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917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 하는 실용적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사용할 장소의 평형함수율에 알맞은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비중이 작고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판목판재보다는 정목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2017년 08월)

   

     1. 유전율
     2. 비저항
     3. 전기전도율
     4. 유전체역률

     정답 : []
     정답률 : 77%

3.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는데 이 때의 응력은?(2012년 09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80%

4. 증발계수의 단위는?(2003년 08월)
     1. g/cm2·hr
     2. g/cm·hr·%
     3. g/cm·hr·mmHg
     4. g/hr·cm2·℃

     정답 : []
     정답률 : 53%

5. 공극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공극의 용적비율이다.
     2. 목재실질의 용적비율이다.
     3. 밀도가 높으면 공극률이 높아진다.
     4.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목재의 용적변화는 없지만 공극은 자유수로 충만되어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6. 시험재의 초기중량이 1500g, 추정된 함수율이 50%일 때 전건중량은?(2019년 04월)
     1. 750g
     2. 1000g
     3. 1200g
     4. 1500g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함수율(%) = ((목재중량 - 전건상태시 중량)/전건상태시 중량) *100
[해설작성자 : 더포레]

7. 목재의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비열은 단위질량당 열용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균질인 물체의 열용량은 물체의 양에 비례하지 않는다.
     3. 열용량은 어떤 물체에 가해진 열을 상승한 온도차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4.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가 목재의 전건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전건 목재에 비해 상온에서 물의 비열이 훨씬 더 큰 값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56%

8. 목재의 섬유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1,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3년 09월)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 강도는 증가한다.
     2.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나, 자유수는 공극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함수율이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4. 일반적인 함수율은 30~45%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9. 전건비중이 0.40인 목재의 공극율은?(2019년 04월)
     1. 약 63%
     2. 약 73%
     3. 약 83%
     4. 약 93%

     정답 : []
     정답률 : 53%

10. 목재는 탄성한계 내의 작은 응력에서도 외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변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목재의 어떤 성질 때문인가?(2016년 10월)
     1. 탄성적 성질
     2. 취성적 성질
     3. 점탄성적 성질
     4. 탄소성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4%

11. 건조할 때 세포내강과 간극에 존재하여 가장 먼저 제거되는 수분은?(2013년 09월)
     1. 결합수
     2. 응축수
     3. 구조수
     4. 자유수

     정답 : []
     정답률 : 79%

12. 일정한 크기의 하중을 가한 다음 하중을 제거했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변형은?(2017년 08월)
     1. 탄성변형
     2. 소성변형
     3. 지연탄성변형
     4. 순간탄성변형

     정답 : []
     정답률 : 79%

13.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온도와는 관계없다.
     2. 수종의 영향은 별로 받지 않는다.
     3. 대기 상태에서는 기건함수율이라고 한다.
     4. 상대습도와는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14. 목재에 매우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낮은 응력을 반복하여 연속작용시키면 장시간 후에는 파괴된다. 이와 같은 반복응력에 의하여 파괴를 생기게 하는 가장 작은 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8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78%

15. 함수율 1% 변화당 휨 강도의 변화율(%)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1
     2. 2
     3. 4
     4. 8

     정답 : []
     정답률 : 48%

16. 목재의 섬유에 평행한 방향의 열전도율은 섬유에 직각 방향보다 어느 정도 큰가?(2012년 09월)
     1. 약 1~2 배
     2. 약 2~3 배
     3. 약 3~4 배
     4. 약 4~5 배

     정답 : []
     정답률 : 76%

17. 목재의 유전율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커진다.
     2.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작아진다.
     3. 목재의 함수율과 유전율은 무관하다.
     4. 전건상태에서 유전율은 가장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다음 그림은 응력-변형선도(應力-變形線圖, stressstrain diagram, S-S diagram)이다. σ p 는 무엇인가?(2004년 08월)

    

     1. 파괴응력
     2. 탄성한도
     3. 비례한도
     4. 피로한도

     정답 : []
     정답률 : 48%

19. 목재 내의 함유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에 들어있는 물을 자유수라고 한다.
     2.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세포벽의 미세공극에 들어있는 수분을 모세관수라 한다.
     3. 수소결합 등을 통하여 목재의 구성성분들과 붙어있는 수분을 결합수라고 한다.
     4. 목재 성분의 화학적 조성을 완전히 분해 시켜야 분리할 수 있는 수분은 구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밀도의 변화에 대해서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크게 세포벽실질, 추출물과 무기염류 함량, 함수율의 세 가지로 간단히 요약할 수 있다.
     2. 목재의 밀도는 각 수종간 다를 뿐만 아니라 동일 수종에서도 생육환경 등에 따라 대체적으로 다르나 전체적인 편차는 매우 적다.
     3. 침엽수의 비중은 연륜폭이 극단으로 좁은 재에서는 비중이 작아지게 되지만 보통 연륜폭이 증가하면 비중은 감소된다.
     4. 활엽수 환공재에서는 연륜폭이 클수록 비중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다음은 교주목리 가운데 하나로써 열대산 목재에서 주로 관찰되고 있는 목리의 명칭은?(2004년 08월)

    

     1. 교차목리
     2. 사주목리
     3. 나선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74%

23. 목부를 구성하는 세포 및 조직과 기능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유세포 - 지지 및 통도기능
     2. 가도관 - 양분저장
     3. 목섬유 - 지지기능
     4. 방사조직 - 축방향 수분통도

     정답 : []
     정답률 : 87%

24. 은행나무에서만 관찰되는 것으로 축방향 유세포가 팽창하여 생긴 것은?(2004년 08월)
     1. 에피데리얼세포
     2. 이형세포
     3. 수지가도관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59%

