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32285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극에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2.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3. 중위도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한다.
     4. 중위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중력은 적도에 가까울수록 감소하고, 극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측지원점(Geodetic Datum)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타원체의 적도반경, 편평률, 그리고 타원체의 단축과 회전축이 평행하다는 세가지 조건외에 다른 조건이 더 필요하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지오이드고
     2. 기준 방위각
     3. 수직선 편차
     4. 표준 중력

     정답 : []
     정답률 : 86%

3. GIS에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2013년 09월)
     1.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2. 수신기 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3. 시계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4. 다중 반사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8%

4. 다음 VLBI(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에 관한 설명로 알맞는 것은?(2004년 03월)
     1. VLBI의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수십 km이내의 범위에서만 직접 측정이 유효하다.
     2. VLBI은 반사경이 부착된 위성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위상차로 위치를 결정한다.
     3. VLBI는 전파의 간섭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지분야에 응용하고 있다.
     4. VLBI의 실용화는 기하측지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6년 09월)
     1. 방위각은 자오선의 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잰 각이다.
     2. 세계시(universal time)는 경도 0도를 표준 자오선으로 정한 시각이다.
     3. 지오이드는 평균해수면을 육지 내부까지 연장한 가상곡면으로 엄격히 말하면 요철이 있는 곡면이다.
     4.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 내각과 180° 와의 차이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6. GPS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재원과 관계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P 코드
     2. C/A 코드
     3. L1 반송파
     4. E1 신호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GPS신호체계
1. 반송파 - L1, L2
2. 코드 - P-Code, C/A code
[해설작성자 : 체리쥬비레]

7.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도 투영법은?(2021년 03월)
     1. TM(Trasverse Mercator) 투영
     2. 람베르트 정각원추 투영
     3. 카시니 투영
     4. 심사 투영

     정답 : []
     정답률 : 88%

8.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3월)
     1. 표고
     2. 정표고
     3. 타원체고
     4. 지오이드고

     정답 : []
     정답률 : 72%

9. 지구타원체면 상에서의 중력이 있어, 그 점의 위도가 적도에 가까울수록 중력은?(2008년 09월)
     1.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3.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4.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10. GNSS를 이용한 단독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GNSS 수신기 한 대로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2.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코드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의사거리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4. 우주공간부터 항공, 해상, 해저, 지상, 지하등 어느 곳을 막론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11. 차분(Differencing)을 이용한 GNS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진다.
     2.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진다.
     3.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4.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일차분에 의한 방법은 위성한개와 수신기 두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동일위성에 대한 측정치이므로 위성궤도오차와 위성시계오차가 소거되고,수신기의 시계오차는 소거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예문사]

12.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지구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할 수 있다.
     3. 측지선을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은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13. 기준점 측량과 같이 매우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통 1시간 이상 관측하는 GPS 현장관측방법은?(2015년 05월)
     1. 정지측량(static 관측방법)
     2. 이동측량(kinematic 관측방법)
     3. 신속정지측량(rapid static 관측방법)
     4. RTK(Real Time Kinematic)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정지측량: 높은 정밀도    필요, 두개이상 수신기 이용.
2. 이동측량: 기준점은 고정, 이동국이 이동.
3. 신속정지측량: 정지측량보다 신속하게 관측, 시간 더 짧음, 정밀도는 약간 떨어짐.
4. RTK: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보정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14. 현재 운용중인 GP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신자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C/A
     2. L1
     3. L2
     4. E6

     정답 : []
     정답률 : 88%

15.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코드오차

     정답 : []
     정답률 : 74%

16. 구면삼각형에서 내각의 합이 180°을 넘게 되는데 그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2019년 03월)
     1. 세차
     2. 균시차
     3. 구과량
     4. 연직선편차

     정답 : []
     정답률 : 86%

17. 다음 중 측지학에서 다루는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지구의 형상 결정
     2. 지구의 중력장 결정
     3. 지구상의 임의의 점의 위치 결정
     4. 지구의 화학적 성분 결정

     정답 : []
     정답률 : 74%

18. GPS수신기의 기종은 달라도 수신된 관측자료를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형식(format)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자료 형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3월)
     1. IONEX
     2. RINEX
     3. SINEX
     4. RTCM

     정답 : []
     정답률 : 89%

19. 지구의 자장과 거의 일치하는 쌍극자(막대자석)를 지구 중심에 위치시킬 때 쌍극자의 연장선이 지표와 만나는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천극
     2. 지자기극
     3. 황극
     4. 적도

     정답 : []
     정답률 : 76%

20. 다은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지구의 형상 및 크기 결정
     2. 중력측정
     3. 시각의 결정
     4. 지구내부 물질조사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응용측량


21. 다음 중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서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
     2. 자료조사→수준측량→평면측량→현지조사→유량측량
     3. 현지조사→유량측량→자료조사→평면측량→ 수준측량
     4. 현지조사→자료조사→유량측량→수준측량→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85%

22. 완화곡선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3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곡선에 접한다.
     2. 원곡선과 직선부 사이에 넣는 특수곡선이다.
     3. 종류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등이 있다.
     4. 완화곡선은 편경사(cant)와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23. 하천측량에서 저수위란 1년을 통하여 몇일간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의미하는가?(2012년 05월)
     1. 95일
     2. 135일
     3. 185일
     4. 275일

     정답 : []
     정답률 : 75%

24. 완화곡선에 사용하는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곡선이다.
     2. 클로소이드의 요소는 모두 무차원이다.
     3. 클로소이드의 종점 좌표(x, y)는 그 점의 접선각(r)의 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4. 클로소이드 곡선길이(L)와 곡선의 반지름(R), 매개변수(A)는 R×L=A2의 관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7%

25. 터널 내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중심말뚝으로 차량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은?(2017년 03월)
     1. 스터럽(stirrup)
     2. 다보(dowel)
     3. 쇼란(shoran)
     4. 양수표(water gauge)

     정답 : []
     정답률 : 78%

26.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2014년 05월)
     1. 양단면 평균법
     2. 중앙단면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 : []
     정답률 : 72%

27.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면적을 a:b:c=8:5:2로 면적을 분할하려고 할 때 BP와 QC의 길이는 얼마인가? (단, BC는 300m이다.)(2007년 05월)

    

     1. BP=140m, QC=20m
     2. BP=150m, QC=30m
     3. BP=160m, QC=40m
     4. BP=170m, QC=50m

     정답 : []
     정답률 : 40%

28. 노선의 기점에서 500m인 지점에 교점(I.P.)이 있다. 곡선반지름 R=120m, 교각 I=30°이면 원곡선 시점에서 시단현의 길이와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단, 중심선 간격은 20m이다.)(2020년 06월)
     1. 시단현=7.85m, 편각=1°52‘27“
     2. 시단현=7.85m, 편각=2°54‘02“
     3. 시단현=12.15m, 편각=1°52‘27“
     4. 시단현=12.15m, 편각=2°54‘02“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T.L.=120*tan15°=32.15
B.C.=500-32.15=467.85=No.23+7.85
시단현길이=20-7.85=12.15
시단현편각=1718.87'*12.15/120=2°54'02"
[해설작성자 : Hang9]

