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3638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은 ?(2003년 08월)
     1. 면역성
     2. 저항성
     3. 감수성
     4. 병원성

     정답 : []
     정답률 : 84%

2. 고온 다습한 여름 날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2012년 09월)
     1. 사과 탄저병
     2. 배추 노균병
     3.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4. 포도 새눈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9%

3. Pseudomonas 세균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2.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3.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4.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그람 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 성분이 80% 정도로 많기 때문에 에탄올에 탈색되지 않아 크리스탈 바이올렛의 자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그람 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 성분의 함량이 20% 정도로 적기 때문에 에탄올에 의해 탈색되어 사프라닌에 의해 자홍색으로 대조염색된다.
[해설작성자 : ㅎㄷ]

4. 강풍 후에 발생이 가장 많은 식물병은?(2019년 03월)
     1. 오이 역병
     2. 가지 풋마름병
     3. 벼 흰잎마름병
     4. 수박 덩굴쪼김병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ㅇ벼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한 병으로 잎의 수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기
    때문에 침수되거나 태풍으로 인해 바람에 흔들려 상처가 날 경우 다발 한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5. 사과나무 부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2020년 08월)
     1. 세균
     2. 진균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진균(자낭균류)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병원균이 종자를 통해서 전염되는 병은 ?(2003년 08월)
     1. 고추 역병
     2. 사과나무 갈색무늬병
     3. 배추 모자이크병
     4. 벼 키다리병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벼에 발생하는 병으로서 병원균이 종자전염하는 것은 키다리병이다
[해설작성자 : 는나]

7. 파종기를 늦추어 감수성 품종의 병 발생을 막았다면 이것은 무엇을 이용한 방제방법인가?(2016년 10월)
     1. 내성
     2. 회피
     3. 면역성
     4. 저항성

     정답 : []
     정답률 : 90%

8. 살아 있는 식물 조직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병원체는?(2018년 04월)
     1. 절대기생체
     2. 임의기생체
     3. 임의부생체
     4. 조건기생체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절대기생체(순활물기생체)
- 살아있는 식물체만을 이용하여 영양을 섭취하고 증식하는 것
- 인공배지에서 배양이 안됨.
-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몰리큐트, 선충, 원생동물, 일부 균류(흰가루병균, 녹병균)등이 있음.
임의기생체
- 죽은 기주를 원칙으로 하나 산 조직을 침해하기도 하는 것.
- 인공배양 가능
임의부생체
- 시간에 지남에 따라서 기주가 죽게 되어도 부생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
조건기생체
- 기주의 조건이나 상태에 따라 기주를 임의로 바꾸는 기생체.
[해설작성자 : 뿡명동 화이팅!]

9.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003년 08월)
     1. 표징은 병든 식물체의 표면에 병원균이 나타난 증상이다.
     2. 흰가루병과 녹병은 표징보다는 병징으로 진단한다.
     3. 과수류의 날개무늬병은 표징으로 진단한다.
     4. 병징은 조직의 괴사, 감생, 비대가 기본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흰가루병과 녹병은 표징으로 진단한다
[해설작성자 : 강태공]

10. 큐어링에 의한 작물의 저장은 어느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가?(2012년 03월)
     1. 고구마 위축병
     2. 고구마 무름병
     3. 고구마 더뎅이병
     4. 고구마 흰빛썩음병

     정답 : []
     정답률 : 77%

11. 식물병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보리 겉깜부기병은 냉수온탕침법으로 종자소독을 한다.
     2. 수박의 오이녹반모자이크 바이러스병(CGMMV)은 건열에 의한 종자소독법이 이용된다.
     3. 토양전염병 방제를 위해 토양을 100℃로 가열, 완전 멸균하는 것이 좋다.
     4. 감귤의 Tristeza 바이러스 무병주를 얻기 위하여 열풍 처리법이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12.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배추 균핵병
     2. 오이 흰가루병
     3. 고추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오이 흰가루병 : 자낭균류이며 오이, 호박, 참외, 팥 등에 감염되고 자낭구(자낭주머니)의 형태로 병든 조직에서 월동하며 고온.건조한 시설재배에서 다발생
[해설작성자 : 모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담자균에 의한 병으로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2020. 09. 20]

[오류신고 반론]
벼 옆집 무늬 마름병은 균핵과 담포자를 형성합니다.
[해설작성자 : 주]

[추가 오류 신고]
고추비단병,벼잎집무늬마름병은 담자균으로 균핵형성되는것
오이흰가루병,배추균핵병은 자낭균으로 이또한 균핵이 형성된다고 하는데
답이 없는듯합니다.
체크해봐주세요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오류신고 반론]
*배추 균핵병 : 잎, 밑둥에서부터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올라가며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흑색 부정형의 큰 균핵이나 구형 내지 부정형의 작은 균핵이 형성된다.

*고추 흰비단병 : 지제부의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변하고 시들면서 말라 죽는다 .
병반부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 병반 부위와 토양 표면에 갈색의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된다.

*오이 흰가루병 : 균핵 형성에 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음.

*벼 잎집무늬마름병 : 주로 줄기에 발생하며 엽초의 표면에는 회록색 또는 암회색의 원형또는 부정형의 병반이 생겨 이것이 점차 회백색이 되며 가장자리는 담갈색을 띄는데나중에는 병반의 표면에 갈색균핵이 형성
[해설작성자 : 불합격만 3년째]

13. 노균병균이 기주에 침입하는 주요기관이며, 포자낭경을 관찰할 수 있는 부위는?(2008년 03월)
     1. 기공
     2. 상처
     3. 뿌리
     4. 종자

     정답 : []
     정답률 : 80%

14. 토양 pH가 알칼리성일 때에 발병이 심해지는 것은?(2005년 03월)
     1. 감자 Y바이러스병
     2. 감자 역병
     3. 감자 겹둥근무늬병
     4. 감자 더뎅이병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감자 역병
병원균 : 진균
전파 : 바람, 관개수, 씨감자
월동형태 및 장소 : 균사로 흙속의 병든 감자나 씨감자에서 월동
특징 : 식물병리학상 중요 병해

