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틱치료, 심리치료, 대체의학, 마사지/물리치료등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소매틱심리치료에서의 BODYWORK - 감정과 트라우마가 신체에 저장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몸을 통해 감정을 해소하거나 자각을 일으키는 기법들을 통칭함. 언어로 표현이 어렵거나 억제된 내담자/만성긴장, 신체화증상, 외상후 신체감각 단절이 있는경우/주의력분산이 심해 감정조절이 어려운 경우/ 말보다 감각 기반 접근이 더 효과적인 청소년, 아동, 예술가 타입 성인 [해설작성자 : 청풍]
5.
매체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전화상담의 경우 단회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2.
전화상담의 경우 익명성으로 인해 성문제 등 드러내기 어려운 주제로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3.
미술치료의 경우 미술이 지닌 상징성이 내담자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4.
사이버상담의 '즉시성과 현시' 기법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글에 대한 자신의 심정과 모습을 생생하게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5.
사이버상담의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 기법은 침묵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눈으로 글을 읽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는 글속에 숨어있는 정서적 내용을 보여주며 침묵한 것을 나태내거나 눈으로 글을 읽고 있음을 나타낼때는 '말줄임표 사용' 이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다음은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내사 (ㄴ) 투사
2.
(ㄱ) 투사 (ㄴ) 내사
3.
(ㄱ) 융합 (ㄴ) 탈감각
4.
(ㄱ) 탈감각 (ㄴ) 융합
5.
(ㄱ) 융합 (ㄴ) 저항
정답 : [
1
] 정답률 : 81%
8.
다음 사례에서 A가 경험하는 분노를 설명하는 교류분석의 개념은?(2017년 09월)
1.
혼합(contamination)
2.
라켓(racket)
3.
에고그램(egogram)
4.
상보교류(complementary transaction)
5.
스트로크(stroke)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혼합 (오염): 어버이 자아나 어린이 자아가 어른 자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 2. 라켓: 라켓 감정을 느끼게 하는 과정으로 의식하지 못하는 것. 3. 에고그램: 자아상태의 기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 4. 상보교류: 기대했던 자아상태에서 반응이 오는 것. 5. 스트로크: 상대에 대한 반응을 알리는 기본 단위. 정적, 부적, 조건적, 무조건적, 언어적, 비언어적 스트로크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ccccarr]
9.
'명문 대학에 가지 못하면 난 실패한 것이다.' 라는 사고는 어떤 인지적 왜곡에 해당하는가?(2021년 10월)
1.
당위적 사고
2.
선택적 추상화
3.
개인화
4.
이분법적 사고
5.
과잉일반화
정답 : [
4
] 정답률 : 75%
10.
여자청소년 내담자 P는 “저는 예쁘지 않아서 결혼하기 힘들고 결혼하지 못하면 여성으로서 가치가 없어요.”라고 말하면서 의기소침하고,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이 호소에 대한 여성주의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다문화 배경을 가진 내담자를 위한 검사선택시 내담자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신중히 고려하였다.
3.
아는 대학원생의 논문을 위해 6개월 전의 검사결과들을 연구에 제공하였다.
4.
내담자에게 적절하지 않지만 상담사가 관심 있는 검사를 사용하였다.
5.
상담사가 모르는 검사지만 보호자의 요청으로 실시하고 해석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1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존주의 상담 기법은?(2025년 09월)
1.
역설적 의도
2.
탈숙고
3.
단추누르기
4.
머물러 있기
5.
각본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해결중심단기 상담에서 '메시지' 전달의 기능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교육적 기능
2.
하향 화살표의 기능
3.
정상화 기능
4.
과제의 기능
5.
새로운 의미의 기능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상담자의 상담 단계별 과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초기: 내담자의 기대 조정
2.
초기: 성과 평가
3.
중기: 추수회기
4.
종결: 접수면접
5.
종결: 호소문제 탐색
정답 : [
1
] 정답률 : 90%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지적 오류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개인화
2.
선택적 추론
3.
흑백논리적 사고
4.
부정적 예측
5.
과잉일반화
정답 : [
2
] 정답률 : 70%
21.
다음 내담자의 말에 이어지는 상담자의 반응 중 유형이 다른 하나는?(2021년 10월)
1.
아버지한테 화가 난 것처럼 보여요.
2.
사고 소식을 듣고 정말 많이 놀랐겠네요.
3.
아버지한테 안 좋은 일이 일어나서 슬퍼하는 것 같아요.
4.
저도 저의 아버지가 술을 드실 때마다 걱정되고 화가 났었어요.
5.
아버지를 걱정하는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서 섭섭했을 것 같아요.
정답 : [
4
] 정답률 : 83%
22.
다음은 교류분석 상담의 주요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상보교류
2.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잠재적 교류
3.
ㄱ: 상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이면교류
4.
ㄱ: 상보교류, ㄴ: 이면교류, ㄷ: 교차교류
5.
ㄱ: 상보교류, ㄴ: 잠재적 교류, ㄷ: 교차교류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전화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단회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2.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익명성으로 인해 성문제 등 드러내기 어려운 주제로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4.
상습적 음란전화나 언어폭력이 있을 경우, 강력한 대처가 필요하다.
5.
대면상담에 비해 내담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90%
24.
다음의 상담자 질문에 해당하는 현실치료의 상담과정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현재의 행동 파악하기
2.
바람, 욕구, 지각 탐색하기
3.
바람, 행동, 계획 평가하기
4.
행동 계획과 실천하기
5.
선택과 책임감 갖기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기]의 상담자 질문은, 우볼딩의 상담진행 과정 중 E(Evaluation)에서 할 수 있는 질문이다. 이는 현재 행동이 자신의 소망과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이히리기]
25.
교류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대한 인식과 재결단을 돕는 것이다.
2.
교차적 교류는 상대방의 자아 상태와는 다른 자아 상태로 교류하는 것이다.
3.
상담은 교류분석-구조분석-게임분석-각본분석의 단계를 거친다.
4.
자기부정ㆍ타인긍정(I'm not OK, You're OK)의 생활자세를 지닌 사람은 열등감과 우울감, 무력감을 경험한다.
5.
성인자아 상태는 현실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부모자아 상태와 어린이자아 상태를 중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구조분석-교류분석-게임분석-각본분석 [해설작성자 : 이용자]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다음에 나타난 연구패러다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행위자가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의 파악을 중시한다.
2.
방법론적 일원주의를 주장한다.
3.
연구현상의 계량화를 강조한다.
4.
탐구과정에서 가치중립성을 전제한다.
5.
관찰에 근거하지 않은 지식의 공허함을 주장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질적연구방법론과 관련된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표집 방법 중 확률표집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층화표집(stratified sampling)
2.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3.
할당표집(quota sampling)
4.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5.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정답 : [
1
] 정답률 : 68%
28.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75%
29.
다음 중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진실험설계: 엄격하게 외래변수 통제 하에 독랍변수 조작, 시험적 조건 갖춤 → 통제집단 (전)후 비교설계, 솔로몬 4집단 설계, 요인설계 유사실험설계: 피험저 무선할당 x → 비동질 통제집단 설계, 시계열 설계, 회귀불연속설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경험적으로 관찰된 개별 사례나 현상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사실을 추론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구성하는 방법은?(2022년 10월)
1.