29. 운동장 예정부지를 측량한 결과, 10m 격자점의 표고가 그림과 같았다. 계획고를 10m로 할 때, 토량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절토 50m3
     2. 성토 50m3
     3. 절토 75m3
     4. 성토 75m3

     정답 : []
     정답률 : 50%

30. 갱내의 천정에 측점 A, B가 그림과 같이 결정되었다고 할때 두 점의 고저차 H는 얼마인가? (단, 관측 경사거리=100.5m, 수직각=30° 25′ 30″)(2005년 05월)

    

     1. 51.54m
     2. 59.67m
     3. 87.31m
     4. 103.31m

     정답 : []
     정답률 : 61%

31. 각 구간의 평균유속이 표와 같을 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하천의 유량은?(2012년 03월)

    

     1. 4.38m3/sec
     2. 4.83m3/sec
     3. 5.38m3/sec
     4. 5.83m3/sec

     정답 : []
     정답률 : 57%

32. 매개변수(A)=60m의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클로소이드 시점에서 곡선의 길이 40m인 점의 곡선반지름은?(2014년 03월)
     1. 30m
     2. 60m
     3. 90m
     4. 180m

     정답 : []
     정답률 : 75%

33. 터널측량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지상측량(갱외측량)
     2. 지하측량(갱내측량)
     3. 지상ㆍ지하 연결측량
     4. 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62%

34. 단곡선 설치에서 교점 부근에 하천이 있어 그림과 같이 A′, B′를 선정하여 α=38° 34′, β= 45° 46′, = 86.5m를 얻었다면 의 거리는? (단, 곡선의 반지름은 250m 이다.) (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처리 됩니다.)(2013년 06월)

    

     1. 162.14m
     2. 163.14m
     3. 164.14m
     4. 165.14m

     정답 : []
     정답률 : 52%

35.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음향측심 장비로 부터 취득한 수심의 보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음속보정
     2. 조석보정
     3. 흡수보정
     4. 방사보정

     정답 : []
     정답률 : 56%

36.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였을 경우 수심측정값으로 옳은 것은? (단, 수중음속1510m/s, 음파송수신시간 0.2초)(2016년 05월)
     1. 150m
     2. 151m
     3. 300m
     4. 302m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1/2*V*t=1/2*1510*0.2=151m

37. 지하시설물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지표를 굴착하지 않고 매설물의 위치와 심도 등을 측량하는 것이다.
     2. 지표를 굴착하여 매설물의 위치와 심도 등을 확인하는 측량을 의미한다.
     3. 측량장비로는 주로 토털스테이션이나 GPS가 이용된다.
     4. 주로 지하수의 분표 및 유량 등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한 측량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8. 하천의 유수부 횡단면을 5m 간격으로 4개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유수단면적(A)을 구하고 각 구간의 중심연직선 상에서 평균유속(V)을 관측하였다면 전체 유량은? (단, A1=7.6m2, A2=18.0m2, A3=23.3m3, A4=9.5m2, V1=0.5m/s, V2=0.75m/s, V3=0.7m/s, V4=0.6m/s)(2005년 05월)

    

     1. 29.3m3/sec
     2. 39.3m3/sec
     3. 43.7m3/sec
     4. 45.7m3/sec

     정답 : []
     정답률 : 27%

39. 그림과 같이 2중 부자를 이용하여 관측하고자 할 때 평균유속을 직접 관측하기 위해서 수면에 있는 부자와 수중에 있는 부자간의 간격(ℓ)으로 적당한 길이는?(2017년 09월)

    

     1. 수심의 20% 깊이
     2. 수심의 40% 깊이
     3. 수심의 50% 깊이
     4. 수심의 60% 깊이

     정답 : []
     정답률 : 68%

40.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①→⑤→③→②→④→⑥
     2. ①→②→③→④→⑤→⑥
     3. ①→⑤→④→③→②→⑥
     4. ①→②→⑤→④→③→⑥

     정답 : []
     정답률 : 56%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다음 중 상호표정 인자가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κ (카파)
     2. ψ (휘)
     3. ω (오메가)
     4. α (알파)

     정답 : []
     정답률 : 67%

42. 시차(parall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종시차는 주점기선의 차를 반영한다.
     2. 종시차는 물체의 수평위치 차를 반영한다.
     3.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4. 횡시차가 없어야 입체시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예ㅁ사 수험서 부록에 나와있는 과년도 기출문제에는 2번이 정답이라고 나와있다.
해설: 종시차는 대상물 간 수평위치 차이를 반영하며, 종시차가 커지면 입체시를 방해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기사 화이팅]

[오류신고 반론]
구민사 과년도 문제집 입니다.
답은 3번으로 되어있습니다.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해설작성자 : 융복]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예문사 기출문제집 20년09월27일시행 413페이지 42번문제로 정답은 2번으로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사합격]

[오류신고 반론]
종시차는 대상물간 수평위치 차이를 반영하며, 종시차가 커지면 입체시를 방해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내일 합격]

[오류신고 반론]
예문사에서는 3번이 횡시차는 촬영기선을 기준으로 비행방향에 직각인 성분이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등고선 도화시에 언제나 높이값이 큰 편으로부터 움직여 맞추도록 한다.
     2. 도화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 : []
     정답률 : 47%

44. 사진의 크기와 촬영고도가 같을 경우, 초점거리 150㎜의 광각카메라에 의한 촬영지역의 면적은 초점거리 210㎜의 보통각 카메라에 의한 촬영지역의 면적의 몇 배가 되는가?(2013년 03월)
     1. 약 1배
     2. 약 2배
     3. 약 2 3 배
     4. 약 3배

     정답 : []
     정답률 : 51%

45. 초점거리 200㎜ 카메라로 평지를 1:12000 축척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 평지보다 비고 400m가 높은 고원이 일부 촬영되었다면 고원에서의 사진축척은?(2013년 06월)
     1. 1:5000
     2. 1:7500
     3. 1:10000
     4. 1:15000

     정답 : []
     정답률 : 60%

46.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 × 23cm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발 2800m의 고도에서 평균고도 해발 100m인 지역을 촬영하였다. 촬영경로의 수가 4이고, 촬영경로당 9매의 사진이 촬영되었으며 종중북도 70%, 횡중북도 35%이었다면 1모델의 유효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유효면적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9월)
     1. 94km2
     2. 107km2
     3. 120km2
     4. 134km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이아니라 3번이 정답임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에서 해설 결과 2번 107km^2가 정답입니다. 3번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구민사 문제집 같은 문제 확인 결과 3번 120KM^2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벡터(Vector)자료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자료구조로 단순화하여 좌표를 통해 실세계의 지형지물을 표현한 자료로 수치지도가 이에 속한다.
     2. 래스터(raster)자료는 균등하게 분할된 격자모델로 최소단위인 호소(pixel) 또는 셀(cell)로 구성된 자료로 항공영상, 위성영상이 대표적이다.
     3. 속성정보는 지도상의 특성이나 질, 지형지물의 관계 등을 문자나 숫자형태로 나타낸 자료로 대장, 보고서 등이 이에 속한다.
     4. 위치정보는 절대위치정보만으로 구성되며 영상이나 지도 위의 점, 선, 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48. 다음 중 사진 판독의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색조, 모양
     2. 과고감, 상호위치 관계
     3. 형상, 음영
     4. 촬영날짜, 촬영고도

