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2611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방수일반


1. 금속 커든윌 공사에서 시험소 실물모형 시험(mock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내화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71%

2. 소음·진동관리법령에 따른 소음발생건설기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천공기
     2. 향타 및 향발기
     3. 실내용 발전기
     4. 콘크리트 절단기

     정답 : []
     정답률 : 87%

3.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2016년 08월)
     1. 셀구조
     2. 절판구조
     3. 아치구조
     4. 현수구조

     정답 : []
     정답률 : 90%

4. 버드(Bird)의 재해발생 이론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사고
     2. 통제부족
     3. 기본원인
     4. 개인적 결함

     정답 : []
     정답률 : 76%

5. 건축물의 온도에 의한 신축팽창, 부동침하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축의 전체적인 불규칙한 균열을 한 곳에 집중시키도록 설계 및 시공 시 고려되는 줄눈은?(2018년 08월)
     1. 신축줄눈
     2. 치장줄눈
     3. 시공줄눈
     4. 콜드조인트(Cold Joint)

     정답 : []
     정답률 : 73%

6. 금속 커튼월의 성능 시험 중 시험소 실물 모형 시험(mock up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예비시험
     2. 기밀시험
     3. 차음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89%

7. 대리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변성암에 속한다.
     2.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3.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이다.
     4. 산과 염에 강하여 주로 외장재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8. 소음·진동관리법령에 따른 소음발생건설기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천공기
     2. 항타 및 항발기
     3. 실내용 발전기
     4. 콘크리트 절단기

     정답 : []
     정답률 : 88%

9. 재해발생 원인 중 인적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착오
     2. 피로
     3. 무의식 행동
     4. 안전교육 부족

     정답 : []
     정답률 : 82%

10. 목재 건조의 목적 및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중량 증대
     2. 강도 증진
     3. 균류 발생 방지
     4. 사용 후의 수축균열 방지

     정답 : []
     정답률 : 93%

11.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아비(Harvey.J.H)의 시정책(3E)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감독의 실시
     2. 교육 및 훈련
     3. 처벌규정 강화
     4. 시설과 장비의 결함개선

     정답 : []
     정답률 : 93%

12. 작업조건과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구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감전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대
     2. 물체가 흩날림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3.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모
     4.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면

     정답 : []
     정답률 : 89%

13. 벽돌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내화·내구적이다.
     2. 외관이 장중·미려하다.
     3. 풍압, 지진 등의 횡력에 강하다.
     4. 구조와 시공법이 비교적 간단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14. 목재의 유성 방주재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흑갈색으로 외관이 좋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크레오소트유
     2. 펜타클로로페놀
     3. 황산동 1%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 : []
     정답률 : 82%

15. 건축제도에서 치수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16. 다음 중 산업재해발생의 기본원인 4M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Man
     2. Material
     3. Machine
     4.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84%

17. 벽돌조 벽 하부에 바닥의 습기가 상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08월)
     1. 방수턱
     2. 방습층
     3. 펀칭메탈
     4. 닫힌줄눈

     정답 : []
     정답률 : 84%

18. 홈통에 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처마홈통과 선홈통을 연결하는 경사홈통을 깔대기 홈통이라 한다.
     2.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빗물을 받는 홈통을 처마홈통이라 한다.
     3. 처마홈통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지상으로 유도하는 수직 홈통을 선홈통이라 한다.
     4. 두 개의 지붕면이 만나는 자리 또는 지붕면과 벽면이 만나는 수평지붕골에 쓰이는 홈통을 장식홈통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9.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카시험의 경우)(2020년 08월)
     1. 60분 이상 10시간 이하
     2. 60분 이상 12시간 이하
     3. 90분 이상 10시간 이하
     4. 90분 이상 12시간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20. 건축제도에서 중심선, 절단선, 기준선 등의 표시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파선
     2. 1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방수재료


21. 다음의 시멘트 액체형 방수제의 품질시험 항목 중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체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2019년 08월)
     1. 안정성
     2. 응결시간
     3. 압축강도
     4. 부착강도