25. 활엽수재의 식별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다실결정세포
     2. 주위상 유조직
     3. 방사가도관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26. 도관이나 가도관 기타 세포를 보기 위하여 목재를 분해시켜야 할 때가 있다. 다음 중 가장 빠른 방법은?(2003년 08월)
     1. 연화법
     2. 회상법
     3. 슐쩨법
     4. 제프레법

     정답 : []
     정답률 : 46%

27. 토러스가 주로 존재하는 곳은?(2018년 08월)
     1. 단벽공대
     2. 만유연벽공대
     3. 활엽수 도관의 유연벽공대
     4. 침엽수 가도관의 유연벽공대

     정답 : []
     정답률 : 62%

28. 횡단면에 있어서 유세포의 분포를 보면 어떤 종류는 생장륜의 경계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것은 무엇인가?(2004년 08월)
     1. 추재형
     2. 경계형
     3. 종말형
     4. 분산형

     정답 : []
     정답률 : 46%

29. 천공의 모양, 나선비후의 유무, 방사조직의 동성 혹은 이성을 관찰할 때 가장 적당한 단면은?(2019년 04월)
     1. 횡단면
     2. 판목면
     3. 접선단면
     4. 방사단면

     정답 : []
     정답률 : 65%

30. 활엽수재에서 집합방사조직의 구성 형태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비중이 큰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2. 비중이 작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3. 나비가 넓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4. 나비가 좁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정답 : []
     정답률 : 59%

31. 압축응력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가도관의 길이는 정상재보다 10% 정도 길다.
     2. 만재로의 이행이 급하게 진전되어 조재와 만재의 구별이 확실하다.
     3. 수종에 따라서는 세포간극이 리그닌이나 팩틴으로 충만되어 있을 수 있다.
     4. 활엽수재에 있어서 경사진 가지나 수간의 횡단면 하부에 주로 발달되는 변형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32. 세포의 생활력이 상실되어 수체 지지의 기계적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부분은?(2016년 10월)
     1. 변재
     2. 심재
     3. 이상재
     4. 반응재

     정답 : []
     정답률 : 69%

33. 주로 열대재의 유세포 중에 존재하며 목재의 절삭가공 시 절삭기구의 칼날 마모를 촉진시키고 해충 저항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은?(2016년 10월)
     1. 결정
     2. 수지
     3. 실리카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34. 가도관의 방사방향의 내강 직경을 L, 인접한 접선막 두께를 M이라 할 때 Mork 정의에 의한 춘추재 경계는?(2013년 09월)
     1. L = M
     2. L = 2M
     3. L = 3M
     4. L = 4M

     정답 : []
     정답률 : 81%

35. 침염수재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수지 가도관
     2. 축방향 가도관
     3. 도관상 가도관
     4. 스트랜드 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5%

36. 활엽수제에서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 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2019년 04월)
     1. 리플마크
     2. 포상문리
     3. 권모문리
     4. 수반문리

     정답 : []
     정답률 : 79%

37. 활엽수재에서 횡단면에 한 층 또는 여러 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는 축방향 유조직이 관콩과 관계없이 동심원상 또는 집신 상으로 길게 연속하여 1열 또는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진 띠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8월)
     1. 수반 유조직
     2. 산재 유조직
     3. 종말상 유조직
     4. 독립대상 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49%

38. 침엽수재의 방사가도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유연변공을 가진다.
     2. 방사조직 내에 방사유세포와 크기가 비슷하다.
     3. 장축이 방사방향인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4. 전나무에 주로 발생하며 소나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39. 목재를 생산하는 식물 중에서 그 숫자가 가장 많은 식물은?(2012년 09월)
     1. 양치식물
     2. 나자식물
     3. 쌍자엽식물
     4.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60%

40. 리플마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침엽수재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2. 도관내강이 충저물질로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 활엽수재에서는 참나무류를 제외하고는 관찰하기 어렵다.
     4.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세포가 접선단면에서 층계상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목재화학


41. 침엽수재 hemicellulose 의 주체가 되는 물질은?(2003년 08월)
     1. glucomannan
     2. galactoxylan
     3. methylgluconoxylan
     4. arabinoglucose

     정답 : []
     정답률 : 60%

42. C6-C3-C5 의 골격을 갖고 있는 황색의 색소 화합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퀴논
     2. 리그닌
     3. 터어페노이드
     4. 플라보노이드

     정답 : []
     정답률 : 62%

43. 다음 중 Flavonoid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Chalcone
     2. Catechin
     3. Leucoanthocyanidin
     4. β-glycerol

     정답 : []
     정답률 : 64%

44. 다음 목재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4월)
     1. C(탄소)
     2. N(질소)
     3. H(수소)
     4. O(산소)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목재 세포벽의 주성분인 다당류를 알칼리와 반응시켰다. 이때 환원성 말단기부터 단계적으로 분해하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8월)
     1. peeling off 반응
     2. stopping 반응
     3. hydrolysis 반응
     4. hydrogenolysis 반응

     정답 : []
     정답률 : 67%

47. 헤미셀룰로오스(hemiccllulos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8월)
     1. 냉수로는 추출되지 않고 묽은 알칼리로 식물체에서 추출된다.
     2. Pentose, hexose, uronic acid 등으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3. Xylan 류는 침엽수에서는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할 수 없다.
     4. 활엽수 헤미셀룰로오스(hemiccllulose)의 주체는 4-0-methyl glucuronoxylan 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48. 소나무 M W L의 △Ei Spectra 를 구하였더니 300nm에서의 시차 흡광계수 △aamx가 4.85ℓ·g-1·cm-1 이었다. 이 리그닌의 페놀성 수산기 함량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2.0 %
     2. 3.0 %
     3. 4.0 %
     4. 5.0 %

     정답 : []
     정답률 : 15%

49. 셀룰로오스는 D-glucopyanose 잔기로 구성된 고분자 물질이다. 다음 중 셀룰로오스의 잔기 연결 방식은?(2016년 10월)
     1. α-1, 4
     2. α-1, 6
     3. β-1, 4
     4. β-1, 6