     정답 : []
     정답률 : 50%

49. 다음의 사진기준점 측량방법 중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여 조정하는 방법은?(2010년 05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법
     4. 스트립조정법

     정답 : []
     정답률 : 35%

50. <보기>의 지구관측위성에서 취득되는 영상의 공간해상도를 고해상도부터 저해상도 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①-②-③-④
     2. ①-②-④-③
     3. ②-①-③-④
     4. ②-③-④-①

     정답 : []
     정답률 : 65%

51.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조정법
     4. 멀티플렉스법

     정답 : []
     정답률 : 69%

52. 입체도화기에 의해 등고선을 그릴 때 등고선 높이의 오차를 등고선 간격(등거리)의 1/2이하로 하기 위한 측정 시차차의 최대 오차는? (단, 사진축척 1/35000, 카메라의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 중복도 60%, 등고선 간격 5m이다.)(2019년 04월)
     1. 0.15mm
     2. 0.06mm
     3. 0.02mm
     4. 0.04mm

     정답 : []
     정답률 : 29%

53. 공선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지상점, 영상점, 투영 중심이 하나의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이다.
     2. 한 장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진다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영상점에 투영된 지상점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4.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54. 원격탐사의 자료변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오차나 왜곡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센서의 가하학적 특성에 기인한 오차
     2. 인공위성의 크기에 기인한 오차
     3. 플랫폼의 자세에 기인한 오차
     4. 지표의 기복에 기인한 오차

     정답 : []
     정답률 : 72%

55. 사진측량으로 도심지역의 수치지도를 작성할 경우 사진이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고층건물에 의해 발생하는 폐색지역(occlusion area)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2012년 05월)
     1. 촬영고도를 높게 한다.
     2. 촬영고도를 낮게 한다.
     3.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크게한다.
     4.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작게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6. 다음 중 격자 구조의 자료를 압축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Run-length code 기법
     2. Chain code 기법
     3. Quad-tree 기법
     4. Polynomial 기법

     정답 : []
     정답률 : 59%

57. 위성영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해상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3월)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복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위상해상도(topology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 : []
     정답률 : 42%

58. 다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센서를 탑재한 것은?(2018년 09월)
     1. IKONOS
     2. LANDSAT-7
     3. KOMPSAT-1
     4. JERS-1

     정답 : []
     정답률 : 56%

59. 동서 30km, 남북 20km인 대상지역을 초점거리 150mm인 항공측량카메라를 이용하여 비행고도 6000m에서 촬영하였을 때, 입체모델수는? (단, 사진크기는 23cm×23cm, 종중복도 60%, 횡종복도 30%, 촬영은 동서방향으로 한다.)(2020년 06월)
     1. 24
     2. 30
     3. 36
     4. 42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m=0.15/6000=1/40000 , m=40000
종모델수=(30*1000)/(40000*0.23*(1-0.60))=8.152 => 9매
횡모델수=(20*1000)/(40000*0.23*(1-0.30))=3.106 => 4매
9*4=36매
[해설작성자 : Hang9]

60. 축척에 따른 초점거리와 촬영고도가 올바른 것은?(2003년 08월)
     1. 축척(1:5,000)-초점거리(15cm)-촬영고도(1,050m)
     2. 축척(1:10,000)-초점거리(15cm)-촬영고도(2,100m)
     3. 축척(1:15,000)-초점거리(21cm)-촬영고도(3,150m)
     4. 축척(1:20,000)-초점거리(21cm)-촬영고도(3,500m)

     정답 : []
     정답률 : 82%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최근린방법(nearest neighbour method)
     2. 플랙탈 차원(fractal dimenssion)
     3. 망분석 도표이론방법(network and graph theoretic method)
     4. 형상관측(shape measures)

     정답 : []
     정답률 : 67%

62. 지형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3차원 좌표를 취득하여 불규칙한 지형을 기하학적으로 재현하고 수치적으로 해석하므로 경관해석, 노선선정, 택지조성 환경설계 등에 이용되는 것은?(2014년 09월)
     1. 원격탐사
     2. 도시정보체계
     3. 정사사진
     4. 수치지형모델

     정답 : []
     정답률 : 65%

63. ( )안에 알맞은 단어로 짝지어진 것은?(2013년 06월)

    

     1. 국토개발, 지형도
     2. 공간, 지리자료
     3. 지리정보, GPS
     4. 지도제작, 토지정보

     정답 : []
     정답률 : 55%

64. 평판측량을 한 결과 폐합오차가 허용범위내에 들어왔다면 폐합오차의 배분 방법은?(2005년 05월)
     1.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변의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 변에 균등하게 배분한다.
     4. 오차는 출발점으로부터 측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5. 등고선의 기입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투사척도에 의한 기입방법
     2. 작도에 의한 기입방법
     3. 계산에 의한 기입방법
     4. 지적도에 의한 기입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66. GPS 측량에 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3월)
     1. 인공위성의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2. 우천시에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3. 수신점의 높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 2점이상 관측시 수신점간 시통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1%

67. A점(500.00m, 300.00m)과 B점(326.79m, 400.00m) 사이의 BA의 방위각은 약 얼마인가?(2009년 05월)
     1. 150° 00‘00“
     2. 330° 00‘00“
     3. 120° 00’00”
     4. 300° 00‘00“

     정답 : []
     정답률 : 44%

68. 감도 20″인 레벨로 기포 눈금(2㎜)움직인 상태로 60m거리의 표척을 읽었을 때 생기는 오차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약 12㎜
     2. 약 9㎜
     3. 약 8㎜
     4. 약 6㎜

     정답 : []
     정답률 : 13%

69. 지형을 지물과 지모로 분류할 때 지모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3월)
     1. 건물
     2. 하천
     3. 구릉
     4. 시가지

     정답 : []
     정답률 : 43%

70.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2019년 04월)
     1. 면 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 사상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 : []
     정답률 : 66%

71.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할 경우 필요한 자료처리 방법은?(2013년 06월)
     1. 보간법
     2. 일반화 기법
     3. 분류법
     4. 자료압축법

     정답 : []
     정답률 : 73%

72.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성요소 중 전체 구축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항목으로 실세계를 컴퓨터상에 구현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16년 10월)
     1. 네트워크
     2. 데이터베이스
     3. 하드웨어
     4. 소프트웨어

     정답 : []
     정답률 : 71%

73. 공간객체 간의 상호 위치관계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서 다양한 공간객체 간의 인접성(adjacency), 연결성(connectivity), 일치성(coincidence)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경로분석 및 공간분석에 이용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2013년 06월)
     1.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 토폴로지(topology)
     3. 레이어(layer)
     4. 지오메트리(geometry)