     정답 : []
     정답률 : 72%

22.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재의 사용 부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습윤 조건에 있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2. 직사광선을 직접 받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3. 구조물의 진동 또는 거동 환경 조건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4. 산 및 염소 등의 화학적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3. 폴리우레아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 성능에서 파단시 신장률의 품질기준은?(2016년 08월)
     1. 100% 이상
     2. 200% 이상
     3. 300% 이상
     4. 4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77%

24. 천연의 유기섬유를 원료로 한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만든 방수재료는?(2020년 08월)
     1. 아스팔트 루핑
     2. 아스팔트 펠트
     3. 아스팔트 컴파운드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 : []
     정답률 : 70%

25.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 방수용으로 사용하는 수 팽창성 벤토나이트 방수시트의 종류중 일반형을 나타내는 기호는?(2016년 08월)
     1. GB
     2. HB
     3. NB
     4. RB

     정답 : []
     정답률 : 70%

26. 방수재료를 정형재료와 부정형재료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정형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분말형
     2. 시트형
     3. 패널형
     4. 매트형

     정답 : []
     정답률 : 82%

27. 시멘트 액체 방수공사를 위한 보조 재료 중 지수제의 주된 용도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방수층의 동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2. 바탕 결함부로부터의 누수를 막기위하여 사용한다.
     3. 공기단축을 위하여 경화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4. 보소성의 향상과 작업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28. 개량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기준 중 제품을 평면으로 펼쳐서 관찰한 겉모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끝부분의 절단선이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2. 표층의 일부가 결손 또는 보강재와 적충한 재료 사이에 박리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3. 1롤의 길이가 8.0m 이상인 경우, 1롤 도중에서 최소 3곳 이상 절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4. 1롤 길이가 8.0m이상이고 1롤 도중에서 1곳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 한편의 길이는 2.0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롤의 길이가 8.0m 이상인 경우, 1롤 도중에서 최소 2곳 이상 절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동광SC]

29. 인열 시험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바탕면에 부착된 방수재의 박리저항성 확인
     2. 방수재를 찢으려는 힘에 대한 저항성능 확인
     3.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발생에 따른 방수재 파단 유무 확인
     4. 외부로부터 발생 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한 방수층의 손상유무 평가

     정답 : []
     정답률 : 82%

30. 방수재를 찢으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능력을 확인하는 시험은?(2020년 08월)
     1. 인열성능 시험
     2. 압축성능 시험
     3. 접합성능 시험
     4. 내구성능 시험

     정답 : []
     정답률 : 69%

31. 방수재료를 정형재료와 부정형재료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정형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분말형
     2. 시트형
     3. 패널형
     4. 매트형

     정답 : []
     정답률 : 89%

32.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착형 방수 시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천연고무계
     2. 부탈고무계
     3. 우레아고무계
     4. 고무 아스팔트계

     정답 : []
     정답률 : 56%

33. 시멘트 액체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시멘트의 종류는?(2017년 08월)
     1.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 2종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3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4. 4종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76%

34.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1류와 2류로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2016년 08월)
     1. 용도
     2. 겉모양
     3. 온도 특성
     4. 재료 구성

     정답 : []
     정답률 : 82%

35. 다음의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의 품질기준에 알맞은 항목은?(2020년 08월)

    

     1. 겉모양
     2. 부착 성능
     3. 내피로 성능
     4. 파단시 신장률

     정답 : []
     정답률 : 65%

36. 건축용 실링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령제는?(2016년 08월)
     1. E형
     2. F형
     3. G형
     4. H형

     정답 : []
     정답률 : 89%

37. 시멘트 혼입 폴리머 방수재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흡수량: 2.0g 이하
     2. 인장 강도: 0.5N/mm2 이상
     3. 부착강도(표준): 0.8N/mm2 이상
     4. 내투수성: 0.3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장강도 : 1.0N/mm2 이상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8. 합성고분자계 방수시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가황 고무계
     2. 고무 아스팔트계
     3. 염화비닐 수지계
     4.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정답 : []
     정답률 : 40%

39. 건설용 도막방수재 중 우레탄 고무계 1류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인장강도 : 2.5N/mm2 이상
     2. 인열강도 : 7.3N/mm2 이상
     3. 파단 시의 신장률 : 450% 이상
     4. 가열 신축 성상(신축률) : -4% 이상 1%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40. 아스팔트 펠트(KS F 4901)에 따르는 아스팔트 펠트 제품의 종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220품
     2. 440품
     3. 540품
     4. 650품

