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8158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경사


1. 보르 비 콩트(Vaux-le-Viconte)에 사용된 중요한 조경기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주축선에 의한 비스타(vista)조성
     2. 다양한 원로
     3. 장식화단
     4. 가산(mound)

     정답 : []
     정답률 : 85%

2. 고려시대부터 많이 사용된 정원 용어인 화오(花摀)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오늘날 화단과 같은 역할을 한 정원 수식공간이다.
     2. 지형의 변화를 얻기 위해 인공의 구릉지를 만들었다.
     3. 화초류나 화목류를 많이 군식 하였다.
     4. 사용된 재료에 따라 매오(梅摀), 도오(挑摀), 죽오(竹摀)등으로 불렸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화오 : 낮은 둔덕의 꽃밭
[해설작성자 : 드불]

3. 페르시아의 이스파한(Isfahan) 왕궁의 정원묘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마이단이라 부르는 380m × 140m나 되는 장방형의 공원광장이 있다.
     2.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사람의 조각물이나 화단이 만들어졌다.
     3. 서쪽에는 체하르 바(Tshehar Bagh)라고 불리는 7Km이상의 길게 뻗은 넓은 도로가 있다.
     4. 도로 중앙에 노단과 수로 및 연못이 있고 양가에 가로수가 심겨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람의 조각물은 금기시되어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4. 다음의 정원 가운데 방지원도형의 지당이 있는 곳은?(2011년 06월)
     1. 청평사 문수원 영지
     2. 창덕궁 부용지
     3. 경복궁 경회루 원지
     4. 창덕궁 애련지

     정답 : []
     정답률 : 75%

5. 삼국사기에 나타난 정원수 중 궁중에 쓰였던 수종은?(2016년 05월)
     1.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2. 복숭아나무와 남천
     3. 향나무와 사시나무
     4.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기원전 180년 고조선 제세왕시절 궁원에 복숭아나무와 배나무가 만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배먹어배]

6. 명나라 때 별서정원의 성격으로 꾸며진 소주 지방의 명원은?(2019년 04월)
     1. 기창원
     2. 이화원
     3. 졸정원
     4. 작원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명나라 때 만들어진 쑤저우 최대의 정원. 유원(留园), 창랑정(沧浪亭), 사자림(狮子林)과 함께 쑤저우 4대 정원으로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됨. 베이징의 이화원(颐和园), 청더의 피서 산장(避暑山庄), 쑤저우의 유원과 함께 중국의 4대 명원
[해설작성자 : 팔봉K]

7.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시대 빌라로 평면적 구성은 병렬형이고, 정원의 주 구조물인 카지노가 테라스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2016년 03월)
     1. 랑테장(Villa Lante)
     2. 데스테장(Villa d 'Este)
     3. 벨베데레장(Villa Belvedere)
     4. 알도브란디니장(Villa Aldobrandini)

     정답 : []
     정답률 : 80%

8. 원명원을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는 견문기를 편지로 쓴 사람은?(2019년 03월)
     1. Willian Chambers
     2. Willian Temple
     3. Harry Beaumont
     4. Jean Denis Attiret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프랑스 선교사 장 드니 아띠레(중국명 왕치성)의 기록은 복원 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 다음 중 조선시대 궁원의 조경을 관리하는 기구는?(2007년 03월)
     1. 북원궁(回宮)
     2. 장원서(掌苑署)
     3. 식대부(植貸府)
     4. 내원서(內園署)

     정답 : []
     정답률 : 77%

10. 국제조경가연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일명 “이플라(IFLA)”라고도 한다.
     2. 1948년 미국의 뉴욕에서 창립되었다.
     3. 초대 회장은 제리코아(G.A.Gellicoe)였다.
     4. 창립 회원국 수는 14개국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영국에서 창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조선 태종 때에 설치된 오늘날의 이정표 역할을 한 것의 명칭은?(2011년 06월)
     1. 후자(喉子)
     2. 지표(地表)
     3. 돈대(墩臺)
     4. 물보(物譜)

     정답 : []
     정답률 : 54%

12. 계성의 원야에서 기술한 차경수법 중 시선의 높낮이와 관계 있는 것은?(2018년 04월)
     1. 일차(逸借)
     2. 석차(席借)
     3. 부차(俯借)
     4. 수차(水借)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정원 안에서 밖을 감상할 때 가까이에 있는 경물을 빌리는 근차(近借)
○ 강을 끼고 있는 원림에서 강가 풍경을 볼 때와 같이 폐쇄되지 않은 정원에서 먼 곳의 경물을 바라보는 원차(远借)
○ 한 원림에서 근처의 다른 원림의 경물을 빌리 보는 인차(邻借)
○ 두 원림이 서로를 빌려 서로의 경물을 바라보는 호차(互借)
○ 정원 안에서 바깥의 높은 산봉우리나 근처 절의 높은 탑 등을 우러러보는 앙차(仰借)
○ 정원의 어느 높은 지점에서 정원 밖의 경물을 내려다보는 부차(俯借)
○ 계절 또는 특정 시간의 경물을 빌려보는 응시차(应时借)
[해설작성자 : 팔봉K]

13. 다음은 유럽 조경사의 각 시대를 주도권의 관점에서 특징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짝지움이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15세기 - 이태리 Florentine
     2. 16세기 - 이태리 Roman Villa
     3. 17세기 - 불란서 평면기하학식 정원
     4. 18세기 - 독일 구성식 정원

     정답 : []
     정답률 : 70%

14. 조경양식의 변천과정을 볼 때 종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작품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회랑식 정원(cloister garden)
     2. 성곽 정원(castle garden)
     3. 지구라트(ziggurat)
     4. 아도니스 원(Adonis garden)

     정답 : []
     정답률 : 48%

15. 다음 고대의 조경유형((造景類型)에서 그 의의를 현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고대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현대 옥상정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고대 그리스의 아도니스원은 포트 가든(Pot garden)이나 윈도우 박스로 발달했다.
     3. 고대 로마의 포름은 현대 도시의 광장(plaza)으로 발달했다.
     4.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골프장의 시초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고대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공원의 시초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6. 일본에 백제사람 노자공이 정원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반영된 주요 사상은?(2014년 05월)
     1. 불교사상(佛敎思想)
     2. 상세사상(常世思想)
     3. 신선사상(神仙思想)
     4. 도교사상(道敎思想)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스카시대 백제 노자공이 볼교사상을 바탕으로 수미산과 오교 조성(일본 정원의 효시) > 일본의 정원양식에 영향 > 일본 서기에 기록(최초의 기록)
[해설작성자 : muu]

17. 고전적 조경서(造景書)의 저자가 잘못된 것은?(2011년 10월)
     1. 장물지 - 계성
     2. 낙양명원기 - 이격비
     3. 애련설 - 주돈이
     4. 유금릉제원기 - 왕세정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장물지 : 문진형
[해설작성자 : 팔봉K]

18. 동야정원에 관련된 저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계성은 원야에서 주인(조영자)보다 장인들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2. 산림경제 복거편에는 수목 식재방법이 소개된다.
     3. 양화소록은 조선시대 전기 조경관련 대표 저술서로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
     4. 홍만선(1643~1715)은 임원경제지리라는 농가생활에 필요한 백과전서를 소개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계성은 원야에서 장인보다 조영자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 시공자<설계자
4) 임원경제지 - 서유구
[해설작성자 : soooou]

19. 「일본서기」 에 추고천황(推古天皇) 20년(612 A.D)에 들어가 수미산과 오교수법을 전하였다고 기록된 사람은?(2013년 06월)
     1. 몽창국사
     2. 노자공(路子工)
     3. 소아씨(蘇我氏)
     4. 도선선사

     정답 : []
     정답률 : 85%

20. 광주 경렴정 별서정원과 관련 없는 것은?(2014년 03월)
     1. 뜰에는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
     2. 조선시대 조성된 별서정원이다.
     3. 연못 안에 섬을 만들었다.
     4. 탁광무가 조성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려말 益齊(익제) 이 재현 선생이 光州(광주)에 있던 卓光茂(탁광무) 선생의 亭子(정자)에 景濂亭(경렴정)이란 이름을 지어주며 景濂亭銘(경렴정명)을 지어주었고 鄭道傳(정도전)이 이어지은 景濂亭銘後說(경렴정명후설)도 있다. 탁 광무의 경렴정집도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2과목 : 조경계획


21.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에 기초한 「경관미」 평가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이용자의 지각과 판단과정이 중요하다.
     2. 이용자와 경관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3. 조경계획 과정에서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
     4. 경관미가 경관자체에 내재되어 있어 경관특성의 설명으로 경관미를 평가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6%

22. 자연공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자연공원법에 의거,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으로 분류된다.
     2. 도시공원에 비해 보통 광대한 면적을 요구함과 인공적 요소를 가능한 한 배제한다.
     3. 자연공원 내 우수한 자연 경관지 주변으로 교통운송 노선을 계획하여 차량내부에서의 조망으로 훼손을 억제한다.
     4. 주로 국유지·공유지 면적이 크고, 지형경관미가 수려한 곳에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원녹지기본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의 시장은 10년을 단위로 하여 관할구역 안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일을 얻어야 한다.
     3.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5년마다 관할구역의 공원녹지기본계획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이를 정비하여야 한다.
     4.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계획 확정 후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전문가 등에게 내용을 전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 미리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한다.

24. 고속도로조경 계획시 가용노선 선정의 고려사항을 도로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2012년 09월)
     1. 직선도로를 유지하도록 노선을 선정한다.
     2.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3.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게 되면 우회노선을 선정한다.
     4. 토량 이동(절ㆍ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25. 개인적 공간의 거리 및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친밀한 거리 : 0~45㎝의 거리로, 부모와 아기 혹은 연인들과 같은 아주 가까운 사람들 사이의 거리이다.
     2. 개인적 거리 : 45~120㎝의 거리로, 친한 친구 혹은 잘 아는 사람들 간의 일상적 대화가 유지되는 거리이다.
     3. 사회적 거리 : 120~360㎝의 거리로, 주로 업무상의 대화에서 유지되는 거리이다.
     4. 공적 거리 : 거리와 상관없는 개념으로, 방송 등을 통한 추상적 거리가 이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6. 주민들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리커트 척도가 이용된다. 이 때 특정 사항에 동의하고 부도의하는 정도를 보통 몇 단계로 구분하는가?(2007년 09월)
     1. 3 단계
     2. 7 단계
     3. 11 단계
     4. 15 단계

     정답 : []
     정답률 : 78%

27. 여러 가지의 종합분석 단계들에서 다음 분석의 항목 중 기능분석에 포함되는 것은?(2008년 05월)
     1. 자연환경 분석
     2. 역사성 분석
     3. 경관 분석
     4. 재해방지 기능분석

     정답 : []
     정답률 : 63%

28. 관리사무소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최소 규모는? (단,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2013년 03월)
     1. 50세대
     2. 100세대
     3. 150세대
     4. 300세대

     정답 : []
     정답률 : 62%

29. 각각의 운동시설 계획시 고려할 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농구코트의 장축 방위는 남-북 축을 기준으로 하고, 가까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라인을 건축물과 직각 혹은 평행하게 배치 계획한다.
     2. 배구장의 코트는 장축을 남-북으로 설치하고, 주풍방향에 수목 등의 방풍시설을 계획한다.
     3. 야구장의 방위는 내, 외야수가 오후에 태양을 등지고 경기할 수 있도록 홈플레이트를 서쪽과 남동쪽사이에 자리 잡게 계획한다.
     4. 테니스 코트 장축의 방위는 정남-북을 기준으로 동서 5~15도 편차 내의 범위로 하며, 가능하면 코트의 장축방향과 주 풍향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계획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0. 제이콥스와 웨이(Jacobs and Way)가 주창한 시각적 흡수성에 영향을 주는 직접 요인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식생의 밀집정도
     2. 지형의 위요정도
     3. 시각적 요소의 수
     4. 지역 주민의 가치관

