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18104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발생건수등의 공표대상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사망만인율(死亡萬人率)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3.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4.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한 사업장
     5.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2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해설작성자 : BOMBOM]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 중 중대재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에 대한 안전ㆍ보건에 관한 교육을 사업주가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2015년 04월)
     1.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보건지도사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해당 분야의 강사요원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3.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및 산업보건의
     4. 산업안전ㆍ보건에 관하여 학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5. 산업안전ㆍ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사업주가 인정하는 전문강사요원

     정답 : []
     정답률 : 95%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서 사업주가 이를 도급하여 자신의 사업장에서 수급인의 근로자가 그 작업을 하도록 해서는 아니 되는 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제시된 내용 외의 다른 상황은 고려하지 않음)(2024년 03월)

   

     1.
     2.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소음에 의한 건강장해예방조치를 규정한 내용 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은 “강렬한 소음작업”이다.
     3.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서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은 “충격소음작업”이다.
     4. 사업주는 근로자가 소음작업, 강렬한 소음작업 또는 충격소음작업에 종사하는 경우 청력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5.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 소음수준이 85데시벨을 초과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청력보존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80 작측
85 특검
90 청력보존프로그램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지휘·감독한다 .
     2.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게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하는 사항에는 해당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도 포함된다.
     3. 상시 근로자수가 100명인 1차 금속 제조업의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4.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이 10억원인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5.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만으로 짝지어진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04월)
     1. 휴대형 연삭기 -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 - 안전화
     2. 파쇄기 - 롤러기 급정지장치 - 보안면(용접용 보안면 제외)
     3. 산업용 로봇 - 양중기용 과부하방지장치 - 잠수기
     4. 사출성형기 - 산업용 로봇 안전매트 - 방진마스크
     5. 전단기 및 절곡기 -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 보안경

     정답 : []
     정답률 : 54%

8. 산업안전보건법 제58조(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규정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1
     2. 2
     3. 3
     4. 4
     5. 5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산안법 제58조(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⑤ 고용노동부장관은 제4항에 따른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 사업주가 유효기간의 연장을 신청하면 승인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날의 다음 날부터 3년의 범위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기간의 연장을 승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주는 제3항에 따른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한다.
     2. 건설 일용근로자에 대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교육시간은 4시간 이상이다.
     3. 사업주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해당 사업장의 산업보건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에 해당되지 않는다.
     5. 관리감독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중 정기교육의 교육시간은 연간 16시간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작업환경측정”이란 작업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근로자 또는 작업장에 대하여 사업주가 유해인자에 대한 측정계획을 수립한 후 시료(試料)를 채취하고 분석·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2. “중대재해”란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설비에서의 누출·화재·폭발 사고를 말한다.
     3. “건설공사발주자”란 건설공사를 도급하는 자로서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 하는 자를 말한다.
     4.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5. “위험성평가”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험성을 발견하고 그 개선대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조사·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사무직 종사 근로자는 정기교육 대상이 아니다.
     2.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은 연간 8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3. 작업내용 변경시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의 안전ㆍ보건교육은 1시간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4. 채용 시의 근로자에 대한 안전ㆍ보건교육은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교육시간이 동일하다.
     5. 안전보건관리책임자도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ㆍ보건에 관한 직무교육 으로서 신규교육과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사업주는 유해요인 조사를 하는 경우에 근로자와의 면담,증상 설문조사, 인간공 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 등 적절한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하는 경우에 근골격계질환 발생 시의 대처요령에 대해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3. 사업주는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작성ㆍ시행할 경우에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사업주는 유해요인 조사에 근로자대표 또는 해당 작업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5. 사업주는 근로자가 5킬로그램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주로 취급하는 물품에 대하여 근로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물품의 중량과 무게 중심에 대하여 작업장 주변에 안내표시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게차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3월)
     1. 헤드 가드
     2. 백레스트(backrest)
     3. 전조등
     4. 후미등
     5. 구동부 방호 연동장치

     정답 : []
     정답률 : 90%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디클로로벤지딘과 그 염
     2. 오로토-톨리딘과 그 염
     3. 디아니시딘과 그 염
     4. 비소 및 그 무기화합물
     5. 베타-나프틸아민과 그 염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번은 금지대상

금지대상물질
베타 나프틸아민
벤젠을 포함한 고무풀(5%미만은 제외)
백연 포함 페인트(2%미만 제)
석면
황린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
4-니트로디페닐
등등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프레스
     2. 곤돌라
     3. 롤러기
     4.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5. 기계톱 -프레스 롤러기, 사출성형기, 기계톱 : 부분변경시 안전인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해설작성자 : 둔둔]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보는 건강진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3월)
     1.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
     2. 「학교보건법」에 따른 건강검사
     3. 「항공안전법」에 따른 신체검사
     4.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5. 「교육공무원법」에 따른 신체검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은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3. 외딴곳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지역에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지역별 보건관리전문기관과 업종별ㆍ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구분한다.
     5.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애옹]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4월)
     1. 황린(黃燐) 성냥
     2. 벤조트리클로리드
     3. 백석면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PCT)
     5. 4-니트로디페닐과 그 염

     정답 : []
     정답률 : 59%

1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근로자의 추락위험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안전방망의 설치위치는 가능하면 작업면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면으로부터 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0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안전난간은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3.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방향으로 작용하는 50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질병자의 근로 금지ㆍ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사업주는 심장 등의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근로를 금지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발암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사업주는 착암기 등에 의하여 신체에 강렬한 진동을 주는 작업에서 유해ㆍ위험예방조치 외에 작업과 휴식의 적정한 배분 등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심장판막증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서는 아니된다.
     5. 사업주는 근로가 금지되거나 제한된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취업하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발암성x 고압작업
[해설작성자 : 지도사지망생]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또는 건강진단의 실시 결과만으로 직업성 질환에 걸렸는지를 판단하기 곤란한 근로자의 질병에 대하여 한국산업안전 보건공단에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자는?(2025년 03월)
     1. 사업주
     2. 근로자대표
     3. 건강진단기관의 의사
     4. 역학조사평가위원회 위원장
     5. 보건관리자(보건관리전문기관 포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공표하거나 고시하는 물질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3월)
     1. 「의료기기법」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2. 「약사법」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醫藥外品)
     3.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4.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
     5. 천연으로 산출된 화학물질