     정답 : []
     정답률 : 82%

50.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nitrobenzene)으로 산화시켰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은?(2013년 09월)
     1. 바닐린(Vanillin)
     2. 시린갈데히드(Syringaldehyde)
     3. p-히드록시벤잘데히드(p-Hydroxybenzaldehyde)
     4. 페놀(phenol)

     정답 : []
     정답률 : 61%

51. 목재 내의 Arabinogalactan은 물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2004년 08월)
     1. 저분자량 물질이므로
     2. 세포내강에 분포하므로
     3. 알칼리성을 띠므로
     4. 변재부에 주로 분포하므로

     정답 : []
     정답률 : 75%

52. 소나무 심재에 존재하는 stilbene 의 일종이며, 아황산 증해를 저해하는 아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은?(2004년 08월)

    

     1. chloropholin
     2. pterosilbene
     3. resveratrol
     4. pinosylvin

     정답 : []
     정답률 : 53%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목분 2g을 105℃±3℃의 항온 건조기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간 시료의 무게가 1.6g이었다. 이 목분의 함수율은?(2018년 08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44%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다음 목재성분 분석 중 글라스 필터(Glass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온수추출물
     2. 유기용매추출물
     3. 리그닌
     4. 전섬유

     정답 : []
     정답률 : 54%

57.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가 축합된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침엽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전 헤미셀룰로오스의 1~5 % 정도 차지하는 것은?(2004년 08월)
     1. 아라비노갈락탄
     2. 글루코만난
     3. 갈락토글루코만난
     4. 아라비노글루쿠로노자이란

     정답 : []
     정답률 : 38%

58. 목재를 구성하는 다당류 중 갈락탄(galactan)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세포벽 층은?(2019년 04월)
     1. M + P(세포간층 + 1차벽)
     2. S1(2차벽 외층)
     3. S2(2차벽 중층)
     4. S3(2차벽 내층)

     정답 : []
     정답률 : 68%

59. 리그닌의 기본단위는?(2012년 09월)
     1. 2개의 isoprene
     2. 2개의 glycerol
     3. 2개의 resin acid
     4. 2개의 phen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81%

60. Xylan의 결정(結晶)구조는 몇 각(角) 인가?(2012년 09월)
     1. 3 각
     2. 5 각
     3. 6 각
     4. 8 각

     정답 : []
     정답률 : 60%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향나무의 목재에 1.5 ∼ 4 % 함유되어 있으며, 현미경유, 비누의 향료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2003년 08월)
     1. 터펜틴유(turpentine oil)
     2. 장뇌
     3. 유지(fatty oil)
     4. 시더유(cedar oil)

     정답 : []
     정답률 : 61%

62. 고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이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지질이 치밀해진다.
     2. 인장강도는 증가한다.
     3. 파열강도는 증가한다.
     4. 인열강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63. 띠톱제재의 경우를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거치직경, L은 축간거리)(2003년 08월)
     1. 안정되고 좋은 능률을 내려면 L/D 값이 1에 가깝고 d가 큰 것이 좋다
     2. 보통 톱의 두께 t는 D의 1/1,000을 초과하지 않는다.
     3. 긴장응력은 현재 30kg/mm2가 표준으로 되어 있다.
     4. 보통 하부거차를 구동시키는데 톱은 보통 40-50m/s의 주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4. 목재건조에 있어서 절형시편(prong test piece)이 그림과 같이 변형하면 어떻게 된 것인가?(2003년 08월)

    

     1. 콜랩스(collapse)가 형성된 것이다.
     2. 표면경화가 형성된 것이다.
     3. 내부압축응력을 표시한다.
     4. 내부인장응력을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목재접착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목질재료의 적정 함수율은?(2003년 08월)
     1. 2 - 5 %
     2. 8 - 15 %
     3. 20 - 25 %
     4. 25 - 28 %

     정답 : []
     정답률 : 74%

67. 합판 제조시 압력은 어떤 것에 따라 주로 결정되는가?(2003년 08월)
     1. 접착제
     2. 단판비중
     3. 압체온도
     4. 단판 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45%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촉진 천연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재에서 5% 정도까지 건조한다.
     2. 송풍 및 태양열 건조장치 등을 이용한다.
     3. 강우가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4. 장치 설계나 조작을 잘못할 경우 변색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항율건조기간과 감율건조기간의 경계가 되는 함수율은?(2003년 08월)
     1. 이용함수율
     2. 평형함수율
     3. 자유함수율
     4. 추천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84%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정유의 대취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여과법
     2. 추출법
     3. 흡수법
     4. 수증기 증류법

     정답 : []
     정답률 : 57%

74. 목재의 열분해 생성물 중 리그닌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은?(2017년 08월)
     1. 유기산 화합물
     2. Phenoi 화합물
     3. Alcohol 화합물
     4. Pyridine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5%

75. 목재의 절삭가공 중 종절삭(綜切削)에 있어서 절삭각이나 절입(切込)깊이가 모두 크게 될 때 나타나는 절삭형태는?(2013년 09월)
     1. 전단형(shear type)
     2. 인렬형(tear type)
     3. 절형(crack type)
     4. 유형(flow type)

     정답 : []
     정답률 : 62%

76. 목재를 건조했을 때 내부와 외부의 응력이 다르므로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8월)
     1. 찌그러짐(collapse)
     2. 봉소열, 내부할열(honey combing)
     3. 표면 경화(casehardening)
     4. 뒤틀림(twisting)

     정답 : []
     정답률 : 53%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아황산 pulp 제조시 증해 종점의 결정 방법으로 일반적인 사용 방법은?(2004년 08월)
     1. 비중 측정법(比重測定法)
     2. 비색법(比色法)
     3. 자외선 흡광도법(紫外線吸光度法)
     4. 고분자 아민법(高分子 amine 法)

