는 웅핵 + 극핵

     정답 : []
     정답률 : 82%

13. 종자산업법상 콩 종자에 발생하는 특정병은?(2007년 07월)
     1. 도열병
     2. 흰가루병
     3. 모자이크병
     4. 자반병

     정답 : []
     정답률 : 73%

14. 병해충으로부터 저장 종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9년 01월)
     1. 공기 유통이 안되게 한다.
     2. 종자 정선을 잘한다.
     3. 저장온도를 높게 한다.
     4. 저장습도를 낮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5. 다음 중 벼 종자가 저온(0℃ 이하)에서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7월)
     1. 자발휴면
     2. 타발휴면
     3. 진정휴면
     4. 배휴면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배휴면 : 파종 당시 종자가 형태적으로는 완전히 발달해 있으나, 발아에 필요한 외적 조건을 주어도 발아하지 않은 경우로서 배 차제의 생리적 원인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휴면.

*타발휴면 : 수분, 광, 온도 등의 외적 요인이 부적합하여 발아하지 않는 정지 상태.
[해설작성자 : 아네모네]

16. 외적조건이 종자의 발아에 적합하여도 내적원인에 의하여 발아할 수 없는 상태는?(2006년 07월)
     1. 강제휴면
     2. 상대휴면
     3. 자발휴면
     4. 타발휴면

     정답 : []
     정답률 : 79%

17. 고온항온 건조기법에 의한 종자건조시 건조기의 온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7년 07월)
     1. 57 ~ 78도
     2. 88 ~ 96도
     3. 105 ~ 125도
     4. 130 ~ 133도

     정답 : []
     정답률 : 53%

18. 다음 중 지상발아 작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2월)
     1.
     2. 녹두
     3.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상발아 작물은 자엽이 지면 밖으로 나와 생장점에 양분을 공급한다. 콩, 강낭콩, 녹두, 소나무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김영진]

[추가 오류 신고]
지상발아 작물에는 콩, 강낭콩, 오이, 녹두, 소나무 등이 있습니다.
2번 선지에 녹두도 정답 처리 되어야 맞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yske]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9. 휴면타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생장조절제는?(2003년 01월)
     1. 지베렐린
     2. 쿠마린
     3. 페놀산
     4. 칼륨

     정답 : []
     정답률 : 94%

20. 지하발아(hypogeal germination type)형 작물이 아닌 것은?(2006년 01월)
     1.
     2.
     3. 귀리
     4. 옥수수

     정답 : []
     정답률 : 81%

2과목 : 작물육종(임의구분)


21. 염색체가 자극을 받아 절단된 단면(fragment)이 염색체에 다시 부착하지 못했을 때에 생기는 현상은?(2007년 07월)
     1. 절단(fragment)
     2. 결실(deficiency)
     3. 전좌(translocation)
     4. 중복(deplication)

     정답 : []
     정답률 : 70%

22. 품종의 퇴화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1월)
     1. 근교강세
     2. 돌연변이
     3. 자연교잡
     4. 타 품종의 기계적 혼입

     정답 : []
     정답률 : 54%

23. 품종의 퇴화 원인 중 다음 대의 유전자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퇴화
     2. 기계적 혼입에 의한 퇴화
     3.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4. 돌연변이에 의한 퇴화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 중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단위로 취급되는 것이 편의상 좋은 개체군이다.
     2. 자가수정을 하는 작물은 동일한 유전조성의 동형접합체(homo 개체) 집단이다.
     3. 1대잡종은 품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4. 품종은 그 유래로 보아 재래종과 육성종으로 구분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25.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 F2에서 자색꽃과 황색꽃의 분리비율은?(2009년 01월)
     1. 15:1
     2. 9:6:1
     3. 9:7
     4. 13:3

     정답 : []
     정답률 : 56%

26. 채소 작물에서 불임성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영양의 불균형
     2. 선택 수정
     3. 차대 형성 불가능
     4. 배의 중간에 생육 진행

     정답 : []
     정답률 : 38%

27. 약배양에 의한 육종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2008년 03월)
     1. 교배를 할 필요가 없다.
     2. 선발과정이 필요 없다.
     3. 돌연변이 개체가 다른 육종법에 비하여 많다.
     4. 순계를 얻을 수 있어 육종연한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28.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2012년 07월)
     1. 우수성
     2. 균일성
     3. 영속성
     4.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우량품조의 구비조건: 우수성, 영속성, 균일성, 광지역성