     정답 : []
     정답률 : 49%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이하 “지도사”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지도사가 그 직무를 시작할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지도사는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거나 도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지도사는 항상 품위를 유지하고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하여야한다.
     4. 지도사는 법령에 위반되는 행위에 관한 지도ㆍ상담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지도사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이나 사무소의 명칭을 사용하여 지도사의 직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그 자격증을 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24. 갑(甲)은 전국 규모의 사업주단체에 소속된 임직원으로서 해당 단체가 추천하여 법령에 따라 위촉된 명예감독관이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갑(甲)의 업무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63%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사업의 보조ㆍ지원에 대한 취소사유와 그에 따른 처분의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산업보건일반


26. 산업위생 활동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관리의 최우선순위는 보호구 착용이다.
     2. 인지(인식)란 현재 상황에서 존재 또는 잠재하고 있는 유해인자의 파악이다.
     3. 유해인자에 대한 평가는 특수건강진단의 결과만을 사용한다.
     4. 처음으로 요구되는 것은 근로자 건강진단이다.
     5. 사업장 근로자만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27. 공기 중 곰팡이, 박테리아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2014년 04월)
     1. CFU/m3
     2. f/cc
     3. mg/m3
     4. mccf
     5. ppm

     정답 : []
     정답률 : 86%

28. 국소배기장치의 점검에 사용되는 기기와 그 사용 목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발연관 - 덕트 내 유량 측정
     2. 마노메타(manometer) - 유체 흐름에 대한 압력 측정
     3. 피토관 - 송풍기의 회전속도 측정
     4. 회전날개풍속계 - 개구부 주위의 난류현상 확인
     5. 타코메타(tachometer) - 송풍기의 전류 측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발연관 : 유량의 방향확인
3. 피토관 : 유체 흐름의 총압과 정압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속을 구하는 장치
4. 회전날개풍속계 : 덕트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
5. 타코메타 :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Sophiek]

29. 다음질환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이 중단되면 방사선학적 소견상 자연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는 진폐증은 ?(2013년 04월)
     1. 면폐증
     2. 규폐증
     3. 베릴륨폐증
     4. 탄광부진폐증
     5. 용접공폐증

     정답 : []
     정답률 : 45%

30.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에서 건강진단 실시결과에 따라 건강상담, 보호구 지급 및 착용지도, 추적검사, 근무 중 치료 등의 조치를 시행할 수 있는 기관 또는 자격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건강진단기관
     2. 산업보건의
     3. 보건관리자
     4. 보건진단기관
     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자 건강센터

     정답 : []
     정답률 : 58%

31.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급성 중독 사례이다. 해당 화학물질로 옳은 것은?(2025년 03월)

    

     1. 디클로로메탄
     2. 아크릴로니트릴
     3. 메틸클로로포름
     4. 트리클로로메탄
     5. 노말핵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60℃, 1기압인 탈지조에서 TCE(분자량 131.4, 비중 1.466) 2L를 사용하였다. 공기 중으로 모두 증발하였다고 가정할 때, 발생한 증기량(m3)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0.34
     2. 0.50
     3. 0.54
     4. 0.61
     5. 0.82

     정답 : []
     정답률 : 34%

33. 상이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의 중심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되는 대푯값은(2017년 03월)
     1. 산술평균
     2. 가중평균
     3. 기하평균
     4. 조화평균
     5. 중앙값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조화평균 : n개의 양수에 대하여 그 역수들을 산술평균한 것, 역수로 상의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의 중심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근로자 건강진단 결과 판정에 따른 사후관리 조치 판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4, 5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7월)
     1. 건강상담
     2. 추적검사
     3. 작업전환
     4. 근로제한 금지
     5. 역학조사

     정답 : []
     정답률 : 73%

35. 중금속별로 노출될 수 있는 공정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크롬 - 도금
     2. 납 - PVC 압출 혼합
     3. 유기수은 - 형광등 제조
     4. 비소 - 반도체 이온주입
     5. 카드뮴 - 축전지 제조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형광등은 금속수은

36. 산업재해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건수율은 연작업시간당 재해발생 건수이다.
     2. 도수율은 천인율 또는 발생률이라고도 한다.
     3. 강도율은 연 100만 작업시간당 작업손실일수를 말한다.
     4. 도수율은 작업시간이 고려되지 않은 산업재해 지표이다.
     5. 사망만인률은 근로자 1만명당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7. 밀폐공간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한 일반적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냉각탑 내부를 교체할 때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배관 장치는 잠근다.
     2. 출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3. 작업하는 동안 감시인을 밀폐공간 밖에 배치한다.
     4. 불활성기체가 고농도일 경우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5.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38. 질병의 업무관련 역학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담당한 공정과 직무 등 원인인자를 파악한다.
     2. 개인 기호 및 과거 질환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질병 원인 유해인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한다.
     4. 국내외 유사한 질병 사례를 조사한다.
     5. 동료 근로자를 대상으로 과거 작업 상황을 조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0m, 10m, 5m인 밀폐된 대형 챔버에 톨루엔 1L가 쏟아져 모두 증발했다. 이 때 공기 중 톨루엔 농도(ppm)는 약 얼마인가? (단, 톨루엔의 분자량은 92, 비중은 0. 86, 온도와 압력은 정상조건이다. )(2014년 04월)
     1. 118
     2. 228
     3. 338
     4. 448
     5. 558

     정답 : []
     정답률 : 34%

40. 고체흡착관(활성탄관)을 이황화탄소 1 ml로 추출하여 가스크로마토 그래피로 정량한 톨루엔의 농도는 5 ppm이었다. 0.2 L/min 펌프로 4시간 채취하였다. 탈착율은 98 %이였고 공시료에서 검출된 양은 없었다. 이 때 공기 중 톨루엔의 농도(㎍/m3)는 약 얼마인가?(2016년 04월)
     1. 66
     2. 86
     3. 106
     4. 126
     5. 14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잘못됐네요
톨루엔의 농도가 5ppm인게 아니라
톨루엔이 5g 체취된거겠죠
그래야 답이 106이 나옵니다...

톨루엔 농도가 5ppm이라면 톨루엔 농도는
5×92/24.4였겠죠...