     정답 : []
     정답률 : 81%

31. 체육시설업의 종류에 따른 필수 운동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단,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2013년 06월)
     1. 골프장업 : 회원제 골프장업은 3홀 이상, 정규 대중골프장업은 18홀 이상, 일반 대중골프장업은 9홀 이상 18홀 미만, 간이 골프장업은 3홀 이상 9홀 미만의 골프코스를 갖추어야 한다.
     2. 수영장업 : 물의 깊이는 0.9미터 이상 2.7미터 이하로 하고, 수영조의 벽면에 일정한 거리 및 수심 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스키장업 : 평균 경사도가 10도 이하인 초보자용 슬로프를 2면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4. 승마장업 : 실내 또는 실외 마장면적은 500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고, 실외 마장은 0.8미터 이상의 목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스키장업: 평균 경서도가 7도 이하인 초보저용 슬로프를 2면 이상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정 7도이하 1면 이상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법 개정으로 인하여 1번도 틀린 내용으로 됐음.
[해설작성자 : 문재문]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2. 도시관리계획이 결정고시되면 시민에게 그 사업내용을 공람시키게 된다. 이때 필요한 도면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조사, 분석도
     2. 기본계획도
     3. 지형도
     4. 지적도

     정답 : []
     정답률 : 29%

33. 다음 중 설문조사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설문지는 우편이나 전화를 통해 작성되기도 한다.
     2. 설문에 걸리는 시간은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설문지에 의한 조사는 문제의 성격이 명확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설문의 유형으로는 자유응답, 제한응답, 시각적 응답 등의 유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설문조사 : 우편이나 전화를 통해 작성 되기도 하며, 설문에 걸리는 시간은 결과에 영향을 준다. 시간은 최대 30분 이내 정도가 가장 적절하며, 문제의 성격이 명확할 때 사용한다. 자유응답, 제한응답, 시각적 응답 등의 유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34.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도시공원 유형 중 규모의 제한이 있는 것은?(2021년 05월)
     1. 소공원
     2. 체육공원
     3. 문화공원
     4. 역사공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원규모

제한없음 : 소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체육공원 : 1만제곱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조경기본계획안이 작성되면 설계자 스스로가 기본 계획안에 대한 내적 평가를 하게 된다. 이 때 평가의 일반적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은?(2012년 05월)
     1. 분석·종합의 기준
     2. 표현기법
     3. 계획목표
     4. 프로그램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표현기법은 조경설계이다
[해설작성자 : 민정김]

36. 여가활동을 증가시키고 있는 요소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3년 06월)
     1. 인간서비스 및 사회복지의 확충
     2. 교육수준의 향상
     3. 소득의 증대
     4. 맞벌이 가정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3%

37. 오픈스페이스를 형질, 기능, 소유의 기준으로 공공녹지, 자연녹지 및 공개녹지로 분류할 때 “공개녹지”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도로용지
     2. 개인정원
     3. 학교운동장
     4. 공익시설 부속원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개녹지 : 상업업무시설의 부속정원, 공공시설의 부속정원
2,3번은 공용녹지(공동주택의 부속정원, 회원레크리에이션시설, 학교 운동장, 개인정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설명의 ( )안에 해당하는 자는?(2017년 03월)

    

     1. 문화재해설사
     2. 환경영향평가사
     3. 지질공원해설사
     4. 명예습지생태안내사

     정답 : []
     정답률 : 83%

39. Clarence A.Perry 의 근린주구(近隣住區)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초등학교 1개의 학구(學區)를 기준단위로 규모는 반경 400m 정도이며, 초등학교가 근린주구의 중앙에 위치 한다.
     2. 그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되어야 한다.
     3. 근린쇼핑시설은 도로 결절점이나 인접 근린주구 내의 유사지구 부근에 위치한다.
     4. 보행로와 차도 혼용도로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패리의 근린주구 개념에선 보행로와 차도를 분리한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40. 도시계획시설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다.)(2021년 09월)
     1. 교통시설
     2. 방재시설
     3. 주거시설
     4. 공공ㆍ문화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시계획시설
1. 교통시설
2. 공간시설
3. 유통 및 공급시설
4. 공공, 문화체육시설
5. 방재시설
6. 보건위생시설
7. 환경기초시설
[해설작성자 : 영남대 조경]

3과목 : 조경설계


41.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시각적 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접근방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7년 05월)
     1. 이미지 어빌리티(lmage ability)
     2. 시각적 복잡성(Visual complexity)
     3. 식각적 선호성 (Visual preference)
     4. 영역성(Territoriality)

     정답 : []
     정답률 : 70%

42. 옥외 농구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강한 콘크리트와 같은 강한 포장재를 쓴다.
     2. 2면 이상 설치시 최저 10m 이상의 간격을 확보하여야 한다.
     3. 라인의 바깥쪽에는 최소 3m의 공간을 남겨두어야한다.
     4. 국제규격은 25m x 18m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43.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수치 기준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9월)

    

     1. A : 1.2, B : 25
     2. A : 1.2, B : 50
     3. A : 1.5, B : 50
     4. A : 1.5, B : 1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 [별표 1] 이동편의시설의 구조ㆍ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 관련)
3. 도로
    가. 교통약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보도
         1) 보도의 유효폭
             가)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보도 또는 접근로(이하 “보도등”이라 한다)의 유효폭은 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형상 불가능하거나 기존 도로의 증축ㆍ개축 시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1.2미터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나) 보도 등의 유효폭이 1.5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다른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과 교행할 수 있도록 5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교행구역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 유효폭이 1.5미터 미만인 경사진 보도 등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3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44. 오른손잡이 설계자의 일반적인 실선 제도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눈금자, 삼각자 등은 오른쪽에 가깝게 놓는다.
     2. 선을 그을 때는 심을 자의 아랫변에 꼭 대고 연필을 오른쪽으로 30~40° 뉘어 사용한다.
     3. 연필심이 고르게 묻도록 연필을 돌리면서 빠르고 강하게 단번에 긋는다.
     4. 사선은 삼각자의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눈금자, 삼각자 등은 왼쪽에 가깝게 놓는다.
[해설작성자 : 홀리몰리과콰몰리]

45. 다음 그림과 같이 정지설계(grading design)을 함에있어 절토량이 가장 많은 부위는?(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정지설계]
- 절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낮은 등고선에서 높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성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높은 등고선에서 낮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절토와 성토의 혼합에 의한 등고선 조정 : 계획고보다 높은 등고선은 위로, 평탄지역을 감싸고 계획고보다 낮은 등고선은 아래로 편탄지역을 감싸도록 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제도용 A3 용지의 크기는?(2012년 03월)
     1. 298㎜×597㎜
     2. 297㎜×420㎜
     3. 420㎜×594㎜
     4. 594㎜×841㎜

     정답 : []
     정답률 : 68%

47. 한국산업표준(KS)의 건축제도통칙에 규정된 척도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5/1
     2. 1/1
     3. 1/1,100
     4. 1/6,0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건축제도 통칙 (KSF 1501)
     척도의 종류
    ­ 실척 : 1/1
    ­ 축척 : 1/2, 1/3, 1/4, 1/5, 1/10, 1/20, 1/25,
                 1/40, 1/50, 1/100, 1/200, 1/250, 1/300,
                 1/500, 1/600, 1/1000, 1/1200, 12000,
                 1/2500, 1/3000, 1/5000, 1/6000
    ­ 배척 : 2/1, 5/1
[해설작성자 : 늘푸른 소나무]

48. 다음 경관의 여러 형식 중 자연경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경작지 경관
     2. 산림 경관
     3. 평야 경관
     4. 해양 경관

     정답 : []
     정답률 : 68%

49. 다음 그림은 연못 바닥 단면 상세도이다. 순서대로 정확히 기입된 것은?(2007년 03월)

    

     1. ① 철근 → ② 조약돌깔기 → ③ 잡석다짐 → ④ 콘크리트 → ⑤ 방수몰탈
     2. ① 잡석다짐 → ② 철근 → ③ 콘크리트 → ④ 방수몰탈 → ⑤ 조약돌깔기
     3. ① 조약돌깔기 → ② 방수몰탈 → ③ 콘크리트 → ④ 철근 → ⑤ 잡석다짐
     4. ① 방수몰탈 → ② 콘크리트 → ③ 조약돌깔기 → ④ 철근 → ⑤ 잡석다짐

     정답 : []
     정답률 : 72%

50. 40대의 승용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의 주차구획면적으로 옳은 것은? (단, 주차장법 규정 적용)(2004년 05월)
     1. 378m2 정도
     2. 460m2 정도
     3. 540m2 정도
     4. 792m2 정도

     정답 : []
     정답률 : 38%

51. 휴지통의 배치 계획시 잘못된 사항은?(2004년 05월)
     1. 대형보다는 소형을 좁은 간격으로 배치한다.
     2. 배치하는 수량은 벤치 2 ~ 4개마다 한개씩 배치한다.
     3. 노폭이 넓을 경우에는 진행 방향의 좌측에 배치한다.
     4. 던지는 범위는 평균 반경 7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52. 시각 디자인상 방향감(方向感)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수직과 수평 방향만으로도 시각적 만족과 경험을 준다.
     2. 대각선 방향은 안정을 깨뜨리고 자극을 준다.
     3. 엄숙과 위엄을 강조할 때에는 수직방향의 강조가 필요하다.
     4. 우리 눈은 수직 길이 방향보다 수평 길이 방향을 판단하는데 더 노력을 필요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람은 수평방향에 대한 방향감각은 뛰어나지만, 상하전후를 식별하는 감각은 비교적 둔하다.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53. 시인성(color visibility)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색채마다 고유한 시인성이 있다.
     2. 다른 용어로 명시성(明視性)이라도로 한다.
     3. 검정보다 하양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다.
     4. 위험 등을 알리는 교통표지판이나 안내물 등에는 시인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하양보다 검정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으며, 검정바탕의 노란글씨가 가장 가시성이 높은 조합이다.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54.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헤링의 반대색설의 4색을 기본으로 만들었다.
     2. 노랑과 남색, 빨강과 청록의 그 중간 색상을 배열하여 8색으로 만들었다.
     3. 우측 회전순으로 번호를 붙이 24색을 만들었다.
     4. 최종적으로 100색상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오스트발트는 색상환을 헤링의 반대색(심리4원색)인 노랑-파랑 빨강-초록을 기본색으로 하고,중간 색상을 만들어 8개의 색을 3단계씩 분류해 24색상환을 만들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4번의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최대 100까지 계산.

