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8046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어류양식


1. 다음 어류 중 산란수가 가장 많은 어류는?(2015년 08월)
     1. 개복치
     2. 연어
     3. 방어
     4. 은어

     정답 : []
     정답률 : 85%

2. 복어 부화 발육과정에서 투쟁습성이 나타나는 시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2년 08월)
     1. 부화후 6일 (3mm 체장)
     2. 부화후 10일 (4mm 체장)
     3. 부화후 15일 (5mm 체장)
     4. 부화후 20일 (6mm 체장)

     정답 : []
     정답률 : 66%

3. 다음 중 감성돔 양식에서 부화 직후의 먹이로 가장 좋은 것은?(2015년 08월)
     1. 규조류와 남조류
     2. 굴의 트로코포라와 D상 유생
     3. 키토세라스와 세네데스무스
     4. 녹조류와 홍조류

     정답 : []
     정답률 : 74%

4. 이른봄 바닷가 연안에서 채집되는 숭어 양식용 치어의 일반적인 크기 범위는?(2003년 08월)
     1. 약 1∼5mm
     2. 약 10∼20mm
     3. 약 20∼30mm
     4. 약 50∼60mm

     정답 : []
     정답률 : 55%

5. 잉어 치어양식 시 숙성이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다음 조치 중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8월)
     1. 먹이를 자주 준다.
     2. 먹이의 크기를 알맞게 한다.
     3. 방양밀도를 높인다.
     4. 선별을 자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6. 다음 중 어류의 인공수정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습식법(濕式法)
     2. 건식법(乾式法)
     3. 등조법(等調法)
     4. 침적식(浸績式)

     정답 : []
     정답률 : 89%

7. 수온 13∼18℃에서 넙치의 수정란이 부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2년 08월)
     1. 10∼28시간
     2. 30∼39시간
     3. 40∼49시간
     4. 50∼78시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수온 13~18℃에서 50~78시간 만에 부화하며, 부화자어의 크기는 2.5~3.0mm
(이후 3~4일 동안 난황을 흡수하고, 3~5일이 지나면 입이 벌어진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 양식 사료의 펠릿 사료를 제작할 때 점착제로 첨가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셀룰로오스
     2. CMC(carboxy methyl cellulose)
     3. 알기네이트(alginate)
     4. 아스타크산틴(astaxanthin)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스타크산틴 : 적색 색소인 카로티노이드의 하나로 항산화력을 가진 물질이다.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9. 금붕어와 관련된 내용이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여름이 지나 수온이 떨어지는 가을철이 되면 산란을 한다.
     2. 온수성 어류이다.
     3. 잉어보다 수중 산소함량이 낮은 곳에서도 비교적 잘 견딘다.
     4. 큰 못에서 기르면 몸의 형태 및 그 밖의 형질이 야생형으로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0. 양식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기본 요소를 검토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2007년 08월)
     1. 생산 생물의 경제성
     2. 생물의 성장도
     3. 생물의 내병성
     4. 사료 효율

     정답 : []
     정답률 : 92%

11. 연어(salmon)치어가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시기는?(2002년 08월)
     1. 부화후 내려간다.
     2. 1년후에 내려간다.
     3. 2년후에 내려간다.
     4. 3년후에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85%

12. 잉어의 부화 수온 범위가 15~30℃일 때, 부화에 소요되는 일수를 기술한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15℃ 일 때 5일, 20℃일 때 3.2일, 30℃일 때 2.1일
     2. 15℃ 일 때 6일, 20℃일 때 4.2일, 30℃일 때 2.1일
     3. 15℃ 일 때 7일, 20℃일 때 5.2일, 30℃일 때 3.1일
     4. 15℃ 일 때 8일, 20℃일 때 6.2일, 30℃일 때 3.1일

     정답 : []
     정답률 : 82%

13. 양식업 종사자의 태도와 신념을 나타내는 내용의 영문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Work
     2. Wide
     3. Inspection
     4. Experience

     정답 : []
     정답률 : 92%

14. 종묘수송 방법 중 단수하여 수송이 가능한 것은?(2004년 08월)
     1. 방어의 치어
     2. 송어 발안란
     3. 참돔의 치어
     4. 은어의 치어

     정답 : []
     정답률 : 89%

15. 자연상태인 바다에서 넙치 산란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8월)
     1. 1월경
     2. 3월경
     3. 5월경
     4. 7월경

     정답 : []
     정답률 : 77%

16. 은어의 먹이인 윤충류 배양시 사용하면 생잔율과 성장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2002년 08월)
     1. 클로렐라(chlorella)
     2. 빵효모
     3. Moina
     4. 계란노른자

     정답 : []
     정답률 : 81%

17. 무지개송어 친어의 성숙 검사주기를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2003년 08월)
     1. 친어는 하루에 한 번씩 검사
     2. 친어는 2∼3주일에 한 번씩 검사
     3. 친어는 1주일에 한 번씩 검사
     4. 많은 수가 성숙하게 되면 과숙 방지를 위하여 2∼3주일에 두 번씩 검사

     정답 : []
     정답률 : 92%

18. 다음 중 환경 수질 오염에 대하여 가장 강한 것은?(2004년 08월)
     1. 이스라엘 잉어
     2. 뱀장어
     3. 틸라피아
     4. 방어

     정답 : []
     정답률 : 71%

19. 은어의 생태 습성으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맑고 깨끗한 물을 좋아하며, 여름에는 상류에서 성장하다가 가을에는 조금 내려간 중상류쪽에서 산란한다.
     2. 산란기는 남부에서는 9~10월에 이루어지고 부화적온은 대략 12~20℃이다.
     3. 은어의 소상은 일몰 후에서부터 일출 전까지 밤에 이루어진다.
     4. 먹이로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 등을 좋아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20. 다음 중 태생 관상어류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거피
     2. 소드테일
     3. 플래티
     4. 제브러 다니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무척추동물양식


21. 조개류의 종묘생산 과정 중에 알에서 부화된 유생의 대량폐사가 일어나는 시기를 위험기라고 한다. 다음 중 위험기에 해당되는 시기는?(2006년 08월)
     1. 부화직후의 당번자(tlochophore) 유생기
     2. 당번자 유생에서 피면자(veliger) 유생으로 들어가는 시기
     3. 각생기 유생기
     4. 적자 또는 부착기 유생기

     정답 : []
     정답률 : 77%

22. 전복 종묘생산 중 치패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2005년 08월)
     1. 담륜자기
     2. 피면자기
     3. 주수가 생길 무렵
     4. 치패

     정답 : []
     정답률 : 66%

23. 다음 중 참굴유생의 부유기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2015년 08월)
     1. 영양염
     2.
     3. 수온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83%

24.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2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82%

25. 대량 발생한 바지락 치패를 옮기는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지반의 변동이 없는 안전한 곳
     2. 언제나 해수중에 잠기는 곳
     3. 간석지 중 간출 후에 해수가 괴어 있는 곳
     4. 개흙질이 많은 곳

     정답 : []
     정답률 : 62%

26. 전복류의 서식장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1. 외양수의 영향을 받는 연안
     2. 수심 20m 내외 되는 곳
     3. 해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곳
     4. 저질이 사니질인 곳

