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98862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해양학개론


1.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는?(2018년 04월)
     1. 약 2.5g/cm3
     2. 약 2.7g/cm3
     3. 약 2.9g/cm3
     4. 약 3.1g/cm3

     정답 : []
     정답률 : 78%

2. 퇴적년대 측정에 쓰이는 210Pb법은 지각 중에 들어있는 238U이 방사붕괴되어 생성된 210Pb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238U과 210Pb의 중간계열에 속하는 기체인 동위원소는?(2011년 06월)
     1. 210Bi
     2. 222Rn
     3. 210Po
     4. 206Pb

     정답 : []
     정답률 : 90%

3.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을 입도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가?(2004년 05월)
     1. Sieve방법
     2. Pippette방법
     3. Turbidity방법
     4. 물리탐사법

     정답 : []
     정답률 : 85%

4. 다음 중 해수중의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2018년 04월)
     1. Co2+
     2. Mn2+
     3. Na+
     4. Fe(OH)2-

     정답 : []
     정답률 : 88%

5. 역학적 해류계산(dynamic computation)에서 얻어지는 해류는?(2007년 05월)
     1. 지형류
     2. 취송류
     3. 관성류
     4. 조류

     정답 : []
     정답률 : 86%

6. 다음 중 침강입자를 모으는 용기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세디먼트 트랩(Sediment trap)
     2. 밀리포어 필터(Millipore filter)
     3. 반돈(Van Dorn) 채수기
     4. 무오염 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90%

7. 에크만 수심에 대한 취송류 모델에서 고려하는 힘은?(2006년 05월)
     1. 바람의 응력, 해수의 점성, 대기압력
     2. 해저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3. 마찰력, 중력, 코리올리 효과, 해수의 점성
     4. 바람의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정답 : []
     정답률 : 84%

8. 다음 중 일반적인 탄산염보상심도(CCD)의 수심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1000~2000m
     2. 2000~3000m
     3. 3000~4000m
     4. 4000~5000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탄산염보상심도(CCD)란 탄산염 퇴적물이 ㅙ수에 용해되는 깊이로 평균 4000m~5000m
(태평양 3,500m 인도양 4,500m 대서양 5,50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파랑의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에너지는 파고에 비례
     2. 에너지는 파장에 비례
     3. 에너지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
     4. 에너지는 파장의 제곱에 비례

     정답 : []
     정답률 : 83%

10. 지진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전해져서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Wave)는 무엇인가?(2005년 05월)
     1. P파
     2. S파
     3. L파
     4. S 및 L파

     정답 : []
     정답률 : 93%

11.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arthropod)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원소는?(2004년 05월)
     1. 비소
     2.
     3. 알루미늄
     4. 칼슘

     정답 : []
     정답률 : 72%

12. 다음 해저 지형 중 석유 부적 가능성이 가장 희박한 곳은?(2007년 05월)
     1. 대륙붕
     2. 대륙대
     3. 대양저평원
     4. 해구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재양저 평원은 화산,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보니 주로 차지하는 기반암이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유는 근원암, 저유암 집유구조와 덮개암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석유가 머물 수 있는 틈새가 많은 다공질 사암(저류암, 암염돔이나 석회암 등)이 기름을 머금은 상태에서 고온, 고압을 받아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2003년 05월)
     1. Kaolinite
     2. Chlorite
     3. Smectite
     4. illite

     정답 : []
     정답률 : 81%

14. 망간단괴 내의 평균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2.
     3. 구리
     4. 망간

     정답 : []
     정답률 : 88%

15.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permanent thermocline)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해역은?(2006년 05월)
     1. 적도부근
     2. 위도 20° 부근
     3. 위도 40° 부근
     4. 극지방

     정답 : []
     정답률 : 78%

16. 다음 중 열수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다금속 펄
     2. 해록석
     3. 블랙 스모커
     4. 화이트 스모커

     정답 : []
     정답률 : 84%

17. 해수의 평균 pH값이 약 8 정도이다.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했다면 어떤 형태의 이온의 조성비가 커져야 하는가?(2011년 06월)
     1. CO2
     2. H2CO3
     3. HCO3-
     4. CO3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H값이 중성일 경우 이산화탄소의 90%가 중탄산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를 식물 플랑크톤이 광합성에 이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북반구에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느 쪽인가?(2005년 05월)
     1. 오른쪽
     2. 왼쪽
     3. 같은 방향
     4. 반대방향

     정답 : []
     정답률 : 87%

19. 걸프 스트림(Gulf Stream)과 관계없는 것은?(2003년 05월)
     1. 쿠로시오와 성격이 유사하다.
     2. 더운 해수를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시킨다.
     3. 메안더링(meandering)현상을 수반하기도 한다.
     4. 적도류(Equatorial current)와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Gulf stream은 적도류 일부로 시작
[해설작성자 : 농듀니]

20. 파랑의 에너지 파고(H)의 얼마에 비례하는가?(2011년 06월)
     1. H-1/2
     2. H1/2
     3. H
     4. H2

     정답 : []
     정답률 : 90%

2과목 : 해양생태학


21. 염습지를 구성하는 생물로서 우리나라의 염습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은?(2011년 06월)
     1. 망그로브
     2. 칠면초
     3. 스파르티나
     4. 모자반

     정답 : []
     정답률 : 76%

22. 일반적으로 조간대 상부에 살고 있지 않은 조류는?(2006년 05월)
     1. 돌김
     2. 미역
     3. 불등가사리
     4. 매생이

     정답 : []
     정답률 : 68%

23. 온대지역 하구역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에 속하지않는 것은?(2019년 04월)
     1. 맹그로브
     2. 염습지 식생
     3. 잘피숲(거머리말)
     4. 식물플랑크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맹그로브는 아열대 조간대에 서식하는 관목임.    
[해설작성자 : 잔망루피]

24. 식물플랑크톤의 직접 과정에 관련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랭뮈르 순환(Langmuir circulation)
     2. 식물성 플랑크톤의 개체 분열방식
     3. 빛, 영양염류 등이 좋은 환경
     4. 포식자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유영이동

     정답 : []
     정답률 : 81%

25. 지속성 유기오염원(POPs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PAHs(polyaromatic Hydro Carbon)
     2. PCB(polychlorinated bipenyl)
     3. TBT(Tributyltin)
     4. GTX(Gonyautoxi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2.3은 인공화학이지만,4는 패류의 마비독이므로 지속성 유기오염원이라 보기엔 어렵다.
[해설작성자 : 상병]

26. 생태학적 견지에서 볼 때 높은 탁도(high turbidity)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2004년 05월)
     1. 동물들의 숨을 막히게 한다.
     2. 태양광선의 투과를 감소시킨다.
     3. 여과식자(filter feeder)에게는 매우 좋다.
     4. 포식자로부터 저서동물을 보호하기가 쉽다.