     정답 : []
     정답률 : 52%

74.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조작처리 중 중첩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하나의 자료층상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 분석
     2. 둘 이상의 자료층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분석
     3. 특정 위치를 에워싸고 있는 주변 지역의 특성 분석
     4. 일정한 패턴(Pattern)을 구성하는 선형의 특징의 상호연결 분석

     정답 : []
     정답률 : 67%

75. 다음 등고선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등고선은 분기하지 않고 절벽 이외에는 교차하지 않는다.
     2. 동일 등고선 상의 모든 점은 기준면상 같은 높이에 있다.
     3. 등고선은 하천, 호수, 계곡 등에서는 단절되고 도상에서 폐합하는 일이 없다.
     4. 등고선은 최대 경사선에 직각이 되고 부수선 및 계곡선에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6. 규칙적인 셀(cell)의 격자에 의하여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는?(2016년 10월)
     1. 래스터자료구조
     2. 벡터자료구조
     3. 속성자료구조
     4. 필지자료구조

     정답 : []
     정답률 : 81%

77. 지적도(parcels)에서 면적(area, m2)이 100을 초과하는 대지의 소유자(owner)를 알려고 할 때,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SELECT owner FROM area GT 100 WHERE parcels
     2. SELECT area GT 100 FROM owner WHERE parcels
     3. SELECT owner FROM parcels WHERE area > 100
     4. SELECT parcels FROM owner WHERE area > 100

     정답 : []
     정답률 : 71%

78.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 하므로 시스템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2.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조사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4. 중복분석이나 통계분석이 어려워 의사결정수단으로 이용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27%

79. 결합트래버스 측량에 있어서 노선장이 4㎞ 되는 장소에서 폐합비의 제한이 1/500000 일 경우 허용되는 폐합차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25㎝
     2. 1.00㎝
     3. 0.80㎝
     4. 0.60㎝

     정답 : []
     정답률 : 43%

80. 화재나 응급 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간분석방법은?(2021년 03월)
     1. 관망분석
     2. 중첩분석
     3. 버퍼링분석
     4. 근접성분석

     정답 : []
     정답률 : 68%

81. 측량표의 이전(移轉)에 관한 신청의 접수는 누가하는가?(2004년 05월)
     1. 건설교통부장관이 접수한다.
     2.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가 접수한다.
     3.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접수한다.
     4. 관할 경찰서장이 접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2.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그 청산인은 누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가?(2004년 03월)
     1. 행정자치부장관
     2. 시장 또는 군수
     3. 건설교통부장관
     4. 시· 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60%

83.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50%

84. 다각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500m일 때 폐합비를 1/5000로 하기 위한 축척 1:500도면에서의 폐합오차는?(2016년 10월)
     1. 0.1mm
     2. 0.2mm
     3. 0.4mm
     4. 0.6mm

     정답 : []
     정답률 : 50%

85.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면적 또는 지도의 장수)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34%

86. 트래버스측량에 있어서 방위각이 300°일 때 계산된 위거가 50m 이었다면, 측선의 거리는?(2019년 09월)
     1. 25m
     2. 43m
     3. 8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S=50/COS(300도)
[해설작성자 : 데이지]

87. 측량의 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측량의 원점은 직각좌표의 원점과 수준원점으로 한다.
     2.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3.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기본 수준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4. 세계측지계, 측량의 원점 값의 결정 및 직각좌표의 기준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측량의 원점은 경위도 원점과 수준원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오차의 종류 중 확률론과 최소제곱법으로 소거해야 하는 오차는?(2019년 09월)
     1. 과오
     2. 우연오차
     3. 정오차
     4. 기계오차

     정답 : []
     정답률 : 70%

89. 지도의 난외주기에 표시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지도의 도각
     2. 도엽의 명칭
     3. 발행자
     4. 지번

     정답 : []
     정답률 : 38%

90.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 때 P점의 좌표는? (단, Ax= 81.847m, Ay= -30.460m, θAB= 163° 20′ 00″, ∠BAP = 60°, AP = 600.00m)(2015년 03월)

    

     1. Px = -354.577m, Py = -442.205m
     2. Px = -466.884m, Py = -329.898m
     3. Px = -466.884m, Py = -442.205m
     4. Px = -354.577m, Py = -329.898m

     정답 : []
     정답률 : 52%

91. 축척 1:25000인 지형도에서 제한 기울기를 4%로 할 때 등고선 주곡선 간의 수평거리는?(2012년 05월)
     1. 5㎜
     2. 10㎜
     3. 20㎜
     4. 40㎜

     정답 : []
     정답률 : 50%

92. 측량기기의 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성능검사의 방법· 절차 기타 성능검사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한다.
     2. 성능검사는 외관검사, 구조· 기능검사 및 측정검사로 구분하여 행한다.
     3. 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측량기기를 사용하여 측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4. 성능검사의 신청을 하고자 하는자는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당해 측량기기를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93. 수치지도의 보완에 있어서 공공측량계획기관은 당해기관에서 제작한 수치지형도 및 수치주제도에 대하여 몇 년마다 몇회 주기적으로 보와하여야 하는가?(2005년 09월)
     1. 수치지형도 : 1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1년마다 1회이상
     2.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2년마다 1회이상
     3.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4. 수치지형도 : 3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정답 : []
     정답률 : 73%

9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는 그 청산인이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데, 이 때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 : []
     정답률 : 45%

95.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자는 취소된 날로부터 최소 몇 년을 경과하여야만 등록을 할 수 있는가?(2005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4%

96.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측량성과의 명칭ㆍ종류 및 내용
     2. 위치 및 사업량
     3. 작업자 경력
     4. 목적 및 활용범위

     정답 : []
     정답률 : 77%

97. 공공측량시행자가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종류 및 규모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각 건설공사의 종류는 각각의 관련법규에 따른 규정을 충족하는 사업이다.)(2021년 05월)
     1. 도시개발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2. 산업단지개발 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3. 길이 1킬로미터 이상의 도로건설사업
     4.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5킬로미터 이상인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1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아지]

98. “측량성과”의 용어 정의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측량결과물을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2. 측량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사업 목표
     3.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
     4. 측량 외업에 직접 취득한 관측 결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측량성과 :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측량기록 :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법률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거리측정기
     2. 레벨
     3. 금속관로 탐지기
     4. 평판

     정답 : []
     정답률 : 64%

100. 측량기준점표지를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19년 04월)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32285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극에서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2. 적도 지방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3. 중위도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한다.
     4. 중위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중력은 적도에 가까울수록 감소하고, 극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측지원점(Geodetic Datum)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타원체의 적도반경, 편평률, 그리고 타원체의 단축과 회전축이 평행하다는 세가지 조건외에 다른 조건이 더 필요하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지오이드고
     2. 기준 방위각
     3. 수직선 편차
     4. 표준 중력

     정답 : []
     정답률 : 86%

3. GIS에서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2013년 09월)
     1. 전리층의 효과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2. 수신기 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3. 시계오차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4. 다중 반사를 제거(보정)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78%

