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5611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료역학


1. 양단이 회전지지로 된 장주에서 거리 e 만큼 편심된 곳에 축방향 하중 P가 작용할 때 이 기둥에서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σmax)은? (단, A는 기둥 단면적, 2c는 두께, r은 단면의 회전반경, E는 세로탄성계수이다.)(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2. 길이 10m, 단면적 2cm2인 철봉을 100℃에서 그림과 같이 양단을 고정했다. 이 봉의 온도가 20℃로 되었을때 인장력은 약 몇 kN인가? (단, 세로탄성계수는 200GPa, 선팽창계수 a=0.000012/℃ 이다.)(2020년 08월)

   

     1. 19.2
     2. 25.5
     3. 38.4
     4. 48.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열응력=E*a*dT
이때 열응력은 P/A이므로
P/A=E*a*dT, 면적A는 200mm^2로 주어져있으므로 solve기능으로 풀면
38.4kN이 나온다
[해설작성자 : 공도리]

3. 지름 약 4cm의 둥금 강봉에 60k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지름은 약 몇 mm만큼 감소하는가? (단, 탄성계수 E = 200GPa, 포아송 비 v = 0.33 이라 한다.)(2013년 03월)
     1. 0.00513
     2. 0.00315
     3. 0.00596
     4. 0.000596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지름의 감소량=dσ/mE 식을 이용하여 계산
                     =(1/m)×(dσ/E) , ν(포아송비)=1/m=0.33
                                                     d(지름)=0.04m
                                                     σ(응력)=P/A P(힘):60kN
                                                                            A(면적):πd2/4        
[해설작성자 : 잇찡]

4. 공학적 변형률(engineering strain) e와 진변형률(true strain) ε사이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ε = In(e+1)
     2. ε = exIn(e)
     3. ε = In(e)
     4. ε = 3e

     정답 : []
     정답률 : 83%

5. 양단이 고정된 축을 그림과 같이 m-n단면에서 T만큼 비틀면 고정단 AB에서 생기는 저항 비틀림 모멘트의 비 TA/TB는?(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틀림각이 같다고 놓고품
[해설작성자 : 랄ㄹ]

비틀림 각 = (T*l)/(G*J) * (180/pi)
[해설작성자 : 부가설명]

T×b=Ta×(a+b)
T×a=Tb×(a+b)
[해설작성자 : 섭]

6. 지름 20mm, 길이 1000mm의 연강봉이 30k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발생하는 신장량의 크기는 약 몇 mm인가? (단, 탄성계수 E=210GPa이다.)(2011년 10월)
     1. 0.455
     2. 4.55
     3. 0.0455
     4. 0.00455

     정답 : []
     정답률 : 54%

7. 주평면(Principal plane)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주평면에는 전단응력과 수직응력의 합이 작용한다.
     2. 주평면에는 전단응력만이 작용하고 수직응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3. 주평면에는 전단응력은 작용하지 않고 최대 및 최소의 수직응력만이 작용한다.
     4. 주평면에는 최대의 수직응력만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8. 그림의 단순지지보에서 중앙에 집중하중 P(=ωℓ)가 작용할 때와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에서 처짐 yA:yB의 값은?(2003년 08월)

   

     1. 4 : 3
     2. 3 : 4
     3. 7 : 4
     4. 8 : 5

     정답 : []
     정답률 : 50%

9. 두께 10mm인 강판으로 직경 2.5m의 원통형 압력용기를 제작하였다. 최대 내부 압력이 1200kPa 일 때 축방향 응력은 몇 MPa 인가?(2021년 03월)
     1. 75
     2. 100
     3. 125
     4. 15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축방향응력 = pd/4t = (1200×2.5) / ((4×0.01)×1000) = 75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외팔보 AB에서 중앙(C)에 모멘트 MC와 자유단에 하중 P가 동시에 작용할 때, 자유단(B)에서의 처짐량이 영(0)이 되도록 MC를 결정하면? (단, 굽힘강성 EI는 일정하다.)(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집중하중 처짐
처짐각:Am/EI=2Pa^2/EI
처짐량=처짐각*x바(4a/3)=8Pa^3/3EI
2) 모멘트처짐
처짐각:Am/EI=Mc*a/EI
처짐량=처짐각*x바(3a/2)=3Mca^2/2EI

1)과2)의 처짐량을 동일하게 하면
Mc=16Pa/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모멘트처짐
처짐B=처짐c+처짐각c×a
처짐량B= ma^2/2EI+ma/EI ×a
처짐량B= 3ma^2/2EI
집중하중처짐
처짐량B= 8Pa^3/3EI
처짐량이 같다로 하면 m을 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Seop]

11. 다음과 같은 압력 기구에 안전 밸브가 장치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 상수가 k = 100 kN/m이고 자연상태에서의 길이는 240mm라 한다. 몇 kN/m2의 압력에 밸브가 열리겠는가?(2012년 03월)

    

     1.
     2. π×104
     3. π×102
     4.

     정답 : []
     정답률 : 35%

12. 양단이 고정된 축을 그림과 같이 m-n 단면에서 T만큼 비틀면 고정단 AB에서 생기는 저항 비틀림 모멘트의 비 TA/TB는?(201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TA=T*a/(a+b)
TB=T*b/(a+b) 로 계산하면 됨
[해설작성자 : 잇찡]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틀렸습니다. T_a = T*b/(a+b) T_b = T*a/(a+b) 로 돼서 b/a 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A점과 B점에서 비틀림각이 같습니다.

θ_A=θ_B 이므로
T_A*a/G*I_p = T_B*b/G*I_p 에서
T_A/T_B=b/a 가 나옵니다. 답은 2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쿠마]

[오류신고 반론]
A점과 B점의 비틀림각이 같은 것이 아니라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지점의 비틀림각이 같습니다.
A점과 B점은 비틀림각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나무로치면죽빵]

[오류신고 반론]
정답 2번임.
Ta = T*b/(a+b)
Tb = T*a/(a+b)
Ta/Tb=b/a 맞음.

비틀림각 같은걸로 풀어도 2번임

+다른 교재에는 정답 2번이라고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힘찬기상킥]

13. 길이 L인 봉 AB가 그 양단에 고정된 두 개의 연직강선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수평으로 매달려 있다. 봉 AB의 자중은 무시하고, 봉이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연직하중 P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x는? (단, 강선들은 단면적은 같지만 A단의 강선은 탄성계수 E1, 길이 ℓ1, B단의 강선은 탄성계수 E2, 길이 ℓ2이다.)(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수평을 유지한다 => 변형량이 같다
PA = (L-x)/L * P
PB = x/L * P
변형량은 같다 => (PA*l1)/(A*E1) = (PB*l2)/(A*E2)
PA, PB를 위 식에 대입하면 x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점수가안올라]

14. 그림에서 784.8N과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힘 F1과 F2는?(2013년 03월)

    

     1. F1 = 395.2N, F2 = 632.4N
     2. F1 = 632.4N, F2 = 395.2N
     3. F1 = 790.4N, F2 = 632.4N
     4. F1 = 790.4N, F2 = 395.2N

     정답 : []
     정답률 : 58%

15. 그림과 같은 일단고정 타단지지보의 중앙에 P=4800N의 하중이 작용하면 지지점의 반력(RB)은 약 몇 kN인가?(2021년 03월)

    

     1. 3.2
     2. 2.6
     3. 1.5
     4. 1.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처짐 공식:
5pl^3/48EI=Rb×L^3/3EI​
이를 정리하여 힘의 관계를 유도하면:
5/16×p= Rb
[해설작성자 : 섭]

16. 허용인장강도가 400MPa 인 연강봉에 30 kN의 축방향 인장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 강봉의 지름은 약 몇 cm 인가? (단, 안전율은 5 이다.)(2021년 05월)
     1. 2.69
     2. 2.93
     3. 2.19
     4. 3.33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응력 = 허용인장강도 / 안전율 = 400000000 / 5 = 80[Mpa]
응력 = 힘 / 면적 = 4F/pi*d^2
여기서 d = sqrt(4F/pi*응력) = sqrt{(4*30000)/(pi*80000000)} = 0.02185[m] = 2.19[cm]
[해설작성자 : 설명충]

17. 두 변의 길이가 각각 b, h인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 점에 관한 극관성 모멘트는?(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x, y축에 대하여 각각2차단면모멘트 구한후 극관성모멘트 구하면 1번. 평행축정리를 이용하세요.
[해설작성자 : 평행축정리를 써라]

18. 그림과 같은 형태로 분포하중을 받고 있는 단순지지보가 있다. 지지점 A에서의 반력 RA는 얼마인가? (단, 분포하중 이다.)(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1%

19. 그림과 같은 평면 응력 상태에서 최대 주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σx = 500 MPa, σy = -300 MPa, τxy = -300 MPa 이다.)(2019년 04월)

    

     1. 500
     2. 600
     3. 700
     4. 8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모어의 원
모어원의 중심
σ_avg=1/2*(σ_x+σ_y)
         =1/2*(500-300)
         =100
모어원의 반경
R=√((1/2*(σ_x-σ_y))^2+τ_xy^2)
=√((1/2*(500+300))^2+300^2)
=500

최대 주응력
σ_max=σ_avg+R
         =100+500
         =600MPa
[해설작성자 : 알과카]

20. 지름이 0.1m이고 길이가 15m인 양단힌지인 원형강 장주의 좌굴임계하중은 약 몇 kN인가? (단, 장주의 탄성계수는 200GPa이다.)(2018년 04월)
     1. 43
     2. 55
     3. 67
     4. 79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임계하중(Pcr)=nπ2E×I/L2공식으로 푼다. 여기서 양단힌지 이므로 n=1이된다.
[해설작성자 : 잇찡]

2과목 : 기계열역학


21. 단열된 노즐에 유체가 10m/s의 속도로 들어와서 200m/s의 속도로 가속되어 나간다. 출구에서의 엔탈피가 2770 kJ/kg일 때 입구에서의 엔탈피는 약 몇 kJ/kg인가?(2020년 08월)
     1. 4370
     2. 4210
     3. 2850
     4. 279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노즐에너지방정식
(h1-h2) = (v2^2-v1^2)/2*1000
→ h1 = 2770+(200^2-10^2)/2000 = 2789.95 ↔ 2790
즉, 2790[kJ/kg]
[해설작성자 : 유우웅]

22. 그림과 같이 A, B 두 종류의 기체가 한 용기 안에서 박막으로 분리되어 있다. A의 체적은 0.1m3, 질량은 2kg이고, B의 체적은 0.4m3, 밀도는 1kg/m3이다. 박막이 파열되고 난 후에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 혼합물의 밀도(kg/m3)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4.8
     2. 6.0
     3. 7.2
     4. 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단위를 보면 쉬움.
밀도(kg/m^3) = m/V(질량/부피)
A : 2kg
B : 0.4 m^3* 1 kg/m^3 = 0.4 kg
전체 밀도 : 2.4 kg / 0.5 m^3 = 4.8 kg/m^3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23. 초기온도와 압력이 50℃, 600kPa인 단위 중량의 질소가 100kPa까지 가역 단열팽창 하였다. 이 때 온도는 몇 K 인가? (단, 비열비 k=1.4 이다.)(2004년 03월)
     1. 194
     2. 294
     3. 467
     4. 539