41.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압축기( compressor)로부터 50 m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수준( sound pressure level)이 130 dB였다면, 압축기로부터 25 m와 100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수준( dB)은 각각 얼마인가?(단, 작업장은 경계가 없어서 음의 전파에 방해를 받지 않은 영역이다.)(2013년 04월)
     1. 132, 128
     2. 134, 126
     3. 136, 124
     4. 140, 120
     5. 150, 120

     정답 : []
     정답률 : 56%

42. 크실렌의 주요한 생물학적 노출지수로서 소변중에서 측정하는 물질은?(2013년 04월)
     1. 페놀
     2. 뮤콘산
     3. 만델산
     4. 메틸마뇨산
     5. 카르복시헤모글로빈

     정답 : []
     정답률 : 62%

43.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에서 벤젠의 정보물질 표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3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인체의 계(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호흡계는 코, 인·후두, 기관, 기관지, 폐 등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호흡을 담당한다.
     2. 근육계는 뼈대근, 심장근, 평활근, 근막, 건(힘줄), 건초(힘줄집), 윤활낭 등으로 구성된 능동적 운동장치이다.
     3. 감각계는 눈, 코, 귀, 혀 등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감각을 받아들인다.
     4. 소화계는 위, 소장, 대장의 소화를 담당하는 장기와 간, 췌장, 담낭 등으로 구성된다.
     5. 내분비계는 심장, 혈액, 혈관, 림프, 비장, 흉선으로 구성되어 영양분을 운반하고 림프구 및 항체를 생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28세 남자 환자가 1주 전부터 발생한 황달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한 달 전부터 에어컨 부품 가공공장에서 유기용제를 이용한 세척작업에 종사하였고, 작업이 끝나면 술에 취한 느낌이 들고 멍한 상태가 되며 가끔 오심을 경험하였으며, 내원 2주 전부터 피부에 발적과 소양감을 동반한 발진이 나타났다. 이러한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유해물질은?(2015년 04월)
     1. 산화에틸렌
     2. 노말헥산
     3. 스티렌
     4. 톨루엔
     5.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86%

46. 재해의 발생형태에 따른 원인 분석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파레토도는 좌표의 가로축에 중요도가 높은 순서로 요인을 기재하고, 세로축에 각 요인의 도수를 고려한 누적치로 막대형 그래프를 작성한다.
     2. 특성요인도는 재해특성과 요인 관계를 도표로 그려 어골상으로 세분화하여 연쇄관계를 나타내는 형태로 표현한다,
     3. 웨버의 사고연쇄반응이론은 직업성질환과 역학조사를 위하여 개발한 기법이다.
     4. 크로스분석은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5. 관리도(control chart)는 월별 재해추이 등을 그래프로 그려 관리구역을 설정하고 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재해의 직접원인 중 불안전한 행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안전장치의 부적합
     2. 위험장소 접근
     3. 개인보호구의 잘못 착용
     4. 불안전한 속도 조작
     5. 감독 및 연락 불충분

     정답 : []
     정답률 : 57%

48. 산업재해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4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49. 고열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1. 흑구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를 실효복사온도라 하고 이는 감각온도와 상관이 없다.
     2. WBGT 측정기로 옥내 작업장을 측정할 때에는 자연습구온도와 흑구온도를 고려한다.
     3. 고열작업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습구흑구 온도지수를 측정하고 작업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4. WBGT 30℃되는 중등작업을 하는 경우 휴식시간 없이 계속 작업을 해도 무방하다.
     5. 복사열은 열선풍속계로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0.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중 납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시 제2차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노출지표를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2%

51.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고 직무와 관련된 피평가자의 행동을 평가기준으로 하는 행동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의 개발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4월)
     1.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2.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3.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확정 및 실시
     4.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5.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정답 : []
     정답률 : 74%

52. 직무급(job-based pa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ㄱ, ㄴ, ㄷ
     2. ㄷ, ㄹ, ㅁ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4%

53. 조직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조직사회화란 신입사원이 회사에 대하여 학습하고 조직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다.
     2. 조직의 핵심가치가 더 강조되고 공유되고 있는 강한 문화(strong culture)가 조직에 끼치는 잠재적 역기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3. 조직문화는 하루아침에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고 한번 생기면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4. 창업자의 행동이 역할모델로 작용하여 구성원들이 그런 행동을 받아들이고 창업자의 신념, 가치를 외부화(externalization) 한다.
     5. 구성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이념, 조직의 기본목적 등 조직체 전반에 관한 믿음과 신념을 공유가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54. 협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협상은 둘 이상의 당사자가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2. 협상에 관한 접근방법으로 분배적 교섭과 통합적 교섭이 있다.
     3. 분배적 교섭은 내가 이익을 보면 상대방은 손해를 보는 구조이다.
     4. 통합적 교섭은 윈-윈 해결책을 창출하는 타결점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5. 분배적 교섭은 협상당사자가 전체자원(pie)이 유동적이라는 전제하에 협상을 진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55.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중 자아실현욕구를 조직행동에 적용한 것은?(2019년 03월)
     1. 도전적 과업 및 창의적 역할 부여
     2. 타인의 인정 및 칭찬
     3. 화해와 친목분위기 조성 및 우호적인 작업팀 결성
     4. 안전한 작업조건 조성 및 고용 보장
     5. 냉난방 시설 및 사내식당 운영

     정답 : []
     정답률 : 68%

56. 식스 시그마(Six Sigma) 분석도구 중 품질 결함의 원인이 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표현해주며, Fishbone Diagram으로도 불리는 것은?(2023년 04월)
     1. 린 차트
     2. 파레토 차트
     3. 가치흐름도
     4. 원인결과 분석도
     5. 프로세스 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25%

57. 6시그마 품질혁신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모토롤라사의 빌 스미스(Bill Smith)라는 경영간부의 착상으로 시작되었다.
     2. 6시그마 활동을 도입하는 조직은 규격 공차가 표준편차(시그마)의 6배라는 우수한 품질수준을 추구한다.
     3. DPMO란 100만 기회 당 부적합이 발생되는 건수를 뜻하는 용어로 시그마수준과 1 대 1로 대응되는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4. 6시그마 수준의 공정이란 치우침이 없을 경우 부적합품률이 10억 개에 2개 정도로 추정되는 품질수준이란 뜻이다.
     5. 6시그마 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블랙벨트(BB) 등의 조직원을 육성하여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58. JIT(Just In Time) 생산시스템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
     2. 공급자와의 원활한 협력
     3. 채찍효과 발생
     4. 다기능 작업자 필요
     5. 칸반시스템 활용

     정답 : []
     정답률 : 35%

59. 하우 리(H. Lee)가 제안한 공급사슬 전략 중, 수요의 불확실성이 낮고 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필요한 전략은(2017년 03월)
     1. 효율적 공급사슬
     2. 반응적 공급사슬
     3. 민첩한 공급사슬
     4. 위험회피 공급사슬
     5. 지속가능 공급사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위험회피 공급사슬 : 주요 원자재나 햑심부품의 공급단절을 방지하여 재고를 확보하는 공급사슬 전략
[해설작성자 : Sophiek]

