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23548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콘크리트 쉘과 절판구조물의 설계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이다.)(2019년 06월)
     1. 얇은 쉘의 내력을 결정할 때, 탄성거동으로 가정할 수 있다.
     2. 쉘 재료인 콘크리트 포아송비의 효과는 무시할 수 있다.
     3.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기 전, 설계의 안전성 확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막균열이 예상되는 영역에서 균열과 같은 방향에 대한 콘크리트의 공칭압축강도는 0.5fck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 다음의 설계하중 중에서 목재의 설계허용응력의 보정계수 중 하중기간계수 CD가 가장 큰 것은?(2016년 06월)
     1. 고정하중
     2. 활하중
     3. 시공하중
     4. 적설하중

     정답 : []
     정답률 : 84%

3. 콘크리트구조의 철근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주철근의 180도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반원 끝에서 철근지름의 4배 이상, 또한 60mm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2. 주철근의 90도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3. 스터럽과 띠철근의 90도 표준갈고리의 경우, D16 이하의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4. 스터럽과 띠철근의 135도 표준갈고리의 경우, D25 이하의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4. 철근콘크리트 깊은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한다.
     3.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부재를 깊은보로 정의한다.
     4.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은 휨부재의 최소철근량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5. 폭 b 및 높이 h인 직사각형 단면(b×h)을 갖는 무근콘크리트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균열강도가 fcr인 경우 이 보의 최초 휨인장 균열모멘트 Mcr의 산정값은?(2017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6. 시험실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평가에 대한 <보기>의 설명에서 ㉠~㉢에 들어갈 값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2019년 02월)

   

     1. 2, fck, 0.85fck
     2. 2, 0.9fck, 0.9fck
     3. 3, 0.9fck, 0.85fck
     4. 3, fck, 0.9fck

     정답 : []
     정답률 : 62%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보기>와 같은 단면의 X-X 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의 값으로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360,000cm4
     2. 2,640,000cm4
     3. 3,000,000cm4
     4. 3,360,000cm4

     정답 : []
     정답률 : 46%

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100년 재현기간에 대한 지역별 기본풍속 V0(m/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제주시, 서귀포시의 기본풍속 V0는 44m/s를 적용한다.
     2.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 중에는 기본풍속V0가 30m/s인 지역이 없다.
     3. 울릉(독도)만 유일하게 기본풍속 V0가 45m/s인 지역이다.
     4. 풍속자료는 지표면조도구분 C인 지상 15m에서 10분 간 평균풍속의 재현기간 100년 값으로 균질화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0.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조적식 구조의 묻힌 앵커볼트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앵커볼트 간의 최소 중심간격은 볼트직경의 4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 lb는 볼트직경의 4배 이상 또는 50mm 이상이어야 한다.
     3. 앵커볼트와 평행한 조적조의 연단으로부터 앵커볼트의 표면까지 측정되는 최소 연단거리 lbe는 3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민머리 앵커볼트, 둥근머리 앵커볼트 및 후크형 앵커볼트의 설치 시 최소한 25mm 이상 조적조와 긴결하되, 6.4mm 직경의 볼트가 두께 13mm 이상인 바닥 가로줄눈에 설치될 때는 예외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1.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조적식구조에 사용되는 모르타르와 그라우트의 요구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그라우트의 압축강도는 조적개체 강도의 1.3배 이상으로 한다.
     2. 시멘트 성분을 지닌 재료 또는 첨가제들은 내화점토를 포함할 수 없다.
     3. 줄눈용 모르타르의 시멘트, 석회, 모래, 자갈의 용적비는 1 : 1 : 3 : 3이다.
     4. 동결방지용액이나 염화물 등의 성분은 모르타르에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콘크리트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강도설계법에서 파괴 시 극한 변형률을 0.005로 본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3. 할선탄성계수(secant modulus)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초기 선형 상태의 기울기를 뜻한다.
     4. 압축강도 실험 시 하중을 가하는 재하속도는 강도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13. <보기>와 같은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보의 인장철근비는? (단, D22 철근 3개의 단면적 합은 600mm2이다.)(2019년 02월)

    

     1. 0.004
     2. 0.006
     3. 0.008
     4. 0.01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600/(300*500) =0.004
[해설작성자 : 7급건축]

14. 단면이 가로×세로 10mm×10mm인 사각형이고 길이가 1,000mm인 부재에 100N의 하중이 작용하여 길이가 1mm 늘어났다면 이 부재의 탄성계수는?(2018년 06월)
     1. 1MPa
     2. 10MPa
     3. 100MPa
     4. 1,000MPa

