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2077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도시계획론


1. 개별 필지에 대한 규제사항 및 토지이용계획사항을 확인하는 것으로, 해당 토지에 대한 용도지역ㆍ지구ㆍ구역, 도시ㆍ군계획시설, 도시계획사업과 입안내용, 그리고 각종 규제에 대한 저축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2015년 09월)
     1. 토지대장
     2. 건축물대장
     3. 토지특성조사표
     4. 토지이용계획확인서

     정답 : []
     정답률 : 92%

2. 1902년 발표한 아디케스(Lex Adickes)법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7년 03월)
     1. 시당국이 민간의 토지를 시의 계획에 맞추어 계획한 후 재 배분하는 토지구획정리법
     2. 시민들이 합동으로 토지를 개발하여 이익을 배분하는 합동단지개발법
     3. 불량한 주택지나 상업지를 새로운 기능으로 개발하는 재개발법
     4. 직주근접을 위한 신도시개발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도시공간구조이론과 이론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상쇄모형 – 윌리암스(M.Williams)
     2. 다핵모형-해리스(C.Harris)와 울만(E.Ulman)
     3. 선형모형-호이트(H.Hoyt)
     4. 동심원이론-버제스(E.Burgess)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쇄모형-알론소
[해설작성자 : ㅎㅇ]

4. 다음 중 공기업경영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3월)
     1. 경제성
     2. 공공성
     3. 영리성
     4. 독립채산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상업지역 이용인구 40,000명, 1인당 평균상면적 15m, 건폐율 50%, 공공용지율 40%, 평균층수가 10층인 경우 상업지역의 소요면적은?(2012년 09월)
     1. 20.0 ha
     2. 15.8 ha
     3. 12.5 ha
     4. 10.0 ha

     정답 : []
     정답률 : 70%

6. 토지이용계획의 수립과정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현황 파악 → 계획구역 설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 면적수요 산정
     2. 계획구역 설정 → 현황 파악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 면적수요 산정
     3. 계획구역 설정 → 현황 파악 → 면적수요 산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4. 현황 파악 → 계획구역 설정 → 면적수요 산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정답 : []
     정답률 : 52%

7. 토지이용의 입지 배분 시 주거지역의 입지선정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지형조건
     2. 도시의 경제권
     3. 주변환경
     4. 접근성

     정답 : []
     정답률 : 88%

8. 옹호적 계획(Advocacy Planning)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다비도프(Davidoff)에 의해 주창된 옹호적 계획은 피해 구제 절차(Adversary procedures)와 같은 사회제도를 계획 개념으로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계획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사람들조차도 무관심한 계획안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을 주민의 관점에서 옹호한다.
     3. 이론상으로 사회는 너무 많은 차원의 가치가 혼재하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복수의 다원적인 계획보다는 단일 계획안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4. 계획이 일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규정하는 전통을 타파하는데 성공적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이론적으로 많은 차원의 가치가 혼재하기 때문에 다원적 계획 수립이 바람직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9. 도시 또는 지역의 성장을 예측하기 위하여 시간변화에 대한 정량적 변화 예측이나 구성 비율의 변화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도시 내부에 일어나는 경제활동의 변화를 국가적 공간 규모와 구역이나 지방 도시지역 등과 서로 비교하는 계량적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5월)
     1. 경제기반분석(economic base analysis)
     2. 투입산출분석(input-output analysis)
     3.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4. 소득지출분석(income-expenditure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아테네를 제외한 대부분의 폴리스는 소규모의 성벽에 의해 도시부와 전원부로 구분되는 형태를 취하였다.
     2. 도시 형태는 원칙적으로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카르도와 데쿠마누스가 격자가로망의 기초이었다.
     3. 시가지 내에는 아고라(Agora)라는 광장이 있어 정치 및 교역활동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4. 밀레투스, 비잔티움, 시라쿠사, 네아폴리스, 알렉산드리아는 대표적인 그리스의 식민도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카르도와 데쿠마누스는 로마를 4등분하는 십자형 간선도로이다.
[해설작성자 : 마루나93]

11.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의 기본 개념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다양한 주거양식의 혼합
     2. 디자인코드(Design Code)에 의한 건축물
     3. 도시공간의 위계 파괴를 통한 자유스러운 토지이용 유도
     4. 근린주구 구성기법에 근거한 걷고 싶은 보행환경체계 구축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은 도시의 파괴적인 개발행위를 영속화하려는 정책과 관례를 바꾸려는 운동으로서, 도시공간의 위계 파괴를 통한 자연스러운 토지이용 유도는 뉴어바니즘의 사조와 맞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okji]

12.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집중하여 인구적으로만 비대해진 도시화를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8월)
     1. 역도시화 (de-urbanization)
     2. 어반스프롤 (urban sprawl)
     3. 외부경제 (external economy)
     4. 가도시화 (pseudo-urbanization)

     정답 : []
     정답률 : 59%

13. 다음 중 개발권양도제도(TD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실제 적용된 예는 많지 않으나 보전과 개발, 재개발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제도이다.
     2. 개발할 토지 총량의 한도 내에서 개발권을 부여한다.
     3. 토지이용의 분산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대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4. 어떤 토지에 규정되어 있는 개발어용한도 가운데 미사용 부분을 다른 토지에 이전하여 토지이용을 실현하는 권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4. 도심공동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직주근접현상 발생
     2. 주거환경의 개선
     3. 기성시가지의 활성화
     4. 야간인구의 격감

     정답 : []
     정답률 : 79%

15. 다음 중 중세 유럽의 도시가 갖는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성벽과 대규모 사원이 도시 공간의 주된 구성요소이다.
     2. 도심을 강조하기 위해 직선을 중심으로 계획하고, 엄격한 용도규제를 통하여 도시내부 기능을 분리하였다.
     3. 필요한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이를 활용하는 유기적 계획(organic planning)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4. 방어를 위해 사용된 해자, 운하, 강이 개별도시를 고립시켰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실세계(real-world) 형상들을 표현한 지리 데이터베이스로서 불명확하고 특정한 범위가 없는 하나 이상의 공간형상을 다루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실세계 형상을 다루는 모델은?(2017년 05월)
     1. 목적기반모델(Goal-based model)
     2. 필드기반모델(Field-based model)
     3. 객체기반모델(Object-based model)
     4. 속성기반모델(Attribute-based model)

     정답 : []
     정답률 : 75%

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용도구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개발제한구역
     2. 시가화조정구역
     3. 자연환경보전구역
     4. 수산자원보호구역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용도구역:개발제한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18.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대규모 토지소유자에 대한 소유권의 침해가 크다.
     2. 사업의 진행에 따라 투기적 매입자들이 개입하고 현저한 지가상승으로 토지소유자들이 불로소득을 얻을 경우 조성된 택지가 장기간 공한지로 남을 수 있다.
     3. 공공감보(公共減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공공감보가 수익자 부담인지, 기부금이나 개발부담금에 상당하는 것인지 또는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원인지 등 사회적 명분이 불분명하다.
     4. 사업 후 지가가 토지소유자들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냄으로서 환지계획을 둘러싸고 민원 발생의 소지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5%

19. 도시계획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도시의 여러 가지 기능을 원활하게 해 준다.
     2.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풍요롭고 양호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3. 개인 및 집단행동을 우선시하며 외부효과를 고려하는 기능이 있다.
     4. 공공 및 민간활동의 분배효과를 고려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지역계획
     2. 부문별계획
     3. 도종합계획
     4. 국토기본계획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계획은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시군종합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이 있고 그외 지역계획, 부문별계획으로 구분된다.

국토기본계획이 아닌 국토종합계획이여야만 정답
[해설작성자 : ㅂㅇㅈ]

2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케빈 린치가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분석할 때 정의한 3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정체성(Identity)
     2. 구조(Structure)
     3. 의미(Meaning)
     4. 행동장면(Behavior Setting)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케빈 린치(K. Lynch)의 도시설계 정의
- 환경 이미지 구성요소 : 정체성(Identity), 구조(Structure), 의미(Meaning)
- 도시를 이미지화하는 도시의 물리적 구조 요소 : PLEND
통로(Path), 랜드마크(Landmark), 경계(Edge), 결절점(Node), 지구(District)
[해설작성자 : 미미]

22. 생활권 계획의 기본목표 중 사회적 측면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위계에 따른 공공편익시설의 적절한 배치로 주민이용의 편리성을 도모한다.
     2. 동질성을 갖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며 이웃간의 면식과 상호간의 교류를 촉진한다.
     3. 차량중심의 생활권 형성을 통하여 주민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도모한다.
     4. 주민간의 동질의식 함양 및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계획단위개발(Planned Unit Development)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혼합토지이용(混合土地利用)
     2. 소유대지(所有垈地)의 공동 이용 개발
     3. 지역지구제(Zoning)에 의한 개발
     4. 집단개발(Cluster developmen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래드번(Radburm) 계획의 기본 원리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슈퍼블럭(Super Block)을 구성하였다.
     2. 주택들은 쿨데삭형 가로망으로 연결되었다.
     3. 건물은 저층화·저밀도로 계획하였다.
     4. 보도와 차도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라이트와 스타인의 레드번 계획
1. 근린주구이론으 적용
2. 계획인구는 25,000인
3. 뉴욕에서 24km덜어진 뉴저지의 페어론 시에 계획된 새로운 자동차 시대의 주거단지
4. 계획지구는 총 420ha로 12~20ha의 슈퍼블록(대가구)구성
5. 슈퍼블록은 개발녹지로 둘러싸이고 자동차 통과 교통이 배제됨
6. 녹지 내에는 학교, 상점, 중심시설로 둘러싸이고 자동차 통과교통이 배제됨
7. 보도망의 형성
8. 보도와 차도를 입체적으로 분리(고가차도)(=보차분리)
9. 주택단지 어디로나 통할 수 있는 공동의 오픈스페이스를 조성
10. 단지 중앙에 대공원 설치
11. 굴데삭형의 세가로망 구성을 통해 주택의 거실이 보도,정원을 향하도록 배치
12. 도로를 기능에 따라 4가지 종류의 도로로 구분하여 설치
13. 초등학교 800m, 중학교 1,600m 반경권
[해설작성자 : 꼬멩이]