귀납법
2.
연역법
3.
실험법
4.
기술적 연구법
5.
탐색적 연구법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귀납법은 관찰과 경험에서 출발해 일반화된 결론을 이끌고, 연역법은 이미 알려진 원리에서 개별적 사실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31.
다음 중 연구 패러다임이 다른 하나는?(2016년 10월)
1.
사회적 실재는 객관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2.
기계론적 인과론을 갖고 있다.
3.
행위 또는 관찰가능한 현상을 주로 연구한다.
4.
해석학 또는 현상학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인간을 연구한다.
5.
모집단 전체 또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32.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34%
33.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에 대하여 지켜야 할 연구윤리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연구기간 중 획득한 정보를 비밀로 유지한다.
2.
미성년자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보호자의 동의로 본인 동의를 대신한다.
3.
연구기간 중 연구참여를 철회할 권리가 있음을 알린다.
4.
연구의 목적, 예상되는 기간 및 절차를 알린다.
5.
연구참여에 따른 잠재적 위험에 대해 알린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34.
3가지 상담기법의 효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에 100명씩 총 300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순변량분석의 모든 가정은 충족된 것으로 간주한다.)(2019년 10월)
1.
집단간 제곱합의 자유도는 2이다.
2.
집단내 제곱합의 자유도는 297이다.
3.
A값은 10이다.
4.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영가설은 기각된다.
5.
분석 결과, 3가지 상담기법의 효과는 각각 다른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영가설: 집단 간-집단 내 차이가 없다 유의확률 = .047 영가설 기각: 집단간-집단 내 차이가 있다. 해석: 어 그럼 집단간-집단내 차이가 있네? 차이가 어떻게 있는거지? 분석결과: SS(제곱합)을 보자! 3가지 상담기법의 개입에 있어 세 집단별로 차이값의 크기(=값들 간의 차이)는 100이네? 3가지 상담기법의 개입에 있어 집단 내에서 차이값의 크기는 1485이네? 어? ‘집단 간’에서 차이값의 크기가 ‘집단 내’에서의 차이값보다 커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네? 그럼 결론적으로 세 가지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다는 얘기구나!
*유의확률은 집단간-집단내의 차이가 있을 확률만을 이야기 해주는 것이고 각 상담기법 별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영가설 기각이 아님. [해설작성자 : 침신대가최고지]
<문제 해설> 외적 타당도(일반화 가능성)는 낮음: 모의상담연구는 인위적, 단순화된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 상담 현장에 연구 결과를 직접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36.
구조방정식모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측정의 오차를 통제할 수 있다.
2.
적합도 지수들을 사용하여 이론적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가 가능하다.
3.
여러 개의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4.
잠재변수를 사용하므로 측정변수로만 산출된 값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
5.
외생잠재변수와 내생잠재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므로 측정에서 발생하는 설명오차를 통제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구조방적식 모형의 장점 > 측정의 오차 통제 가능(**셜명오차가 아님) >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여 이론적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 가능 > 여러갸의 독립, 매개,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동시에 분석 가능 > 잠재변수를 사용하므로 측정변수로만 산출된 값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청주]
37.
영가설(H0)이 참이 아닐 경우 이를 기각함으로써 올바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검정력은?(2022년 10월)
1.
α
2.
β
3.
1 - α
4.
1 - β
5.
α - β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α제1종 오류: H0가 참인데 기각 → 잘못된 결정 β제2종 오류: H0가 거짓인데 기각하지 않음 → 잘못된 결정 1 - α: 영가설 참일 때 올바르게 채택할 확률 1 - β: 검정력(Power)H0가 거짓일 때 올바르게 기각할 확률 [해설작성자 : ㅇㅁ]
38.
논문 작성 시 ‘연구방법’에 포함될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결과
3.
연구 결과 요약 및선행연구와의비교
4.
가설 설정의 근거가 되는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5.
참여자 모집 절차 및 선정 기준
정답 : [
5
] 정답률 : 62%
39.
상담연구 수행 시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에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45%
40.
다음 분산분석(ANOVA)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영가설은 '모든 집단의 평균은 같다'이다.
2.
분석에 투입된 집단의 수는 3개이다.
3.
분석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영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4.
분석에 투입된 총 사례 수는 14이다.
5.
A는 7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사례수=자유도-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2. 상관연구는 인과 관계를 직접적으로 규명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연구재료, 장비, 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연구자료를 임의로 변형, 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연구부정행위는?(2022년 10월)
1.
위조
2.
변조
3.
표절
4.
부당한 저자표시
5.
이중게재
정답 : [
2
] 정답률 : 55%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A는 상담 작업동맹을 연구하기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각 작성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가 타당하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할 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다.
2.
예측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을 규명한다.
3.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의 작업동맹 간 상관계수를 산출한다.
4.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한다.
5.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특성-중다방법을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 요인분석 <- 구인타당도 2. 하위요인규명 <-구인타당도 3. 상관계수랑 내적일관성 신뢰도랑 상관없음. 4. 크론바흐알파는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A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성 논문 100편을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 진행 시 고려할 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출판편향(publication bias)은 1종 오류를 증가시킨다.
2.
피험자 한 명당 1의 자유도를 부여한다.
3.
연구설계가 빈약한 논문은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4.
책상서랍(file drawer)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질성 통계량을 확인한다.
5.
효과크기가 동질적이라면 무선효과(random effect) 모형을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2. 일반적인 자유도 개념 아님. 3. 윤리적 문제. 4. 동질설 통계량 확인은 책상서랍 문제랑 관련없음. 5. 효과 크기가 이질적일떄 무선효과 모형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연구사례에 해당하는 분석방법은?(2020년 10월)
1.
경로분석
2.
횡단적 경향분석
3.
중다회귀분석
4.
잠재성장모형
5.
계층적 군집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43%
48.
상담연구에서 단일사례연구설계(단일피험자설계, single-case research design)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임상적 유의미성 보다는 통계적 검증을 중시한다.
2.
한 개인 또는 집단을 상대로 연구대상 내 차이를 분석하여 처치효과를 추정한다.
3.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설계나 연구절차도 융통성 있게 수정할 수 있다.
4.
ABAB설계(reversal design)와 다중기저선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등이 있다.
5.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제약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49.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29%
50.
비교집단과 무선할당을 모두 사용하는 실험설계는?(2022년 10월)
1.
원시실험설계(pre-experimental design)
2.
비동일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3.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
4.
다중시계열설계(multiple time-series design)
5.
준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
정답 : [
3
] 정답률 : 46%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심리적 구성개념(constru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직접 관찰하여 측정한다.
2.
물리적 속성과 달리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추상적 개념이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규칙에 따라 대상의 속성에 수를 할당하는 것은 조작적 정의이다.
4.
일반적으로 한 가지 구성개념은 한 가지 행동으로 대응하여 측정된다.
5.