4. 다음 VLBI(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에 관한 설명로 알맞는 것은?(2004년 03월)
     1. VLBI의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수십 km이내의 범위에서만 직접 측정이 유효하다.
     2. VLBI은 반사경이 부착된 위성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위상차로 위치를 결정한다.
     3. VLBI는 전파의 간섭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지분야에 응용하고 있다.
     4. VLBI의 실용화는 기하측지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6년 09월)
     1. 방위각은 자오선의 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잰 각이다.
     2. 세계시(universal time)는 경도 0도를 표준 자오선으로 정한 시각이다.
     3. 지오이드는 평균해수면을 육지 내부까지 연장한 가상곡면으로 엄격히 말하면 요철이 있는 곡면이다.
     4.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 내각과 180° 와의 차이로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6. GPS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재원과 관계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P 코드
     2. C/A 코드
     3. L1 반송파
     4. E1 신호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GPS신호체계
1. 반송파 - L1, L2
2. 코드 - P-Code, C/A code
[해설작성자 : 체리쥬비레]

7.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도 투영법은?(2021년 03월)
     1. TM(Trasverse Mercator) 투영
     2. 람베르트 정각원추 투영
     3. 카시니 투영
     4. 심사 투영

     정답 : []
     정답률 : 88%

8. 지오이드와 타원체면과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3월)
     1. 표고
     2. 정표고
     3. 타원체고
     4. 지오이드고

     정답 : []
     정답률 : 72%

9. 지구타원체면 상에서의 중력이 있어, 그 점의 위도가 적도에 가까울수록 중력은?(2008년 09월)
     1.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3.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4.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10. GNSS를 이용한 단독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GNSS 수신기 한 대로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2.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코드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의사거리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4. 우주공간부터 항공, 해상, 해저, 지상, 지하등 어느 곳을 막론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11. 차분(Differencing)을 이용한 GNSS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공통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같은 궤도 오차를 가진다.
     2. 하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여러 위성에 대한 관측값은 동일한 수신기 시계오차를 가진다.
     3. 기지점과 미지점간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4. 단일차분에 의해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일차분에 의한 방법은 위성한개와 수신기 두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동일위성에 대한 측정치이므로 위성궤도오차와 위성시계오차가 소거되고,수신기의 시계오차는 소거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예문사]

12. 측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지구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할 수 있다.
     3. 측지선을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은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13. 기준점 측량과 같이 매우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통 1시간 이상 관측하는 GPS 현장관측방법은?(2015년 05월)
     1. 정지측량(static 관측방법)
     2. 이동측량(kinematic 관측방법)
     3. 신속정지측량(rapid static 관측방법)
     4. RTK(Real Time Kinematic)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정지측량: 높은 정밀도    필요, 두개이상 수신기 이용.
2. 이동측량: 기준점은 고정, 이동국이 이동.
3. 신속정지측량: 정지측량보다 신속하게 관측, 시간 더 짧음, 정밀도는 약간 떨어짐.
4. RTK: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보정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14. 현재 운용중인 GP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신자료가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C/A
     2. L1
     3. L2
     4. E6

     정답 : []
     정답률 : 88%

15. GP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코드오차

     정답 : []
     정답률 : 74%

16. 구면삼각형에서 내각의 합이 180°을 넘게 되는데 그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2019년 03월)
     1. 세차
     2. 균시차
     3. 구과량
     4. 연직선편차

     정답 : []
     정답률 : 86%

17. 다음 중 측지학에서 다루는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지구의 형상 결정
     2. 지구의 중력장 결정
     3. 지구상의 임의의 점의 위치 결정
     4. 지구의 화학적 성분 결정

     정답 : []
     정답률 : 74%

18. GPS수신기의 기종은 달라도 수신된 관측자료를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형식(format)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자료 형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3월)
     1. IONEX
     2. RINEX
     3. SINEX
     4. RTCM

     정답 : []
     정답률 : 89%

19. 지구의 자장과 거의 일치하는 쌍극자(막대자석)를 지구 중심에 위치시킬 때 쌍극자의 연장선이 지표와 만나는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천극
     2. 지자기극
     3. 황극
     4. 적도

     정답 : []
     정답률 : 76%

20. 다은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지구의 형상 및 크기 결정
     2. 중력측정
     3. 시각의 결정
     4. 지구내부 물질조사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응용측량


21. 다음 중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서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자료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
     2. 자료조사→수준측량→평면측량→현지조사→유량측량
     3. 현지조사→유량측량→자료조사→평면측량→ 수준측량
     4. 현지조사→자료조사→유량측량→수준측량→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85%

22. 완화곡선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3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곡선에 접한다.
     2. 원곡선과 직선부 사이에 넣는 특수곡선이다.
     3. 종류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등이 있다.
     4. 완화곡선은 편경사(cant)와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23. 하천측량에서 저수위란 1년을 통하여 몇일간이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위를 의미하는가?(2012년 05월)
     1. 95일
     2. 135일
     3. 185일
     4. 275일

     정답 : []
     정답률 : 75%

24. 완화곡선에 사용하는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곡선이다.
     2. 클로소이드의 요소는 모두 무차원이다.
     3. 클로소이드의 종점 좌표(x, y)는 그 점의 접선각(r)의 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4. 클로소이드 곡선길이(L)와 곡선의 반지름(R), 매개변수(A)는 R×L=A2의 관계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7%

25. 터널 내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중심말뚝으로 차량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은?(2017년 03월)
     1. 스터럽(stirrup)
     2. 다보(dowel)
     3. 쇼란(shoran)
     4. 양수표(water gauge)

     정답 : []
     정답률 : 78%

26.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2014년 05월)
     1. 양단면 평균법
     2. 중앙단면법
     3. 등고선법
     4. 점고법

     정답 : []
     정답률 : 72%

27.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면적을 a:b:c=8:5:2로 면적을 분할하려고 할 때 BP와 QC의 길이는 얼마인가? (단, BC는 300m이다.)(2007년 05월)

    

     1. BP=140m, QC=20m
     2. BP=150m, QC=30m
     3. BP=160m, QC=40m
     4. BP=170m, QC=50m

     정답 : []
     정답률 : 40%

28. 노선의 기점에서 500m인 지점에 교점(I.P.)이 있다. 곡선반지름 R=120m, 교각 I=30°이면 원곡선 시점에서 시단현의 길이와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단, 중심선 간격은 20m이다.)(2020년 06월)
     1. 시단현=7.85m, 편각=1°52‘27“
     2. 시단현=7.85m, 편각=2°54‘02“
     3. 시단현=12.15m, 편각=1°52‘27“
     4. 시단현=12.15m, 편각=2°54‘02“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T.L.=120*tan15°=32.15
B.C.=500-32.15=467.85=No.23+7.85
시단현길이=20-7.85=12.15
시단현편각=1718.87'*12.15/120=2°54'02"
[해설작성자 : Hang9]

29. 운동장 예정부지를 측량한 결과, 10m 격자점의 표고가 그림과 같았다. 계획고를 10m로 할 때, 토량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절토 50m3
     2. 성토 50m3
     3. 절토 75m3
     4. 성토 75m3