25. 다음은 각종 국지도로의 장· 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것은?(2003년 03월)
     1.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성이 높다.
     2. 격자형은 획지의 넓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3. T자형은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손실되는 땅이 적다.
     4. 루프(Loop)형은 세도로와 교차점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는 루프형
T자형은 격자형과 쿨데삭을 합친것, 그니까 도로위계는 이제 확실해지면서 프라이버시도 어느정도 확보가 된다

참고로 루프형은 도로율이 증가해서 손실토지가 늘어남
아 또 루프가 왜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거냐면
쿨데삭은 유턴 장치가 필요함(도로끝에 머 로타리라든지 이런거) 근데 루프형은 그런게 필요없이 스무스하지요
[해설작성자 : 기사는 이미 있음]

26. 래드번 계획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대가구(superblock)
     2. 자동차 도로의 기능을 통합 일원화 하였다.
     3. 보차분리의 원칙이 강조 되었다.
     4. 기능에 따른 4가지 종류의 도로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3%

27. 다음 중 집략(cluster)형태의 주택배치하고 볼 수 있는 것은?(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여러가지 지형의 경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4% 이하의 경사는 거의 평탄하게 보인다.
     2. 4 - 10%의 경사는 완만한 경사로 보이지만 토지조성은 곤란하다.
     3. 10% 이상의 경사는 오르내리는데 곤란을 느끼지만 자연경사대로 건축할 수 있다.
     4. 25% 이상의 경사지는 잔디를 심더라도 잔디깎기 기계를 사용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경관분석을 위해 구역의 넓이, 분석의 정밀도 등에 따라 그리드(grid)의 크기를 나누고 등급화하여 등급별 그리드 수에 의해 경관의 특색을 도출하는 경관 분석 방법은?(2012년 05월)
     1. 기호화 방법
     2. 생태학적 방법
     3. 사진판독법
     4. 메쉬(Mesh)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85%

30. 주택단지의 총세대수가 2000세대 이상인 경우 기간도로와 접하거나 기간도로로부터 당해 단지에 이르는 진입도로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0년 09월)
     1. 8m 이상
     2. 12m 이상
     3. 15m 이상
     4. 2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0%

31. 다음 중 도로의 노면굴착을 수반하는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미관, 도로구조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의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시설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0년 05월)
     1. 공동구
     2. 지중매설물
     3. 배수시설물
     4. 공급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3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2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는 기간도로와 접하거나 기간도로로부터 당해 단지에 이르는 진입도로의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3월)
     1. 8m 이상
     2. 12m 이상
     3. 15m 이상
     4. 2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300세대 : 6
300~500세대 : 8
500~1000세대 : 12
1000~2000세대 : 15
2000세대이상 : 20

33.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2016년 03월)
     1. 단지의 개방성 확보
     2. 단지의 편익시설 확보
     3. 새로운 주거유형 및 건물배치기법 연구
     4. 슈퍼블록(Super block) 및 고층위주의 개발

     정답 : []
     정답률 : 78%

34.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목적 중에서 주차장법의 규정에 의한 주차장 설치기준을 100%까지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2008년 05월)
     1. 지구단위계획에서 합벽건축을 하도록 계획되어 있는 경우
     2. 당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이 도심지에 위치하는 경우
     3. 한옥마을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
     4.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주된 목적은 도시경관 관리를 위함이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6. 국지도로의 형태 중 하나인 루프형 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불필요한 차량의 진입이 배제된다.
     2. 교차점이 많아 방향성이 불분명하다.
     3. 주거환경의 안전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다.
     4. 외곽부에서 내부로의 진입이 제한되므로 차량의 우회교통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번은 격자형 도로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옹기종기]

37. 공원 · 녹지체계의 유형 중 일정폭의 녹지를 직선적으로 길게 조성하는 것으로 완충녹지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인도의 찬디가르(Chandigarh)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은?(2016년 03월)
     1. 집중형
     2. 분산형
     3. 대상형
     4. 격자형

     정답 : []
     정답률 : 78%

38. 단지계획의 전형적인 목표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기능의 적합성
     2. 선택의 다양성
     3. 건강과 쾌적성
     4. 미관 위주의 통일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다음 중 공업용지의 수요예측 방법으로 업종별 생산액 또는 종업원 수를 먼저 예측하고, 생산액당 또는 종업원수당 공장용지 소요기준 면적을 곱하여 총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은?(2006년 03월)
     1. 원단위법
     2. 소규모 다단위법
     3. 표준공장 단위법
     4. 수요예측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로 가장 잘 짜여진 것은?(2003년 03월)
     1. 기능성 - 경제성 - 심미성
     2. 기능성 - 환경성 - 심미성
     3. 기능성 - 경제성 - 환경성
     4. 경제성 - 환경성 - 심미성

     정답 : []
     정답률 : 46%

3과목 : 도시개발론


41. 다음 중 타당성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타당성은 사업의 확실한 성공을 보장하고자 한다.
     2. 타당성 분석은 선택된 수단의 적합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3. 타당성 분석이란 사업이 직면한 모든 제약 하에서 프로젝트의 적합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4. 타당성은 분석 이전에 설정된 프로젝트의 명료한 목적에 대한 충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42. 다음 중 개별 소매점의 고객 흡입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Reilly와 Converse의 소매인력이론을 실제 적용가능하게 하려고 수정·보완한 것은?(2010년 05월)
     1. 한정시간모형
     2. Huff모형
     3. JA모형
     4. 인과분석모형

     정답 : []
     정답률 : 65%

43.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자금원 중 선수위채권은 프로젝트 파이낸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금이다.
     2.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과 그로부터의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3.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도입할 경우 일반적인 기업금융에 비해 금융기관의 위험(risk)이 줄고 금융비용도 줄일 수 있다.
     4. 비소구금융 및 부외금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상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금융절차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단점
- 금융기관이 부담하는 위험이 통상적인 기업금융에 비해 높고, 기업금융에 비해 높은 금융비용이 요구됨
- 복잡한 금융절차, 위험배분 및 참여조건 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해관계 조정에 전문성이 요구됨
[해설작성자 : 나그네]

44. 수준측량에 있어서 AB 두점간의 표고차를 구하기 위하여 (a), (b), (c) 코스로 측량한 결과 다음과 같다. 두점간의 표고차는 얼마인가?(2004년 09월)

    

     1. 18.582m
     2. 18.584m
     3. 18.586m
     4. 18.588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평판측량에서 중심맞추기 오차(편심거리)를 30mm, 도상위치 오차를 0.2mm로 할 때 축척한계는?(2006년 05월)
     1. 1/100
     2. 1/150
     3. 1/300
     4. 1/6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비사업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주거환경개선사업
     2. 재개발사업
     3. 도시환경정비사업
     4. 재건축사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비사업의 종류
-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해설작성자 : 도계기]

47. 환지계획구역의 면적이 1000m2, 보류지의 면적이 400m2, 시행자에게 무상귀속되는 공공시설면적이 150m2일 때, 환지계획구역의 평균 토지부담률은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9.4%
     2. 29.4%
     3. 39.4%
     4. 49.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토지부담률 = 보류지 면적 - 무상귀속 면적 / 환지계획구역 면적 - 무상귀속 면적*100
[해설작성자 : 1일 1깡 1CBT]

48. 직육면체인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부피오차는?(2007년 05월)

    

     1. ±10m3
     2. ±21m3
     3. ±27m3
     4. ±34m3

     정답 : []
     정답률 : 8%

49.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관련한 아래 설명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Special Corporation
     2. Special Purpose Corporation
     3. Project Financing Corporation
     4. Project Management Company

     정답 : []
     정답률 : 75%

50. 다음 중 대규모지역의 지형도 작성을 위한 세부측량에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2005년 09월)
     1. 평판측량
     2. 수준측량
     3. 사진측량
     4. 천문측량

     정답 : []
     정답률 : 30%

51. 문화재 보존이나 환경보호 등을 위해 해당 지역의 토지소유자로 하여금 재산상의 손실 부분만큼을 다른 지역에 대한 개발권으로 이전하여 주는 제도는?(2021년 05월)
     1. TOD
     2. TDR
     3. PUD
     4. Floating zonig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TDR은 개발권이양제도
개발권을 소유권과 분리시켜 이를 공유화하고 개발이 제한된 지역에서 개발이 필요한 지역으로
개발권이 양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토지소유자가 장래 허용가능한 개발용적을
고밀도 개발이 가능한 지역으로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지는 공유화하고
공공의 토지이용 목적을 민간시장에 개발권을 판매하여 달성함
공공 토지이용 목적 이외에도 일정지역의 개발을 법규보다 강하게 할 때
그 보상으로 다른 지역에 대한 개발권을 이양할 경우에도 사용하는데,
이는 주로 문화재보호나 환경보전 등에 활용되는 방식으로 그 지역의 토지소유자로 하여금 재산상 손실부분만큼 다른 지역에서 만회할 수 있도록 함
[해설작성자 : ㅕ]

1. TOD : 대중교통 지향개발
3. PUD : 계획단위개발
4. Floating zonig : 유동지역제
[해설작성자 : ㅛ]

52. 도시개발사업 아이템의 정량적 수요예측의 기법 중 상권에 대한 이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한 것으로, 개별 소매점의 고객흡입력을 계산하는 기법은?(2008년 05월)
     1. 델파이법
     2. 중력모형
     3. Huff모형
     4. 판단결정모형

     정답 : []
     정답률 : 67%

53. 다음 중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도시개발에 주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통근 비용 증대
     2. 기반시설 투자비용 확대
     3. 도심 공동화 유발
     4. 도시재생(Urban renewal)