     정답 : []
     정답률 : 70%

27. 좁쌀무늬조개(Domax semigranosus)가 살고 있는 천해에서 양식하기에 가장 알맞은 종류는?(2007년 08월)
     1. 새고막
     2. 키조개
     3. 진주담치
     4. 라마르크대합

     정답 : []
     정답률 : 79%

28. 우렁쉥이의 양성을 위해 알맞은 양성법은?(2015년 08월)
     1. 수하식 양성
     2. 조위망식 양성
     3. 그물차단식 양성
     4. 육상수조식 양성

     정답 : []
     정답률 : 82%

29. 다음 부유유생 중 부유기간이 가장 긴 충류는?(2006년 08월)
     1. 우렁쉥이
     2. 피조개
     3. 전복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77%

30. 우리나라의 해역 중 연중 수온이 높이 일반적으로 산란시기가 빠르고 그 기간이 긴 조건의 환경으로 가장 적합한 곳은?(2007년 08월)
     1. 동해
     2. 서해
     3. 남해
     4. 황해북부

     정답 : []
     정답률 : 83%

31. 참굴 양식시설용 밧줄 수하식 1대(200m)에 수하 양성할 수 있는 수하연수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2010년 07월)
     1. 200연
     2. 500연
     3. 800연
     4. 1100연

     정답 : []
     정답률 : 72%

32. 참굴 종묘의 전기채묘 실시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8월)
     1. 수온 상승기의 전반기
     2. 수온 상승기의 후반기
     3. 수온 하강기의 전반기
     4. 수온 하강기의 후반기

     정답 : []
     정답률 : 61%

33. 서식장의 환경변화에 가장 강한 종류는?(2015년 08월)
     1. 백합
     2. 우럭
     3. 참굴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77%

34. 조개류의 식해성 해적생물은?(2010년 07월)
     1. 따개비
     2. 대수리
     3. 폴리도라
     4. 오만둥이

     정답 : []
     정답률 : 59%

35. 우리나라산 바지락의 서식제한 요인이 가장 큰 것끼리 묶어진 것은?(2004년 08월)
     1. 수온, 부유토
     2. 지반의 변동, 부유토
     3. 염분, 수온
     4. 용존산소량, pH

     정답 : []
     정답률 : 70%

36. 채롱망을 이용한 진주조개 양성시 적정 수하 깊이는?(2014년 08월)
     1. 1 m 내외
     2. 2 m 내외
     3. 5 m 내외
     4. 10 m 내외

     정답 : []
     정답률 : 57%

37. 천해의 생태구역중에서 양성장으로 가장 이용되지 않는 곳은?(2005년 08월)
     1. 조간대
     2. 아천해대
     3. 중천해대
     4. 상천해대

     정답 : []
     정답률 : 81%

38. 대합의 종묘로 천연적으로 발생한 것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산란자극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2. 성숙한 어미라도 암수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
     3. 채묘하는 방법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4. 난핵포가 소실한 다음 수정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우렁쉥이의 채란에서 부착할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은?(2010년 07월)
     1. 32~33일간
     2. 22~23일간
     3. 12~13일간
     4. 2~3일간

     정답 : []
     정답률 : 77%

40. 다음 고막(Anadara)류 중 수심이 제일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종류는?(2014년 08월)
     1. 고막
     2. 새고막
     3. 피조개
     4. 큰이랑피조개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서식장 수심
- 꼬막: 가장 천새성으로 조간대에 서식
- 새꼬막: 조간대로부터 10m에 서식(1~5m에 주로 서식)
- 피조개: 간조선으로부터 50m에 분포(2~20m에 주로 서식)
- 큰이랑피조개: 수m~30m에 서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해조류양식


41. 김양식장에 비료를 주었을 때 효과가 없는 경우는?(2004년 08월)
     1. 김의 퇴색이 조금 보이려고 할 때
     2. 비료를 일정구역의 면적에 일제히 다량 주었을 때
     3. 김이 적절히 자랐을 때
     4. 수온이 5℃ 이하 일 때

     정답 : []
     정답률 : 66%

42. 톳의 증식을 위한 잡 해조 제거에 알맞은 시기는?(2015년 08월)
     1. 최성장기 직전인 이른 초봄
     2. 톳을 채취한 직후인 봄
     3. 어린 유체가 나타나는 늦가을
     4. 난과 정자의 방출 직전인 겨울

     정답 : []
     정답률 : 53%

43. 염성이 약한 김은 어떤 갯병에 강한가?(2016년 08월)
     1. 흰갯병
     2. 붉은갯병
     3. 호상균병
     4. 구멍갯병

     정답 : []
     정답률 : 48%

44. 마른 김을 장기 보전하려 할 때 지켜져야 할 수분의 함량은?(2005년 08월)
     1. 5%이하
     2. 10 ~ 15%
     3. 5 ~ 10%
     4. 20 ~ 30%

     정답 : []
     정답률 : 62%

45. 미역의 말기배양 시 배우체가 성숙 및 수정하여 아포체로 발아한다. 이 아포체를 가이식하려면 어느 정도의 크기로 발아한 것이 가장 적절한가?(2015년 08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58%

46.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크고 형태변이가 많은 김은?(2004년 08월)
     1. 큰방사무늬김
     2. 둥근김
     3. 방사무늬김
     4. 참김

     정답 : []
     정답률 : 32%

47. 미역의 가이식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해수의 온도가 21℃ 이하로 내려가면 한다.
     2. 해면하 2∼4m 에 한다.
     3. 아포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4. 조류의 소통이 안되는 내만인 곳을 택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48.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15년 08월)
     1. 홑파래
     2. 청각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갈조류: 모자반
녹조류: 청각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49. 미역의 채묘에서 씨줄은 배양해수 톤 당 몇 m 정도로 하는가?(2006년 08월)
     1. 25~30m
     2. 250~300m
     3. 2,500~3,000m
     4. 25,000~30,000m

     정답 : []
     정답률 : 57%

50. 미역양식장의 적절한 양성시설 수심은?(2014년 08월)
     1. 2 ~ 4 m
     2. 4 ~ 6 m
     3. 5 ~ 8 m
     4. 7 ~ 10 m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양식장의 수심은 5~8m가 이상적이다. 어미줄을 설피하는 깊이는 해수의 투명도와 일사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남해안에서는 2~3m, 동해안 북쪽에서는 0.5~1m를 기준으로 하여 조절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김발에서 김보다 더 높은 곳에 잘 붙는 주 해적 생물은?(2003년 08월)
     1. 규조류
     2. 홑파래
     3. 매생이
     4. 파래

     정답 : []
     정답률 : 74%

52. 김 양식에 있어 냉장 김발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7월)
     1. 갯병 피해에 능동적인 대처 가능
     2. 양식 기간의 연장
     3. 양식 생산의 안정화
     4. 양식장의 노후화 예방

     정답 : []
     정답률 : 70%

53. 기생성 갯병이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붉은갯병
     2. 녹반병
     3. 의사흰갯병
     4. 구멍갯병

