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8952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기준점표지의 설치 기준에 따라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간거리와 지적삼각보조점표지의 점간거리 모두에 해당하는 평균 점간거리[km]는?(2023년 06월)
     1. 1.5
     2. 2.5
     3. 3.5
     4. 4.5

     정답 : []
     정답률 : 97%

2. 다음은 면적결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토지의 면적에 0.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05m2를 초과할 때에는 올린다.
     2.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토지의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0.5m2 일 때에는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
     3.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지역의 1필지의 면적이 1m2 미만일 때에는 1m2로 한다.
     4. 임야도의 축척이 1/6,000인 지역의 토지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5m2를 초과하는 때에는 올린다.

     정답 : []
     정답률 : 86%

3.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전자평판측량을 이용한 지적측량결과도의 작성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관측한 측정점의 오른쪽 상단에는 측정거리를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소축척 등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때에는 방향선과 측정거리를 생략할 수 있다.
     2. 측정점의 표시는 측량자의 경우 검정색 짧은 십자선(+)으로 표시하고, 검사자는 삼각형(△)으로 표시하며, 각 측정점은 검정색 점선으로 연결한다.
     3. 지적측량결과도 상단 중앙에 “전자평판측량”이라 표기하고, 상단 오른쪽에 측량성과파일명을 표기하여야 하며, 측량성과파일에는 측량성과 결정에 관한 모든 사항이 수록되어 있어야 한다.
     4. 이미 작성되어 있는 지적측량파일을 이용하여 측량할 경우에는 기존 측량파일 코드의 내용ㆍ규격ㆍ 도식은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4. 지적삼각망 중 유심다각망의 기지 내각 오차 계산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γ는 각 삼각형의 중심각이다.)(2021년 06월)
     1. Σγ-360°
     2. Σγ-180°
     3. Σγ+360°
     4. Σγ+180°

     정답 : []
     정답률 : 79%

5.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결과도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표시 색상을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은?(2022년 06월)
     1. 지적기준점 - 검은색
     2. 도곽선 - 붉은색
     3. 지적기준점 번호 - 붉은색
     4. 색인도 - 검은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6. <보기>에서 측선 의 방위각 값은? (단, 측선 의 방위각은 116° 30′ 20″, β1 = 274° 10′ 50″, β2 = 71° 10′ 30″ 이다.)(2022년 06월)

   

     1. 96° 51′ 00″
     2. 96° 51′ 40″
     3. 101° 51′ 00″
     4. 101° 51′ 40″

     정답 : []
     정답률 : 75%

7.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관측은 1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2. 수평각 관측은 2대회 방향관측법을 따른다.
     3. 삼각형 내각관측의 합과 180도와의 차는 ±40초 이내여야 한다.
     4. 기지각과 수평각의 측각공차는 ±40초 이내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결과도를 작성하는 경우 경지정리지역에서 기재를 생략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경계점 간 실측거리
     2. 도곽선과 그 수치
     3. 지적기준점 간의 거리
     4. 경계점 간 계산거리

     정답 : []
     정답률 : 62%

9. <보기>와 같은 사각망을 관측하였을 때, (α21)-(α43)=+20″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때 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α2, α4, β1, β3 각각에 -5″를 배분한다.
     2. α2와 α4에는 각각 +5″를, β1과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3. α2와 β1에는 각각 +5″를, α4와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4. α2와 β1에는 각각 -5″를, α4와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10. 다음은 지적확정측량과 관련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 지구계점, ㉡ 가구점
     2. ㉠ 지구계점, ㉡ 필계점
     3. ㉠ 예정좌표계점, ㉡ 가구점
     4. ㉠ 예정좌표계점, ㉡ 가로중심점

     정답 : []
     정답률 : 84%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거리관측 단위는 1cm로 하며, 토지의 경계가 곡선인 경우에는 가급적 현재의 상태와 다르지 않게 경계점을 측정하여 연결한다.
     2.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3.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이나 2배각의 배각법에 의한다.
     4. 연직각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인 경우는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4%

12.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주점은 렌즈중심을 통한 연직선과 사진면과의 교점을 말한다.
     2. 연직점은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이다.
     3. 등각점은 렌즈의 중심에서 주점과 연직점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과 교차하는 점을 말한다.
     4. 항공사진이 엄밀수직사진이어도 특수 3점은 일치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3. 전자파 및 광파기 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할 때 1도선의 거리는 ( ㉠ ) 이하로 하고 1도선의 점의 수는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 ㉡ )이하로 하여야 한다. ㉠ , ㉡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 2km, ㉡ 3개
     2. ㉠ 3km, ㉡ 4개
     3. ㉠ 4km, ㉡ 5개
     4. ㉠ 5km, ㉡ 6개

