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에서 온돌과 관련된 의미 중 나머지 셋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14년 03월)
1.
㉠ 정(情)
2.
㉡ 스킨십
3.
㉢ 좌식 생활
4.
㉣ 풍경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온돌 = 접촉. 정, 스킨십, 좌식 생활 모두 접촉과 관련이 있으나 풍경은 온돌방에 앉아 바라보는 것으로 접촉과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1930년대 한국 문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이 시기에 발표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신소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다.
2.
이 시기에는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했으며, 민족어 말살 정책으로 많은 문인들이 친일적인 작품을 쓰거나 붓을 꺾었다.
3.
김기림, 정지용 등의 시인들은 감성보다 지성, 리듬보다 이미지에 호소하는 주지주의 경향을 바탕으로 한 시를 창작하였다.
4.
이 시기의 시는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허무와 패배 의식의 영향으로 감상적ㆍ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을 보였으며, 황석우, 홍사용, 박영희 등이 대표적이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3. 1930년대는 이미지를 중시하는 주지주의 시가 유행. 정지용은 초기에 서정적 순수시를 쓰다가 주지시 경향의 작품을 씀.
1.무정 1920년대. 2.1935년 후반부터 탄압이 시작되어 1940년대에 절정. 4.1920년대 특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 '나중에 오십시오.'라는 뜻이다.
2.
㉡: 시적 화자의 외로운 처지를 나타낸다.
3.
㉢: 2월의 세시 풍속인 '연등제'와 관계된다.
4.
㉣: 임의 수려한 외모를 비유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고려 속요. 동동 남녀의 이별을 제재로 하여, 계절 변화에 따라 새로워지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애절하게 노래. 13연 달거리(월령체)노래, 고려 속요 악학궤범 5권
덕은 뒷잔에 바치옵고 복은 앞잔에 비치옵고, 덕이라 복이라 하는 것을 진상하러 오세요. (송도, 덕과 복을 빎) 정월의 시냇물이 아아 얼려 녹으려 하면서 봄이 다가오는데 세상 가운데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고독, 홀로 사는 외로움)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연등 등불과 같은 임이여. 만인을 비추실 모습이시도다 (송축, 빼어난 임의 모습) 삼월이 지나며 피어난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 같은 임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셨도다. (송축, 아름다운 임의모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윗글의 구성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양쪽의 모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3.
예상되는 반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박을 하고 있다.
4.
전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연역적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국제 연합 인구 기금 분석자료 3. 4문단 적은 인구가 국가가치를 높여 줄 수 있다. 그렇지만... 4. 여러 근거들을 전제로 제시, 이를 통해 주장을 뒷바침하는 연역적 전개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이 작품의 주제를 연군지정(戀君之情)이라 할 때, 각 단락에 나타난 중심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가) - 자신의 정성을 임금에게 전하고자 함.
2.
(나) - 임금의 건강을 염려하고 임금을 그리워 함.
3.
(다) - 자신과 임금이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 함.
4.
(라) -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알리고자 함.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기는 정철 사미인곡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전개과정.
라. 봄바람이 문득 불어 쌓인 눈을 헤쳐 내니 창 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어라. 가뜩이나 쌀쌀하고 적막한데 그윽한 향기는 무슨 일인가. 황혼의 달이 따라와 베갯머리에 비치니, 흐느끼는 듯 반기는듯, 임이신가 아니신가. 저 매화 꺾어 내어 임 계신 데 보내고자. 임이 너를 보고 어떻다 여기실까
가. 꽃 지고 새 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비단 휘장이 적막하고 수놓은 장막이 비어있다. 연꽃 수놓은 휘장을 걷어 놓고 공작을 수놓은 병풍을 둘러두니, 가뜩이나 시름이 많은데 날은 어찌 그리 길었던가. 원앙 비단을 베어 놓고 오색실 풀어내어 금으로 만든 자로 재어서 임의 옷 지어내니,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격식도 갖추었네, 산호나무로 만든 지게 위의 흰 옥으로 된 함에 담아두고 임에게 보내고자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산인가 구름인가 험하기도 험하구나. 천만 리 길을 누구라서 찾아갈까. 이르거든 열어 보고 나를 본 듯 반기실까
다. 하룻밤 서리 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 때에 높은 누각에 혼자 올라 수정 발을 걷었더니, 동쪽 산에 달이 뜨고 북극에 별이 보이니, 임이신가 반기니 눈물이 절로 난다. 맑은 빛을 쥐어 궁궐에 부치고자. 누각 위에 걸어두고 온 세상 다 비추어 깊은 산 어두운 골짜기도 대낮같이 만드소서.