     정답 : []
     정답률 : 58%

54. 알긴산의 원료로 사용되는 해조류는?(2016년 08월)
     1. 다시마
     2. 청각
     3. 꼬시래기
     4. 파래

     정답 : []
     정답률 : 63%

55. 양식 김의 야외 인공 채묘시 패각 시상체를 비닐 주머니에 달아서 매는 가장 큰 이유는?(2007년 08월)
     1. 패각을 절약하기 위해서
     2. 패각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3. 패각의 유실과 손상을 막기 위해서
     4. 패각의 각포자낭 성숙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3%

56. 다시마의 억제배양양식에서 5~6월경에 인공 채묘한 배우체를 고수온기에 생장을 인위적으로 중지했다가 9~10월에 발아를 관리하여 바다 수온이 몇 도 이하일 때 본양성을 하는가?(2009년 07월)
     1. 10℃
     2. 14℃
     3. 18℃
     4. 22℃

     정답 : []
     정답률 : 61%

57. 김 양식에 있어서 여양제로 쓸 수 없는 물질은?(2005년 08월)
     1. NaOH
     2. Fe - EDTA
     3. Vitamin B12
     4. NaNO3

     정답 : []
     정답률 : 62%

58. 미역 종사의 채묘장소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8월)
     1. 가능한한 밝은 그늘 장소
     2. 햇빛이 비치는 창쪽
     3. 어두운 장소
     4. 완전 빛이 차단된 장소

     정답 : []
     정답률 : 61%

59. 다음 해조류 중에서 한해성인 종류는?(2015년 08월)
     1.
     2. 미역
     3. 다시마
     4. 진두발

     정답 : []
     정답률 : 44%

60. 다시마의 어미줄 관리에서 4∼5월에 10m 정도의 깊이에 두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2004년 08월)
     1. 이끼벌레 무리의 부착 방지에 있다.
     2. 너무 강한 광선을 피하기 위해서다.
     3. 높은 수온을 피하기 위해서다.
     4. 색택을 좋게 하기 위해서다.

     정답 : []
     정답률 : 62%

4과목 : 수산생물


61. 플랑크톤에 있어 계절적 변화 중 봄에서 초여름까지 양적변화가 가장 큰 우점종은?(2005년 08월)
     1. 규조류
     2. 녹조류
     3. 편조류
     4. 갈조류

     정답 : []
     정답률 : 53%

62. 다음 중 어류의 산란회유에 속하는 것은?(2009년 07월)
     1. 수직회유
     2. 색이회유
     3. 수평회유
     4. 강하회유

     정답 : []
     정답률 : 78%

63. 어류의 성장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염분이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다.
     2. 적온 범위 내에서는 수온이 높으면 성장이 빠르고 낮으면 느리다.
     3.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먹이의 공급여부가 성장을 좌우한다.
     4.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용적이 넓을수록 성장률이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어류는 삼투 및 이온조절에 소비되는 에너지가 가장 적데 드는 염분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어류의 분류 형질과 관계없는 것은?(2005년 08월)
     1. 옆줄비늘수
     2. 새파수
     3. 이빨수
     4. 척수골수

     정답 : []
     정답률 : 55%

65. 어류의 나이를 알아내는 연령사정(年令査定)에 사용하는 것은?(2002년 08월)
     1. 어류의 눈(眠)
     2. 어류의 입
     3. 아가미
     4. 이석(耳石)

     정답 : []
     정답률 : 74%

66. 바지락의 서식에 가장 알맞은 곳은?(2015년 08월)
     1. 조간대에서만 서식한다.
     2. 조간대에서 2~3m 수심까지 담수가 유입하는 사니질 해안
     3. 조간대에서 2~3m 수심까지의 니질 해안
     4. 조간대에서 3~5m 수심의 사질 해안

     정답 : []
     정답률 : 60%

67. 강하회유(catadromous migration)를 하는 어류는?(2007년 08월)
     1. 연어
     2. 뱀장어
     3. 송어
     4. 준치

     정답 : []
     정답률 : 65%

68. 외양에서 서식하는 유영 어류의 주 특성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군(School)을 이룬다.
     2.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
     3. 계절회유를 한다.
     4. 부유생물을 먹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9. 하천으로 소상한 이후 은어의 식성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2002년 08월)
     1. 동물성 플랑크톤
     2. 식물성 플랑크톤
     3. 육식
     4. 흡인식자

     정답 : []
     정답률 : 65%

70. 대합과 대합 속에서 발견되는 대합속살이게의 상호작용은 어떤 관계인가?(2007년 08월)
     1. 편리공생
     2. 상해관계
     3. 상호부조
     4. 편해공생

     정답 : []
     정답률 : 77%

71. 다음 수산식물의 생식세포 중 편모를 가지고 있지 않는 종류는?(2002년 08월)
     1. 파래
     2. 도박
     3. 청각
     4. 미역

     정답 : []
     정답률 : 64%

72. 해조류를 분류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2009년 07월)
     1. 광합성 색소의 조성
     2. 수심
     3. 수온
     4. 포자

     정답 : []
     정답률 : 85%

73. 물고기의 외부형태를 설명한 것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표준체장은 주둥이의 끝(위턱의 끝)에서 마지막 등뼈까지
     2. 전장은 몸의 앞끝부터 꼬리지느러미의 뒷끝까지
     3. 머리는 앞끝부터 아감딱지의 뒷끝까지
     4. 몸통은 아감딱지의 뒷끝부터 마지막 등뼈까지

     정답 : []
     정답률 : 52%

74. 다음 해산 식물 중 갈조류에 속하는 것은?(2014년 08월)
     1. 청각
     2. 감태
     3.
     4. 우뭇가사리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형 갈조류: 미역, 다시마, 감태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음 중 고래의 먹이로서 가장 중요한 plankton은?(2007년 08월)
     1. copepoda
     2. Amphipoda
     3. Sagitta
     4. Euphausia

     정답 : []
     정답률 : 68%

76. 알긴산의 채취 원료가 되는 것은?(2015년 08월)
     1. 파래
     2. 청각
     3. 다시마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홍조류 : 한천, 카라기난
갈조류 : 알긴산,후코이단
녹조류 : 전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김의 광합성 보상점은 몇 lx로 알려져 있는가?(2010년 07월)
     1. 300~100 lx
     2. 500~300 lx
     3. 700~500 lx
     4. 900~700 lx

     정답 : []
     정답률 : 56%

78. 다음 중 동정세포를 가지고 있는 해산동물은?(2003년 08월)
     1. 히드라
     2. 해파리
     3. 산호
     4. 해면

     정답 : []
     정답률 : 63%

79.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수직회유(vertical migration)의 의미는?(2015년 08월)
     1. 식물 플랑크톤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2. 동물 플랑크톤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3. 저서동물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4. 저서성 어류가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정답 : []
     정답률 : 68%

80. 부영계를 수직으로 3 등분했을 때, 해양의 기초생산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생물종이 나타나는 곳은?(2002년 08월)
     1. 연안대
     2. 표층대
     3. 중층대
     4. 심층대

     정답 : []
     정답률 : 76%

81. 병명에 대한 병원균이 틀리게 기재된 것은?(2005년 08월)
     1. 뱀정어의 적점병 - Pseudomonas anguiliseptica
     2. 철창병 - Aeromonas salmonicida
     3. 비브리오병 - Vibrio anguillarum
     4. 세균성 백운병 - Aeromonas sp.

