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08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였다.
     2. 족외혼과 책화의 풍습이 있었다.
     3. 별도의 행정구역인 사출도가 있었다.
     4. 중국의 한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보기는 고조선

1.고구려
2.동예
3.부여
4.고조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 고구려에서 일어난 사건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6월)

   

     1. ㄴ→ㄷ→ㄱ→ㄹ
     2. ㄴ→ㄷ→ㄹ→ㄱ
     3. ㄷ→ㄴ→ㄱ→ㄹ
     4. ㄷ→ㄴ→ㄹ→ㄱ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ㄷ.진대법 고국천왕
ㄴ.근초고왕에게 전사. 평양 뺏김
ㄱ.소수림왕 불교 율령반포
ㄹ.장수왕 한성공략 개로왕 사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통일신라의 경제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하였다.
     2.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하였다.
     3.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4. 왕경에 서시전과 남시전이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시비법이 발달한 것은 통일신라가 아닌 고려말 이후이다.
[해설작성자 : 악어야]

1. 조선후기
2. 민정문서
3. 성덕왕(통신)
4. 효소왕
[해설작성자 : 유초유학청성성노]

4. 1970년대 시행된 정책이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금융실명제의 실시
     2. 새마을운동의 추진
     3. 통일벼의 전국적 보급
     4. 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화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금융실명제 김영삼 199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19세기에 발생한 농민 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몰락한 양반이 민란을 주도하기도 했다.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가장 치열하게 일어났다.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를 내세웠다.
     4. 민란의 결과 부세제도의 근본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몰락 양반이 민란 주도: 홍경래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치열: 곡창지대의 과도한 수취제로 반발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 주장: 평안도 차별
4. 민란 결과 근본적 개혁: X 임술(철종) 때 삼정이정청 설치 벗 근본적 해결 불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4⋅19혁명의 영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내각책임제 정부와 양원제 의회가 출범하였다.
     2. 반민족행위자에 대한 처벌법이 제정되었다.
     3. 부정축재자에 대한 처벌 요구가 높아졌다.
     4. 통일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제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948년 9월 - 반민족행위 처벌법 제정
1960년 4월 - 4.19혁명
[해설작성자 : 형준형]

7. ㉠~㉣과 관련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농가집성」의 간행
     2. ㉡-저수지 다수 축조
     3. ㉢-관청 필수품 공급
     4. ㉣-수공업자의 공장안 등록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농가집성 (1655, 신속&효종) 조선중기

농서모음정도.
농사직설+금양잡록+사시찬요+(부록 구황촬요)= 농가집성
[해설작성자 : 신희나 ]

8. 다음 정책을 추진한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사형의 판결에는 삼복법을 적용하였다.
     2.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를 주조하였다.
     3. 국방력 강화를 위해 진관체제를 실시하였다.
     4. 도평의사사를 개편하여 의정부를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세종시대 - 삼복법 적용
2.주자소 (태종)
3.진관체제 (세조)
4.의정부설치 (정종)
[해설작성자 : 헿]

삼심제(삼복제) 자체는 고려 문종때부터 기록이 남아있으며 조선건국 이후에도 이어졌다(경제육전등)
세종때 의금부삼복법(의금부는 태조때 설치)를 제정해 사형수의 삼심제에 대해 법적으로 확립했다.
이후 경국대전(세조,성종)과 속대전(영조)에도 그 내용은 이어졌다. 특히 영조때 이 삼심제를 엄격하게 적용하였다고 전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일심(一心) 사상을 주장하여 불교 교리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2. 통일 이후의 사회갈등을 통합으로 이끄는 화엄사상을 강조하였다.
     3. 대국통으로 있으면서 계율을 지키는 일에 힘을 보탰다.
     4.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오계를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황룡사 9층목탑을 세울 것을 건의한 인물은 "자장법사"이다.
자장(慈藏, 590년경~658년경)은 7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신라 승려로, 불교가 신라 국교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특히 "계율(戒律)"을 중시하고 강조하였는데,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승려들의 규범을 정하고 지키도록 하면서 불교 교단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 황룡사(皇龍寺) 9층 목탑 건립을 주도하면서 신라가 불국토(佛國土)라는 관념을 널리 퍼뜨려,
불교를 호국 이념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1. 일심사상 - 원효
2. 화엄사상 - 의상
4. 세속오계 - 원광
[해설작성자 : 악어야]