감자 더뎅이병
병원균 : 세균
전파 : 바람, 물, 오염된 흙
월동형태 및 장소 : 병든 씨감자와 흙속에서 월동
특징 : 건조한 알칼리성 토양 발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1차전염원이란 무엇인가?(2005년 03월)
     1. 가벼운 증상을 일으키는 전염원
     2. 병반으로부터 가장 먼저 분리되는 전염원
     3. 작물 재배를 시작한 첫 해에 나오는 전염원
     4. 월동한 병원체로부터 새로운 생육기에 들어 가장 먼저 만들어진 전염원

     정답 : []
     정답률 : 79%

16. 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되는 균은?(2019년 04월)
     1. Aspergillus nige
     2. Aspergillus nidulans
     3. Agrobacterium radiobacter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 : []
     정답률 : 77%

17.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2008년 09월)
     1. 채소류 균핵병
     2. 과수의 흰가루병
     3.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41%

18.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부적당한 것은?(2002년 03월)
     1. 항생제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본다.
     2. 항생제 테트라싸이클린에 대한 감수성을 본다.
     3.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
     4.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를 접목하여 전염성을 본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순활물기생균. 살아있는 기주에서만 기생하므로 배양이 않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항생제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본다
     2.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
     3.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감수성을 본다.
     4.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를 접목하여 전염성을 본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파이토플라즈마는 육안확인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파이토플라즈마는 원핵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뿡명동 화이팅!]

20. 식물병 종합적 방제의 목표로서 틀린 것은?(2002년 03월)
     1. 농약을 싼 값에 구입하는 것
     2. 2차 병환을 늦추는 것
     3. 기주의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
     4. 최초 전염원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

     정답 : []
     정답률 : 83%

2과목 : 농림해충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2019년 04월)

    

     1. 파밤나방
     2. 배추좀나방
     3. 이화명나방
     4. 애기유리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파밤나방 :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이미로 유충 초기에 전문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8월 이후의 고온에서 발생량이 많은 잡식성 해충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석]

22. 기피제를 놓아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곤충의 어떤 행동을 이용한 것인가?(2013년 03월)
     1. 양성주축성
     2. 음성주축성
     3. 양성주화성
     4. 음성주화성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곤충의 행동중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을 주화성(走化性, chemotaxis)이라고 하는데 그 물질에 향하는 반응을 양성주화성, 기피하는 주성을 음성주화성이라고 하는데 전자를 이용하는 것이 유인제(誘引劑), 후자를 이용하는 것이 기피제이다. - 출처 : 산림청
[해설작성자 : 비디에스]

23. 혹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해외에서 비래한다.
     2. 잎을 말고 가해한다.
     3. 십자화과 작물을 가해한다.
     4. 알에서 성충에서 한달 정도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혹명나방은 비래해충으로 화본과인 벼를 가해한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뒷날개는 흰색이다.
     2. 더듬이는 몽둥이 모양이다.
     3. 앞날개의 외연에는 검은점이 없다.
     4. 앞날개는 엷은 갈색을 띤 회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앞날개의 외연에 7개의 검은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선인장화분]

25. 다음 중 탈피 후 표피층을 경화시키는 호르몬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diuretic hormone
     2. bursicon
     3. eclosion
     4. proctoli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참고 / 분비계 - 내분비선 - 앞가슴선에서 경화호르몬인 bursicon을 분비한다.    
[해설작성자 : .]

[bursicon/부르시콘] : 곤충이 탈피한 후에 큐티클의 태닝을 일으키는 단백성의 호로몬. 고등파리류는 성충 탈피 후 뇌간부의 신경 분비 세포에서, 바퀴류는 복부 말단 신경절에서 분비된다.
[해설작성자 : 블랙카이트]

26. 배추흰나비 성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004년 03월)
     1. 씹는 입틀을 가지고 있다.
     2.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작다.
     3. 더듬이는 가늘고 길다.
     4. 날개에 비늘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27. 성충은 1. 5mm로서 2쌍의 백색날개를 가지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잎뒷면에서 군서생활을 하며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크다. 어떤 해충인가?(2005년 09월)
     1. 온실가루이
     2. 파밤나방
     3. 아메리카잎굴파리
     4. 담배거세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73%

28. 다음 중 곤충 체벽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제1차 면역기관
     2. 혈구세포 분화
     3. 수분증발 억제
     4. 근육의 부착점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곤충의 외골격은 몸을 보호하고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근육의 무착점인 기저막이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9. 다음 중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알락하늘소
     2. 미끈이하늘소
     3. 솔수염하늘소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에는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가 있다.
포인트 '수염'
[해설작성자 : 박명석]

30.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곤충의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2. 혈액은 혈장과 혈구세포로 이루어진다.
     3. 심장에는 심문이 있다.
     4. 곤충은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곤충은 개방형 순환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다음 분비선 중 호르몬 분비선이 아닌 것은 ?(2003년 03월)
     1. 알라타체
     2. 중장선
     3. 뇌신경세포
     4. 흉선

     정답 : []
     정답률 : 50%

32. 벼멸구 방제법으로 부적당한 것은?(2014년 09월)
     1. 내충성 품종을 심는다.
     2. 약제로는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수화제가 있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다.
     4. 천적으로는 신총채벌, 논거미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33. 곤충의 기문수는 ?(2003년 03월)
     1. 1쌍
     2. 2쌍
     3. 8쌍
     4.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기문 : 호흡하는 구멍
[해설작성자 : 준우맘]

34.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2003년 08월)
     1. 말초신경계
     2. 내장신경계
     3. 배신경줄
     4. 중추신경계