55. 대지면적 5,000m2, 조경의무면적 750m2, 식재의무면적 375m2, 설계조경면적 1,000m2, 교목식재기준 0.2주/m2 일 때 녹지지역의 교목식재 수량 기준은? (단, 국토교통부 조경기준을 적용한다.)(2016년 03월)
     1. 1000주 이상
     2. 150주 이상
     3. 100주 이상
     4. 74주 이상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750X0.2=150주
[해설작성자 : 우석]

식재의무면적/교목식재기준 > 375/0.2 = 75주/m2
녹지지역의 경우, 교목 수량을 2배로 적용
75*2 = 150주/m2 > 150주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축척이 1/500인 도면에서 길이가 3cm되는 선은 실제로는 얼마가 되는가?(2019년 09월)
     1. 3cm÷500
     2. 500÷3cm
     3. 500×3cm
     4. 1÷(500×3cm)

     정답 : []
     정답률 : 73%

57.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변화되는 색채
     2.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3.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4.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

     정답 : []
     정답률 : 80%

58. 인공지반식재기간 조성과 관련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 구조물위에 조성되는 식재지반을 인공지반이라 한다.
     2. 버드나무, 아까시나무 등은 바람에 쓰러지거나 줄기가 꺾어지기 쉬우므로 설계 시 고려한다.
     3. 인공지반의 건조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토성적으로 보수성이 좋은 토양재료를 사용한다.
     4.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 옥상면의 배수구배는 최대 1.0% 이하로, 배수구 부분의 배수구배는 최대 1.5% 이하로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 옥상면의 배수구배는 최소 1.3% 이상로, 배수구 부분의 배수구배는 최소 2.0% 이상으로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팽이나 레코드판과 같은 회전원판을 일정 면적비의 부채꼴로 나누어 칠해 회전시키면, 표면의 색들은 혼색되어 하나의 새로운 색이 보이게 되며, 이 색은 밝기와 색에 있어서 원래 각 색지각의 평균값으로 나타난다. 이 혼색방법은?(2009년 08월)
     1. 색광혼색
     2. 감법혼색
     3. 중간혼색
     4. 병치가법혼색

     정답 : []
     정답률 : 61%

60. 그림과 같이 도형의 한쪽이 튀어나와 보여서 입체로 지각되는 착시현상은?(2015년 09월)

    

     1. 대비의 착시
     2. 반전 실체의 착시
     3. 착시의 분할
     4. 방향의 착시

     정답 : []
     정답률 : 73%

4과목 : 조경식재


6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식물은?(2012년 09월)

    

     1. 맥문동
     2. 꽃창포
     3. 노루귀
     4. 털머위

     정답 : []
     정답률 : 69%

62. 자연 특성을 활용한 공원의 계획 및 설계를 할 경우, 야생생물과 관련한 식재 설계 기법의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9월)
     1. 생물 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지피층 - 관목·덤불층 - 교목층으로 다층구조화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2. 야생동물을 유인하는 수종으로는 작살나무, 팥배나무, 산사나무, 노간주나무, 신나무 등이 있다.
     3. 이용이 적은 초지는 자연형 초지로 한다.
     4. 천공재료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63. 일반적으로 식재설계는 식물의 생리생태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식재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옳은 것은?(2002년 03월)
     1. 은방울꽃은 빛이 드는 양지에 식재하여야 한다.
     2. 벌개미취는 산림의 건조한 지역에 식재한다.
     3. 줄은 냇가나 습지에 식재한다.
     4. 예기부들은 물이 없는 곳에 식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64. 중앙분리대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분리대의 너비는 12cm이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2. 정형식은 같은 크기와 생김새를 가진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식재한다.
     3. 랜덤식은 차광효과가 떨어지고 단목적(單木的)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4. 2m이하의 좁은 분리대에서 사용하는 방현망(防眩網)은 식수에 비해 미관과 차광효과가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20%

65. 가을화단용 초화류는?(2003년 08월)
     1. 아게라텀
     2. 봉선화
     3. 숙근플록스
     4. 알리섬

     정답 : []
     정답률 : 34%

66. 미적 효과와 관련한 식재형식 중 경관식재와 밀접한 관계가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표본식재
     2. 산울타리식재
     3. 경재식재
     4. 방풍식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미적효과와 관련: 표본식재, 강조식재, 군집식재, 산울타리식재, 경재식재
[해설작성자 : 드불]

경재 식재 (境栽植栽)
[건설 ] 건물의 벽, 담장, 울타리, 펜스 따위의 구조물과 원로 사이의 공간에 식물을 심어 재배하는 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식생조사 및 분석에서 두 종의 종간관계를 유추하기 위하여 종간결합을 조사하는 과정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2015년 05월)

    

     1. B → A → D → C
     2. B → D → A → C
     3. D → B → A → C
     4. D → A → B → C

     정답 : []
     정답률 : 69%

68. 다음 중 년간 총 강우량과 극상생물군집의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0~25㎜ : 사막
     2. 250~760㎜ : 초원, 사바나
     3. 760 ~1000㎜ : 건조림
     4. 1000㎜이상 : 온대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00mm이상이 온대림
[해설작성자 : 늘bluesky]

69. 식재기능을 공간조절, 경관조절, 환경조절 기능으로 나눌 경우 공간조절 식재 기능은?(2021년 05월)
     1. 지표식재
     2. 녹음식재
     3. 유도식재
     4. 방풍식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공간조절 식재 기능 중의 하나로서, 유도식재는 사람들의 움직임과 방향을 유도하고 안내하기 위해 식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해 길을 따라 식재를 배치하는 것이 유도식재의 한 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Prunus padus 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수피는 흑갈색이다.
     2.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3. 5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4.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공해성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귀룽나무는 맹아력이 좋으며, 생육속도가 빠른 속성수이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71. A지점의 소음수준은 50dB(A)이다. B지점은 A지점보다 음원으로부터 4배 멀리 떨어져 있다. 다음 식에 의해 B지점의 소음 수준을 구하면 얼마인가? (단, , D = 소음의 차이 L1, L2: 각 지점의 소음도 d1, d2: 음원으로부터의 거리)(2004년 09월)
     1. 40dB(A)
     2. 44dB(A)
     3. 50dB(A)
     4. 38dB(A)

     정답 : []
     정답률 : 38%

72. 다음 중 침엽수인데 잎이 낙엽되는 수종으로만 나열된 것은?(2008년 03월)
     1.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edrus deodara
     2. Ginko biloba, Cephalotaxus Koreana
     3. Taxodium distichum, Larix kaempferi
     4. Chamaecyparis pisifera, Picea abies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Taxodium distichum (낙우송), Larix kaempferi (일본잎갈나무)
[해설작성자 : kbp]

73. 패치 가장자리의 생태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가장자리의 수직과 수평구조
     2. 가장자리의 폭
     3. 종 풍부도
     4. 색채의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42%

74. 다음 중 뿌리가 가장 얕게 뻗는 천근성 수종은?(2013년 09월)
     1. Abies holophylla Maxim.
     2. Zelkova serrata Makino
     3.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4. Robinia pseudoacacia L.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느티나무(Zelkova serrata (Thunb.) Makino)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해설작성자 : 팔봉K]

75. 생태적 천이(발전단계와 성숙단계)에서 기대되는 특성 설명이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발전단계에서의 순군집샘산량(수확량)은 성숙단계보다 높다.
     2. 발전단계에서의 생화학적 다양성은 성숙단계보다 낮다.
     3. 발전단계에서의 종의 다양성-불편성의 요소는 성숙단계보다 높다.
     4. 발전단계에서의 유지생체량/단위에너지흐름(B/E)은 성숙단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40%

76. 식생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세밀한 식생조사를 위해서 대축척의 식생도를 만든다.
     2. 식생에 대한 분포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3. 식생도는 분포의 입지 관련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4. 대상(代償)식생이란 원래의 자연환경 조건에서 존재하였던 식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식생 : 어느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의 집단 전체를 가리킬 때 쓰는말. 식생을 식물 군락마다 구분하여 지도로 한 것을 식생도라 한다. 현존 자연 식생·잠재 자연 식생 등이 있으나 단지 식생이라고 하는 경우는 현존 자연 식생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식재 수종(植栽樹種)의 선정이나 보호하고자 하는 지구의 결정을 판단하는 지침
[해설작성자 : 팔봉K]

대상식생이란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아 대치된 식생이며, 인간의 생활영역 속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식생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다음 중 바람에 쓰러지기 쉬운 수종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루나무
     2. 버드나무
     3. 아까시나무
     4. 졸참나무

     정답 : []
     정답률 : 69%

78. 방풍식재에서 산울타리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얼마의 밀폐도가 적당한가?(2005년 09월)
     1. 15~25%
     2. 25~35%
     3. 45~55%
     4. 65~75%

     정답 : []
     정답률 : 27%

79. 식재수법을 정형식, 자연풍경식, 자유식, 군락식으로 구분 할때 그 중 자유식재(自由植栽)수법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3월)
     1. 교호식재
     2. 사실적식재
     3. 루버형식재
     4. 랜덤형식재

     정답 : []
     정답률 : 49%

80. 내습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2018년 04월)
     1.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2. 싸리(Lespedeza bicolor)
     3.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4. 낙우송(Taxodium distichu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습지에 가장 강한 수종 : 낙우송,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함박꽃나무, 버드나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과목 : 조경시공구조학


81. 200m의 측선을 20m 줄자로 측정하여 1회 측정에서 +5mm의 누적오차와 ±25mm의 우연오차가 있었다면 정확한 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9월)
     1. 200.00 ± 0.075m
     2. 200.05 ± 0.05m
     3. 200.00 ± 0.05m
     4. 200.05 ± 0.075m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오류:200.05+-0.079m로 수정
정답 4번
해설:총 누적오차=1회 측정시 오차×측정횟수=5×200/20=50mm=0.05m
        총 우연오차=+-1회 측정시 오차×(루트n)
                        =+-25×(루트200/20)=0.079m
        즉,정확한 거리=관측거리+총 누적오차+-총 우연오차
                             =200+0.05m+-0.079m
                             =200.05+-0.079m(근사치 적용)
[해설작성자 : ㅇ ㅇ]

82. 수질오염의 물리적인 처리방법의 순서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된 것은?(2006년 09월)
     1. 스크린 - 침전 - 침사지 - 부상 - 여과 - 흡착
     2. 스크린 - 침사지 - 침전 - 부상 - 여과 - 흡착
     3. 스크린 - 부상 - 침전 - 침사지 - 여과 - 흡착
     4. 흡착 - 침사지 - 침전 - 부상 - 여과 - 스크린

     정답 : []
     정답률 : 43%

83. 지형도에서의 등고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계곡선은 지모 상태를 명시하고 표고의 읽음을 쉽게 하기 위하여 주곡선 간격의 1/5거리로 표시한 곡선이다.
     2. 산령과 계곡이 만나 이들의 등고선이 서로 쌍곡선을 이루는 것과 같은 부분을 고개(saddle)라고 한다.
     3.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 간격이 넓고 완경사지에서는 좁다.
     4. 조곡선은 주곡선만으로 지형을 완전하게 표시할 수 없을 때 주곡선 간격의 2배로 표시한 곡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84. 길어깨(路肩)의 설치 목적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긴급구난시 비상도로로 활용
     2. 고장차의 대피
     3. 도로의 주요 구조부의 보호
     4. 고속도로 앞지르기시 통행에 이용

     정답 : []
     정답률 : 71%

85. 평판 측량에서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 중 다른 오차에 비하여 그 영향이 매우 큰 오차는?(2010년 09월)
     1. 거리 오차
     2. 기울기 오차
     3. 방향 맞추기 오차
     4. 중심 맞추기 오차

     정답 : []
     정답률 : 56%

86. 종단구배가 변하는 곳에서 사고의 위험 및 차량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계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종단선형은 지형에 적합하여야 하며, 짧은 구간에서 오르내림이 많지 않도록 한다.
     2. 길이가 긴 경사 구간에는 상향경사가 끝나는 정상 부근에 완만한 기울기의 구간을 둔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구간을 반드시 두도록 한다.
     4. 교량이 있는 곳 전방에는 종단구배를 주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의 짧은 직선구배 구간은 피할 것.
[해설작성자 : yee]

87. 목재를 건조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건조수축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2. 무게가 경감되어 운반 및 시공이 쉬워진다.
     3. 되도록 건조를 많이 하여 가연성을 증대시킨다.
     4. 강도, 탄성, 경도, 내마모성 등의 성질을 증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88. 시공도면 작성 시 아래와 같은 표시는 일반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2022년 03월)

    

     1. 지반
     2. 잡석다짐
     3. 석재
     4. 벽돌벽

     정답 : []
     정답률 : 63%

89. 도로조건만으로 정한 최고속도로서 도로의 기하학적 설계에 기준이 되는 속도는?(2003년 08월)
     1. 주행속도
     2. 구간속도
     3. 임계속도
     4. 설계속도

     정답 : []
     정답률 : 57%

90. 다음 그림에서 같은 두 힘에 의한 A점의 모멘트 크기는?(2019년 09월)

    

     1. 5tㆍm
     2. 10tㆍm
     3. 15tㆍm
     4. 20tㆍm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시공구조역학에서 우력모멘트에 관한 문제이다.
우력모멘트는 힘의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다른 힘의 값을 우력모멘트라 한다.
이때 계산방법은 힘의 크기*거리의 합(3+1)로 구한다.

