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층을 운영하는 동일뱅크(저층용)=3.5m~4.5m 승강장 간격을 확보한다. 다른 층을 운영하는 다른뱅크(저층용+고층용)=6m 이상 승강장 간격을 확보한다. [해설작성자 : 개굴쓰]
22.
꼭대기 틈새 최소치가 3.3.m이고, 피트 깊이가 3.8m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m/min]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9월)
1.
120초과 ~ 150이하
2.
150초과 ~ 180이하
3.
180초과 ~ 210이하
4.
210초과 ~ 240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없어짐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23.
승강기의 안전장치 중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카 내부 승차인원이나 적재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2.
엘리베이터가 최상 ·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3.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카에 설치한다.
4.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층마다 설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24.
권상기 기계대(machine beam)가 콘크리트로 되어있을 때 안전율은 얼마가 가장 적합한가?(2020년 06월)
1.
7
2.
9
3.
12
4.
15
정답 : [
1
] 정답률 : 65%
25.
기계실의 조도는 기기가 배치된 바닥면에서 몇 [Lux]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을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9월)
1.
30
2.
50
3.
100
4.
200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개정되어 200 lx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빨이]
26.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상 소방구조용(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에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정격하중이 1000gkf 이상이어야 한다.
2.
카의 운행속도는 0.5m/s 이상이어야 한다.
3.
카는 건물의 전 층에 대해 운행이 가능해야 한다.
4.
카의 폭이 1100mm, 깊이가 21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구조용 기본요건 ①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을 것 ② 크기는 630㎏의 정격하중, 폭 1100mm, 깊이 1400mm 이상, 출입구 유효 폭은 800mm 이상 ③ 소방관 접근 지정층에서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 운행속도는 1㎧ 이상 ④ 연속되는 상‧하 승강장문의 문턱간 거리가 7m 초과한 경우, 승강로 중간에 카문 방향으로 비상문이 설치되고, 승강장문과 비상문 및 비상문과 비상문의 문턱간 거리는 7m 이하 ⑤ 소방운전 스위치는 승강장문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2m 이내에 위치되고, 승강장 바닥 위로 1.4m부터 2.0m 이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 알림표지가 부착
소방구조용 추가요건 ① 모든 승강장문 전면에 방화 구획된 로비를 포함한 승강로 내에 설치 ② 소방운전 시 건축물에 요구되는 2시간 이상 운전 ③ 승강장의 전기/전자 장치는 0℃에서 65℃까지의 주위 온도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④ 2개의 카 출입문이 있는 경우, 소방운전 시 어떠한 경우라도 2개의 출입문이 동시에 열리지 않아야 한다. ⑤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방화구획 된 장소에 설치 ⑥ 주 전원과 보조 전원공급의 전선은 방화구획이 되어야 하고 서로 구분되어야 하며, 다른 전원공급장치와도 구분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7.
유압승강기에서 고속에서 저속으로 전환되어 정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2006년 09월)
1.
릴리프밸브
2.
스톱밸브
3.
체크밸브
4.
유량제어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59%
28.
유입식 완충기를 설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재료의 안전율은 5cm 당 20% 이상의 신율을 갖는 재료에서는 2 이상이어야 한다.
2.
플런저를 완전히 압축한 상태에서 완전 복구할 때 까지 소요하는 시간은 30초 이내여야 한다.
3.
카의 정격하중을 싣고 정격속도의 115%의 속도로 자유낙하하여 카가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평균 감속도는 1gn 이하여야 한다.
4.
강도는 최대적용중량의 85% 중량으로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속도로 충격시킬 경우 완충기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플런저는 완전복귀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29.
기계실이 있는 승강기에서 승강기에 대한 주요 부품 중 설치 위치가 다른 한 가지는?(2022년 03월)
1.
균형추
2.
이동케이블
3.
가이드레일
4.
과속조절기
정답 : [
4
] 정답률 : 75%
30.
길이가 40m인 로프에 250kg의 하중이 작용할 때 로프가 탄성한게 내에서 늘어나는 길이는? (단, 로프의 종탄성계수는 7000kg/mm2, 로프본수는 1가닥, 로프단면적은 100mm2이다.)(2010년 09월)
<문제 해설> ※피드백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 →제어 대상 : 제어하고자 하는 기계나 프로세스 자체를 뜻함 →검출부 : 제어 대상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 →설정부 : 제어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부분 →비교부 : 설정부의 목표값과 검출부의 현재값을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만듬 ▶제어요소 : 비교부에서 전달받은 오차 신호(동작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을 움직일 수 있는 조작량으로 바꾸는 역할. 즉,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키는 요소임.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74.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4
] 정답률 : 44%
75.
폐회로 제어계에서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며, 조절부와 조작부로 되어 있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9월)
1.
주궤환요소
2.
제어요소
3.
기준입력요소
4.