10.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이곳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재조대장경을 만들었다.
     2. 지눌이 이곳에서 수선사 결사 운동을 펼쳤다.
     3. 망이⋅망소이가 이곳에서 봉기하였다.
     4. 몽골이 이곳에 동녕부를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시된 사료는 태조 왕건의 「훈요 10조」의 일부로, (가)는 서경이다.
원종11년, 서경(평양)에 동녕부 설치(1270)
[해설작성자 : 이나이나]

1.강화도
2.송광산 전남순천
3.공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밑줄 친 ‘대의(大義)’를 이루기 위해 효종이 한 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남한산성을 복구하고 어영청을 확대하였다.
     2. 훈련별대를 정초군과 통합하여 금위영을 발족시켰다.
     3.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를 추구하는 중립외교 정책을 펼쳤다.
     4. 호위청, 총융청, 수어청 등의 부대를 창설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북벌

2. 금위영 숙종
3. 중립외교 광해군
4. 인조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4.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문왕 만파식적
1. 법흥왕
3. 성덕왕
4. 무열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호사용 헷갈리는 것: 건원=신라 법흥왕, 영락=광개토대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지시에 따라 실시된 제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7년 06월)

    

     1. 지조법을 시행하고 호조로 재정을 일원화하였다.
     2. 토산물로 징수하던 공물을 쌀이나 무명, 동전 등으로 통일하였다.
     3. 황폐해진 농지를 개간하도록 권장하고 전국적인 양전 사업을 시행하였다.
     4. 일부 양반층에게 선무군관이라는 칭호를 주고 군포 1필을 납부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기는 영조 균역법.

1.갑신정변
2.대동법
3.양전사업
4.균역법
--------
답이 없는 이유 : 선무군관세 : 일부 특권층. (양반 말고도 양인,부농 등.. 도 선무군관포를 납부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반말고도 = 양반도 포함,,
선무군관포는 양반이 아닌 부농층이 납부함.
[해설작성자 : 박수호]

1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9경과 3사를 중심으로 교육하였다.
     2.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3. 유교 사상을 치국의 근본으로 삼아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올렸다.
     4. 「소학」과 「주자가례」를 중시하고 권문세족과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충의 9재학당.

2.김부식
3.최승로
4.신진사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과 같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헌정연구회의 활동을 계승하여 월보를 간행하고 지회를 설치하였다.
     2. 국민 계몽을 위해 회보를 발간하고 만민공동회 등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3. 보부상 중심의 단체로 황권 강화를 통한 부국강병을 행동지침으로 삼았다.
     4. 일본이 황무지 개간을 구실로 토지를 약탈하려 하자 대중적 반대 운동을 벌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국민 계몽을 위해 회보를 발간하고 만민공동회등 대규모 집회를 열었던 단체는 독립협회이다.
[해설작성자 : mickymouse]

1.헌정연구회 1905년. 만민공동회에서 영향을 받은 유학자들이 중심이되어 서울에서 조직된 애국계몽 운동단체.
이후 06년 장지연 등이 발전적으로 확장하여 대한자강회로 개편.

3.황국협회 : 1898년 서울에서 조직된 어용단체. 궁정수구파가 보부상을 앞세워 독립협회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4.보안회 : 04년 한일의정서 이후 일제가 황무지 개간권이양을 추진. 지속적인 항거로 황무지개척권 거론을 유보시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상황이 벌어지던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부농층이 성장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2. 농촌 공동체 생활을 주도하는 향도가 등장하였다.
     3.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향회가 자문 역할을 하였다.
     4. 촌락 단위의 동약이 실시되고 동족 마을이 만들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선 후기 향전.

2.향도는 고려.

1.농법발달로 부농층 성장. 향임직 진출
3.권력이 약해진 향회는 단지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자문역할 정도로 축소
4.세금이 가혹해지자 지금의 계와 비슷한 걷는 동약으로 변질. 양반들은 자기들만의 동족 마을 형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1920년대 산미 증식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춘궁 퇴치⋅자력갱생 등을 내세웠다.
     2. 쌀ㆍ잡곡에 대한 배급제도와 공출제도가 실시되었다.
     3. 소작농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소작조정령을 발표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차대전 이후 1920년 일본공업화 정책에 따라 부족한 식량을 한국에서 착취하려고 산미증식계획 실시

1.1930 농촌 진흥운동
2.1937 중일전쟁
3.조선 농지령 1934 소작조정령 발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2. 문종 때 남경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3.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4. 공민왕과 우왕 때 한양 천도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보기는 풍수지리.