     정답 : []
     정답률 : 61%

82. 부영양화 물질로 가장 문제가 되며, 유기적 오염의 초기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특히 어류에서 혈액 중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작용을 방해하며 질식사의 원인물질 중 하나가 되고 정수지의 염소 소독시 대량의 염소를 소비하게 하는 것은?(2005년 08월)
     1. 유기탄소
     2. 유리암모니아
     3. 질산성 질소
     4. 유화물

     정답 : []
     정답률 : 72%

83. 시료 20 mL를 사용하여 어떤 성분을 정량한 결과 28㎍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 성분의 ppm 농도는? (단, 시료비중은 1로 본다)(2014년 08월)
     1. 28 ppm
     2. 2.8 ppm
     3. 14 ppm
     4. 1.4 pp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ppm은 1㎍/ml(=1mg/L)
ppm=물질의 질량/시료의 질량=28/20=1.4pp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채수시 물과 공기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측정 항목은?(2014년 08월)
     1. 용존산소
     2. 화학적 산소 소비량
     3. 수소이온 농도
     4. 암모니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존산소 측정방법: 시료의 채수
- 공기와 접촉 방지 필요
- 교란 방지
- 압력, 온도변화 방지
- 기포 함유 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배합사료를 먹인 뱀장어에서 지방간이 형성되었을 때 필요한 대책은?(2007년 08월)
     1. 배합사료에 전분을 알파화시켜 첨가한다.
     2. 배합사료의 지방질을 제거하고 대신 전분의 첨가량을 높여준다.
     3. 배합사료에 소액 글루페닌을 10% 정도 첨가해서 준다.
     4. 배합사료의 투이를 중지하고 생선을 먹인다.

     정답 : []
     정답률 : 44%

86. 양식되는 담수어류에 배합사료를 투여했을 경우 아가미 부식병으로 어류가 간혹 죽게 되는 주원인은?(2005년 08월)
     1. Aermonas hydrophila 균이 감염되었기 때문에
     2. 변성 지방질 때문에
     3. 수생균 포자가 배합사료에 섞여 있기 때문에
     4. 배합사료에 섞여 이쓴ㄴ 골분에 의한 상처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4%

87. 다음 중 사용하기 전에 기차 보정을 하지 않아도 좋은 용량 기구는?(2003년 08월)
     1. 홀피펫
     2. 메스플라스크
     3. 메스실린더
     4. 뷰렛

     정답 : []
     정답률 : 38%

88. 암모늄 이온, 아질산 이온, 유기체 질소의 조사를 위한 시료의 현장에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황산을 가하여 pH를 2 이하로 되게 한다.
     2. 운반도중 자연증발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3.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10 이상이 되도록 한다.
     4. 어떤 시약도 첨가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냉장상태로 운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89. 표면수온 측정에서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온도계의 기차
     2. 관측용 채수통의 예비열
     3. 온도계 표면의 가화열
     4. 기온

     정답 : []
     정답률 : 63%

90. 세균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환부를 떼어 염색표본을 만들어 관찰하고자 할 때 염색순서가 바른 것은?(2007년 08월)
     1. 도말 - 수세 - 염색 - 건조 - 고정 - 건조 - 검경
     2. 도말 - 건조 - 고정 - 수세 - 건조 - 염색 - 검경
     3. 도말 - 고정 - 건조 - 염색 - 건조 - 수세 - 검경
     4. 도말 - 건조 - 고정 - 염색 - 수세 - 건조 - 검경

     정답 : []
     정답률 : 46%

91. Flexibacter columnaris균은 양식어류의 아가미나 지느러미를 부식시킨다. 그 이유는 어떤 것인가?(2004년 08월)
     1. 단백질이 많은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라기 때문이다.
     2. 약 알칼리성인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3. 조직이 부드러운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4. 산소가 풍부한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정답 : []
     정답률 : 56%

92. 뱀장어의 비타민 B1 결핍증은?(2004년 08월)
     1. 체색명화, 신경이상, 아가미출혈
     2. 체색암화, 유영이상, 지느러미출혈
     3. 새엽의 곤봉화, 피부의 손상, 위의 팽창
     4. 복부수종, 안구돌출, 운동력실조

     정답 : []
     정답률 : 45%

93. 해수에서 염소량으로부터 총 염분량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8월)
     1. S %(염분량) = 0.80655 × Cl %(염소량)
     2. S %(염분량) = 1.80655 × Cl %(염소량)
     3. S %(염분량) = 0.03 × Cl %(염소량)
     4. S %(염분량) = 1.03 × Cl %(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69%

94. 송어의 복부가 부풀어 오르고 천천히 헤염치는 것이 있어 해부하여 보니 위가 심하게 확장되고 있고, 위속에 회갈색의 액체와 기포가 많이 들어있었다면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2006년 08월)
     1. Saplolegnla sp.
     2. Candidia sp.
     3. Branchioeyces sp.
     4. Dermovystitm sp.

     정답 : []
     정답률 : 60%

95. 수중 기초생산력의 상대적 지수를 알기 위하여 측정하는 항목은?(2007년 08월)
     1. COD
     2. BOD
     3. 클로로필-a
     4. pH

     정답 : []
     정답률 : 49%

96. 닻벌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8월)
     1. 수온이 8℃ 이상을 넘어서면서 생장하기 시작하여 산란한다.
     2. 암수 한몸이다.
     3. 수온 14℃ 이상에서 번식되며, 고수온일수록 번식력이 빠르다.
     4. 산란할 때의 평균 체장은 3~4mm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익티오포누스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을 행하였다. 해당 질병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다핵구상체
     2. 육아종
     3. 결절
     4. 증생

     정답 : []
     정답률 : 49%

98. 수심별로 수온 측정과 채수를 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기구는?(2010년 07월)
     1. 난센채수기
     2. 반돈채수기
     3. 복원식채수기
     4. 마이어식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59%

99. 포자충류의 발생을 막는 가장 적당한 예방책은?(2006년 08월)
     1. 수온을 상승시킨다.
     2. 옷의 소독을 충분히 한다.
     3. 후란제를 경구투여 한다.
     4. 물의 유통을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6%

100. 백점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온수성 양어장에서 연중 발병한다.
     2. 치어지, 월동지, 저수지의 치어에 큰 피해를 준다.
     3. 체표 기생시 보다 아가미 기생시에 폐사율이 높다.
     4. 해산 백점병은 20 ℃ 이상에서 잘 번식하고 15 ℃ 이하에서는 잘 발병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온수성 어장에서는 봄, 가을에 발생하고
냉수성 어장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정 답 지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8046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어류양식


1. 다음 어류 중 산란수가 가장 많은 어류는?(2015년 08월)
     1. 개복치
     2. 연어
     3. 방어
     4. 은어