제어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1%
7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단, 그림에서의 저항 단위는 모두 Ω이다.)(2014년 09월)
동일 층을 운영하는 동일뱅크(저층용)=3.5m~4.5m 승강장 간격을 확보한다. 다른 층을 운영하는 다른뱅크(저층용+고층용)=6m 이상 승강장 간격을 확보한다. [해설작성자 : 개굴쓰]
22.
꼭대기 틈새 최소치가 3.3.m이고, 피트 깊이가 3.8m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m/min]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9월)
1.
120초과 ~ 150이하
2.
150초과 ~ 180이하
3.
180초과 ~ 210이하
4.
210초과 ~ 240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없어짐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23.
승강기의 안전장치 중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카 내부 승차인원이나 적재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2.
엘리베이터가 최상 · 최하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3.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카에 설치한다.
4.
각 층마다 정차하기 위한 스위치로 층마다 설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24.
권상기 기계대(machine beam)가 콘크리트로 되어있을 때 안전율은 얼마가 가장 적합한가?(2020년 06월)
1.
7
2.
9
3.
12
4.
15
정답 : [
1
] 정답률 : 65%
25.
기계실의 조도는 기기가 배치된 바닥면에서 몇 [Lux]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을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9월)
1.
30
2.
50
3.
100
4.
200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개정되어 200 lx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빨이]
26.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상 소방구조용(비상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에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정격하중이 1000gkf 이상이어야 한다.
2.
카의 운행속도는 0.5m/s 이상이어야 한다.
3.
카는 건물의 전 층에 대해 운행이 가능해야 한다.
4.
카의 폭이 1100mm, 깊이가 21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구조용 기본요건 ①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을 것 ② 크기는 630㎏의 정격하중, 폭 1100mm, 깊이 1400mm 이상, 출입구 유효 폭은 800mm 이상 ③ 소방관 접근 지정층에서 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 운행속도는 1㎧ 이상 ④ 연속되는 상‧하 승강장문의 문턱간 거리가 7m 초과한 경우, 승강로 중간에 카문 방향으로 비상문이 설치되고, 승강장문과 비상문 및 비상문과 비상문의 문턱간 거리는 7m 이하 ⑤ 소방운전 스위치는 승강장문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2m 이내에 위치되고, 승강장 바닥 위로 1.4m부터 2.0m 이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 알림표지가 부착
소방구조용 추가요건 ① 모든 승강장문 전면에 방화 구획된 로비를 포함한 승강로 내에 설치 ② 소방운전 시 건축물에 요구되는 2시간 이상 운전 ③ 승강장의 전기/전자 장치는 0℃에서 65℃까지의 주위 온도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④ 2개의 카 출입문이 있는 경우, 소방운전 시 어떠한 경우라도 2개의 출입문이 동시에 열리지 않아야 한다. ⑤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방화구획 된 장소에 설치 ⑥ 주 전원과 보조 전원공급의 전선은 방화구획이 되어야 하고 서로 구분되어야 하며, 다른 전원공급장치와도 구분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27.
유압승강기에서 고속에서 저속으로 전환되어 정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2006년 09월)
1.
릴리프밸브
2.
스톱밸브
3.
체크밸브
4.
유량제어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59%
28.
유입식 완충기를 설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재료의 안전율은 5cm 당 20% 이상의 신율을 갖는 재료에서는 2 이상이어야 한다.
2.
플런저를 완전히 압축한 상태에서 완전 복구할 때 까지 소요하는 시간은 30초 이내여야 한다.
3.
카의 정격하중을 싣고 정격속도의 115%의 속도로 자유낙하하여 카가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평균 감속도는 1gn 이하여야 한다.
4.
강도는 최대적용중량의 85% 중량으로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속도로 충격시킬 경우 완충기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플런저는 완전복귀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29.
기계실이 있는 승강기에서 승강기에 대한 주요 부품 중 설치 위치가 다른 한 가지는?(2022년 03월)
1.
균형추
2.
이동케이블
3.
가이드레일
4.
과속조절기
정답 : [
4
] 정답률 : 75%
30.
길이가 40m인 로프에 250kg의 하중이 작용할 때 로프가 탄성한게 내에서 늘어나는 길이는? (단, 로프의 종탄성계수는 7000kg/mm2, 로프본수는 1가닥, 로프단면적은 100mm2이다.)(2010년 09월)
<문제 해설> ※피드백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 →제어 대상 : 제어하고자 하는 기계나 프로세스 자체를 뜻함 →검출부 : 제어 대상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 →설정부 : 제어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부분 →비교부 : 설정부의 목표값과 검출부의 현재값을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만듬 ▶제어요소 : 비교부에서 전달받은 오차 신호(동작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을 움직일 수 있는 조작량으로 바꾸는 역할. 즉,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화시키는 요소임.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74.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4
] 정답률 : 44%
75.
폐회로 제어계에서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며, 조절부와 조작부로 되어 있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9월)
1.
주궤환요소
2.
제어요소
3.
기준입력요소
4.
제어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1%
7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단, 그림에서의 저항 단위는 모두 Ω이다.)(2014년 0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