29. 종간잡종 또는 속간잡종교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교잡 종자를 얻기 힘들다
     2. 후대의 유전양상이 단순하다.
     3. 잡종식물의 생육 및 임실이 불량하다.
     4. 감자, 토마토, 목초류 등 성공한 예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30. 자연 교잡에 의한 퇴화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9년 07월)
     1. 유전적인 퇴화
     2. 생리적인 퇴화
     3. 토양적인 퇴화
     4. 병리적인 퇴화

     정답 : []
     정답률 : 60%

31. 여교잡육종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는?(2016년 01월)
     1. 유전구성이 단순한 우량형질의 이전
     2. 목표형질 이외의 형질들에 대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의 기대
     3. 다수형질의 단일 품종으로의 수렴
     4. 재배품종이 가지고 있는 소수형질의 결함 개량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여교잡 육종법 : (A X B) X A    A와 B 의 우수한 형질을 다음세대에 나타나게 하는 육종법
[해설작성자 : 감사합니다.]

32.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2014년 07월)
     1. 배수체 유기
     2. 교잡
     3. 방사선 돌연변이 유기
     4. 유전공학적 기법

     정답 : []
     정답률 : 70%

33. 지방종이나 재래종과 같은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기존의 유용한 변이를 선발하여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은?(2006년 01월)
     1. 도입육종법
     2. 분리육종법
     3. 집단육종법
     4. 계통육종법

     정답 : []
     정답률 : 50%

34.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7월)
     1. 사람의 기호
     2. 품종의 분류
     3. 경제적인 상황
     4. 농업기계의 발달

     정답 : []
     정답률 : 45%

35. 교배 모본 선정시 고려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유전자원의 평가성적을 검토한다.
     2. 대량증식을 위하여 양친의 조직배양시 재분화능력을 검토한다.
     3. 교배 모본으로 사용된 실적을 검토한다.
     4. F1의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경우는 조합능력을 검정하여 교배친을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6. 꽃의 각 부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자방 - 꽃의 자성생식기관
     2. 배주 - 꽃의 웅성생식기관
     3. 약 - 수술에서 화분을 생산하는 부위
     4. 주두 - 화분을 받아들이는 부위

     정답 : []
     정답률 : 69%

37. 다음 중 작물육종 과정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2003년 01월)
     1. 유전자 탐색 →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2.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유전자 탐색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3.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 탐색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4. 작물의 적응성과 특성을 인식 → 유전자 탐색 → 특성의 검정방법 개발 → 유전자를 기존의 품종에 도입

     정답 : []
     정답률 : 44%

38.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1월)
     1. 초우성설
     2. 동형접합성설
     3. 우성유전자연관설
     4. 유전자작용의 상승효과

     정답 : []
     정답률 : 58%

39. 육종과정에서 F2 집단에 대한 개체선발의 비율은?(2007년 01월)
     1. 1 ~ 10 %
     2. 11 ~ 15%
     3. 16 ~ 20%
     4. 21 ~ 25%

     정답 : []
     정답률 : 47%

40. 신품종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7월)
     1. 균일성, 변이성, 구별성
     2. 균일성, 안정성, 변이성
     3. 균일성, 보존성, 안정성
     4. 균일성, 구별성, 안정성

     정답 : []
     정답률 : 69%

41. 재배 환경이 과실의 저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북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2. 습지에서 생산된 과실은 건조지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 과실은 적게 준 과실보다 저장력이 떨어진다.
     4. 만생종의 경우 늦게 수확한 품질도 좋고 착색도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42. 맥류의 수발아 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은?(2002년 07월)
     1. 폭설
     2. 서릿발
     3. 비와 음랭한 날씨
     4. 높은 온도와 태풍

     정답 : []
     정답률 : 74%

43. 일반적으로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목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7월)
     1. 깜부기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2. 발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3. 도열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4.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5%

44. 콩과 같이 크기가 큰 종자의 씨 뿌림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흩어뿌림
     2. 줄뿌림
     3. 점뿌림
     4. 모둠 뿌림