     정답 : []
     정답률 : 54%

79. 착색(sta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지 착색은 목재의 불투명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2. 생지 착색은 염료를 사용하여 목재의 생지를 염색하는 방법이다.
     3. 목재 표면에 색을 부여하여 목재의 무늬를 강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4. 도막 착색은 유색 착색제를 사용하여 피막을 만들어 착색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80. 쇄목석 직경 0.9m, 쇄목석 회전이225rpm인 900HP wood grinder로 2kg/cm2 압력 하에 소나무 원목을 쇄목하려고 한다. 이 때 이 wood grinder의 grinding stone의 원주속도(圓周速度) 는?(2012년 09월)
     1. 626 m/min
     2. 636 m/min
     3. 646 m/min
     4. 656 m/min

     정답 : []
     정답률 : 63%

81. 목재의 열화원인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2003년 08월)
     1. 미생물에 의한 열화를 주로 의미한다.
     2. 곤충 및 미생물에 의한 것만을 의미한다.
     3. 생물, 열, 기상, 기계, 화학, 건조열화 등을 모두 포함한다.
     4. 열 및 생물에 의한 열화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82. 연부후균(soft rot fungi)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2년 09월)
     1. chaetomium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생육최적 온도 및 pH의 범위가 다른 균류에 비해 넓다.
     3. 대부분의 연부후균은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며, 일부분은 탄수화물의 탈메톡실화를 일으킨다.
     4. 함수율 100~200%의 범위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83. 수용성 방부제 성분을 목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난용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
     2. 목재 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3. 목재의 조성분과 화합시키는 방법
     4. 목재주성분의 화학변화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7%

84. 목재 방부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유상 방부제는 유용성 방부제와 달리 보존효력은 있으나 처리재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2. 수용성 방부제는 효력이 높은 한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대부분 유기화합물이다.
     3. 유용성 방부제는 용탈에 저항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목재내에 침투가 용이하다.
     4. 수용성 방부제는 값비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목재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도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85. 주로 건조재를 가해하는 해충은?(2016년 10월)
     1. 나무좀
     2. 하늘소
     3. 일본흰개미
     4. 히라다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6%

86. 박피하지 않는 생재상태에서 목재를 벌채현장에서 보존처리시키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2003년 08월)
     1. 부세리(Boucherie)법
     2. 오스모스법
     3. 확산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50%

87. 금속화목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합금의 성분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Bi
     2. Pb
     3. Sn
     4. Fe

     정답 : []
     정답률 : 66%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악세처리 후 건조방지를 위해 비닐 등으로 덮고 일정기간 방치하는 방법은?(2018년 08월)
     1. 확산법
     2. 침지법
     3. 가압법
     4. 온냉욕법

     정답 : []
     정답률 : 56%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방부처리 방법 중 가압처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살균처리 효과도 있다.
     2. 현장처리가 불가능하다.
     3. 방부제가 깊고 균일하게 침투한다.
     4. 방부제 흡수량이 적어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2. 목재보존 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전처리에는 기계적 가공과 처리 전 목재의 건조 등이 있다.
     2. 건조에는 천연건조, 인공건조, 증기처리, 감압처리 등이 있다.
     3. 확산법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인공건조하여야 한다.
     4. 기계적 가공에는 박피, 인사이징, 프리커팅, 프리프레이밍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93. 목재의 내화성능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불꽃의 관통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한다.
     2. 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에 비해 열팽창이 커서 연소시 변형이 크다.
     3. 목재는 연소시 표면에 탄화층을 쉽게 형성하여 산소의 공급을 저지한다.
     4. 연소시 목재 표면에 형성된 탄화층은 탄화층 하부로 열의 투과를 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94. 약제 주입 전 실시하는 자상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약제의 침투깊이와 주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2. 목재표면에 존재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처리목재 내에서 약제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하기위해 실시한다.
     4. 난주입 수종에 방부처리를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5. 금속화목재(metalized wood)란?(2003년 08월)
     1. 목재의 표면에 Sn을 피복처리한 것이다.
     2. 목재의 공극내에 합금을 용해, 주입시켜 고화한 것이다.
     3. 목재의 공극내에 Bi 50% + Al 31.2% + Sn 20%를 용해 주입시켜 냉각 고화한 것이다.
     4. 목재의 표면에 Bi 50% + Pb 31.2% + Sn 18.8%를 용해시켜 피복처리한 개질 목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약제주입 처리법 중 목재 내 약액의 주입효과가 우수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가압법 > 도포법 > 온냉욕법
     2. 가압법 > 온냉욕법 > 도포법
     3. 도포법 > 가압법 > 온냉욕법
     4. 도포법 > 온냉욕법 > 가압법

     정답 : []
     정답률 : 72%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다음 중 목재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목재는 타 재료에 비해 중량대비 상대적 강도가 높다.
     2. 인간에게 친근감을 주는 소재이다.
     3. 수분환경에 노출되면 수축 또는 팽윤이 되어 치수가 변한다.
     4. 목재는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100.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CQ
     2. IPBC
     3. CUAZ
     4. CuHDO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917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 하는 실용적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사용할 장소의 평형함수율에 알맞은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비중이 작고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판목판재보다는 정목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2017년 08월)

   

     1. 유전율
     2. 비저항
     3. 전기전도율
     4. 유전체역률

     정답 : []
     정답률 : 77%

3. 목재에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하여 비교적 작은 하중에도 마지막에는 파괴되는데 이 때의 응력은?(2012년 09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80%

4. 증발계수의 단위는?(2003년 08월)
     1. g/cm2·hr
     2. g/cm·hr·%
     3. g/cm·hr·mmHg
     4. g/hr·cm2·℃