3.초제는 도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4월)

    

     1.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를 저술하였다.
     2.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3.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4.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학회의 발기인으로는 이병도(李丙燾)·고유섭(高裕燮)·김두헌(金斗憲)·김상기(金庠基) ·김윤경(金允經)·김태준(金台俊)·김효경(金孝敬)·이병기(李秉岐)·이상백(李相佰)·이선근(李瑄根)·이윤재(李允宰)·이은상(李殷相)·이재욱(李在郁)·이희승(李熙昇)·문일평(文一平)·박문규(朴文圭)·백낙준(白樂濬)·손진태(孫晋泰)·송석하(宋錫夏)·신석호(申奭鎬)·우호익(禹浩翊)·조윤제(趙潤濟)·최현배(崔鉉培)·홍순혁(洪淳赫) 등이었다. 그 가운데, 이병도·이윤재·이희승·손진태·조윤제 등이다.
[해설작성자 : willyford]

[추가 해설]
조선민족사 개론은 손진태 작품이며 국사대요,조선신가유편,조선민담집 등을 저술하였다.
그는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 발기인으로 활동.

1.신채호
2.박은식
4.정인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은 지방 토착 세력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서술이다.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8년 05월)

    

     1. ㄱ-ㄴ-ㄷ-ㄹ
     2. ㄴ-ㄷ-ㄱ-ㄹ
     3. ㄴ-ㄷ-ㄹ-ㄱ
     4. ㄴ-ㄹ-ㄷ-ㄱ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신라 말)-ㄷ(태조)-ㄱ(예종)-ㄹ(공민왕)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08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였다.
     2. 족외혼과 책화의 풍습이 있었다.
     3. 별도의 행정구역인 사출도가 있었다.
     4. 중국의 한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보기는 고조선

1.고구려
2.동예
3.부여
4.고조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 고구려에서 일어난 사건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6월)

   

     1. ㄴ→ㄷ→ㄱ→ㄹ
     2. ㄴ→ㄷ→ㄹ→ㄱ
     3. ㄷ→ㄴ→ㄱ→ㄹ
     4. ㄷ→ㄴ→ㄹ→ㄱ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ㄷ.진대법 고국천왕
ㄴ.근초고왕에게 전사. 평양 뺏김
ㄱ.소수림왕 불교 율령반포
ㄹ.장수왕 한성공략 개로왕 사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통일신라의 경제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하였다.
     2.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하였다.
     3.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4. 왕경에 서시전과 남시전이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시비법이 발달한 것은 통일신라가 아닌 고려말 이후이다.
[해설작성자 : 악어야]

1. 조선후기
2. 민정문서
3. 성덕왕(통신)
4. 효소왕
[해설작성자 : 유초유학청성성노]

4. 1970년대 시행된 정책이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금융실명제의 실시
     2. 새마을운동의 추진
     3. 통일벼의 전국적 보급
     4. 수출 주도형 중화학 공업화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금융실명제 김영삼 199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19세기에 발생한 농민 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몰락한 양반이 민란을 주도하기도 했다.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가장 치열하게 일어났다.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를 내세웠다.
     4. 민란의 결과 부세제도의 근본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몰락 양반이 민란 주도: 홍경래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치열: 곡창지대의 과도한 수취제로 반발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 주장: 평안도 차별
4. 민란 결과 근본적 개혁: X 임술(철종) 때 삼정이정청 설치 벗 근본적 해결 불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4⋅19혁명의 영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내각책임제 정부와 양원제 의회가 출범하였다.
     2. 반민족행위자에 대한 처벌법이 제정되었다.
     3. 부정축재자에 대한 처벌 요구가 높아졌다.
     4. 통일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제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948년 9월 - 반민족행위 처벌법 제정
1960년 4월 - 4.19혁명
[해설작성자 : 형준형]