     정답 : []
     정답률 : 67%

35. 해충의 경제적피해수준(economic injury level)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9월)
     1. 일반 환경조건하에서의 평균 밀도
     2. 경제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방제를 해야 하는 밀도
     3. 경제적 피해를 주는 최소의 밀도
     4. 경제적 피해액이 방제비보다 높은 밀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경제적피해수준 :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최저밀도. 해충에 의한 피해액 = 해충 방제비. = 경제적 가해수준    
- 경제적피해허용수준 :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직접 방제 수단을 써야 하는 밀도수준
- 일반평형밀도 : 일반적인 환경조건하에서의 평균밀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

36. 곤충의 신경계 중에서 뇌와 배신경줄로 이루어진 신경계는 어느 것인가 ?(2003년 03월)
     1. 중추신경계
     2. 말초신경계
     3. 앞창자신경계
     4. 식도밑신경구

     정답 : []
     정답률 : 75%

37. 곤충에서 성충기의 기문은 최대 10쌍이다. 그중 가슴에 위치한 기문은 몇 쌍인가?(2008년 03월)
     1. 1쌍
     2. 2쌍
     3. 3쌍
     4. 4쌍

     정답 : []
     정답률 : 61%

38. 말피기소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진딧물은 말피기소관이 없다.
     2. 후장의 시작 부분에 붙어있다.
     3. 끝이 막혀 있는 큰 원통형 모양이다.
     4. 몸에서 발생한 함질소 노폐물 등을 체액으로부터 걸러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말피기소관은 끝이 막혀있는 가늘고 긴 관상구조
[해설작성자 : ㅇㅇ]

39. 곤충의 체벽을 이루고 있는 층 중에서 세포가 분포하고 있는 층은?(2015년 03월)
     1. 진피층
     2. 기저막
     3. 원표피층
     4. 외표피층

     정답 : []
     정답률 : 75%

40. 향나무하늘소(측백하늘소)의 월동태는?(2013년 03월)
     1.
     2. 유충
     3. 번데기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61%

3과목 : 농약학


41. 수화제 제형 제조에서 중요하게 관리해야할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비중과 유화성
     2. 입자의 크기와 현수성
     3. 안전성과 확전성
     4. 입자의 크기와 수용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현수성은 수화제
수용성은 수용액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2.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유기수은제
     2. 토양소독제
     3. 유기주석제
     4. 무기황제

     정답 : []
     정답률 : 80%

43. 살충제의 살충 작용점의 기작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균체성분 생합성 저해
     2. 에너지생성 저해
     3. 신경기능 저해
     4. 치틴(Chitin) 생합성 저해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살충제 작용기작 : 신경기능 저해, 에너지 대사 저해, 키틴의 생합성 저해, 호르몬 균형의 교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농약에 중독이 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약제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유기인계 : 팜(PAM)
     2. 피레스로이드계 : 황산아트로핀
     3. 칼탑, 치오사이크람계 : 발(BAL)
     4. 디치오카바메이트계 : 그루타치온(Glutathion)

     정답 : []
     정답률 : 52%

45. 다음 중 실험동물(rat)에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2020년 08월)
     1. EPN
     2. Diazinon
     3. Dichlorvos
     4. Fenitrothio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ㅇEPN : 고독성으로 분류되는 유기인계 살충제
[해설작성자 : 장천리]

46. 농약합성 및 제제 시 사용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불연성이다.
     2. 무색 또는 회색의 액체로 취기가 있다.
     3. 수용액은 인화성이나 폭발성이 없다.
     4. 피부에 접촉하면 침식시키고 눈에 들어가면 점막을 격렬히 자극하므로 세척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수산화나트륨
무색또는 흰색고체
조해성이강하며 강알칼리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7. 석회황합제의 살균 주성분은?(2019년 04월)
     1. CaS
     2. CaS2
     3. CaS3
     4. CaS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as5 다황화석회

48. 착색 촉진제인 에세폰액제(Ethephon)의 작용기작 물질은?(2004년 03월)
     1. 지베레린(Gibbellin)
     2. 시토키닌(Cytokinin)
     3. 제아틴(Zeatin)
     4. 에틸렌(Ethylene)

     정답 : []
     정답률 : 80%

49. 우리 나라 농약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이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저독성
     2. 유해성
     3. 보통독성
     4. 고독성

     정답 : []
     정답률 : 74%

50. 퀴논계 제초제로서 접촉성 효과로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잔디밭에 발생하는 은이끼, 솔이끼 등에 우수한 제초제는?(2019년 04월)
     1. 리뉴론
     2. 뷰타클로로
     3. 티오벤카브
     4. 퀴노클라민

     정답 : []
     정답률 : 69%

51. 제초제 2.4-D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9년 08월)
     1. 미량으로서는 약효가 없다.
     2. 다른 약제와 혼합으로 약효상승효과가 있다.
     3. 광엽잡초와 화본과 잡초사이에 선택적 활성이 있다.
     4. 무효분얼억제와 도복방지효과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52. 다음 중 농약으로 분류되지 않는 약제는?(2018년 04월)
     1. 제초제
     2. 전착제
     3. 식물영양제
     4.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기타 기피제-유인제-전착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약제를 말한다. - 농약관리법
식물영양제 예를 들어 4종 복합비료의 경우 농약과 함께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심각한 약해를 유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

53. 다음 중 Pyerthrin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2008년 03월)
     1. Alkyl sulphate
     2. Ethylene dibromide
     3. Methyldithiocarbamate
     4. Piperonyl butoxide

     정답 : []
     정답률 : 69%

54.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2019년 04월)
     1. SH기 저해
     2. 전자전달저해
     3. 단백질 합성저해
     4. 산화적 인산화 저해

     정답 : []
     정답률 : 75%

55. 20% PAP유제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2015년 09월)
     1. 40L
     2. 50L
     3. 60L
     4. 70L

     정답 : []
     정답률 : 65%

56. 액체를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한 고독성농약을 반수치사약량(mg/kg체중)으로 나타낸 수치로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20미만
     2. 20~200미만
     3. 200~2000미만
     4. 20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83%

57. 농약원제에 발연제(니트로셀룰로오스), 방염제 등을 혼합하고 기타 보조제 및 증량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은?(2009년 08월)
     1. 훈증제
     2. 훈연제
     3. 연무제
     4. 미립제