     정답 : []
     정답률 : 88%

27. 해양에서 항온동물로 출현하는 종류는?(2009년 05월)
     1. 연체류
     2. 바다거북류
     3. 열대어류
     4. 돌고래류

     정답 : []
     정답률 : 85%

28. 수괴(water masses)의 지표종으로 흔히 사용되는 화살벌례(arrow worms, Sagitta)가 속하는 동물문은?(2017년 05월)
     1. 연체동물문
     2. 모악동물문
     3. 절지동물문
     4. 극피동물문

     정답 : []
     정답률 : 87%

29. 다음 중 유독성 적조 생물은?(2008년 05월)
     1. 규조류의 스켈레토네마 (Skeletonema)
     2. 편모조류의 짐노디늄(Gymnodinium)
     3. 남조류의 트리코데스뮴(Trichodesmium)
     4. 규조류의 키토세로스(Chaetoceros)

     정답 : []
     정답률 : 92%

30. 해산 유영동물의 범주에 속하는 종류로만 나열된 것은?(2021년 05월)
     1. 펭귄, 청어, 오징어
     2. 물개, 바다뱀, 잉어
     3. 붕장어, 붕어, 먹장어
     4. 드렁허리, 베도라치, 개복치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해산 유영동물이란, 해양에서 수영하면서 생활하는 동물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펭귄, 청어, 오징어는 모두 해산 유영동물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jh]

31. 다음 생물들 중 유기오염역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염 지시종은?(2008년 05월)
     1. Capitella capitata
     2. Sagitta elegans
     3. Chaetoceros sp.
     4. Macoma balthica

     정답 : []
     정답률 : 85%

32. 해수의 부영양화(eutrophication)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의 설명 중 틀린것은?(2011년 06월)
     1. 육지로부터의 영양염 과다공급
     2. 도시의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
     3. 불충분한 해수의 순환
     4. 기초생산력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1%

33.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생물로 알려진 대왕고래는 수염고래류에 속하며 이들은 커다란 입을 가지나 이빨이 없고, 술 장식의 고래수염(baleen)이라는 기관을 갖는다. 이 기관의 기능은?(2019년 04월)
     1. 음파를 받아들이는 기관이다.
     2. 호흡기관이다.
     3. 수중의 동물플랑크톤을 걸러낸다.
     4. 수중의 소리를 발생하는 기관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34. 대양의 심층부에 언제나 생물의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흑해 제외)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2021년 05월)
     1. 생물군의 밀도가 적어 산소의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2. 심해일지라도 해류의 수직이동에 의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심해는 항상 온도가 낮으므로 산소 수중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4. 한대지방에서 침전된 산소의 함량이 높은 해류가 전대양의 심층부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대서양에서는 북극의 미크론 해류(Mid-Ocean Ridge)에서 지속적으로 산소가 방출되고, 이러한 해류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여 대양의 심층부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h]

35. 해양의 생태환경을 외양역, 연안역, 용승해역으로 구분 할 경우, 용승해역의 생태계 특성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5월)
     1. 영양단계의 수가 4~6으로 많고, 생태계수는 약 10% 정도이다.
     2. 영양단계의 수가 3~5정도이고, 생태계수는 약 15% 정도이다.
     3. 영양단계의 수가 1이고, 생태계수는 약 30% 정도이다.
     4. 영양단계의 수가 2~3으로 적고, 생태계수는 약 20%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36. 우리나라 서해 하구역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여름에 염분이 낮고, 겨울철에 염분이 높다.
     2. 만조 시에 염분이 낮고, 간조 시에 염분이 높다.
     3. 수온은 연안에 비해 겨울철에 낮고, 여름철에 높다.
     4. 노출된 연안보다 파도가 세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71%

37. 갯벌생물의 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바지락은 대표적인 퇴적물식자이다.
     2. 칠게는 부유물식자이다.
     3. 왕좁쌀무늬고둥은 부유물식자이다.
     4. 민칭이는 표층 퇴적물식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해설) 조개류는 보통 수관을 가지고 해수의 유기물을 걸러 먹는 여과식자이다 고둥류는 퇴적물내의 유기물을 먹는 퇴적물식자이다 게류 또한 퇴적물식자이다
[해설작성자 : 해치몬]

38. 다음 중 간극동물(Interstitial fauna)의 군집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환경요인은?(2007년 05월)
     1. 해류
     2. 저질의 입도조성
     3. 수온
     4. 먹이관계

     정답 : []
     정답률 : 88%

39. 해중 식물 군락이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기초생산력이 증대된다.
     2. 작은 동물이나 부착생물의 서식장소를 제공한다.
     3.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를 흡수한다.
     4. 회유성 어류의 서식처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40. 영양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영양 구조가 복잡할수록 먹이 연쇄가 복잡하다.
     2. 영양 구조가 복잡할수록 먹이 연쇄가 간단하다.
     3. 영양구조는 먹이 연쇄와 관련이 없다.
     4. 영양구조는 해양 생태계에만 있다.

     정답 : []
     정답률 : 93%

3과목 : 해양계측학


41. 해양 퇴적물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천해성 퇴적물은 유기 기원인 것이 바다로 운반되어 해류의 작용을 받아 얕은 해저에 퇴적된 것이다.
     2. 심해성 퇴적물은 대륙주변부 또는 해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퇴적물이다.
     3. 대부분의 심해 퇴적물은 생물기원 퇴적물이다.
     4. 천해성 퇴적물은 생물기원 물질의 양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립질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42. 다음 중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수중카메라
     2.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3. 음향측심기
     4. 해상중력계

     정답 : []
     정답률 : 88%

43. 겉보기산소소비량(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AOU 값이 클수록 유기물 분해량이 많다.
     2. AOU 값과 유기물 분해량은 관계가 없다.
     3. AOU 값이 클수록 인산염의 재생량은 적다.
     4. AOU 값과 비보존성 인산염의 농도는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44. 대기 및 구름상태와 해양수온관측을 주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은?(2019년 04월)
     1. SPOT
     2. NOAA
     3. NIMBUS series
     4. LANDSAT series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농업 및 산림 등 식생 모니터링
2. 미국 해양대기청의 기상위성
3. 기상, 고층, 대기, 해양 관측
4. 천연자원 감소, 새로운 농지 개발, 환경파괴 등
[해설작성자 : 코딱지]

45. Wave rider 파고계는 무엇에 의하여 파랑을 측정하는가?(2003년 05월)
     1. 악셀로메타(accelerometer)
     2. 하이드로폰(Hydrophone)
     3. 마그네토메타(magnetometer)
     4. 레이저(laser)

     정답 : []
     정답률 : 67%

46. SEASAT과 같은 위성이 ALT 센서 시스템으로 바다의 수위나 파고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센서가 측정해야 할 요소는?(2011년 06월)
     1. 전자파의 왕복시간
     2. 수중 후방산란계수(Back scatter coefficient)
     3. 반사에너지
     4. 수중 감쇄 광량

     정답 : []
     정답률 : 83%

47.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 측정에 사용할 수 없는 방사성 핵종은?(2012년 05월)
     1. 10BE
     2. 14C
     3. 230Th
     4. 231Pa

     정답 : []
     정답률 : 84%

48. 거리가 떨어져 있는 두 전극을 이용하여 전극사이의 해수의 흐름의 변화에 따른 전도성 변화를 측정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기기는?(2017년 05월)
     1. XBT
     2. GEK
     3. ADCP
     4. ARGO float

     정답 : []
     정답률 : 80%

49. 퇴적물의 입도 분석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계산하는 첨도(Kurtosis)란?(2012년 05월)
     1. 평균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분산 정도
     2. 분포 곡선의 뾰족한 정도
     3. 평균 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
     4. 분포 곡선의 표준 편차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첨도는 뾰족한 정도, 왜도가 대칭성
[해설작성자 : 해양과학과]

50. 조석의 조화분석시에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4개 주요 분조가 맞는 것은?(2005년 05월)
     1. M2 S2 N2 K2
     2. K1 O1 P1 Q1
     3. M2 S2 P1 Q1
     4. M2 S2 K1 O1

     정답 : []
     정답률 : 65%

51. 조석관측 방법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부표식
     2. 압력식
     3. 지자기식
     4. 초음파식

     정답 : []
     정답률 : 84%

52. 망간단괴 등 큰 덩어리의 채취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5월)
     1. Grab
     2. Corer
     3. Dredge
     4. Snapper

     정답 : []
     정답률 : 81%

53. NOAA 위성의 탐사장비로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장비는?(2012년 05월)
     1. MSS
     2. AVHRR
     3. SMMR
     4. SAR

     정답 : []
     정답률 : 73%

54. 변환기(transducer)를 사용하여 연안지역의 고해상도 퇴적층 단면도 자료를 획득하는 지층탐사 장비는?(2022년 04월)
     1. Air Gun
     2. Side scan sonar
     3. Multi beam echo sounder
     4. 3.5kHz subbottom profiler