     정답 : []
     정답률 : 33%

24. 전류 25A, 전압 13V를 가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있다. 충전하는 동안 축전지로부터 15W의 열손실이 있다. 축전지의 내부에너지 변화율은 약 몇 W 인가?(2020년 08월)
     1. 310
     2. 340
     3. 370
     4. 42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Q = △U + W = △U + IV 에서 -15 = △U -25*13
따라서 △U = 310[W]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25. 어떤 이상기체 1kg이 압력 100kPa, 온도 30℃의 상태에서 체적 0.8m3을 점유한다면 기체상수(kJ/kgㆍK)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0.251
     2. 0.264
     3. 0.275
     4. 0.293

     정답 : []
     정답률 : 74%

26. 비열비가 k인 이상기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정압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시스템에 한 일이 W, 시스템에 전달된 열이 Q일 때, W/Q는 얼마인가? (단, 비열은 일정하다.)(2016년 05월)
     1. k
     2.
     3.
     4.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정압과정이므로 P=C 즉 dp=0
W= p(v_2-v_1)=mR(T_2-T_1)
Q= mc_P(T_2-T_1) C_P=KR/K-1
따라서 W/Q = K-1/K
[해설작성자 : 민뀨쓰]

27. 다음 열과 일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과정에서 열과 일은 모두 경로에 무관하다.
     2. Watt(W)는 열의 단위이다.
     3. 열역학 제1법칙은 열과 일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4. 사이클에서 시스템의 열전달 양은 곧 시스템이 수행한 일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44%

28. 체적 0.5m3의 용기에 액체상태와 증기상태의 물 2kg이 들어있으며, 압력 0.5MPa에서 평형을 이루고 있다. 용기 내의 액체상태 물의 질량은? (단, 0.5MPa에서 수증기 포화액의 비체 적은 0.001093m3/kg,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0.3749m3/kg이다.)(2002년 05월)
     1. 0.3788kg
     2. 1.6659kg
     3. 1.3318kg
     4. 0.6682kg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총 2kg의 물이 들어가 있다고 했으므로

액체를 A kg라고 가정한다면 증기는 (2-A)kg 이다.

비체적 x 중량 = 체적이므로

0.001093 * A + 0.3749 * (2-A) = 0.5m^3

A=0.6682kg

Solve 기능을 이용하면 쉽다.
[해설작성자 : 황제곰팡이]

29. 준평형 정적과정을 거치는 시스템에 대한 열 전달량은? (단,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무시한다.)(2020년 06월)
     1. 0이다.
     2. 이루어진 일량과 같다.
     3. 엔탈피 변화향과 같다.
     4. 내부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U = Q + W (정적과정 : W=0)
따라서 U=Q
[해설작성자 : 보충설명]

30. 그림과 같이 작동하는 냉동사이클(압력(P) - 엔탈피(h) 선도)에서 h1 = h4 = 98 kJ/kg, h2 = 246kJ/kg, h3 = 298kJ/kg 일 때 이 냉동사이클의 성능계수(COP)는 약 얼마인가?(2022년 04월)

    

     1. 4.95
     2. 3.85
     3. 2.85
     4. 1.9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성능계수(COP)=Q/W=(h2-h1)/(h3-h2)=2.846....
                                                                 =2.85
[해설작성자 : 유이]

31. 0℃ 얼음 1kg이 열을 받아서 100℃ 수증기가 되었다면,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 인가? (단, 얼음의 융해열은 336 kJ/kg이고, 물의 기화열은 2264 kJ/kg이며, 물의 정압비열은 4.186 kJ/(kg·K) 이다.)(2022년 04월)
     1. 8.6
     2. 10.2
     3. 12.8
     4. 14.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온도가 일정할 때 ΔS=ΔQ/T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때 ΔS=m*c*ln(Tf/Ti)
336/273 + 2264/373 + 1*4.186*ln(373/273) = 8.6
[해설작성자 : 택]

과정 1-2) 얼음 (T1 = 273K) -> 물 (T2 = 273K)
T dS = dQ
∫T dS = ∫dQ = ∫m dq , T = Const
(273K)(S12) = (m)(q12) = (1kg)(336kJ/kg)
S12 = 1.231KJ/K

과정 2-3) 물 (T2 = 273K) -> 물 (T3 = 273K)
물은 비압축성유체 dv ≈ 0, C=Cₚ=Cᵥ
dq = du + P dv = du = Cᵥ dT = Cₚ dT = C dT
T dS = dQ = m dq = mC dT
T dS = mC dT
∫dS = ∫(m)(C)(1/T) dT
S2₋3 = m·Cₚ·ln( T3/ T2) = (1kg)·4.186kJ/(kg·K)·ln(373K/273K) = 1.31KJ/K

과정 3-4) 물 (T3 = 373K) -> 수증기 (T4 = 373K)
T dS = dQ
∫T dS = ∫dQ = ∫m dq , T = Const
(373K)(S34) = (m)(q34) = (1kg)(2264kJ/kg)
S34 = 6.07kJ/K

ΔS = S12 + S23 + S34
ΔS = 8.6kJ/K
[해설작성자 : 해설해주세요]

32. 압력 5 kPa, 체적이 0.3 m3인 기체가 일정한 압력 하에서 압축되어 0.2 m3로 되었을 때 이 기체가 한 일은? (단, + 는 외부로 기체가 일을 한 경우이고, - 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2013년 03월)
     1. 500 J
     2. -500 J
     3. 1000 J
     4. -1000 J

     정답 : []
     정답률 : 52%

33. 물 2kg을 20℃에서 60℃가 될때까지 가열할 경우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몇 kJ/K 인가? 9단, 물의 비열은 4.184 kJ/kgㆍK이고, 온도 변화과정에서 체적은 거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한다.)(2016년 03월)
     1. 0.78
     2. 1.07
     3. 1.45
     4. 1.9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엔트로피=mc×ln(T2/T1)    m:질량 c:비열
[해설작성자 : 잇찡]

34.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다음 중 열역학 제2법칙과 관계되는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3월)
     1. 열을 일로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열효율이 100 %인 열기관을 만들 수 없다.
     3. 열은 저온 물체로부터 고온 물체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4. 입력되는 일 없이 작용하는 냉동기를 만들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역학 제 1법칙
-열과 일은 서로변화 가능(가역의 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열은 일로 변환이 가능하지만 일은 열로 변환이 불가능하다(비가역의 법칙)
[해설작성자 : 잇찡]

35. 온도가 150℃인 공기 3kg이 정압 냉각되어 엔트로피가 1.063kJ/K 만큼 감소되었다. 이때 방출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 이다.)(2016년 05월)
     1. 27
     2. 379
     3. 538
     4. 715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S=Cm*ln(T2/T1)
-1.063=1.01*3*(T2/(273+150)
T2=297.84K

Q=mCp(T2-T1)
1.01*(297.84-423)
=-379KJ
[해설작성자 : 유이]

36. 열병합발전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증기 동력 시스템에서 전기와 함께 공정용 또는 난방용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2. 증기 동력 사이클 상부에 고온에서 작동하는 수은 동력 사이클을 결합한 시스템이다.
     3. 가스 터빈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증기 동력 사이클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4. 한 단의 재열 사이클과 여러 단의 재생사이클을 복합한 시스템이다.

     정답 : []
     정답률 : 34%

37. 흑체의 온도가 20℃에서 80℃로 되었다면 방사하는 복사에너지는 약 몇 배가 되는가?(2008년 05월)
     1. 4
     2. 5
     3. 1.2
     4. 2.1

     정답 : []
     정답률 : 36%

38. 27kPa의 압력차는 수은주로 어느 정도 높이가 되겠는가? (단, 수은의 밀도는 13590kg/m3이다.)(2014년 09월)
     1. 약 158mm
     2. 약 203mm
     3. 약 265mm
     4. 약 557mm

     정답 : []
     정답률 : 69%

39. 25℃, 0.1MPa의 탄소와 산소가 완전 연소하는 비율로 들어 와서 완전 연소한 후 25℃, 0.1MPa 상태로 내보내는 연소실에서 탄소 1kmol 당 393.522kJ의 열이 발생한다. 이 연소실 에 탄소 2kg이 들어갈 때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량은?(2002년 05월)
     1. 32,793.5kJ
     2. 65,587kJ
     3. 393,522kJ
     4. 787,044kJ

     정답 : []
     정답률 : 20%

40. 이상기체에 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Cp , Cv는 저압 및 정적 비열, k는 비열비이고, R은 기체 상수이다.)(2018년 04월)
     1. Cp=Cv-R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3과목 : 기계유체역학


41. 길이 20m의 매끈한 원관에 비중 0.8의 유체가 평균속도 0.3m/s로 흐를 때, 압력손실은 약 얼마인가? (단, 원관의 안지름은 50mm, 점성계수는 8x10-3 Pa • s 이다.)(2015년 05월)
     1. 613Pa
     2. 734Pa
     3. 1235Pa
     4. 1440Pa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량Q=(파이x(D^4)x압력손실)/(128x점성계수x관의 길이)=평균속도x단면적' 임을 이용
[해설작성자 : ㅇㅈ]

42. 그림과 같이 45° 꺾어진 관에 물이 평균속도 5m/s로 흐른다. 유체의 분출에 의해 지지점 A가 받는 모멘트는 약 몇 Nㆍm인가? (단, 출구 단면적은 10-3m2이다.)(2016년 10월)

    

     1. 3.5
     2. 5
     3. 12.5
     4. 17.7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 = 밀도 * 유량 * 속도 = 밀도 * 면적 * 속도^2 = 1000*10^(-3)*5^2 = 25N
F를 Fx, Fy로 나누어 보면 각각 17.7N
지지점의 모멘트는 Fx*(1+1) - Fy*(1) = 17.7 Nm
[해설작성자 : 점수가안올라]

43. 한 변이 1m인 정육면체 나무토막의 아랫면에 1080N의 납을 매달아 물속에 넣었을 때, 물위로 떠오르는 나무토막의 높이는 몇 cm인가? (단, 나무토막의 비중은 0.45, 납의 비중은 11이고, 나무토막의 밑면은 수평을 유지한다.)(2015년 05월)
     1. 55
     2. 48
     3. 45
     4. 4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일단 나무토막의 무게 W=rV (r알고 V알기때문에 무게구함) 똑같이 납에도 적용 V구함
부력=공기중 무게(나무토막 무게 + 납의 무게)
부력 = r물 * V잠긴나무토막부피 + r물 * V잠긴 납의 부피
납은 완전히 잠김 구하면 V잠긴 나무토막부피가 나옴
위에 떠있는 부피구하는게 문제기 때문에 전체부피에서 나무토막부피를 빼줌
[해설작성자 : 짱짱맨]

44. 펌프로 물을 양수할 때 흡입측에서의 압력이 진공 압력계로 75 mmHg(부압)이다. 이 압력은 절대 압력으로 약 몇 kPa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이고, 대기압은 760 mmHg이다.)(2019년 03월)
     1. 91.3
     2. 10.4
     3. 84.5
     4. 23.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절대압력=대기압+계기압력
             대기압-진공압력    대기압(760mmHg)-진공압(75mmHg)=절대압력(685mmHg)
절대압력(685mmHg)을 수은주에서 파스칼로 변화 시키면 된다
    685mmHg/760mmHg*101.325kPa=91.3258kPa 대략 91.3kPa
[해설작성자 : 잇찡]