행동전집을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심리검사가 측정하는 심리적 속성 1.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 추상적 개념이다. 2. 직접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수량화해서 간접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3. 수량화하는 도구로써의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4. 심리적 측정을 통해 객관화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심리검사의 개발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ㄱ - ㅁ - ㄴ - ㄷ - ㄹ
2.
ㄴ - ㅁ - ㄱ - ㄷ - ㄹ
3.
ㄴ - ㅁ - ㄹ - ㄷ - ㄱ
4.
ㅁ - ㄴ - ㄱ - ㄹ - ㄷ
5.
ㅁ - ㄴ - ㄹ - ㄱ - ㄷ
정답 : [
5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Tip. 1. 신뢰도, 타당도 분석은 보통 마지막에 실시한다. 따라서 4, 5번 중에 고려한다. 2. 문항을 우선 개발하고 예비검사, 문항분석을 해서 문항을 조정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문제 해설> ① K-ABC(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는 전통적인 지능검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카우프만이 1983년에 개발한 검사이다. ② BGT는 투사적 목적과 함께 신경심리적 목적으로 뇌의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③ MMPI-2는 하더웨에(Hathaway)와 매킨리(Mckinley)에 의해 제작된 대표적인 객관적 성격검사이다. ④ MBTI는 융의 심리유형이론을 토대로 마이어스와 브릭스(Myers & Briggs)가 제작한 객관적 성격유형검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2.
지능검사는 최대수행검사의 한 종류이다.
3.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를 비교할 수 있다.
4.
투사검사는 객관적 검사에 비해 채점 시 평정자 간 일치도가 낮다.
5.
특정 영역에서 행동 전집을 수집하여 측정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심리검사는 행동 전집이 아닌, 개인의 소수 표본 행동을 수집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전체 행동을 예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심리평가를 위한 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구조적 면접은 비구조적 면접에 비해 면접자 간 일치도가 낮다.
2.
구조적 면접 자료는 비구조적 면접 자료에 비해 수량화가 쉽다.
3.
구조적 면접은 수검자의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4.
면접의 형식을 선정할 때는 면접의 목적을 고려한다.
5.
구조적 면접은 면접의 내용이 정해져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61.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개발과 관련된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수렴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우울증 검사와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2.
변별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분노 검사와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3.
반분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홀수 문항과 짝수 문항 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4.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달 후 새로운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5.
예측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년 후 자살충동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 4번: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달 후 동일하게 새로운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 타당도 1. 기준타당도, 준거타당도 - 동시타당도, 공인타당도: 기존 건사와의 유사성 - 예측타당도, 예언타당도: 검사 먼저, 준거 행위 관계 측정 2. 개념타당도, 구성타당도, 구인타당도, 구조적 타당도 - 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 관련 있는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 - 변별타당도, 판별타당도: 관련 없는 변수들과 낮은 상관관계 - 요인분석: 문항들의 상관관계
▶ 신뢰도 1. 검사 재검사 신뢰도: 하나의 검사 두 번 잔행 > 보완: 동형검사신뢰도, 반분신뢰도 2. 동형검사신뢰도, 동형성계수: 다른 문항 동형 검사 제작, 두 검사 간 상관계수 3. 동질성계수(내적일관성계수) - 반분 신뢰도: 반으로 나눠서 상관 관계, 실제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으로 교정 - 크론바흐 알파: 내적 일관성, 가장 널리 쓰임 [해설작성자 : .]
다음의 특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는?(2021년 10월)
1.
Pd4(사회적 소외)
2.
Pd5(내적 소외)
3.
Sc1(사회적 소외)
4.
Sc2(정서적 소외)
5.
Si3(내적/외적 소외)
정답 : [
2
] 정답률 : 40%
68.
MMP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L척도의 상승은 솔직한 검사태도를 시사한다.
2.
A-cyn척도의 상승은 자존감이 낮고 다른 사람만큼 유능하지 못하다는 느낌과 관련된다.
3.
A-aln척도의 상승은 절도나 반항 같은 품행장애와 관련된다.
4.
무응답 반응이 30개 이상으로 너무 많으면 전체 척도를 신뢰하기 힘들다.
5.
임상척도에서 강박척도의 상승은 다양한 행동화, 비행과 관련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69.
고등학교 3학년 C는 학급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받은 후 불안감과 고통을 호소하였다. C에게 PAI를 사용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누락된 응답이 17개 이상인지 확인한다.
2.
4개의 타당도 척도에서 반응일관성과 부주의, 무관심, 왜곡 등의 문제가 있는지 살펴본다.
3.
결정문항에서 '그렇다'는 반응이 3개 이상일 때부터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4.
임상척도에서 T점수 70 이상이면 정상집단으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5.
수검자의 검사 프로파일을 24개 진단군의 평균 프로파일과 비교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모든 결정문항은 즉각적인 관심을 필요로 하는 행동이나 정신병리가 있다고 봐야함 [해설작성자 : 리틀타이거]
70.
대학생인 A는 어린 시절부터 수줍음이 많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을 보였다. 사람들과 거의 만나지 않으며 고립된 생활을 하던 A는 우울감을 호소하며 학교 상담소를 방문하였다. A의 특징을 반영하는 심리검사 결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식물, 구름 지도, 풍경, 자연 = 소외지표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다음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Sc3
2.
Sc4
3.
Ma4
4.
Pa2
5.
Pa3
정답 : [
5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Pa3: 순진성 다른 사람들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긍정적, 낙천적 태도를 보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정직하고 이타적이며 관대하다고 생각함. [해설작성자 : 해설핑]
76.
이상행동에 관한 인지이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개인 고유의 정서체계가 적응문제를 유발한다.
2.
엘리스(A. Ellis)에 따르면 정서적 장애는 비합리적 신념을 초래한다.
3.
벡(A. Beck)은 우울장애에 널리 쓰이는 치료법을 개발했다.
4.
인지치료에 대한 효과는 실험연구로 검증하기 어렵다.
5.
인지적 왜곡은 이상행동의 원인일 뿐 결과는 아니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번: 개인 고유의 정서체계가 적응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은 인지이론보다는 정서이론에 가깝습니다. 2번: 엘리스(A. Ellis)는 비합리적 신념이 정서적 장애를 초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문장은 순서가 반대입니다. 3번: 벡(A. Beck)은 우울장애 치료에 널리 쓰이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4번: 인지치료는 실험연구로 검증된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5번: 인지적 왜곡은 이상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그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출선생]
77.
신경생물학 연구 결과에 나타난 뇌 부위와 주요 기능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차원적 분류는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구분이 부적응성의 정도 문제일 뿐 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DSM-5의 장애는?(2023년 09월)
1.
과잉행동장애
2.
특정학습장애
3.
틱장애
4.
해리성 기억상실
5.
양극성장애
정답 : [
2
] 정답률 : 68%
80.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각성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증상은?(2017년 09월)
1.
과도한 경계심
2.
수면 장해(sleep disturbance)
3.
외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꿈
4.
집중력의 문제
5.