     정답 : []
     정답률 : 85%

2. 복어 부화 발육과정에서 투쟁습성이 나타나는 시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2년 08월)
     1. 부화후 6일 (3mm 체장)
     2. 부화후 10일 (4mm 체장)
     3. 부화후 15일 (5mm 체장)
     4. 부화후 20일 (6mm 체장)

     정답 : []
     정답률 : 66%

3. 다음 중 감성돔 양식에서 부화 직후의 먹이로 가장 좋은 것은?(2015년 08월)
     1. 규조류와 남조류
     2. 굴의 트로코포라와 D상 유생
     3. 키토세라스와 세네데스무스
     4. 녹조류와 홍조류

     정답 : []
     정답률 : 74%

4. 이른봄 바닷가 연안에서 채집되는 숭어 양식용 치어의 일반적인 크기 범위는?(2003년 08월)
     1. 약 1∼5mm
     2. 약 10∼20mm
     3. 약 20∼30mm
     4. 약 50∼60mm

     정답 : []
     정답률 : 55%

5. 잉어 치어양식 시 숙성이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다음 조치 중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8월)
     1. 먹이를 자주 준다.
     2. 먹이의 크기를 알맞게 한다.
     3. 방양밀도를 높인다.
     4. 선별을 자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6. 다음 중 어류의 인공수정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습식법(濕式法)
     2. 건식법(乾式法)
     3. 등조법(等調法)
     4. 침적식(浸績式)

     정답 : []
     정답률 : 89%

7. 수온 13∼18℃에서 넙치의 수정란이 부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2년 08월)
     1. 10∼28시간
     2. 30∼39시간
     3. 40∼49시간
     4. 50∼78시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수온 13~18℃에서 50~78시간 만에 부화하며, 부화자어의 크기는 2.5~3.0mm
(이후 3~4일 동안 난황을 흡수하고, 3~5일이 지나면 입이 벌어진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8. 양식 사료의 펠릿 사료를 제작할 때 점착제로 첨가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셀룰로오스
     2. CMC(carboxy methyl cellulose)
     3. 알기네이트(alginate)
     4. 아스타크산틴(astaxanthin)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스타크산틴 : 적색 색소인 카로티노이드의 하나로 항산화력을 가진 물질이다.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9. 금붕어와 관련된 내용이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여름이 지나 수온이 떨어지는 가을철이 되면 산란을 한다.
     2. 온수성 어류이다.
     3. 잉어보다 수중 산소함량이 낮은 곳에서도 비교적 잘 견딘다.
     4. 큰 못에서 기르면 몸의 형태 및 그 밖의 형질이 야생형으로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0. 양식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기본 요소를 검토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2007년 08월)
     1. 생산 생물의 경제성
     2. 생물의 성장도
     3. 생물의 내병성
     4. 사료 효율

     정답 : []
     정답률 : 92%

11. 연어(salmon)치어가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시기는?(2002년 08월)
     1. 부화후 내려간다.
     2. 1년후에 내려간다.
     3. 2년후에 내려간다.
     4. 3년후에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85%

12. 잉어의 부화 수온 범위가 15~30℃일 때, 부화에 소요되는 일수를 기술한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15℃ 일 때 5일, 20℃일 때 3.2일, 30℃일 때 2.1일
     2. 15℃ 일 때 6일, 20℃일 때 4.2일, 30℃일 때 2.1일
     3. 15℃ 일 때 7일, 20℃일 때 5.2일, 30℃일 때 3.1일
     4. 15℃ 일 때 8일, 20℃일 때 6.2일, 30℃일 때 3.1일

     정답 : []
     정답률 : 82%

13. 양식업 종사자의 태도와 신념을 나타내는 내용의 영문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Work
     2. Wide
     3. Inspection
     4. Experience

     정답 : []
     정답률 : 92%

14. 종묘수송 방법 중 단수하여 수송이 가능한 것은?(2004년 08월)
     1. 방어의 치어
     2. 송어 발안란
     3. 참돔의 치어
     4. 은어의 치어

     정답 : []
     정답률 : 89%

15. 자연상태인 바다에서 넙치 산란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8월)
     1. 1월경
     2. 3월경
     3. 5월경
     4. 7월경

     정답 : []
     정답률 : 77%

16. 은어의 먹이인 윤충류 배양시 사용하면 생잔율과 성장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2002년 08월)
     1. 클로렐라(chlorella)
     2. 빵효모
     3. Moina
     4. 계란노른자

     정답 : []
     정답률 : 81%

17. 무지개송어 친어의 성숙 검사주기를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2003년 08월)
     1. 친어는 하루에 한 번씩 검사
     2. 친어는 2∼3주일에 한 번씩 검사
     3. 친어는 1주일에 한 번씩 검사
     4. 많은 수가 성숙하게 되면 과숙 방지를 위하여 2∼3주일에 두 번씩 검사

     정답 : []
     정답률 : 92%

18. 다음 중 환경 수질 오염에 대하여 가장 강한 것은?(2004년 08월)
     1. 이스라엘 잉어
     2. 뱀장어
     3. 틸라피아
     4. 방어

     정답 : []
     정답률 : 71%

19. 은어의 생태 습성으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맑고 깨끗한 물을 좋아하며, 여름에는 상류에서 성장하다가 가을에는 조금 내려간 중상류쪽에서 산란한다.
     2. 산란기는 남부에서는 9~10월에 이루어지고 부화적온은 대략 12~20℃이다.
     3. 은어의 소상은 일몰 후에서부터 일출 전까지 밤에 이루어진다.
     4. 먹이로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 등을 좋아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20. 다음 중 태생 관상어류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거피
     2. 소드테일
     3. 플래티
     4. 제브러 다니오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무척추동물양식


21. 조개류의 종묘생산 과정 중에 알에서 부화된 유생의 대량폐사가 일어나는 시기를 위험기라고 한다. 다음 중 위험기에 해당되는 시기는?(2006년 08월)
     1. 부화직후의 당번자(tlochophore) 유생기
     2. 당번자 유생에서 피면자(veliger) 유생으로 들어가는 시기
     3. 각생기 유생기
     4. 적자 또는 부착기 유생기

     정답 : []
     정답률 : 77%

22. 전복 종묘생산 중 치패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2005년 08월)
     1. 담륜자기
     2. 피면자기
     3. 주수가 생길 무렵
     4. 치패

     정답 : []
     정답률 : 66%

23. 다음 중 참굴유생의 부유기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2015년 08월)
     1. 영양염
     2.
     3. 수온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83%

24.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2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82%

25. 대량 발생한 바지락 치패를 옮기는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지반의 변동이 없는 안전한 곳
     2. 언제나 해수중에 잠기는 곳
     3. 간석지 중 간출 후에 해수가 괴어 있는 곳
     4. 개흙질이 많은 곳

     정답 : []
     정답률 : 62%

26. 전복류의 서식장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7월)
     1. 외양수의 영향을 받는 연안
     2. 수심 20m 내외 되는 곳
     3. 해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곳
     4. 저질이 사니질인 곳