     정답 : []
     정답률 : 67%

58.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2013년 03월)
     1. 에테폰(ethephon)
     2.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3. 아이비에이(IBA)
     4. 도마도톤(4-CPA)

     정답 : []
     정답률 : 83%

59. 제충국(pyrethrin)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속효성이다.
     2. 잔효성이 크다.
     3. 약해가 크다.
     4. 고독성 농약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60. 가비중이 0.5인 유제(50%)를 0.05% 액으로 희석하여 10a 당 5말로 살포하려 할 때 소요되는 제품의 양은?(2004년 03월)
     1. 100cc
     2. 120cc
     3. 280cc
     4. 180cc

     정답 : []
     정답률 : 42%

61. 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토양침식을 유발한다.
     2. 작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3. 작물에게 병해충을 매개한다.
     4.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62. 잡초 방제의 경제성 분석 중 다양한 잡초 발생밀도 하에서 농작물의 소득을 분석하는 방법은?(2012년 03월)
     1. 부분예산 분석법
     2. 기계/동력예산 분석법
     3. 한계점 분석법
     4. 보상력 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66%

63. 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깨풀
     2. 가래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55%

64. 잡초의 이용면을 잘못 연결한 것은?(2010년 09월)
     1. 피 – 가축 사료
     2. 어저귀 – 가축 사료
     3. 도꼬마리 – 민간 약재
     4. 부레옥잠 – 수질 정화

     정답 : []
     정답률 : 67%

65. 잡초가 동일한 밀도로 발생하였을 때 벼와 경합력이 가장 큰 잡초는?(2011년 10월)
     1.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알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87%

6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종내경합이라고 할 수 있다.
     2. C3 잡초의 경우 작물보다 광합성효율이 더 뛰어나다.
     3. 초관형성이 늦은 작물에서는 제초 요구 기간이 일찍 시작된다.
     4. 경합기간은 기상조건이나 재배방식과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67. 논토양의 표토(0~5cm)에 주로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잡초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6년 03월)
     1. 가래
     2. 올방개
     3. 올미
     4. 벗풀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근경(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 : 쇠털골, 가래, 나도겨풀.
괴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 : 올방개, 올미, 벗풀, 매자기, 너도방동사니.
따라서, 상기 답은 1번 가래가 맞는 것 같습니다.
저두 3번 찍어서 맞긴 했는데...
[해설작성자 : 유진]

[추가 오류 신고]
가래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태초마을 양박사]

[오류신고 반론]
지하경을 크게 뿌리가 토양 아래있는 경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가래의 경우 지하경이 10~20cm
올미의 경우 지하경이 3~5cm정도에서 형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식물인간]

68. 맥류의 잡초방제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월동 작물 재배시 봄에 발아하는 잡초보다 월동형 잡초의 피해가 크다.
     2. 잡초에 대한 경합력은 보리가 밀보다 강하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은 밀이 보리보다 강하다.
     3. 제초제의 사용은 유수형성기 전에 이루어져야한다.
     4. 맥류의 엽수가 5매 이상이 되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69. 잡초종자가 발아하는데 관여하는 3대 환경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2. 온도
     3. 산소
     4. 토양

     정답 : []
     정답률 : 62%

70. 제초제가 활성화되는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6월)
     1. MCPB β-oxidation
     2. Diuron의 demethylation
     3. Atrazane의 glutathione conjugation
     4. Bentazone의 hydroxylation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4-DB, MCPB는 식물체내에서 각각 2,4-D 및 MCPA로 전환되고, 이 반응을 B-oxidation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원더우먼]

71. 형태적 분류상 바랭이는 어떤 잡초에 속하는가?(2007년 03월)
     1. 화본과 잡초
     2. 광엽 잡초
     3. 방동사니과 잡초
     4. 국화과 잡초

     정답 : []
     정답률 : 57%

72. 다음 벼 재배방법 중 벼와 잡초와의 경합이 가장 큰 것은?(2008년 09월)
     1. 어린모 재배
     2. 중묘 재배
     3. 무경운 기계이앙재배
     4. 담수표면 산파재배

     정답 : []
     정답률 : 46%

73. 페녹시계에 속하는 제초제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이사-디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니코설퓨론 액상수화제
     4. 할록시포프-아르-메틸 유제

     정답 : []
     정답률 : 57%

74. 우리나라 논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2006년 03월)
     1. 마디꽃
     2. 나도겨풀
     3. 올미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54%

75. 최근 우리나라 다년생 논잡초의 군락형의 천이가 일어나고 있는데 천이의 원인이 아닌 것은?(2002년 09월)
     1. 특정 제초제의 연용
     2. 벼 재배법의 변화
     3. 경운 및 정지법의 변화
     4. 외래잡초의 급격한 증가

     정답 : []
     정답률 : 56%

76.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은?(2005년 03월)
     1. 직파재배를 한다.
     2. 이앙재배를 한다.
     3. 무비재배를 한다.
     4. 무경운재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77. 잡초종자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를 가져서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것은?(2016년 10월)
     1. 민들레
     2. 진득찰
     3. 소리쟁이
     4. 가막사리

     정답 : []
     정답률 : 64%

78. 토양염분이 많은 간척지 논에서 주로 발생하는 방동사니과 잡초는?(2005년 09월)
     1. 나도겨풀
     2. 새섬매자기
     3. 물달개비
     4. 올미

     정답 : []
     정답률 : 52%

79. 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더니 주로 방동사니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 때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2019년 04월)
     1. 벤타존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뷰타클로르 캡슐현탁제
     4.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입상수용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벤타존은 벤조티아디아졸계 제초제로서 방동사니과 잡초의 경업처리에 효과적인 선택성, 이행형 제초제이다
[해설작성자 : 원더우먼]

80. 다음 중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2003년 03월)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3638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은 ?(2003년 08월)
     1. 면역성
     2. 저항성
     3. 감수성
     4. 병원성

