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의 유기물질 등이 산화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폐수나 유독물질이 포함된 공장폐수의 오염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용존산소량(DO)
2.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3.
부유물질량(SS)
4.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정답 : [
4
] 정답률 : 79%
4.
런던 스모그(London smo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석유류의 연소물이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화형 스모그(oxidizing smog)이다.
2.
주된 성분에는 아황산가스와 입자상 물질인 매연 등이 있다.
3.
기침, 가래와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야기한다.
4.
가장 발생하기 쉬운 달은 12월과 1월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5.
다음 중 온열조건의 종합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감각온도는 기온, 기습, 기류 등 3인자가 종합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을 말하며, 체감온도, 유효온도, 실효온도라고도 한다.
2.
불쾌지수는 기후상태로 인간이 느끼는 불쾌감을 표시한 것인데, 이 지수는 기온과 습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온습도지수라고 한다.
3.
카타(Kata) 온도계는 일반 풍속계로는 측정이 곤란한 불감기류와 같은 미풍을 카타 냉각력을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4.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고온의 영향을 받는 실내환경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감각온도 대신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태양복사열의 영향을 받는 옥외 환경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도록 고안됨. [해설작성자 : 모두모두 힘내세요^^]
6.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지표에서 인구집단의 약 97~98%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섭취 기준은?(2023년 06월)
1.
평균필요량
2.
권장섭취량
3.
충분섭취량
4.
에너지적정비율
정답 : [
2
] 정답률 : 78%
7.
Myers(1969)는 지역사회 또는 사회적 수준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보건의료의 조건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이 중 치료과정에서 최소의 자원을 투입하여 건강을 빨리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2021년 06월)
1.
형평성
2.
접근성
3.
효과성
4.
효율성
정답 : [
4
] 정답률 : 83%
8.
「지역보건법」상 보건소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6월)
1.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기관의 평가인증
4.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각종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11조(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 ① 보건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 다음 각 호의 기능 및 업무를 수행한다. <개정 2016. 2. 3., 2019. 1. 15., 2019. 12. 3.> 1.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ㆍ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제4호에 따른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ㆍ관리ㆍ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ㆍ관리 4. 보건의료 관련기관ㆍ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ㆍ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가. 국민건강증진ㆍ구강건강ㆍ영양관리사업 및 보건교육 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다.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유지ㆍ증진 라. 여성ㆍ노인ㆍ장애인 등 보건의료 취약계층의 건강유지ㆍ증진 마.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에 관한 사항 바.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검진 및 만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사.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 및 건강관리사업 아. 난임의 예방 및 관리 ②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하는 의료취약지의 보건소는 제1항제5호아목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신설 2019. 12. 3.>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보건소 기능 및 업무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9. 12. 3.> [해설작성자 : 우리집 준호]
9.
생태학적 보건사업 접근방법 중 행동을 제약하거나 조장하는 규칙, 규제, 시책, 비공식적인 구조를 활용하는 수준은?(2018년 06월)
1.
개인수준
2.
개인 간 수준
3.
조직수준
4.
지역사회 수준
정답 : [
3
] 정답률 : 61%
10.
「대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
2.
매연 : 연소할 때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주가 되는 미세한 입자상물질
3.
검댕 : 연소할 때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응결하여 입자의 지름이 1미크론 이하가 되는 입자상물질
4.
가스: 물질이 연소·합성·분해될 때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체상물질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매연(smoke): 1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탄소입자 검댕(soot): 1마이크로미터 이상 크기의 유리탄소 및 타르 물질이 응결된 것 [해설작성자 : 모두모두 힘내세요^^]
11.
수질 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물의 pH는 보통 7.0 전후이다.
2.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유기성 물질에 오염된 후 시간이 많이 지난 것을 의미한다.
3.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인 용존산소는 오염된 물에서 거의 포화에 가깝다.
4.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높다는 것은 수중에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유기성 물질 오염 후 시간이 얼마 안지난 것을 의미 3. 용존산소는 오염된 물에서 낮다 [해설작성자 : 연어]
12.
<보기>에서 기술한 역학적 연구 방법은?(2019년 06월)
1.
후향적 코호트 연구
2.
전향적 코호트 연구
3.
환자-대조군 연구
4.
단면 연구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향적 코호트 연구 : 일반적. 연구 시작하면서 연구대상자 모집, 시간에 따라 조사. 추적조사
후향적 코호트 연구 : 기존 기록이나 기억을 통해 특정 인자 노출여부와 질병발생여부에 대한 자료를 얻는 연구 기록에서 특정 인자 노출여부에 따라 노출된 그룹과 노출되지 않은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에서 질병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2019년 06월)
1.
수동면역(passive immunity)
2.
선천면역(natural immunity)
3.
자연능동면역(natural active immunity)
4.
인공능동면역(artificial active immunity)
정답 : [
4
] 정답률 : 85%
14.
미국 메릴랜드 주의 ‘골든 다이아몬드(golden diamond)’ 방식은 보건사업 기획의 어느 단계에 사용되는가?(2019년 06월)
물 속의 유기물질 등이 산화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폐수나 유독물질이 포함된 공장폐수의 오염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용존산소량(DO)
2.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3.