과도한 놀람 반응
정답 : [
3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각성: 수면 장애, 과각성(과잉 경계), 집중 곤란, 과도한 놀람 반응, 타인이나 물체에 대한 언어적 또는 신체적 공격으로 표현되는 과민한 행동과 분노 3. 외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꿈은 ‘칩습’의 범주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DSM-5의 우울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월경전불쾌감장애는 월경이 시작되기 1주 전에 여러 가지 우울증상이 나타난다.
2.
주요우울장애는 우울한 기분 또는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증상이 필수적이다.
3.
지속성 우울장애는 적어도 2년 동안 하루의 대부분 우울한 기분이 있으며, 증상 없는 기간이 2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4.
우울장애는 양극성장애와 같은 범주로 묶인다.
5.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의 주요 특징은 만성적인 고도의 지속적 과민성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우울 장애는 양극성 및 관련 장애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Su]
82.
DSM-5의 조현병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현병 진단기준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및 사고 4.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 5. 음성증상 [해설작성자 : 로즈시아]
83.
DSM-5의 성격장애와 주요 특징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자기애성 성격장애 -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와 특권의식
2.
의존적 성격장애 - 정체감 혼란과 버림받음을 피하기 위한 과도한 노력
3.
경계선 성격장애 - 타인의 충고와 지지없이는 일상적 결정을 하기가 어려움
4.
조현성 성격장애 - 사회적 상황에서 비난당하거나 거부당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사로잡힘
5.
강박성 성격장애 -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한 과도한 노력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 회피성 3. 의존성 4. 경계선 5. 연극성 [해설작성자 : 기수]
84.
DSM-5의 강박 및 관련장애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10월)
1.
범불안장애
2.
노출장애
3.
유뇨증
4.
병적 방화(방화광)
5.
신체변형(이형)장애
정답 : [
5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신체변형장애 : 외모가 기형적이라는 착각(진짜 드문 장애) 저장장애 : 불필요한 물건 계속 모음 모발뽑기장애 : 머리카락뽑음 피부벗기기장애 * 참고. 병적도벽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로 분류되었음 [해설작성자 : 기수]
85.
DSM-5의 제II형 양극성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1회 이상의 주요우울 삽화와 경조증 삽화가 있어야 한다.
2.
목표지향적 활동이 증가되면서 수면욕구가 늘어난다.
3.
고양되거나 과민한 기분이 최소 4일 이상 지속된다.
4.
평소보다 말이 많아진다.
5.
조증 삽화는 1회도 없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86.
고등학교 2학년 B는 인터넷 게임도박을 하려고 몰래 부모의 지갑에서 돈을 꺼내 쓰다가 들켰다. 부모님이 꾸중하자 “심심해서 했고, 나는 심각하지 않다”라며 따지기도 했다. 최근 친구들에게 도박자금을 빌려 쓰다가 갚을 금액이 커지자 어머니가 갚아주었다. 이 사례에 해당하는 장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3
] 정답률 : 53%
87.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DSM-5는 다축체계를 폐지하였다.
2.
세계보건기구(WHO)가 DSM 체계를 개발하였다.
3.
미국 정신의학회(APA)가 ICD 체계를 개발하였다.
4.
DSM-5는 장애의 증상보다 원인에 더 초점을 두었다.
5.
DSM-5는 연령, 성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88.
DSM-5의 강박 및 관련 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신체이형(변형)장애
2.
수집광(저장장애)
3.
피부뜯기(벗기기)장애
4.
반추장애
5.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강박 및 관련 장애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반추장애는 급식 및 섭식장애임 [해설작성자 : 로즈시아]
89.
DSM-5의 주요우울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주요우울장애 삽화는 1개월 이상 연속으로 지속되어야 한다.
2.
한 번 치료되면 그 이후 재발되지 않는다.
3.
어떤 연령대에서도 발병할 수 있지만, 아동기에 비해 청소년기에 발병가능성이 높아진다.
4.
조증삽화 또는 경조증삽화가 존재한 적이 있다.
5.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남성의 유병율이 여성보다 높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90.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ㄷ. 허위성(인위성) 장애는 환자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 어떠한 현실적 이득이나 목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DSM-5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적 상태에 근거할 때,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인터넷게임장애
2.
인터넷도박장애
3.
인터넷사용장애
4.
인터넷게임중독
5.
인터넷게임도박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33%
92.
신경성 폭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폭식을 하지만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도 해당된다.
2.
삽화 기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을 느낀다.
3.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된다.
4.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는다.
5.
자기평가에서 체형과 체중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이러한 요인이 자존감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신경성 폭식증 폭식행동과 보상행동 반복,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음 ▶ 폭식장애 폭식행동만, 보상행동 하지 않음.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해설작성자 : .]
93.
양극성 및 관련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양극성 장애는 제Ⅰ형과 제Ⅱ형으로 구분된다.
2.
가벼운 조증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경조증이라 한다.
3.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가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4.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유전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이 강한 편이다.
5.
제Ⅱ형 양극성 장애는 경조증 삽화가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 2형 양극성 장애는 경조증 삽화를 보이는데, 경조증삽화는 평상시의 기분과는 분명히 다른 의기양양하거나 고양된 기분이 적어도 4일간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5.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한다 → 이건 품행장애 기준이 아님. 오히려 적대적 반항장애(ODD) 특징에 가까움 [해설작성자 : 윤슬]
97.
DSM-5의 섬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흔히 수면-각성 주기의 장애를 보인다.
2.
섬망의 유병률은 노인에게서 가장 높다.
3.
대개 1개월 정도의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4.
기저의 인지 변화를 동반하는 주의나 의식의 장애이다.
5.
섬망에 수반된 지각장애는 오해, 착각 또는 환각을 포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섬망은 몇시간 혹은 며칠 내인 단기간에 발생하고 악화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21년 10월)
1.
적응장애
2.
단기 정신병적 장애
3.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4.
조현양상장애
5.
조현병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적응장애: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고 원인이 종결되면 호전된다 2. 조현증상 1개월 이내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요증상은 과각성, 재경험(침투), 사건 관련 자극 회피다 4. 조현양상장애: 1~6개월 이내 조현 증상 5. 조현병: 6개월 이상 증상 지속
*조현병의 핵심증상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사고이다 [해설작성자 : 쌀새우깡]
99.
DSM-5의 급성 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진단기준은?(2023년 09월)
1.
과도한 놀람 반응이 나타난다.
2.
무모하거나 자기파괴적 행동을 한다.
3.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거리감이나 소외감을 느낀다.
4.
중요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나 참여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5.
외상 사건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해 자신이나 타인을 책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100.
다음 증상에 적절한 성격장애는?(2016년 10월)
1.
분열형 성격장애
2.
분열성 성격장애
3.
편집성 성격장애
4.
경계성 성격장애
5.
자기애성 성격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71%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19633)
소매틱치료, 심리치료, 대체의학, 마사지/물리치료등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소매틱심리치료에서의 BODYWORK - 감정과 트라우마가 신체에 저장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몸을 통해 감정을 해소하거나 자각을 일으키는 기법들을 통칭함. 언어로 표현이 어렵거나 억제된 내담자/만성긴장, 신체화증상, 외상후 신체감각 단절이 있는경우/주의력분산이 심해 감정조절이 어려운 경우/ 말보다 감각 기반 접근이 더 효과적인 청소년, 아동, 예술가 타입 성인 [해설작성자 : 청풍]
5.