7. ㉠~㉣과 관련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농가집성」의 간행
     2. ㉡-저수지 다수 축조
     3. ㉢-관청 필수품 공급
     4. ㉣-수공업자의 공장안 등록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농가집성 (1655, 신속&효종) 조선중기

농서모음정도.
농사직설+금양잡록+사시찬요+(부록 구황촬요)= 농가집성
[해설작성자 : 신희나 ]

8. 다음 정책을 추진한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사형의 판결에는 삼복법을 적용하였다.
     2.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를 주조하였다.
     3. 국방력 강화를 위해 진관체제를 실시하였다.
     4. 도평의사사를 개편하여 의정부를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세종시대 - 삼복법 적용
2.주자소 (태종)
3.진관체제 (세조)
4.의정부설치 (정종)
[해설작성자 : 헿]

삼심제(삼복제) 자체는 고려 문종때부터 기록이 남아있으며 조선건국 이후에도 이어졌다(경제육전등)
세종때 의금부삼복법(의금부는 태조때 설치)를 제정해 사형수의 삼심제에 대해 법적으로 확립했다.
이후 경국대전(세조,성종)과 속대전(영조)에도 그 내용은 이어졌다. 특히 영조때 이 삼심제를 엄격하게 적용하였다고 전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일심(一心) 사상을 주장하여 불교 교리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2. 통일 이후의 사회갈등을 통합으로 이끄는 화엄사상을 강조하였다.
     3. 대국통으로 있으면서 계율을 지키는 일에 힘을 보탰다.
     4.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오계를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황룡사 9층목탑을 세울 것을 건의한 인물은 "자장법사"이다.
자장(慈藏, 590년경~658년경)은 7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신라 승려로, 불교가 신라 국교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특히 "계율(戒律)"을 중시하고 강조하였는데,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승려들의 규범을 정하고 지키도록 하면서 불교 교단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 황룡사(皇龍寺) 9층 목탑 건립을 주도하면서 신라가 불국토(佛國土)라는 관념을 널리 퍼뜨려,
불교를 호국 이념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1. 일심사상 - 원효
2. 화엄사상 - 의상
4. 세속오계 - 원광
[해설작성자 : 악어야]

10.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이곳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재조대장경을 만들었다.
     2. 지눌이 이곳에서 수선사 결사 운동을 펼쳤다.
     3. 망이⋅망소이가 이곳에서 봉기하였다.
     4. 몽골이 이곳에 동녕부를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시된 사료는 태조 왕건의 「훈요 10조」의 일부로, (가)는 서경이다.
원종11년, 서경(평양)에 동녕부 설치(1270)
[해설작성자 : 이나이나]

1.강화도
2.송광산 전남순천
3.공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밑줄 친 ‘대의(大義)’를 이루기 위해 효종이 한 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남한산성을 복구하고 어영청을 확대하였다.
     2. 훈련별대를 정초군과 통합하여 금위영을 발족시켰다.
     3.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를 추구하는 중립외교 정책을 펼쳤다.
     4. 호위청, 총융청, 수어청 등의 부대를 창설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북벌

2. 금위영 숙종
3. 중립외교 광해군
4. 인조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4.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문왕 만파식적
1. 법흥왕
3. 성덕왕
4. 무열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호사용 헷갈리는 것: 건원=신라 법흥왕, 영락=광개토대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지시에 따라 실시된 제도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7년 06월)

    

     1. 지조법을 시행하고 호조로 재정을 일원화하였다.
     2. 토산물로 징수하던 공물을 쌀이나 무명, 동전 등으로 통일하였다.
     3. 황폐해진 농지를 개간하도록 권장하고 전국적인 양전 사업을 시행하였다.
     4. 일부 양반층에게 선무군관이라는 칭호를 주고 군포 1필을 납부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기는 영조 균역법.

1.갑신정변
2.대동법
3.양전사업
4.균역법
--------
답이 없는 이유 : 선무군관세 : 일부 특권층. (양반 말고도 양인,부농 등.. 도 선무군관포를 납부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반말고도 = 양반도 포함,,
선무군관포는 양반이 아닌 부농층이 납부함.
[해설작성자 : 박수호]

1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9경과 3사를 중심으로 교육하였다.
     2.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3. 유교 사상을 치국의 근본으로 삼아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올렸다.
     4. 「소학」과 「주자가례」를 중시하고 권문세족과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충의 9재학당.