     정답 : []
     정답률 : 70%

27. 좁쌀무늬조개(Domax semigranosus)가 살고 있는 천해에서 양식하기에 가장 알맞은 종류는?(2007년 08월)
     1. 새고막
     2. 키조개
     3. 진주담치
     4. 라마르크대합

     정답 : []
     정답률 : 79%

28. 우렁쉥이의 양성을 위해 알맞은 양성법은?(2015년 08월)
     1. 수하식 양성
     2. 조위망식 양성
     3. 그물차단식 양성
     4. 육상수조식 양성

     정답 : []
     정답률 : 82%

29. 다음 부유유생 중 부유기간이 가장 긴 충류는?(2006년 08월)
     1. 우렁쉥이
     2. 피조개
     3. 전복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77%

30. 우리나라의 해역 중 연중 수온이 높이 일반적으로 산란시기가 빠르고 그 기간이 긴 조건의 환경으로 가장 적합한 곳은?(2007년 08월)
     1. 동해
     2. 서해
     3. 남해
     4. 황해북부

     정답 : []
     정답률 : 83%

31. 참굴 양식시설용 밧줄 수하식 1대(200m)에 수하 양성할 수 있는 수하연수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2010년 07월)
     1. 200연
     2. 500연
     3. 800연
     4. 1100연

     정답 : []
     정답률 : 72%

32. 참굴 종묘의 전기채묘 실시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8월)
     1. 수온 상승기의 전반기
     2. 수온 상승기의 후반기
     3. 수온 하강기의 전반기
     4. 수온 하강기의 후반기

     정답 : []
     정답률 : 61%

33. 서식장의 환경변화에 가장 강한 종류는?(2015년 08월)
     1. 백합
     2. 우럭
     3. 참굴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77%

34. 조개류의 식해성 해적생물은?(2010년 07월)
     1. 따개비
     2. 대수리
     3. 폴리도라
     4. 오만둥이

     정답 : []
     정답률 : 59%

35. 우리나라산 바지락의 서식제한 요인이 가장 큰 것끼리 묶어진 것은?(2004년 08월)
     1. 수온, 부유토
     2. 지반의 변동, 부유토
     3. 염분, 수온
     4. 용존산소량, pH

     정답 : []
     정답률 : 70%

36. 채롱망을 이용한 진주조개 양성시 적정 수하 깊이는?(2014년 08월)
     1. 1 m 내외
     2. 2 m 내외
     3. 5 m 내외
     4. 10 m 내외

     정답 : []
     정답률 : 57%

37. 천해의 생태구역중에서 양성장으로 가장 이용되지 않는 곳은?(2005년 08월)
     1. 조간대
     2. 아천해대
     3. 중천해대
     4. 상천해대

     정답 : []
     정답률 : 81%

38. 대합의 종묘로 천연적으로 발생한 것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산란자극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2. 성숙한 어미라도 암수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
     3. 채묘하는 방법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4. 난핵포가 소실한 다음 수정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우렁쉥이의 채란에서 부착할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은?(2010년 07월)
     1. 32~33일간
     2. 22~23일간
     3. 12~13일간
     4. 2~3일간

     정답 : []
     정답률 : 77%

40. 다음 고막(Anadara)류 중 수심이 제일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종류는?(2014년 08월)
     1. 고막
     2. 새고막
     3. 피조개
     4. 큰이랑피조개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서식장 수심
- 꼬막: 가장 천새성으로 조간대에 서식
- 새꼬막: 조간대로부터 10m에 서식(1~5m에 주로 서식)
- 피조개: 간조선으로부터 50m에 분포(2~20m에 주로 서식)
- 큰이랑피조개: 수m~30m에 서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해조류양식


41. 김양식장에 비료를 주었을 때 효과가 없는 경우는?(2004년 08월)
     1. 김의 퇴색이 조금 보이려고 할 때
     2. 비료를 일정구역의 면적에 일제히 다량 주었을 때
     3. 김이 적절히 자랐을 때
     4. 수온이 5℃ 이하 일 때

     정답 : []
     정답률 : 66%

42. 톳의 증식을 위한 잡 해조 제거에 알맞은 시기는?(2015년 08월)
     1. 최성장기 직전인 이른 초봄
     2. 톳을 채취한 직후인 봄
     3. 어린 유체가 나타나는 늦가을
     4. 난과 정자의 방출 직전인 겨울

     정답 : []
     정답률 : 53%

43. 염성이 약한 김은 어떤 갯병에 강한가?(2016년 08월)
     1. 흰갯병
     2. 붉은갯병
     3. 호상균병
     4. 구멍갯병

     정답 : []
     정답률 : 48%

44. 마른 김을 장기 보전하려 할 때 지켜져야 할 수분의 함량은?(2005년 08월)
     1. 5%이하
     2. 10 ~ 15%
     3. 5 ~ 10%
     4. 20 ~ 30%

     정답 : []
     정답률 : 62%

45. 미역의 말기배양 시 배우체가 성숙 및 수정하여 아포체로 발아한다. 이 아포체를 가이식하려면 어느 정도의 크기로 발아한 것이 가장 적절한가?(2015년 08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58%

46.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크고 형태변이가 많은 김은?(2004년 08월)
     1. 큰방사무늬김
     2. 둥근김
     3. 방사무늬김
     4. 참김

     정답 : []
     정답률 : 32%

47. 미역의 가이식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해수의 온도가 21℃ 이하로 내려가면 한다.
     2. 해면하 2∼4m 에 한다.
     3. 아포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4. 조류의 소통이 안되는 내만인 곳을 택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48.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15년 08월)
     1. 홑파래
     2. 청각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갈조류: 모자반
녹조류: 청각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49. 미역의 채묘에서 씨줄은 배양해수 톤 당 몇 m 정도로 하는가?(2006년 08월)
     1. 25~30m
     2. 250~300m
     3. 2,500~3,000m
     4. 25,000~30,000m

     정답 : []
     정답률 : 57%

50. 미역양식장의 적절한 양성시설 수심은?(2014년 08월)
     1. 2 ~ 4 m
     2. 4 ~ 6 m
     3. 5 ~ 8 m
     4. 7 ~ 10 m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양식장의 수심은 5~8m가 이상적이다. 어미줄을 설피하는 깊이는 해수의 투명도와 일사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남해안에서는 2~3m, 동해안 북쪽에서는 0.5~1m를 기준으로 하여 조절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김발에서 김보다 더 높은 곳에 잘 붙는 주 해적 생물은?(2003년 08월)
     1. 규조류
     2. 홑파래
     3. 매생이
     4. 파래

     정답 : []
     정답률 : 74%

52. 김 양식에 있어 냉장 김발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7월)
     1. 갯병 피해에 능동적인 대처 가능
     2. 양식 기간의 연장
     3. 양식 생산의 안정화
     4. 양식장의 노후화 예방

     정답 : []
     정답률 : 70%

53. 기생성 갯병이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붉은갯병
     2. 녹반병
     3. 의사흰갯병
     4. 구멍갯병

     정답 : []
     정답률 : 58%

54. 알긴산의 원료로 사용되는 해조류는?(2016년 08월)
     1. 다시마
     2. 청각
     3. 꼬시래기
     4. 파래