매체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전화상담의 경우 단회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2.
전화상담의 경우 익명성으로 인해 성문제 등 드러내기 어려운 주제로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3.
미술치료의 경우 미술이 지닌 상징성이 내담자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4.
사이버상담의 '즉시성과 현시' 기법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글에 대한 자신의 심정과 모습을 생생하게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5.
사이버상담의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 기법은 침묵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눈으로 글을 읽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는 글속에 숨어있는 정서적 내용을 보여주며 침묵한 것을 나태내거나 눈으로 글을 읽고 있음을 나타낼때는 '말줄임표 사용' 이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다음은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내사 (ㄴ) 투사
2.
(ㄱ) 투사 (ㄴ) 내사
3.
(ㄱ) 융합 (ㄴ) 탈감각
4.
(ㄱ) 탈감각 (ㄴ) 융합
5.
(ㄱ) 융합 (ㄴ) 저항
정답 : [
1
] 정답률 : 81%
8.
다음 사례에서 A가 경험하는 분노를 설명하는 교류분석의 개념은?(2017년 09월)
1.
혼합(contamination)
2.
라켓(racket)
3.
에고그램(egogram)
4.
상보교류(complementary transaction)
5.
스트로크(stroke)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혼합 (오염): 어버이 자아나 어린이 자아가 어른 자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 2. 라켓: 라켓 감정을 느끼게 하는 과정으로 의식하지 못하는 것. 3. 에고그램: 자아상태의 기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 4. 상보교류: 기대했던 자아상태에서 반응이 오는 것. 5. 스트로크: 상대에 대한 반응을 알리는 기본 단위. 정적, 부적, 조건적, 무조건적, 언어적, 비언어적 스트로크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ccccarr]
9.
'명문 대학에 가지 못하면 난 실패한 것이다.' 라는 사고는 어떤 인지적 왜곡에 해당하는가?(2021년 10월)
1.
당위적 사고
2.
선택적 추상화
3.
개인화
4.
이분법적 사고
5.
과잉일반화
정답 : [
4
] 정답률 : 75%
10.
여자청소년 내담자 P는 “저는 예쁘지 않아서 결혼하기 힘들고 결혼하지 못하면 여성으로서 가치가 없어요.”라고 말하면서 의기소침하고,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이 호소에 대한 여성주의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다문화 배경을 가진 내담자를 위한 검사선택시 내담자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신중히 고려하였다.
3.
아는 대학원생의 논문을 위해 6개월 전의 검사결과들을 연구에 제공하였다.
4.
내담자에게 적절하지 않지만 상담사가 관심 있는 검사를 사용하였다.
5.
상담사가 모르는 검사지만 보호자의 요청으로 실시하고 해석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1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존주의 상담 기법은?(2025년 09월)
1.
역설적 의도
2.
탈숙고
3.
단추누르기
4.
머물러 있기
5.
각본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해결중심단기 상담에서 '메시지' 전달의 기능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교육적 기능
2.
하향 화살표의 기능
3.
정상화 기능
4.
과제의 기능
5.
새로운 의미의 기능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상담자의 상담 단계별 과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초기: 내담자의 기대 조정
2.
초기: 성과 평가
3.
중기: 추수회기
4.
종결: 접수면접
5.
종결: 호소문제 탐색
정답 : [
1
] 정답률 : 90%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지적 오류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개인화
2.
선택적 추론
3.
흑백논리적 사고
4.
부정적 예측
5.
과잉일반화
정답 : [
2
] 정답률 : 70%
21.
다음 내담자의 말에 이어지는 상담자의 반응 중 유형이 다른 하나는?(2021년 10월)
1.
아버지한테 화가 난 것처럼 보여요.
2.
사고 소식을 듣고 정말 많이 놀랐겠네요.
3.
아버지한테 안 좋은 일이 일어나서 슬퍼하는 것 같아요.
4.
저도 저의 아버지가 술을 드실 때마다 걱정되고 화가 났었어요.
5.
아버지를 걱정하는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서 섭섭했을 것 같아요.
정답 : [
4
] 정답률 : 83%
22.
다음은 교류분석 상담의 주요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상보교류
2.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잠재적 교류
3.
ㄱ: 상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이면교류
4.
ㄱ: 상보교류, ㄴ: 이면교류, ㄷ: 교차교류
5.
ㄱ: 상보교류, ㄴ: 잠재적 교류, ㄷ: 교차교류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전화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단회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2.
신속하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익명성으로 인해 성문제 등 드러내기 어려운 주제로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4.
상습적 음란전화나 언어폭력이 있을 경우, 강력한 대처가 필요하다.
5.
대면상담에 비해 내담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90%
24.
다음의 상담자 질문에 해당하는 현실치료의 상담과정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현재의 행동 파악하기
2.
바람, 욕구, 지각 탐색하기
3.
바람, 행동, 계획 평가하기
4.
행동 계획과 실천하기
5.
선택과 책임감 갖기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기]의 상담자 질문은, 우볼딩의 상담진행 과정 중 E(Evaluation)에서 할 수 있는 질문이다. 이는 현재 행동이 자신의 소망과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이히리기]
25.
교류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대한 인식과 재결단을 돕는 것이다.
2.
교차적 교류는 상대방의 자아 상태와는 다른 자아 상태로 교류하는 것이다.
3.
상담은 교류분석-구조분석-게임분석-각본분석의 단계를 거친다.
4.
자기부정ㆍ타인긍정(I'm not OK, You're OK)의 생활자세를 지닌 사람은 열등감과 우울감, 무력감을 경험한다.
5.
성인자아 상태는 현실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부모자아 상태와 어린이자아 상태를 중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구조분석-교류분석-게임분석-각본분석 [해설작성자 : 이용자]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다음에 나타난 연구패러다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행위자가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의 파악을 중시한다.
2.
방법론적 일원주의를 주장한다.
3.
연구현상의 계량화를 강조한다.
4.
탐구과정에서 가치중립성을 전제한다.
5.
관찰에 근거하지 않은 지식의 공허함을 주장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질적연구방법론과 관련된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표집 방법 중 확률표집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층화표집(stratified sampling)
2.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3.
할당표집(quota sampling)
4.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5.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정답 : [
1
] 정답률 : 68%
28.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75%
29.
다음 중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진실험설계: 엄격하게 외래변수 통제 하에 독랍변수 조작, 시험적 조건 갖춤 → 통제집단 (전)후 비교설계, 솔로몬 4집단 설계, 요인설계 유사실험설계: 피험저 무선할당 x → 비동질 통제집단 설계, 시계열 설계, 회귀불연속설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경험적으로 관찰된 개별 사례나 현상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사실을 추론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구성하는 방법은?(2022년 10월)
1.
귀납법
2.
연역법
3.
실험법
4.
기술적 연구법
5.