     정답 : []
     정답률 : 95%

14.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측량성과 계산 및 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경위도의 단위는 도⋅분⋅초이며 계산 및 결정은 소수점 이하 넷째자리까지로 한다.
     2. 각의 관측 및 결정은 분단위로 한다.
     3. 타원체고⋅안테나고⋅표고의 측정 및 결정은 0.01m로 한다.
     4. 거리와 평면직각 좌표는 0.01m까지 계산하여 0.1m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15. 「지적확정측량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필계점”이란 사업계획에서 정한 사업지구를 구획하는 외곽 경계점을 말한다.
     2. “가로중심점”이란 공사가 완료된 현황을 측정하고 사업계획선과 대조하여 중심선을 구하고 상호 교차하여 구하는 점을 말한다.
     3. “필지경계점”이란 사업계획 및 현황측량성과에 의하여 결정된 가로의 각 조건에 따라 도로모퉁이 등 가구 변장 및 가구의 면적을 확정한 경계점을 말한다.
     4. “지구계점”이란 일필지를 구획하는 경계점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 스테이션측량의 방법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일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기초측량과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세부측량으로 구분한다.
     4. 세부측량과 기초측량은 국가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7. 종중복도 65%, 횡중복도 30%로 항공사진측량을 하였을 때, 촬영 종기선길이와 횡기선길이의 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9.7cm×29.7cm이다.)(2022년 06월)
     1. 1:2
     2. 1:3
     3. 2:1
     4. 3:1

     정답 : []
     정답률 : 81%

18.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면적측정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전자면적측정기에 따른 측정면적은 1천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2.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라 면적이 5천제곱미터 이상인 필지를 분할하는 경우 전체 면적의 20퍼센트 미만이 되는 필지의 면적을 먼저 측정한다.
     3.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0.5밀리미터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에는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4.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하여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그 교차가 허용면적 이하인 경우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9. 지적재조사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일필지 경계점에 대한 현지 검사측량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거나 통신장애 등으로 위성측량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토털스테이션 측량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2. 토털스테이션으로 측정할 경우 수평각은 방향관측법으로 하며, 수평거리는 1회 이상으로 한다.
     3. 정지측위 위성측량으로 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60초 이하로 하며 측정시간은 10분 이하로 한다.
     4. RTK 위성측량으로 측정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1초 단위로 하며 측정시간은 고정해를 유지한 상태로 10초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0. <보기>의 삼각측량 결과에서 CB의 방위는?(2021년 06월)

    

     1. E 20° S
     2. E 70° S
     3. S 20° E
     4. S 70° E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8952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기준점표지의 설치 기준에 따라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간거리와 지적삼각보조점표지의 점간거리 모두에 해당하는 평균 점간거리[km]는?(2023년 06월)
     1. 1.5
     2. 2.5
     3. 3.5
     4. 4.5

     정답 : []
     정답률 : 97%

2. 다음은 면적결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지적도의 축척이 1/600인 토지의 면적에 0.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05m2를 초과할 때에는 올린다.
     2.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토지의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0.5m2 일 때에는 구하려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
     3. 지적도의 축척이 1/1,200인 지역의 1필지의 면적이 1m2 미만일 때에는 1m2로 한다.
     4. 임야도의 축척이 1/6,000인 지역의 토지 면적에 1m2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0.5m2 미만일 때에는 버리고, 0.5m2를 초과하는 때에는 올린다.

     정답 : []
     정답률 : 86%

3. 「지적업무처리규정」상 전자평판측량을 이용한 지적측량결과도의 작성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관측한 측정점의 오른쪽 상단에는 측정거리를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소축척 등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때에는 방향선과 측정거리를 생략할 수 있다.
     2. 측정점의 표시는 측량자의 경우 검정색 짧은 십자선(+)으로 표시하고, 검사자는 삼각형(△)으로 표시하며, 각 측정점은 검정색 점선으로 연결한다.
     3. 지적측량결과도 상단 중앙에 “전자평판측량”이라 표기하고, 상단 오른쪽에 측량성과파일명을 표기하여야 하며, 측량성과파일에는 측량성과 결정에 관한 모든 사항이 수록되어 있어야 한다.
     4. 이미 작성되어 있는 지적측량파일을 이용하여 측량할 경우에는 기존 측량파일 코드의 내용ㆍ규격ㆍ 도식은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4. 지적삼각망 중 유심다각망의 기지 내각 오차 계산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γ는 각 삼각형의 중심각이다.)(2021년 06월)
     1. Σγ-360°
     2. Σγ-180°
     3. Σγ+360°
     4. Σγ+180°

     정답 : []
     정답률 : 79%

5.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결과도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표시 색상을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은?(2022년 06월)
     1. 지적기준점 - 검은색
     2. 도곽선 - 붉은색
     3. 지적기준점 번호 - 붉은색
     4. 색인도 - 검은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6. <보기>에서 측선 의 방위각 값은? (단, 측선 의 방위각은 116° 30′ 20″, β1 = 274° 10′ 50″, β2 = 71° 10′ 30″ 이다.)(2022년 06월)

   