따라서...
5t*4m = 20t*m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91. 공원에 설치되는 조명과 관련된 설명 중 '휘도'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2018년 04월)
     1. 방사속 중에서 가시광선의 방사속을 눈의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것
     2. 발광체가 발하는 광속의 밀도
     3. 단위면에 수직으로 투하된 광속밀도
     4. 광원면에서 어느 방향의 광도를 그 방향에서의 투영면적으로 나눈 것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광속
2. 광도
3. 조도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2. 다음 그림의 경심은?(2011년 03월)

    

     1.
     2.
     3. πD
     4.

     정답 : []
     정답률 : 59%

93. 다음 불도저(bulldozer)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토사의 절토, 성토, 다지기, 운반 등의 작업에 쓰이는 대표적인 토공기계이다.
     2. 작업 범위는 소형 50m 에서 대형 100m 정도이다.
     3. 무한궤도식(無限軌道式)은 승차감과 기동성이 좋고, 다짐효과도 커서 장거리작업에 효과적이다.
     4. 토공판의 각도에 따라 스트레이트 도저, 앵글 도저, 틸트 도저로 분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94. 흙의 함수율, 함수비, 공극률, 공극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함수율은 공극수 중량과 흙 전체 중량의 백분율이다.
     2. 공극률은 흙 전체 용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 백분율이다.
     3. 공극비는 고체부분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비이다.
     4. 함수비는 토양에 존재하는 수분의 무게를 흙의 제적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함수비는 공극수 중량과 흙입자 중량의 백분율이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95. 다음은 옥외주차장의 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옳은 것은?(2003년 05월)
     1. 노상주차장은 종단 구배가 6% 이상의 도로에는 설치 할 수 없다.
     2. 횡단구배를 연석쪽으로 낮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출입구는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이 없는 지점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4. 60° 주차방식이 장시간 주차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다음의 등고선에서 D-D'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2년 03월)

    

     1. 완경사 능선
     2. 완경사 계곡
     3. 급경사 능선
     4. 급경사 계곡

     정답 : []
     정답률 : 67%

97. 인공살수(人工撒水) 시설의 설계를 위한 관개강도(灌漑强度)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작업시간
     2. 가압기의 능력
     3. 토양의 종류, 경사도
     4. 지피식물의 피복도(被覆度)

     정답 : []
     정답률 : 48%

98. 자금력과 신용 등에서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3~7개의 특정 회사를 선정하여 입찰시키는 방법은?(2008년 09월)
     1. 일반경쟁입찰
     2. 지명경쟁입찰
     3. 제한경쟁입찰
     4. 특명경쟁입찰

     정답 : []
     정답률 : 62%

99.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 감소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2.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3.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4.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목재함수율이 목재에 미치는 영향}
- 함수율이 섬유포화점(함수율 약30%)이하시 수축 시작
- 섬유포화점 이상은 함수율 변화에 수축, 팽창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다음 중 목재면에 칠하여 마감하는 종류의 도료가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에나멜
     2. 광명단
     3. 오일 스테인
     4. 조합 페인트

     정답 : []
     정답률 : 40%

101. 조경수목의 정자, 전지, 전정 등의 관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수목관리시 도장지는 제거하여 준다.
     2. 벚나무는 수형을 잡아주기 위하여 자주 가지치기를 해야 한다.
     3. 정자(整姿, trimming)란 나무 전체의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이다.
     4. 봄에 꽃피는 진달래는 꽃이 진 후에 전전을 하면 다음해에 많은 꽃을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벚나무는 딱히 전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아아]

102. 집수구 및 맨홀의 유지관리 착안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태풍철, 해빙기 및 장마기 전에는 청소를 할 필요가 없다.
     2. 지반이 침하되어 집수구가 솟아올라서 물의 유입이 되지 않을 때에는 주위 지반을 토사로 높이거나 집수구를 절단하여 낮추어 준다.
     3. 시설 주변의 침하나 포장 덧씌우기 등으로 움푹 들어가 통행에 위험으 f줄 때에는 즉시 조치해야 한다.
     4. 뚜껑이 분실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보수전에 표지판 및 울타리를 치고 즉시 교체 또는 보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03. 수목 이식 후 쇠약해진 나무의 줄기를 새끼, 천 등으로 감아 주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나무의 수분 증산을 억제한다.
     2. 강한 햇빛을 받아 껍질이 타는 것을 방지한다.
     3. 나무의 가지 성장을 번성하게 하여 수체형성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이다.
     4. 쇠약해진 나무에 병해충 침입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04. 음수대의 일반적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유원지, 관광지 등 3계절형인 곳에서는 겨울철에 게이트 밸브를 열고 물을 채워 둔다.
     2. 배수구가 막힌 경우에는 대나무나 봉 등으로 쑤셔보거나 물을 흘리면서 철선으로 찌르기를 반복한다.
     3. 드레인이 파손되면 오물이 배수구로 들어가 막히게 되므로 항상 완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4. 지수전은 조작의 편의상 음수대 가까이에 설치하고 상부 뚜껑은 무분별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채워두면 밸브 얼어서 밸브랑 파이프 고장날 듯 합니다.
전문적인 답변은 아니지만..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오늘준비시작]

국공립공원, 유원지, 관광지 등 3계절형인 곳에서는 겨울철에 게이트 밸브를 잠그고 물을 빼내며, 자주 사용하는 곳도 빙점 이하로 내려가면 물을 빼내어 동파를 방지항다
[해설작성자 : 람이]

105. 동력예취기의 안전점검 및 보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엔진, 배터리, 연료탱크 주변을 청소한다.
     2. 급유는 엔진이 식었을 때 실시해야 한다.
     3. 야간작업 시 예취기 본체의 라이트를 켜고 작업해야 한다.
     4. 오일류의 폐기는 폐기설비를 갖춘 곳에서만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야간작업 x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06. 다음 화목류의 전정방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철쭉, 목련나무, 동백나무 등은 낙화 직후에 전정함이좋다.
     2. 벚나무, 해당화 등은 거의 전정을 하지 않아도 잘 개화 한다.
     3. 석류나무, 배롱나무, 능소화 등은 5 ~ 6월에 전정함이좋다.
     4. 5 ~ 9월에 화아분화하는 화목류는 낙화 후에 곧 전정함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6%

107. 다음 유희시설의 전반적인 유지관리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해안의 염분, 대기오염의 현저한 지역에서는 강력한 방청처리를 하거나 스테인레스제품을 사용한다.
     2. 사용재료에 균열발생 등 파손우려가 있거나 파손된 시설물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3. 바닥모래를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서 어린이가 다치지 않도록 최대한 가는 모래를 깐다.
     4. 놀이터 내에 물이 고이는 곳이 없도록 모래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정답 : []
     정답률 : 66%

108. 이용관리 계획 중 주민참가의 발전과정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시민권력의 단계
     2. 개인 참가의 단계
     3. 비참가의 단계
     4. 형식적 참가의 단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비참가단계-조작, 치료
형식참가의 단계-정보제공, 상담, 유화
시민권력의 단계-파트너쉽, 권한위양, 자치관리
[해설작성자 : 늘bluesky]

109. 다음 중 잔디밭의 표층 통기작업으로 사용되는 기계는?(2004년 03월)
     1. 레노베이팅
     2. 레이킹
     3. 코링
     4. 버티커팅

     정답 : []
     정답률 : 40%

110. 식물 관리비의 적산에 맞는 계산식은?(2004년 05월)
     1. 식물수량 × 년간생장율 × 작업연인원 × 작업단가
     2. 식물수량 × 작업인원 × 작업단가
     3. 식물수량 × 작업율 × 작업회수 × 작업단가
     4. 식물수량 × 작업연인원 × 작업회수 × 작업단가

     정답 : []
     정답률 : 49%

111. 작업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무재해” 이념의 3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무(Zero)의 원칙
     2. 선취의 원칙
     3. 관리의 원칙
     4. 참가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3가지)
무의 원칙, 선취의 원칙, 참가의 원칙
[해설작성자 : 와이지]

112. 식물 표면에서 제초제의 흡수 과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극성의 제초제에 습윤제를 첨가하며 제초제의 독성은 감소된다.
     2. 비극성(친유성) 제초제는 큐티클 납질층을 친수성보다 잘 통과한다.
     3. 계면활성제는 극성 제초제가 큐티클 납질층을 잘 통과하도록 도와준다.
     4. 친수성 제초제의 통과는 펙틴, 큐틴 순으로 잘되나 납질은 통과가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극성의 제초제는 습윤제 첨가로 독성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3학년2학기 과탑]

113. 흰불나방, 미루나무 재주나방, 버들재주나방, 텐트나방, 박쥐나방등의 해충에 가장 많이 피해를 받는 수목은?(2005년 09월)
     1. 포플러류
     2. 소나무류
     3. 오리나무류
     4. 참나무류

     정답 : []
     정답률 : 54%

114. 수목의 년간 유지관리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직접적인 변수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자연기후
     2. 식물생리
     3. 시설의 이용상황
     4. 인력공급

     정답 : []
     정답률 : 39%

115.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이 기생하는 나무에서 흔히 관찰되는 수목병은?(2020년 09월)
     1. 그을음병
     2. 빗자루병
     3. 흰가루병
     4. 줄기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3%

116. 비탈면 보호공법 중 우수 침식 방지, 동상 붕괴 억제, 녹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식생공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편책공
     2. 종자뿜어붙이기공
     3. 떼붙임공
     4. 식생매트공

     정답 : []
     정답률 : 54%

117. 다음 중 토사포장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지반치환공법
     2. 노면치환공법
     3. 배수처리공법
     4. 패칭(Patching)공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패칭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118. 옥외레크레이션의 관리체계를 세울 때 주요기능 관점의 3가지 부체계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이용자관리
     2. 자원관리
     3. 서비스관리
     4. 매스미디어관리

     정답 : []
     정답률 : 72%

119. 자연공원지역에서 제반 관리적 상황의 파악을 위한 적정모니터링시스템이 갖춰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9월)
     1. 영향을 유효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의 설정
     2. 신뢰성 있고 민감한 측정의 기법 적용
     3. 고비용의 정확한 측정모델의 선정
     4. 측정 단위들의 합리적 위치 설정

     정답 : []
     정답률 : 73%

120. 어떤 작업장에서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가 작업중 갑작스런 고장을 일으켰다. 이때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5월)
     1. 사후점검
     2. 임시점검
     3. 정기점검
     4. 특별점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8158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경사


1. 보르 비 콩트(Vaux-le-Viconte)에 사용된 중요한 조경기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주축선에 의한 비스타(vista)조성
     2. 다양한 원로
     3. 장식화단
     4. 가산(mound)