탐색적 연구법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귀납법은 관찰과 경험에서 출발해 일반화된 결론을 이끌고, 연역법은 이미 알려진 원리에서 개별적 사실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31.
다음 중 연구 패러다임이 다른 하나는?(2016년 10월)
1.
사회적 실재는 객관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2.
기계론적 인과론을 갖고 있다.
3.
행위 또는 관찰가능한 현상을 주로 연구한다.
4.
해석학 또는 현상학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인간을 연구한다.
5.
모집단 전체 또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32.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34%
33.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에 대하여 지켜야 할 연구윤리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연구기간 중 획득한 정보를 비밀로 유지한다.
2.
미성년자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보호자의 동의로 본인 동의를 대신한다.
3.
연구기간 중 연구참여를 철회할 권리가 있음을 알린다.
4.
연구의 목적, 예상되는 기간 및 절차를 알린다.
5.
연구참여에 따른 잠재적 위험에 대해 알린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34.
3가지 상담기법의 효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에 100명씩 총 300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순변량분석의 모든 가정은 충족된 것으로 간주한다.)(2019년 10월)
1.
집단간 제곱합의 자유도는 2이다.
2.
집단내 제곱합의 자유도는 297이다.
3.
A값은 10이다.
4.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영가설은 기각된다.
5.
분석 결과, 3가지 상담기법의 효과는 각각 다른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영가설: 집단 간-집단 내 차이가 없다 유의확률 = .047 영가설 기각: 집단간-집단 내 차이가 있다. 해석: 어 그럼 집단간-집단내 차이가 있네? 차이가 어떻게 있는거지? 분석결과: SS(제곱합)을 보자! 3가지 상담기법의 개입에 있어 세 집단별로 차이값의 크기(=값들 간의 차이)는 100이네? 3가지 상담기법의 개입에 있어 집단 내에서 차이값의 크기는 1485이네? 어? ‘집단 간’에서 차이값의 크기가 ‘집단 내’에서의 차이값보다 커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네? 그럼 결론적으로 세 가지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다는 얘기구나!
*유의확률은 집단간-집단내의 차이가 있을 확률만을 이야기 해주는 것이고 각 상담기법 별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영가설 기각이 아님. [해설작성자 : 침신대가최고지]
<문제 해설> 외적 타당도(일반화 가능성)는 낮음: 모의상담연구는 인위적, 단순화된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 상담 현장에 연구 결과를 직접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36.
구조방정식모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측정의 오차를 통제할 수 있다.
2.
적합도 지수들을 사용하여 이론적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가 가능하다.
3.
여러 개의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4.
잠재변수를 사용하므로 측정변수로만 산출된 값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
5.
외생잠재변수와 내생잠재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므로 측정에서 발생하는 설명오차를 통제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구조방적식 모형의 장점 > 측정의 오차 통제 가능(**셜명오차가 아님) >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여 이론적 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 가능 > 여러갸의 독립, 매개,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동시에 분석 가능 > 잠재변수를 사용하므로 측정변수로만 산출된 값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청주]
37.
영가설(H0)이 참이 아닐 경우 이를 기각함으로써 올바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검정력은?(2022년 10월)
1.
α
2.
β
3.
1 - α
4.
1 - β
5.
α - β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α제1종 오류: H0가 참인데 기각 → 잘못된 결정 β제2종 오류: H0가 거짓인데 기각하지 않음 → 잘못된 결정 1 - α: 영가설 참일 때 올바르게 채택할 확률 1 - β: 검정력(Power)H0가 거짓일 때 올바르게 기각할 확률 [해설작성자 : ㅇㅁ]
38.
논문 작성 시 ‘연구방법’에 포함될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결과
3.
연구 결과 요약 및선행연구와의비교
4.
가설 설정의 근거가 되는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5.
참여자 모집 절차 및 선정 기준
정답 : [
5
] 정답률 : 62%
39.
상담연구 수행 시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에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45%
40.
다음 분산분석(ANOVA)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영가설은 '모든 집단의 평균은 같다'이다.
2.
분석에 투입된 집단의 수는 3개이다.
3.
분석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영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4.
분석에 투입된 총 사례 수는 14이다.
5.
A는 7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사례수=자유도-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2. 상관연구는 인과 관계를 직접적으로 규명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연구재료, 장비, 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연구자료를 임의로 변형, 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연구부정행위는?(2022년 10월)
1.
위조
2.
변조
3.
표절
4.
부당한 저자표시
5.
이중게재
정답 : [
2
] 정답률 : 55%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A는 상담 작업동맹을 연구하기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각 작성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가 타당하게 진행되기 위해 고려할 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다.
2.
예측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을 규명한다.
3.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의 작업동맹 간 상관계수를 산출한다.
4.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한다.
5.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특성-중다방법을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 요인분석 <- 구인타당도 2. 하위요인규명 <-구인타당도 3. 상관계수랑 내적일관성 신뢰도랑 상관없음. 4. 크론바흐알파는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A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성 논문 100편을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 진행 시 고려할 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출판편향(publication bias)은 1종 오류를 증가시킨다.
2.
피험자 한 명당 1의 자유도를 부여한다.
3.
연구설계가 빈약한 논문은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4.
책상서랍(file drawer)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질성 통계량을 확인한다.
5.
효과크기가 동질적이라면 무선효과(random effect) 모형을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2. 일반적인 자유도 개념 아님. 3. 윤리적 문제. 4. 동질설 통계량 확인은 책상서랍 문제랑 관련없음. 5. 효과 크기가 이질적일떄 무선효과 모형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연구사례에 해당하는 분석방법은?(2020년 10월)
1.
경로분석
2.
횡단적 경향분석
3.
중다회귀분석
4.
잠재성장모형
5.
계층적 군집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43%
48.
상담연구에서 단일사례연구설계(단일피험자설계, single-case research design)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임상적 유의미성 보다는 통계적 검증을 중시한다.
2.
한 개인 또는 집단을 상대로 연구대상 내 차이를 분석하여 처치효과를 추정한다.
3.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설계나 연구절차도 융통성 있게 수정할 수 있다.
4.
ABAB설계(reversal design)와 다중기저선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등이 있다.
5.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제약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49.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29%
50.
비교집단과 무선할당을 모두 사용하는 실험설계는?(2022년 10월)
1.
원시실험설계(pre-experimental design)
2.
비동일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3.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
4.
다중시계열설계(multiple time-series design)
5.
준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
정답 : [
3
] 정답률 : 46%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심리적 구성개념(constru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직접 관찰하여 측정한다.
2.
물리적 속성과 달리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추상적 개념이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규칙에 따라 대상의 속성에 수를 할당하는 것은 조작적 정의이다.
4.
일반적으로 한 가지 구성개념은 한 가지 행동으로 대응하여 측정된다.
5.
행동전집을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심리검사가 측정하는 심리적 속성 1.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 추상적 개념이다. 2. 직접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수량화해서 간접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3. 수량화하는 도구로써의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4. 심리적 측정을 통해 객관화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심리검사의 개발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ㄱ - ㅁ - ㄴ - ㄷ - ㄹ
2.