     정답 : []
     정답률 : 53%

5. 공극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공극의 용적비율이다.
     2. 목재실질의 용적비율이다.
     3. 밀도가 높으면 공극률이 높아진다.
     4.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목재의 용적변화는 없지만 공극은 자유수로 충만되어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6. 시험재의 초기중량이 1500g, 추정된 함수율이 50%일 때 전건중량은?(2019년 04월)
     1. 750g
     2. 1000g
     3. 1200g
     4. 1500g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함수율(%) = ((목재중량 - 전건상태시 중량)/전건상태시 중량) *100
[해설작성자 : 더포레]

7. 목재의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비열은 단위질량당 열용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균질인 물체의 열용량은 물체의 양에 비례하지 않는다.
     3. 열용량은 어떤 물체에 가해진 열을 상승한 온도차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4.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가 목재의 전건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전건 목재에 비해 상온에서 물의 비열이 훨씬 더 큰 값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56%

8. 목재의 섬유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1,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3년 09월)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 강도는 증가한다.
     2.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나, 자유수는 공극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함수율이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4. 일반적인 함수율은 30~45%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9. 전건비중이 0.40인 목재의 공극율은?(2019년 04월)
     1. 약 63%
     2. 약 73%
     3. 약 83%
     4. 약 93%

     정답 : []
     정답률 : 53%

10. 목재는 탄성한계 내의 작은 응력에서도 외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변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목재의 어떤 성질 때문인가?(2016년 10월)
     1. 탄성적 성질
     2. 취성적 성질
     3. 점탄성적 성질
     4. 탄소성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4%

11. 건조할 때 세포내강과 간극에 존재하여 가장 먼저 제거되는 수분은?(2013년 09월)
     1. 결합수
     2. 응축수
     3. 구조수
     4. 자유수

     정답 : []
     정답률 : 79%

12. 일정한 크기의 하중을 가한 다음 하중을 제거했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변형은?(2017년 08월)
     1. 탄성변형
     2. 소성변형
     3. 지연탄성변형
     4. 순간탄성변형

     정답 : []
     정답률 : 79%

13.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온도와는 관계없다.
     2. 수종의 영향은 별로 받지 않는다.
     3. 대기 상태에서는 기건함수율이라고 한다.
     4. 상대습도와는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14. 목재에 매우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낮은 응력을 반복하여 연속작용시키면 장시간 후에는 파괴된다. 이와 같은 반복응력에 의하여 파괴를 생기게 하는 가장 작은 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2003년 08월)
     1. 탄성한도
     2. 비례한도
     3. 피로한도
     4. 항복점

     정답 : []
     정답률 : 78%

15. 함수율 1% 변화당 휨 강도의 변화율(%)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1
     2. 2
     3. 4
     4. 8

     정답 : []
     정답률 : 48%

16. 목재의 섬유에 평행한 방향의 열전도율은 섬유에 직각 방향보다 어느 정도 큰가?(2012년 09월)
     1. 약 1~2 배
     2. 약 2~3 배
     3. 약 3~4 배
     4. 약 4~5 배

     정답 : []
     정답률 : 76%

17. 목재의 유전율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커진다.
     2. 목재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유전율은 작아진다.
     3. 목재의 함수율과 유전율은 무관하다.
     4. 전건상태에서 유전율은 가장 높다.

     정답 : []
     정답률 : 74%

18. 다음 그림은 응력-변형선도(應力-變形線圖, stressstrain diagram, S-S diagram)이다. σ p 는 무엇인가?(2004년 08월)

    

     1. 파괴응력
     2. 탄성한도
     3. 비례한도
     4. 피로한도

     정답 : []
     정답률 : 48%

19. 목재 내의 함유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에 들어있는 물을 자유수라고 한다.
     2.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세포벽의 미세공극에 들어있는 수분을 모세관수라 한다.
     3. 수소결합 등을 통하여 목재의 구성성분들과 붙어있는 수분을 결합수라고 한다.
     4. 목재 성분의 화학적 조성을 완전히 분해 시켜야 분리할 수 있는 수분은 구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밀도의 변화에 대해서 틀린 것은?(2004년 08월)
     1. 밀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크게 세포벽실질, 추출물과 무기염류 함량, 함수율의 세 가지로 간단히 요약할 수 있다.
     2. 목재의 밀도는 각 수종간 다를 뿐만 아니라 동일 수종에서도 생육환경 등에 따라 대체적으로 다르나 전체적인 편차는 매우 적다.
     3. 침엽수의 비중은 연륜폭이 극단으로 좁은 재에서는 비중이 작아지게 되지만 보통 연륜폭이 증가하면 비중은 감소된다.
     4. 활엽수 환공재에서는 연륜폭이 클수록 비중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다음은 교주목리 가운데 하나로써 열대산 목재에서 주로 관찰되고 있는 목리의 명칭은?(2004년 08월)

    

     1. 교차목리
     2. 사주목리
     3. 나선목리
     4. 교착목리

     정답 : []
     정답률 : 74%

23. 목부를 구성하는 세포 및 조직과 기능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유세포 - 지지 및 통도기능
     2. 가도관 - 양분저장
     3. 목섬유 - 지지기능
     4. 방사조직 - 축방향 수분통도

     정답 : []
     정답률 : 87%

24. 은행나무에서만 관찰되는 것으로 축방향 유세포가 팽창하여 생긴 것은?(2004년 08월)
     1. 에피데리얼세포
     2. 이형세포
     3. 수지가도관
     4. 방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59%

25. 활엽수재의 식별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다실결정세포
     2. 주위상 유조직
     3. 방사가도관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26. 도관이나 가도관 기타 세포를 보기 위하여 목재를 분해시켜야 할 때가 있다. 다음 중 가장 빠른 방법은?(2003년 08월)
     1. 연화법
     2. 회상법
     3. 슐쩨법
     4. 제프레법