     정답 : []
     정답률 : 84%

2. 고온 다습한 여름 날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2012년 09월)
     1. 사과 탄저병
     2. 배추 노균병
     3.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4. 포도 새눈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9%

3. Pseudomonas 세균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2. 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3.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4. 그램양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혐기성균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그람 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 성분이 80% 정도로 많기 때문에 에탄올에 탈색되지 않아 크리스탈 바이올렛의 자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그람 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 성분의 함량이 20% 정도로 적기 때문에 에탄올에 의해 탈색되어 사프라닌에 의해 자홍색으로 대조염색된다.
[해설작성자 : ㅎㄷ]

4. 강풍 후에 발생이 가장 많은 식물병은?(2019년 03월)
     1. 오이 역병
     2. 가지 풋마름병
     3. 벼 흰잎마름병
     4. 수박 덩굴쪼김병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ㅇ벼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한 병으로 잎의 수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기
    때문에 침수되거나 태풍으로 인해 바람에 흔들려 상처가 날 경우 다발 한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5. 사과나무 부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2020년 08월)
     1. 세균
     2. 진균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진균(자낭균류)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병원균이 종자를 통해서 전염되는 병은 ?(2003년 08월)
     1. 고추 역병
     2. 사과나무 갈색무늬병
     3. 배추 모자이크병
     4. 벼 키다리병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벼에 발생하는 병으로서 병원균이 종자전염하는 것은 키다리병이다
[해설작성자 : 는나]

7. 파종기를 늦추어 감수성 품종의 병 발생을 막았다면 이것은 무엇을 이용한 방제방법인가?(2016년 10월)
     1. 내성
     2. 회피
     3. 면역성
     4. 저항성

     정답 : []
     정답률 : 90%

8. 살아 있는 식물 조직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병원체는?(2018년 04월)
     1. 절대기생체
     2. 임의기생체
     3. 임의부생체
     4. 조건기생체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절대기생체(순활물기생체)
- 살아있는 식물체만을 이용하여 영양을 섭취하고 증식하는 것
- 인공배지에서 배양이 안됨.
-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몰리큐트, 선충, 원생동물, 일부 균류(흰가루병균, 녹병균)등이 있음.
임의기생체
- 죽은 기주를 원칙으로 하나 산 조직을 침해하기도 하는 것.
- 인공배양 가능
임의부생체
- 시간에 지남에 따라서 기주가 죽게 되어도 부생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
조건기생체
- 기주의 조건이나 상태에 따라 기주를 임의로 바꾸는 기생체.
[해설작성자 : 뿡명동 화이팅!]

9.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003년 08월)
     1. 표징은 병든 식물체의 표면에 병원균이 나타난 증상이다.
     2. 흰가루병과 녹병은 표징보다는 병징으로 진단한다.
     3. 과수류의 날개무늬병은 표징으로 진단한다.
     4. 병징은 조직의 괴사, 감생, 비대가 기본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흰가루병과 녹병은 표징으로 진단한다
[해설작성자 : 강태공]

10. 큐어링에 의한 작물의 저장은 어느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가?(2012년 03월)
     1. 고구마 위축병
     2. 고구마 무름병
     3. 고구마 더뎅이병
     4. 고구마 흰빛썩음병

     정답 : []
     정답률 : 77%

11. 식물병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보리 겉깜부기병은 냉수온탕침법으로 종자소독을 한다.
     2. 수박의 오이녹반모자이크 바이러스병(CGMMV)은 건열에 의한 종자소독법이 이용된다.
     3. 토양전염병 방제를 위해 토양을 100℃로 가열, 완전 멸균하는 것이 좋다.
     4. 감귤의 Tristeza 바이러스 무병주를 얻기 위하여 열풍 처리법이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12.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배추 균핵병
     2. 오이 흰가루병
     3. 고추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오이 흰가루병 : 자낭균류이며 오이, 호박, 참외, 팥 등에 감염되고 자낭구(자낭주머니)의 형태로 병든 조직에서 월동하며 고온.건조한 시설재배에서 다발생
[해설작성자 : 모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담자균에 의한 병으로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2020. 09. 20]

[오류신고 반론]
벼 옆집 무늬 마름병은 균핵과 담포자를 형성합니다.
[해설작성자 : 주]

[추가 오류 신고]
고추비단병,벼잎집무늬마름병은 담자균으로 균핵형성되는것
오이흰가루병,배추균핵병은 자낭균으로 이또한 균핵이 형성된다고 하는데
답이 없는듯합니다.
체크해봐주세요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오류신고 반론]
*배추 균핵병 : 잎, 밑둥에서부터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올라가며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흑색 부정형의 큰 균핵이나 구형 내지 부정형의 작은 균핵이 형성된다.

*고추 흰비단병 : 지제부의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변하고 시들면서 말라 죽는다 .
병반부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 병반 부위와 토양 표면에 갈색의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된다.

*오이 흰가루병 : 균핵 형성에 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음.

*벼 잎집무늬마름병 : 주로 줄기에 발생하며 엽초의 표면에는 회록색 또는 암회색의 원형또는 부정형의 병반이 생겨 이것이 점차 회백색이 되며 가장자리는 담갈색을 띄는데나중에는 병반의 표면에 갈색균핵이 형성
[해설작성자 : 불합격만 3년째]

13. 노균병균이 기주에 침입하는 주요기관이며, 포자낭경을 관찰할 수 있는 부위는?(2008년 03월)
     1. 기공
     2. 상처
     3. 뿌리
     4. 종자

     정답 : []
     정답률 : 80%

14. 토양 pH가 알칼리성일 때에 발병이 심해지는 것은?(2005년 03월)
     1. 감자 Y바이러스병
     2. 감자 역병
     3. 감자 겹둥근무늬병
     4. 감자 더뎅이병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감자 역병
병원균 : 진균
전파 : 바람, 관개수, 씨감자
월동형태 및 장소 : 균사로 흙속의 병든 감자나 씨감자에서 월동
특징 : 식물병리학상 중요 병해