     정답 : []
     정답률 : 59%

54. 도시개발기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용도지역제(zoning)
     2. 계획단위개발(PUD)
     3. 개발권양도제(TDR)
     4. 정보화 기반도시개발(u-City)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방식으로 시행하려 할 때 환지계획의 작성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2018년 09월)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환지 청산금 징수 시기
     4.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시개발법 제 28조(환지 계획의 작성)]
1) 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 방식으로 시행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환지 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4. 제 34조에 따른 체비지 또는 보류지의 명세
5. 제 32조에 따른 입체 환지를 계획하는 경우에는 입체 환지용 건축물의 명세와 제 32조의 3에 따른 공급 방법, 규모에 관한 사항.
6. 그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비지캣]

56.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정확도가 높다.
     2. One-men Surveying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전파거리측량기에 비해 조작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40%

57. 거리측량에서 정밀도가 ±(5㎜+3㎜/㎞)인 전파거리측량기 (EDM)로 3.8㎞의 거리를 측정할 때 예측되는 총오차는?(2005년 05월)
     1. ±10.25㎜
     2. ±12.45㎜
     3. ±14.75㎜
     4. ±16.4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평판측량시 축척 1/600일 때 도면작성시 도상 0.3mm 오차 허용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2004년 05월)
     1. 9cm 이내
     2. 12cm 이내
     3. 15cm 이내
     4. 18cm 이내

     정답 : []
     정답률 : 34%

59. 재개발의 유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철거 재개발(redevelopment) : 도시환경 및 시설에 있어서 불량 또는 노후화 현상이 현재까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현 상태로 방치할 경우 환경악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예방적 조처로 시행하는 방식
     2. 수복 재개발(rehabilitation) : 관리상 부실로 인하여 도시환경이 악화될 우려가 있거나 이미 악화된 지역에 대하여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구역 전체의 기능과 환경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소극적인 방식
     3. 보존 재개발(conservation) : 낙후되고 노후화된 기존의 도시지역의 시설을 보수, 확장, 새로운 시설을 첨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방식
     4. 개량 재개발(improvement) : 기존의 시설을 전면적으로 철거하고 새로운 시설물로 대체시켜 쾌적하고 능률적이며 기능적인 도시환경을 창출해내는 적극적인 방식

     정답 : []
     정답률 : 76%

60. 관광진흥법령에 따른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의 수립주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42조(관광개발계획의 수립시기)
[해설작성자 : 재연시]

4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61. 다음 지역계획의 이론들을 그 발생 시기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21년 05월)

    

     1. A – B – C - D
     2. A – B – D - C
     3. A – C – D - B
     4. A – C – B – D

     정답 : []
     정답률 : 69%

62. 수도권정비계획은 누구의 승인을 거쳐 결정되는가?(2007년 05월)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건설교통부장관
     4. 경기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50%

63. 학문으로서의 지역계획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2021년 03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86%

64. 도종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건설교통부장관이 작성하는 도종합계획 수립지침에는 도종합계획의 기본사항과 수립정차 등을 포함되어야 한다.
     2. 도종합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3. 도종합계획안을 작성한 때에는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 전문가 등으로 의견을 청취하여야 한다.
     4. 도종합계획의 수집 주체는 도지사, 시장, 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우리나라의 인구규모별 도시 순위가 아래와 같을 때 데이비스(K. Davis)의 종주회지수는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2.78
     2. 1.15
     3. 0.99
     4. 0.6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종주화지수 = 9,762,546 / (3,512,547 + 2,517,680 + 2,456,016) = 약 1.15
[해설작성자 : 성결안영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9,762,546 / (3,512,547 + 2,517,680 + 2,456,016 + 0,413,644) = 약 0.99
답 3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종주화지수=1위도시/(2,3,4위 도시 인구수의 합) -> 2번 1.15가 정답입니당
[해설작성자 : 도싱]

66.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대안평가 또는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할 때, 비용-편익분석법(Cost-benefit analysis)을 사용하는데 타당성을 판단하는 다음의 방법중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편익/비용의 비(B/C Ratio)가 1 이상이 되어야 함
     2. 편익의 현재가치 합(合)에서 비용의 현재가치 합(合)을 뺀 순 현재가치(Net present value)가 0 이상이 되어야 타당함
     3. 타당성 있는 여러 사업 중에서는 편익/비용의 비 (B/C Ratio)가 높은 것이 절대적으로 우선권을 가짐
     4. 타당성 있는 여러 사업 중에서는 투자재원이 허용하면 순 현재가치(NPV)가 높은 것에 우선권을 부여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독시아디스가 설정한 인간의 정주공간단위가 작은 것부터 큰 것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3월)
     1. town-city-metropolis-megalopolis-conurbation
     2. city-town-metropolis-conurbation-megalopolis
     3. town-city-metropolis-conurbation-megalopolis
     4. city-town-conurbation-megalopolis-metropolis

     정답 : []
     정답률 : 71%

68. 다음 중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의 주요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동북아 시대의 국토경영과 통일기반 조성
     2. 분권형 국토계획과 집행 체계의 구축
     3. 네트워크형 인프라 구축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과 국토이용관리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40%

69. 수도권정비계획 수립 시 수도권정비계획안 입안에 포함시키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인구와 산업 등의 배치에 관한 사항
     2. 권역의 구분과 권역별 정비에 관한 사항
     3.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과 변경에 관한 사항
     4. 광역적 교통 시설과 상하수도 시설 등의 정비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안 입안 포함사항]
- 인구와 상업 등의 배치에 관한 사항
- 권역의 구분과 권역별 정비에 관한 사항
- 광역적 교통 시설과 상하수도 시설 등의 정비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LOCAL]

7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의 주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점적 개방(3개축)을 중심으로 국토 골격 형성
     2. 해외 자원 확보 및 공동개발 추진
     3. 행정구역을 초월한 5+2 광역경제권
     4. 수도권의 경쟁력 강화 및 계획적 성장관리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점적 개방(3개축)을 중심으로 국토 골격 형성하는 계획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1번은 제3차 국토종합계획(1992~1999)입니다.
[해설작성자 : 여러분복전하세요]

71. 다음 중 입지계수법(Location Quotient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A지역 특정상업의 입지계수(LQ값)가 1보다 크면 A지역은 해당 상업이 비교적 특화되어 있다는 의미다.
     2. 중간재의 특성을 고려한 장점이 있다.
     3. 수출기반모형 중 하나인 입지계수법은 수요모형에 해당한다.
     4. 어떤 산업의 생산품에 대한 소요수준이 전국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모순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72. 크리스탈러(W. Christaller)가 도시정주지를 설명하는데 사용한 R(Range, 범위)과 T(Threshold, 한계거리)의 개념에 따라, 기업이 손해를 보는 상황을 설명한 것은?(2016년 03월)
     1. R > T
     2. R < T
     3. R = T
     4. T = 1

     정답 : []
     정답률 : 70%

73. 도시와 농촌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32년 도시계획법을 「도시 및 농촌계획법」으로 개정한 나라는 어디인가?(2010년 03월)
     1. 영국
     2. 미국
     3. 독일
     4. 프랑스

     정답 : []
     정답률 : 53%

74. 결절지역(nodal region)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이질적인 공간경제의 속성과 공간적 차원을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다.
     2. 기능적 측면에서 공간상의 흐름, 접촉,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개념이다.
     3. 인구와 경제적 활동이 집적하게 되므로 중심지역과 주변지역으로 나뉘어진다.
     4. 지역경제 및 지역정책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설정한 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결절지역
- 여러 기능이 집중되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그것과 밀점하게 연결되는 지역을 포괄하는 지리적 범위
[해설작성자 : 비지덕]

75. 다음 중 런던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그린벨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런던 계획을 작성한 사람은?(2012년 03월)
     1. 페리
     2. 하워드
     3. 아베크롬비
     4. 르꼬르뷔제

     정답 : []
     정답률 : 73%

76. 다음 중 도시공간의 확장과 분화는 지속적인 침입(invasion)과 계승(succession)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다고 설명하는 도시 공간 구조 이론은?(2011년 10월)
     1. 선형이론
     2. 다핵이론
     3. 동심원이론
     4. 다차원이론

     정답 : []
     정답률 : 60%

77. 국토기본법에 따른 국토계획의 구분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2. 부문별계획은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특정 부문에 대한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3. 지역계획은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이다.
     4. 시 군 종합계획은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해당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이다
[해설작성자 : ㅇ]

도종합계획 :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해당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해설작성자 : 초]

78. 어떤 국가의 도시규모가 지프(Zipf)의 순위-규모법칙에 의한 순위규모분포(q=1)를 따른다고 할 때, 수위 도시의 인구가 100만명이라면 제 4순위 도시의 인구는 얼마로 예상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20만명
     2. 25만명
     3. 33만명
     4. 40만명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순위로 나누면 됩니다. 4순위니까 100만 나누기 4 = 25만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79. 지역의 소득격차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지니계수
     2. 허프모형
     3. 로렌츠곡선
     4. 쿠즈네츠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역 간 소득분포 파악기법
= 로렌츠 곡선, 지니의 집중계수(지니계수), 쿠즈네츠의 역U곡선, 테일의 지수
+) 허프모형은 경제활동의 공간적 배분 시 사용
[해설작성자 : notable]

80. 국토 및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사용하는 미래예측방법 가운데 질적인 방법은?(2004년 05월)
     1. 요인분석
     2. 델파이방법
     3. 다중회귀분석
     4. 최적화방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ㆍ불량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은?(2014년 09월)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수도권정비계획법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4. 도시개발법

     정답 : []
     정답률 : 87%

82. 다음 중 개발밀도관리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개발밀도관리구역은 개발행위로 인한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주거지역에 대해서만 지정할 수 있다.
     2.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기준, 관리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4.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 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관련 조항에 따른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제66조(개발밀도관리구역) ①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주거·상업 또는 공업지역에서의 개발행위로 기반시설(도시·군계획시설을 포함한다)의 처리·공급 또는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을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11.4.14>

     ②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제77조나 제78조에 따른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개정 2011.4.14>

     ③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제1항에 따라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개정 2011.4.14>

[해설작성자 : 임]