ㄴ - ㅁ - ㄱ - ㄷ - ㄹ
3.
ㄴ - ㅁ - ㄹ - ㄷ - ㄱ
4.
ㅁ - ㄴ - ㄱ - ㄹ - ㄷ
5.
ㅁ - ㄴ - ㄹ - ㄱ - ㄷ
정답 : [
5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Tip. 1. 신뢰도, 타당도 분석은 보통 마지막에 실시한다. 따라서 4, 5번 중에 고려한다. 2. 문항을 우선 개발하고 예비검사, 문항분석을 해서 문항을 조정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문제 해설> ① K-ABC(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는 전통적인 지능검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카우프만이 1983년에 개발한 검사이다. ② BGT는 투사적 목적과 함께 신경심리적 목적으로 뇌의 기질적인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③ MMPI-2는 하더웨에(Hathaway)와 매킨리(Mckinley)에 의해 제작된 대표적인 객관적 성격검사이다. ④ MBTI는 융의 심리유형이론을 토대로 마이어스와 브릭스(Myers & Briggs)가 제작한 객관적 성격유형검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2.
지능검사는 최대수행검사의 한 종류이다.
3.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를 비교할 수 있다.
4.
투사검사는 객관적 검사에 비해 채점 시 평정자 간 일치도가 낮다.
5.
특정 영역에서 행동 전집을 수집하여 측정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심리검사는 행동 전집이 아닌, 개인의 소수 표본 행동을 수집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전체 행동을 예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심리평가를 위한 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구조적 면접은 비구조적 면접에 비해 면접자 간 일치도가 낮다.
2.
구조적 면접 자료는 비구조적 면접 자료에 비해 수량화가 쉽다.
3.
구조적 면접은 수검자의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4.
면접의 형식을 선정할 때는 면접의 목적을 고려한다.
5.
구조적 면접은 면접의 내용이 정해져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61.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개발과 관련된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수렴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우울증 검사와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2.
변별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분노 검사와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3.
반분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의 홀수 문항과 짝수 문항 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4.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달 후 새로운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5.
예측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년 후 자살충동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 4번: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새로운 우울증 검사를 실시하고 1달 후 동일하게 새로운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 타당도 1. 기준타당도, 준거타당도 - 동시타당도, 공인타당도: 기존 건사와의 유사성 - 예측타당도, 예언타당도: 검사 먼저, 준거 행위 관계 측정 2. 개념타당도, 구성타당도, 구인타당도, 구조적 타당도 - 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 관련 있는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 - 변별타당도, 판별타당도: 관련 없는 변수들과 낮은 상관관계 - 요인분석: 문항들의 상관관계
▶ 신뢰도 1. 검사 재검사 신뢰도: 하나의 검사 두 번 잔행 > 보완: 동형검사신뢰도, 반분신뢰도 2. 동형검사신뢰도, 동형성계수: 다른 문항 동형 검사 제작, 두 검사 간 상관계수 3. 동질성계수(내적일관성계수) - 반분 신뢰도: 반으로 나눠서 상관 관계, 실제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으로 교정 - 크론바흐 알파: 내적 일관성, 가장 널리 쓰임 [해설작성자 : .]
다음의 특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는?(2021년 10월)
1.
Pd4(사회적 소외)
2.
Pd5(내적 소외)
3.
Sc1(사회적 소외)
4.
Sc2(정서적 소외)
5.
Si3(내적/외적 소외)
정답 : [
2
] 정답률 : 40%
68.
MMP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L척도의 상승은 솔직한 검사태도를 시사한다.
2.
A-cyn척도의 상승은 자존감이 낮고 다른 사람만큼 유능하지 못하다는 느낌과 관련된다.
3.
A-aln척도의 상승은 절도나 반항 같은 품행장애와 관련된다.
4.
무응답 반응이 30개 이상으로 너무 많으면 전체 척도를 신뢰하기 힘들다.
5.
임상척도에서 강박척도의 상승은 다양한 행동화, 비행과 관련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69.
고등학교 3학년 C는 학급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받은 후 불안감과 고통을 호소하였다. C에게 PAI를 사용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누락된 응답이 17개 이상인지 확인한다.
2.
4개의 타당도 척도에서 반응일관성과 부주의, 무관심, 왜곡 등의 문제가 있는지 살펴본다.
3.
결정문항에서 '그렇다'는 반응이 3개 이상일 때부터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4.
임상척도에서 T점수 70 이상이면 정상집단으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5.
수검자의 검사 프로파일을 24개 진단군의 평균 프로파일과 비교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모든 결정문항은 즉각적인 관심을 필요로 하는 행동이나 정신병리가 있다고 봐야함 [해설작성자 : 리틀타이거]
70.
대학생인 A는 어린 시절부터 수줍음이 많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을 보였다. 사람들과 거의 만나지 않으며 고립된 생활을 하던 A는 우울감을 호소하며 학교 상담소를 방문하였다. A의 특징을 반영하는 심리검사 결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식물, 구름 지도, 풍경, 자연 = 소외지표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다음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Sc3
2.
Sc4
3.
Ma4
4.
Pa2
5.
Pa3
정답 : [
5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Pa3: 순진성 다른 사람들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긍정적, 낙천적 태도를 보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정직하고 이타적이며 관대하다고 생각함. [해설작성자 : 해설핑]
76.
이상행동에 관한 인지이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개인 고유의 정서체계가 적응문제를 유발한다.
2.
엘리스(A. Ellis)에 따르면 정서적 장애는 비합리적 신념을 초래한다.
3.
벡(A. Beck)은 우울장애에 널리 쓰이는 치료법을 개발했다.
4.
인지치료에 대한 효과는 실험연구로 검증하기 어렵다.
5.
인지적 왜곡은 이상행동의 원인일 뿐 결과는 아니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번: 개인 고유의 정서체계가 적응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은 인지이론보다는 정서이론에 가깝습니다. 2번: 엘리스(A. Ellis)는 비합리적 신념이 정서적 장애를 초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문장은 순서가 반대입니다. 3번: 벡(A. Beck)은 우울장애 치료에 널리 쓰이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4번: 인지치료는 실험연구로 검증된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5번: 인지적 왜곡은 이상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그 결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출선생]
77.
신경생물학 연구 결과에 나타난 뇌 부위와 주요 기능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차원적 분류는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구분이 부적응성의 정도 문제일 뿐 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DSM-5의 장애는?(2023년 09월)
1.
과잉행동장애
2.
특정학습장애
3.
틱장애
4.
해리성 기억상실
5.
양극성장애
정답 : [
2
] 정답률 : 68%
80.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각성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증상은?(2017년 09월)
1.
과도한 경계심
2.
수면 장해(sleep disturbance)
3.
외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꿈
4.
집중력의 문제
5.
과도한 놀람 반응
정답 : [
3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각성: 수면 장애, 과각성(과잉 경계), 집중 곤란, 과도한 놀람 반응, 타인이나 물체에 대한 언어적 또는 신체적 공격으로 표현되는 과민한 행동과 분노 3. 외상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꿈은 ‘칩습’의 범주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DSM-5의 우울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월경전불쾌감장애는 월경이 시작되기 1주 전에 여러 가지 우울증상이 나타난다.