감자 더뎅이병
병원균 : 세균
전파 : 바람, 물, 오염된 흙
월동형태 및 장소 : 병든 씨감자와 흙속에서 월동
특징 : 건조한 알칼리성 토양 발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1차전염원이란 무엇인가?(2005년 03월)
     1. 가벼운 증상을 일으키는 전염원
     2. 병반으로부터 가장 먼저 분리되는 전염원
     3. 작물 재배를 시작한 첫 해에 나오는 전염원
     4. 월동한 병원체로부터 새로운 생육기에 들어 가장 먼저 만들어진 전염원

     정답 : []
     정답률 : 79%

16. 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되는 균은?(2019년 04월)
     1. Aspergillus nige
     2. Aspergillus nidulans
     3. Agrobacterium radiobacter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 : []
     정답률 : 77%

17.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2008년 09월)
     1. 채소류 균핵병
     2. 과수의 흰가루병
     3.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41%

18.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부적당한 것은?(2002년 03월)
     1. 항생제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본다.
     2. 항생제 테트라싸이클린에 대한 감수성을 본다.
     3.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
     4.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를 접목하여 전염성을 본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순활물기생균. 살아있는 기주에서만 기생하므로 배양이 않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항생제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본다
     2.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
     3.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감수성을 본다.
     4.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를 접목하여 전염성을 본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파이토플라즈마는 육안확인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파이토플라즈마는 원핵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뿡명동 화이팅!]

20. 식물병 종합적 방제의 목표로서 틀린 것은?(2002년 03월)
     1. 농약을 싼 값에 구입하는 것
     2. 2차 병환을 늦추는 것
     3. 기주의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
     4. 최초 전염원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

     정답 : []
     정답률 : 83%

2과목 : 농림해충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2019년 04월)

    

     1. 파밤나방
     2. 배추좀나방
     3. 이화명나방
     4. 애기유리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파밤나방 :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이미로 유충 초기에 전문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8월 이후의 고온에서 발생량이 많은 잡식성 해충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석]

22. 기피제를 놓아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곤충의 어떤 행동을 이용한 것인가?(2013년 03월)
     1. 양성주축성
     2. 음성주축성
     3. 양성주화성
     4. 음성주화성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곤충의 행동중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을 주화성(走化性, chemotaxis)이라고 하는데 그 물질에 향하는 반응을 양성주화성, 기피하는 주성을 음성주화성이라고 하는데 전자를 이용하는 것이 유인제(誘引劑), 후자를 이용하는 것이 기피제이다. - 출처 : 산림청
[해설작성자 : 비디에스]

23. 혹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해외에서 비래한다.
     2. 잎을 말고 가해한다.
     3. 십자화과 작물을 가해한다.
     4. 알에서 성충에서 한달 정도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혹명나방은 비래해충으로 화본과인 벼를 가해한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뒷날개는 흰색이다.
     2. 더듬이는 몽둥이 모양이다.
     3. 앞날개의 외연에는 검은점이 없다.
     4. 앞날개는 엷은 갈색을 띤 회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앞날개의 외연에 7개의 검은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선인장화분]

25. 다음 중 탈피 후 표피층을 경화시키는 호르몬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diuretic hormone
     2. bursicon
     3. eclosion
     4. proctolin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참고 / 분비계 - 내분비선 - 앞가슴선에서 경화호르몬인 bursicon을 분비한다.    
[해설작성자 : .]

[bursicon/부르시콘] : 곤충이 탈피한 후에 큐티클의 태닝을 일으키는 단백성의 호로몬. 고등파리류는 성충 탈피 후 뇌간부의 신경 분비 세포에서, 바퀴류는 복부 말단 신경절에서 분비된다.
[해설작성자 : 블랙카이트]

26. 배추흰나비 성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004년 03월)
     1. 씹는 입틀을 가지고 있다.
     2.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작다.
     3. 더듬이는 가늘고 길다.
     4. 날개에 비늘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63%

27. 성충은 1. 5mm로서 2쌍의 백색날개를 가지고 있다. 성충과 약충이 잎뒷면에서 군서생활을 하며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크다. 어떤 해충인가?(2005년 09월)
     1. 온실가루이
     2. 파밤나방
     3. 아메리카잎굴파리
     4. 담배거세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73%

28. 다음 중 곤충 체벽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제1차 면역기관
     2. 혈구세포 분화
     3. 수분증발 억제
     4. 근육의 부착점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곤충의 외골격은 몸을 보호하고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근육의 무착점인 기저막이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9. 다음 중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알락하늘소
     2. 미끈이하늘소
     3. 솔수염하늘소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에는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가 있다.
포인트 '수염'
[해설작성자 : 박명석]

30.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곤충의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2. 혈액은 혈장과 혈구세포로 이루어진다.
     3. 심장에는 심문이 있다.
     4. 곤충은 폐쇄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곤충은 개방형 순환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다음 분비선 중 호르몬 분비선이 아닌 것은 ?(2003년 03월)
     1. 알라타체
     2. 중장선
     3. 뇌신경세포
     4. 흉선

     정답 : []
     정답률 : 50%

32. 벼멸구 방제법으로 부적당한 것은?(2014년 09월)
     1. 내충성 품종을 심는다.
     2. 약제로는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수화제가 있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다.
     4. 천적으로는 신총채벌, 논거미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33. 곤충의 기문수는 ?(2003년 03월)
     1. 1쌍
     2. 2쌍
     3. 8쌍
     4.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기문 : 호흡하는 구멍
[해설작성자 : 준우맘]

34.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2003년 08월)
     1. 말초신경계
     2. 내장신경계
     3. 배신경줄
     4. 중추신경계

     정답 : []
     정답률 : 67%

35. 해충의 경제적피해수준(economic injury level)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9월)
     1. 일반 환경조건하에서의 평균 밀도
     2. 경제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방제를 해야 하는 밀도
     3. 경제적 피해를 주는 최소의 밀도
     4. 경제적 피해액이 방제비보다 높은 밀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경제적피해수준 :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최저밀도. 해충에 의한 피해액 = 해충 방제비. = 경제적 가해수준    
- 경제적피해허용수준 :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직접 방제 수단을 써야 하는 밀도수준
- 일반평형밀도 : 일반적인 환경조건하에서의 평균밀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