60. 심리평가에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신규채용을 위하여 입사 지원자들을 평가하거나 또는 승진 결정 등을 위하여 현재 종업원들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2. 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단일 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3. 기본적인 평가방식은 집단 내 다른 사람들의 수행과 비교하여 개인의 수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4. 평가도구로는 구두발표, 서류함 기법, 역할수행 등이 있다.
     5. 다수의 평가자들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단일수행차원이 아니고 다양한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를 평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직업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비르(T. Beehr)와 프랜즈(T. Franz)는 직업 스트레스를 의학적 접근, 임상ㆍ상담적 접근, 공학심리학적 접근, 조직심리학적 접근 등 네 가지 다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2.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3. 자원보존 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은 종업원들은 시간에 걸쳐 자원을 축적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그들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4. 셀리에(H. Selye)의 일반적 적응증후군 모델은 경고(alarm), 저항(resistance), 소진(exhaustion)의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5. 직업 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모호성(role ambiguity)은 종업원이 자신의 직무기능과 책임이 무엇인지 불명확하게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2. 내적(intrinsic) 동기와 외적(extrinsic) 동기의 특징과 관계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동기이론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앨더퍼(Alderfer)의 ERG이론
     2. 아담스(Adams)의 형평이론(equity theory)
     3. 로크(Locke)의 목표설정이론(goal-setting theory)
     4. 맥클래란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need for achievement theory)
     5. 리안(Ryan)과 디시(Deci)의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영업 1팀의 A팀장은 팀원들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영업 1팀의 팀원들은 실제 직무수행 수준보다 언제나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한편 영업 2팀의 B팀장은 대부분 팀원을 보통 수준으로 평가한다. 특히 B팀장 자신이 잘 모르는 영역 평가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직무수행 평가 패턴에서 A와 B팀장이 각각 범하고 있는 오류(또는 편향)를 순서대로(A, B) 옳게 나열한 것은?(2016년 04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ㄴ, ㅁ

     정답 : []
     정답률 : 25%

64. 용접공이 작업 중에 보호안경을 쓰지 않으면 시력손상을 입는 산업재해가 발생한다. 용접공의 행동특성을 ABC행동이론(선행사건, 행동, 결과)에 근거하여 기술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 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7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65. 산업재해의 인적 요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22년 03월)
     1. 작업 환경
     2. 불안전행동
     3. 인간 오류
     4. 사고 경향성
     5. 직무 스트레스

     정답 : []
     정답률 : 47%

66. 착시를 크기 착시와 방향 착시로 구분하는 경우, 동일한 물리적인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선이나 형태를 다르게 지각하는 크기 착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
     2. 폰조(Ponzo) 착시
     3. 에빙하우스(Ebbinghaus)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
     5. 델뵈프(Delboeuf) 착시

     정답 : []
     정답률 : 37%

67. 작업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급하고 의욕이 강한 A유형 성격의 사람들은 스트레스 조절능력이 강해서 느긋하고 이완된 B유형의 사람들과 비교하여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절반 정도로 낮다.
     2. 스트레스 출처에 대한 이해가능성, 예측가능성, 통제가능성 중에서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가장 큰 것은 예측가능성이다.
     3. 내적 통제형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스트레스 출처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견딘다.
     4. 공항에서 근무하는 소방관의 경우 한 건의 화재도 없이 몇 주 동안 대기근무만 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없다.
     5. 작업스트레스는 역할 과부하에서 주로 발생하며, 역할들 간의 갈등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68. 작업자의 수행을 평가할 때 평가자에 의한 관대화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방법은?(2013년 04월)
     1. 종업원 순위법
     2. 강제배분법
     3. 도식적 평정법
     4. 정신운동능력 평정법
     5. 행동기준 평정법

     정답 : []
     정답률 : 35%

69. 다음은 하인리히(H. Heinrich)의 재해예방이론 4원칙과 사고예방원리 5단계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위험성파악
     2. ㄱ: 손실우연의 원칙, ㄴ: 예방가능의 원칙, ㄷ: 분석·평가
     3.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가능의 원칙, ㄷ: 위험성파악
     4. ㄱ: 손실우연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분석·평가
     5.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분석·평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 부터 9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할 것
     2.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는 난간 길이 전체에 걸쳐 바닥면등과 평행을 유지할 것
     3.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4.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5센티미터 높이를 유지할 것. 다만,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없거나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예방 조치를 한 장소는 제외할 것
     5. 난간대는 지름 2.7센티미터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재료일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 발끝막이판 10cm
[해설작성자 : sophieK]

71.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시행착오의 원칙
     2. 예방가능의 원칙
     3. 손실우연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5. 원인계기(연계)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2%

72. 다음 중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도입 전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2013년 04월)
     1. 전사적 측면에서는 조직의 경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 이행할 수 있는 안전 보건경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
     2. 안전보건방침 승인 및 계층별 , 부서별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안전보건목표를 정하여야 한다 .
     3. 최고경영자는 각 부서간의 안전보건경영체제 업무를 적절히 배분하고 , 각 부서들이 솔선해서 협조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
     4. 조직원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가 있어야 하며 , 적절한 포상으로 직원의 사기를 진작할 수 있어야 한다 .
     5.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추진ㆍ이행의 핵심은 전담부서 , 전담요원의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의식향상과 각 부서장의 업무수행에 대한 전문화가 필요하다 .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보건목표를 설정 → 안전보건방침 승인 및 계층별,부서별 책임과 권한 부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사업장 위험성평가 실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8%

74. 감전시 응급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상 통전전류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최소감지전류, ㄴ: 고통전류
     2. ㄱ: 최소감지전류, ㄴ: 가수전류
     3. ㄱ: 가수전류, ㄴ: 고통전류
     4. ㄱ: 불수전류, ㄴ: 가수전류
     5. ㄱ: 심실세동전류, ㄴ: 고통전류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최소감지전류: 짜릿함, 1-2mA
고통전류 : 참을수 있거나 고통스러움, 2-8
가수전류 : 안전하게 전원에서 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 8-15
불수전류 : 스스로 떨어질 수 없는 전류, 15-50
심실세동전류 : 심장의 기능을 잃게되어 수분내 사망, 165/root(T)
[해설작성자 : 다도]

75.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트립
풀 프루프의 일종
사람의 접근을 인식하면 기계가 정지 또는 안전한 위치로 복귀


정 답 지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18104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발생건수등의 공표대상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사망만인율(死亡萬人率)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3.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4.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한 사업장
     5.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2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해설작성자 : BOMBOM]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 중 중대재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에 대한 안전ㆍ보건에 관한 교육을 사업주가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2015년 04월)
     1.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보건지도사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해당 분야의 강사요원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3.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및 산업보건의
     4. 산업안전ㆍ보건에 관하여 학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5. 산업안전ㆍ보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사업주가 인정하는 전문강사요원