83. 건축법령상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구분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전시장
     2. 수족관
     3. 독서실
     4. 공연장(제2종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독서실: 제2종 근린생활시설
[해설작성자 : 홍챔]

84.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개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관광개발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한다.
     2. 확정된 권력계획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관계부처의 장과의 협의를 갈음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권역계획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의 변경에는 관광지 등 면적의 100분의 30 이내의 확대를 포함한다.
     4. 시·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는 제외한다.)는 기본계획에 따라 구분된 권역을 대상으로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관광개발기본계획 - 10년마다 수립
권역별관광개발계획 - 5년마다 수립
[해설작성자 : 초딩]

85. 주택법상 주택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주택정책의 기본목표 및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주택· 택지의 수요· 공급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주택의 노후도 정도 및 현황에 관한 사항
     4. 주택의 리모델링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다음 중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 관한 구역 내 관광특구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 촉진 등을 위하여 수립하고 시행하는 계획은?(2009년 03월)
     1. 관광권역계획
     2. 관광기본계획
     3. 관광특구진흥계획
     4. 관광활성화계획

     정답 : []
     정답률 : 50%

87. 다음 중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부담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과밀부담금은 건축비의 100분의 10으로 하되,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비의 100분의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2. 과밀부담금의 부과 대상은 성장관리권역에 속하는 지역이다.
     3. 과밀부담금은 부과 대상 건축물이 속한 지역을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부과·징수한다.
     4. 시·도지사는 납부 의무자가 납부 기한까지 과밀부담금을 내지 아니하면 부담금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가산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88.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조합의 법인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조합은 법인으로 할 수 없다.
     2. 조합은 조합 설립의 인가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등기함으로써 성립한다.
     3. 조합은 그 명칭 중에 “정비사업조합”이라는 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조합의 공식적 업무 시작일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승인일로부터 시작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89. 다음 중 부설주차장설치의무가 면제되는 시설물의 위치·용도·규모 및 부설주차장의 규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연면적 10000m2 이상의 판매시설 및 운수 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시설물
     2. 연면적 15000m2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위락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시설물
     3. 주차대수가 400대 이하의 규모인 부설주차장의 경우
     4. 도로교통법에 따른 차량통행의 금지 또는 주변의 토지이용 상황으로 인하여 부설주차장의 설치가 곤란하다고 시장·군수가 인정하는 장소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주차대수가 300대 이하인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 의무 면제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90. 도시공원 조성계획의 입안 결정에 관한 기술이다. 틀린것은?(2003년 03월)
     1. 도시공원 조성계획은 도시계획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도지사에게 재정(裁定)이 있은 때에는 도시공원조성계획 입안자에 대한 협의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3. 2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도시공원 대해서는 반드시 관계시장 또는 군수가 공동으로 입안해야 한다
     4. 2 이상의 도와 관련되는 도시공원에 협의가 성립되지 않는 도시공원에 대한 것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그 재정(裁定)을 신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0%

91.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유원지에 설치하는 아래 시설들이 해당되는 것은?(2019년 09월)

    

     1. 유희시설
     2. 휴양시설
     3. 위락시설
     4. 특수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우원지의 구조 및 설치기준)
1. 유희시설 : 「관광진흥법」에 따른 유기시설ㆍ유기기구, 번지점프, 그네ㆍ미끄럼틀ㆍ시소 등의 시설, 미니썰매장ㆍ미니스케이트장 등 여가활동과 운동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시설 그 밖에 기계 등으로 조작하는 각종 유희시설
3. 휴양시설 : 휴게실ㆍ놀이동산ㆍ낚시터ㆍ숙박시설ㆍ야영장(자동차야영장을 포함한다)ㆍ야유회장ㆍ청소년수련시설ㆍ자연휴양림ㆍ간이취사시설
4. 특수시설 : 동물원ㆍ식물원ㆍ공연장ㆍ예식장ㆍ마권장외발매소(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ㆍ관람장ㆍ전시장ㆍ진열관ㆍ조각ㆍ야외음악당ㆍ야외극장ㆍ온실ㆍ수목원ㆍ광장
5. 위락시설 : 관광호텔에 부속된 시설로서 「관광진흥법」 제15조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설치하는 위락시설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92. 다음 중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연립주택
     2. 다가구주택
     3. 다세대주택
     4. 기숙사

     정답 : []
     정답률 : 69%

93. 주택법상 100호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간선시설의 설치비용을 국가가 2분의 1의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는 시설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9월)
     1. 전기시설
     2. 지역난방시설
     3. 통신시설
     4. 상하수도 시설

     정답 : []
     정답률 : 46%

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미관지구의 분류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중심지미관지구
     2. 시가화미관지구
     3. 역사문화미관지구
     4. 일반미관지구

     정답 : []
     정답률 : 34%

95.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하기 위해 지정되는 구역은?(2018년 04월)
     1. 개발제한구역
     2. 상세계획구역
     3. 시가화조정구역
     4. 특정시설제한구역

     정답 : []
     정답률 : 82%

96. 택지개발촉진법 시행규칙에서 주거생활의 편익을 위하여 이용되는 시설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시설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운동시설
     2. 종교집회장
     3. 일반목욕장
     4. 공용시장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택지개발촉진법 시행규칙
1. 운동시설
2. 일반목욕장
3. 종교집회장
4. 보육시설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7. 단지조성사업등에 관하여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에 의한 교통영향 평가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노외주차장의 규모는?(2005년 05월)
     1.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0.3% 이상
     2.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0.6% 이상
     3.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1.2% 이상
     4.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2.0%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환지방식이 적용되는 도시개발사업지구의 면적이 12,000평 이고, 토지소유자가 120명이다.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경우는?(2005년 03월)
     1. 토지면적 6,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60명 이상 동의
     2. 토지면적 8,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60명 이상 동의
     3. 토지면적 6,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80명 이상 동의
     4. 토지면적 4,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80명 이상 동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인구집중유발시설의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로서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
     2.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3.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 중 건축물의 연면적이 1000m2 이상인 것
     4. 복합시설이 주용도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5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500]m2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허졉]

제3조(인구집중유발시설의 종류 등) 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인구집중유발시설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 경우 제3호부터 제5호까지의 시설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연면적 또는 시설의 면적을 산정할 때 대지가 연접하고 소유자(제3호의 공공 청사인 경우에는 사용자를 포함한다)가 같은 건축물에 대하여는 각 건축물의 연면적 또는 시설의 면적을 합산한다.
1.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로서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이에 준하는 각종학교를 각각 포함한다. 이하 같다)
2.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제조시설로 사용되는 기계 또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 및 사업장의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한다)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공 청사(도서관, 전시장, 공연장, 군사시설 중 군부대의 청사, 국가정보원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것
가.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
나. 다음에 해당하는 법인(이하 “공공법인”이라 한다)의 사무소(연구소와 연수 시설 등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1) 정부가 자본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출자한 법인 및 그 법인이 자본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출자한 법인
2) 「국유재산법」에 따른 정부출자기업체
3) 법률에 따른 정부 출연 대상 법인으로서 정부로부터 출연을 받거나 받은 법인
4) 개별 법률에 따라 설립되는 법인으로서 주무부장관의 인가 또는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해당 법률에 따라 직접 설립된 법인
4.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용 건축물, 판매용 건축물 및 복합 건축물. 다만,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법인의 사무소로 사용되는 건축물과 자연보전권역이 아닌 지역에 설치되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4항에 따른 벤처기업집적시설 및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에 따른 국제회의시설 중 전문회의시설은 제외한다.
가. 업무용 건축물: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이하 “업무용시설” 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업무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의 분류에 따른 용도별 면적(이하 “용도별면적”이라 한다)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에서 같다]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업무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업무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1)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0호마목의 연구소 및 같은 표 제14호나목의 일반업무시설
2)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3호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4호의 제2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5호의 문화 및 집회시설(같은 호 라목 및 마목의 시설만 해당한다) 및 같은 표 제18호의 창고시설. 다만, 각 시설의 면적이 1)에 따른 시설 면적의 합계보다 작은 경우만 해당한다.
나. 판매용 건축물: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
1)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이하 “판매용시설”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판매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용도별면적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에서 같다)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1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판매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판매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1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7호의 판매시설 및 같은 표 제16호의 위락시설
나)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3호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4호의 제2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5호의 문화 및 집회시설, 같은 표 제13호의 운동시설 및 같은 표 제18호의 창고시설. 다만, 각 시설의 면적이 가)에 따른 시설 면적의 합계보다 작은 경우만 해당한다.
2) 업무용시설 및 판매용시설(이하 “복합시설”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복합시설 면적의 합계가 용도별면적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 및 다목에서 같다)가 아닌 건축물로서 복합시설의 면적의 합계가 1만5천제곱미터 이상 2만5천제곱미터 미만이고 판매용시설 면적이 업무용시설 면적보다 큰 건축물의 복합시설에 해당하는 부분
다. 복합 건축물: 복합시설이 주용도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복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복합시설의 면적의 합계가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5.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0호나목의 교육원, 같은 호 다목의 직업훈련소 및 같은 표 제20호사목의 운전 및 정비 관련 직업훈련소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3만제곱미터 이상인 연수 시설. 다만,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법인이 설치하는 시설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100. 도시공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조경시설로는 화단, 분수, 조각 등이 있다.
     2. 도시공원의 설치 및 관리는 관할시장, 군수가 담당 한다.
     3. 녹지시설은 완충녹지, 경관녹지, 차폐녹지로 세분 된다.
     4. 공원관리청은 공원대장을 작성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2077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도시계획론


1. 개별 필지에 대한 규제사항 및 토지이용계획사항을 확인하는 것으로, 해당 토지에 대한 용도지역ㆍ지구ㆍ구역, 도시ㆍ군계획시설, 도시계획사업과 입안내용, 그리고 각종 규제에 대한 저축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2015년 09월)
     1. 토지대장
     2. 건축물대장
     3. 토지특성조사표
     4. 토지이용계획확인서