     정답 : []
     정답률 : 65%

55. 국제해양학 위원회는 정확한( ⓐ )량을 미리 정하여 이를 전세계 해양관측 자료분석에 제공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북대서양 중앙부의 해수를 채취하여 약 ( ⓑ )mℓ의 량을 유리 앰플에 넣어 배부 사용하고 있고 이를 ( ⓒ )라 한다. 각 괄호 안에 해당하는 것은?(2005년 05월)
     1. ⓐ 산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2. ⓐ 밀도,ⓑ 1,00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3. ⓐ 온도,ⓑ 500, ⓒ Copenhagen sea water
     4. ⓐ 염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정답 : []
     정답률 : 75%

56. 수심이 깊은 해역의 10km 떨어진 두 정점사이에서 해수면의 높이의 차가 10cm라고 하면 유속은 얼마인가? (단, 대기의 영향은 무시하고, f=10-4/sec, g=1,000cm/sec2로 가정한다.)(2005년 05월)
     1. 0.1 cm/sec
     2. 1.0 cm/sec
     3. 10 cm/sec
     4. 100 cm/sec

     정답 : []
     정답률 : 61%

57. 다음 기기 중에서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XBT
     2. PDR
     3. Nansen bottle
     4. 전도온도계(방압과 피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Nansen bottle: 원하는 수심에서 해수를 채수하기 위한 채수기, 그러므로 수심을 측정하는 기기와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하이하]

58. 해양 석유탐사시 가장 효과적인 탐사방법은?(2007년 05월)
     1. 중력탐사법
     2. 자력탐사법
     3. 지진파탐사법
     4. 열류량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80%

59. 수심 3000m 에서의 압력은?(2008년 05월)
     1. 약 3기압
     2. 약 30기압
     3. 약 300기압
     4. 약 3000기압

     정답 : []
     정답률 : 88%

60. GEK 해류계 감지부인 케이블 내의 두 전극사이의 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6년 05월)
     1. 약 1m
     2. 약 10m
     3. 약 100m
     4. 약 1,000m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약 1m
[해설작성자 : 치즈박]

4과목 : 해수의 수질분석


61. 해수중 황화수소 실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황호수소는 해수중의 용존 산소 또는 대기에 노출 되었을 때 매우 쉽게 산화한다.
     2. 시료를 시료병에 받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3. 현장에서 즉시 측정하지 않을 경우 1mL의 초산 아연용액을 첨가한다.
     4. 시료를 암소에 보관할 때 수주간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62. 해저퇴적물 중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는 원자흡수분광광도계이다. 이 기기를 사용할 때 각 물질과 중공음극관의 파장이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구리: 324.7nm
     2. 망간: 279.5nm
     3. 아연: 213.9nm
     4. 알루미늄: 248.3nm

     정답 : []
     정답률 : 82%

63. 0.1N 염산용액 10ml를 중화하는데 KOH용액 200ml가 소비되었다면 KOH용액의 pH는?(2021년 05월)
     1. 11.0
     2. 11.5
     3. 11.7
     4. 12.0

     정답 : []
     정답률 : 60%

64. 해수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여 전자포획검출기(ECD)로 분석한다.
     2.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1L 유리용기에 넣은 후 분석 시까지 냉장 보관한다.
     3.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및 검출기를 이용한 기기검출한계는 95% 신뢰구간에서 10ng/L 미만이다.
     4. 유기주석화합물은 분해 및 생분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차광용기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전자포획검출기(X) -> 불꽃광도검출기(FPD) (O)
[참고] 해수공정시험기준 제35항 유기주석화합물 참고
[해설작성자 : 하이하]

65. 최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방법에 대한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의 2단계로 나누어 시험한다.
     2. 추정시험에서 발효관의 수는 각 희석액에 따라 5개씩 시험한다.
     3. 확정시험에서 무균조작으로 BGLB 배지에서 48±3시간 배양하여 가스가 발생하면 양성으로 한다.
     4. 추정시험에서 배양하여 발효관에 가스발생이 있으면 대장균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66. 해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시료 중의 유기물을 강산화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낸다.
     2. 유기물의 난분해성 정도와 염분 등의 간섭조간에 따라 산화정도의 차이가 크다
     3. 해수중의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중크롬산칼륨법은 강력한 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산화효율이 높아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67. 해수중의 Chlorophyll-a 측정에 과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Chlorophyll-a 함량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해수시료를 유리섬유여과지로 여과하여 아세톤으로 Chlorophyll-a를 추출한다.
     3. Chlorophyll-a 표준용액으로 작성된 검정선으로부터 농도를 산출한다.
     4. 아세톤으로 추출된 Chlorophyll-a를 흡광광도법이나 형광법으로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8. 분광광도계에 의한 클로로필-a 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건조기
     2. 교반기
     3. 여과기
     4. 원심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78%

69. 해수 시료 중 Pb의 전처리 과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pH 10으로 알칼리성으로 만든 후 아세톤으로 추출한다.
     2. 유기용매인 CH2Cl2 로 추출하여, 황산 0.1N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3. pH 2로 처리한 후, 유기착화제로 유기금속착화합물을 형성한 후, 기화시켜 냉트랩으로 포착한다.
     4. CHCl3, freon 등으로 추출한 후, 비금속착화합물 형성 후 열판을 이용하여 휘발·건조시킨 다음 잔유물을 질산용액으로 재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해수시료 중의 납은 pH 4~5에서 유기착화제(킬레이트)에 의해 비극성 유기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한 후
클로로포름,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레온 동의 유기용매로 추출한다.
유기용매에 의해 추출된 시료는 청정상태에서 열판을 이용 휘발,건조시킨 후 잔유물을 질산 용액에 재용해한 다음
전열 흑연로를 이용한 원자흡광광도계 또는 icp-ms에 의해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0. COD 측정 때 0.025N KMnO4 1mL는 산소 몇 mg에 해당하는가?(2003년 05월)
     1. 0.025 mg
     2. 0.05 mg
     3. 0.200 mg
     4. 0.100 mg

     정답 : []
     정답률 : 50%

71. 해수의 규산규소 분석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시료 10 ㎖에 몰리브덴산용액 4 ㎖를 첨가 혼합하고 약 10분간 반응시킨다.
     2. 환원용액 6 ㎖을 첨가한 후 즉시 혼합하여 약 2~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3. 분광광도계의 셀에 넣고 64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흡광도와 농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농도를 환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72. 선박의 방오도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Imposex현상 등 환경문제를 유발하여 세계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TBT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2015년 05월)
     1. 해수 중에 들어 있는 것을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한다.
     2. 광분해되거나 생분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차광용기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해야 한다.
     3. 농축과정은 회전증발농축기 또는 구데르나-데니쉬 농축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4. 사용되는 시약 중 무수황산나트륨은 잔류농약용 혹은 특급시약을 450℃에서 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70℃에서 보관하고 사용직전에 상온으로 식혀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73. 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퇴적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무게차를 측정하는 방법
     2. 입자들을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
     3. 시약과 반응시킨 후 퇴적물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방법
     4. 강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그 무게를 알아내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1%

74.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해수의 COD 측정 시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법을 사용하는 이유는?(2020년 06월)
     1. 해수는 약알칼리성이기 때문이다.
     2. 칼슘, 마그네슘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알칼리성에서 과망간산칼륨의 산화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4. 산성에서는 염화이온을 산화시키는데 과망간산칼륨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중크롬산칼륨법과 산성 과망간산칼륨법은 산성하에서 염소이온과 산화제가 많이 반응하여 화학적 산소요구량 값이 실제보다 높게 나타나고, 산화된 염소는 유독가스로 발생된다. 따라서, 해수와 같이 염소이온이 많이 함유된 시료의 경우에는 산화력은 조금 떨어지지만 알칼리성 과망간산 칼뮴법이 많이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5. 해수 중 부유 물질을 측정할 때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 후 10mL 증류수로 3회 반복 씻은 후 여과조작을 하는 주된 이유는?(2006년 05월)
     1. 미세한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2. 유기 오염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3. 염분을 씻어내기 위해
     4. 휘발성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7%