나. 하늘과 땅이 생기가 막히고 눈에 덮여 세상이 흰색일 때 사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날짐승도 자취 없다. 소강상 남쪽도 추위가 이 같거늘, 임 계신 곳이야 더욱 말해 무엇하리. 따뜻한 봄기운 일으켜 임 계신 곳 쬐이고자. 초가집 처마에 비친 해를 대궐에 올리고자. 붉은 치마를 여미어 입고 푸른 소매를 반만 걷어 해 저물 무렵 긴 대나무에 헤아림이 많기도 많구나. 짧은 해가 쉬이 져서 긴 밤을 꼿꼿이 앉아, 푸른 등 걸어 놓은 곁에 자개로 꾸민 공후 놓아두고, 꿈에나 임을 보려 턱 받치고 기대니, 원앙 이불이 차기도 차구나. 이밤은 언제 샐까
3. 다'에서는 임금에게 달빛을 보내 임금의 선정을 소망하고 있다.
1.옷을 짓는 화자의 정성 2.햇빛을 보내어 임금에게 쬐이고자 하니 외로움 속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모습이 나타남. 4.매화는 변함없는 자신의 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가 문장이 끝없이 생산됨 - 창조성 나 내용과 형식이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님 - 자의성 다 구성원 공동체 - 사회성 라 시간의 흐름 - 역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이 노래를 연극으로 각색할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시집간 형님을 반갑게 맞이하는 동생의 모습
2.
둥글게 생긴 작은 밥상에 어렵게 상차림을 하는 모습
3.
울고 있는 여인 뒤에서 몰래 다독여 주는 남편의 모습
4.
뻣뻣한 머리칼을 만지며 결혼 전 자신을 상상하는 모습
정답 : [
3
] 정답률 : 38%
18.
다음 고사와 관련된 한자성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以心傳心
2.
遼東之豕
3.
不立文字
4.
敎外別傳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이심전심 3.불립문자 4.교외별전 = 말이 아닌 마음으로 뜻을 전한다 본문 : 그건 손에 익고 마음에 통해서 저만 알고 그렇게 할 뿐이지 말로 형용해 남에게 그대로 시킬 수는 없습니다
2. 요동지서 - 견문이 좁아 하찮은 것을 득의양양하게 여기는 것 우물 안 개구리 관련 이야기-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 새끼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까지 갔더니, 그곳 돼지는 모두 대가리가 희므로 부끄러워 얼른 돌아갔다고 한다. [해설작성자 : 이것저것 다품]
19.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높임 표현 중에서 그 용법이 다른 것은?(2014년 03월)
1.
명절을 맞아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2.
그저께는 할아버지께서 댁에 계셨다.
3.
나는 어머니께 선물을 드리고 밖으로 나갔다.
4.
영이는 할머니를 집까지 모시고 와서 저녁을 대접했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주체높임법. 134는 객체높임법.
주체높임법 : 주체의 행동이나 상태를 높임. 객체높임법 : 내가 주체고 나의 입장에서 바라본 상대방을 높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형이 맺은 소설의 결말은 동생의 예상을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었다.
2.
형은 환자의 죽음과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소설 쓰기를 통해 극복한다.
3.
동생은 형이 쓴 소설을 읽으면서 뚜렷하지 않은 자신의 아픔을 돌아본다.
4.
동생은 자신의 아픔을 충분히 이해해 주는 혜인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혜인은 아픔이 오는 곳이 없으면 아픔도 없어야 할 것처럼 말했으므로 아픔이 어디서 오는지 모르는 나를 이해해주는 것이 아니다.
1.앞부분 나의 추리는 완전히 빗나갔다. 2.형은 6.25 전상자. 그 상처를 소설 쓰기를 통해 돌아보고 극복. 3.동생은 형과 대비되어 자신의 아픔이 어디서 온 것인지 모르고, 자신의 힘으로는 찾아내지 못하고 말 것 이라고 생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8655551)
다음 중 ㉠~㉣에서 온돌과 관련된 의미 중 나머지 셋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14년 03월)
1.