45. 공기가 게이지 압력을 2.06 bar의 상태로 지름이 0.15m인 관속을 흐르고 있다. 이 때 대기압은 1.03bar 이고 공기 유속이 4m/s 라면 질량유량(mass flow rate)은 약 몇 kg/s 인가? (단, 공기의 온도는 37℃이고, 기체상수는 287.1 J/(kg·K)이다.)(2022년 04월)
     1. 0.245
     2. 2.17
     3. 0.026
     4. 32.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P=ρRT
질량유량= ρAV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충 설명]
질량유량 m dot=ρAV=PAV/(RT)=P*pi*(d^2)*V/(4RT)
P(abs)=P(gauge)+P(atm)=2.06+1.03=3.09[bar]=3.09*10^5[Pa]
m dot=(3.09*(10^5)*pi*(0.15^2)*4)/(4*281.7*(37+273))=0.2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한 변이 2m인 위가 열려있는 정육면체 통에 물을 가득 담아 수평방향으로 9.8m/s2의 가속도로 잡아당겼을 때 통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은 약 몇 m3인가?(2021년 05월)

    

     1. 8
     2. 4
     3. 2
     4. 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평등가속도 ax를 받는 유체의 상대평형
- 탄젠트 세타(물의 기울기) = 물의 높낮이 차 / 너비 = 수평등가속도 / 중력가속도
    # 물의 높낮이 차 = 수평등가속도 * 너비 / 중력가속도
                                     = 9.8 * 2 / 9.8 = 2 m
    # 정지 시 통안에 남아있는 물의 높이 = 등가속도 운동 중 물의 높낮이 차 / 2 = 1 m

물의 양 = 단면적 * 높이 = 2 * 2 * 1 = 4 m^3
[해설작성자 : 짜보]

47. 공기가 평판 위를 3m/s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선단에서 50cm 떨어진 곳에서의 경계층 두께는? (단, 공기의 동점성계수 v = 16×10-6 m2/s이다.)(2013년 06월)
     1. 0.08 mm
     2. 0.82 mm
     3. 8.2 mm
     4. 82 mm

     정답 : []
     정답률 : 41%

48. 프란틀의 혼합거리(mixing length)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전단응력과 무관하다.
     2. 벽에서 0 이다.
     3. 항상 일정하다.
     4. 층류 유동은제를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34%

49. 바람에 수직하게 놓인 지름 40cm의 원판(disk)이 받는 항력은 0.4N이었다. 공기 밀도가 1.2kg/m3이고 항력계수가 1.1이라면 풍속은 몇 m/s인가?(2007년 09월)
     1. 0.8
     2. 1.1
     3. 1.6
     4. 2.2

     정답 : []
     정답률 : 53%

50. 내경 10cm의 원관 속을 0.1m3/s의 물이 흐를 때 관속의 평균 유속은 약 몇 m/s 인가?(2012년 03월)
     1. 0.127
     2. 1.27
     3. 12.7
     4. 127

     정답 : []
     정답률 : 50%

51. 그림과 같이 단면적 A1은 0.4m2, 단면적 A2는 0.1m2인 동일 평면상의 관로에서 물의 유량이 1000L/s일 때 관을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x방향의 힘Fx의 크기는 약 몇 N인가? (단, 단면 1과 2의 높이차는 1.5m이고, 단면 2에서 물은 대기로 방출되며, 곡관의 자체 중량, 곡관 내부 물의 중량 및 곡관에서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2021년 09월)

    

     1. 10159
     2. 15358
     3. 20370
     4. 24018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베르누이로 풀면 됨 p2 = 0이라서 p1구하고
Fx = p1q1cos세타1 + 밀도유량(v1cos세타1 - v2cos세타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다음 중 점성계수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피토관(pitot tube)
     2. 슈리렌법(schlieren method)
     3. 벤투리미터(venturi meter)
     4. 세이볼트법(saybolt method)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피토관 : 유속 측정
2. 슐리렌법 : 투명한 유체 내의 밀도차를 광선을 비스듬히 통과시켜서 촬영하는 방법
3. 벤투리미터 : 관로에서의 유량측정
4. 세이볼트법 : 점성계수 측정

점성계수 측정
1. 낙구식 점도계 : 스토크스 법칙
2. 맥미셸 점도계, 스토머 점도계 : 뉴턴의 점성법칙
3. 으스트발트 점도계, 세이볼트 점도계 : 하겐-포아젤 방정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이상유체 유동에서 원통주위의 순환(circulation)이 없을 때 양력과 항력은 각각 얼마인가? (단, ρ : 밀도, V : 상류 속도, D : 원통의 지름)(2013년 09월)

    

     1. 양력 = ρV2D, 항력 = ρV2D
     2. 양력 = 0, 항력 = ρV2D
     3. 양력 = ρV2D, 항력 = ρV2D
     4. 양력 = 0 , 항력 = 0

     정답 : []
     정답률 : 37%

54. 그림과 같이 비중이 0.83인 기름이 12m/s의 속도로 수직 고정평판에 직각으로 부딪치고 있다. 판에 작용되는 힘 F는 약 몇 N인가?(2021년 05월)

    

     1. 23.5
     2. 28.9
     3. 288.6
     4. 234.7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고정평판 힘 = 밀도 * 유량 * 속도 = 밀도 * 면적 * 속도^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지름이 각각 10cm와 20cm인 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비압축성 유동이라 가정하면 20cm 관속의 평균유속이 2.4m/s일 때 10cm 관내의 평균속도는 약 몇 m/s인가?(2011년 06월)
     1. 0.96
     2. 9.6
     3. 0.7
     4. 7.2

     정답 : []
     정답률 : 49%

56. 지름 0.1mm, 비중 2.3인 작은 모래알이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을 때, 잔잔한 물 속에서 가라앉는 속도는 약 몇 mm/s인가? (단, 물의 점성계수는 1.12×10-3N·s/m2이다.)(2021년 09월)
     1. 6.32
     2. 4.96
     3. 3.17
     4. 2.2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작은 모래알의 무게 = 부력 + 항력
[해설작성자 : 기계공학과 졸업생]

57. 담배연기가 비정상 유동으로 흐를 때 순간적으로 눈에 보이는 담배연기는 다음 중 어떤 것에 해당하는가?(2020년 06월)
     1. 유맥선
     2. 유적선
     3. 유선
     4. 유선, 유적선, 유맥선 모두에 해당됨

     정답 : []
     정답률 : 56%

58. 원형 관내를 완전한 층류로 물이 흐를 경우 관마찰계수(f)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상대 조도(ε/D)만의 함수이다.
     2. 마하수(Ma)만의 함수이다.
     3. 오일러수(Eu)만의 함수이다.
     4. 레이놀즈수(Re)만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59. 어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모형을 만들어서 수조 안에서 24.4m/sec의 속도로 끌면서 실험하고 있다. 원형의 속도가 6.1m/sec라면 모형과 원형의 크기 비는 얼마인가?(2002년 05월)
     1. 1:2
     2. 1:4
     3. 1:8
     4. 1:10

     정답 : []
     정답률 : 41%

60. 유체의 체적 탄성계수는?(2003년 08월)
     1. 속도의 차원을 갖는다.
     2. 유체의 점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3. 온도의 차원을 갖는다.
     4. 압력의 차원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4과목 :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61. 특수청동 중 열전대 및 뜨임시효 경화성 합금으로 사용되는 것은?(2013년 03월)
     1. 인청동
     2. 알루미늄청동
     3. 베릴륨청동
     4. 니켈청동

     정답 : []
     정답률 : 38%

62. 다음 중 KS 기호가 STD로 표시되는 강재는?(2011년 06월)
     1. 탄소공구강
     2. 초경공구강
     3. 다이스강
     4. 고속도강

     정답 : []
     정답률 : 52%

63. 강의 표면경화처리에서 질화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내마모성, 내식성이 크다.
     2. 경화증이 얇다.
     3. 경도는 침탄한 것보다 높다.
     4. 침탄법보다 처리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46%

64. 다음 특수강의 목적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내마멸성, 내식성 개선
     2. 고온강도 저하
     3. 절삭성 개선
     4. 담금질성 향상

     정답 : []
     정답률 : 74%

65. Mg-Al계 합금에 소량의 Zn과 Mn을 넣은 합금은?(2019년 03월)
     1. 엘렉트론(elektron) 합금
     2. 스텔라이트(stellite) 합금
     3. 알클래드(alclad) 합금
     4. 자마크(zamak) 합금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엘렉트론 : Mg-Al계 합금에 소량의 Zn과 Mg,Si,Cd, Ca 등을 넣은 합금으로 320~400도씨 온도에서 봉, 관, 형봉, 피스톤 등으로 압축가공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66. 황(S) 성분이 적은 선철을 용해로, 전기로에서 용해한 후 주형에 주입 전 마그네슘, 세륨, 칼슘 등을 첨가시켜 흑연을 구상화한 것은?(2013년 06월)
     1. 황금주철
     2. 구상흑연주철
     3. 칠드주철
     4. 가단주철

     정답 : []
     정답률 : 80%

67. 배빗메탈 이라고도 하는 베어링용 합금인 화이트 메탈의 주요성분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b-W-Sn
     2. Fe-Sn-Cu
     3. Sn-Sb-Cu
     4. Zn-Sn-Cr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베빗메탈 : 주석계 화이트메탈, Sn-Cu-Sb-Zn계 합금
[해설작성자 : ㅇㅇ]

68. 상온에서 탄소강의 현미경 조직으로 탄소가 약 0.8% 인 강의 조직은?(2012년 09월)
     1. 오스테나이트
     2. 펄라이트
     3. 레데뷰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69. 다음 기구 중 오일의 점성을 가장 중요하게 이용한 기구에 해당되는 것은?(2003년 08월)
     1. 유압 잭
     2. 진동 흡수 댐퍼
     3. 베인 모터
     4. 유압 실린더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쇼크 업소버를 생각하면 된다.
쇼크업소버 : 기계적 충격을 점성을 이용하여 완화해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응범]

70. 다음 중 스프링 강의 기호를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2002년 03월)
     1. SCM1
     2. SNCM1
     3. SPS1
     4. SKS1

     정답 : []
     정답률 : 55%

71. 그림과 같은 회로도는 크기가 같은 실린더로 동조 하는 회로이다. 이 동조회로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10월)

    

     1. 2개의 릴리프 밸브를 사용한 동조회로
     2. 2개의 유량제어 밸브를 사용한 동조회로
     3. 2개의 유압모터를 사용한 동조회로
     4. 래크와 피니언을 사용한 동조회로

     정답 : []
     정답률 : 66%

72. 다음은 유압 변위단계 선도(도표)이다. 이 선도에서 시스템의 동작순서가 옳은 것은?(단, + : 실린더의 전진, - : 실린더의 후진을 나타낸다.)(2011년 10월)

    