     정답 : []
     정답률 : 95%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서 사업주가 이를 도급하여 자신의 사업장에서 수급인의 근로자가 그 작업을 하도록 해서는 아니 되는 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제시된 내용 외의 다른 상황은 고려하지 않음)(2024년 03월)

   

     1.
     2.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소음에 의한 건강장해예방조치를 규정한 내용 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은 “강렬한 소음작업”이다.
     3.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서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은 “충격소음작업”이다.
     4. 사업주는 근로자가 소음작업, 강렬한 소음작업 또는 충격소음작업에 종사하는 경우 청력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5.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 소음수준이 85데시벨을 초과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청력보존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80 작측
85 특검
90 청력보존프로그램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지휘·감독한다 .
     2.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게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하는 사항에는 해당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도 포함된다.
     3. 상시 근로자수가 100명인 1차 금속 제조업의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4.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이 10억원인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5.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만으로 짝지어진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04월)
     1. 휴대형 연삭기 -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 - 안전화
     2. 파쇄기 - 롤러기 급정지장치 - 보안면(용접용 보안면 제외)
     3. 산업용 로봇 - 양중기용 과부하방지장치 - 잠수기
     4. 사출성형기 - 산업용 로봇 안전매트 - 방진마스크
     5. 전단기 및 절곡기 -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 보안경

     정답 : []
     정답률 : 54%

8. 산업안전보건법 제58조(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규정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1
     2. 2
     3. 3
     4. 4
     5. 5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산안법 제58조(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⑤ 고용노동부장관은 제4항에 따른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 사업주가 유효기간의 연장을 신청하면 승인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날의 다음 날부터 3년의 범위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기간의 연장을 승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주는 제3항에 따른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한다.
     2. 건설 일용근로자에 대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교육시간은 4시간 이상이다.
     3. 사업주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해당 사업장의 산업보건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에 해당되지 않는다.
     5. 관리감독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중 정기교육의 교육시간은 연간 16시간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작업환경측정”이란 작업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근로자 또는 작업장에 대하여 사업주가 유해인자에 대한 측정계획을 수립한 후 시료(試料)를 채취하고 분석·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2. “중대재해”란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설비에서의 누출·화재·폭발 사고를 말한다.
     3. “건설공사발주자”란 건설공사를 도급하는 자로서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관리 하는 자를 말한다.
     4.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5. “위험성평가”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험성을 발견하고 그 개선대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조사·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사무직 종사 근로자는 정기교육 대상이 아니다.
     2.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은 연간 8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3. 작업내용 변경시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의 안전ㆍ보건교육은 1시간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4. 채용 시의 근로자에 대한 안전ㆍ보건교육은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교육시간이 동일하다.
     5. 안전보건관리책임자도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ㆍ보건에 관한 직무교육 으로서 신규교육과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사업주는 유해요인 조사를 하는 경우에 근로자와의 면담,증상 설문조사, 인간공 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 등 적절한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하는 경우에 근골격계질환 발생 시의 대처요령에 대해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3. 사업주는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작성ㆍ시행할 경우에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사업주는 유해요인 조사에 근로자대표 또는 해당 작업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5. 사업주는 근로자가 5킬로그램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주로 취급하는 물품에 대하여 근로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물품의 중량과 무게 중심에 대하여 작업장 주변에 안내표시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게차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3월)
     1. 헤드 가드
     2. 백레스트(backrest)
     3. 전조등
     4. 후미등
     5. 구동부 방호 연동장치

     정답 : []
     정답률 : 90%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디클로로벤지딘과 그 염
     2. 오로토-톨리딘과 그 염
     3. 디아니시딘과 그 염
     4. 비소 및 그 무기화합물
     5. 베타-나프틸아민과 그 염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번은 금지대상

금지대상물질
베타 나프틸아민
벤젠을 포함한 고무풀(5%미만은 제외)
백연 포함 페인트(2%미만 제)
석면
황린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
4-니트로디페닐
등등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프레스
     2. 곤돌라
     3. 롤러기
     4.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5. 기계톱 -프레스 롤러기, 사출성형기, 기계톱 : 부분변경시 안전인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해설작성자 : 둔둔]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보는 건강진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3월)
     1.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
     2. 「학교보건법」에 따른 건강검사
     3. 「항공안전법」에 따른 신체검사
     4.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5. 「교육공무원법」에 따른 신체검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은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3. 외딴곳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지역에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지역별 보건관리전문기관과 업종별ㆍ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구분한다.
     5.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애옹]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또는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4월)
     1. 황린(黃燐) 성냥
     2. 벤조트리클로리드
     3. 백석면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PCT)
     5. 4-니트로디페닐과 그 염

     정답 : []
     정답률 : 59%

1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근로자의 추락위험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안전방망의 설치위치는 가능하면 작업면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면으로부터 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0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안전난간은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3.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방향으로 작용하는 50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질병자의 근로 금지ㆍ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사업주는 심장 등의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근로를 금지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발암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사업주는 착암기 등에 의하여 신체에 강렬한 진동을 주는 작업에서 유해ㆍ위험예방조치 외에 작업과 휴식의 적정한 배분 등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심장판막증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서는 아니된다.
     5. 사업주는 근로가 금지되거나 제한된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취업하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발암성x 고압작업
[해설작성자 : 지도사지망생]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또는 건강진단의 실시 결과만으로 직업성 질환에 걸렸는지를 판단하기 곤란한 근로자의 질병에 대하여 한국산업안전 보건공단에 역학조사를 요청할 수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자는?(2025년 03월)
     1. 사업주
     2. 근로자대표
     3. 건강진단기관의 의사
     4. 역학조사평가위원회 위원장
     5. 보건관리자(보건관리전문기관 포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공표하거나 고시하는 물질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3월)
     1. 「의료기기법」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2. 「약사법」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醫藥外品)
     3.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4.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
     5. 천연으로 산출된 화학물질

     정답 : []
     정답률 : 49%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이하 “지도사”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지도사가 그 직무를 시작할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지도사는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거나 도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지도사는 항상 품위를 유지하고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하여야한다.
     4. 지도사는 법령에 위반되는 행위에 관한 지도ㆍ상담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지도사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이나 사무소의 명칭을 사용하여 지도사의 직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그 자격증을 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24. 갑(甲)은 전국 규모의 사업주단체에 소속된 임직원으로서 해당 단체가 추천하여 법령에 따라 위촉된 명예감독관이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갑(甲)의 업무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63%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사업의 보조ㆍ지원에 대한 취소사유와 그에 따른 처분의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산업보건일반