76. 해양 퇴적물의 입도 분석 시 시료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약은?(2019년 04월)
     1. H2O2
     2. NaOH
     3. NH4Cl
     4. H2SO4

     정답 : []
     정답률 : 66%

77. 해주중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검출기는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를 사용한다.
     3.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농축 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하여 분석방해물질을 제거한다.
     4. PCB는 단일물질이기 때문에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서 표준물질과 동일한 머무름 시간을 가진 한 개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78.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pH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료는 유리마개를 닫은 후 24시간 이내에 분석해야 한다.
     2. pH 미터의 보정은 측정 당일 시료 측정 전에 행하여져야 한다.
     3. 유리전극은 미리 해수에 수 시간 이상 담가두며 pH 미터는 전원을 넣어 5분 이상 경과 후 실험실용 무형광 휴지나 천으로 가볍게 닦아낸다.
     4. 해수의 pH 시료병을 시료의 일부로 2~3회 충분히 세척한 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고무관으로 바닥에서부터 천천히 받아 시료가 충분히 넘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pH는 즉시 측정 한다 (+수온도 즉시 측정)
[해설작성자 : 해치몬]

79. 해수 시료 중 규산염은 일차적으로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결성시켜 측정하는데, 이 때 해수 시료중에 몰리브덴산 착화합물 만드는 다른 성분은?(2006년 05월)
     1. 질산
     2. 바륨
     3. 인산
     4. 코발트

     정답 : []
     정답률 : 70%

80. 해수의 대장균군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최적확수 시험법
     2. 막여과에 의한 시험법
     3. 발색제에 의한 시험법
     4. Microtox bioassay 시험법

     정답 : []
     정답률 : 81%

8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자는 국제기금의 보상한도액을 초과하는 유휴오염손해에 대하여는 어떤 협약에 따라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가?(2017년 05월)
     1. 1992년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2.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
     3.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의 2003년 의정서
     4. 2001년 선박 연료유 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68%

82. 선박으로부터 대량의 기름이 배출되는 경우 이를 목격한 선박의 선장이 하여야 할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 (단, 선장은 선박의 소유자가 아니다.)(2017년 05월)
     1. 선박 손상부위의 긴급수리
     2. 방제주치에 소요된 비용부담
     3. 해양경비안전서장 등에 신고
     4. 기름확산 방지를 위한 필요조치

     정답 : []
     정답률 : 83%

83. OPRC 협약의 채택일과 국제발효일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7년 05월)
     1. 채택일: 1989.03.24, 국제발효일: 1994.09.24
     2. 채택일: 1989.03.24, 국제발효일: 1995.05.13
     3. 채택일: 1990.11.30, 국제발효일: 1995.05.13
     4. 채택일: 1990.11.30, 국제발효일: 1996.11.24

     정답 : []
     정답률 : 82%

84.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경찰청장 소속 해양환경감시원의 직무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해양공간으로 유입되거나 해양에 배출되는 폐기물을 감시
     2. 해양오염방제업자 및 유창청소업자가 운영하는 시설에 대한 검사·지도
     3. 해양시설에서의 방제선등의 배치·설치 및 자재·약제의 비치 상황에 관한 검사
     4. 오염물질의 배출 또는 배출혐의가 있다고 인정된 경우 조사활동 및 감식·분석을 위한 오염시료 채취 등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번 내용은 '해양수산부 장관 소속 해양환경감시원'의 직무임. 따라서 정답은 1번.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2307호, 2021. 12. 31., 일부개정] - 제 90조 (해양환경감시원)
[해설작성자 : 하이하]

85. 다음 중에서 선박오염물질기록부 중 기름기록부 비치의무 대상 선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총톤수 50톤급 화물선
     2. 총톤수 10톤급 유조선
     3. 경하배수톤수 300톤급 군함
     4. 총톤수 100톤급 여객선

     정답 : []
     정답률 : 58%

86.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의 유입·확산 또는 퇴적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해역관리청이 할 수 있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오염된 퇴적물의 수거
     2. 오염물질의 수거 및 처리
     3. 오염물질 배출부과금 증수
     4. 오염물질 유입·확산방지시설의 설치

     정답 : []
     정답률 : 70%

87. 공유수면매립의 경우 매립기본계획의 기간단위는 몇 년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몇년 마다 하게 되어 있는가?(2005년 05월)
     1. 10년, 5년
     2. 7년, 3년
     3. 5년, 2년
     4. 3년, 1년

     정답 : []
     정답률 : 70%

88.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특별관리해역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울산연안
     2. 광양만
     3. 시화호, 인천연안
     4. 함평만

     정답 : []
     정답률 : 80%

89.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2.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 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
     3. 선박법 규정에 의한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4. 해저광물자원 개발법 규정에 따라 지정된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정답 : []
     정답률 : 82%

90.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오염방제설비 중 형식승인을 얻어야 하는 자재, 약제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유겔화제
     2. 유처리제
     3. 유흡착재
     4. 유수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77%

91.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선박에 최초로 설치하여 항해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받는 검사는?(2006년 05월)
     1. 임시검사
     2. 제 1종 중간검사
     3. 제 2종 중간검사
     4. 정기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92.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보전해역에 대한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2. 생태계의 보전이 양호한 곳으로서 지속적인 보전이 필요한 해역이다.
     3.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
     4. 해양오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육지를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93.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책임한도액을 초과하는 청구금액을 명시한 서면청구일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책임제한절차 개시 신청을 해야 하는가?(2021년 05월)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6개월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② 제1항 본문에 따라 유류오염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려는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제8조에 따른 책임한도액을 초과한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를 서면으로 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법원에 「선박소유자 등의 책임제한절차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라 책임제한절차 개시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 따라서 정답은 4번!
[참고] 유류오염손해 배상보장법 / 제7조
[해설작성자 : 하이하]

94.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검사증서 및 협약검사증서(방오시스템검사증서를 제외)의 유효기간은?(2008년 05월)
     1. 2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 : []
     정답률 : 88%

95.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보장계약을 체결하여야 할 선박은 몇 톤 이상의 산적 유류를 화물로 운송하는 선박인가?(2022년 04월)
     1. 100톤
     2. 200톤
     3. 500톤
     4. 1000톤

     정답 : []
     정답률 : 65%

96. 다음 중 해양오염방지법의 적용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안 및 기타 해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해역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
     2. 대한민국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3.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4. 방사성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정답 : []
     정답률 : 83%

97. 73/78 MARPOL 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의 유효기간은?(2013년 06월)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81%

98.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류오염사고로 인해 손해를 본 피해자가 선박소유자 또는 보험자로부터 배상받지 못한 유류오염손해금액에 대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곳은?(2021년 05월)
     1. 선적국
     2. 국제기금
     3. 선박소유자의 국가
     4. 보장계약증명서교부국

     정답 : []
     정답률 : 83%

99. 다음 중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에서 선박소유자에게 오염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면책권이 인정되는 경우는?(2006년 05월)
     1. 국가의 항로표지 관리 잘못으로 생긴 손해
     2. 선박 사용인의 고의로 인한 경우
     3. 선박의 감항능력이 부족한 경우
     4. 다른 선박과 충돌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5%

100.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해양보호구역에서의 행위 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공유수면 또는 토지의 형질변경 행위
     2. 공유수면에서의 바다모래·규사 및 토석의 채취 행위
     3. 공유수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해수의 수위 또는 수량에 증감을 가져오게 하는 행위
     4. 해양보호구역의 해양생태계에 대한 정기적인 현황조사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관측시설 등의 설치 행위

     정답 : []
     정답률 : 85%


정 답 지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98862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해양학개론


1.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는?(2018년 04월)
     1. 약 2.5g/cm3
     2. 약 2.7g/cm3
     3. 약 2.9g/cm3
     4. 약 3.1g/cm3

     정답 : []
     정답률 : 78%

2. 퇴적년대 측정에 쓰이는 210Pb법은 지각 중에 들어있는 238U이 방사붕괴되어 생성된 210Pb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238U과 210Pb의 중간계열에 속하는 기체인 동위원소는?(2011년 06월)
     1. 210Bi
     2. 222Rn
     3. 210Po
     4. 206Pb