     정답 : []
     정답률 : 37%

15. <보기>는 건축물의 각 구조 부재별 피복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 중 올바르게 제시된 값들을 모두 고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40MPa이다.](2019년 06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42%

16.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휨재의 균열발생, 전단, 부착 등 콘크리트의 인장응력 발생 조건별로 적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으로 평가해야 한다.
     2. fck값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파괴계수 fr을 산정할 때, 동일한 fck를 갖는 경량콘크리트와 일반중량콘크리트의 fr은 동일하다.
     3. 시험 없이 계산으로 산정된 콘크리트파괴계수 fr과 쪼갬인장강도 fsp는 √fck에 비례한다.
     4. 쪼갬인장강도 시험 결과는 현장 콘크리트의 적합성 파단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17. 철골구조에서 한계상태 설계법에 의한 인장재의 설계 시 검토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웨브 크리플링(Web Crippling)
     2. 전단면적에 대한 항복
     3. 유효단면에 대한 파괴
     4. 블록시어(Block Shear)

     정답 : []
     정답률 : 30%

18. <보기>의 매입형 합성부재 안에 사용하는 스터드앵커에 관한 표에서 A~E 중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표는 각 하중조건에 대한 스터드앵커의 최소 h/d 값을 나타낸 것이다.)(2019년 02월)

    

     1. A, D
     2. B, E
     3. C, A
     4. D, B

     정답 : []
     정답률 : 44%

19. 건축물 및 공작물이 안전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 시공, 감리 및 유지 ㆍ 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조안전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시공과정에서 구조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구조물 규격에 관한 검토 ㆍ 확인
     2.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 ㆍ 확인
     3. 시공하자에 대한 구조내력검토 및 보강방안
     4. 용도변경을 위한 구조검토

     정답 : []
     정답률 : 75%

20. 수직 등분포하중 w0를 받는 지간 l인 단순보에서, 좌측지점으로부터 우측지점으로 l/4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휨모멘트 M 및 전단력 V로 각각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M=wol2(1/32), V=wol/8
     2. M=wol2(1/16), V=wol/2
     3. M=wol2(3/32), V=wol/4
     4. M=wol2(1/8), V=wol/3

     정답 : []
     정답률 : 39%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23548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콘크리트 쉘과 절판구조물의 설계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이다.)(2019년 06월)
     1. 얇은 쉘의 내력을 결정할 때, 탄성거동으로 가정할 수 있다.
     2. 쉘 재료인 콘크리트 포아송비의 효과는 무시할 수 있다.
     3.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기 전, 설계의 안전성 확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막균열이 예상되는 영역에서 균열과 같은 방향에 대한 콘크리트의 공칭압축강도는 0.5fck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 다음의 설계하중 중에서 목재의 설계허용응력의 보정계수 중 하중기간계수 CD가 가장 큰 것은?(2016년 06월)
     1. 고정하중
     2. 활하중
     3. 시공하중
     4. 적설하중

     정답 : []
     정답률 : 84%

3. 콘크리트구조의 철근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주철근의 180도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반원 끝에서 철근지름의 4배 이상, 또한 60mm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2. 주철근의 90도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3. 스터럽과 띠철근의 90도 표준갈고리의 경우, D16 이하의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4. 스터럽과 띠철근의 135도 표준갈고리의 경우, D25 이하의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4. 철근콘크리트 깊은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한다.
     3.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2배 이하인 부재를 깊은보로 정의한다.
     4. 깊은보의 최소 휨인장철근량은 휨부재의 최소철근량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5. 폭 b 및 높이 h인 직사각형 단면(b×h)을 갖는 무근콘크리트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균열강도가 fcr인 경우 이 보의 최초 휨인장 균열모멘트 Mcr의 산정값은?(2017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6. 시험실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평가에 대한 <보기>의 설명에서 ㉠~㉢에 들어갈 값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2019년 02월)

   

     1. 2, fck, 0.85fck
     2. 2, 0.9fck, 0.9fck
     3. 3, 0.9fck, 0.85fck
     4. 3, fck, 0.9fck

     정답 : []
     정답률 : 62%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보기>와 같은 단면의 X-X 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의 값으로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360,000cm4
     2. 2,640,000cm4
     3. 3,000,000cm4
     4. 3,360,000cm4