26. 산업위생 활동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관리의 최우선순위는 보호구 착용이다.
     2. 인지(인식)란 현재 상황에서 존재 또는 잠재하고 있는 유해인자의 파악이다.
     3. 유해인자에 대한 평가는 특수건강진단의 결과만을 사용한다.
     4. 처음으로 요구되는 것은 근로자 건강진단이다.
     5. 사업장 근로자만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27. 공기 중 곰팡이, 박테리아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2014년 04월)
     1. CFU/m3
     2. f/cc
     3. mg/m3
     4. mccf
     5. ppm

     정답 : []
     정답률 : 86%

28. 국소배기장치의 점검에 사용되는 기기와 그 사용 목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발연관 - 덕트 내 유량 측정
     2. 마노메타(manometer) - 유체 흐름에 대한 압력 측정
     3. 피토관 - 송풍기의 회전속도 측정
     4. 회전날개풍속계 - 개구부 주위의 난류현상 확인
     5. 타코메타(tachometer) - 송풍기의 전류 측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발연관 : 유량의 방향확인
3. 피토관 : 유체 흐름의 총압과 정압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속을 구하는 장치
4. 회전날개풍속계 : 덕트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
5. 타코메타 :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Sophiek]

29. 다음질환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이 중단되면 방사선학적 소견상 자연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는 진폐증은 ?(2013년 04월)
     1. 면폐증
     2. 규폐증
     3. 베릴륨폐증
     4. 탄광부진폐증
     5. 용접공폐증

     정답 : []
     정답률 : 45%

30.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에서 건강진단 실시결과에 따라 건강상담, 보호구 지급 및 착용지도, 추적검사, 근무 중 치료 등의 조치를 시행할 수 있는 기관 또는 자격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건강진단기관
     2. 산업보건의
     3. 보건관리자
     4. 보건진단기관
     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자 건강센터

     정답 : []
     정답률 : 58%

31.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급성 중독 사례이다. 해당 화학물질로 옳은 것은?(2025년 03월)

    

     1. 디클로로메탄
     2. 아크릴로니트릴
     3. 메틸클로로포름
     4. 트리클로로메탄
     5. 노말핵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60℃, 1기압인 탈지조에서 TCE(분자량 131.4, 비중 1.466) 2L를 사용하였다. 공기 중으로 모두 증발하였다고 가정할 때, 발생한 증기량(m3)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0.34
     2. 0.50
     3. 0.54
     4. 0.61
     5. 0.82

     정답 : []
     정답률 : 34%

33. 상이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의 중심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되는 대푯값은(2017년 03월)
     1. 산술평균
     2. 가중평균
     3. 기하평균
     4. 조화평균
     5. 중앙값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조화평균 : n개의 양수에 대하여 그 역수들을 산술평균한 것, 역수로 상의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의 중심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근로자 건강진단 결과 판정에 따른 사후관리 조치 판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4, 5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7월)
     1. 건강상담
     2. 추적검사
     3. 작업전환
     4. 근로제한 금지
     5. 역학조사

     정답 : []
     정답률 : 73%

35. 중금속별로 노출될 수 있는 공정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크롬 - 도금
     2. 납 - PVC 압출 혼합
     3. 유기수은 - 형광등 제조
     4. 비소 - 반도체 이온주입
     5. 카드뮴 - 축전지 제조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 형광등은 금속수은

36. 산업재해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건수율은 연작업시간당 재해발생 건수이다.
     2. 도수율은 천인율 또는 발생률이라고도 한다.
     3. 강도율은 연 100만 작업시간당 작업손실일수를 말한다.
     4. 도수율은 작업시간이 고려되지 않은 산업재해 지표이다.
     5. 사망만인률은 근로자 1만명당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7. 밀폐공간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한 일반적인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냉각탑 내부를 교체할 때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배관 장치는 잠근다.
     2. 출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다.
     3. 작업하는 동안 감시인을 밀폐공간 밖에 배치한다.
     4. 불활성기체가 고농도일 경우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5.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38. 질병의 업무관련 역학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담당한 공정과 직무 등 원인인자를 파악한다.
     2. 개인 기호 및 과거 질환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질병 원인 유해인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한다.
     4. 국내외 유사한 질병 사례를 조사한다.
     5. 동료 근로자를 대상으로 과거 작업 상황을 조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0m, 10m, 5m인 밀폐된 대형 챔버에 톨루엔 1L가 쏟아져 모두 증발했다. 이 때 공기 중 톨루엔 농도(ppm)는 약 얼마인가? (단, 톨루엔의 분자량은 92, 비중은 0. 86, 온도와 압력은 정상조건이다. )(2014년 04월)
     1. 118
     2. 228
     3. 338
     4. 448
     5. 558

     정답 : []
     정답률 : 34%

40. 고체흡착관(활성탄관)을 이황화탄소 1 ml로 추출하여 가스크로마토 그래피로 정량한 톨루엔의 농도는 5 ppm이었다. 0.2 L/min 펌프로 4시간 채취하였다. 탈착율은 98 %이였고 공시료에서 검출된 양은 없었다. 이 때 공기 중 톨루엔의 농도(㎍/m3)는 약 얼마인가?(2016년 04월)
     1. 66
     2. 86
     3. 106
     4. 126
     5. 14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잘못됐네요
톨루엔의 농도가 5ppm인게 아니라
톨루엔이 5g 체취된거겠죠
그래야 답이 106이 나옵니다...

톨루엔 농도가 5ppm이라면 톨루엔 농도는
5×92/24.4였겠죠...