     정답 : []
     정답률 : 90%

3.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을 입도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가?(2004년 05월)
     1. Sieve방법
     2. Pippette방법
     3. Turbidity방법
     4. 물리탐사법

     정답 : []
     정답률 : 85%

4. 다음 중 해수중의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2018년 04월)
     1. Co2+
     2. Mn2+
     3. Na+
     4. Fe(OH)2-

     정답 : []
     정답률 : 88%

5. 역학적 해류계산(dynamic computation)에서 얻어지는 해류는?(2007년 05월)
     1. 지형류
     2. 취송류
     3. 관성류
     4. 조류

     정답 : []
     정답률 : 86%

6. 다음 중 침강입자를 모으는 용기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세디먼트 트랩(Sediment trap)
     2. 밀리포어 필터(Millipore filter)
     3. 반돈(Van Dorn) 채수기
     4. 무오염 채수기

     정답 : []
     정답률 : 90%

7. 에크만 수심에 대한 취송류 모델에서 고려하는 힘은?(2006년 05월)
     1. 바람의 응력, 해수의 점성, 대기압력
     2. 해저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3. 마찰력, 중력, 코리올리 효과, 해수의 점성
     4. 바람의 마찰력, 해수의 점성, 코리올리 효과

     정답 : []
     정답률 : 84%

8. 다음 중 일반적인 탄산염보상심도(CCD)의 수심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1000~2000m
     2. 2000~3000m
     3. 3000~4000m
     4. 4000~5000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탄산염보상심도(CCD)란 탄산염 퇴적물이 ㅙ수에 용해되는 깊이로 평균 4000m~5000m
(태평양 3,500m 인도양 4,500m 대서양 5,50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파랑의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에너지는 파고에 비례
     2. 에너지는 파장에 비례
     3. 에너지는 파고의 제곱에 비례
     4. 에너지는 파장의 제곱에 비례

     정답 : []
     정답률 : 83%

10. 지진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전해져서 어떤 지점이든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Wave)는 무엇인가?(2005년 05월)
     1. P파
     2. S파
     3. L파
     4. S 및 L파

     정답 : []
     정답률 : 93%

11.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arthropod)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원소는?(2004년 05월)
     1. 비소
     2.
     3. 알루미늄
     4. 칼슘

     정답 : []
     정답률 : 72%

12. 다음 해저 지형 중 석유 부적 가능성이 가장 희박한 곳은?(2007년 05월)
     1. 대륙붕
     2. 대륙대
     3. 대양저평원
     4. 해구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재양저 평원은 화산,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보니 주로 차지하는 기반암이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유는 근원암, 저유암 집유구조와 덮개암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석유가 머물 수 있는 틈새가 많은 다공질 사암(저류암, 암염돔이나 석회암 등)이 기름을 머금은 상태에서 고온, 고압을 받아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우리나라 근해에서 가장 풍부한 점토 광물은?(2003년 05월)
     1. Kaolinite
     2. Chlorite
     3. Smectite
     4. illite

     정답 : []
     정답률 : 81%

14. 망간단괴 내의 평균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2.
     3. 구리
     4. 망간

     정답 : []
     정답률 : 88%

15.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permanent thermocline)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해역은?(2006년 05월)
     1. 적도부근
     2. 위도 20° 부근
     3. 위도 40° 부근
     4. 극지방

     정답 : []
     정답률 : 78%

16. 다음 중 열수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다금속 펄
     2. 해록석
     3. 블랙 스모커
     4. 화이트 스모커

     정답 : []
     정답률 : 84%

17. 해수의 평균 pH값이 약 8 정도이다.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했다면 어떤 형태의 이온의 조성비가 커져야 하는가?(2011년 06월)
     1. CO2
     2. H2CO3
     3. HCO3-
     4. CO32-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H값이 중성일 경우 이산화탄소의 90%가 중탄산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를 식물 플랑크톤이 광합성에 이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북반구에서 취송류의 방향은 바람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느 쪽인가?(2005년 05월)
     1. 오른쪽
     2. 왼쪽
     3. 같은 방향
     4. 반대방향

     정답 : []
     정답률 : 87%

19. 걸프 스트림(Gulf Stream)과 관계없는 것은?(2003년 05월)
     1. 쿠로시오와 성격이 유사하다.
     2. 더운 해수를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시킨다.
     3. 메안더링(meandering)현상을 수반하기도 한다.
     4. 적도류(Equatorial current)와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Gulf stream은 적도류 일부로 시작
[해설작성자 : 농듀니]

20. 파랑의 에너지 파고(H)의 얼마에 비례하는가?(2011년 06월)
     1. H-1/2
     2. H1/2
     3. H
     4. H2

     정답 : []
     정답률 : 90%

2과목 : 해양생태학


21. 염습지를 구성하는 생물로서 우리나라의 염습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은?(2011년 06월)
     1. 망그로브
     2. 칠면초
     3. 스파르티나
     4. 모자반

     정답 : []
     정답률 : 76%

22. 일반적으로 조간대 상부에 살고 있지 않은 조류는?(2006년 05월)
     1. 돌김
     2. 미역
     3. 불등가사리
     4. 매생이

     정답 : []
     정답률 : 68%

23. 온대지역 하구역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에 속하지않는 것은?(2019년 04월)
     1. 맹그로브
     2. 염습지 식생
     3. 잘피숲(거머리말)
     4. 식물플랑크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맹그로브는 아열대 조간대에 서식하는 관목임.    
[해설작성자 : 잔망루피]

24. 식물플랑크톤의 직접 과정에 관련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랭뮈르 순환(Langmuir circulation)
     2. 식물성 플랑크톤의 개체 분열방식
     3. 빛, 영양염류 등이 좋은 환경
     4. 포식자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유영이동

     정답 : []
     정답률 : 81%

25. 지속성 유기오염원(POPs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PAHs(polyaromatic Hydro Carbon)
     2. PCB(polychlorinated bipenyl)
     3. TBT(Tributyltin)
     4. GTX(Gonyautoxi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2.3은 인공화학이지만,4는 패류의 마비독이므로 지속성 유기오염원이라 보기엔 어렵다.
[해설작성자 : 상병]

26. 생태학적 견지에서 볼 때 높은 탁도(high turbidity)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2004년 05월)
     1. 동물들의 숨을 막히게 한다.
     2. 태양광선의 투과를 감소시킨다.
     3. 여과식자(filter feeder)에게는 매우 좋다.
     4. 포식자로부터 저서동물을 보호하기가 쉽다.

     정답 : []
     정답률 : 88%

27. 해양에서 항온동물로 출현하는 종류는?(2009년 05월)
     1. 연체류
     2. 바다거북류
     3. 열대어류
     4. 돌고래류

     정답 : []
     정답률 : 85%

28. 수괴(water masses)의 지표종으로 흔히 사용되는 화살벌례(arrow worms, Sagitta)가 속하는 동물문은?(2017년 05월)
     1. 연체동물문
     2. 모악동물문
     3. 절지동물문
     4. 극피동물문

     정답 : []
     정답률 : 87%

29. 다음 중 유독성 적조 생물은?(2008년 05월)
     1. 규조류의 스켈레토네마 (Skeletonema)
     2. 편모조류의 짐노디늄(Gymnodinium)
     3. 남조류의 트리코데스뮴(Trichodesmium)
     4. 규조류의 키토세로스(Chaetoceros)

     정답 : []
     정답률 : 92%

30. 해산 유영동물의 범주에 속하는 종류로만 나열된 것은?(2021년 05월)
     1. 펭귄, 청어, 오징어
     2. 물개, 바다뱀, 잉어
     3. 붕장어, 붕어, 먹장어
     4. 드렁허리, 베도라치, 개복치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해산 유영동물이란, 해양에서 수영하면서 생활하는 동물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펭귄, 청어, 오징어는 모두 해산 유영동물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jh]