     정답 : []
     정답률 : 82%

45. 개화기가 서로 다른 콩 품종을 상호 인공교배 하고자 할 때 시도할 수 있는 인위적인 일장 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7년 01월)
     1. 개화기가 빠른 품종에 단일처리를 한다.
     2.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단일처리를 한다.
     3.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장일처리를 한다.
     4. 개화기가 빠른 품종에는 단일처리를,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는 장일처리를 동시에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46. 벼의 줄기 속을 갉아먹는 해충은?(2007년 07월)
     1. 벼멸구
     2. 이화명충
     3. 혹명나방
     4. 벼물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66%

47. 야외에서 자란 식물보다 온실에서 자란 식물이 웃자라기 쉬운 것은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이 어떤 광선을 잘 투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인가?(2015년 07월)
     1. 녹색광
     2. 적색광
     3. 청색광
     4. 황색광

     정답 : []
     정답률 : 56%

48. 봄에 싹이 터서 여름에 왕성하게 자라고, 늦여름에 씨가 맺히며 서리가 오면 죽은 한해살이 잡초는?(2015년 07월)
     1.
     2. 냉이
     3. 메꽃
     4.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70%

49. 채소의 식물학적 분류상 명아 주과에 속하는 것은?(2006년 07월)
     1. 오크라.
     2. 쑥갓
     3. 시금치
     4. 브로콜린

     정답 : []
     정답률 : 48%

50.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14년 07월)
     1.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2.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3.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4.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1.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1월)
     1. 0 ~ 4℃
     2. 5 ~ 8℃
     3. 9 ~ 14℃
     4. 20 ~ 25℃

     정답 : []
     정답률 : 70%

52. 다음 중 1년생 밭 잡초인 것은?(2007년 07월)
     1.
     2. 메꽃
     3. 가래
     4.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69%

53. 다음 중 옥수수의 생육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단일성 작물이다.
     2.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3. 수꽃이 암꽃보다 4~5일 먼저 핀다.
     4. 토양수분이 보통인 경우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26~32℃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옥수수 타가수정
[해설작성자 : 은딩]

54.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랜된 작물은?(2011년 02월)
     1. 채소
     2. 과수
     3. 화훼
     4. 곡류

     정답 : []
     정답률 : 91%

55. 다음 중 육묘시 주로 발생하는 병은?(2006년 07월)
     1. 모잘록병
     2. 탄저병
     3. 노균병
     4. 흰가루병

     정답 : []
     정답률 : 87%

56. 일반적으로 겨울철 재배온실의 이산화탄소 시비의 시기로 가장 적당한 때는?(2007년 07월)
     1. 해뜨기 1~2시간 전
     2. 해가 뜨고 2~3시간 후
     3. 정오부터 13시 사이
     4. 해지기 직전

     정답 : []
     정답률 : 55%

57. 다음 중 벼를 싹틔울 때 가장 알맞은 싹의 크기는?(2012년 07월)
     1. 2mm
     2. 5mm
     3. 2cm
     4. 5cm

     정답 : []
     정답률 : 67%

58.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모래흙은 양분의 보유력이 강하다.
     2. 질흙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 공기가 많이 들어 있다.
     3. 경작지의 토성은 대체로 모래흙과 질흙이 적당하다.
     4. 토성이란 토양입자의 크기와 점토함량에 따른 토양의 분류 기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59. 다음 중 작물이 싹트기에서 성숙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13년 01월)
     1.
     2.
     3. 메밀
     4. 가을보리

     정답 : []
     정답률 : 72%

60. 일반 작물 종자가 발아하는 데 필요한 환경요건으로 가장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2006년 01월)
     1. 수분, 산소, 온도
     2. 수분, 이산화탄소, 온도
     3. 산소, 이산화탄소, 온도
     4. 수분, 온도, 양분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80836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 의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2597178)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184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183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853197)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182 조리산업기사(공통)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9016142)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180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760187)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79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2461677)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808365)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77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176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5654667)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75 T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74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2443773)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173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172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171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3569529)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170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381720) 좋은아빠되기 2025.11.02 0
169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168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12월 1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1 4
167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6월 13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1 4
166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9월 21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1 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