     정답 : []
     정답률 : 63%

55. 양식 김의 야외 인공 채묘시 패각 시상체를 비닐 주머니에 달아서 매는 가장 큰 이유는?(2007년 08월)
     1. 패각을 절약하기 위해서
     2. 패각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3. 패각의 유실과 손상을 막기 위해서
     4. 패각의 각포자낭 성숙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73%

56. 다시마의 억제배양양식에서 5~6월경에 인공 채묘한 배우체를 고수온기에 생장을 인위적으로 중지했다가 9~10월에 발아를 관리하여 바다 수온이 몇 도 이하일 때 본양성을 하는가?(2009년 07월)
     1. 10℃
     2. 14℃
     3. 18℃
     4. 22℃

     정답 : []
     정답률 : 61%

57. 김 양식에 있어서 여양제로 쓸 수 없는 물질은?(2005년 08월)
     1. NaOH
     2. Fe - EDTA
     3. Vitamin B12
     4. NaNO3

     정답 : []
     정답률 : 62%

58. 미역 종사의 채묘장소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8월)
     1. 가능한한 밝은 그늘 장소
     2. 햇빛이 비치는 창쪽
     3. 어두운 장소
     4. 완전 빛이 차단된 장소

     정답 : []
     정답률 : 61%

59. 다음 해조류 중에서 한해성인 종류는?(2015년 08월)
     1.
     2. 미역
     3. 다시마
     4. 진두발

     정답 : []
     정답률 : 44%

60. 다시마의 어미줄 관리에서 4∼5월에 10m 정도의 깊이에 두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2004년 08월)
     1. 이끼벌레 무리의 부착 방지에 있다.
     2. 너무 강한 광선을 피하기 위해서다.
     3. 높은 수온을 피하기 위해서다.
     4. 색택을 좋게 하기 위해서다.

     정답 : []
     정답률 : 62%

4과목 : 수산생물


61. 플랑크톤에 있어 계절적 변화 중 봄에서 초여름까지 양적변화가 가장 큰 우점종은?(2005년 08월)
     1. 규조류
     2. 녹조류
     3. 편조류
     4. 갈조류

     정답 : []
     정답률 : 53%

62. 다음 중 어류의 산란회유에 속하는 것은?(2009년 07월)
     1. 수직회유
     2. 색이회유
     3. 수평회유
     4. 강하회유

     정답 : []
     정답률 : 78%

63. 어류의 성장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염분이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다.
     2. 적온 범위 내에서는 수온이 높으면 성장이 빠르고 낮으면 느리다.
     3.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먹이의 공급여부가 성장을 좌우한다.
     4. 모든 조건이 동일하면 용적이 넓을수록 성장률이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어류는 삼투 및 이온조절에 소비되는 에너지가 가장 적데 드는 염분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어류의 분류 형질과 관계없는 것은?(2005년 08월)
     1. 옆줄비늘수
     2. 새파수
     3. 이빨수
     4. 척수골수

     정답 : []
     정답률 : 55%

65. 어류의 나이를 알아내는 연령사정(年令査定)에 사용하는 것은?(2002년 08월)
     1. 어류의 눈(眠)
     2. 어류의 입
     3. 아가미
     4. 이석(耳石)

     정답 : []
     정답률 : 74%

66. 바지락의 서식에 가장 알맞은 곳은?(2015년 08월)
     1. 조간대에서만 서식한다.
     2. 조간대에서 2~3m 수심까지 담수가 유입하는 사니질 해안
     3. 조간대에서 2~3m 수심까지의 니질 해안
     4. 조간대에서 3~5m 수심의 사질 해안

     정답 : []
     정답률 : 60%

67. 강하회유(catadromous migration)를 하는 어류는?(2007년 08월)
     1. 연어
     2. 뱀장어
     3. 송어
     4. 준치

     정답 : []
     정답률 : 65%

68. 외양에서 서식하는 유영 어류의 주 특성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군(School)을 이룬다.
     2.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
     3. 계절회유를 한다.
     4. 부유생물을 먹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9. 하천으로 소상한 이후 은어의 식성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2002년 08월)
     1. 동물성 플랑크톤
     2. 식물성 플랑크톤
     3. 육식
     4. 흡인식자

     정답 : []
     정답률 : 65%

70. 대합과 대합 속에서 발견되는 대합속살이게의 상호작용은 어떤 관계인가?(2007년 08월)
     1. 편리공생
     2. 상해관계
     3. 상호부조
     4. 편해공생

     정답 : []
     정답률 : 77%

71. 다음 수산식물의 생식세포 중 편모를 가지고 있지 않는 종류는?(2002년 08월)
     1. 파래
     2. 도박
     3. 청각
     4. 미역

     정답 : []
     정답률 : 64%

72. 해조류를 분류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2009년 07월)
     1. 광합성 색소의 조성
     2. 수심
     3. 수온
     4. 포자

     정답 : []
     정답률 : 85%

73. 물고기의 외부형태를 설명한 것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표준체장은 주둥이의 끝(위턱의 끝)에서 마지막 등뼈까지
     2. 전장은 몸의 앞끝부터 꼬리지느러미의 뒷끝까지
     3. 머리는 앞끝부터 아감딱지의 뒷끝까지
     4. 몸통은 아감딱지의 뒷끝부터 마지막 등뼈까지

     정답 : []
     정답률 : 52%

74. 다음 해산 식물 중 갈조류에 속하는 것은?(2014년 08월)
     1. 청각
     2. 감태
     3.
     4. 우뭇가사리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형 갈조류: 미역, 다시마, 감태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다음 중 고래의 먹이로서 가장 중요한 plankton은?(2007년 08월)
     1. copepoda
     2. Amphipoda
     3. Sagitta
     4. Euphausia

     정답 : []
     정답률 : 68%

76. 알긴산의 채취 원료가 되는 것은?(2015년 08월)
     1. 파래
     2. 청각
     3. 다시마
     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홍조류 : 한천, 카라기난
갈조류 : 알긴산,후코이단
녹조류 : 전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김의 광합성 보상점은 몇 lx로 알려져 있는가?(2010년 07월)
     1. 300~100 lx
     2. 500~300 lx
     3. 700~500 lx
     4. 900~700 lx

     정답 : []
     정답률 : 56%

78. 다음 중 동정세포를 가지고 있는 해산동물은?(2003년 08월)
     1. 히드라
     2. 해파리
     3. 산호
     4. 해면

     정답 : []
     정답률 : 63%

79.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수직회유(vertical migration)의 의미는?(2015년 08월)
     1. 식물 플랑크톤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2. 동물 플랑크톤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3. 저서동물이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4. 저서성 어류가 하루의 낮 동안 저층으로 이동하고 밤 동안 표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함

     정답 : []
     정답률 : 68%

80. 부영계를 수직으로 3 등분했을 때, 해양의 기초생산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생물종이 나타나는 곳은?(2002년 08월)
     1. 연안대
     2. 표층대
     3. 중층대
     4. 심층대

     정답 : []
     정답률 : 76%

81. 병명에 대한 병원균이 틀리게 기재된 것은?(2005년 08월)
     1. 뱀정어의 적점병 - Pseudomonas anguiliseptica
     2. 철창병 - Aeromonas salmonicida
     3. 비브리오병 - Vibrio anguillarum
     4. 세균성 백운병 - Aeromonas sp.