31. 다음 생물들 중 유기오염역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염 지시종은?(2008년 05월)
     1. Capitella capitata
     2. Sagitta elegans
     3. Chaetoceros sp.
     4. Macoma balthica

     정답 : []
     정답률 : 85%

32. 해수의 부영양화(eutrophication)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의 설명 중 틀린것은?(2011년 06월)
     1. 육지로부터의 영양염 과다공급
     2. 도시의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
     3. 불충분한 해수의 순환
     4. 기초생산력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1%

33.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생물로 알려진 대왕고래는 수염고래류에 속하며 이들은 커다란 입을 가지나 이빨이 없고, 술 장식의 고래수염(baleen)이라는 기관을 갖는다. 이 기관의 기능은?(2019년 04월)
     1. 음파를 받아들이는 기관이다.
     2. 호흡기관이다.
     3. 수중의 동물플랑크톤을 걸러낸다.
     4. 수중의 소리를 발생하는 기관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34. 대양의 심층부에 언제나 생물의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흑해 제외)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2021년 05월)
     1. 생물군의 밀도가 적어 산소의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2. 심해일지라도 해류의 수직이동에 의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심해는 항상 온도가 낮으므로 산소 수중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4. 한대지방에서 침전된 산소의 함량이 높은 해류가 전대양의 심층부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대서양에서는 북극의 미크론 해류(Mid-Ocean Ridge)에서 지속적으로 산소가 방출되고, 이러한 해류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여 대양의 심층부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h]

35. 해양의 생태환경을 외양역, 연안역, 용승해역으로 구분 할 경우, 용승해역의 생태계 특성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5월)
     1. 영양단계의 수가 4~6으로 많고, 생태계수는 약 10% 정도이다.
     2. 영양단계의 수가 3~5정도이고, 생태계수는 약 15% 정도이다.
     3. 영양단계의 수가 1이고, 생태계수는 약 30% 정도이다.
     4. 영양단계의 수가 2~3으로 적고, 생태계수는 약 20%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36. 우리나라 서해 하구역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여름에 염분이 낮고, 겨울철에 염분이 높다.
     2. 만조 시에 염분이 낮고, 간조 시에 염분이 높다.
     3. 수온은 연안에 비해 겨울철에 낮고, 여름철에 높다.
     4. 노출된 연안보다 파도가 세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71%

37. 갯벌생물의 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바지락은 대표적인 퇴적물식자이다.
     2. 칠게는 부유물식자이다.
     3. 왕좁쌀무늬고둥은 부유물식자이다.
     4. 민칭이는 표층 퇴적물식자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해설) 조개류는 보통 수관을 가지고 해수의 유기물을 걸러 먹는 여과식자이다 고둥류는 퇴적물내의 유기물을 먹는 퇴적물식자이다 게류 또한 퇴적물식자이다
[해설작성자 : 해치몬]

38. 다음 중 간극동물(Interstitial fauna)의 군집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환경요인은?(2007년 05월)
     1. 해류
     2. 저질의 입도조성
     3. 수온
     4. 먹이관계

     정답 : []
     정답률 : 88%

39. 해중 식물 군락이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기초생산력이 증대된다.
     2. 작은 동물이나 부착생물의 서식장소를 제공한다.
     3.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를 흡수한다.
     4. 회유성 어류의 서식처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40. 영양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영양 구조가 복잡할수록 먹이 연쇄가 복잡하다.
     2. 영양 구조가 복잡할수록 먹이 연쇄가 간단하다.
     3. 영양구조는 먹이 연쇄와 관련이 없다.
     4. 영양구조는 해양 생태계에만 있다.

     정답 : []
     정답률 : 93%

3과목 : 해양계측학


41. 해양 퇴적물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천해성 퇴적물은 유기 기원인 것이 바다로 운반되어 해류의 작용을 받아 얕은 해저에 퇴적된 것이다.
     2. 심해성 퇴적물은 대륙주변부 또는 해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퇴적물이다.
     3. 대부분의 심해 퇴적물은 생물기원 퇴적물이다.
     4. 천해성 퇴적물은 생물기원 물질의 양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립질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42. 다음 중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수중카메라
     2.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3. 음향측심기
     4. 해상중력계

     정답 : []
     정답률 : 88%

43. 겉보기산소소비량(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AOU 값이 클수록 유기물 분해량이 많다.
     2. AOU 값과 유기물 분해량은 관계가 없다.
     3. AOU 값이 클수록 인산염의 재생량은 적다.
     4. AOU 값과 비보존성 인산염의 농도는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44. 대기 및 구름상태와 해양수온관측을 주목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은?(2019년 04월)
     1. SPOT
     2. NOAA
     3. NIMBUS series
     4. LANDSAT series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농업 및 산림 등 식생 모니터링
2. 미국 해양대기청의 기상위성
3. 기상, 고층, 대기, 해양 관측
4. 천연자원 감소, 새로운 농지 개발, 환경파괴 등
[해설작성자 : 코딱지]

45. Wave rider 파고계는 무엇에 의하여 파랑을 측정하는가?(2003년 05월)
     1. 악셀로메타(accelerometer)
     2. 하이드로폰(Hydrophone)
     3. 마그네토메타(magnetometer)
     4. 레이저(laser)

     정답 : []
     정답률 : 67%

46. SEASAT과 같은 위성이 ALT 센서 시스템으로 바다의 수위나 파고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센서가 측정해야 할 요소는?(2011년 06월)
     1. 전자파의 왕복시간
     2. 수중 후방산란계수(Back scatter coefficient)
     3. 반사에너지
     4. 수중 감쇄 광량

     정답 : []
     정답률 : 83%

47.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 측정에 사용할 수 없는 방사성 핵종은?(2012년 05월)
     1. 10BE
     2. 14C
     3. 230Th
     4. 231Pa

     정답 : []
     정답률 : 84%

48. 거리가 떨어져 있는 두 전극을 이용하여 전극사이의 해수의 흐름의 변화에 따른 전도성 변화를 측정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기기는?(2017년 05월)
     1. XBT
     2. GEK
     3. ADCP
     4. ARGO float

     정답 : []
     정답률 : 80%

49. 퇴적물의 입도 분석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계산하는 첨도(Kurtosis)란?(2012년 05월)
     1. 평균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분산 정도
     2. 분포 곡선의 뾰족한 정도
     3. 평균 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
     4. 분포 곡선의 표준 편차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첨도는 뾰족한 정도, 왜도가 대칭성
[해설작성자 : 해양과학과]

50. 조석의 조화분석시에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4개 주요 분조가 맞는 것은?(2005년 05월)
     1. M2 S2 N2 K2
     2. K1 O1 P1 Q1
     3. M2 S2 P1 Q1
     4. M2 S2 K1 O1

     정답 : []
     정답률 : 65%

51. 조석관측 방법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부표식
     2. 압력식
     3. 지자기식
     4. 초음파식

     정답 : []
     정답률 : 84%

52. 망간단괴 등 큰 덩어리의 채취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5월)
     1. Grab
     2. Corer
     3. Dredge
     4. Snapper

     정답 : []
     정답률 : 81%

53. NOAA 위성의 탐사장비로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장비는?(2012년 05월)
     1. MSS
     2. AVHRR
     3. SMMR
     4. SAR

     정답 : []
     정답률 : 73%

54. 변환기(transducer)를 사용하여 연안지역의 고해상도 퇴적층 단면도 자료를 획득하는 지층탐사 장비는?(2022년 04월)
     1. Air Gun
     2. Side scan sonar
     3. Multi beam echo sounder
     4. 3.5kHz subbottom profiler