     1. A+B+B- A-
     2. A-B-B+A+
     3. B+A+A-B-
     4. B-A-A+B+

     정답 : []
     정답률 : 69%

73. 작동유의 점성에 관계없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정범위가 크고 미세량도 조정 가능한 밸브는?(2003년 05월)
     1. 서보 밸브(servo valve)
     2. 체크 밸브(check valve)
     3. 교축 밸브(throttle valve)
     4. 안전 밸브(safety valve)

     정답 : []
     정답률 : 49%

74. 크래킹 압력(cracking pressur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9월)
     1. 파일럿 관로에 작용시키는 압력
     2. 압력 제어 밸브 등에서 조절되는 압력
     3.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등에서 압력이 상승하고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어느 일정한 흐름의 양이 인정되는 압력
     4.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등의 입구 쪽 압력이 강하하고, 밸브가 닫히기 시작하여 밸브의 누설량이 어느 규정의 양까지 감소했을 때의 압력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크래킹 압력 :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고 어떤 일정한 흐름의 양이 확인되는 압력
4번은 리시트 압력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Engineers Help]

75. 유압펌프에 있어서 체적효율이 90%이고 기계효율이 80%일 때 유압펌프의 전효율은?(2018년 09월)
     1. 90%
     2. 88.8%
     3. 72%
     4. 23.7%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효율=(체적효율)*(기계효율)
[해설작성자 : 슈퍼문 재앙설]

76. 축압기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중추형 축압기 안에 유압유 압력은 항상 일정하다.
     2. 스프링 내장형 축압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가격이 저렴하다.
     3. 피스톤형 가스 충진 축압기의 경우 사용 온도범위가 블래더형에 비하여 넓다.
     4. 다이어프램 충진 축압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다이어프램형 : 구형각의 용기를 사용, 소형고압용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77. 부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압(back pressure)을 부여하는 밸브는?(2013년 06월)
     1. 카운터 밸런스 밸브(counter balance valve)
     2.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 무부하 밸브(unleading valve)
     4.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정답 : []
     정답률 : 74%

78. 베임 펌프의 1회전당 유량이 40cc일 때, 1분당 이론 토출유량이 25리터 이면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단, 내부누설량과 흡입저항은 무시한다.)(2016년 10월)
     1. 62
     2. 625
     3. 125
     4. 74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Q = qN 에서
N = Q/g = (25 x 10^(-3)) / (40 x 10^(-6)) = 625RPM
[해설작성자 : 테오]

79. 다음 그림은 유압 도면 기호에서 무슨 밸브를 나타낸 것인가?(2004년 05월)

    

     1. 릴리프 밸브
     2. 무부하 밸브
     3. 시퀀스 밸브
     4. 감압 밸브

     정답 : []
     정답률 : 48%

80. 유압작동유의 구비 조건으로 부적당한 것은?(2008년 05월)
     1. 비압축성일 것
     2. 큰 점도를 가질 것
     3. 온도에 대해 점도변화가 작을 것
     4. 열전달율이 높을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질량 20kg의 기계가 스프링상수 10kN/m인 스프링 위에 지지되어 있다. 100N의 조화 가진력이 기계에 작용할 때 공진 진폭은 약 몇 cm인가? (단, 감쇠계수는 6kNㆍs/m 이다.)(2017년 03월)
     1. 0.75
     2. 7.5
     3. 0.0075
     4. 0.075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공진진폭(X)=조화 가진력/감쇠계수*고유진동수
계산식 : 100N/(6*10^3N*s/m*(10*10^3N/m / 20kg)^(1/2))=0.00075m=0.075cm
[해설작성자 : KRSanya]

82. 다음 중 박스 지그(box jig)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우는?(2007년 09월)
     1. 밀링머신에서 헬리컬기어를 가공하는 경우
     2. 선반에서 테이퍼를 가공하는 경우
     3. 드릴링에서 다량생산하는 경우
     4. 내면 연삭가공을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4%

83. 그림과 같이 길이(L)이 2.4m이고, 반지름(a)이 0.4m인 원통이 있다. 이 원통의 질량이 150kg일 때, 중심에서 y축 방향에 대한 질량관성모멘트(Iy)는 약 몇 kg·m2 인가?(2021년 05월)

    

     1. 12
     2. 36
     3. 78
     4. 12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I = (m/4 * R^2) + (m/12 * L^2)
[해설작성자 : 짜보]

84. 강판의 두께가 2㎜, 최대 전단 응력이 45㎏f/mm2인 재료에 지름이 24㎜인 구멍을 뚫을 때 펀치에 작용되어야 하는 힘은?(2007년 03월)
     1. 약 4568㎏f
     2. 약 5279㎏f
     3. 약 6786㎏f
     4. 약 7367㎏f

     정답 : []
     정답률 : 52%

85. 반지름이 1m인 바퀴가 60rpm 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굴러갈 때 바퀴의 운동에너지는 약 몇 J인가? (단, 바퀴의 질량은 10kg이고 바퀴는 얇은 두께의 원판형상이다.)(2021년 05월)
     1. 296
     2. 245
     3. 198
     4. 164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굴러가는 바퀴의 운동에너지 = 원중심 운동에너지 + 회전에너지
                                                     = 1/2 * m * v^2         + 1/2 * I * w^2
굴러가는 각속도 w = 2 pi * ( 60 rpm / 60 s ) = 2 pi (rad/s)
원중심속도 v = w * r = 2 pi * 1 (m) = 2 pi (m/s)
얇은 두께의 원판의 관성모멘트 I = 1/2 * m * r^2
다 대입하면 E = 1/2 * 10 * (2 pi)^2 + 1/2 * (1/2 * 10 * 1^2) * (2 pi)^2 = 296.088 J
[해설작성자 : navyplay]

86. 질량 30kg의 물체를 담은 두레박 B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A에 6m 길이의 줄에 의해 수직으로 매달려 이동하고 있다.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던 크레인이 갑자기 정지하자, 두레박 B가 수평으로 3m까지 흔들렸다. 크레인 A의 이동 속도력은 약 몇 m/s인가?(2020년 09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B점의 운동E = B'점에서 위치E
(왜냐하면 B점의 위치E = 0, B'점의 운동E = 0)

1/2mv2 = mgh

여기서, h는 삼각형을 그려 전체 길이 6에서 B'의 까지의 높이를 빼주면 6-3√3이 나온다.

v = √(2gh) = √(2x9.8x(6-3√3)) = 약 3.97m = 4m
[해설작성자 : 테오]

87. 지름 4mm의 가는 봉재를 선재인발(wire drawing)하여 3.5mm가 되었다면 단면 감소율은?(2012년 03월)
     1. 23.4%
     2. 14.2%
     3. 12.5%
     4. 5.7%

     정답 : []
     정답률 : 27%

88. 강재의 경화처리 방법 중 표면 경화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고주파 경화법
     2. 가스 침탄법
     3. 시멘테이션
     4. 파텐팅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시멘테이션 = 금속침투법 : 크로마이징, 칼로마이징등
파텐팅 : 열욕담금질, 소르바이트조직을 얻음
[해설작성자 : PGT]

89. NC 서보기구(servo system)의 형식을 피드백장치의 유무와 검출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그 형식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반개방 회로 방식
     2. 개방 회로 방식
     3. 반폐쇄 회로 방식
     4. 폐쇄 회로 방식

     정답 : []
     정답률 : 25%

90.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2004년 03월)
     1. 드릴링(Drilling)
     2. 보링 (Boring)
     3. 리밍(Reaming)
     4. 호우닝 (Honing)

     정답 : []
     정답률 : 15%

91.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해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면에 가공경화된 잔류 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숏피닝은 표면에 가공경화를 주는 표면가공법이므로 열간가공이 아닌 냉간가공이다.
[해설작성자 : 착한살인자]

숏피닝 타문제집에는 두꺼운 재료에 효과가 좋다고 나옴.얇은 공작물의 경우 찢어질 가능성 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얇은 공작물이면 찢어질수있고 두꺼운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1번 오류인거같네요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92. 질량 100kg의 상자가 15°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내려간다. 점 B에서의 속도가 4 m/s였다면, 점 A에서의 속도는? (단, 중력가속도는 9.81m/s2, 운동마찰계수는0.3 이다.)(2012년 05월)

    

     1. 2 m/s
     2. 3.15 m/s
     3. 4.7 m/s
     4. 9 m/s

     정답 : []
     정답률 : 36%

93. 그림과 같이 일단이 수직으로 매달려서 진자와 같이 한평면 내에서 진동하는 가늘고 긴 막대의 고유 주기는? (단, 막대의 질량은 m 이고 길이는 L이다.)(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94. 테르밋 용접(thermit welding)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전력 소모가 크다.
     2. 용접시간이 비교적 짧다.
     3. 용접작업 후의 변형이 작다.
     4. 용접 작업장소의 이동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테르밋 용접은 전력이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3706]

테르밋 용접: 산화철과 알루미늄 분말의 반응열을 발생시켜 접합
- 두꺼운 판과 레일 접합에 용이
[해설작성자 : 5식]

95. 전단가공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비딩(beading)
     2. 펀칭(punching)
     3. 트리밍(trmming)
     4. 블랭킹(blacking)

     정답 : []
     정답률 : 56%

96. 다음 1자유도 진동계의 임계 감쇠는 몇 N · s/m인가?(2012년 09월)

    

     1. 80
     2. 400
     3. 8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임계감쇠계수 = Ccr = 2√(mk) = 800
[해설작성자 : 혀나공주]

97. 그림과 같이 줄의 길이 L, 질량 m인 공을 1의 위치에서 놓을 때, 2의 위치까지 공이 오려면 최초의 위치각 α는 몇 도이면 되는가? (단, 마찰력, 공기저항, 줄의 질량은 무시한다.)(2013년 03월)

    

     1. 30도
     2. 45도
     3. 60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27%

98. 직경 600mm인 플라이휠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플라이휠의 원주상의 점 P의 가속도가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a = -1.8i - 4.8j"라면 이 순간 플라이휠의 각가속도 a는 얼마인가? (단, i, j 는 각각 x, y 방향의 단위벡터이다.)(2015년 05월)

    

     1. 3rad/s2
     2. 4rad/s2
     3. 5rad/s2
     4. 6rad/s2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가속도 a가 -1.8i -4.8j라고 했으니까 접선가속도 At=-1.8 법선가속도 An=-4.8
문제에서 각가속도 알파를 구하라 했으니 At= r*알파
[해설작성자 : 짱짱맨]

99. 그림과 같은 비틀림계의 유효비틀림강성은 얼마인가?(2002년 05월)

    

     1. K1+K2
     2. 1/K1+1/K2
     3. K1K2/K1+K1
     4. K2/K1

     정답 : []
     정답률 : 30%

100. 그림에서 질량 100kg의 물체 A와 수평면 사이의 마찰계수는 0.3이며 물체 B의 질량은 30kg이다. 힘 Py=15t2이다. t=0sec에서 물체 A가 오른쪽으로 2.0m/s로 운동을 시작한다면 t=5sec일 때 이 물체의 속도는 약 몇 m/s인가?(2008년 05월)

    

     1. 6.81
     2. 6.92
     3. 7.31
     4. 7.54

     정답 : []
     정답률 : 28%


정 답 지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5611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료역학