36. 곤충의 신경계 중에서 뇌와 배신경줄로 이루어진 신경계는 어느 것인가 ?(2003년 03월)
     1. 중추신경계
     2. 말초신경계
     3. 앞창자신경계
     4. 식도밑신경구

     정답 : []
     정답률 : 75%

37. 곤충에서 성충기의 기문은 최대 10쌍이다. 그중 가슴에 위치한 기문은 몇 쌍인가?(2008년 03월)
     1. 1쌍
     2. 2쌍
     3. 3쌍
     4. 4쌍

     정답 : []
     정답률 : 61%

38. 말피기소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진딧물은 말피기소관이 없다.
     2. 후장의 시작 부분에 붙어있다.
     3. 끝이 막혀 있는 큰 원통형 모양이다.
     4. 몸에서 발생한 함질소 노폐물 등을 체액으로부터 걸러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말피기소관은 끝이 막혀있는 가늘고 긴 관상구조
[해설작성자 : ㅇㅇ]

39. 곤충의 체벽을 이루고 있는 층 중에서 세포가 분포하고 있는 층은?(2015년 03월)
     1. 진피층
     2. 기저막
     3. 원표피층
     4. 외표피층

     정답 : []
     정답률 : 75%

40. 향나무하늘소(측백하늘소)의 월동태는?(2013년 03월)
     1.
     2. 유충
     3. 번데기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61%

3과목 : 농약학


41. 수화제 제형 제조에서 중요하게 관리해야할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비중과 유화성
     2. 입자의 크기와 현수성
     3. 안전성과 확전성
     4. 입자의 크기와 수용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현수성은 수화제
수용성은 수용액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2.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유기수은제
     2. 토양소독제
     3. 유기주석제
     4. 무기황제

     정답 : []
     정답률 : 80%

43. 살충제의 살충 작용점의 기작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균체성분 생합성 저해
     2. 에너지생성 저해
     3. 신경기능 저해
     4. 치틴(Chitin) 생합성 저해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살충제 작용기작 : 신경기능 저해, 에너지 대사 저해, 키틴의 생합성 저해, 호르몬 균형의 교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농약에 중독이 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약제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유기인계 : 팜(PAM)
     2. 피레스로이드계 : 황산아트로핀
     3. 칼탑, 치오사이크람계 : 발(BAL)
     4. 디치오카바메이트계 : 그루타치온(Glutathion)

     정답 : []
     정답률 : 52%

45. 다음 중 실험동물(rat)에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2020년 08월)
     1. EPN
     2. Diazinon
     3. Dichlorvos
     4. Fenitrothio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ㅇEPN : 고독성으로 분류되는 유기인계 살충제
[해설작성자 : 장천리]

46. 농약합성 및 제제 시 사용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불연성이다.
     2. 무색 또는 회색의 액체로 취기가 있다.
     3. 수용액은 인화성이나 폭발성이 없다.
     4. 피부에 접촉하면 침식시키고 눈에 들어가면 점막을 격렬히 자극하므로 세척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수산화나트륨
무색또는 흰색고체
조해성이강하며 강알칼리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47. 석회황합제의 살균 주성분은?(2019년 04월)
     1. CaS
     2. CaS2
     3. CaS3
     4. CaS5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as5 다황화석회

48. 착색 촉진제인 에세폰액제(Ethephon)의 작용기작 물질은?(2004년 03월)
     1. 지베레린(Gibbellin)
     2. 시토키닌(Cytokinin)
     3. 제아틴(Zeatin)
     4. 에틸렌(Ethylene)

     정답 : []
     정답률 : 80%

49. 우리 나라 농약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이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저독성
     2. 유해성
     3. 보통독성
     4. 고독성

     정답 : []
     정답률 : 74%

50. 퀴논계 제초제로서 접촉성 효과로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잔디밭에 발생하는 은이끼, 솔이끼 등에 우수한 제초제는?(2019년 04월)
     1. 리뉴론
     2. 뷰타클로로
     3. 티오벤카브
     4. 퀴노클라민

     정답 : []
     정답률 : 69%

51. 제초제 2.4-D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9년 08월)
     1. 미량으로서는 약효가 없다.
     2. 다른 약제와 혼합으로 약효상승효과가 있다.
     3. 광엽잡초와 화본과 잡초사이에 선택적 활성이 있다.
     4. 무효분얼억제와 도복방지효과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52. 다음 중 농약으로 분류되지 않는 약제는?(2018년 04월)
     1. 제초제
     2. 전착제
     3. 식물영양제
     4.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기타 기피제-유인제-전착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약제를 말한다. - 농약관리법
식물영양제 예를 들어 4종 복합비료의 경우 농약과 함께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심각한 약해를 유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

53. 다음 중 Pyerthrin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2008년 03월)
     1. Alkyl sulphate
     2. Ethylene dibromide
     3. Methyldithiocarbamate
     4. Piperonyl butoxide

     정답 : []
     정답률 : 69%

54. 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2019년 04월)
     1. SH기 저해
     2. 전자전달저해
     3. 단백질 합성저해
     4. 산화적 인산화 저해

     정답 : []
     정답률 : 75%

55. 20% PAP유제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2015년 09월)
     1. 40L
     2. 50L
     3. 60L
     4. 70L

     정답 : []
     정답률 : 65%

56. 액체를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한 고독성농약을 반수치사약량(mg/kg체중)으로 나타낸 수치로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20미만
     2. 20~200미만
     3. 200~2000미만
     4. 20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83%

57. 농약원제에 발연제(니트로셀룰로오스), 방염제 등을 혼합하고 기타 보조제 및 증량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은?(2009년 08월)
     1. 훈증제
     2. 훈연제
     3. 연무제
     4. 미립제