     정답 : []
     정답률 : 65%

55. 국제해양학 위원회는 정확한( ⓐ )량을 미리 정하여 이를 전세계 해양관측 자료분석에 제공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북대서양 중앙부의 해수를 채취하여 약 ( ⓑ )mℓ의 량을 유리 앰플에 넣어 배부 사용하고 있고 이를 ( ⓒ )라 한다. 각 괄호 안에 해당하는 것은?(2005년 05월)
     1. ⓐ 산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2. ⓐ 밀도,ⓑ 1,00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3. ⓐ 온도,ⓑ 500, ⓒ Copenhagen sea water
     4. ⓐ 염소,ⓑ 230, ⓒ 표준해수(normal sea water)

     정답 : []
     정답률 : 75%

56. 수심이 깊은 해역의 10km 떨어진 두 정점사이에서 해수면의 높이의 차가 10cm라고 하면 유속은 얼마인가? (단, 대기의 영향은 무시하고, f=10-4/sec, g=1,000cm/sec2로 가정한다.)(2005년 05월)
     1. 0.1 cm/sec
     2. 1.0 cm/sec
     3. 10 cm/sec
     4. 100 cm/sec

     정답 : []
     정답률 : 61%

57. 다음 기기 중에서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XBT
     2. PDR
     3. Nansen bottle
     4. 전도온도계(방압과 피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Nansen bottle: 원하는 수심에서 해수를 채수하기 위한 채수기, 그러므로 수심을 측정하는 기기와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하이하]

58. 해양 석유탐사시 가장 효과적인 탐사방법은?(2007년 05월)
     1. 중력탐사법
     2. 자력탐사법
     3. 지진파탐사법
     4. 열류량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80%

59. 수심 3000m 에서의 압력은?(2008년 05월)
     1. 약 3기압
     2. 약 30기압
     3. 약 300기압
     4. 약 3000기압

     정답 : []
     정답률 : 88%

60. GEK 해류계 감지부인 케이블 내의 두 전극사이의 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6년 05월)
     1. 약 1m
     2. 약 10m
     3. 약 100m
     4. 약 1,000m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약 1m
[해설작성자 : 치즈박]

4과목 : 해수의 수질분석


61. 해수중 황화수소 실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황호수소는 해수중의 용존 산소 또는 대기에 노출 되었을 때 매우 쉽게 산화한다.
     2. 시료를 시료병에 받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3. 현장에서 즉시 측정하지 않을 경우 1mL의 초산 아연용액을 첨가한다.
     4. 시료를 암소에 보관할 때 수주간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62. 해저퇴적물 중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는 원자흡수분광광도계이다. 이 기기를 사용할 때 각 물질과 중공음극관의 파장이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구리: 324.7nm
     2. 망간: 279.5nm
     3. 아연: 213.9nm
     4. 알루미늄: 248.3nm

     정답 : []
     정답률 : 82%

63. 0.1N 염산용액 10ml를 중화하는데 KOH용액 200ml가 소비되었다면 KOH용액의 pH는?(2021년 05월)
     1. 11.0
     2. 11.5
     3. 11.7
     4. 12.0

     정답 : []
     정답률 : 60%

64. 해수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여 전자포획검출기(ECD)로 분석한다.
     2.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1L 유리용기에 넣은 후 분석 시까지 냉장 보관한다.
     3.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및 검출기를 이용한 기기검출한계는 95% 신뢰구간에서 10ng/L 미만이다.
     4. 유기주석화합물은 분해 및 생분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차광용기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전자포획검출기(X) -> 불꽃광도검출기(FPD) (O)
[참고] 해수공정시험기준 제35항 유기주석화합물 참고
[해설작성자 : 하이하]

65. 최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방법에 대한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의 2단계로 나누어 시험한다.
     2. 추정시험에서 발효관의 수는 각 희석액에 따라 5개씩 시험한다.
     3. 확정시험에서 무균조작으로 BGLB 배지에서 48±3시간 배양하여 가스가 발생하면 양성으로 한다.
     4. 추정시험에서 배양하여 발효관에 가스발생이 있으면 대장균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66. 해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시료 중의 유기물을 강산화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낸다.
     2. 유기물의 난분해성 정도와 염분 등의 간섭조간에 따라 산화정도의 차이가 크다
     3. 해수중의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중크롬산칼륨법은 강력한 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산화효율이 높아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67. 해수중의 Chlorophyll-a 측정에 과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Chlorophyll-a 함량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해수시료를 유리섬유여과지로 여과하여 아세톤으로 Chlorophyll-a를 추출한다.
     3. Chlorophyll-a 표준용액으로 작성된 검정선으로부터 농도를 산출한다.
     4. 아세톤으로 추출된 Chlorophyll-a를 흡광광도법이나 형광법으로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8. 분광광도계에 의한 클로로필-a 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건조기
     2. 교반기
     3. 여과기
     4. 원심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78%

69. 해수 시료 중 Pb의 전처리 과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pH 10으로 알칼리성으로 만든 후 아세톤으로 추출한다.
     2. 유기용매인 CH2Cl2 로 추출하여, 황산 0.1N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3. pH 2로 처리한 후, 유기착화제로 유기금속착화합물을 형성한 후, 기화시켜 냉트랩으로 포착한다.
     4. CHCl3, freon 등으로 추출한 후, 비금속착화합물 형성 후 열판을 이용하여 휘발·건조시킨 다음 잔유물을 질산용액으로 재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해수시료 중의 납은 pH 4~5에서 유기착화제(킬레이트)에 의해 비극성 유기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한 후
클로로포름, 메틸이소부틸케톤, 프레온 동의 유기용매로 추출한다.
유기용매에 의해 추출된 시료는 청정상태에서 열판을 이용 휘발,건조시킨 후 잔유물을 질산 용액에 재용해한 다음
전열 흑연로를 이용한 원자흡광광도계 또는 icp-ms에 의해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0. COD 측정 때 0.025N KMnO4 1mL는 산소 몇 mg에 해당하는가?(2003년 05월)
     1. 0.025 mg
     2. 0.05 mg
     3. 0.200 mg
     4. 0.100 mg

     정답 : []
     정답률 : 50%

71. 해수의 규산규소 분석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시료 10 ㎖에 몰리브덴산용액 4 ㎖를 첨가 혼합하고 약 10분간 반응시킨다.
     2. 환원용액 6 ㎖을 첨가한 후 즉시 혼합하여 약 2~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3. 분광광도계의 셀에 넣고 64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흡광도와 농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농도를 환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72. 선박의 방오도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Imposex현상 등 환경문제를 유발하여 세계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TBT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2015년 05월)
     1. 해수 중에 들어 있는 것을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한다.
     2. 광분해되거나 생분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차광용기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분석해야 한다.
     3. 농축과정은 회전증발농축기 또는 구데르나-데니쉬 농축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4. 사용되는 시약 중 무수황산나트륨은 잔류농약용 혹은 특급시약을 450℃에서 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70℃에서 보관하고 사용직전에 상온으로 식혀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73. 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퇴적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무게차를 측정하는 방법
     2. 입자들을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
     3. 시약과 반응시킨 후 퇴적물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방법
     4. 강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그 무게를 알아내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1%

74.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해수의 COD 측정 시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법을 사용하는 이유는?(2020년 06월)
     1. 해수는 약알칼리성이기 때문이다.
     2. 칼슘, 마그네슘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알칼리성에서 과망간산칼륨의 산화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4. 산성에서는 염화이온을 산화시키는데 과망간산칼륨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중크롬산칼륨법과 산성 과망간산칼륨법은 산성하에서 염소이온과 산화제가 많이 반응하여 화학적 산소요구량 값이 실제보다 높게 나타나고, 산화된 염소는 유독가스로 발생된다. 따라서, 해수와 같이 염소이온이 많이 함유된 시료의 경우에는 산화력은 조금 떨어지지만 알칼리성 과망간산 칼뮴법이 많이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5. 해수 중 부유 물질을 측정할 때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 후 10mL 증류수로 3회 반복 씻은 후 여과조작을 하는 주된 이유는?(2006년 05월)
     1. 미세한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2. 유기 오염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3. 염분을 씻어내기 위해
     4. 휘발성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7%

76. 해양 퇴적물의 입도 분석 시 시료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약은?(2019년 04월)
     1. H2O2
     2. NaOH
     3. NH4Cl
     4. H2SO4