41.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압축기( compressor)로부터 50 m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수준( sound pressure level)이 130 dB였다면, 압축기로부터 25 m와 100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음압수준( dB)은 각각 얼마인가?(단, 작업장은 경계가 없어서 음의 전파에 방해를 받지 않은 영역이다.)(2013년 04월)
     1. 132, 128
     2. 134, 126
     3. 136, 124
     4. 140, 120
     5. 150, 120

     정답 : []
     정답률 : 56%

42. 크실렌의 주요한 생물학적 노출지수로서 소변중에서 측정하는 물질은?(2013년 04월)
     1. 페놀
     2. 뮤콘산
     3. 만델산
     4. 메틸마뇨산
     5. 카르복시헤모글로빈

     정답 : []
     정답률 : 62%

43.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에서 벤젠의 정보물질 표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3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인체의 계(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호흡계는 코, 인·후두, 기관, 기관지, 폐 등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호흡을 담당한다.
     2. 근육계는 뼈대근, 심장근, 평활근, 근막, 건(힘줄), 건초(힘줄집), 윤활낭 등으로 구성된 능동적 운동장치이다.
     3. 감각계는 눈, 코, 귀, 혀 등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감각을 받아들인다.
     4. 소화계는 위, 소장, 대장의 소화를 담당하는 장기와 간, 췌장, 담낭 등으로 구성된다.
     5. 내분비계는 심장, 혈액, 혈관, 림프, 비장, 흉선으로 구성되어 영양분을 운반하고 림프구 및 항체를 생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28세 남자 환자가 1주 전부터 발생한 황달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한 달 전부터 에어컨 부품 가공공장에서 유기용제를 이용한 세척작업에 종사하였고, 작업이 끝나면 술에 취한 느낌이 들고 멍한 상태가 되며 가끔 오심을 경험하였으며, 내원 2주 전부터 피부에 발적과 소양감을 동반한 발진이 나타났다. 이러한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유해물질은?(2015년 04월)
     1. 산화에틸렌
     2. 노말헥산
     3. 스티렌
     4. 톨루엔
     5.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86%

46. 재해의 발생형태에 따른 원인 분석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파레토도는 좌표의 가로축에 중요도가 높은 순서로 요인을 기재하고, 세로축에 각 요인의 도수를 고려한 누적치로 막대형 그래프를 작성한다.
     2. 특성요인도는 재해특성과 요인 관계를 도표로 그려 어골상으로 세분화하여 연쇄관계를 나타내는 형태로 표현한다,
     3. 웨버의 사고연쇄반응이론은 직업성질환과 역학조사를 위하여 개발한 기법이다.
     4. 크로스분석은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5. 관리도(control chart)는 월별 재해추이 등을 그래프로 그려 관리구역을 설정하고 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재해의 직접원인 중 불안전한 행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안전장치의 부적합
     2. 위험장소 접근
     3. 개인보호구의 잘못 착용
     4. 불안전한 속도 조작
     5. 감독 및 연락 불충분

     정답 : []
     정답률 : 57%

48. 산업재해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4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49. 고열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1. 흑구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를 실효복사온도라 하고 이는 감각온도와 상관이 없다.
     2. WBGT 측정기로 옥내 작업장을 측정할 때에는 자연습구온도와 흑구온도를 고려한다.
     3. 고열작업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습구흑구 온도지수를 측정하고 작업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4. WBGT 30℃되는 중등작업을 하는 경우 휴식시간 없이 계속 작업을 해도 무방하다.
     5. 복사열은 열선풍속계로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0.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중 납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시 제2차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노출지표를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2%

51.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고 직무와 관련된 피평가자의 행동을 평가기준으로 하는 행동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의 개발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4월)
     1.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2.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3.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확정 및 실시
     4.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5.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정답 : []
     정답률 : 74%

52. 직무급(job-based pa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ㄱ, ㄴ, ㄷ
     2. ㄷ, ㄹ, ㅁ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4%

53. 조직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조직사회화란 신입사원이 회사에 대하여 학습하고 조직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다.
     2. 조직의 핵심가치가 더 강조되고 공유되고 있는 강한 문화(strong culture)가 조직에 끼치는 잠재적 역기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3. 조직문화는 하루아침에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고 한번 생기면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4. 창업자의 행동이 역할모델로 작용하여 구성원들이 그런 행동을 받아들이고 창업자의 신념, 가치를 외부화(externalization) 한다.
     5. 구성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이념, 조직의 기본목적 등 조직체 전반에 관한 믿음과 신념을 공유가치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54. 협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협상은 둘 이상의 당사자가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2. 협상에 관한 접근방법으로 분배적 교섭과 통합적 교섭이 있다.
     3. 분배적 교섭은 내가 이익을 보면 상대방은 손해를 보는 구조이다.
     4. 통합적 교섭은 윈-윈 해결책을 창출하는 타결점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5. 분배적 교섭은 협상당사자가 전체자원(pie)이 유동적이라는 전제하에 협상을 진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55.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중 자아실현욕구를 조직행동에 적용한 것은?(2019년 03월)
     1. 도전적 과업 및 창의적 역할 부여
     2. 타인의 인정 및 칭찬
     3. 화해와 친목분위기 조성 및 우호적인 작업팀 결성
     4. 안전한 작업조건 조성 및 고용 보장
     5. 냉난방 시설 및 사내식당 운영

     정답 : []
     정답률 : 68%

56. 식스 시그마(Six Sigma) 분석도구 중 품질 결함의 원인이 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표현해주며, Fishbone Diagram으로도 불리는 것은?(2023년 04월)
     1. 린 차트
     2. 파레토 차트
     3. 가치흐름도
     4. 원인결과 분석도
     5. 프로세스 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25%

57. 6시그마 품질혁신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모토롤라사의 빌 스미스(Bill Smith)라는 경영간부의 착상으로 시작되었다.
     2. 6시그마 활동을 도입하는 조직은 규격 공차가 표준편차(시그마)의 6배라는 우수한 품질수준을 추구한다.
     3. DPMO란 100만 기회 당 부적합이 발생되는 건수를 뜻하는 용어로 시그마수준과 1 대 1로 대응되는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4. 6시그마 수준의 공정이란 치우침이 없을 경우 부적합품률이 10억 개에 2개 정도로 추정되는 품질수준이란 뜻이다.
     5. 6시그마 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블랙벨트(BB) 등의 조직원을 육성하여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58. JIT(Just In Time) 생산시스템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
     2. 공급자와의 원활한 협력
     3. 채찍효과 발생
     4. 다기능 작업자 필요
     5. 칸반시스템 활용

     정답 : []
     정답률 : 35%

59. 하우 리(H. Lee)가 제안한 공급사슬 전략 중, 수요의 불확실성이 낮고 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필요한 전략은(2017년 03월)
     1. 효율적 공급사슬
     2. 반응적 공급사슬
     3. 민첩한 공급사슬
     4. 위험회피 공급사슬
     5. 지속가능 공급사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위험회피 공급사슬 : 주요 원자재나 햑심부품의 공급단절을 방지하여 재고를 확보하는 공급사슬 전략
[해설작성자 : Sophiek]