     정답 : []
     정답률 : 92%

2. 1902년 발표한 아디케스(Lex Adickes)법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7년 03월)
     1. 시당국이 민간의 토지를 시의 계획에 맞추어 계획한 후 재 배분하는 토지구획정리법
     2. 시민들이 합동으로 토지를 개발하여 이익을 배분하는 합동단지개발법
     3. 불량한 주택지나 상업지를 새로운 기능으로 개발하는 재개발법
     4. 직주근접을 위한 신도시개발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도시공간구조이론과 이론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상쇄모형 – 윌리암스(M.Williams)
     2. 다핵모형-해리스(C.Harris)와 울만(E.Ulman)
     3. 선형모형-호이트(H.Hoyt)
     4. 동심원이론-버제스(E.Burgess)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쇄모형-알론소
[해설작성자 : ㅎㅇ]

4. 다음 중 공기업경영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3월)
     1. 경제성
     2. 공공성
     3. 영리성
     4. 독립채산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상업지역 이용인구 40,000명, 1인당 평균상면적 15m, 건폐율 50%, 공공용지율 40%, 평균층수가 10층인 경우 상업지역의 소요면적은?(2012년 09월)
     1. 20.0 ha
     2. 15.8 ha
     3. 12.5 ha
     4. 10.0 ha

     정답 : []
     정답률 : 70%

6. 토지이용계획의 수립과정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현황 파악 → 계획구역 설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 면적수요 산정
     2. 계획구역 설정 → 현황 파악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 면적수요 산정
     3. 계획구역 설정 → 현황 파악 → 면적수요 산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4. 현황 파악 → 계획구역 설정 → 면적수요 산정 → 계획 목표 및 지표 설정

     정답 : []
     정답률 : 52%

7. 토지이용의 입지 배분 시 주거지역의 입지선정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지형조건
     2. 도시의 경제권
     3. 주변환경
     4. 접근성

     정답 : []
     정답률 : 88%

8. 옹호적 계획(Advocacy Planning)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다비도프(Davidoff)에 의해 주창된 옹호적 계획은 피해 구제 절차(Adversary procedures)와 같은 사회제도를 계획 개념으로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계획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사람들조차도 무관심한 계획안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을 주민의 관점에서 옹호한다.
     3. 이론상으로 사회는 너무 많은 차원의 가치가 혼재하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복수의 다원적인 계획보다는 단일 계획안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4. 계획이 일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규정하는 전통을 타파하는데 성공적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이론적으로 많은 차원의 가치가 혼재하기 때문에 다원적 계획 수립이 바람직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9. 도시 또는 지역의 성장을 예측하기 위하여 시간변화에 대한 정량적 변화 예측이나 구성 비율의 변화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도시 내부에 일어나는 경제활동의 변화를 국가적 공간 규모와 구역이나 지방 도시지역 등과 서로 비교하는 계량적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5월)
     1. 경제기반분석(economic base analysis)
     2. 투입산출분석(input-output analysis)
     3.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4. 소득지출분석(income-expenditure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아테네를 제외한 대부분의 폴리스는 소규모의 성벽에 의해 도시부와 전원부로 구분되는 형태를 취하였다.
     2. 도시 형태는 원칙적으로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카르도와 데쿠마누스가 격자가로망의 기초이었다.
     3. 시가지 내에는 아고라(Agora)라는 광장이 있어 정치 및 교역활동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4. 밀레투스, 비잔티움, 시라쿠사, 네아폴리스, 알렉산드리아는 대표적인 그리스의 식민도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카르도와 데쿠마누스는 로마를 4등분하는 십자형 간선도로이다.
[해설작성자 : 마루나93]

11.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의 기본 개념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다양한 주거양식의 혼합
     2. 디자인코드(Design Code)에 의한 건축물
     3. 도시공간의 위계 파괴를 통한 자유스러운 토지이용 유도
     4. 근린주구 구성기법에 근거한 걷고 싶은 보행환경체계 구축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뉴어바니즘(New Urbanism)은 도시의 파괴적인 개발행위를 영속화하려는 정책과 관례를 바꾸려는 운동으로서, 도시공간의 위계 파괴를 통한 자연스러운 토지이용 유도는 뉴어바니즘의 사조와 맞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okji]

12.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집중하여 인구적으로만 비대해진 도시화를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8월)
     1. 역도시화 (de-urbanization)
     2. 어반스프롤 (urban sprawl)
     3. 외부경제 (external economy)
     4. 가도시화 (pseudo-urbanization)

     정답 : []
     정답률 : 59%

13. 다음 중 개발권양도제도(TD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실제 적용된 예는 많지 않으나 보전과 개발, 재개발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제도이다.
     2. 개발할 토지 총량의 한도 내에서 개발권을 부여한다.
     3. 토지이용의 분산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대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4. 어떤 토지에 규정되어 있는 개발어용한도 가운데 미사용 부분을 다른 토지에 이전하여 토지이용을 실현하는 권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4. 도심공동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직주근접현상 발생
     2. 주거환경의 개선
     3. 기성시가지의 활성화
     4. 야간인구의 격감

     정답 : []
     정답률 : 79%

15. 다음 중 중세 유럽의 도시가 갖는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성벽과 대규모 사원이 도시 공간의 주된 구성요소이다.
     2. 도심을 강조하기 위해 직선을 중심으로 계획하고, 엄격한 용도규제를 통하여 도시내부 기능을 분리하였다.
     3. 필요한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이를 활용하는 유기적 계획(organic planning)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4. 방어를 위해 사용된 해자, 운하, 강이 개별도시를 고립시켰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실세계(real-world) 형상들을 표현한 지리 데이터베이스로서 불명확하고 특정한 범위가 없는 하나 이상의 공간형상을 다루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실세계 형상을 다루는 모델은?(2017년 05월)
     1. 목적기반모델(Goal-based model)
     2. 필드기반모델(Field-based model)
     3. 객체기반모델(Object-based model)
     4. 속성기반모델(Attribute-based model)

     정답 : []
     정답률 : 75%

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용도구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개발제한구역
     2. 시가화조정구역
     3. 자연환경보전구역
     4. 수산자원보호구역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용도구역:개발제한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18.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대규모 토지소유자에 대한 소유권의 침해가 크다.
     2. 사업의 진행에 따라 투기적 매입자들이 개입하고 현저한 지가상승으로 토지소유자들이 불로소득을 얻을 경우 조성된 택지가 장기간 공한지로 남을 수 있다.
     3. 공공감보(公共減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공공감보가 수익자 부담인지, 기부금이나 개발부담금에 상당하는 것인지 또는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원인지 등 사회적 명분이 불분명하다.
     4. 사업 후 지가가 토지소유자들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냄으로서 환지계획을 둘러싸고 민원 발생의 소지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5%

19. 도시계획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도시의 여러 가지 기능을 원활하게 해 준다.
     2.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풍요롭고 양호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3. 개인 및 집단행동을 우선시하며 외부효과를 고려하는 기능이 있다.
     4. 공공 및 민간활동의 분배효과를 고려하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지역계획
     2. 부문별계획
     3. 도종합계획
     4. 국토기본계획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국토기본법에 의한 국토계획은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시군종합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이 있고 그외 지역계획, 부문별계획으로 구분된다.

국토기본계획이 아닌 국토종합계획이여야만 정답
[해설작성자 : ㅂㅇㅈ]

2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케빈 린치가 도시환경의 이미지를 분석할 때 정의한 3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정체성(Identity)
     2. 구조(Structure)
     3. 의미(Meaning)
     4. 행동장면(Behavior Setting)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케빈 린치(K. Lynch)의 도시설계 정의
- 환경 이미지 구성요소 : 정체성(Identity), 구조(Structure), 의미(Meaning)
- 도시를 이미지화하는 도시의 물리적 구조 요소 : PLEND
통로(Path), 랜드마크(Landmark), 경계(Edge), 결절점(Node), 지구(District)
[해설작성자 : 미미]

22. 생활권 계획의 기본목표 중 사회적 측면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위계에 따른 공공편익시설의 적절한 배치로 주민이용의 편리성을 도모한다.
     2. 동질성을 갖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며 이웃간의 면식과 상호간의 교류를 촉진한다.
     3. 차량중심의 생활권 형성을 통하여 주민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도모한다.
     4. 주민간의 동질의식 함양 및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계획단위개발(Planned Unit Development)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혼합토지이용(混合土地利用)
     2. 소유대지(所有垈地)의 공동 이용 개발
     3. 지역지구제(Zoning)에 의한 개발
     4. 집단개발(Cluster developmen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래드번(Radburm) 계획의 기본 원리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슈퍼블럭(Super Block)을 구성하였다.
     2. 주택들은 쿨데삭형 가로망으로 연결되었다.
     3. 건물은 저층화·저밀도로 계획하였다.
     4. 보도와 차도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라이트와 스타인의 레드번 계획
1. 근린주구이론으 적용
2. 계획인구는 25,000인
3. 뉴욕에서 24km덜어진 뉴저지의 페어론 시에 계획된 새로운 자동차 시대의 주거단지
4. 계획지구는 총 420ha로 12~20ha의 슈퍼블록(대가구)구성
5. 슈퍼블록은 개발녹지로 둘러싸이고 자동차 통과 교통이 배제됨
6. 녹지 내에는 학교, 상점, 중심시설로 둘러싸이고 자동차 통과교통이 배제됨
7. 보도망의 형성
8. 보도와 차도를 입체적으로 분리(고가차도)(=보차분리)
9. 주택단지 어디로나 통할 수 있는 공동의 오픈스페이스를 조성
10. 단지 중앙에 대공원 설치
11. 굴데삭형의 세가로망 구성을 통해 주택의 거실이 보도,정원을 향하도록 배치
12. 도로를 기능에 따라 4가지 종류의 도로로 구분하여 설치
13. 초등학교 800m, 중학교 1,600m 반경권
[해설작성자 : 꼬멩이]