     정답 : []
     정답률 : 66%

77. 해주중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검출기는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를 사용한다.
     3. 노르말헥산으로 추출하여 농축 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하여 분석방해물질을 제거한다.
     4. PCB는 단일물질이기 때문에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서 표준물질과 동일한 머무름 시간을 가진 한 개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78.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pH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시료는 유리마개를 닫은 후 24시간 이내에 분석해야 한다.
     2. pH 미터의 보정은 측정 당일 시료 측정 전에 행하여져야 한다.
     3. 유리전극은 미리 해수에 수 시간 이상 담가두며 pH 미터는 전원을 넣어 5분 이상 경과 후 실험실용 무형광 휴지나 천으로 가볍게 닦아낸다.
     4. 해수의 pH 시료병을 시료의 일부로 2~3회 충분히 세척한 후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고무관으로 바닥에서부터 천천히 받아 시료가 충분히 넘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pH는 즉시 측정 한다 (+수온도 즉시 측정)
[해설작성자 : 해치몬]

79. 해수 시료 중 규산염은 일차적으로 몰리브덴산 착화합물을 결성시켜 측정하는데, 이 때 해수 시료중에 몰리브덴산 착화합물 만드는 다른 성분은?(2006년 05월)
     1. 질산
     2. 바륨
     3. 인산
     4. 코발트

     정답 : []
     정답률 : 70%

80. 해수의 대장균군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최적확수 시험법
     2. 막여과에 의한 시험법
     3. 발색제에 의한 시험법
     4. Microtox bioassay 시험법

     정답 : []
     정답률 : 81%

8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자는 국제기금의 보상한도액을 초과하는 유휴오염손해에 대하여는 어떤 협약에 따라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가?(2017년 05월)
     1. 1992년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2.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
     3.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의 2003년 의정서
     4. 2001년 선박 연료유 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68%

82. 선박으로부터 대량의 기름이 배출되는 경우 이를 목격한 선박의 선장이 하여야 할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 (단, 선장은 선박의 소유자가 아니다.)(2017년 05월)
     1. 선박 손상부위의 긴급수리
     2. 방제주치에 소요된 비용부담
     3. 해양경비안전서장 등에 신고
     4. 기름확산 방지를 위한 필요조치

     정답 : []
     정답률 : 83%

83. OPRC 협약의 채택일과 국제발효일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7년 05월)
     1. 채택일: 1989.03.24, 국제발효일: 1994.09.24
     2. 채택일: 1989.03.24, 국제발효일: 1995.05.13
     3. 채택일: 1990.11.30, 국제발효일: 1995.05.13
     4. 채택일: 1990.11.30, 국제발효일: 1996.11.24

     정답 : []
     정답률 : 82%

84.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경찰청장 소속 해양환경감시원의 직무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해양공간으로 유입되거나 해양에 배출되는 폐기물을 감시
     2. 해양오염방제업자 및 유창청소업자가 운영하는 시설에 대한 검사·지도
     3. 해양시설에서의 방제선등의 배치·설치 및 자재·약제의 비치 상황에 관한 검사
     4. 오염물질의 배출 또는 배출혐의가 있다고 인정된 경우 조사활동 및 감식·분석을 위한 오염시료 채취 등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번 내용은 '해양수산부 장관 소속 해양환경감시원'의 직무임. 따라서 정답은 1번.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2307호, 2021. 12. 31., 일부개정] - 제 90조 (해양환경감시원)
[해설작성자 : 하이하]

85. 다음 중에서 선박오염물질기록부 중 기름기록부 비치의무 대상 선박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총톤수 50톤급 화물선
     2. 총톤수 10톤급 유조선
     3. 경하배수톤수 300톤급 군함
     4. 총톤수 100톤급 여객선

     정답 : []
     정답률 : 58%

86.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의 유입·확산 또는 퇴적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해역관리청이 할 수 있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오염된 퇴적물의 수거
     2. 오염물질의 수거 및 처리
     3. 오염물질 배출부과금 증수
     4. 오염물질 유입·확산방지시설의 설치

     정답 : []
     정답률 : 70%

87. 공유수면매립의 경우 매립기본계획의 기간단위는 몇 년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몇년 마다 하게 되어 있는가?(2005년 05월)
     1. 10년, 5년
     2. 7년, 3년
     3. 5년, 2년
     4. 3년, 1년

     정답 : []
     정답률 : 70%

88.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특별관리해역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울산연안
     2. 광양만
     3. 시화호, 인천연안
     4. 함평만

     정답 : []
     정답률 : 80%

89.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2.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 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
     3. 선박법 규정에 의한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4. 해저광물자원 개발법 규정에 따라 지정된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정답 : []
     정답률 : 82%

90.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오염방제설비 중 형식승인을 얻어야 하는 자재, 약제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유겔화제
     2. 유처리제
     3. 유흡착재
     4. 유수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77%

91.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양오염방지설비 등을 선박에 최초로 설치하여 항해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받는 검사는?(2006년 05월)
     1. 임시검사
     2. 제 1종 중간검사
     3. 제 2종 중간검사
     4. 정기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92. 해양환경관리법상 환경보전해역에 대한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2. 생태계의 보전이 양호한 곳으로서 지속적인 보전이 필요한 해역이다.
     3.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
     4. 해양오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육지를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93.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책임한도액을 초과하는 청구금액을 명시한 서면청구일로부터 몇 개월 이내에 책임제한절차 개시 신청을 해야 하는가?(2021년 05월)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6개월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② 제1항 본문에 따라 유류오염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려는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는 채권자로부터 제8조에 따른 책임한도액을 초과한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를 서면으로 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법원에 「선박소유자 등의 책임제한절차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라 책임제한절차 개시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 따라서 정답은 4번!
[참고] 유류오염손해 배상보장법 / 제7조
[해설작성자 : 하이하]

94.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검사증서 및 협약검사증서(방오시스템검사증서를 제외)의 유효기간은?(2008년 05월)
     1. 2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 : []
     정답률 : 88%

95.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보장계약을 체결하여야 할 선박은 몇 톤 이상의 산적 유류를 화물로 운송하는 선박인가?(2022년 04월)
     1. 100톤
     2. 200톤
     3. 500톤
     4. 1000톤

     정답 : []
     정답률 : 65%

96. 다음 중 해양오염방지법의 적용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대한민국 영토에 접속되는 해역안 및 기타 해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해역안에서 행하여진 해양오염
     2. 대한민국 해저광구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해양오염
     3. 대한민국 선박에 의하여 행하여진 해양오염
     4. 방사성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정답 : []
     정답률 : 83%

97. 73/78 MARPOL 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의 유효기간은?(2013년 06월)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81%

98.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류오염사고로 인해 손해를 본 피해자가 선박소유자 또는 보험자로부터 배상받지 못한 유류오염손해금액에 대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곳은?(2021년 05월)
     1. 선적국
     2. 국제기금
     3. 선박소유자의 국가
     4. 보장계약증명서교부국

     정답 : []
     정답률 : 83%

99. 다음 중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에서 선박소유자에게 오염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면책권이 인정되는 경우는?(2006년 05월)
     1. 국가의 항로표지 관리 잘못으로 생긴 손해
     2. 선박 사용인의 고의로 인한 경우
     3. 선박의 감항능력이 부족한 경우
     4. 다른 선박과 충돌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5%

100.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해양보호구역에서의 행위 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공유수면 또는 토지의 형질변경 행위
     2. 공유수면에서의 바다모래·규사 및 토석의 채취 행위
     3. 공유수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해수의 수위 또는 수량에 증감을 가져오게 하는 행위
     4. 해양보호구역의 해양생태계에 대한 정기적인 현황조사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관측시설 등의 설치 행위

     정답 : []
     정답률 : 8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98862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24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88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3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2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1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0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2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9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8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6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5 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4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98862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2 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164791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1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9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8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196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7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43454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6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5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1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4 Next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