1. 양단이 회전지지로 된 장주에서 거리 e 만큼 편심된 곳에 축방향 하중 P가 작용할 때 이 기둥에서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σmax)은? (단, A는 기둥 단면적, 2c는 두께, r은 단면의 회전반경, E는 세로탄성계수이다.)(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2. 길이 10m, 단면적 2cm2인 철봉을 100℃에서 그림과 같이 양단을 고정했다. 이 봉의 온도가 20℃로 되었을때 인장력은 약 몇 kN인가? (단, 세로탄성계수는 200GPa, 선팽창계수 a=0.000012/℃ 이다.)(2020년 08월)

   

     1. 19.2
     2. 25.5
     3. 38.4
     4. 48.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열응력=E*a*dT
이때 열응력은 P/A이므로
P/A=E*a*dT, 면적A는 200mm^2로 주어져있으므로 solve기능으로 풀면
38.4kN이 나온다
[해설작성자 : 공도리]

3. 지름 약 4cm의 둥금 강봉에 60k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지름은 약 몇 mm만큼 감소하는가? (단, 탄성계수 E = 200GPa, 포아송 비 v = 0.33 이라 한다.)(2013년 03월)
     1. 0.00513
     2. 0.00315
     3. 0.00596
     4. 0.000596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지름의 감소량=dσ/mE 식을 이용하여 계산
                     =(1/m)×(dσ/E) , ν(포아송비)=1/m=0.33
                                                     d(지름)=0.04m
                                                     σ(응력)=P/A P(힘):60kN
                                                                            A(면적):πd2/4        
[해설작성자 : 잇찡]

4. 공학적 변형률(engineering strain) e와 진변형률(true strain) ε사이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ε = In(e+1)
     2. ε = exIn(e)
     3. ε = In(e)
     4. ε = 3e

     정답 : []
     정답률 : 83%

5. 양단이 고정된 축을 그림과 같이 m-n단면에서 T만큼 비틀면 고정단 AB에서 생기는 저항 비틀림 모멘트의 비 TA/TB는?(2020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틀림각이 같다고 놓고품
[해설작성자 : 랄ㄹ]

비틀림 각 = (T*l)/(G*J) * (180/pi)
[해설작성자 : 부가설명]

T×b=Ta×(a+b)
T×a=Tb×(a+b)
[해설작성자 : 섭]

6. 지름 20mm, 길이 1000mm의 연강봉이 30k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발생하는 신장량의 크기는 약 몇 mm인가? (단, 탄성계수 E=210GPa이다.)(2011년 10월)
     1. 0.455
     2. 4.55
     3. 0.0455
     4. 0.00455

     정답 : []
     정답률 : 54%

7. 주평면(Principal plane)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주평면에는 전단응력과 수직응력의 합이 작용한다.
     2. 주평면에는 전단응력만이 작용하고 수직응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3. 주평면에는 전단응력은 작용하지 않고 최대 및 최소의 수직응력만이 작용한다.
     4. 주평면에는 최대의 수직응력만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8. 그림의 단순지지보에서 중앙에 집중하중 P(=ωℓ)가 작용할 때와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에서 처짐 yA:yB의 값은?(2003년 08월)

   

     1. 4 : 3
     2. 3 : 4
     3. 7 : 4
     4. 8 : 5

     정답 : []
     정답률 : 50%

9. 두께 10mm인 강판으로 직경 2.5m의 원통형 압력용기를 제작하였다. 최대 내부 압력이 1200kPa 일 때 축방향 응력은 몇 MPa 인가?(2021년 03월)
     1. 75
     2. 100
     3. 125
     4. 15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축방향응력 = pd/4t = (1200×2.5) / ((4×0.01)×1000) = 75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외팔보 AB에서 중앙(C)에 모멘트 MC와 자유단에 하중 P가 동시에 작용할 때, 자유단(B)에서의 처짐량이 영(0)이 되도록 MC를 결정하면? (단, 굽힘강성 EI는 일정하다.)(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집중하중 처짐
처짐각:Am/EI=2Pa^2/EI
처짐량=처짐각*x바(4a/3)=8Pa^3/3EI
2) 모멘트처짐
처짐각:Am/EI=Mc*a/EI
처짐량=처짐각*x바(3a/2)=3Mca^2/2EI

1)과2)의 처짐량을 동일하게 하면
Mc=16Pa/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모멘트처짐
처짐B=처짐c+처짐각c×a
처짐량B= ma^2/2EI+ma/EI ×a
처짐량B= 3ma^2/2EI
집중하중처짐
처짐량B= 8Pa^3/3EI
처짐량이 같다로 하면 m을 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Seop]

11. 다음과 같은 압력 기구에 안전 밸브가 장치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 상수가 k = 100 kN/m이고 자연상태에서의 길이는 240mm라 한다. 몇 kN/m2의 압력에 밸브가 열리겠는가?(2012년 03월)

    

     1.
     2. π×104
     3. π×102
     4.

     정답 : []
     정답률 : 35%

12. 양단이 고정된 축을 그림과 같이 m-n 단면에서 T만큼 비틀면 고정단 AB에서 생기는 저항 비틀림 모멘트의 비 TA/TB는?(201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TA=T*a/(a+b)
TB=T*b/(a+b) 로 계산하면 됨
[해설작성자 : 잇찡]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틀렸습니다. T_a = T*b/(a+b) T_b = T*a/(a+b) 로 돼서 b/a 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A점과 B점에서 비틀림각이 같습니다.

θ_A=θ_B 이므로
T_A*a/G*I_p = T_B*b/G*I_p 에서
T_A/T_B=b/a 가 나옵니다. 답은 2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쿠마]

[오류신고 반론]
A점과 B점의 비틀림각이 같은 것이 아니라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지점의 비틀림각이 같습니다.
A점과 B점은 비틀림각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나무로치면죽빵]

[오류신고 반론]
정답 2번임.
Ta = T*b/(a+b)
Tb = T*a/(a+b)
Ta/Tb=b/a 맞음.

비틀림각 같은걸로 풀어도 2번임

+다른 교재에는 정답 2번이라고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힘찬기상킥]

13. 길이 L인 봉 AB가 그 양단에 고정된 두 개의 연직강선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수평으로 매달려 있다. 봉 AB의 자중은 무시하고, 봉이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연직하중 P의 작용점까지의 거리 x는? (단, 강선들은 단면적은 같지만 A단의 강선은 탄성계수 E1, 길이 ℓ1, B단의 강선은 탄성계수 E2, 길이 ℓ2이다.)(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수평을 유지한다 => 변형량이 같다
PA = (L-x)/L * P
PB = x/L * P
변형량은 같다 => (PA*l1)/(A*E1) = (PB*l2)/(A*E2)
PA, PB를 위 식에 대입하면 x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점수가안올라]

14. 그림에서 784.8N과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힘 F1과 F2는?(2013년 03월)

    

     1. F1 = 395.2N, F2 = 632.4N
     2. F1 = 632.4N, F2 = 395.2N
     3. F1 = 790.4N, F2 = 632.4N
     4. F1 = 790.4N, F2 = 395.2N

     정답 : []
     정답률 : 58%

15. 그림과 같은 일단고정 타단지지보의 중앙에 P=4800N의 하중이 작용하면 지지점의 반력(RB)은 약 몇 kN인가?(2021년 03월)

    

     1. 3.2
     2. 2.6
     3. 1.5
     4. 1.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처짐 공식:
5pl^3/48EI=Rb×L^3/3EI​
이를 정리하여 힘의 관계를 유도하면:
5/16×p= Rb
[해설작성자 : 섭]

16. 허용인장강도가 400MPa 인 연강봉에 30 kN의 축방향 인장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 강봉의 지름은 약 몇 cm 인가? (단, 안전율은 5 이다.)(2021년 05월)
     1. 2.69
     2. 2.93
     3. 2.19
     4. 3.33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응력 = 허용인장강도 / 안전율 = 400000000 / 5 = 80[Mpa]
응력 = 힘 / 면적 = 4F/pi*d^2
여기서 d = sqrt(4F/pi*응력) = sqrt{(4*30000)/(pi*80000000)} = 0.02185[m] = 2.19[cm]
[해설작성자 : 설명충]

17. 두 변의 길이가 각각 b, h인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 점에 관한 극관성 모멘트는?(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x, y축에 대하여 각각2차단면모멘트 구한후 극관성모멘트 구하면 1번. 평행축정리를 이용하세요.
[해설작성자 : 평행축정리를 써라]

18. 그림과 같은 형태로 분포하중을 받고 있는 단순지지보가 있다. 지지점 A에서의 반력 RA는 얼마인가? (단, 분포하중 이다.)(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1%

19. 그림과 같은 평면 응력 상태에서 최대 주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σx = 500 MPa, σy = -300 MPa, τxy = -300 MPa 이다.)(2019년 04월)

    

     1. 500
     2. 600
     3. 700
     4. 8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모어의 원
모어원의 중심
σ_avg=1/2*(σ_x+σ_y)
         =1/2*(500-300)
         =100
모어원의 반경
R=√((1/2*(σ_x-σ_y))^2+τ_xy^2)
=√((1/2*(500+300))^2+300^2)
=500

최대 주응력
σ_max=σ_avg+R
         =100+500
         =600MPa
[해설작성자 : 알과카]

20. 지름이 0.1m이고 길이가 15m인 양단힌지인 원형강 장주의 좌굴임계하중은 약 몇 kN인가? (단, 장주의 탄성계수는 200GPa이다.)(2018년 04월)
     1. 43
     2. 55
     3. 67
     4. 79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임계하중(Pcr)=nπ2E×I/L2공식으로 푼다. 여기서 양단힌지 이므로 n=1이된다.
[해설작성자 : 잇찡]

2과목 : 기계열역학


21. 단열된 노즐에 유체가 10m/s의 속도로 들어와서 200m/s의 속도로 가속되어 나간다. 출구에서의 엔탈피가 2770 kJ/kg일 때 입구에서의 엔탈피는 약 몇 kJ/kg인가?(2020년 08월)
     1. 4370
     2. 4210
     3. 2850
     4. 279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노즐에너지방정식
(h1-h2) = (v2^2-v1^2)/2*1000
→ h1 = 2770+(200^2-10^2)/2000 = 2789.95 ↔ 2790
즉, 2790[kJ/kg]
[해설작성자 : 유우웅]

22. 그림과 같이 A, B 두 종류의 기체가 한 용기 안에서 박막으로 분리되어 있다. A의 체적은 0.1m3, 질량은 2kg이고, B의 체적은 0.4m3, 밀도는 1kg/m3이다. 박막이 파열되고 난 후에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 혼합물의 밀도(kg/m3)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4.8
     2. 6.0
     3. 7.2
     4. 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단위를 보면 쉬움.
밀도(kg/m^3) = m/V(질량/부피)
A : 2kg
B : 0.4 m^3* 1 kg/m^3 = 0.4 kg
전체 밀도 : 2.4 kg / 0.5 m^3 = 4.8 kg/m^3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23. 초기온도와 압력이 50℃, 600kPa인 단위 중량의 질소가 100kPa까지 가역 단열팽창 하였다. 이 때 온도는 몇 K 인가? (단, 비열비 k=1.4 이다.)(2004년 03월)
     1. 194
     2. 294
     3. 467
     4. 539