25. 다음은 각종 국지도로의 장· 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것은?(2003년 03월)
     1.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성이 높다.
     2. 격자형은 획지의 넓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3. T자형은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손실되는 땅이 적다.
     4. 루프(Loop)형은 세도로와 교차점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는 루프형
T자형은 격자형과 쿨데삭을 합친것, 그니까 도로위계는 이제 확실해지면서 프라이버시도 어느정도 확보가 된다

참고로 루프형은 도로율이 증가해서 손실토지가 늘어남
아 또 루프가 왜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거냐면
쿨데삭은 유턴 장치가 필요함(도로끝에 머 로타리라든지 이런거) 근데 루프형은 그런게 필요없이 스무스하지요
[해설작성자 : 기사는 이미 있음]

26. 래드번 계획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대가구(superblock)
     2. 자동차 도로의 기능을 통합 일원화 하였다.
     3. 보차분리의 원칙이 강조 되었다.
     4. 기능에 따른 4가지 종류의 도로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3%

27. 다음 중 집략(cluster)형태의 주택배치하고 볼 수 있는 것은?(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여러가지 지형의 경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4% 이하의 경사는 거의 평탄하게 보인다.
     2. 4 - 10%의 경사는 완만한 경사로 보이지만 토지조성은 곤란하다.
     3. 10% 이상의 경사는 오르내리는데 곤란을 느끼지만 자연경사대로 건축할 수 있다.
     4. 25% 이상의 경사지는 잔디를 심더라도 잔디깎기 기계를 사용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경관분석을 위해 구역의 넓이, 분석의 정밀도 등에 따라 그리드(grid)의 크기를 나누고 등급화하여 등급별 그리드 수에 의해 경관의 특색을 도출하는 경관 분석 방법은?(2012년 05월)
     1. 기호화 방법
     2. 생태학적 방법
     3. 사진판독법
     4. 메쉬(Mesh)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85%

30. 주택단지의 총세대수가 2000세대 이상인 경우 기간도로와 접하거나 기간도로로부터 당해 단지에 이르는 진입도로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0년 09월)
     1. 8m 이상
     2. 12m 이상
     3. 15m 이상
     4. 2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0%

31. 다음 중 도로의 노면굴착을 수반하는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미관, 도로구조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의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시설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0년 05월)
     1. 공동구
     2. 지중매설물
     3. 배수시설물
     4. 공급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3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2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는 기간도로와 접하거나 기간도로로부터 당해 단지에 이르는 진입도로의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3월)
     1. 8m 이상
     2. 12m 이상
     3. 15m 이상
     4. 2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300세대 : 6
300~500세대 : 8
500~1000세대 : 12
1000~2000세대 : 15
2000세대이상 : 20

33.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2016년 03월)
     1. 단지의 개방성 확보
     2. 단지의 편익시설 확보
     3. 새로운 주거유형 및 건물배치기법 연구
     4. 슈퍼블록(Super block) 및 고층위주의 개발

     정답 : []
     정답률 : 78%

34.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목적 중에서 주차장법의 규정에 의한 주차장 설치기준을 100%까지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2008년 05월)
     1. 지구단위계획에서 합벽건축을 하도록 계획되어 있는 경우
     2. 당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이 도심지에 위치하는 경우
     3. 한옥마을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
     4.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주된 목적은 도시경관 관리를 위함이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은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6. 국지도로의 형태 중 하나인 루프형 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불필요한 차량의 진입이 배제된다.
     2. 교차점이 많아 방향성이 불분명하다.
     3. 주거환경의 안전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다.
     4. 외곽부에서 내부로의 진입이 제한되므로 차량의 우회교통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번은 격자형 도로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옹기종기]

37. 공원 · 녹지체계의 유형 중 일정폭의 녹지를 직선적으로 길게 조성하는 것으로 완충녹지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인도의 찬디가르(Chandigarh)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은?(2016년 03월)
     1. 집중형
     2. 분산형
     3. 대상형
     4. 격자형

     정답 : []
     정답률 : 78%

38. 단지계획의 전형적인 목표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기능의 적합성
     2. 선택의 다양성
     3. 건강과 쾌적성
     4. 미관 위주의 통일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다음 중 공업용지의 수요예측 방법으로 업종별 생산액 또는 종업원 수를 먼저 예측하고, 생산액당 또는 종업원수당 공장용지 소요기준 면적을 곱하여 총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은?(2006년 03월)
     1. 원단위법
     2. 소규모 다단위법
     3. 표준공장 단위법
     4. 수요예측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로 가장 잘 짜여진 것은?(2003년 03월)
     1. 기능성 - 경제성 - 심미성
     2. 기능성 - 환경성 - 심미성
     3. 기능성 - 경제성 - 환경성
     4. 경제성 - 환경성 - 심미성

     정답 : []
     정답률 : 46%

3과목 : 도시개발론


41. 다음 중 타당성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타당성은 사업의 확실한 성공을 보장하고자 한다.
     2. 타당성 분석은 선택된 수단의 적합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3. 타당성 분석이란 사업이 직면한 모든 제약 하에서 프로젝트의 적합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4. 타당성은 분석 이전에 설정된 프로젝트의 명료한 목적에 대한 충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42. 다음 중 개별 소매점의 고객 흡입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Reilly와 Converse의 소매인력이론을 실제 적용가능하게 하려고 수정·보완한 것은?(2010년 05월)
     1. 한정시간모형
     2. Huff모형
     3. JA모형
     4. 인과분석모형

     정답 : []
     정답률 : 65%

43.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자금원 중 선수위채권은 프로젝트 파이낸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금이다.
     2.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과 그로부터의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3.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도입할 경우 일반적인 기업금융에 비해 금융기관의 위험(risk)이 줄고 금융비용도 줄일 수 있다.
     4. 비소구금융 및 부외금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상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금융절차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단점
- 금융기관이 부담하는 위험이 통상적인 기업금융에 비해 높고, 기업금융에 비해 높은 금융비용이 요구됨
- 복잡한 금융절차, 위험배분 및 참여조건 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해관계 조정에 전문성이 요구됨
[해설작성자 : 나그네]

44. 수준측량에 있어서 AB 두점간의 표고차를 구하기 위하여 (a), (b), (c) 코스로 측량한 결과 다음과 같다. 두점간의 표고차는 얼마인가?(2004년 09월)

    

     1. 18.582m
     2. 18.584m
     3. 18.586m
     4. 18.588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평판측량에서 중심맞추기 오차(편심거리)를 30mm, 도상위치 오차를 0.2mm로 할 때 축척한계는?(2006년 05월)
     1. 1/100
     2. 1/150
     3. 1/300
     4. 1/6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비사업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주거환경개선사업
     2. 재개발사업
     3. 도시환경정비사업
     4. 재건축사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비사업의 종류
-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해설작성자 : 도계기]

47. 환지계획구역의 면적이 1000m2, 보류지의 면적이 400m2, 시행자에게 무상귀속되는 공공시설면적이 150m2일 때, 환지계획구역의 평균 토지부담률은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9.4%
     2. 29.4%
     3. 39.4%
     4. 49.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토지부담률 = 보류지 면적 - 무상귀속 면적 / 환지계획구역 면적 - 무상귀속 면적*100
[해설작성자 : 1일 1깡 1CBT]

48. 직육면체인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부피오차는?(2007년 05월)

    

     1. ±10m3
     2. ±21m3
     3. ±27m3
     4. ±34m3

     정답 : []
     정답률 : 8%

49.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관련한 아래 설명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Special Corporation
     2. Special Purpose Corporation
     3. Project Financing Corporation
     4. Project Management Company

     정답 : []
     정답률 : 75%

50. 다음 중 대규모지역의 지형도 작성을 위한 세부측량에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2005년 09월)
     1. 평판측량
     2. 수준측량
     3. 사진측량
     4. 천문측량

     정답 : []
     정답률 : 30%

51. 문화재 보존이나 환경보호 등을 위해 해당 지역의 토지소유자로 하여금 재산상의 손실 부분만큼을 다른 지역에 대한 개발권으로 이전하여 주는 제도는?(2021년 05월)
     1. TOD
     2. TDR
     3. PUD
     4. Floating zonig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TDR은 개발권이양제도
개발권을 소유권과 분리시켜 이를 공유화하고 개발이 제한된 지역에서 개발이 필요한 지역으로
개발권이 양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토지소유자가 장래 허용가능한 개발용적을
고밀도 개발이 가능한 지역으로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지는 공유화하고
공공의 토지이용 목적을 민간시장에 개발권을 판매하여 달성함
공공 토지이용 목적 이외에도 일정지역의 개발을 법규보다 강하게 할 때
그 보상으로 다른 지역에 대한 개발권을 이양할 경우에도 사용하는데,
이는 주로 문화재보호나 환경보전 등에 활용되는 방식으로 그 지역의 토지소유자로 하여금 재산상 손실부분만큼 다른 지역에서 만회할 수 있도록 함
[해설작성자 : ㅕ]

1. TOD : 대중교통 지향개발
3. PUD : 계획단위개발
4. Floating zonig : 유동지역제
[해설작성자 : ㅛ]

52. 도시개발사업 아이템의 정량적 수요예측의 기법 중 상권에 대한 이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한 것으로, 개별 소매점의 고객흡입력을 계산하는 기법은?(2008년 05월)
     1. 델파이법
     2. 중력모형
     3. Huff모형
     4. 판단결정모형

     정답 : []
     정답률 : 67%

53. 다음 중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도시개발에 주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통근 비용 증대
     2. 기반시설 투자비용 확대
     3. 도심 공동화 유발
     4. 도시재생(Urban renewal)

     정답 : []
     정답률 : 59%

54. 도시개발기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용도지역제(zoning)
     2. 계획단위개발(PUD)
     3. 개발권양도제(TDR)
     4. 정보화 기반도시개발(u-City)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방식으로 시행하려 할 때 환지계획의 작성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2018년 09월)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환지 청산금 징수 시기
     4.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시개발법 제 28조(환지 계획의 작성)]
1) 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 방식으로 시행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환지 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4. 제 34조에 따른 체비지 또는 보류지의 명세
5. 제 32조에 따른 입체 환지를 계획하는 경우에는 입체 환지용 건축물의 명세와 제 32조의 3에 따른 공급 방법, 규모에 관한 사항.
6. 그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비지캣]