㉠ 정(情)
2.
㉡ 스킨십
3.
㉢ 좌식 생활
4.
㉣ 풍경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온돌 = 접촉. 정, 스킨십, 좌식 생활 모두 접촉과 관련이 있으나 풍경은 온돌방에 앉아 바라보는 것으로 접촉과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1930년대 한국 문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이 시기에 발표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신소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다.
2.
이 시기에는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했으며, 민족어 말살 정책으로 많은 문인들이 친일적인 작품을 쓰거나 붓을 꺾었다.
3.
김기림, 정지용 등의 시인들은 감성보다 지성, 리듬보다 이미지에 호소하는 주지주의 경향을 바탕으로 한 시를 창작하였다.
4.
이 시기의 시는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허무와 패배 의식의 영향으로 감상적ㆍ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을 보였으며, 황석우, 홍사용, 박영희 등이 대표적이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3. 1930년대는 이미지를 중시하는 주지주의 시가 유행. 정지용은 초기에 서정적 순수시를 쓰다가 주지시 경향의 작품을 씀.
1.무정 1920년대. 2.1935년 후반부터 탄압이 시작되어 1940년대에 절정. 4.1920년대 특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 '나중에 오십시오.'라는 뜻이다.
2.
㉡: 시적 화자의 외로운 처지를 나타낸다.
3.
㉢: 2월의 세시 풍속인 '연등제'와 관계된다.
4.
㉣: 임의 수려한 외모를 비유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고려 속요. 동동 남녀의 이별을 제재로 하여, 계절 변화에 따라 새로워지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애절하게 노래. 13연 달거리(월령체)노래, 고려 속요 악학궤범 5권
덕은 뒷잔에 바치옵고 복은 앞잔에 비치옵고, 덕이라 복이라 하는 것을 진상하러 오세요. (송도, 덕과 복을 빎) 정월의 시냇물이 아아 얼려 녹으려 하면서 봄이 다가오는데 세상 가운데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고독, 홀로 사는 외로움)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연등 등불과 같은 임이여. 만인을 비추실 모습이시도다 (송축, 빼어난 임의 모습) 삼월이 지나며 피어난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 같은 임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셨도다. (송축, 아름다운 임의모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윗글의 구성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양쪽의 모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3.
예상되는 반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박을 하고 있다.
4.
전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연역적 구성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국제 연합 인구 기금 분석자료 3. 4문단 적은 인구가 국가가치를 높여 줄 수 있다. 그렇지만... 4. 여러 근거들을 전제로 제시, 이를 통해 주장을 뒷바침하는 연역적 전개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이 작품의 주제를 연군지정(戀君之情)이라 할 때, 각 단락에 나타난 중심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가) - 자신의 정성을 임금에게 전하고자 함.
2.
(나) - 임금의 건강을 염려하고 임금을 그리워 함.
3.
(다) - 자신과 임금이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 함.
4.
(라) -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알리고자 함.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기는 정철 사미인곡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전개과정.
라. 봄바람이 문득 불어 쌓인 눈을 헤쳐 내니 창 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어라. 가뜩이나 쌀쌀하고 적막한데 그윽한 향기는 무슨 일인가. 황혼의 달이 따라와 베갯머리에 비치니, 흐느끼는 듯 반기는듯, 임이신가 아니신가. 저 매화 꺾어 내어 임 계신 데 보내고자. 임이 너를 보고 어떻다 여기실까
가. 꽃 지고 새 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비단 휘장이 적막하고 수놓은 장막이 비어있다. 연꽃 수놓은 휘장을 걷어 놓고 공작을 수놓은 병풍을 둘러두니, 가뜩이나 시름이 많은데 날은 어찌 그리 길었던가. 원앙 비단을 베어 놓고 오색실 풀어내어 금으로 만든 자로 재어서 임의 옷 지어내니,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격식도 갖추었네, 산호나무로 만든 지게 위의 흰 옥으로 된 함에 담아두고 임에게 보내고자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산인가 구름인가 험하기도 험하구나. 천만 리 길을 누구라서 찾아갈까. 이르거든 열어 보고 나를 본 듯 반기실까
다. 하룻밤 서리 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 때에 높은 누각에 혼자 올라 수정 발을 걷었더니, 동쪽 산에 달이 뜨고 북극에 별이 보이니, 임이신가 반기니 눈물이 절로 난다. 맑은 빛을 쥐어 궁궐에 부치고자. 누각 위에 걸어두고 온 세상 다 비추어 깊은 산 어두운 골짜기도 대낮같이 만드소서.