2.김부식
3.최승로
4.신진사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과 같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헌정연구회의 활동을 계승하여 월보를 간행하고 지회를 설치하였다.
     2. 국민 계몽을 위해 회보를 발간하고 만민공동회 등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3. 보부상 중심의 단체로 황권 강화를 통한 부국강병을 행동지침으로 삼았다.
     4. 일본이 황무지 개간을 구실로 토지를 약탈하려 하자 대중적 반대 운동을 벌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국민 계몽을 위해 회보를 발간하고 만민공동회등 대규모 집회를 열었던 단체는 독립협회이다.
[해설작성자 : mickymouse]

1.헌정연구회 1905년. 만민공동회에서 영향을 받은 유학자들이 중심이되어 서울에서 조직된 애국계몽 운동단체.
이후 06년 장지연 등이 발전적으로 확장하여 대한자강회로 개편.

3.황국협회 : 1898년 서울에서 조직된 어용단체. 궁정수구파가 보부상을 앞세워 독립협회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4.보안회 : 04년 한일의정서 이후 일제가 황무지 개간권이양을 추진. 지속적인 항거로 황무지개척권 거론을 유보시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상황이 벌어지던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부농층이 성장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2. 농촌 공동체 생활을 주도하는 향도가 등장하였다.
     3.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향회가 자문 역할을 하였다.
     4. 촌락 단위의 동약이 실시되고 동족 마을이 만들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선 후기 향전.

2.향도는 고려.

1.농법발달로 부농층 성장. 향임직 진출
3.권력이 약해진 향회는 단지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자문역할 정도로 축소
4.세금이 가혹해지자 지금의 계와 비슷한 걷는 동약으로 변질. 양반들은 자기들만의 동족 마을 형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1920년대 산미 증식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춘궁 퇴치⋅자력갱생 등을 내세웠다.
     2. 쌀ㆍ잡곡에 대한 배급제도와 공출제도가 실시되었다.
     3. 소작농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소작조정령을 발표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차대전 이후 1920년 일본공업화 정책에 따라 부족한 식량을 한국에서 착취하려고 산미증식계획 실시

1.1930 농촌 진흥운동
2.1937 중일전쟁
3.조선 농지령 1934 소작조정령 발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2. 문종 때 남경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3.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4. 공민왕과 우왕 때 한양 천도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보기는 풍수지리.

3.초제는 도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4월)

    

     1.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를 저술하였다.
     2.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3.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4.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학회의 발기인으로는 이병도(李丙燾)·고유섭(高裕燮)·김두헌(金斗憲)·김상기(金庠基) ·김윤경(金允經)·김태준(金台俊)·김효경(金孝敬)·이병기(李秉岐)·이상백(李相佰)·이선근(李瑄根)·이윤재(李允宰)·이은상(李殷相)·이재욱(李在郁)·이희승(李熙昇)·문일평(文一平)·박문규(朴文圭)·백낙준(白樂濬)·손진태(孫晋泰)·송석하(宋錫夏)·신석호(申奭鎬)·우호익(禹浩翊)·조윤제(趙潤濟)·최현배(崔鉉培)·홍순혁(洪淳赫) 등이었다. 그 가운데, 이병도·이윤재·이희승·손진태·조윤제 등이다.
[해설작성자 : willyford]

[추가 해설]
조선민족사 개론은 손진태 작품이며 국사대요,조선신가유편,조선민담집 등을 저술하였다.
그는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 발기인으로 활동.

1.신채호
2.박은식
4.정인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은 지방 토착 세력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서술이다.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8년 05월)

    

     1. ㄱ-ㄴ-ㄷ-ㄹ
     2. ㄴ-ㄷ-ㄱ-ㄹ
     3. ㄴ-ㄷ-ㄹ-ㄱ
     4. ㄴ-ㄹ-ㄷ-ㄱ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ㄴ(신라 말)-ㄷ(태조)-ㄱ(예종)-ㄹ(공민왕)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0899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18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7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6 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9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5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3
4214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4376645)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3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2 소방공무원(공개) 과학(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11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608998)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9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8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7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3
4206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9276964)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205 경찰공무원(순경) 행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4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3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2 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1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4200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7 5
4199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7일)(1372776) 좋은아빠되기 2025.11.17 4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50 Next
/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