56.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정확도가 높다.
     2. One-men Surveying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전파거리측량기에 비해 조작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40%

57. 거리측량에서 정밀도가 ±(5㎜+3㎜/㎞)인 전파거리측량기 (EDM)로 3.8㎞의 거리를 측정할 때 예측되는 총오차는?(2005년 05월)
     1. ±10.25㎜
     2. ±12.45㎜
     3. ±14.75㎜
     4. ±16.4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평판측량시 축척 1/600일 때 도면작성시 도상 0.3mm 오차 허용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2004년 05월)
     1. 9cm 이내
     2. 12cm 이내
     3. 15cm 이내
     4. 18cm 이내

     정답 : []
     정답률 : 34%

59. 재개발의 유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철거 재개발(redevelopment) : 도시환경 및 시설에 있어서 불량 또는 노후화 현상이 현재까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현 상태로 방치할 경우 환경악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예방적 조처로 시행하는 방식
     2. 수복 재개발(rehabilitation) : 관리상 부실로 인하여 도시환경이 악화될 우려가 있거나 이미 악화된 지역에 대하여 기존시설을 보존하면서 구역 전체의 기능과 환경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소극적인 방식
     3. 보존 재개발(conservation) : 낙후되고 노후화된 기존의 도시지역의 시설을 보수, 확장, 새로운 시설을 첨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방식
     4. 개량 재개발(improvement) : 기존의 시설을 전면적으로 철거하고 새로운 시설물로 대체시켜 쾌적하고 능률적이며 기능적인 도시환경을 창출해내는 적극적인 방식

     정답 : []
     정답률 : 76%

60. 관광진흥법령에 따른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의 수립주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42조(관광개발계획의 수립시기)
[해설작성자 : 재연시]

4과목 : 국토 및 지역계획


61. 다음 지역계획의 이론들을 그 발생 시기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21년 05월)

    

     1. A – B – C - D
     2. A – B – D - C
     3. A – C – D - B
     4. A – C – B – D

     정답 : []
     정답률 : 69%

62. 수도권정비계획은 누구의 승인을 거쳐 결정되는가?(2007년 05월)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건설교통부장관
     4. 경기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50%

63. 학문으로서의 지역계획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2021년 03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86%

64. 도종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건설교통부장관이 작성하는 도종합계획 수립지침에는 도종합계획의 기본사항과 수립정차 등을 포함되어야 한다.
     2. 도종합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3. 도종합계획안을 작성한 때에는 공청회를 열어 주민 및 관계 전문가 등으로 의견을 청취하여야 한다.
     4. 도종합계획의 수집 주체는 도지사, 시장, 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우리나라의 인구규모별 도시 순위가 아래와 같을 때 데이비스(K. Davis)의 종주회지수는 약 얼마인가?(2016년 10월)

    

     1. 2.78
     2. 1.15
     3. 0.99
     4. 0.6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종주화지수 = 9,762,546 / (3,512,547 + 2,517,680 + 2,456,016) = 약 1.15
[해설작성자 : 성결안영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9,762,546 / (3,512,547 + 2,517,680 + 2,456,016 + 0,413,644) = 약 0.99
답 3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종주화지수=1위도시/(2,3,4위 도시 인구수의 합) -> 2번 1.15가 정답입니당
[해설작성자 : 도싱]

66.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대안평가 또는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할 때, 비용-편익분석법(Cost-benefit analysis)을 사용하는데 타당성을 판단하는 다음의 방법중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편익/비용의 비(B/C Ratio)가 1 이상이 되어야 함
     2. 편익의 현재가치 합(合)에서 비용의 현재가치 합(合)을 뺀 순 현재가치(Net present value)가 0 이상이 되어야 타당함
     3. 타당성 있는 여러 사업 중에서는 편익/비용의 비 (B/C Ratio)가 높은 것이 절대적으로 우선권을 가짐
     4. 타당성 있는 여러 사업 중에서는 투자재원이 허용하면 순 현재가치(NPV)가 높은 것에 우선권을 부여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독시아디스가 설정한 인간의 정주공간단위가 작은 것부터 큰 것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4년 03월)
     1. town-city-metropolis-megalopolis-conurbation
     2. city-town-metropolis-conurbation-megalopolis
     3. town-city-metropolis-conurbation-megalopolis
     4. city-town-conurbation-megalopolis-metropolis

     정답 : []
     정답률 : 71%

68. 다음 중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의 주요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동북아 시대의 국토경영과 통일기반 조성
     2. 분권형 국토계획과 집행 체계의 구축
     3. 네트워크형 인프라 구축
     4. 사회간접자본의 확충과 국토이용관리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40%

69. 수도권정비계획 수립 시 수도권정비계획안 입안에 포함시키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인구와 산업 등의 배치에 관한 사항
     2. 권역의 구분과 권역별 정비에 관한 사항
     3.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과 변경에 관한 사항
     4. 광역적 교통 시설과 상하수도 시설 등의 정비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안 입안 포함사항]
- 인구와 상업 등의 배치에 관한 사항
- 권역의 구분과 권역별 정비에 관한 사항
- 광역적 교통 시설과 상하수도 시설 등의 정비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LOCAL]

70.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의 주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점적 개방(3개축)을 중심으로 국토 골격 형성
     2. 해외 자원 확보 및 공동개발 추진
     3. 행정구역을 초월한 5+2 광역경제권
     4. 수도권의 경쟁력 강화 및 계획적 성장관리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점적 개방(3개축)을 중심으로 국토 골격 형성하는 계획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망치땅콩]

1번은 제3차 국토종합계획(1992~1999)입니다.
[해설작성자 : 여러분복전하세요]

71. 다음 중 입지계수법(Location Quotient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A지역 특정상업의 입지계수(LQ값)가 1보다 크면 A지역은 해당 상업이 비교적 특화되어 있다는 의미다.
     2. 중간재의 특성을 고려한 장점이 있다.
     3. 수출기반모형 중 하나인 입지계수법은 수요모형에 해당한다.
     4. 어떤 산업의 생산품에 대한 소요수준이 전국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모순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72. 크리스탈러(W. Christaller)가 도시정주지를 설명하는데 사용한 R(Range, 범위)과 T(Threshold, 한계거리)의 개념에 따라, 기업이 손해를 보는 상황을 설명한 것은?(2016년 03월)
     1. R > T
     2. R < T
     3. R = T
     4. T = 1

     정답 : []
     정답률 : 70%

73. 도시와 농촌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32년 도시계획법을 「도시 및 농촌계획법」으로 개정한 나라는 어디인가?(2010년 03월)
     1. 영국
     2. 미국
     3. 독일
     4. 프랑스

     정답 : []
     정답률 : 53%

74. 결절지역(nodal region)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이질적인 공간경제의 속성과 공간적 차원을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다.
     2. 기능적 측면에서 공간상의 흐름, 접촉,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개념이다.
     3. 인구와 경제적 활동이 집적하게 되므로 중심지역과 주변지역으로 나뉘어진다.
     4. 지역경제 및 지역정책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설정한 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결절지역
- 여러 기능이 집중되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그것과 밀점하게 연결되는 지역을 포괄하는 지리적 범위
[해설작성자 : 비지덕]

75. 다음 중 런던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그린벨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런던 계획을 작성한 사람은?(2012년 03월)
     1. 페리
     2. 하워드
     3. 아베크롬비
     4. 르꼬르뷔제

     정답 : []
     정답률 : 73%

76. 다음 중 도시공간의 확장과 분화는 지속적인 침입(invasion)과 계승(succession)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다고 설명하는 도시 공간 구조 이론은?(2011년 10월)
     1. 선형이론
     2. 다핵이론
     3. 동심원이론
     4. 다차원이론

     정답 : []
     정답률 : 60%

77. 국토기본법에 따른 국토계획의 구분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2. 부문별계획은 국토전역을 대상으로 특정 부문에 대한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3. 지역계획은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이다.
     4. 시 군 종합계획은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해당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이다
[해설작성자 : ㅇ]

도종합계획 :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해당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해설작성자 : 초]

78. 어떤 국가의 도시규모가 지프(Zipf)의 순위-규모법칙에 의한 순위규모분포(q=1)를 따른다고 할 때, 수위 도시의 인구가 100만명이라면 제 4순위 도시의 인구는 얼마로 예상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20만명
     2. 25만명
     3. 33만명
     4. 40만명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순위로 나누면 됩니다. 4순위니까 100만 나누기 4 = 25만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79. 지역의 소득격차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지니계수
     2. 허프모형
     3. 로렌츠곡선
     4. 쿠즈네츠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역 간 소득분포 파악기법
= 로렌츠 곡선, 지니의 집중계수(지니계수), 쿠즈네츠의 역U곡선, 테일의 지수
+) 허프모형은 경제활동의 공간적 배분 시 사용
[해설작성자 : notable]

80. 국토 및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사용하는 미래예측방법 가운데 질적인 방법은?(2004년 05월)
     1. 요인분석
     2. 델파이방법
     3. 다중회귀분석
     4. 최적화방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ㆍ불량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은?(2014년 09월)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수도권정비계획법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4. 도시개발법

     정답 : []
     정답률 : 87%

82. 다음 중 개발밀도관리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개발밀도관리구역은 개발행위로 인한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주거지역에 대해서만 지정할 수 있다.
     2.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기준, 관리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4.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 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관련 조항에 따른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제66조(개발밀도관리구역) ①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주거·상업 또는 공업지역에서의 개발행위로 기반시설(도시·군계획시설을 포함한다)의 처리·공급 또는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을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11.4.14>

     ②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제77조나 제78조에 따른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개정 2011.4.14>

     ③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제1항에 따라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개정 2011.4.14>

[해설작성자 : 임]

83. 건축법령상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구분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전시장
     2. 수족관
     3. 독서실
     4. 공연장(제2종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독서실: 제2종 근린생활시설
[해설작성자 : 홍챔]