     정답 : []
     정답률 : 50%

30. 갱내의 천정에 측점 A, B가 그림과 같이 결정되었다고 할때 두 점의 고저차 H는 얼마인가? (단, 관측 경사거리=100.5m, 수직각=30° 25′ 30″)(2005년 05월)

    

     1. 51.54m
     2. 59.67m
     3. 87.31m
     4. 103.31m

     정답 : []
     정답률 : 61%

31. 각 구간의 평균유속이 표와 같을 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하천의 유량은?(2012년 03월)

    

     1. 4.38m3/sec
     2. 4.83m3/sec
     3. 5.38m3/sec
     4. 5.83m3/sec

     정답 : []
     정답률 : 57%

32. 매개변수(A)=60m의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클로소이드 시점에서 곡선의 길이 40m인 점의 곡선반지름은?(2014년 03월)
     1. 30m
     2. 60m
     3. 90m
     4. 180m

     정답 : []
     정답률 : 75%

33. 터널측량을 크게 3부분으로 나눌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지상측량(갱외측량)
     2. 지하측량(갱내측량)
     3. 지상ㆍ지하 연결측량
     4. 평면측량

     정답 : []
     정답률 : 62%

34. 단곡선 설치에서 교점 부근에 하천이 있어 그림과 같이 A′, B′를 선정하여 α=38° 34′, β= 45° 46′, = 86.5m를 얻었다면 의 거리는? (단, 곡선의 반지름은 250m 이다.) (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처리 됩니다.)(2013년 06월)

    

     1. 162.14m
     2. 163.14m
     3. 164.14m
     4. 165.14m

     정답 : []
     정답률 : 52%

35.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음향측심 장비로 부터 취득한 수심의 보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음속보정
     2. 조석보정
     3. 흡수보정
     4. 방사보정

     정답 : []
     정답률 : 56%

36.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였을 경우 수심측정값으로 옳은 것은? (단, 수중음속1510m/s, 음파송수신시간 0.2초)(2016년 05월)
     1. 150m
     2. 151m
     3. 300m
     4. 302m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1/2*V*t=1/2*1510*0.2=151m

37. 지하시설물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지표를 굴착하지 않고 매설물의 위치와 심도 등을 측량하는 것이다.
     2. 지표를 굴착하여 매설물의 위치와 심도 등을 확인하는 측량을 의미한다.
     3. 측량장비로는 주로 토털스테이션이나 GPS가 이용된다.
     4. 주로 지하수의 분표 및 유량 등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한 측량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8. 하천의 유수부 횡단면을 5m 간격으로 4개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유수단면적(A)을 구하고 각 구간의 중심연직선 상에서 평균유속(V)을 관측하였다면 전체 유량은? (단, A1=7.6m2, A2=18.0m2, A3=23.3m3, A4=9.5m2, V1=0.5m/s, V2=0.75m/s, V3=0.7m/s, V4=0.6m/s)(2005년 05월)

    

     1. 29.3m3/sec
     2. 39.3m3/sec
     3. 43.7m3/sec
     4. 45.7m3/sec

     정답 : []
     정답률 : 27%

39. 그림과 같이 2중 부자를 이용하여 관측하고자 할 때 평균유속을 직접 관측하기 위해서 수면에 있는 부자와 수중에 있는 부자간의 간격(ℓ)으로 적당한 길이는?(2017년 09월)

    

     1. 수심의 20% 깊이
     2. 수심의 40% 깊이
     3. 수심의 50% 깊이
     4. 수심의 60% 깊이

     정답 : []
     정답률 : 68%

40.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①→⑤→③→②→④→⑥
     2. ①→②→③→④→⑤→⑥
     3. ①→⑤→④→③→②→⑥
     4. ①→②→⑤→④→③→⑥

     정답 : []
     정답률 : 56%

3과목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다음 중 상호표정 인자가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κ (카파)
     2. ψ (휘)
     3. ω (오메가)
     4. α (알파)

     정답 : []
     정답률 : 67%

42. 시차(parall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종시차는 주점기선의 차를 반영한다.
     2. 종시차는 물체의 수평위치 차를 반영한다.
     3.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4. 횡시차가 없어야 입체시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예ㅁ사 수험서 부록에 나와있는 과년도 기출문제에는 2번이 정답이라고 나와있다.
해설: 종시차는 대상물 간 수평위치 차이를 반영하며, 종시차가 커지면 입체시를 방해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기사 화이팅]

[오류신고 반론]
구민사 과년도 문제집 입니다.
답은 3번으로 되어있습니다.

횡시차는 물체의 고저 차를 반영한다.
[해설작성자 : 융복]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예문사 기출문제집 20년09월27일시행 413페이지 42번문제로 정답은 2번으로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사합격]

[오류신고 반론]
종시차는 대상물간 수평위치 차이를 반영하며, 종시차가 커지면 입체시를 방해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내일 합격]

[오류신고 반론]
예문사에서는 3번이 횡시차는 촬영기선을 기준으로 비행방향에 직각인 성분이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도화작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등고선 도화시에 언제나 높이값이 큰 편으로부터 움직여 맞추도록 한다.
     2. 도화시에 관측은 입체적인 과고감이 가능한 한 큰 상태에서 행하는 편이 높이의 관측정확도가 좋다.
     3. 프리즘의 위치를 가능한 한 작은 과고감이 생기게 배치한다.
     4. 눈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핀트를 정확히 맞춘다.

     정답 : []
     정답률 : 47%

44. 사진의 크기와 촬영고도가 같을 경우, 초점거리 150㎜의 광각카메라에 의한 촬영지역의 면적은 초점거리 210㎜의 보통각 카메라에 의한 촬영지역의 면적의 몇 배가 되는가?(2013년 03월)
     1. 약 1배
     2. 약 2배
     3. 약 2 3 배
     4. 약 3배

     정답 : []
     정답률 : 51%

45. 초점거리 200㎜ 카메라로 평지를 1:12000 축척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에 평지보다 비고 400m가 높은 고원이 일부 촬영되었다면 고원에서의 사진축척은?(2013년 06월)
     1. 1:5000
     2. 1:7500
     3. 1:10000
     4. 1:15000

     정답 : []
     정답률 : 60%

46.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 × 23cm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발 2800m의 고도에서 평균고도 해발 100m인 지역을 촬영하였다. 촬영경로의 수가 4이고, 촬영경로당 9매의 사진이 촬영되었으며 종중북도 70%, 횡중북도 35%이었다면 1모델의 유효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유효면적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9월)
     1. 94km2
     2. 107km2
     3. 120km2
     4. 134km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이아니라 3번이 정답임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문제집에서 해설 결과 2번 107km^2가 정답입니다. 3번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구민사 문제집 같은 문제 확인 결과 3번 120KM^2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벡터(Vector)자료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자료구조로 단순화하여 좌표를 통해 실세계의 지형지물을 표현한 자료로 수치지도가 이에 속한다.
     2. 래스터(raster)자료는 균등하게 분할된 격자모델로 최소단위인 호소(pixel) 또는 셀(cell)로 구성된 자료로 항공영상, 위성영상이 대표적이다.
     3. 속성정보는 지도상의 특성이나 질, 지형지물의 관계 등을 문자나 숫자형태로 나타낸 자료로 대장, 보고서 등이 이에 속한다.
     4. 위치정보는 절대위치정보만으로 구성되며 영상이나 지도 위의 점, 선, 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48. 다음 중 사진 판독의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7년 03월)
     1. 색조, 모양
     2. 과고감, 상호위치 관계
     3. 형상, 음영
     4. 촬영날짜, 촬영고도