2.
주요우울장애는 우울한 기분 또는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증상이 필수적이다.
3.
지속성 우울장애는 적어도 2년 동안 하루의 대부분 우울한 기분이 있으며, 증상 없는 기간이 2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4.
우울장애는 양극성장애와 같은 범주로 묶인다.
5.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의 주요 특징은 만성적인 고도의 지속적 과민성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우울 장애는 양극성 및 관련 장애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Su]
82.
DSM-5의 조현병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현병 진단기준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및 사고 4.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 5. 음성증상 [해설작성자 : 로즈시아]
83.
DSM-5의 성격장애와 주요 특징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자기애성 성격장애 -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와 특권의식
2.
의존적 성격장애 - 정체감 혼란과 버림받음을 피하기 위한 과도한 노력
3.
경계선 성격장애 - 타인의 충고와 지지없이는 일상적 결정을 하기가 어려움
4.
조현성 성격장애 - 사회적 상황에서 비난당하거나 거부당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사로잡힘
5.
강박성 성격장애 -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한 과도한 노력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 회피성 3. 의존성 4. 경계선 5. 연극성 [해설작성자 : 기수]
84.
DSM-5의 강박 및 관련장애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10월)
1.
범불안장애
2.
노출장애
3.
유뇨증
4.
병적 방화(방화광)
5.
신체변형(이형)장애
정답 : [
5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신체변형장애 : 외모가 기형적이라는 착각(진짜 드문 장애) 저장장애 : 불필요한 물건 계속 모음 모발뽑기장애 : 머리카락뽑음 피부벗기기장애 * 참고. 병적도벽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로 분류되었음 [해설작성자 : 기수]
85.
DSM-5의 제II형 양극성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1회 이상의 주요우울 삽화와 경조증 삽화가 있어야 한다.
2.
목표지향적 활동이 증가되면서 수면욕구가 늘어난다.
3.
고양되거나 과민한 기분이 최소 4일 이상 지속된다.
4.
평소보다 말이 많아진다.
5.
조증 삽화는 1회도 없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86.
고등학교 2학년 B는 인터넷 게임도박을 하려고 몰래 부모의 지갑에서 돈을 꺼내 쓰다가 들켰다. 부모님이 꾸중하자 “심심해서 했고, 나는 심각하지 않다”라며 따지기도 했다. 최근 친구들에게 도박자금을 빌려 쓰다가 갚을 금액이 커지자 어머니가 갚아주었다. 이 사례에 해당하는 장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3
] 정답률 : 53%
87.
이상행동의 분류와 평가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DSM-5는 다축체계를 폐지하였다.
2.
세계보건기구(WHO)가 DSM 체계를 개발하였다.
3.
미국 정신의학회(APA)가 ICD 체계를 개발하였다.
4.
DSM-5는 장애의 증상보다 원인에 더 초점을 두었다.
5.
DSM-5는 연령, 성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88.
DSM-5의 강박 및 관련 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신체이형(변형)장애
2.
수집광(저장장애)
3.
피부뜯기(벗기기)장애
4.
반추장애
5.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강박 및 관련 장애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반추장애는 급식 및 섭식장애임 [해설작성자 : 로즈시아]
89.
DSM-5의 주요우울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주요우울장애 삽화는 1개월 이상 연속으로 지속되어야 한다.
2.
한 번 치료되면 그 이후 재발되지 않는다.
3.
어떤 연령대에서도 발병할 수 있지만, 아동기에 비해 청소년기에 발병가능성이 높아진다.
4.
조증삽화 또는 경조증삽화가 존재한 적이 있다.
5.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남성의 유병율이 여성보다 높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90.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ㄷ. 허위성(인위성) 장애는 환자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 어떠한 현실적 이득이나 목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DSM-5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적 상태에 근거할 때,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인터넷게임장애
2.
인터넷도박장애
3.
인터넷사용장애
4.
인터넷게임중독
5.
인터넷게임도박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33%
92.
신경성 폭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폭식을 하지만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도 해당된다.
2.
삽화 기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을 느낀다.
3.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된다.
4.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는다.
5.
자기평가에서 체형과 체중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이러한 요인이 자존감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신경성 폭식증 폭식행동과 보상행동 반복,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음 ▶ 폭식장애 폭식행동만, 보상행동 하지 않음.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해설작성자 : .]
93.
양극성 및 관련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양극성 장애는 제Ⅰ형과 제Ⅱ형으로 구분된다.
2.
가벼운 조증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경조증이라 한다.
3.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가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4.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유전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이 강한 편이다.
5.
제Ⅱ형 양극성 장애는 경조증 삽화가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 2형 양극성 장애는 경조증 삽화를 보이는데, 경조증삽화는 평상시의 기분과는 분명히 다른 의기양양하거나 고양된 기분이 적어도 4일간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5.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한다 → 이건 품행장애 기준이 아님. 오히려 적대적 반항장애(ODD) 특징에 가까움 [해설작성자 : 윤슬]
97.
DSM-5의 섬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흔히 수면-각성 주기의 장애를 보인다.
2.
섬망의 유병률은 노인에게서 가장 높다.
3.
대개 1개월 정도의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4.
기저의 인지 변화를 동반하는 주의나 의식의 장애이다.
5.
섬망에 수반된 지각장애는 오해, 착각 또는 환각을 포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섬망은 몇시간 혹은 며칠 내인 단기간에 발생하고 악화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21년 10월)
1.
적응장애
2.
단기 정신병적 장애
3.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4.
조현양상장애
5.
조현병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적응장애: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고 원인이 종결되면 호전된다 2. 조현증상 1개월 이내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요증상은 과각성, 재경험(침투), 사건 관련 자극 회피다 4. 조현양상장애: 1~6개월 이내 조현 증상 5. 조현병: 6개월 이상 증상 지속
*조현병의 핵심증상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사고이다 [해설작성자 : 쌀새우깡]
99.
DSM-5의 급성 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진단기준은?(2023년 09월)
1.
과도한 놀람 반응이 나타난다.
2.
무모하거나 자기파괴적 행동을 한다.
3.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거리감이나 소외감을 느낀다.
4.
중요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나 참여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5.
외상 사건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해 자신이나 타인을 책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100.
다음 증상에 적절한 성격장애는?(2016년 10월)
1.
분열형 성격장애
2.
분열성 성격장애
3.
편집성 성격장애
4.
경계성 성격장애
5.
자기애성 성격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7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③
②
⑤
⑤
①
②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④
③
⑤
②
②
②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③
⑤
③
③
①
①
⑤
⑤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③
②
⑤
③
⑤
④
⑤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②
④
⑤
①
④
①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⑤
④
②
⑤
③
⑤
⑤
⑤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⑤
③
②
①
⑤
②
④
③
⑤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①
⑤
③
⑤
③
⑤
④
②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④
①
⑤
②
③
①
④
③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①
⑤
④
①
⑤
③
④
①
①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1963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