     정답 : []
     정답률 : 46%

27. 토러스가 주로 존재하는 곳은?(2018년 08월)
     1. 단벽공대
     2. 만유연벽공대
     3. 활엽수 도관의 유연벽공대
     4. 침엽수 가도관의 유연벽공대

     정답 : []
     정답률 : 62%

28. 횡단면에 있어서 유세포의 분포를 보면 어떤 종류는 생장륜의 경계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것은 무엇인가?(2004년 08월)
     1. 추재형
     2. 경계형
     3. 종말형
     4. 분산형

     정답 : []
     정답률 : 46%

29. 천공의 모양, 나선비후의 유무, 방사조직의 동성 혹은 이성을 관찰할 때 가장 적당한 단면은?(2019년 04월)
     1. 횡단면
     2. 판목면
     3. 접선단면
     4. 방사단면

     정답 : []
     정답률 : 65%

30. 활엽수재에서 집합방사조직의 구성 형태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비중이 큰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2. 비중이 작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3. 나비가 넓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4. 나비가 좁은 방사조직이 합쳐진 것

     정답 : []
     정답률 : 59%

31. 압축응력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가도관의 길이는 정상재보다 10% 정도 길다.
     2. 만재로의 이행이 급하게 진전되어 조재와 만재의 구별이 확실하다.
     3. 수종에 따라서는 세포간극이 리그닌이나 팩틴으로 충만되어 있을 수 있다.
     4. 활엽수재에 있어서 경사진 가지나 수간의 횡단면 하부에 주로 발달되는 변형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32. 세포의 생활력이 상실되어 수체 지지의 기계적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부분은?(2016년 10월)
     1. 변재
     2. 심재
     3. 이상재
     4. 반응재

     정답 : []
     정답률 : 69%

33. 주로 열대재의 유세포 중에 존재하며 목재의 절삭가공 시 절삭기구의 칼날 마모를 촉진시키고 해충 저항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은?(2016년 10월)
     1. 결정
     2. 수지
     3. 실리카
     4. 격벽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34. 가도관의 방사방향의 내강 직경을 L, 인접한 접선막 두께를 M이라 할 때 Mork 정의에 의한 춘추재 경계는?(2013년 09월)
     1. L = M
     2. L = 2M
     3. L = 3M
     4. L = 4M

     정답 : []
     정답률 : 81%

35. 침염수재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수지 가도관
     2. 축방향 가도관
     3. 도관상 가도관
     4. 스트랜드 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5%

36. 활엽수제에서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 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2019년 04월)
     1. 리플마크
     2. 포상문리
     3. 권모문리
     4. 수반문리

     정답 : []
     정답률 : 79%

37. 활엽수재에서 횡단면에 한 층 또는 여러 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는 축방향 유조직이 관콩과 관계없이 동심원상 또는 집신 상으로 길게 연속하여 1열 또는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진 띠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8월)
     1. 수반 유조직
     2. 산재 유조직
     3. 종말상 유조직
     4. 독립대상 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49%

38. 침엽수재의 방사가도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유연변공을 가진다.
     2. 방사조직 내에 방사유세포와 크기가 비슷하다.
     3. 장축이 방사방향인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4. 전나무에 주로 발생하며 소나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39. 목재를 생산하는 식물 중에서 그 숫자가 가장 많은 식물은?(2012년 09월)
     1. 양치식물
     2. 나자식물
     3. 쌍자엽식물
     4.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60%

40. 리플마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침엽수재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2. 도관내강이 충저물질로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 활엽수재에서는 참나무류를 제외하고는 관찰하기 어렵다.
     4.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세포가 접선단면에서 층계상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70%

3과목 : 목재화학


41. 침엽수재 hemicellulose 의 주체가 되는 물질은?(2003년 08월)
     1. glucomannan
     2. galactoxylan
     3. methylgluconoxylan
     4. arabinoglucose

     정답 : []
     정답률 : 60%

42. C6-C3-C5 의 골격을 갖고 있는 황색의 색소 화합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퀴논
     2. 리그닌
     3. 터어페노이드
     4. 플라보노이드

     정답 : []
     정답률 : 62%

43. 다음 중 Flavonoid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Chalcone
     2. Catechin
     3. Leucoanthocyanidin
     4. β-glycerol

     정답 : []
     정답률 : 64%

44. 다음 목재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2019년 04월)
     1. C(탄소)
     2. N(질소)
     3. H(수소)
     4. O(산소)

     정답 : []
     정답률 : 71%

45. 셀룰로오스 화학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방향족 화합물
     2. 글루코시드 결합
     3. 환원성 말단기
     4. 비환원성 말단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목재 세포벽의 주성분인 다당류를 알칼리와 반응시켰다. 이때 환원성 말단기부터 단계적으로 분해하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8월)
     1. peeling off 반응
     2. stopping 반응
     3. hydrolysis 반응
     4. hydrogenolysis 반응

     정답 : []
     정답률 : 67%

47. 헤미셀룰로오스(hemiccllulos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8월)
     1. 냉수로는 추출되지 않고 묽은 알칼리로 식물체에서 추출된다.
     2. Pentose, hexose, uronic acid 등으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3. Xylan 류는 침엽수에서는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할 수 없다.
     4. 활엽수 헤미셀룰로오스(hemiccllulose)의 주체는 4-0-methyl glucuronoxylan 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48. 소나무 M W L의 △Ei Spectra 를 구하였더니 300nm에서의 시차 흡광계수 △aamx가 4.85ℓ·g-1·cm-1 이었다. 이 리그닌의 페놀성 수산기 함량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2.0 %
     2. 3.0 %
     3. 4.0 %
     4. 5.0 %