     정답 : []
     정답률 : 50%

49. 다음의 사진기준점 측량방법 중 사진을 기본단위로 하여 조정하는 방법은?(2010년 05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법
     4. 스트립조정법

     정답 : []
     정답률 : 35%

50. <보기>의 지구관측위성에서 취득되는 영상의 공간해상도를 고해상도부터 저해상도 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①-②-③-④
     2. ①-②-④-③
     3. ②-①-③-④
     4. ②-③-④-①

     정답 : []
     정답률 : 65%

51. 해석적 항공삼각측량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광속조정법
     2. 독립모형조정법
     3. 다항식조정법
     4. 멀티플렉스법

     정답 : []
     정답률 : 69%

52. 입체도화기에 의해 등고선을 그릴 때 등고선 높이의 오차를 등고선 간격(등거리)의 1/2이하로 하기 위한 측정 시차차의 최대 오차는? (단, 사진축척 1/35000, 카메라의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 중복도 60%, 등고선 간격 5m이다.)(2019년 04월)
     1. 0.15mm
     2. 0.06mm
     3. 0.02mm
     4. 0.04mm

     정답 : []
     정답률 : 29%

53. 공선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지상점, 영상점, 투영 중심이 하나의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이다.
     2. 한 장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진다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영상점에 투영된 지상점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4. 한 장의 사진에서 내부 및 외부표정요소가 주어진다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54. 원격탐사의 자료변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오차나 왜곡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센서의 가하학적 특성에 기인한 오차
     2. 인공위성의 크기에 기인한 오차
     3. 플랫폼의 자세에 기인한 오차
     4. 지표의 기복에 기인한 오차

     정답 : []
     정답률 : 72%

55. 사진측량으로 도심지역의 수치지도를 작성할 경우 사진이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고층건물에 의해 발생하는 폐색지역(occlusion area)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2012년 05월)
     1. 촬영고도를 높게 한다.
     2. 촬영고도를 낮게 한다.
     3.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크게한다.
     4.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사진의 중복도를 작게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6. 다음 중 격자 구조의 자료를 압축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Run-length code 기법
     2. Chain code 기법
     3. Quad-tree 기법
     4. Polynomial 기법

     정답 : []
     정답률 : 59%

57. 위성영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해상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3월)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복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위상해상도(topology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 : []
     정답률 : 42%

58. 다음 중 공간해상도가 가장 좋은 센서를 탑재한 것은?(2018년 09월)
     1. IKONOS
     2. LANDSAT-7
     3. KOMPSAT-1
     4. JERS-1

     정답 : []
     정답률 : 56%

59. 동서 30km, 남북 20km인 대상지역을 초점거리 150mm인 항공측량카메라를 이용하여 비행고도 6000m에서 촬영하였을 때, 입체모델수는? (단, 사진크기는 23cm×23cm, 종중복도 60%, 횡종복도 30%, 촬영은 동서방향으로 한다.)(2020년 06월)
     1. 24
     2. 30
     3. 36
     4. 42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m=0.15/6000=1/40000 , m=40000
종모델수=(30*1000)/(40000*0.23*(1-0.60))=8.152 => 9매
횡모델수=(20*1000)/(40000*0.23*(1-0.30))=3.106 => 4매
9*4=36매
[해설작성자 : Hang9]

60. 축척에 따른 초점거리와 촬영고도가 올바른 것은?(2003년 08월)
     1. 축척(1:5,000)-초점거리(15cm)-촬영고도(1,050m)
     2. 축척(1:10,000)-초점거리(15cm)-촬영고도(2,100m)
     3. 축척(1:15,000)-초점거리(21cm)-촬영고도(3,150m)
     4. 축척(1:20,000)-초점거리(21cm)-촬영고도(3,500m)

     정답 : []
     정답률 : 82%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점 자료에 대한 공간분석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최근린방법(nearest neighbour method)
     2. 플랙탈 차원(fractal dimenssion)
     3. 망분석 도표이론방법(network and graph theoretic method)
     4. 형상관측(shape measures)

     정답 : []
     정답률 : 67%

62. 지형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3차원 좌표를 취득하여 불규칙한 지형을 기하학적으로 재현하고 수치적으로 해석하므로 경관해석, 노선선정, 택지조성 환경설계 등에 이용되는 것은?(2014년 09월)
     1. 원격탐사
     2. 도시정보체계
     3. 정사사진
     4. 수치지형모델

     정답 : []
     정답률 : 65%

63. ( )안에 알맞은 단어로 짝지어진 것은?(2013년 06월)

    

     1. 국토개발, 지형도
     2. 공간, 지리자료
     3. 지리정보, GPS
     4. 지도제작, 토지정보

     정답 : []
     정답률 : 55%

64. 평판측량을 한 결과 폐합오차가 허용범위내에 들어왔다면 폐합오차의 배분 방법은?(2005년 05월)
     1.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변의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 변에 균등하게 배분한다.
     4. 오차는 출발점으로부터 측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5. 등고선의 기입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투사척도에 의한 기입방법
     2. 작도에 의한 기입방법
     3. 계산에 의한 기입방법
     4. 지적도에 의한 기입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66. GPS 측량에 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3월)
     1. 인공위성의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2. 우천시에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3. 수신점의 높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 2점이상 관측시 수신점간 시통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1%

67. A점(500.00m, 300.00m)과 B점(326.79m, 400.00m) 사이의 BA의 방위각은 약 얼마인가?(2009년 05월)
     1. 150° 00‘00“
     2. 330° 00‘00“
     3. 120° 00’00”
     4. 300° 00‘00“

     정답 : []
     정답률 : 44%

68. 감도 20″인 레벨로 기포 눈금(2㎜)움직인 상태로 60m거리의 표척을 읽었을 때 생기는 오차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약 12㎜
     2. 약 9㎜
     3. 약 8㎜
     4. 약 6㎜

     정답 : []
     정답률 : 13%

69. 지형을 지물과 지모로 분류할 때 지모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3월)
     1. 건물
     2. 하천
     3. 구릉
     4. 시가지

     정답 : []
     정답률 : 43%

70.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2019년 04월)
     1. 면 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 사상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 : []
     정답률 : 66%

71. 수치지도의 등고선 레이어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할 경우 필요한 자료처리 방법은?(2013년 06월)
     1. 보간법
     2. 일반화 기법
     3. 분류법
     4. 자료압축법

     정답 : []
     정답률 : 73%

72.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성요소 중 전체 구축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항목으로 실세계를 컴퓨터상에 구현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16년 10월)
     1. 네트워크
     2. 데이터베이스
     3. 하드웨어
     4. 소프트웨어