     정답 : []
     정답률 : 61%

82. 부영양화 물질로 가장 문제가 되며, 유기적 오염의 초기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특히 어류에서 혈액 중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작용을 방해하며 질식사의 원인물질 중 하나가 되고 정수지의 염소 소독시 대량의 염소를 소비하게 하는 것은?(2005년 08월)
     1. 유기탄소
     2. 유리암모니아
     3. 질산성 질소
     4. 유화물

     정답 : []
     정답률 : 72%

83. 시료 20 mL를 사용하여 어떤 성분을 정량한 결과 28㎍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 성분의 ppm 농도는? (단, 시료비중은 1로 본다)(2014년 08월)
     1. 28 ppm
     2. 2.8 ppm
     3. 14 ppm
     4. 1.4 pp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ppm은 1㎍/ml(=1mg/L)
ppm=물질의 질량/시료의 질량=28/20=1.4pp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채수시 물과 공기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측정 항목은?(2014년 08월)
     1. 용존산소
     2. 화학적 산소 소비량
     3. 수소이온 농도
     4. 암모니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존산소 측정방법: 시료의 채수
- 공기와 접촉 방지 필요
- 교란 방지
- 압력, 온도변화 방지
- 기포 함유 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배합사료를 먹인 뱀장어에서 지방간이 형성되었을 때 필요한 대책은?(2007년 08월)
     1. 배합사료에 전분을 알파화시켜 첨가한다.
     2. 배합사료의 지방질을 제거하고 대신 전분의 첨가량을 높여준다.
     3. 배합사료에 소액 글루페닌을 10% 정도 첨가해서 준다.
     4. 배합사료의 투이를 중지하고 생선을 먹인다.

     정답 : []
     정답률 : 44%

86. 양식되는 담수어류에 배합사료를 투여했을 경우 아가미 부식병으로 어류가 간혹 죽게 되는 주원인은?(2005년 08월)
     1. Aermonas hydrophila 균이 감염되었기 때문에
     2. 변성 지방질 때문에
     3. 수생균 포자가 배합사료에 섞여 있기 때문에
     4. 배합사료에 섞여 이쓴ㄴ 골분에 의한 상처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4%

87. 다음 중 사용하기 전에 기차 보정을 하지 않아도 좋은 용량 기구는?(2003년 08월)
     1. 홀피펫
     2. 메스플라스크
     3. 메스실린더
     4. 뷰렛

     정답 : []
     정답률 : 38%

88. 암모늄 이온, 아질산 이온, 유기체 질소의 조사를 위한 시료의 현장에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황산을 가하여 pH를 2 이하로 되게 한다.
     2. 운반도중 자연증발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3.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10 이상이 되도록 한다.
     4. 어떤 시약도 첨가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냉장상태로 운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89. 표면수온 측정에서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온도계의 기차
     2. 관측용 채수통의 예비열
     3. 온도계 표면의 가화열
     4. 기온

     정답 : []
     정답률 : 63%

90. 세균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환부를 떼어 염색표본을 만들어 관찰하고자 할 때 염색순서가 바른 것은?(2007년 08월)
     1. 도말 - 수세 - 염색 - 건조 - 고정 - 건조 - 검경
     2. 도말 - 건조 - 고정 - 수세 - 건조 - 염색 - 검경
     3. 도말 - 고정 - 건조 - 염색 - 건조 - 수세 - 검경
     4. 도말 - 건조 - 고정 - 염색 - 수세 - 건조 - 검경

     정답 : []
     정답률 : 46%

91. Flexibacter columnaris균은 양식어류의 아가미나 지느러미를 부식시킨다. 그 이유는 어떤 것인가?(2004년 08월)
     1. 단백질이 많은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라기 때문이다.
     2. 약 알칼리성인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3. 조직이 부드러운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4. 산소가 풍부한 지느러미와 아가미에서 잘 자란다.

     정답 : []
     정답률 : 56%

92. 뱀장어의 비타민 B1 결핍증은?(2004년 08월)
     1. 체색명화, 신경이상, 아가미출혈
     2. 체색암화, 유영이상, 지느러미출혈
     3. 새엽의 곤봉화, 피부의 손상, 위의 팽창
     4. 복부수종, 안구돌출, 운동력실조

     정답 : []
     정답률 : 45%

93. 해수에서 염소량으로부터 총 염분량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8월)
     1. S %(염분량) = 0.80655 × Cl %(염소량)
     2. S %(염분량) = 1.80655 × Cl %(염소량)
     3. S %(염분량) = 0.03 × Cl %(염소량)
     4. S %(염분량) = 1.03 × Cl %(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69%

94. 송어의 복부가 부풀어 오르고 천천히 헤염치는 것이 있어 해부하여 보니 위가 심하게 확장되고 있고, 위속에 회갈색의 액체와 기포가 많이 들어있었다면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2006년 08월)
     1. Saplolegnla sp.
     2. Candidia sp.
     3. Branchioeyces sp.
     4. Dermovystitm sp.

     정답 : []
     정답률 : 60%

95. 수중 기초생산력의 상대적 지수를 알기 위하여 측정하는 항목은?(2007년 08월)
     1. COD
     2. BOD
     3. 클로로필-a
     4. pH

     정답 : []
     정답률 : 49%

96. 닻벌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8월)
     1. 수온이 8℃ 이상을 넘어서면서 생장하기 시작하여 산란한다.
     2. 암수 한몸이다.
     3. 수온 14℃ 이상에서 번식되며, 고수온일수록 번식력이 빠르다.
     4. 산란할 때의 평균 체장은 3~4mm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익티오포누스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을 행하였다. 해당 질병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다핵구상체
     2. 육아종
     3. 결절
     4. 증생

     정답 : []
     정답률 : 49%

98. 수심별로 수온 측정과 채수를 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기구는?(2010년 07월)
     1. 난센채수기
     2. 반돈채수기
     3. 복원식채수기
     4. 마이어식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59%

99. 포자충류의 발생을 막는 가장 적당한 예방책은?(2006년 08월)
     1. 수온을 상승시킨다.
     2. 옷의 소독을 충분히 한다.
     3. 후란제를 경구투여 한다.
     4. 물의 유통을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6%

100. 백점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온수성 양어장에서 연중 발병한다.
     2. 치어지, 월동지, 저수지의 치어에 큰 피해를 준다.
     3. 체표 기생시 보다 아가미 기생시에 폐사율이 높다.
     4. 해산 백점병은 20 ℃ 이상에서 잘 번식하고 15 ℃ 이하에서는 잘 발병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온수성 어장에서는 봄, 가을에 발생하고
냉수성 어장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도리콩]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80467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86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9802791)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85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8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073021)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83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82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81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80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1729213)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79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4988378)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78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77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76 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9459509)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75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4월29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804672)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73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72 스포츠경영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71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8505486)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70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69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68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9983540)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767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96 Next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