     정답 : []
     정답률 : 85%

2. 고려시대부터 많이 사용된 정원 용어인 화오(花摀)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오늘날 화단과 같은 역할을 한 정원 수식공간이다.
     2. 지형의 변화를 얻기 위해 인공의 구릉지를 만들었다.
     3. 화초류나 화목류를 많이 군식 하였다.
     4. 사용된 재료에 따라 매오(梅摀), 도오(挑摀), 죽오(竹摀)등으로 불렸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화오 : 낮은 둔덕의 꽃밭
[해설작성자 : 드불]

3. 페르시아의 이스파한(Isfahan) 왕궁의 정원묘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마이단이라 부르는 380m × 140m나 되는 장방형의 공원광장이 있다.
     2. 도로와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사람의 조각물이나 화단이 만들어졌다.
     3. 서쪽에는 체하르 바(Tshehar Bagh)라고 불리는 7Km이상의 길게 뻗은 넓은 도로가 있다.
     4. 도로 중앙에 노단과 수로 및 연못이 있고 양가에 가로수가 심겨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람의 조각물은 금기시되어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4. 다음의 정원 가운데 방지원도형의 지당이 있는 곳은?(2011년 06월)
     1. 청평사 문수원 영지
     2. 창덕궁 부용지
     3. 경복궁 경회루 원지
     4. 창덕궁 애련지

     정답 : []
     정답률 : 75%

5. 삼국사기에 나타난 정원수 중 궁중에 쓰였던 수종은?(2016년 05월)
     1.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2. 복숭아나무와 남천
     3. 향나무와 사시나무
     4.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기원전 180년 고조선 제세왕시절 궁원에 복숭아나무와 배나무가 만발했다는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배먹어배]

6. 명나라 때 별서정원의 성격으로 꾸며진 소주 지방의 명원은?(2019년 04월)
     1. 기창원
     2. 이화원
     3. 졸정원
     4. 작원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명나라 때 만들어진 쑤저우 최대의 정원. 유원(留园), 창랑정(沧浪亭), 사자림(狮子林)과 함께 쑤저우 4대 정원으로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됨. 베이징의 이화원(颐和园), 청더의 피서 산장(避暑山庄), 쑤저우의 유원과 함께 중국의 4대 명원
[해설작성자 : 팔봉K]

7.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시대 빌라로 평면적 구성은 병렬형이고, 정원의 주 구조물인 카지노가 테라스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2016년 03월)
     1. 랑테장(Villa Lante)
     2. 데스테장(Villa d 'Este)
     3. 벨베데레장(Villa Belvedere)
     4. 알도브란디니장(Villa Aldobrandini)

     정답 : []
     정답률 : 80%

8. 원명원을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는 견문기를 편지로 쓴 사람은?(2019년 03월)
     1. Willian Chambers
     2. Willian Temple
     3. Harry Beaumont
     4. Jean Denis Attiret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프랑스 선교사 장 드니 아띠레(중국명 왕치성)의 기록은 복원 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 다음 중 조선시대 궁원의 조경을 관리하는 기구는?(2007년 03월)
     1. 북원궁(回宮)
     2. 장원서(掌苑署)
     3. 식대부(植貸府)
     4. 내원서(內園署)

     정답 : []
     정답률 : 77%

10. 국제조경가연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일명 “이플라(IFLA)”라고도 한다.
     2. 1948년 미국의 뉴욕에서 창립되었다.
     3. 초대 회장은 제리코아(G.A.Gellicoe)였다.
     4. 창립 회원국 수는 14개국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영국에서 창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조선 태종 때에 설치된 오늘날의 이정표 역할을 한 것의 명칭은?(2011년 06월)
     1. 후자(喉子)
     2. 지표(地表)
     3. 돈대(墩臺)
     4. 물보(物譜)

     정답 : []
     정답률 : 54%

12. 계성의 원야에서 기술한 차경수법 중 시선의 높낮이와 관계 있는 것은?(2018년 04월)
     1. 일차(逸借)
     2. 석차(席借)
     3. 부차(俯借)
     4. 수차(水借)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정원 안에서 밖을 감상할 때 가까이에 있는 경물을 빌리는 근차(近借)
○ 강을 끼고 있는 원림에서 강가 풍경을 볼 때와 같이 폐쇄되지 않은 정원에서 먼 곳의 경물을 바라보는 원차(远借)
○ 한 원림에서 근처의 다른 원림의 경물을 빌리 보는 인차(邻借)
○ 두 원림이 서로를 빌려 서로의 경물을 바라보는 호차(互借)
○ 정원 안에서 바깥의 높은 산봉우리나 근처 절의 높은 탑 등을 우러러보는 앙차(仰借)
○ 정원의 어느 높은 지점에서 정원 밖의 경물을 내려다보는 부차(俯借)
○ 계절 또는 특정 시간의 경물을 빌려보는 응시차(应时借)
[해설작성자 : 팔봉K]

13. 다음은 유럽 조경사의 각 시대를 주도권의 관점에서 특징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짝지움이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15세기 - 이태리 Florentine
     2. 16세기 - 이태리 Roman Villa
     3. 17세기 - 불란서 평면기하학식 정원
     4. 18세기 - 독일 구성식 정원

     정답 : []
     정답률 : 70%

14. 조경양식의 변천과정을 볼 때 종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작품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회랑식 정원(cloister garden)
     2. 성곽 정원(castle garden)
     3. 지구라트(ziggurat)
     4. 아도니스 원(Adonis garden)

     정답 : []
     정답률 : 48%

15. 다음 고대의 조경유형((造景類型)에서 그 의의를 현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고대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현대 옥상정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고대 그리스의 아도니스원은 포트 가든(Pot garden)이나 윈도우 박스로 발달했다.
     3. 고대 로마의 포름은 현대 도시의 광장(plaza)으로 발달했다.
     4. 고대 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골프장의 시초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고대앗시리아 수렵원은 현대 공원의 시초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6. 일본에 백제사람 노자공이 정원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반영된 주요 사상은?(2014년 05월)
     1. 불교사상(佛敎思想)
     2. 상세사상(常世思想)
     3. 신선사상(神仙思想)
     4. 도교사상(道敎思想)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스카시대 백제 노자공이 볼교사상을 바탕으로 수미산과 오교 조성(일본 정원의 효시) > 일본의 정원양식에 영향 > 일본 서기에 기록(최초의 기록)
[해설작성자 : muu]

17. 고전적 조경서(造景書)의 저자가 잘못된 것은?(2011년 10월)
     1. 장물지 - 계성
     2. 낙양명원기 - 이격비
     3. 애련설 - 주돈이
     4. 유금릉제원기 - 왕세정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장물지 : 문진형
[해설작성자 : 팔봉K]

18. 동야정원에 관련된 저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2년 09월)
     1. 계성은 원야에서 주인(조영자)보다 장인들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2. 산림경제 복거편에는 수목 식재방법이 소개된다.
     3. 양화소록은 조선시대 전기 조경관련 대표 저술서로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화분의 관리법 등이 소개된다.
     4. 홍만선(1643~1715)은 임원경제지리라는 농가생활에 필요한 백과전서를 소개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계성은 원야에서 장인보다 조영자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 시공자<설계자
4) 임원경제지 - 서유구
[해설작성자 : soooou]

19. 「일본서기」 에 추고천황(推古天皇) 20년(612 A.D)에 들어가 수미산과 오교수법을 전하였다고 기록된 사람은?(2013년 06월)
     1. 몽창국사
     2. 노자공(路子工)
     3. 소아씨(蘇我氏)
     4. 도선선사

     정답 : []
     정답률 : 85%

20. 광주 경렴정 별서정원과 관련 없는 것은?(2014년 03월)
     1. 뜰에는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
     2. 조선시대 조성된 별서정원이다.
     3. 연못 안에 섬을 만들었다.
     4. 탁광무가 조성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려말 益齊(익제) 이 재현 선생이 光州(광주)에 있던 卓光茂(탁광무) 선생의 亭子(정자)에 景濂亭(경렴정)이란 이름을 지어주며 景濂亭銘(경렴정명)을 지어주었고 鄭道傳(정도전)이 이어지은 景濂亭銘後說(경렴정명후설)도 있다. 탁 광무의 경렴정집도 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2과목 : 조경계획


21.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에 기초한 「경관미」 평가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이용자의 지각과 판단과정이 중요하다.
     2. 이용자와 경관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3. 조경계획 과정에서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
     4. 경관미가 경관자체에 내재되어 있어 경관특성의 설명으로 경관미를 평가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86%

22. 자연공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자연공원법에 의거,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으로 분류된다.
     2. 도시공원에 비해 보통 광대한 면적을 요구함과 인공적 요소를 가능한 한 배제한다.
     3. 자연공원 내 우수한 자연 경관지 주변으로 교통운송 노선을 계획하여 차량내부에서의 조망으로 훼손을 억제한다.
     4. 주로 국유지·공유지 면적이 크고, 지형경관미가 수려한 곳에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원녹지기본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의 시장은 10년을 단위로 하여 관할구역 안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일을 얻어야 한다.
     3.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5년마다 관할구역의 공원녹지기본계획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이를 정비하여야 한다.
     4.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계획 확정 후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전문가 등에게 내용을 전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권자는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 미리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한다.

24. 고속도로조경 계획시 가용노선 선정의 고려사항을 도로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2012년 09월)
     1. 직선도로를 유지하도록 노선을 선정한다.
     2.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3.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게 되면 우회노선을 선정한다.
     4. 토량 이동(절ㆍ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25. 개인적 공간의 거리 및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친밀한 거리 : 0~45㎝의 거리로, 부모와 아기 혹은 연인들과 같은 아주 가까운 사람들 사이의 거리이다.
     2. 개인적 거리 : 45~120㎝의 거리로, 친한 친구 혹은 잘 아는 사람들 간의 일상적 대화가 유지되는 거리이다.
     3. 사회적 거리 : 120~360㎝의 거리로, 주로 업무상의 대화에서 유지되는 거리이다.
     4. 공적 거리 : 거리와 상관없는 개념으로, 방송 등을 통한 추상적 거리가 이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26. 주민들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리커트 척도가 이용된다. 이 때 특정 사항에 동의하고 부도의하는 정도를 보통 몇 단계로 구분하는가?(2007년 09월)
     1. 3 단계
     2. 7 단계
     3. 11 단계
     4. 15 단계

     정답 : []
     정답률 : 78%

27. 여러 가지의 종합분석 단계들에서 다음 분석의 항목 중 기능분석에 포함되는 것은?(2008년 05월)
     1. 자연환경 분석
     2. 역사성 분석
     3. 경관 분석
     4. 재해방지 기능분석

     정답 : []
     정답률 : 63%

28. 관리사무소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최소 규모는? (단,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2013년 03월)
     1. 50세대
     2. 100세대
     3. 150세대
     4. 300세대

     정답 : []
     정답률 : 62%

29. 각각의 운동시설 계획시 고려할 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농구코트의 장축 방위는 남-북 축을 기준으로 하고, 가까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라인을 건축물과 직각 혹은 평행하게 배치 계획한다.
     2. 배구장의 코트는 장축을 남-북으로 설치하고, 주풍방향에 수목 등의 방풍시설을 계획한다.
     3. 야구장의 방위는 내, 외야수가 오후에 태양을 등지고 경기할 수 있도록 홈플레이트를 서쪽과 남동쪽사이에 자리 잡게 계획한다.
     4. 테니스 코트 장축의 방위는 정남-북을 기준으로 동서 5~15도 편차 내의 범위로 하며, 가능하면 코트의 장축방향과 주 풍향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계획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0. 제이콥스와 웨이(Jacobs and Way)가 주창한 시각적 흡수성에 영향을 주는 직접 요인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식생의 밀집정도
     2. 지형의 위요정도
     3. 시각적 요소의 수
     4. 지역 주민의 가치관