     정답 : []
     정답률 : 71%

73. 공간객체 간의 상호 위치관계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서 다양한 공간객체 간의 인접성(adjacency), 연결성(connectivity), 일치성(coincidence)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경로분석 및 공간분석에 이용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2013년 06월)
     1.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 토폴로지(topology)
     3. 레이어(layer)
     4. 지오메트리(geometry)

     정답 : []
     정답률 : 52%

74.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조작처리 중 중첩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하나의 자료층상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 분석
     2. 둘 이상의 자료층에 있는 변량들간의 관계분석
     3. 특정 위치를 에워싸고 있는 주변 지역의 특성 분석
     4. 일정한 패턴(Pattern)을 구성하는 선형의 특징의 상호연결 분석

     정답 : []
     정답률 : 67%

75. 다음 등고선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등고선은 분기하지 않고 절벽 이외에는 교차하지 않는다.
     2. 동일 등고선 상의 모든 점은 기준면상 같은 높이에 있다.
     3. 등고선은 하천, 호수, 계곡 등에서는 단절되고 도상에서 폐합하는 일이 없다.
     4. 등고선은 최대 경사선에 직각이 되고 부수선 및 계곡선에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6. 규칙적인 셀(cell)의 격자에 의하여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는?(2016년 10월)
     1. 래스터자료구조
     2. 벡터자료구조
     3. 속성자료구조
     4. 필지자료구조

     정답 : []
     정답률 : 81%

77. 지적도(parcels)에서 면적(area, m2)이 100을 초과하는 대지의 소유자(owner)를 알려고 할 때,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SELECT owner FROM area GT 100 WHERE parcels
     2. SELECT area GT 100 FROM owner WHERE parcels
     3. SELECT owner FROM parcels WHERE area > 100
     4. SELECT parcels FROM owner WHERE area > 100

     정답 : []
     정답률 : 71%

78.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 하므로 시스템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2.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조사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4. 중복분석이나 통계분석이 어려워 의사결정수단으로 이용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27%

79. 결합트래버스 측량에 있어서 노선장이 4㎞ 되는 장소에서 폐합비의 제한이 1/500000 일 경우 허용되는 폐합차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25㎝
     2. 1.00㎝
     3. 0.80㎝
     4. 0.60㎝

     정답 : []
     정답률 : 43%

80. 화재나 응급 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간분석방법은?(2021년 03월)
     1. 관망분석
     2. 중첩분석
     3. 버퍼링분석
     4. 근접성분석

     정답 : []
     정답률 : 68%

81. 측량표의 이전(移轉)에 관한 신청의 접수는 누가하는가?(2004년 05월)
     1. 건설교통부장관이 접수한다.
     2.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가 접수한다.
     3.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접수한다.
     4. 관할 경찰서장이 접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2.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그 청산인은 누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가?(2004년 03월)
     1. 행정자치부장관
     2. 시장 또는 군수
     3. 건설교통부장관
     4. 시· 도지사

     정답 : []
     정답률 : 60%

83.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50%

84. 다각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500m일 때 폐합비를 1/5000로 하기 위한 축척 1:500도면에서의 폐합오차는?(2016년 10월)
     1. 0.1mm
     2. 0.2mm
     3. 0.4mm
     4. 0.6mm

     정답 : []
     정답률 : 50%

85.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규모(면적 또는 지도의 장수)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 : []
     정답률 : 34%

86. 트래버스측량에 있어서 방위각이 300°일 때 계산된 위거가 50m 이었다면, 측선의 거리는?(2019년 09월)
     1. 25m
     2. 43m
     3. 8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S=50/COS(300도)
[해설작성자 : 데이지]

87. 측량의 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측량의 원점은 직각좌표의 원점과 수준원점으로 한다.
     2.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3.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기본 수준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4. 세계측지계, 측량의 원점 값의 결정 및 직각좌표의 기준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측량의 원점은 경위도 원점과 수준원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오차의 종류 중 확률론과 최소제곱법으로 소거해야 하는 오차는?(2019년 09월)
     1. 과오
     2. 우연오차
     3. 정오차
     4. 기계오차

     정답 : []
     정답률 : 70%

89. 지도의 난외주기에 표시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지도의 도각
     2. 도엽의 명칭
     3. 발행자
     4. 지번

     정답 : []
     정답률 : 38%

90.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 때 P점의 좌표는? (단, Ax= 81.847m, Ay= -30.460m, θAB= 163° 20′ 00″, ∠BAP = 60°, AP = 600.00m)(2015년 03월)

    

     1. Px = -354.577m, Py = -442.205m
     2. Px = -466.884m, Py = -329.898m
     3. Px = -466.884m, Py = -442.205m
     4. Px = -354.577m, Py = -329.898m

     정답 : []
     정답률 : 52%

91. 축척 1:25000인 지형도에서 제한 기울기를 4%로 할 때 등고선 주곡선 간의 수평거리는?(2012년 05월)
     1. 5㎜
     2. 10㎜
     3. 20㎜
     4. 40㎜

     정답 : []
     정답률 : 50%

92. 측량기기의 검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성능검사의 방법· 절차 기타 성능검사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한다.
     2. 성능검사는 외관검사, 구조· 기능검사 및 측정검사로 구분하여 행한다.
     3. 성능검사를 받지 아니한 측량기기를 사용하여 측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4. 성능검사의 신청을 하고자 하는자는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당해 측량기기를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93. 수치지도의 보완에 있어서 공공측량계획기관은 당해기관에서 제작한 수치지형도 및 수치주제도에 대하여 몇 년마다 몇회 주기적으로 보와하여야 하는가?(2005년 09월)
     1. 수치지형도 : 1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1년마다 1회이상
     2.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2년마다 1회이상
     3.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4. 수치지형도 : 3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정답 : []
     정답률 : 73%

94.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는 그 청산인이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데, 이 때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2009년 05월)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 : []
     정답률 : 45%

95.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자는 취소된 날로부터 최소 몇 년을 경과하여야만 등록을 할 수 있는가?(2005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4%

96.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측량성과의 명칭ㆍ종류 및 내용
     2. 위치 및 사업량
     3. 작업자 경력
     4. 목적 및 활용범위

     정답 : []
     정답률 : 77%

97. 공공측량시행자가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종류 및 규모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각 건설공사의 종류는 각각의 관련법규에 따른 규정을 충족하는 사업이다.)(2021년 05월)
     1. 도시개발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2. 산업단지개발 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3. 길이 1킬로미터 이상의 도로건설사업
     4.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5킬로미터 이상인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1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아지]

98. “측량성과”의 용어 정의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측량결과물을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2. 측량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사업 목표
     3.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
     4. 측량 외업에 직접 취득한 관측 결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측량성과 :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측량기록 :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법률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거리측정기
     2. 레벨
     3. 금속관로 탐지기
     4. 평판

     정답 : []
     정답률 : 64%

100. 측량기준점표지를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19년 04월)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32285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0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402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0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3228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400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82194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99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6606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98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97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9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95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962438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94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93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92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91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9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89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220766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88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87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68331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86 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85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84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506 Next
/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