     정답 : []
     정답률 : 67%

58.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2013년 03월)
     1. 에테폰(ethephon)
     2.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3. 아이비에이(IBA)
     4. 도마도톤(4-CPA)

     정답 : []
     정답률 : 83%

59. 제충국(pyrethrin)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속효성이다.
     2. 잔효성이 크다.
     3. 약해가 크다.
     4. 고독성 농약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60. 가비중이 0.5인 유제(50%)를 0.05% 액으로 희석하여 10a 당 5말로 살포하려 할 때 소요되는 제품의 양은?(2004년 03월)
     1. 100cc
     2. 120cc
     3. 280cc
     4. 180cc

     정답 : []
     정답률 : 42%

61. 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토양침식을 유발한다.
     2. 작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3. 작물에게 병해충을 매개한다.
     4.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62. 잡초 방제의 경제성 분석 중 다양한 잡초 발생밀도 하에서 농작물의 소득을 분석하는 방법은?(2012년 03월)
     1. 부분예산 분석법
     2. 기계/동력예산 분석법
     3. 한계점 분석법
     4. 보상력 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66%

63. 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깨풀
     2. 가래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55%

64. 잡초의 이용면을 잘못 연결한 것은?(2010년 09월)
     1. 피 – 가축 사료
     2. 어저귀 – 가축 사료
     3. 도꼬마리 – 민간 약재
     4. 부레옥잠 – 수질 정화

     정답 : []
     정답률 : 67%

65. 잡초가 동일한 밀도로 발생하였을 때 벼와 경합력이 가장 큰 잡초는?(2011년 10월)
     1.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알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87%

6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종내경합이라고 할 수 있다.
     2. C3 잡초의 경우 작물보다 광합성효율이 더 뛰어나다.
     3. 초관형성이 늦은 작물에서는 제초 요구 기간이 일찍 시작된다.
     4. 경합기간은 기상조건이나 재배방식과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67. 논토양의 표토(0~5cm)에 주로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잡초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6년 03월)
     1. 가래
     2. 올방개
     3. 올미
     4. 벗풀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근경(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 : 쇠털골, 가래, 나도겨풀.
괴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 : 올방개, 올미, 벗풀, 매자기, 너도방동사니.
따라서, 상기 답은 1번 가래가 맞는 것 같습니다.
저두 3번 찍어서 맞긴 했는데...
[해설작성자 : 유진]

[추가 오류 신고]
가래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태초마을 양박사]

[오류신고 반론]
지하경을 크게 뿌리가 토양 아래있는 경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가래의 경우 지하경이 10~20cm
올미의 경우 지하경이 3~5cm정도에서 형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식물인간]

68. 맥류의 잡초방제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월동 작물 재배시 봄에 발아하는 잡초보다 월동형 잡초의 피해가 크다.
     2. 잡초에 대한 경합력은 보리가 밀보다 강하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은 밀이 보리보다 강하다.
     3. 제초제의 사용은 유수형성기 전에 이루어져야한다.
     4. 맥류의 엽수가 5매 이상이 되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69. 잡초종자가 발아하는데 관여하는 3대 환경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2. 온도
     3. 산소
     4. 토양

     정답 : []
     정답률 : 62%

70. 제초제가 활성화되는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6월)
     1. MCPB β-oxidation
     2. Diuron의 demethylation
     3. Atrazane의 glutathione conjugation
     4. Bentazone의 hydroxylation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4-DB, MCPB는 식물체내에서 각각 2,4-D 및 MCPA로 전환되고, 이 반응을 B-oxidation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원더우먼]

71. 형태적 분류상 바랭이는 어떤 잡초에 속하는가?(2007년 03월)
     1. 화본과 잡초
     2. 광엽 잡초
     3. 방동사니과 잡초
     4. 국화과 잡초

     정답 : []
     정답률 : 57%

72. 다음 벼 재배방법 중 벼와 잡초와의 경합이 가장 큰 것은?(2008년 09월)
     1. 어린모 재배
     2. 중묘 재배
     3. 무경운 기계이앙재배
     4. 담수표면 산파재배

     정답 : []
     정답률 : 46%

73. 페녹시계에 속하는 제초제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이사-디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니코설퓨론 액상수화제
     4. 할록시포프-아르-메틸 유제

     정답 : []
     정답률 : 57%

74. 우리나라 논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2006년 03월)
     1. 마디꽃
     2. 나도겨풀
     3. 올미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54%

75. 최근 우리나라 다년생 논잡초의 군락형의 천이가 일어나고 있는데 천이의 원인이 아닌 것은?(2002년 09월)
     1. 특정 제초제의 연용
     2. 벼 재배법의 변화
     3. 경운 및 정지법의 변화
     4. 외래잡초의 급격한 증가

     정답 : []
     정답률 : 56%

76.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은?(2005년 03월)
     1. 직파재배를 한다.
     2. 이앙재배를 한다.
     3. 무비재배를 한다.
     4. 무경운재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77. 잡초종자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를 가져서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것은?(2016년 10월)
     1. 민들레
     2. 진득찰
     3. 소리쟁이
     4. 가막사리

     정답 : []
     정답률 : 64%

78. 토양염분이 많은 간척지 논에서 주로 발생하는 방동사니과 잡초는?(2005년 09월)
     1. 나도겨풀
     2. 새섬매자기
     3. 물달개비
     4. 올미

     정답 : []
     정답률 : 52%

79. 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더니 주로 방동사니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 때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2019년 04월)
     1. 벤타존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뷰타클로르 캡슐현탁제
     4.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입상수용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벤타존은 벤조티아디아졸계 제초제로서 방동사니과 잡초의 경업처리에 효과적인 선택성, 이행형 제초제이다
[해설작성자 : 원더우먼]

80. 다음 중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2003년 03월)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36385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42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95050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41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40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901251)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9 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8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7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36385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6534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3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2 경찰공무원(순경) 행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1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30 수능(법과정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9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10월14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8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7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6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8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5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4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23 <h2>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5년09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51 Next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