     정답 : []
     정답률 : 81%

31. 체육시설업의 종류에 따른 필수 운동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단,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적용한다.)(2013년 06월)
     1. 골프장업 : 회원제 골프장업은 3홀 이상, 정규 대중골프장업은 18홀 이상, 일반 대중골프장업은 9홀 이상 18홀 미만, 간이 골프장업은 3홀 이상 9홀 미만의 골프코스를 갖추어야 한다.
     2. 수영장업 : 물의 깊이는 0.9미터 이상 2.7미터 이하로 하고, 수영조의 벽면에 일정한 거리 및 수심 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스키장업 : 평균 경사도가 10도 이하인 초보자용 슬로프를 2면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4. 승마장업 : 실내 또는 실외 마장면적은 500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고, 실외 마장은 0.8미터 이상의 목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스키장업: 평균 경서도가 7도 이하인 초보저용 슬로프를 2면 이상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정 7도이하 1면 이상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법 개정으로 인하여 1번도 틀린 내용으로 됐음.
[해설작성자 : 문재문]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2. 도시관리계획이 결정고시되면 시민에게 그 사업내용을 공람시키게 된다. 이때 필요한 도면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조사, 분석도
     2. 기본계획도
     3. 지형도
     4. 지적도

     정답 : []
     정답률 : 29%

33. 다음 중 설문조사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설문지는 우편이나 전화를 통해 작성되기도 한다.
     2. 설문에 걸리는 시간은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설문지에 의한 조사는 문제의 성격이 명확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설문의 유형으로는 자유응답, 제한응답, 시각적 응답 등의 유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설문조사 : 우편이나 전화를 통해 작성 되기도 하며, 설문에 걸리는 시간은 결과에 영향을 준다. 시간은 최대 30분 이내 정도가 가장 적절하며, 문제의 성격이 명확할 때 사용한다. 자유응답, 제한응답, 시각적 응답 등의 유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one트 가자...]

34.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도시공원 유형 중 규모의 제한이 있는 것은?(2021년 05월)
     1. 소공원
     2. 체육공원
     3. 문화공원
     4. 역사공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원규모

제한없음 : 소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체육공원 : 1만제곱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조경기본계획안이 작성되면 설계자 스스로가 기본 계획안에 대한 내적 평가를 하게 된다. 이 때 평가의 일반적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은?(2012년 05월)
     1. 분석·종합의 기준
     2. 표현기법
     3. 계획목표
     4. 프로그램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표현기법은 조경설계이다
[해설작성자 : 민정김]

36. 여가활동을 증가시키고 있는 요소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3년 06월)
     1. 인간서비스 및 사회복지의 확충
     2. 교육수준의 향상
     3. 소득의 증대
     4. 맞벌이 가정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3%

37. 오픈스페이스를 형질, 기능, 소유의 기준으로 공공녹지, 자연녹지 및 공개녹지로 분류할 때 “공개녹지”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도로용지
     2. 개인정원
     3. 학교운동장
     4. 공익시설 부속원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개녹지 : 상업업무시설의 부속정원, 공공시설의 부속정원
2,3번은 공용녹지(공동주택의 부속정원, 회원레크리에이션시설, 학교 운동장, 개인정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설명의 ( )안에 해당하는 자는?(2017년 03월)

    

     1. 문화재해설사
     2. 환경영향평가사
     3. 지질공원해설사
     4. 명예습지생태안내사

     정답 : []
     정답률 : 83%

39. Clarence A.Perry 의 근린주구(近隣住區)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초등학교 1개의 학구(學區)를 기준단위로 규모는 반경 400m 정도이며, 초등학교가 근린주구의 중앙에 위치 한다.
     2. 그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되어야 한다.
     3. 근린쇼핑시설은 도로 결절점이나 인접 근린주구 내의 유사지구 부근에 위치한다.
     4. 보행로와 차도 혼용도로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패리의 근린주구 개념에선 보행로와 차도를 분리한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40. 도시계획시설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다.)(2021년 09월)
     1. 교통시설
     2. 방재시설
     3. 주거시설
     4. 공공ㆍ문화체육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시계획시설
1. 교통시설
2. 공간시설
3. 유통 및 공급시설
4. 공공, 문화체육시설
5. 방재시설
6. 보건위생시설
7. 환경기초시설
[해설작성자 : 영남대 조경]

3과목 : 조경설계


41.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시각적 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접근방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7년 05월)
     1. 이미지 어빌리티(lmage ability)
     2. 시각적 복잡성(Visual complexity)
     3. 식각적 선호성 (Visual preference)
     4. 영역성(Territoriality)

     정답 : []
     정답률 : 70%

42. 옥외 농구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강한 콘크리트와 같은 강한 포장재를 쓴다.
     2. 2면 이상 설치시 최저 10m 이상의 간격을 확보하여야 한다.
     3. 라인의 바깥쪽에는 최소 3m의 공간을 남겨두어야한다.
     4. 국제규격은 25m x 18m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43.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수치 기준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9월)

    

     1. A : 1.2, B : 25
     2. A : 1.2, B : 50
     3. A : 1.5, B : 50
     4. A : 1.5, B : 1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 [별표 1] 이동편의시설의 구조ㆍ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제1항 관련)
3. 도로
    가. 교통약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보도
         1) 보도의 유효폭
             가)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보도 또는 접근로(이하 “보도등”이라 한다)의 유효폭은 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형상 불가능하거나 기존 도로의 증축ㆍ개축 시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1.2미터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나) 보도 등의 유효폭이 1.5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다른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과 교행할 수 있도록 5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교행구역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 유효폭이 1.5미터 미만인 경사진 보도 등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30미터마다 1.5미터×1.5미터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44. 오른손잡이 설계자의 일반적인 실선 제도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눈금자, 삼각자 등은 오른쪽에 가깝게 놓는다.
     2. 선을 그을 때는 심을 자의 아랫변에 꼭 대고 연필을 오른쪽으로 30~40° 뉘어 사용한다.
     3. 연필심이 고르게 묻도록 연필을 돌리면서 빠르고 강하게 단번에 긋는다.
     4. 사선은 삼각자의 방향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눈금자, 삼각자 등은 왼쪽에 가깝게 놓는다.
[해설작성자 : 홀리몰리과콰몰리]

45. 다음 그림과 같이 정지설계(grading design)을 함에있어 절토량이 가장 많은 부위는?(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정지설계]
- 절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낮은 등고선에서 높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성토에 의한 등고선 조정(높은 등고선에서 낮은 등고선 쪽으로 등고선이 수정됨)
- 절토와 성토의 혼합에 의한 등고선 조정 : 계획고보다 높은 등고선은 위로, 평탄지역을 감싸고 계획고보다 낮은 등고선은 아래로 편탄지역을 감싸도록 조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제도용 A3 용지의 크기는?(2012년 03월)
     1. 298㎜×597㎜
     2. 297㎜×420㎜
     3. 420㎜×594㎜
     4. 594㎜×841㎜

     정답 : []
     정답률 : 68%

47. 한국산업표준(KS)의 건축제도통칙에 규정된 척도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5/1
     2. 1/1
     3. 1/1,100
     4. 1/6,0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건축제도 통칙 (KSF 1501)
     척도의 종류
    ­ 실척 : 1/1
    ­ 축척 : 1/2, 1/3, 1/4, 1/5, 1/10, 1/20, 1/25,
                 1/40, 1/50, 1/100, 1/200, 1/250, 1/300,
                 1/500, 1/600, 1/1000, 1/1200, 12000,
                 1/2500, 1/3000, 1/5000, 1/6000
    ­ 배척 : 2/1, 5/1
[해설작성자 : 늘푸른 소나무]

48. 다음 경관의 여러 형식 중 자연경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경작지 경관
     2. 산림 경관
     3. 평야 경관
     4. 해양 경관

     정답 : []
     정답률 : 68%

49. 다음 그림은 연못 바닥 단면 상세도이다. 순서대로 정확히 기입된 것은?(2007년 03월)

    

     1. ① 철근 → ② 조약돌깔기 → ③ 잡석다짐 → ④ 콘크리트 → ⑤ 방수몰탈
     2. ① 잡석다짐 → ② 철근 → ③ 콘크리트 → ④ 방수몰탈 → ⑤ 조약돌깔기
     3. ① 조약돌깔기 → ② 방수몰탈 → ③ 콘크리트 → ④ 철근 → ⑤ 잡석다짐
     4. ① 방수몰탈 → ② 콘크리트 → ③ 조약돌깔기 → ④ 철근 → ⑤ 잡석다짐

     정답 : []
     정답률 : 72%

50. 40대의 승용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의 주차구획면적으로 옳은 것은? (단, 주차장법 규정 적용)(2004년 05월)
     1. 378m2 정도
     2. 460m2 정도
     3. 540m2 정도
     4. 792m2 정도

     정답 : []
     정답률 : 38%

51. 휴지통의 배치 계획시 잘못된 사항은?(2004년 05월)
     1. 대형보다는 소형을 좁은 간격으로 배치한다.
     2. 배치하는 수량은 벤치 2 ~ 4개마다 한개씩 배치한다.
     3. 노폭이 넓을 경우에는 진행 방향의 좌측에 배치한다.
     4. 던지는 범위는 평균 반경 7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52. 시각 디자인상 방향감(方向感)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수직과 수평 방향만으로도 시각적 만족과 경험을 준다.
     2. 대각선 방향은 안정을 깨뜨리고 자극을 준다.
     3. 엄숙과 위엄을 강조할 때에는 수직방향의 강조가 필요하다.
     4. 우리 눈은 수직 길이 방향보다 수평 길이 방향을 판단하는데 더 노력을 필요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람은 수평방향에 대한 방향감각은 뛰어나지만, 상하전후를 식별하는 감각은 비교적 둔하다.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53. 시인성(color visibility)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색채마다 고유한 시인성이 있다.
     2. 다른 용어로 명시성(明視性)이라도로 한다.
     3. 검정보다 하양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다.
     4. 위험 등을 알리는 교통표지판이나 안내물 등에는 시인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하양보다 검정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으며, 검정바탕의 노란글씨가 가장 가시성이 높은 조합이다.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54. 오스트발트 색상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헤링의 반대색설의 4색을 기본으로 만들었다.
     2. 노랑과 남색, 빨강과 청록의 그 중간 색상을 배열하여 8색으로 만들었다.
     3. 우측 회전순으로 번호를 붙이 24색을 만들었다.
     4. 최종적으로 100색상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오스트발트는 색상환을 헤링의 반대색(심리4원색)인 노랑-파랑 빨강-초록을 기본색으로 하고,중간 색상을 만들어 8개의 색을 3단계씩 분류해 24색상환을 만들었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4번의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최대 100까지 계산.