나. 하늘과 땅이 생기가 막히고 눈에 덮여 세상이 흰색일 때 사람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날짐승도 자취 없다. 소강상 남쪽도 추위가 이 같거늘, 임 계신 곳이야 더욱 말해 무엇하리. 따뜻한 봄기운 일으켜 임 계신 곳 쬐이고자. 초가집 처마에 비친 해를 대궐에 올리고자. 붉은 치마를 여미어 입고 푸른 소매를 반만 걷어 해 저물 무렵 긴 대나무에 헤아림이 많기도 많구나. 짧은 해가 쉬이 져서 긴 밤을 꼿꼿이 앉아, 푸른 등 걸어 놓은 곁에 자개로 꾸민 공후 놓아두고, 꿈에나 임을 보려 턱 받치고 기대니, 원앙 이불이 차기도 차구나. 이밤은 언제 샐까
3. 다'에서는 임금에게 달빛을 보내 임금의 선정을 소망하고 있다.
1.옷을 짓는 화자의 정성 2.햇빛을 보내어 임금에게 쬐이고자 하니 외로움 속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모습이 나타남. 4.매화는 변함없는 자신의 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가 문장이 끝없이 생산됨 - 창조성 나 내용과 형식이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님 - 자의성 다 구성원 공동체 - 사회성 라 시간의 흐름 - 역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이 노래를 연극으로 각색할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시집간 형님을 반갑게 맞이하는 동생의 모습
2.
둥글게 생긴 작은 밥상에 어렵게 상차림을 하는 모습
3.
울고 있는 여인 뒤에서 몰래 다독여 주는 남편의 모습
4.
뻣뻣한 머리칼을 만지며 결혼 전 자신을 상상하는 모습
정답 : [
3
] 정답률 : 38%
18.
다음 고사와 관련된 한자성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以心傳心
2.
遼東之豕
3.
不立文字
4.
敎外別傳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이심전심 3.불립문자 4.교외별전 = 말이 아닌 마음으로 뜻을 전한다 본문 : 그건 손에 익고 마음에 통해서 저만 알고 그렇게 할 뿐이지 말로 형용해 남에게 그대로 시킬 수는 없습니다
2. 요동지서 - 견문이 좁아 하찮은 것을 득의양양하게 여기는 것 우물 안 개구리 관련 이야기-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 새끼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까지 갔더니, 그곳 돼지는 모두 대가리가 희므로 부끄러워 얼른 돌아갔다고 한다. [해설작성자 : 이것저것 다품]
19.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높임 표현 중에서 그 용법이 다른 것은?(2014년 03월)
1.
명절을 맞아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2.
그저께는 할아버지께서 댁에 계셨다.
3.
나는 어머니께 선물을 드리고 밖으로 나갔다.
4.
영이는 할머니를 집까지 모시고 와서 저녁을 대접했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주체높임법. 134는 객체높임법.
주체높임법 : 주체의 행동이나 상태를 높임. 객체높임법 : 내가 주체고 나의 입장에서 바라본 상대방을 높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형이 맺은 소설의 결말은 동생의 예상을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었다.
2.
형은 환자의 죽음과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소설 쓰기를 통해 극복한다.
3.
동생은 형이 쓴 소설을 읽으면서 뚜렷하지 않은 자신의 아픔을 돌아본다.
4.
동생은 자신의 아픔을 충분히 이해해 주는 혜인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혜인은 아픔이 오는 곳이 없으면 아픔도 없어야 할 것처럼 말했으므로 아픔이 어디서 오는지 모르는 나를 이해해주는 것이 아니다.
1.앞부분 나의 추리는 완전히 빗나갔다. 2.형은 6.25 전상자. 그 상처를 소설 쓰기를 통해 돌아보고 극복. 3.동생은 형과 대비되어 자신의 아픔이 어디서 온 것인지 모르고, 자신의 힘으로는 찾아내지 못하고 말 것 이라고 생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④
④
③
②
④
③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①
①
③
②
③
②
②
④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865555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