     정답 : []
     정답률 : 15%

49. 셀룰로오스는 D-glucopyanose 잔기로 구성된 고분자 물질이다. 다음 중 셀룰로오스의 잔기 연결 방식은?(2016년 10월)
     1. α-1, 4
     2. α-1, 6
     3. β-1, 4
     4. β-1, 6

     정답 : []
     정답률 : 82%

50.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nitrobenzene)으로 산화시켰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은?(2013년 09월)
     1. 바닐린(Vanillin)
     2. 시린갈데히드(Syringaldehyde)
     3. p-히드록시벤잘데히드(p-Hydroxybenzaldehyde)
     4. 페놀(phenol)

     정답 : []
     정답률 : 61%

51. 목재 내의 Arabinogalactan은 물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2004년 08월)
     1. 저분자량 물질이므로
     2. 세포내강에 분포하므로
     3. 알칼리성을 띠므로
     4. 변재부에 주로 분포하므로

     정답 : []
     정답률 : 75%

52. 소나무 심재에 존재하는 stilbene 의 일종이며, 아황산 증해를 저해하는 아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은?(2004년 08월)

    

     1. chloropholin
     2. pterosilbene
     3. resveratrol
     4. pinosylvin

     정답 : []
     정답률 : 53%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목분 2g을 105℃±3℃의 항온 건조기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간 시료의 무게가 1.6g이었다. 이 목분의 함수율은?(2018년 08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44%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다음 목재성분 분석 중 글라스 필터(Glass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온수추출물
     2. 유기용매추출물
     3. 리그닌
     4. 전섬유

     정답 : []
     정답률 : 54%

57.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가 축합된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침엽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전 헤미셀룰로오스의 1~5 % 정도 차지하는 것은?(2004년 08월)
     1. 아라비노갈락탄
     2. 글루코만난
     3. 갈락토글루코만난
     4. 아라비노글루쿠로노자이란

     정답 : []
     정답률 : 38%

58. 목재를 구성하는 다당류 중 갈락탄(galactan)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세포벽 층은?(2019년 04월)
     1. M + P(세포간층 + 1차벽)
     2. S1(2차벽 외층)
     3. S2(2차벽 중층)
     4. S3(2차벽 내층)

     정답 : []
     정답률 : 68%

59. 리그닌의 기본단위는?(2012년 09월)
     1. 2개의 isoprene
     2. 2개의 glycerol
     3. 2개의 resin acid
     4. 2개의 phen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81%

60. Xylan의 결정(結晶)구조는 몇 각(角) 인가?(2012년 09월)
     1. 3 각
     2. 5 각
     3. 6 각
     4. 8 각

     정답 : []
     정답률 : 60%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향나무의 목재에 1.5 ∼ 4 % 함유되어 있으며, 현미경유, 비누의 향료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2003년 08월)
     1. 터펜틴유(turpentine oil)
     2. 장뇌
     3. 유지(fatty oil)
     4. 시더유(cedar oil)

     정답 : []
     정답률 : 61%

62. 고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이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지질이 치밀해진다.
     2. 인장강도는 증가한다.
     3. 파열강도는 증가한다.
     4. 인열강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63. 띠톱제재의 경우를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거치직경, L은 축간거리)(2003년 08월)
     1. 안정되고 좋은 능률을 내려면 L/D 값이 1에 가깝고 d가 큰 것이 좋다
     2. 보통 톱의 두께 t는 D의 1/1,000을 초과하지 않는다.
     3. 긴장응력은 현재 30kg/mm2가 표준으로 되어 있다.
     4. 보통 하부거차를 구동시키는데 톱은 보통 40-50m/s의 주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64. 목재건조에 있어서 절형시편(prong test piece)이 그림과 같이 변형하면 어떻게 된 것인가?(2003년 08월)

    

     1. 콜랩스(collapse)가 형성된 것이다.
     2. 표면경화가 형성된 것이다.
     3. 내부압축응력을 표시한다.
     4. 내부인장응력을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목재접착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목질재료의 적정 함수율은?(2003년 08월)
     1. 2 - 5 %
     2. 8 - 15 %
     3. 20 - 25 %
     4. 25 - 28 %

     정답 : []
     정답률 : 74%

67. 합판 제조시 압력은 어떤 것에 따라 주로 결정되는가?(2003년 08월)
     1. 접착제
     2. 단판비중
     3. 압체온도
     4. 단판 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45%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촉진 천연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재에서 5% 정도까지 건조한다.
     2. 송풍 및 태양열 건조장치 등을 이용한다.
     3. 강우가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4. 장치 설계나 조작을 잘못할 경우 변색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항율건조기간과 감율건조기간의 경계가 되는 함수율은?(2003년 08월)
     1. 이용함수율
     2. 평형함수율
     3. 자유함수율
     4. 추천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84%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정유의 대취방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여과법
     2. 추출법
     3. 흡수법
     4. 수증기 증류법

     정답 : []
     정답률 : 57%

74. 목재의 열분해 생성물 중 리그닌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은?(2017년 08월)
     1. 유기산 화합물
     2. Phenoi 화합물
     3. Alcohol 화합물
     4. Pyridine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5%

75. 목재의 절삭가공 중 종절삭(綜切削)에 있어서 절삭각이나 절입(切込)깊이가 모두 크게 될 때 나타나는 절삭형태는?(2013년 09월)
     1. 전단형(shear type)
     2. 인렬형(tear type)
     3. 절형(crack type)
     4. 유형(flow type)

     정답 : []
     정답률 : 62%

76. 목재를 건조했을 때 내부와 외부의 응력이 다르므로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8월)
     1. 찌그러짐(collapse)
     2. 봉소열, 내부할열(honey combing)
     3. 표면 경화(casehardening)
     4. 뒤틀림(twisting)