55. 대지면적 5,000m2, 조경의무면적 750m2, 식재의무면적 375m2, 설계조경면적 1,000m2, 교목식재기준 0.2주/m2 일 때 녹지지역의 교목식재 수량 기준은? (단, 국토교통부 조경기준을 적용한다.)(2016년 03월)
     1. 1000주 이상
     2. 150주 이상
     3. 100주 이상
     4. 74주 이상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750X0.2=150주
[해설작성자 : 우석]

식재의무면적/교목식재기준 > 375/0.2 = 75주/m2
녹지지역의 경우, 교목 수량을 2배로 적용
75*2 = 150주/m2 > 150주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축척이 1/500인 도면에서 길이가 3cm되는 선은 실제로는 얼마가 되는가?(2019년 09월)
     1. 3cm÷500
     2. 500÷3cm
     3. 500×3cm
     4. 1÷(500×3cm)

     정답 : []
     정답률 : 73%

57.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변화되는 색채
     2.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3.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4.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

     정답 : []
     정답률 : 80%

58. 인공지반식재기간 조성과 관련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 구조물위에 조성되는 식재지반을 인공지반이라 한다.
     2. 버드나무, 아까시나무 등은 바람에 쓰러지거나 줄기가 꺾어지기 쉬우므로 설계 시 고려한다.
     3. 인공지반의 건조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토성적으로 보수성이 좋은 토양재료를 사용한다.
     4.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 옥상면의 배수구배는 최대 1.0% 이하로, 배수구 부분의 배수구배는 최대 1.5% 이하로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인공지반조경의 옥상조경에서, 옥상면의 배수구배는 최소 1.3% 이상로, 배수구 부분의 배수구배는 최소 2.0% 이상으로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팽이나 레코드판과 같은 회전원판을 일정 면적비의 부채꼴로 나누어 칠해 회전시키면, 표면의 색들은 혼색되어 하나의 새로운 색이 보이게 되며, 이 색은 밝기와 색에 있어서 원래 각 색지각의 평균값으로 나타난다. 이 혼색방법은?(2009년 08월)
     1. 색광혼색
     2. 감법혼색
     3. 중간혼색
     4. 병치가법혼색

     정답 : []
     정답률 : 61%

60. 그림과 같이 도형의 한쪽이 튀어나와 보여서 입체로 지각되는 착시현상은?(2015년 09월)

    

     1. 대비의 착시
     2. 반전 실체의 착시
     3. 착시의 분할
     4. 방향의 착시

     정답 : []
     정답률 : 73%

4과목 : 조경식재


6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식물은?(2012년 09월)

    

     1. 맥문동
     2. 꽃창포
     3. 노루귀
     4. 털머위

     정답 : []
     정답률 : 69%

62. 자연 특성을 활용한 공원의 계획 및 설계를 할 경우, 야생생물과 관련한 식재 설계 기법의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9월)
     1. 생물 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지피층 - 관목·덤불층 - 교목층으로 다층구조화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2. 야생동물을 유인하는 수종으로는 작살나무, 팥배나무, 산사나무, 노간주나무, 신나무 등이 있다.
     3. 이용이 적은 초지는 자연형 초지로 한다.
     4. 천공재료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63. 일반적으로 식재설계는 식물의 생리생태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식재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옳은 것은?(2002년 03월)
     1. 은방울꽃은 빛이 드는 양지에 식재하여야 한다.
     2. 벌개미취는 산림의 건조한 지역에 식재한다.
     3. 줄은 냇가나 습지에 식재한다.
     4. 예기부들은 물이 없는 곳에 식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64. 중앙분리대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분리대의 너비는 12cm이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2. 정형식은 같은 크기와 생김새를 가진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식재한다.
     3. 랜덤식은 차광효과가 떨어지고 단목적(單木的)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4. 2m이하의 좁은 분리대에서 사용하는 방현망(防眩網)은 식수에 비해 미관과 차광효과가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20%

65. 가을화단용 초화류는?(2003년 08월)
     1. 아게라텀
     2. 봉선화
     3. 숙근플록스
     4. 알리섬

     정답 : []
     정답률 : 34%

66. 미적 효과와 관련한 식재형식 중 경관식재와 밀접한 관계가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표본식재
     2. 산울타리식재
     3. 경재식재
     4. 방풍식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미적효과와 관련: 표본식재, 강조식재, 군집식재, 산울타리식재, 경재식재
[해설작성자 : 드불]

경재 식재 (境栽植栽)
[건설 ] 건물의 벽, 담장, 울타리, 펜스 따위의 구조물과 원로 사이의 공간에 식물을 심어 재배하는 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식생조사 및 분석에서 두 종의 종간관계를 유추하기 위하여 종간결합을 조사하는 과정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2015년 05월)

    

     1. B → A → D → C
     2. B → D → A → C
     3. D → B → A → C
     4. D → A → B → C

     정답 : []
     정답률 : 69%

68. 다음 중 년간 총 강우량과 극상생물군집의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0~25㎜ : 사막
     2. 250~760㎜ : 초원, 사바나
     3. 760 ~1000㎜ : 건조림
     4. 1000㎜이상 : 온대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00mm이상이 온대림
[해설작성자 : 늘bluesky]

69. 식재기능을 공간조절, 경관조절, 환경조절 기능으로 나눌 경우 공간조절 식재 기능은?(2021년 05월)
     1. 지표식재
     2. 녹음식재
     3. 유도식재
     4. 방풍식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공간조절 식재 기능 중의 하나로서, 유도식재는 사람들의 움직임과 방향을 유도하고 안내하기 위해 식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해 길을 따라 식재를 배치하는 것이 유도식재의 한 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Prunus padus 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수피는 흑갈색이다.
     2.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3. 5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4.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공해성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귀룽나무는 맹아력이 좋으며, 생육속도가 빠른 속성수이다.
[해설작성자 : 늘bluesky]

71. A지점의 소음수준은 50dB(A)이다. B지점은 A지점보다 음원으로부터 4배 멀리 떨어져 있다. 다음 식에 의해 B지점의 소음 수준을 구하면 얼마인가? (단, , D = 소음의 차이 L1, L2: 각 지점의 소음도 d1, d2: 음원으로부터의 거리)(2004년 09월)
     1. 40dB(A)
     2. 44dB(A)
     3. 50dB(A)
     4. 38dB(A)

     정답 : []
     정답률 : 38%

72. 다음 중 침엽수인데 잎이 낙엽되는 수종으로만 나열된 것은?(2008년 03월)
     1.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edrus deodara
     2. Ginko biloba, Cephalotaxus Koreana
     3. Taxodium distichum, Larix kaempferi
     4. Chamaecyparis pisifera, Picea abies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Taxodium distichum (낙우송), Larix kaempferi (일본잎갈나무)
[해설작성자 : kbp]

73. 패치 가장자리의 생태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가장자리의 수직과 수평구조
     2. 가장자리의 폭
     3. 종 풍부도
     4. 색채의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42%

74. 다음 중 뿌리가 가장 얕게 뻗는 천근성 수종은?(2013년 09월)
     1. Abies holophylla Maxim.
     2. Zelkova serrata Makino
     3.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4. Robinia pseudoacacia L.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느티나무(Zelkova serrata (Thunb.) Makino)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해설작성자 : 팔봉K]

75. 생태적 천이(발전단계와 성숙단계)에서 기대되는 특성 설명이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발전단계에서의 순군집샘산량(수확량)은 성숙단계보다 높다.
     2. 발전단계에서의 생화학적 다양성은 성숙단계보다 낮다.
     3. 발전단계에서의 종의 다양성-불편성의 요소는 성숙단계보다 높다.
     4. 발전단계에서의 유지생체량/단위에너지흐름(B/E)은 성숙단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40%

76. 식생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세밀한 식생조사를 위해서 대축척의 식생도를 만든다.
     2. 식생에 대한 분포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3. 식생도는 분포의 입지 관련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4. 대상(代償)식생이란 원래의 자연환경 조건에서 존재하였던 식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식생 : 어느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의 집단 전체를 가리킬 때 쓰는말. 식생을 식물 군락마다 구분하여 지도로 한 것을 식생도라 한다. 현존 자연 식생·잠재 자연 식생 등이 있으나 단지 식생이라고 하는 경우는 현존 자연 식생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식재 수종(植栽樹種)의 선정이나 보호하고자 하는 지구의 결정을 판단하는 지침
[해설작성자 : 팔봉K]

대상식생이란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아 대치된 식생이며, 인간의 생활영역 속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식생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다음 중 바람에 쓰러지기 쉬운 수종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루나무
     2. 버드나무
     3. 아까시나무
     4. 졸참나무

     정답 : []
     정답률 : 69%

78. 방풍식재에서 산울타리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얼마의 밀폐도가 적당한가?(2005년 09월)
     1. 15~25%
     2. 25~35%
     3. 45~55%
     4. 65~75%

     정답 : []
     정답률 : 27%

79. 식재수법을 정형식, 자연풍경식, 자유식, 군락식으로 구분 할때 그 중 자유식재(自由植栽)수법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3월)
     1. 교호식재
     2. 사실적식재
     3. 루버형식재
     4. 랜덤형식재

     정답 : []
     정답률 : 49%

80. 내습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2018년 04월)
     1.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2. 싸리(Lespedeza bicolor)
     3.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4. 낙우송(Taxodium distichu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습지에 가장 강한 수종 : 낙우송,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함박꽃나무, 버드나무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과목 : 조경시공구조학


81. 200m의 측선을 20m 줄자로 측정하여 1회 측정에서 +5mm의 누적오차와 ±25mm의 우연오차가 있었다면 정확한 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9월)
     1. 200.00 ± 0.075m
     2. 200.05 ± 0.05m
     3. 200.00 ± 0.05m
     4. 200.05 ± 0.075m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오류:200.05+-0.079m로 수정
정답 4번
해설:총 누적오차=1회 측정시 오차×측정횟수=5×200/20=50mm=0.05m
        총 우연오차=+-1회 측정시 오차×(루트n)
                        =+-25×(루트200/20)=0.079m
        즉,정확한 거리=관측거리+총 누적오차+-총 우연오차
                             =200+0.05m+-0.079m
                             =200.05+-0.079m(근사치 적용)
[해설작성자 : ㅇ ㅇ]

82. 수질오염의 물리적인 처리방법의 순서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된 것은?(2006년 09월)
     1. 스크린 - 침전 - 침사지 - 부상 - 여과 - 흡착
     2. 스크린 - 침사지 - 침전 - 부상 - 여과 - 흡착
     3. 스크린 - 부상 - 침전 - 침사지 - 여과 - 흡착
     4. 흡착 - 침사지 - 침전 - 부상 - 여과 - 스크린

     정답 : []
     정답률 : 43%

83. 지형도에서의 등고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계곡선은 지모 상태를 명시하고 표고의 읽음을 쉽게 하기 위하여 주곡선 간격의 1/5거리로 표시한 곡선이다.
     2. 산령과 계곡이 만나 이들의 등고선이 서로 쌍곡선을 이루는 것과 같은 부분을 고개(saddle)라고 한다.
     3.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 간격이 넓고 완경사지에서는 좁다.
     4. 조곡선은 주곡선만으로 지형을 완전하게 표시할 수 없을 때 주곡선 간격의 2배로 표시한 곡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84. 길어깨(路肩)의 설치 목적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긴급구난시 비상도로로 활용
     2. 고장차의 대피
     3. 도로의 주요 구조부의 보호
     4. 고속도로 앞지르기시 통행에 이용

     정답 : []
     정답률 : 71%

85. 평판 측량에서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 중 다른 오차에 비하여 그 영향이 매우 큰 오차는?(2010년 09월)
     1. 거리 오차
     2. 기울기 오차
     3. 방향 맞추기 오차
     4. 중심 맞추기 오차

     정답 : []
     정답률 : 56%

86. 종단구배가 변하는 곳에서 사고의 위험 및 차량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계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종단선형은 지형에 적합하여야 하며, 짧은 구간에서 오르내림이 많지 않도록 한다.
     2. 길이가 긴 경사 구간에는 상향경사가 끝나는 정상 부근에 완만한 기울기의 구간을 둔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구간을 반드시 두도록 한다.
     4. 교량이 있는 곳 전방에는 종단구배를 주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종단곡선 사이의 짧은 직선구배 구간은 피할 것.
[해설작성자 : yee]

87. 목재를 건조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건조수축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2. 무게가 경감되어 운반 및 시공이 쉬워진다.
     3. 되도록 건조를 많이 하여 가연성을 증대시킨다.
     4. 강도, 탄성, 경도, 내마모성 등의 성질을 증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88. 시공도면 작성 시 아래와 같은 표시는 일반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2022년 03월)

    

     1. 지반
     2. 잡석다짐
     3. 석재
     4. 벽돌벽

     정답 : []
     정답률 : 63%

89. 도로조건만으로 정한 최고속도로서 도로의 기하학적 설계에 기준이 되는 속도는?(2003년 08월)
     1. 주행속도
     2. 구간속도
     3. 임계속도
     4. 설계속도

     정답 : []
     정답률 : 57%

90. 다음 그림에서 같은 두 힘에 의한 A점의 모멘트 크기는?(2019년 09월)

    

     1. 5tㆍm
     2. 10tㆍm
     3. 15tㆍm
     4. 20tㆍm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시공구조역학에서 우력모멘트에 관한 문제이다.
우력모멘트는 힘의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다른 힘의 값을 우력모멘트라 한다.
이때 계산방법은 힘의 크기*거리의 합(3+1)로 구한다.