부유물질량(SS)
4.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정답 : [
4
] 정답률 : 79%
4.
런던 스모그(London smo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석유류의 연소물이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화형 스모그(oxidizing smog)이다.
2.
주된 성분에는 아황산가스와 입자상 물질인 매연 등이 있다.
3.
기침, 가래와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야기한다.
4.
가장 발생하기 쉬운 달은 12월과 1월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5.
다음 중 온열조건의 종합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감각온도는 기온, 기습, 기류 등 3인자가 종합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을 말하며, 체감온도, 유효온도, 실효온도라고도 한다.
2.
불쾌지수는 기후상태로 인간이 느끼는 불쾌감을 표시한 것인데, 이 지수는 기온과 습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온습도지수라고 한다.
3.
카타(Kata) 온도계는 일반 풍속계로는 측정이 곤란한 불감기류와 같은 미풍을 카타 냉각력을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4.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고온의 영향을 받는 실내환경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감각온도 대신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태양복사열의 영향을 받는 옥외 환경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도록 고안됨. [해설작성자 : 모두모두 힘내세요^^]
6.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지표에서 인구집단의 약 97~98%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섭취 기준은?(2023년 06월)
1.
평균필요량
2.
권장섭취량
3.
충분섭취량
4.
에너지적정비율
정답 : [
2
] 정답률 : 78%
7.
Myers(1969)는 지역사회 또는 사회적 수준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보건의료의 조건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이 중 치료과정에서 최소의 자원을 투입하여 건강을 빨리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2021년 06월)
1.
형평성
2.
접근성
3.
효과성
4.
효율성
정답 : [
4
] 정답률 : 83%
8.
「지역보건법」상 보건소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6월)
1.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기관의 평가인증
4.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각종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11조(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 ① 보건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 다음 각 호의 기능 및 업무를 수행한다. <개정 2016. 2. 3., 2019. 1. 15., 2019. 12. 3.> 1.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ㆍ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제4호에 따른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ㆍ관리ㆍ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ㆍ관리 4. 보건의료 관련기관ㆍ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ㆍ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가. 국민건강증진ㆍ구강건강ㆍ영양관리사업 및 보건교육 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다.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유지ㆍ증진 라. 여성ㆍ노인ㆍ장애인 등 보건의료 취약계층의 건강유지ㆍ증진 마.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에 관한 사항 바.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검진 및 만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사.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 및 건강관리사업 아. 난임의 예방 및 관리 ②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하는 의료취약지의 보건소는 제1항제5호아목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신설 2019. 12. 3.>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보건소 기능 및 업무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9. 12. 3.> [해설작성자 : 우리집 준호]
9.
생태학적 보건사업 접근방법 중 행동을 제약하거나 조장하는 규칙, 규제, 시책, 비공식적인 구조를 활용하는 수준은?(2018년 06월)
1.
개인수준
2.
개인 간 수준
3.
조직수준
4.
지역사회 수준
정답 : [
3
] 정답률 : 61%
10.
「대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
2.
매연 : 연소할 때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주가 되는 미세한 입자상물질
3.
검댕 : 연소할 때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응결하여 입자의 지름이 1미크론 이하가 되는 입자상물질
4.
가스: 물질이 연소·합성·분해될 때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체상물질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매연(smoke): 1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탄소입자 검댕(soot): 1마이크로미터 이상 크기의 유리탄소 및 타르 물질이 응결된 것 [해설작성자 : 모두모두 힘내세요^^]
11.
수질 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물의 pH는 보통 7.0 전후이다.
2.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유기성 물질에 오염된 후 시간이 많이 지난 것을 의미한다.
3.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인 용존산소는 오염된 물에서 거의 포화에 가깝다.
4.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높다는 것은 수중에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유기성 물질 오염 후 시간이 얼마 안지난 것을 의미 3. 용존산소는 오염된 물에서 낮다 [해설작성자 : 연어]
12.
<보기>에서 기술한 역학적 연구 방법은?(2019년 06월)
1.
후향적 코호트 연구
2.
전향적 코호트 연구
3.
환자-대조군 연구
4.
단면 연구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향적 코호트 연구 : 일반적. 연구 시작하면서 연구대상자 모집, 시간에 따라 조사. 추적조사
후향적 코호트 연구 : 기존 기록이나 기억을 통해 특정 인자 노출여부와 질병발생여부에 대한 자료를 얻는 연구 기록에서 특정 인자 노출여부에 따라 노출된 그룹과 노출되지 않은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에서 질병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은?(2019년 06월)
1.
수동면역(passive immunity)
2.
선천면역(natural immunity)
3.
자연능동면역(natural active immunity)
4.
인공능동면역(artificial active immunity)
정답 : [
4
] 정답률 : 85%
14.
미국 메릴랜드 주의 ‘골든 다이아몬드(golden diamond)’ 방식은 보건사업 기획의 어느 단계에 사용되는가?(2019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