     정답 : []
     정답률 : 33%

24. 전류 25A, 전압 13V를 가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있다. 충전하는 동안 축전지로부터 15W의 열손실이 있다. 축전지의 내부에너지 변화율은 약 몇 W 인가?(2020년 08월)
     1. 310
     2. 340
     3. 370
     4. 42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Q = △U + W = △U + IV 에서 -15 = △U -25*13
따라서 △U = 310[W]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25. 어떤 이상기체 1kg이 압력 100kPa, 온도 30℃의 상태에서 체적 0.8m3을 점유한다면 기체상수(kJ/kgㆍK)는 얼마인가?(2020년 09월)
     1. 0.251
     2. 0.264
     3. 0.275
     4. 0.293

     정답 : []
     정답률 : 74%

26. 비열비가 k인 이상기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정압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시스템에 한 일이 W, 시스템에 전달된 열이 Q일 때, W/Q는 얼마인가? (단, 비열은 일정하다.)(2016년 05월)
     1. k
     2.
     3.
     4.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정압과정이므로 P=C 즉 dp=0
W= p(v_2-v_1)=mR(T_2-T_1)
Q= mc_P(T_2-T_1) C_P=KR/K-1
따라서 W/Q = K-1/K
[해설작성자 : 민뀨쓰]

27. 다음 열과 일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과정에서 열과 일은 모두 경로에 무관하다.
     2. Watt(W)는 열의 단위이다.
     3. 열역학 제1법칙은 열과 일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4. 사이클에서 시스템의 열전달 양은 곧 시스템이 수행한 일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44%

28. 체적 0.5m3의 용기에 액체상태와 증기상태의 물 2kg이 들어있으며, 압력 0.5MPa에서 평형을 이루고 있다. 용기 내의 액체상태 물의 질량은? (단, 0.5MPa에서 수증기 포화액의 비체 적은 0.001093m3/kg,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0.3749m3/kg이다.)(2002년 05월)
     1. 0.3788kg
     2. 1.6659kg
     3. 1.3318kg
     4. 0.6682kg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총 2kg의 물이 들어가 있다고 했으므로

액체를 A kg라고 가정한다면 증기는 (2-A)kg 이다.

비체적 x 중량 = 체적이므로

0.001093 * A + 0.3749 * (2-A) = 0.5m^3

A=0.6682kg

Solve 기능을 이용하면 쉽다.
[해설작성자 : 황제곰팡이]

29. 준평형 정적과정을 거치는 시스템에 대한 열 전달량은? (단,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무시한다.)(2020년 06월)
     1. 0이다.
     2. 이루어진 일량과 같다.
     3. 엔탈피 변화향과 같다.
     4. 내부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U = Q + W (정적과정 : W=0)
따라서 U=Q
[해설작성자 : 보충설명]

30. 그림과 같이 작동하는 냉동사이클(압력(P) - 엔탈피(h) 선도)에서 h1 = h4 = 98 kJ/kg, h2 = 246kJ/kg, h3 = 298kJ/kg 일 때 이 냉동사이클의 성능계수(COP)는 약 얼마인가?(2022년 04월)

    

     1. 4.95
     2. 3.85
     3. 2.85
     4. 1.9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성능계수(COP)=Q/W=(h2-h1)/(h3-h2)=2.846....
                                                                 =2.85
[해설작성자 : 유이]

31. 0℃ 얼음 1kg이 열을 받아서 100℃ 수증기가 되었다면,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 인가? (단, 얼음의 융해열은 336 kJ/kg이고, 물의 기화열은 2264 kJ/kg이며, 물의 정압비열은 4.186 kJ/(kg·K) 이다.)(2022년 04월)
     1. 8.6
     2. 10.2
     3. 12.8
     4. 14.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온도가 일정할 때 ΔS=ΔQ/T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때 ΔS=m*c*ln(Tf/Ti)
336/273 + 2264/373 + 1*4.186*ln(373/273) = 8.6
[해설작성자 : 택]

과정 1-2) 얼음 (T1 = 273K) -> 물 (T2 = 273K)
T dS = dQ
∫T dS = ∫dQ = ∫m dq , T = Const
(273K)(S12) = (m)(q12) = (1kg)(336kJ/kg)
S12 = 1.231KJ/K

과정 2-3) 물 (T2 = 273K) -> 물 (T3 = 273K)
물은 비압축성유체 dv ≈ 0, C=Cₚ=Cᵥ
dq = du + P dv = du = Cᵥ dT = Cₚ dT = C dT
T dS = dQ = m dq = mC dT
T dS = mC dT
∫dS = ∫(m)(C)(1/T) dT
S2₋3 = m·Cₚ·ln( T3/ T2) = (1kg)·4.186kJ/(kg·K)·ln(373K/273K) = 1.31KJ/K

과정 3-4) 물 (T3 = 373K) -> 수증기 (T4 = 373K)
T dS = dQ
∫T dS = ∫dQ = ∫m dq , T = Const
(373K)(S34) = (m)(q34) = (1kg)(2264kJ/kg)
S34 = 6.07kJ/K

ΔS = S12 + S23 + S34
ΔS = 8.6kJ/K
[해설작성자 : 해설해주세요]

32. 압력 5 kPa, 체적이 0.3 m3인 기체가 일정한 압력 하에서 압축되어 0.2 m3로 되었을 때 이 기체가 한 일은? (단, + 는 외부로 기체가 일을 한 경우이고, - 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2013년 03월)
     1. 500 J
     2. -500 J
     3. 1000 J
     4. -1000 J

     정답 : []
     정답률 : 52%

33. 물 2kg을 20℃에서 60℃가 될때까지 가열할 경우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몇 kJ/K 인가? 9단, 물의 비열은 4.184 kJ/kgㆍK이고, 온도 변화과정에서 체적은 거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한다.)(2016년 03월)
     1. 0.78
     2. 1.07
     3. 1.45
     4. 1.9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엔트로피=mc×ln(T2/T1)    m:질량 c:비열
[해설작성자 : 잇찡]

34.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다음 중 열역학 제2법칙과 관계되는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3월)
     1. 열을 일로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열효율이 100 %인 열기관을 만들 수 없다.
     3. 열은 저온 물체로부터 고온 물체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4. 입력되는 일 없이 작용하는 냉동기를 만들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역학 제 1법칙
-열과 일은 서로변화 가능(가역의 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열은 일로 변환이 가능하지만 일은 열로 변환이 불가능하다(비가역의 법칙)
[해설작성자 : 잇찡]

35. 온도가 150℃인 공기 3kg이 정압 냉각되어 엔트로피가 1.063kJ/K 만큼 감소되었다. 이때 방출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 이다.)(2016년 05월)
     1. 27
     2. 379
     3. 538
     4. 715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S=Cm*ln(T2/T1)
-1.063=1.01*3*(T2/(273+150)
T2=297.84K

Q=mCp(T2-T1)
1.01*(297.84-423)
=-379KJ
[해설작성자 : 유이]

36. 열병합발전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11년 03월)
     1. 증기 동력 시스템에서 전기와 함께 공정용 또는 난방용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2. 증기 동력 사이클 상부에 고온에서 작동하는 수은 동력 사이클을 결합한 시스템이다.
     3. 가스 터빈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증기 동력 사이클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4. 한 단의 재열 사이클과 여러 단의 재생사이클을 복합한 시스템이다.

     정답 : []
     정답률 : 34%

37. 흑체의 온도가 20℃에서 80℃로 되었다면 방사하는 복사에너지는 약 몇 배가 되는가?(2008년 05월)
     1. 4
     2. 5
     3. 1.2
     4. 2.1

     정답 : []
     정답률 : 36%

38. 27kPa의 압력차는 수은주로 어느 정도 높이가 되겠는가? (단, 수은의 밀도는 13590kg/m3이다.)(2014년 09월)
     1. 약 158mm
     2. 약 203mm
     3. 약 265mm
     4. 약 557mm

     정답 : []
     정답률 : 69%

39. 25℃, 0.1MPa의 탄소와 산소가 완전 연소하는 비율로 들어 와서 완전 연소한 후 25℃, 0.1MPa 상태로 내보내는 연소실에서 탄소 1kmol 당 393.522kJ의 열이 발생한다. 이 연소실 에 탄소 2kg이 들어갈 때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량은?(2002년 05월)
     1. 32,793.5kJ
     2. 65,587kJ
     3. 393,522kJ
     4. 787,044kJ

     정답 : []
     정답률 : 20%

40. 이상기체에 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Cp , Cv는 저압 및 정적 비열, k는 비열비이고, R은 기체 상수이다.)(2018년 04월)
     1. Cp=Cv-R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3과목 : 기계유체역학


41. 길이 20m의 매끈한 원관에 비중 0.8의 유체가 평균속도 0.3m/s로 흐를 때, 압력손실은 약 얼마인가? (단, 원관의 안지름은 50mm, 점성계수는 8x10-3 Pa • s 이다.)(2015년 05월)
     1. 613Pa
     2. 734Pa
     3. 1235Pa
     4. 1440Pa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량Q=(파이x(D^4)x압력손실)/(128x점성계수x관의 길이)=평균속도x단면적' 임을 이용
[해설작성자 : ㅇㅈ]

42. 그림과 같이 45° 꺾어진 관에 물이 평균속도 5m/s로 흐른다. 유체의 분출에 의해 지지점 A가 받는 모멘트는 약 몇 Nㆍm인가? (단, 출구 단면적은 10-3m2이다.)(2016년 10월)

    

     1. 3.5
     2. 5
     3. 12.5
     4. 17.7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 = 밀도 * 유량 * 속도 = 밀도 * 면적 * 속도^2 = 1000*10^(-3)*5^2 = 25N
F를 Fx, Fy로 나누어 보면 각각 17.7N
지지점의 모멘트는 Fx*(1+1) - Fy*(1) = 17.7 Nm
[해설작성자 : 점수가안올라]

43. 한 변이 1m인 정육면체 나무토막의 아랫면에 1080N의 납을 매달아 물속에 넣었을 때, 물위로 떠오르는 나무토막의 높이는 몇 cm인가? (단, 나무토막의 비중은 0.45, 납의 비중은 11이고, 나무토막의 밑면은 수평을 유지한다.)(2015년 05월)
     1. 55
     2. 48
     3. 45
     4. 4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일단 나무토막의 무게 W=rV (r알고 V알기때문에 무게구함) 똑같이 납에도 적용 V구함
부력=공기중 무게(나무토막 무게 + 납의 무게)
부력 = r물 * V잠긴나무토막부피 + r물 * V잠긴 납의 부피
납은 완전히 잠김 구하면 V잠긴 나무토막부피가 나옴
위에 떠있는 부피구하는게 문제기 때문에 전체부피에서 나무토막부피를 빼줌
[해설작성자 : 짱짱맨]

44. 펌프로 물을 양수할 때 흡입측에서의 압력이 진공 압력계로 75 mmHg(부압)이다. 이 압력은 절대 압력으로 약 몇 kPa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이고, 대기압은 760 mmHg이다.)(2019년 03월)
     1. 91.3
     2. 10.4
     3. 84.5
     4. 23.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절대압력=대기압+계기압력
             대기압-진공압력    대기압(760mmHg)-진공압(75mmHg)=절대압력(685mmHg)
절대압력(685mmHg)을 수은주에서 파스칼로 변화 시키면 된다
    685mmHg/760mmHg*101.325kPa=91.3258kPa 대략 91.3kPa
[해설작성자 : 잇찡]