따라서...
5t*4m = 20t*m
[해설작성자 : 김치볶음밥]

91. 공원에 설치되는 조명과 관련된 설명 중 '휘도'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2018년 04월)
     1. 방사속 중에서 가시광선의 방사속을 눈의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것
     2. 발광체가 발하는 광속의 밀도
     3. 단위면에 수직으로 투하된 광속밀도
     4. 광원면에서 어느 방향의 광도를 그 방향에서의 투영면적으로 나눈 것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광속
2. 광도
3. 조도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92. 다음 그림의 경심은?(2011년 03월)

    

     1.
     2.
     3. πD
     4.

     정답 : []
     정답률 : 59%

93. 다음 불도저(bulldozer)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토사의 절토, 성토, 다지기, 운반 등의 작업에 쓰이는 대표적인 토공기계이다.
     2. 작업 범위는 소형 50m 에서 대형 100m 정도이다.
     3. 무한궤도식(無限軌道式)은 승차감과 기동성이 좋고, 다짐효과도 커서 장거리작업에 효과적이다.
     4. 토공판의 각도에 따라 스트레이트 도저, 앵글 도저, 틸트 도저로 분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94. 흙의 함수율, 함수비, 공극률, 공극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함수율은 공극수 중량과 흙 전체 중량의 백분율이다.
     2. 공극률은 흙 전체 용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 백분율이다.
     3. 공극비는 고체부분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비이다.
     4. 함수비는 토양에 존재하는 수분의 무게를 흙의 제적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함수비는 공극수 중량과 흙입자 중량의 백분율이다
[해설작성자 : 우식명예소방관]

95. 다음은 옥외주차장의 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옳은 것은?(2003년 05월)
     1. 노상주차장은 종단 구배가 6% 이상의 도로에는 설치 할 수 없다.
     2. 횡단구배를 연석쪽으로 낮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출입구는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이 없는 지점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4. 60° 주차방식이 장시간 주차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다음의 등고선에서 D-D'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2년 03월)

    

     1. 완경사 능선
     2. 완경사 계곡
     3. 급경사 능선
     4. 급경사 계곡

     정답 : []
     정답률 : 67%

97. 인공살수(人工撒水) 시설의 설계를 위한 관개강도(灌漑强度)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작업시간
     2. 가압기의 능력
     3. 토양의 종류, 경사도
     4. 지피식물의 피복도(被覆度)

     정답 : []
     정답률 : 48%

98. 자금력과 신용 등에서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3~7개의 특정 회사를 선정하여 입찰시키는 방법은?(2008년 09월)
     1. 일반경쟁입찰
     2. 지명경쟁입찰
     3. 제한경쟁입찰
     4. 특명경쟁입찰

     정답 : []
     정답률 : 62%

99.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목재의 함수율 감소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2. 강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3.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증가한다.
     4. 강도가 감소하고 인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목재함수율이 목재에 미치는 영향}
- 함수율이 섬유포화점(함수율 약30%)이하시 수축 시작
- 섬유포화점 이상은 함수율 변화에 수축, 팽창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다음 중 목재면에 칠하여 마감하는 종류의 도료가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에나멜
     2. 광명단
     3. 오일 스테인
     4. 조합 페인트

     정답 : []
     정답률 : 40%

101. 조경수목의 정자, 전지, 전정 등의 관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수목관리시 도장지는 제거하여 준다.
     2. 벚나무는 수형을 잡아주기 위하여 자주 가지치기를 해야 한다.
     3. 정자(整姿, trimming)란 나무 전체의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이다.
     4. 봄에 꽃피는 진달래는 꽃이 진 후에 전전을 하면 다음해에 많은 꽃을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벚나무는 딱히 전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아아]

102. 집수구 및 맨홀의 유지관리 착안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태풍철, 해빙기 및 장마기 전에는 청소를 할 필요가 없다.
     2. 지반이 침하되어 집수구가 솟아올라서 물의 유입이 되지 않을 때에는 주위 지반을 토사로 높이거나 집수구를 절단하여 낮추어 준다.
     3. 시설 주변의 침하나 포장 덧씌우기 등으로 움푹 들어가 통행에 위험으 f줄 때에는 즉시 조치해야 한다.
     4. 뚜껑이 분실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보수전에 표지판 및 울타리를 치고 즉시 교체 또는 보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03. 수목 이식 후 쇠약해진 나무의 줄기를 새끼, 천 등으로 감아 주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나무의 수분 증산을 억제한다.
     2. 강한 햇빛을 받아 껍질이 타는 것을 방지한다.
     3. 나무의 가지 성장을 번성하게 하여 수체형성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이다.
     4. 쇠약해진 나무에 병해충 침입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04. 음수대의 일반적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유원지, 관광지 등 3계절형인 곳에서는 겨울철에 게이트 밸브를 열고 물을 채워 둔다.
     2. 배수구가 막힌 경우에는 대나무나 봉 등으로 쑤셔보거나 물을 흘리면서 철선으로 찌르기를 반복한다.
     3. 드레인이 파손되면 오물이 배수구로 들어가 막히게 되므로 항상 완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4. 지수전은 조작의 편의상 음수대 가까이에 설치하고 상부 뚜껑은 무분별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채워두면 밸브 얼어서 밸브랑 파이프 고장날 듯 합니다.
전문적인 답변은 아니지만..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오늘준비시작]

국공립공원, 유원지, 관광지 등 3계절형인 곳에서는 겨울철에 게이트 밸브를 잠그고 물을 빼내며, 자주 사용하는 곳도 빙점 이하로 내려가면 물을 빼내어 동파를 방지항다
[해설작성자 : 람이]

105. 동력예취기의 안전점검 및 보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엔진, 배터리, 연료탱크 주변을 청소한다.
     2. 급유는 엔진이 식었을 때 실시해야 한다.
     3. 야간작업 시 예취기 본체의 라이트를 켜고 작업해야 한다.
     4. 오일류의 폐기는 폐기설비를 갖춘 곳에서만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야간작업 x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06. 다음 화목류의 전정방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철쭉, 목련나무, 동백나무 등은 낙화 직후에 전정함이좋다.
     2. 벚나무, 해당화 등은 거의 전정을 하지 않아도 잘 개화 한다.
     3. 석류나무, 배롱나무, 능소화 등은 5 ~ 6월에 전정함이좋다.
     4. 5 ~ 9월에 화아분화하는 화목류는 낙화 후에 곧 전정함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6%

107. 다음 유희시설의 전반적인 유지관리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해안의 염분, 대기오염의 현저한 지역에서는 강력한 방청처리를 하거나 스테인레스제품을 사용한다.
     2. 사용재료에 균열발생 등 파손우려가 있거나 파손된 시설물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3. 바닥모래를 충분히 건조된 것으로서 어린이가 다치지 않도록 최대한 가는 모래를 깐다.
     4. 놀이터 내에 물이 고이는 곳이 없도록 모래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정답 : []
     정답률 : 66%

108. 이용관리 계획 중 주민참가의 발전과정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시민권력의 단계
     2. 개인 참가의 단계
     3. 비참가의 단계
     4. 형식적 참가의 단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비참가단계-조작, 치료
형식참가의 단계-정보제공, 상담, 유화
시민권력의 단계-파트너쉽, 권한위양, 자치관리
[해설작성자 : 늘bluesky]

109. 다음 중 잔디밭의 표층 통기작업으로 사용되는 기계는?(2004년 03월)
     1. 레노베이팅
     2. 레이킹
     3. 코링
     4. 버티커팅

     정답 : []
     정답률 : 40%

110. 식물 관리비의 적산에 맞는 계산식은?(2004년 05월)
     1. 식물수량 × 년간생장율 × 작업연인원 × 작업단가
     2. 식물수량 × 작업인원 × 작업단가
     3. 식물수량 × 작업율 × 작업회수 × 작업단가
     4. 식물수량 × 작업연인원 × 작업회수 × 작업단가

     정답 : []
     정답률 : 49%

111. 작업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무재해” 이념의 3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무(Zero)의 원칙
     2. 선취의 원칙
     3. 관리의 원칙
     4. 참가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3가지)
무의 원칙, 선취의 원칙, 참가의 원칙
[해설작성자 : 와이지]

112. 식물 표면에서 제초제의 흡수 과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극성의 제초제에 습윤제를 첨가하며 제초제의 독성은 감소된다.
     2. 비극성(친유성) 제초제는 큐티클 납질층을 친수성보다 잘 통과한다.
     3. 계면활성제는 극성 제초제가 큐티클 납질층을 잘 통과하도록 도와준다.
     4. 친수성 제초제의 통과는 펙틴, 큐틴 순으로 잘되나 납질은 통과가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극성의 제초제는 습윤제 첨가로 독성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3학년2학기 과탑]

113. 흰불나방, 미루나무 재주나방, 버들재주나방, 텐트나방, 박쥐나방등의 해충에 가장 많이 피해를 받는 수목은?(2005년 09월)
     1. 포플러류
     2. 소나무류
     3. 오리나무류
     4. 참나무류

     정답 : []
     정답률 : 54%

114. 수목의 년간 유지관리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직접적인 변수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자연기후
     2. 식물생리
     3. 시설의 이용상황
     4. 인력공급

     정답 : []
     정답률 : 39%

115.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이 기생하는 나무에서 흔히 관찰되는 수목병은?(2020년 09월)
     1. 그을음병
     2. 빗자루병
     3. 흰가루병
     4. 줄기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3%

116. 비탈면 보호공법 중 우수 침식 방지, 동상 붕괴 억제, 녹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식생공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편책공
     2. 종자뿜어붙이기공
     3. 떼붙임공
     4. 식생매트공

     정답 : []
     정답률 : 54%

117. 다음 중 토사포장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지반치환공법
     2. 노면치환공법
     3. 배수처리공법
     4. 패칭(Patching)공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패칭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118. 옥외레크레이션의 관리체계를 세울 때 주요기능 관점의 3가지 부체계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이용자관리
     2. 자원관리
     3. 서비스관리
     4. 매스미디어관리

     정답 : []
     정답률 : 72%

119. 자연공원지역에서 제반 관리적 상황의 파악을 위한 적정모니터링시스템이 갖춰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9월)
     1. 영향을 유효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의 설정
     2. 신뢰성 있고 민감한 측정의 기법 적용
     3. 고비용의 정확한 측정모델의 선정
     4. 측정 단위들의 합리적 위치 설정

     정답 : []
     정답률 : 73%

120. 어떤 작업장에서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가 작업중 갑작스런 고장을 일으켰다. 이때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5월)
     1. 사후점검
     2. 임시점검
     3. 정기점검
     4. 특별점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81582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21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840077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20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2
319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801119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7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3442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6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8158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2
314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858553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3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120276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2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1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10 변리사 1차(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1366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9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823361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7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6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86779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5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4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323419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303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3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