     정답 : []
     정답률 : 53%

77. 크라프트 펄프화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성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활성알칼리의 백분율이다.
     2. 황화도는 총알칼리에 대한 Na2S의 백분율이다.
     3. 총약품은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총 Na 염을 가리킨다.
     4. 가성화도는 활성알칼리에 대한 Na2O의 백분율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78. 아황산 pulp 제조시 증해 종점의 결정 방법으로 일반적인 사용 방법은?(2004년 08월)
     1. 비중 측정법(比重測定法)
     2. 비색법(比色法)
     3. 자외선 흡광도법(紫外線吸光度法)
     4. 고분자 아민법(高分子 amine 法)

     정답 : []
     정답률 : 54%

79. 착색(sta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생지 착색은 목재의 불투명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2. 생지 착색은 염료를 사용하여 목재의 생지를 염색하는 방법이다.
     3. 목재 표면에 색을 부여하여 목재의 무늬를 강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4. 도막 착색은 유색 착색제를 사용하여 피막을 만들어 착색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80. 쇄목석 직경 0.9m, 쇄목석 회전이225rpm인 900HP wood grinder로 2kg/cm2 압력 하에 소나무 원목을 쇄목하려고 한다. 이 때 이 wood grinder의 grinding stone의 원주속도(圓周速度) 는?(2012년 09월)
     1. 626 m/min
     2. 636 m/min
     3. 646 m/min
     4. 656 m/min

     정답 : []
     정답률 : 63%

81. 목재의 열화원인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2003년 08월)
     1. 미생물에 의한 열화를 주로 의미한다.
     2. 곤충 및 미생물에 의한 것만을 의미한다.
     3. 생물, 열, 기상, 기계, 화학, 건조열화 등을 모두 포함한다.
     4. 열 및 생물에 의한 열화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82. 연부후균(soft rot fungi)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2년 09월)
     1. chaetomium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생육최적 온도 및 pH의 범위가 다른 균류에 비해 넓다.
     3. 대부분의 연부후균은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며, 일부분은 탄수화물의 탈메톡실화를 일으킨다.
     4. 함수율 100~200%의 범위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83. 수용성 방부제 성분을 목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난용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
     2. 목재 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3. 목재의 조성분과 화합시키는 방법
     4. 목재주성분의 화학변화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7%

84. 목재 방부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유상 방부제는 유용성 방부제와 달리 보존효력은 있으나 처리재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2. 수용성 방부제는 효력이 높은 한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대부분 유기화합물이다.
     3. 유용성 방부제는 용탈에 저항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목재내에 침투가 용이하다.
     4. 수용성 방부제는 값비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목재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고 도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85. 주로 건조재를 가해하는 해충은?(2016년 10월)
     1. 나무좀
     2. 하늘소
     3. 일본흰개미
     4. 히라다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6%

86. 박피하지 않는 생재상태에서 목재를 벌채현장에서 보존처리시키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2003년 08월)
     1. 부세리(Boucherie)법
     2. 오스모스법
     3. 확산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50%

87. 금속화목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합금의 성분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Bi
     2. Pb
     3. Sn
     4. Fe

     정답 : []
     정답률 : 66%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악세처리 후 건조방지를 위해 비닐 등으로 덮고 일정기간 방치하는 방법은?(2018년 08월)
     1. 확산법
     2. 침지법
     3. 가압법
     4. 온냉욕법

     정답 : []
     정답률 : 56%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방부처리 방법 중 가압처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살균처리 효과도 있다.
     2. 현장처리가 불가능하다.
     3. 방부제가 깊고 균일하게 침투한다.
     4. 방부제 흡수량이 적어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2. 목재보존 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전처리에는 기계적 가공과 처리 전 목재의 건조 등이 있다.
     2. 건조에는 천연건조, 인공건조, 증기처리, 감압처리 등이 있다.
     3. 확산법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인공건조하여야 한다.
     4. 기계적 가공에는 박피, 인사이징, 프리커팅, 프리프레이밍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93. 목재의 내화성능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불꽃의 관통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한다.
     2. 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에 비해 열팽창이 커서 연소시 변형이 크다.
     3. 목재는 연소시 표면에 탄화층을 쉽게 형성하여 산소의 공급을 저지한다.
     4. 연소시 목재 표면에 형성된 탄화층은 탄화층 하부로 열의 투과를 방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94. 약제 주입 전 실시하는 자상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약제의 침투깊이와 주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2. 목재표면에 존재하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처리목재 내에서 약제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하기위해 실시한다.
     4. 난주입 수종에 방부처리를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95. 금속화목재(metalized wood)란?(2003년 08월)
     1. 목재의 표면에 Sn을 피복처리한 것이다.
     2. 목재의 공극내에 합금을 용해, 주입시켜 고화한 것이다.
     3. 목재의 공극내에 Bi 50% + Al 31.2% + Sn 20%를 용해 주입시켜 냉각 고화한 것이다.
     4. 목재의 표면에 Bi 50% + Pb 31.2% + Sn 18.8%를 용해시켜 피복처리한 개질 목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96. 약제주입 처리법 중 목재 내 약액의 주입효과가 우수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가압법 > 도포법 > 온냉욕법
     2. 가압법 > 온냉욕법 > 도포법
     3. 도포법 > 가압법 > 온냉욕법
     4. 도포법 > 온냉욕법 > 가압법

     정답 : []
     정답률 : 72%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다음 중 목재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목재는 타 재료에 비해 중량대비 상대적 강도가 높다.
     2. 인간에게 친근감을 주는 소재이다.
     3. 수분환경에 노출되면 수축 또는 팽윤이 되어 치수가 변한다.
     4. 목재는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100.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ACQ
     2. IPBC
     3. CUAZ
     4. CuHDO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9172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95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76196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4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5898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5
5893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8850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92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1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890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9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89549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917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6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1110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5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4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883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1월2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2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10999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1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0893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0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79 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78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77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76 도자기공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04 Next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