45. 공기가 게이지 압력을 2.06 bar의 상태로 지름이 0.15m인 관속을 흐르고 있다. 이 때 대기압은 1.03bar 이고 공기 유속이 4m/s 라면 질량유량(mass flow rate)은 약 몇 kg/s 인가? (단, 공기의 온도는 37℃이고, 기체상수는 287.1 J/(kg·K)이다.)(2022년 04월)
     1. 0.245
     2. 2.17
     3. 0.026
     4. 32.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P=ρRT
질량유량= ρAV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충 설명]
질량유량 m dot=ρAV=PAV/(RT)=P*pi*(d^2)*V/(4RT)
P(abs)=P(gauge)+P(atm)=2.06+1.03=3.09[bar]=3.09*10^5[Pa]
m dot=(3.09*(10^5)*pi*(0.15^2)*4)/(4*281.7*(37+273))=0.2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한 변이 2m인 위가 열려있는 정육면체 통에 물을 가득 담아 수평방향으로 9.8m/s2의 가속도로 잡아당겼을 때 통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은 약 몇 m3인가?(2021년 05월)

    

     1. 8
     2. 4
     3. 2
     4. 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평등가속도 ax를 받는 유체의 상대평형
- 탄젠트 세타(물의 기울기) = 물의 높낮이 차 / 너비 = 수평등가속도 / 중력가속도
    # 물의 높낮이 차 = 수평등가속도 * 너비 / 중력가속도
                                     = 9.8 * 2 / 9.8 = 2 m
    # 정지 시 통안에 남아있는 물의 높이 = 등가속도 운동 중 물의 높낮이 차 / 2 = 1 m

물의 양 = 단면적 * 높이 = 2 * 2 * 1 = 4 m^3
[해설작성자 : 짜보]

47. 공기가 평판 위를 3m/s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선단에서 50cm 떨어진 곳에서의 경계층 두께는? (단, 공기의 동점성계수 v = 16×10-6 m2/s이다.)(2013년 06월)
     1. 0.08 mm
     2. 0.82 mm
     3. 8.2 mm
     4. 82 mm

     정답 : []
     정답률 : 41%

48. 프란틀의 혼합거리(mixing length)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2년 03월)
     1. 전단응력과 무관하다.
     2. 벽에서 0 이다.
     3. 항상 일정하다.
     4. 층류 유동은제를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34%

49. 바람에 수직하게 놓인 지름 40cm의 원판(disk)이 받는 항력은 0.4N이었다. 공기 밀도가 1.2kg/m3이고 항력계수가 1.1이라면 풍속은 몇 m/s인가?(2007년 09월)
     1. 0.8
     2. 1.1
     3. 1.6
     4. 2.2

     정답 : []
     정답률 : 53%

50. 내경 10cm의 원관 속을 0.1m3/s의 물이 흐를 때 관속의 평균 유속은 약 몇 m/s 인가?(2012년 03월)
     1. 0.127
     2. 1.27
     3. 12.7
     4. 127

     정답 : []
     정답률 : 50%

51. 그림과 같이 단면적 A1은 0.4m2, 단면적 A2는 0.1m2인 동일 평면상의 관로에서 물의 유량이 1000L/s일 때 관을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x방향의 힘Fx의 크기는 약 몇 N인가? (단, 단면 1과 2의 높이차는 1.5m이고, 단면 2에서 물은 대기로 방출되며, 곡관의 자체 중량, 곡관 내부 물의 중량 및 곡관에서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2021년 09월)

    

     1. 10159
     2. 15358
     3. 20370
     4. 24018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베르누이로 풀면 됨 p2 = 0이라서 p1구하고
Fx = p1q1cos세타1 + 밀도유량(v1cos세타1 - v2cos세타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다음 중 점성계수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피토관(pitot tube)
     2. 슈리렌법(schlieren method)
     3. 벤투리미터(venturi meter)
     4. 세이볼트법(saybolt method)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피토관 : 유속 측정
2. 슐리렌법 : 투명한 유체 내의 밀도차를 광선을 비스듬히 통과시켜서 촬영하는 방법
3. 벤투리미터 : 관로에서의 유량측정
4. 세이볼트법 : 점성계수 측정

점성계수 측정
1. 낙구식 점도계 : 스토크스 법칙
2. 맥미셸 점도계, 스토머 점도계 : 뉴턴의 점성법칙
3. 으스트발트 점도계, 세이볼트 점도계 : 하겐-포아젤 방정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이상유체 유동에서 원통주위의 순환(circulation)이 없을 때 양력과 항력은 각각 얼마인가? (단, ρ : 밀도, V : 상류 속도, D : 원통의 지름)(2013년 09월)

    

     1. 양력 = ρV2D, 항력 = ρV2D
     2. 양력 = 0, 항력 = ρV2D
     3. 양력 = ρV2D, 항력 = ρV2D
     4. 양력 = 0 , 항력 = 0

     정답 : []
     정답률 : 37%

54. 그림과 같이 비중이 0.83인 기름이 12m/s의 속도로 수직 고정평판에 직각으로 부딪치고 있다. 판에 작용되는 힘 F는 약 몇 N인가?(2021년 05월)

    

     1. 23.5
     2. 28.9
     3. 288.6
     4. 234.7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고정평판 힘 = 밀도 * 유량 * 속도 = 밀도 * 면적 * 속도^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지름이 각각 10cm와 20cm인 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비압축성 유동이라 가정하면 20cm 관속의 평균유속이 2.4m/s일 때 10cm 관내의 평균속도는 약 몇 m/s인가?(2011년 06월)
     1. 0.96
     2. 9.6
     3. 0.7
     4. 7.2

     정답 : []
     정답률 : 49%

56. 지름 0.1mm, 비중 2.3인 작은 모래알이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을 때, 잔잔한 물 속에서 가라앉는 속도는 약 몇 mm/s인가? (단, 물의 점성계수는 1.12×10-3N·s/m2이다.)(2021년 09월)
     1. 6.32
     2. 4.96
     3. 3.17
     4. 2.2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작은 모래알의 무게 = 부력 + 항력
[해설작성자 : 기계공학과 졸업생]

57. 담배연기가 비정상 유동으로 흐를 때 순간적으로 눈에 보이는 담배연기는 다음 중 어떤 것에 해당하는가?(2020년 06월)
     1. 유맥선
     2. 유적선
     3. 유선
     4. 유선, 유적선, 유맥선 모두에 해당됨

     정답 : []
     정답률 : 56%

58. 원형 관내를 완전한 층류로 물이 흐를 경우 관마찰계수(f)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상대 조도(ε/D)만의 함수이다.
     2. 마하수(Ma)만의 함수이다.
     3. 오일러수(Eu)만의 함수이다.
     4. 레이놀즈수(Re)만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59. 어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모형을 만들어서 수조 안에서 24.4m/sec의 속도로 끌면서 실험하고 있다. 원형의 속도가 6.1m/sec라면 모형과 원형의 크기 비는 얼마인가?(2002년 05월)
     1. 1:2
     2. 1:4
     3. 1:8
     4. 1:10

     정답 : []
     정답률 : 41%

60. 유체의 체적 탄성계수는?(2003년 08월)
     1. 속도의 차원을 갖는다.
     2. 유체의 점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3. 온도의 차원을 갖는다.
     4. 압력의 차원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4과목 :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61. 특수청동 중 열전대 및 뜨임시효 경화성 합금으로 사용되는 것은?(2013년 03월)
     1. 인청동
     2. 알루미늄청동
     3. 베릴륨청동
     4. 니켈청동

     정답 : []
     정답률 : 38%

62. 다음 중 KS 기호가 STD로 표시되는 강재는?(2011년 06월)
     1. 탄소공구강
     2. 초경공구강
     3. 다이스강
     4. 고속도강

     정답 : []
     정답률 : 52%

63. 강의 표면경화처리에서 질화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내마모성, 내식성이 크다.
     2. 경화증이 얇다.
     3. 경도는 침탄한 것보다 높다.
     4. 침탄법보다 처리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46%

64. 다음 특수강의 목적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내마멸성, 내식성 개선
     2. 고온강도 저하
     3. 절삭성 개선
     4. 담금질성 향상

     정답 : []
     정답률 : 74%

65. Mg-Al계 합금에 소량의 Zn과 Mn을 넣은 합금은?(2019년 03월)
     1. 엘렉트론(elektron) 합금
     2. 스텔라이트(stellite) 합금
     3. 알클래드(alclad) 합금
     4. 자마크(zamak) 합금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엘렉트론 : Mg-Al계 합금에 소량의 Zn과 Mg,Si,Cd, Ca 등을 넣은 합금으로 320~400도씨 온도에서 봉, 관, 형봉, 피스톤 등으로 압축가공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66. 황(S) 성분이 적은 선철을 용해로, 전기로에서 용해한 후 주형에 주입 전 마그네슘, 세륨, 칼슘 등을 첨가시켜 흑연을 구상화한 것은?(2013년 06월)
     1. 황금주철
     2. 구상흑연주철
     3. 칠드주철
     4. 가단주철

     정답 : []
     정답률 : 80%

67. 배빗메탈 이라고도 하는 베어링용 합금인 화이트 메탈의 주요성분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b-W-Sn
     2. Fe-Sn-Cu
     3. Sn-Sb-Cu
     4. Zn-Sn-Cr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베빗메탈 : 주석계 화이트메탈, Sn-Cu-Sb-Zn계 합금
[해설작성자 : ㅇㅇ]

68. 상온에서 탄소강의 현미경 조직으로 탄소가 약 0.8% 인 강의 조직은?(2012년 09월)
     1. 오스테나이트
     2. 펄라이트
     3. 레데뷰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69. 다음 기구 중 오일의 점성을 가장 중요하게 이용한 기구에 해당되는 것은?(2003년 08월)
     1. 유압 잭
     2. 진동 흡수 댐퍼
     3. 베인 모터
     4. 유압 실린더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쇼크 업소버를 생각하면 된다.
쇼크업소버 : 기계적 충격을 점성을 이용하여 완화해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응범]

70. 다음 중 스프링 강의 기호를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2002년 03월)
     1. SCM1
     2. SNCM1
     3. SPS1
     4. SKS1

     정답 : []
     정답률 : 55%

71. 그림과 같은 회로도는 크기가 같은 실린더로 동조 하는 회로이다. 이 동조회로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10월)

    

     1. 2개의 릴리프 밸브를 사용한 동조회로
     2. 2개의 유량제어 밸브를 사용한 동조회로
     3. 2개의 유압모터를 사용한 동조회로
     4. 래크와 피니언을 사용한 동조회로

     정답 : []
     정답률 : 66%

72. 다음은 유압 변위단계 선도(도표)이다. 이 선도에서 시스템의 동작순서가 옳은 것은?(단, + : 실린더의 전진, - : 실린더의 후진을 나타낸다.)(2011년 10월)

    