     1. 96° 51′ 00″
     2. 96° 51′ 40″
     3. 101° 51′ 00″
     4. 101° 51′ 40″

     정답 : []
     정답률 : 75%

7.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관측은 1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2. 수평각 관측은 2대회 방향관측법을 따른다.
     3. 삼각형 내각관측의 합과 180도와의 차는 ±40초 이내여야 한다.
     4. 기지각과 수평각의 측각공차는 ±40초 이내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8.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결과도를 작성하는 경우 경지정리지역에서 기재를 생략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경계점 간 실측거리
     2. 도곽선과 그 수치
     3. 지적기준점 간의 거리
     4. 경계점 간 계산거리

     정답 : []
     정답률 : 62%

9. <보기>와 같은 사각망을 관측하였을 때, (α21)-(α43)=+20″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때 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α2, α4, β1, β3 각각에 -5″를 배분한다.
     2. α2와 α4에는 각각 +5″를, β1과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3. α2와 β1에는 각각 +5″를, α4와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4. α2와 β1에는 각각 -5″를, α4와 β3에는 각각 +5″를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10. 다음은 지적확정측량과 관련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 지구계점, ㉡ 가구점
     2. ㉠ 지구계점, ㉡ 필계점
     3. ㉠ 예정좌표계점, ㉡ 가구점
     4. ㉠ 예정좌표계점, ㉡ 가로중심점

     정답 : []
     정답률 : 84%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거리관측 단위는 1cm로 하며, 토지의 경계가 곡선인 경우에는 가급적 현재의 상태와 다르지 않게 경계점을 측정하여 연결한다.
     2.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3.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이나 2배각의 배각법에 의한다.
     4. 연직각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인 경우는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4%

12.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주점은 렌즈중심을 통한 연직선과 사진면과의 교점을 말한다.
     2. 연직점은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이다.
     3. 등각점은 렌즈의 중심에서 주점과 연직점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과 교차하는 점을 말한다.
     4. 항공사진이 엄밀수직사진이어도 특수 3점은 일치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3. 전자파 및 광파기 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할 때 1도선의 거리는 ( ㉠ ) 이하로 하고 1도선의 점의 수는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 ㉡ )이하로 하여야 한다. ㉠ , ㉡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 2km, ㉡ 3개
     2. ㉠ 3km, ㉡ 4개
     3. ㉠ 4km, ㉡ 5개
     4. ㉠ 5km, ㉡ 6개

     정답 : []
     정답률 : 95%

14.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측량성과 계산 및 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경위도의 단위는 도⋅분⋅초이며 계산 및 결정은 소수점 이하 넷째자리까지로 한다.
     2. 각의 관측 및 결정은 분단위로 한다.
     3. 타원체고⋅안테나고⋅표고의 측정 및 결정은 0.01m로 한다.
     4. 거리와 평면직각 좌표는 0.01m까지 계산하여 0.1m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15. 「지적확정측량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필계점”이란 사업계획에서 정한 사업지구를 구획하는 외곽 경계점을 말한다.
     2. “가로중심점”이란 공사가 완료된 현황을 측정하고 사업계획선과 대조하여 중심선을 구하고 상호 교차하여 구하는 점을 말한다.
     3. “필지경계점”이란 사업계획 및 현황측량성과에 의하여 결정된 가로의 각 조건에 따라 도로모퉁이 등 가구 변장 및 가구의 면적을 확정한 경계점을 말한다.
     4. “지구계점”이란 일필지를 구획하는 경계점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 스테이션측량의 방법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일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기초측량과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세부측량으로 구분한다.
     4. 세부측량과 기초측량은 국가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7. 종중복도 65%, 횡중복도 30%로 항공사진측량을 하였을 때, 촬영 종기선길이와 횡기선길이의 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9.7cm×29.7cm이다.)(2022년 06월)
     1. 1:2
     2. 1:3
     3. 2:1
     4. 3:1

     정답 : []
     정답률 : 81%

18.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면적측정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전자면적측정기에 따른 측정면적은 1천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2.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라 면적이 5천제곱미터 이상인 필지를 분할하는 경우 전체 면적의 20퍼센트 미만이 되는 필지의 면적을 먼저 측정한다.
     3.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0.5밀리미터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에는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4.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하여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그 교차가 허용면적 이하인 경우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9. 지적재조사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일필지 경계점에 대한 현지 검사측량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거나 통신장애 등으로 위성측량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토털스테이션 측량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2. 토털스테이션으로 측정할 경우 수평각은 방향관측법으로 하며, 수평거리는 1회 이상으로 한다.
     3. 정지측위 위성측량으로 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60초 이하로 하며 측정시간은 10분 이하로 한다.
     4. RTK 위성측량으로 측정할 경우 데이터 수신간격은 1초 단위로 하며 측정시간은 고정해를 유지한 상태로 10초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0. <보기>의 삼각측량 결과에서 CB의 방위는?(2021년 06월)

    

     1. E 20° S
     2. E 70° S
     3. S 20° E
     4. S 70° E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89524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28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7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65885)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6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69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5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4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3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32831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2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1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727851)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20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244403)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9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89524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7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6 도자기공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10월14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5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4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58776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3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2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1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10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43074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09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90925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45 Next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