84.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개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관광개발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한다.
     2. 확정된 권력계획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관계부처의 장과의 협의를 갈음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권역계획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의 변경에는 관광지 등 면적의 100분의 30 이내의 확대를 포함한다.
     4. 시·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는 제외한다.)는 기본계획에 따라 구분된 권역을 대상으로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관광개발기본계획 - 10년마다 수립
권역별관광개발계획 - 5년마다 수립
[해설작성자 : 초딩]

85. 주택법상 주택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주택정책의 기본목표 및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주택· 택지의 수요· 공급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주택의 노후도 정도 및 현황에 관한 사항
     4. 주택의 리모델링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다음 중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 관한 구역 내 관광특구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 촉진 등을 위하여 수립하고 시행하는 계획은?(2009년 03월)
     1. 관광권역계획
     2. 관광기본계획
     3. 관광특구진흥계획
     4. 관광활성화계획

     정답 : []
     정답률 : 50%

87. 다음 중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부담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과밀부담금은 건축비의 100분의 10으로 하되,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비의 100분의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2. 과밀부담금의 부과 대상은 성장관리권역에 속하는 지역이다.
     3. 과밀부담금은 부과 대상 건축물이 속한 지역을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부과·징수한다.
     4. 시·도지사는 납부 의무자가 납부 기한까지 과밀부담금을 내지 아니하면 부담금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가산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88.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조합의 법인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조합은 법인으로 할 수 없다.
     2. 조합은 조합 설립의 인가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등기함으로써 성립한다.
     3. 조합은 그 명칭 중에 “정비사업조합”이라는 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조합의 공식적 업무 시작일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승인일로부터 시작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89. 다음 중 부설주차장설치의무가 면제되는 시설물의 위치·용도·규모 및 부설주차장의 규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연면적 10000m2 이상의 판매시설 및 운수 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시설물
     2. 연면적 15000m2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위락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시설물
     3. 주차대수가 400대 이하의 규모인 부설주차장의 경우
     4. 도로교통법에 따른 차량통행의 금지 또는 주변의 토지이용 상황으로 인하여 부설주차장의 설치가 곤란하다고 시장·군수가 인정하는 장소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주차대수가 300대 이하인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 의무 면제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90. 도시공원 조성계획의 입안 결정에 관한 기술이다. 틀린것은?(2003년 03월)
     1. 도시공원 조성계획은 도시계획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도지사에게 재정(裁定)이 있은 때에는 도시공원조성계획 입안자에 대한 협의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3. 2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도시공원 대해서는 반드시 관계시장 또는 군수가 공동으로 입안해야 한다
     4. 2 이상의 도와 관련되는 도시공원에 협의가 성립되지 않는 도시공원에 대한 것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그 재정(裁定)을 신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0%

91.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유원지에 설치하는 아래 시설들이 해당되는 것은?(2019년 09월)

    

     1. 유희시설
     2. 휴양시설
     3. 위락시설
     4. 특수시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우원지의 구조 및 설치기준)
1. 유희시설 : 「관광진흥법」에 따른 유기시설ㆍ유기기구, 번지점프, 그네ㆍ미끄럼틀ㆍ시소 등의 시설, 미니썰매장ㆍ미니스케이트장 등 여가활동과 운동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시설 그 밖에 기계 등으로 조작하는 각종 유희시설
3. 휴양시설 : 휴게실ㆍ놀이동산ㆍ낚시터ㆍ숙박시설ㆍ야영장(자동차야영장을 포함한다)ㆍ야유회장ㆍ청소년수련시설ㆍ자연휴양림ㆍ간이취사시설
4. 특수시설 : 동물원ㆍ식물원ㆍ공연장ㆍ예식장ㆍ마권장외발매소(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ㆍ관람장ㆍ전시장ㆍ진열관ㆍ조각ㆍ야외음악당ㆍ야외극장ㆍ온실ㆍ수목원ㆍ광장
5. 위락시설 : 관광호텔에 부속된 시설로서 「관광진흥법」 제15조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설치하는 위락시설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92. 다음 중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연립주택
     2. 다가구주택
     3. 다세대주택
     4. 기숙사

     정답 : []
     정답률 : 69%

93. 주택법상 100호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간선시설의 설치비용을 국가가 2분의 1의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는 시설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9월)
     1. 전기시설
     2. 지역난방시설
     3. 통신시설
     4. 상하수도 시설

     정답 : []
     정답률 : 46%

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미관지구의 분류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중심지미관지구
     2. 시가화미관지구
     3. 역사문화미관지구
     4. 일반미관지구

     정답 : []
     정답률 : 34%

95.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하기 위해 지정되는 구역은?(2018년 04월)
     1. 개발제한구역
     2. 상세계획구역
     3. 시가화조정구역
     4. 특정시설제한구역

     정답 : []
     정답률 : 82%

96. 택지개발촉진법 시행규칙에서 주거생활의 편익을 위하여 이용되는 시설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시설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운동시설
     2. 종교집회장
     3. 일반목욕장
     4. 공용시장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택지개발촉진법 시행규칙
1. 운동시설
2. 일반목욕장
3. 종교집회장
4. 보육시설
[해설작성자 : 도시인사이트(네이버 블로그 cityinsight)]

97. 단지조성사업등에 관하여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가법에 의한 교통영향 평가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노외주차장의 규모는?(2005년 05월)
     1.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0.3% 이상
     2.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0.6% 이상
     3.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1.2% 이상
     4. 당해 사업부지 면적의 2.0%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환지방식이 적용되는 도시개발사업지구의 면적이 12,000평 이고, 토지소유자가 120명이다.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경우는?(2005년 03월)
     1. 토지면적 6,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60명 이상 동의
     2. 토지면적 8,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60명 이상 동의
     3. 토지면적 6,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80명 이상 동의
     4. 토지면적 4,000평 이상, 토지소유자 80명 이상 동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인구집중유발시설의 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로서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
     2.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3.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 중 건축물의 연면적이 1000m2 이상인 것
     4. 복합시설이 주용도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5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500]m2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허졉]

제3조(인구집중유발시설의 종류 등) 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인구집중유발시설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 경우 제3호부터 제5호까지의 시설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연면적 또는 시설의 면적을 산정할 때 대지가 연접하고 소유자(제3호의 공공 청사인 경우에는 사용자를 포함한다)가 같은 건축물에 대하여는 각 건축물의 연면적 또는 시설의 면적을 합산한다.
1.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로서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이에 준하는 각종학교를 각각 포함한다. 이하 같다)
2.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공장으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제조시설로 사용되는 기계 또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 및 사업장의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한다)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공 청사(도서관, 전시장, 공연장, 군사시설 중 군부대의 청사, 국가정보원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것
가.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 기관의 청사
나. 다음에 해당하는 법인(이하 “공공법인”이라 한다)의 사무소(연구소와 연수 시설 등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1) 정부가 자본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출자한 법인 및 그 법인이 자본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출자한 법인
2) 「국유재산법」에 따른 정부출자기업체
3) 법률에 따른 정부 출연 대상 법인으로서 정부로부터 출연을 받거나 받은 법인
4) 개별 법률에 따라 설립되는 법인으로서 주무부장관의 인가 또는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해당 법률에 따라 직접 설립된 법인
4.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용 건축물, 판매용 건축물 및 복합 건축물. 다만,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법인의 사무소로 사용되는 건축물과 자연보전권역이 아닌 지역에 설치되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4항에 따른 벤처기업집적시설 및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에 따른 국제회의시설 중 전문회의시설은 제외한다.
가. 업무용 건축물: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이하 “업무용시설” 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업무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의 분류에 따른 용도별 면적(이하 “용도별면적”이라 한다)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에서 같다]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업무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업무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1)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0호마목의 연구소 및 같은 표 제14호나목의 일반업무시설
2)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3호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4호의 제2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5호의 문화 및 집회시설(같은 호 라목 및 마목의 시설만 해당한다) 및 같은 표 제18호의 창고시설. 다만, 각 시설의 면적이 1)에 따른 시설 면적의 합계보다 작은 경우만 해당한다.
나. 판매용 건축물: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
1)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이하 “판매용시설”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판매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용도별면적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에서 같다)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1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판매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판매용시설 면적의 합계가 1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7호의 판매시설 및 같은 표 제16호의 위락시설
나)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3호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4호의 제2종 근린생활시설, 같은 표 제5호의 문화 및 집회시설, 같은 표 제13호의 운동시설 및 같은 표 제18호의 창고시설. 다만, 각 시설의 면적이 가)에 따른 시설 면적의 합계보다 작은 경우만 해당한다.
2) 업무용시설 및 판매용시설(이하 “복합시설”이라 한다)이 주용도(해당 건축물의 복합시설 면적의 합계가 용도별면적 중 가장 큰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목 및 다목에서 같다)가 아닌 건축물로서 복합시설의 면적의 합계가 1만5천제곱미터 이상 2만5천제곱미터 미만이고 판매용시설 면적이 업무용시설 면적보다 큰 건축물의 복합시설에 해당하는 부분
다. 복합 건축물: 복합시설이 주용도인 건축물로서 그 연면적이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복합시설이 주용도가 아닌 건축물로서 그 복합시설의 면적의 합계가 2만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5.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0호나목의 교육원, 같은 호 다목의 직업훈련소 및 같은 표 제20호사목의 운전 및 정비 관련 직업훈련소로서 건축물의 연면적이 3만제곱미터 이상인 연수 시설. 다만,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법인이 설치하는 시설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100. 도시공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조경시설로는 화단, 분수, 조각 등이 있다.
     2. 도시공원의 설치 및 관리는 관할시장, 군수가 담당 한다.
     3. 녹지시설은 완충녹지, 경관녹지, 차폐녹지로 세분 된다.
     4. 공원관리청은 공원대장을 작성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20772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10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43074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9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90925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8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40590)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7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6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5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4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3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12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2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6102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1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6400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9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8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7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207720)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3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13815)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2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44 Next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