     1. A+B+B- A-
     2. A-B-B+A+
     3. B+A+A-B-
     4. B-A-A+B+

     정답 : []
     정답률 : 69%

73. 작동유의 점성에 관계없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정범위가 크고 미세량도 조정 가능한 밸브는?(2003년 05월)
     1. 서보 밸브(servo valve)
     2. 체크 밸브(check valve)
     3. 교축 밸브(throttle valve)
     4. 안전 밸브(safety valve)

     정답 : []
     정답률 : 49%

74. 크래킹 압력(cracking pressur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9월)
     1. 파일럿 관로에 작용시키는 압력
     2. 압력 제어 밸브 등에서 조절되는 압력
     3.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등에서 압력이 상승하고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어느 일정한 흐름의 양이 인정되는 압력
     4.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등의 입구 쪽 압력이 강하하고, 밸브가 닫히기 시작하여 밸브의 누설량이 어느 규정의 양까지 감소했을 때의 압력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크래킹 압력 :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고 어떤 일정한 흐름의 양이 확인되는 압력
4번은 리시트 압력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Engineers Help]

75. 유압펌프에 있어서 체적효율이 90%이고 기계효율이 80%일 때 유압펌프의 전효율은?(2018년 09월)
     1. 90%
     2. 88.8%
     3. 72%
     4. 23.7%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효율=(체적효율)*(기계효율)
[해설작성자 : 슈퍼문 재앙설]

76. 축압기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중추형 축압기 안에 유압유 압력은 항상 일정하다.
     2. 스프링 내장형 축압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가격이 저렴하다.
     3. 피스톤형 가스 충진 축압기의 경우 사용 온도범위가 블래더형에 비하여 넓다.
     4. 다이어프램 충진 축압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다이어프램형 : 구형각의 용기를 사용, 소형고압용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77. 부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압(back pressure)을 부여하는 밸브는?(2013년 06월)
     1. 카운터 밸런스 밸브(counter balance valve)
     2.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 무부하 밸브(unleading valve)
     4.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정답 : []
     정답률 : 74%

78. 베임 펌프의 1회전당 유량이 40cc일 때, 1분당 이론 토출유량이 25리터 이면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단, 내부누설량과 흡입저항은 무시한다.)(2016년 10월)
     1. 62
     2. 625
     3. 125
     4. 74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Q = qN 에서
N = Q/g = (25 x 10^(-3)) / (40 x 10^(-6)) = 625RPM
[해설작성자 : 테오]

79. 다음 그림은 유압 도면 기호에서 무슨 밸브를 나타낸 것인가?(2004년 05월)

    

     1. 릴리프 밸브
     2. 무부하 밸브
     3. 시퀀스 밸브
     4. 감압 밸브

     정답 : []
     정답률 : 48%

80. 유압작동유의 구비 조건으로 부적당한 것은?(2008년 05월)
     1. 비압축성일 것
     2. 큰 점도를 가질 것
     3. 온도에 대해 점도변화가 작을 것
     4. 열전달율이 높을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질량 20kg의 기계가 스프링상수 10kN/m인 스프링 위에 지지되어 있다. 100N의 조화 가진력이 기계에 작용할 때 공진 진폭은 약 몇 cm인가? (단, 감쇠계수는 6kNㆍs/m 이다.)(2017년 03월)
     1. 0.75
     2. 7.5
     3. 0.0075
     4. 0.075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공진진폭(X)=조화 가진력/감쇠계수*고유진동수
계산식 : 100N/(6*10^3N*s/m*(10*10^3N/m / 20kg)^(1/2))=0.00075m=0.075cm
[해설작성자 : KRSanya]

82. 다음 중 박스 지그(box jig)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우는?(2007년 09월)
     1. 밀링머신에서 헬리컬기어를 가공하는 경우
     2. 선반에서 테이퍼를 가공하는 경우
     3. 드릴링에서 다량생산하는 경우
     4. 내면 연삭가공을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4%

83. 그림과 같이 길이(L)이 2.4m이고, 반지름(a)이 0.4m인 원통이 있다. 이 원통의 질량이 150kg일 때, 중심에서 y축 방향에 대한 질량관성모멘트(Iy)는 약 몇 kg·m2 인가?(2021년 05월)

    

     1. 12
     2. 36
     3. 78
     4. 12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I = (m/4 * R^2) + (m/12 * L^2)
[해설작성자 : 짜보]

84. 강판의 두께가 2㎜, 최대 전단 응력이 45㎏f/mm2인 재료에 지름이 24㎜인 구멍을 뚫을 때 펀치에 작용되어야 하는 힘은?(2007년 03월)
     1. 약 4568㎏f
     2. 약 5279㎏f
     3. 약 6786㎏f
     4. 약 7367㎏f

     정답 : []
     정답률 : 52%

85. 반지름이 1m인 바퀴가 60rpm 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굴러갈 때 바퀴의 운동에너지는 약 몇 J인가? (단, 바퀴의 질량은 10kg이고 바퀴는 얇은 두께의 원판형상이다.)(2021년 05월)
     1. 296
     2. 245
     3. 198
     4. 164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굴러가는 바퀴의 운동에너지 = 원중심 운동에너지 + 회전에너지
                                                     = 1/2 * m * v^2         + 1/2 * I * w^2
굴러가는 각속도 w = 2 pi * ( 60 rpm / 60 s ) = 2 pi (rad/s)
원중심속도 v = w * r = 2 pi * 1 (m) = 2 pi (m/s)
얇은 두께의 원판의 관성모멘트 I = 1/2 * m * r^2
다 대입하면 E = 1/2 * 10 * (2 pi)^2 + 1/2 * (1/2 * 10 * 1^2) * (2 pi)^2 = 296.088 J
[해설작성자 : navyplay]

86. 질량 30kg의 물체를 담은 두레박 B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A에 6m 길이의 줄에 의해 수직으로 매달려 이동하고 있다.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던 크레인이 갑자기 정지하자, 두레박 B가 수평으로 3m까지 흔들렸다. 크레인 A의 이동 속도력은 약 몇 m/s인가?(2020년 09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B점의 운동E = B'점에서 위치E
(왜냐하면 B점의 위치E = 0, B'점의 운동E = 0)

1/2mv2 = mgh

여기서, h는 삼각형을 그려 전체 길이 6에서 B'의 까지의 높이를 빼주면 6-3√3이 나온다.

v = √(2gh) = √(2x9.8x(6-3√3)) = 약 3.97m = 4m
[해설작성자 : 테오]

87. 지름 4mm의 가는 봉재를 선재인발(wire drawing)하여 3.5mm가 되었다면 단면 감소율은?(2012년 03월)
     1. 23.4%
     2. 14.2%
     3. 12.5%
     4. 5.7%

     정답 : []
     정답률 : 27%

88. 강재의 경화처리 방법 중 표면 경화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고주파 경화법
     2. 가스 침탄법
     3. 시멘테이션
     4. 파텐팅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시멘테이션 = 금속침투법 : 크로마이징, 칼로마이징등
파텐팅 : 열욕담금질, 소르바이트조직을 얻음
[해설작성자 : PGT]

89. NC 서보기구(servo system)의 형식을 피드백장치의 유무와 검출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그 형식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반개방 회로 방식
     2. 개방 회로 방식
     3. 반폐쇄 회로 방식
     4. 폐쇄 회로 방식

     정답 : []
     정답률 : 25%

90.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2004년 03월)
     1. 드릴링(Drilling)
     2. 보링 (Boring)
     3. 리밍(Reaming)
     4. 호우닝 (Honing)

     정답 : []
     정답률 : 15%

91.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해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면에 가공경화된 잔류 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숏피닝은 표면에 가공경화를 주는 표면가공법이므로 열간가공이 아닌 냉간가공이다.
[해설작성자 : 착한살인자]

숏피닝 타문제집에는 두꺼운 재료에 효과가 좋다고 나옴.얇은 공작물의 경우 찢어질 가능성 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얇은 공작물이면 찢어질수있고 두꺼운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1번 오류인거같네요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92. 질량 100kg의 상자가 15°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내려간다. 점 B에서의 속도가 4 m/s였다면, 점 A에서의 속도는? (단, 중력가속도는 9.81m/s2, 운동마찰계수는0.3 이다.)(2012년 05월)

    

     1. 2 m/s
     2. 3.15 m/s
     3. 4.7 m/s
     4. 9 m/s

     정답 : []
     정답률 : 36%

93. 그림과 같이 일단이 수직으로 매달려서 진자와 같이 한평면 내에서 진동하는 가늘고 긴 막대의 고유 주기는? (단, 막대의 질량은 m 이고 길이는 L이다.)(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94. 테르밋 용접(thermit welding)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전력 소모가 크다.
     2. 용접시간이 비교적 짧다.
     3. 용접작업 후의 변형이 작다.
     4. 용접 작업장소의 이동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테르밋 용접은 전력이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3706]

테르밋 용접: 산화철과 알루미늄 분말의 반응열을 발생시켜 접합
- 두꺼운 판과 레일 접합에 용이
[해설작성자 : 5식]

95. 전단가공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비딩(beading)
     2. 펀칭(punching)
     3. 트리밍(trmming)
     4. 블랭킹(blacking)

     정답 : []
     정답률 : 56%

96. 다음 1자유도 진동계의 임계 감쇠는 몇 N · s/m인가?(2012년 09월)

    

     1. 80
     2. 400
     3. 8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임계감쇠계수 = Ccr = 2√(mk) = 800
[해설작성자 : 혀나공주]

97. 그림과 같이 줄의 길이 L, 질량 m인 공을 1의 위치에서 놓을 때, 2의 위치까지 공이 오려면 최초의 위치각 α는 몇 도이면 되는가? (단, 마찰력, 공기저항, 줄의 질량은 무시한다.)(2013년 03월)

    

     1. 30도
     2. 45도
     3. 60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27%

98. 직경 600mm인 플라이휠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플라이휠의 원주상의 점 P의 가속도가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a = -1.8i - 4.8j"라면 이 순간 플라이휠의 각가속도 a는 얼마인가? (단, i, j 는 각각 x, y 방향의 단위벡터이다.)(2015년 05월)

    

     1. 3rad/s2
     2. 4rad/s2
     3. 5rad/s2
     4. 6rad/s2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가속도 a가 -1.8i -4.8j라고 했으니까 접선가속도 At=-1.8 법선가속도 An=-4.8
문제에서 각가속도 알파를 구하라 했으니 At= r*알파
[해설작성자 : 짱짱맨]

99. 그림과 같은 비틀림계의 유효비틀림강성은 얼마인가?(2002년 05월)

    

     1. K1+K2
     2. 1/K1+1/K2
     3. K1K2/K1+K1
     4. K2/K1

     정답 : []
     정답률 : 30%

100. 그림에서 질량 100kg의 물체 A와 수평면 사이의 마찰계수는 0.3이며 물체 B의 질량은 30kg이다. 힘 Py=15t2이다. t=0sec에서 물체 A가 오른쪽으로 2.0m/s로 운동을 시작한다면 t=5sec일 때 이 물체의 속도는 약 몇 m/s인가?(2008년 05월)

    

     1. 6.81
     2. 6.92
     3. 7.31
     4. 7.54

     정답 : []
     정답률 : 2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56110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22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7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21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20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6378667)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8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7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0
6816 소방공무원(공개) 수학(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775966)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4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79372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1 T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477452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10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9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622714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84892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5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804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561107)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1 Next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