     정답 : []
     정답률 : 46%

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100년 재현기간에 대한 지역별 기본풍속 V0(m/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제주시, 서귀포시의 기본풍속 V0는 44m/s를 적용한다.
     2.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 중에는 기본풍속V0가 30m/s인 지역이 없다.
     3. 울릉(독도)만 유일하게 기본풍속 V0가 45m/s인 지역이다.
     4. 풍속자료는 지표면조도구분 C인 지상 15m에서 10분 간 평균풍속의 재현기간 100년 값으로 균질화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0.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조적식 구조의 묻힌 앵커볼트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앵커볼트 간의 최소 중심간격은 볼트직경의 4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 lb는 볼트직경의 4배 이상 또는 50mm 이상이어야 한다.
     3. 앵커볼트와 평행한 조적조의 연단으로부터 앵커볼트의 표면까지 측정되는 최소 연단거리 lbe는 3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민머리 앵커볼트, 둥근머리 앵커볼트 및 후크형 앵커볼트의 설치 시 최소한 25mm 이상 조적조와 긴결하되, 6.4mm 직경의 볼트가 두께 13mm 이상인 바닥 가로줄눈에 설치될 때는 예외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1.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조적식구조에 사용되는 모르타르와 그라우트의 요구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그라우트의 압축강도는 조적개체 강도의 1.3배 이상으로 한다.
     2. 시멘트 성분을 지닌 재료 또는 첨가제들은 내화점토를 포함할 수 없다.
     3. 줄눈용 모르타르의 시멘트, 석회, 모래, 자갈의 용적비는 1 : 1 : 3 : 3이다.
     4. 동결방지용액이나 염화물 등의 성분은 모르타르에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콘크리트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강도설계법에서 파괴 시 극한 변형률을 0.005로 본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3. 할선탄성계수(secant modulus)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초기 선형 상태의 기울기를 뜻한다.
     4. 압축강도 실험 시 하중을 가하는 재하속도는 강도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13. <보기>와 같은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보의 인장철근비는? (단, D22 철근 3개의 단면적 합은 600mm2이다.)(2019년 02월)

    

     1. 0.004
     2. 0.006
     3. 0.008
     4. 0.01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600/(300*500) =0.004
[해설작성자 : 7급건축]

14. 단면이 가로×세로 10mm×10mm인 사각형이고 길이가 1,000mm인 부재에 100N의 하중이 작용하여 길이가 1mm 늘어났다면 이 부재의 탄성계수는?(2018년 06월)
     1. 1MPa
     2. 10MPa
     3. 100MPa
     4. 1,000MPa

     정답 : []
     정답률 : 37%

15. <보기>는 건축물의 각 구조 부재별 피복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 중 올바르게 제시된 값들을 모두 고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40MPa이다.](2019년 06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42%

16.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휨재의 균열발생, 전단, 부착 등 콘크리트의 인장응력 발생 조건별로 적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으로 평가해야 한다.
     2. fck값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파괴계수 fr을 산정할 때, 동일한 fck를 갖는 경량콘크리트와 일반중량콘크리트의 fr은 동일하다.
     3. 시험 없이 계산으로 산정된 콘크리트파괴계수 fr과 쪼갬인장강도 fsp는 √fck에 비례한다.
     4. 쪼갬인장강도 시험 결과는 현장 콘크리트의 적합성 파단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17. 철골구조에서 한계상태 설계법에 의한 인장재의 설계 시 검토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웨브 크리플링(Web Crippling)
     2. 전단면적에 대한 항복
     3. 유효단면에 대한 파괴
     4. 블록시어(Block Shear)

     정답 : []
     정답률 : 30%

18. <보기>의 매입형 합성부재 안에 사용하는 스터드앵커에 관한 표에서 A~E 중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표는 각 하중조건에 대한 스터드앵커의 최소 h/d 값을 나타낸 것이다.)(2019년 02월)

    

     1. A, D
     2. B, E
     3. C, A
     4. D, B

     정답 : []
     정답률 : 44%

19. 건축물 및 공작물이 안전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 시공, 감리 및 유지 ㆍ 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조안전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시공과정에서 구조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구조물 규격에 관한 검토 ㆍ 확인
     2.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 ㆍ 확인
     3. 시공하자에 대한 구조내력검토 및 보강방안
     4. 용도변경을 위한 구조검토

     정답 : []
     정답률 : 75%

20. 수직 등분포하중 w0를 받는 지간 l인 단순보에서, 좌측지점으로부터 우측지점으로 l/4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휨모멘트 M 및 전단력 V로 각각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M=wol2(1/32), V=wol/8
     2. M=wol2(1/16), V=wol/2
     3. M=wol2(3/32), V=wol/4
     4. M=wol2(1/8), V=wol/3

     정답 : []
     정답률 : 3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23548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4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149740)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23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722 <h2>피부미용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10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21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2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18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717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9년03월29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5
5716 철도신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15 기계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14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13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544009)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12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11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235487)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09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08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07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706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0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94 Next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