60. 심리평가에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신규채용을 위하여 입사 지원자들을 평가하거나 또는 승진 결정 등을 위하여 현재 종업원들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2. 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단일 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3. 기본적인 평가방식은 집단 내 다른 사람들의 수행과 비교하여 개인의 수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4. 평가도구로는 구두발표, 서류함 기법, 역할수행 등이 있다.
     5. 다수의 평가자들이 피평가자들을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단일수행차원이 아니고 다양한수행차원에 대해 피평가자를 평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직업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비르(T. Beehr)와 프랜즈(T. Franz)는 직업 스트레스를 의학적 접근, 임상ㆍ상담적 접근, 공학심리학적 접근, 조직심리학적 접근 등 네 가지 다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2.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3. 자원보존 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은 종업원들은 시간에 걸쳐 자원을 축적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그들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4. 셀리에(H. Selye)의 일반적 적응증후군 모델은 경고(alarm), 저항(resistance), 소진(exhaustion)의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5. 직업 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모호성(role ambiguity)은 종업원이 자신의 직무기능과 책임이 무엇인지 불명확하게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2. 내적(intrinsic) 동기와 외적(extrinsic) 동기의 특징과 관계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동기이론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앨더퍼(Alderfer)의 ERG이론
     2. 아담스(Adams)의 형평이론(equity theory)
     3. 로크(Locke)의 목표설정이론(goal-setting theory)
     4. 맥클래란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need for achievement theory)
     5. 리안(Ryan)과 디시(Deci)의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영업 1팀의 A팀장은 팀원들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영업 1팀의 팀원들은 실제 직무수행 수준보다 언제나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한편 영업 2팀의 B팀장은 대부분 팀원을 보통 수준으로 평가한다. 특히 B팀장 자신이 잘 모르는 영역 평가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직무수행 평가 패턴에서 A와 B팀장이 각각 범하고 있는 오류(또는 편향)를 순서대로(A, B) 옳게 나열한 것은?(2016년 04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ㄴ, ㅁ

     정답 : []
     정답률 : 25%

64. 용접공이 작업 중에 보호안경을 쓰지 않으면 시력손상을 입는 산업재해가 발생한다. 용접공의 행동특성을 ABC행동이론(선행사건, 행동, 결과)에 근거하여 기술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 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7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65. 산업재해의 인적 요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22년 03월)
     1. 작업 환경
     2. 불안전행동
     3. 인간 오류
     4. 사고 경향성
     5. 직무 스트레스

     정답 : []
     정답률 : 47%

66. 착시를 크기 착시와 방향 착시로 구분하는 경우, 동일한 물리적인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선이나 형태를 다르게 지각하는 크기 착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
     2. 폰조(Ponzo) 착시
     3. 에빙하우스(Ebbinghaus)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
     5. 델뵈프(Delboeuf) 착시

     정답 : []
     정답률 : 37%

67. 작업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급하고 의욕이 강한 A유형 성격의 사람들은 스트레스 조절능력이 강해서 느긋하고 이완된 B유형의 사람들과 비교하여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절반 정도로 낮다.
     2. 스트레스 출처에 대한 이해가능성, 예측가능성, 통제가능성 중에서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가장 큰 것은 예측가능성이다.
     3. 내적 통제형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스트레스 출처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견딘다.
     4. 공항에서 근무하는 소방관의 경우 한 건의 화재도 없이 몇 주 동안 대기근무만 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없다.
     5. 작업스트레스는 역할 과부하에서 주로 발생하며, 역할들 간의 갈등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68. 작업자의 수행을 평가할 때 평가자에 의한 관대화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방법은?(2013년 04월)
     1. 종업원 순위법
     2. 강제배분법
     3. 도식적 평정법
     4. 정신운동능력 평정법
     5. 행동기준 평정법

     정답 : []
     정답률 : 35%

69. 다음은 하인리히(H. Heinrich)의 재해예방이론 4원칙과 사고예방원리 5단계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위험성파악
     2. ㄱ: 손실우연의 원칙, ㄴ: 예방가능의 원칙, ㄷ: 분석·평가
     3.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가능의 원칙, ㄷ: 위험성파악
     4. ㄱ: 손실우연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분석·평가
     5. ㄱ: 손실가능의 원칙 ㄴ: 예방불가의 원칙, ㄷ: 분석·평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 부터 9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할 것
     2.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는 난간 길이 전체에 걸쳐 바닥면등과 평행을 유지할 것
     3.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4.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5센티미터 높이를 유지할 것. 다만,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없거나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예방 조치를 한 장소는 제외할 것
     5. 난간대는 지름 2.7센티미터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재료일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 발끝막이판 10cm
[해설작성자 : sophieK]

71.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시행착오의 원칙
     2. 예방가능의 원칙
     3. 손실우연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5. 원인계기(연계)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2%

72. 다음 중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도입 전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2013년 04월)
     1. 전사적 측면에서는 조직의 경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 이행할 수 있는 안전 보건경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
     2. 안전보건방침 승인 및 계층별 , 부서별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안전보건목표를 정하여야 한다 .
     3. 최고경영자는 각 부서간의 안전보건경영체제 업무를 적절히 배분하고 , 각 부서들이 솔선해서 협조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
     4. 조직원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가 있어야 하며 , 적절한 포상으로 직원의 사기를 진작할 수 있어야 한다 .
     5.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추진ㆍ이행의 핵심은 전담부서 , 전담요원의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의식향상과 각 부서장의 업무수행에 대한 전문화가 필요하다 .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보건목표를 설정 → 안전보건방침 승인 및 계층별,부서별 책임과 권한 부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사업장 위험성평가 실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3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8%

74. 감전시 응급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상 통전전류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최소감지전류, ㄴ: 고통전류
     2. ㄱ: 최소감지전류, ㄴ: 가수전류
     3. ㄱ: 가수전류, ㄴ: 고통전류
     4. ㄱ: 불수전류, ㄴ: 가수전류
     5. ㄱ: 심실세동전류, ㄴ: 고통전류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최소감지전류: 짜릿함, 1-2mA
고통전류 : 참을수 있거나 고통스러움, 2-8
가수전류 : 안전하게 전원에서 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 8-15
불수전류 : 스스로 떨어질 수 없는 전류, 15-50
심실세동전류 : 심장의 기능을 잃게되어 수분내 사망, 165/root(T)
[해설작성자 : 다도]

75.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트립
풀 프루프의 일종
사람의 접근을 인식하면 기계가 정지 또는 안전한 위치로 복귀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18104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18104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41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40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388870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9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54313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8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590923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7 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807365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6 <h2>양식조리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5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79967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4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3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10월 10일[5회](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3
432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4월 04일[2회](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1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 04월 08일[2회](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30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8월 22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9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9월 21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28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 06월 02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27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7월 04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26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3월 02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5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 07월 10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4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 02월 19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3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7월 04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