     정답 : []
     정답률 : 90%

3과목 : 방수시공


41. 방수시공 직적의 바탕 상태의 표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RC 또는 PC 바탕의 거친면은 연마기 등으로 치밀하고 매끄럽게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2. 건조를 전제로 하는 방수공법을 적용할 경우의 바탕표면 함수상태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3. 바탕 표면에 돌출된 철선 등은 바탕면까지 절단하여 연마기 등으로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4. 치켜올림부 표면은 요철이 없도록 단차가 있는 곳은 연마기 등으로 평탄하게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2.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보호층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콘크리트 : 두께 30mm 이상
     2. 하드보드 : 두께 6.4mm 이상
     3.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 두께 12.7mm 이상
     4.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 두께 3.9m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콘크리트: 50mm 이상
습기 차단막: 0.1mm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
[해설작성자 : ㅇ]

43. 아스팔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종별 용융온도의 표준이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1종 : 210 ~ 220℃
     2. 2종 : 240 ~ 250℃
     3. 3종 : 250 ~ 260℃
     4. 4종 : 270 ~ 280℃

     정답 : []
     정답률 : 85%

44.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에서 보행용 전면접착의 표준적용 부위로서 적합하지 않은 곳은?(2013년 08월)
     1. PC 바탕 지붕
     2. PC 바탕 차양
     3. RC 바탕 실내 주차장
     4. RC 바탕 지하외벽(외부쪽)

     정답 : []
     정답률 : 74%

45.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공사에서 시트 붙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70mm로 한다.
     2. 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100mm로 한다.
     3.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치켜올림부와 평면부와의 접합폭은 100mm로 한다.
     4. 시트의 접합부는 원칙적으로 물매 위쪽의 시트가 물매 아래쪽 시트의 위에 오도록 겹친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방수바탕의 형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치켜 올림부의 콘크리트는 제물마감으로 한다.
     2. 오목모서리는 각이 없는 완만한 면처리로 한다.
     3. 치켜올림 끝부분에 설치되는 빗물막이 턱은 치켜 올림부 콘크리트와 일체로 하여 만든다.
     4. 바탕의 콘크리트 표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 샌딩블라스터 등으로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47.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그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평면부 콘크리트에는 3m 내외로 신축줄눈을 설치한다.
     2. 콘크리트에는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 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3. 신축줄눈은 폭 50mm 정도, 깊이는 콘크리트의 중간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설치한다.
     4.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 시트를 깔아 점착테이프 또는 기타 테이프로 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번. 신축줄눈 폭 20mm
[해설작성자 : 김상률]

48. 시멘트 액체방수공사의 방수층 구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바닥용으로 5층으로 구성)(2018년 08월)
     1. 1층-프라이머 도포
     2. 2층-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 3층-방수액 침투
     4. 4층-방수시멘트 페이스트 2차

     정답 : []
     정답률 : 46%

49.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공사에서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붙이는 방법의 표준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접착제를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눌러서 붙인다.
     2. 프라이머를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과 바탕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눌러서 붙인다.
     3. 토치로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앞면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개량 아스팔트를 용융시켜 붙인다.
     4. 토치로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과 바탕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개량 아스팔트를 용융시키고, 눌러서 붙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50.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의 보호층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두께 6mm의 하드보드
     2. 두께 50mm의 콘크리트
     3. 두께 12.7mm의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4. 두께 3.9mm의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정답 : []
     정답률 : 72%

51. 도막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평면 부위를 도포한 다음, 치켜올림 부위를 도포한다.
     2.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는 원칙적으로 앞 공정에서의 겹쳐 바르기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한다.
     3.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시공은 아래에서부터 위의 순서로 실시한다.
     4. 지정된 겹쳐 바르기의 시간 간격을 초과한 경우,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건조하기 전에 겹쳐 바르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52. 규산질계 도포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를 솔로 바를 경우에는 바름 방향이 일정하도록 한다.
     2. 방수재는 솔, 흙손, 뿜칠 및 롤러 등으로 콘크리트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3. 앞 공정의 도포 후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음 공정의 도포를 시작할 경우에는 물뿌리기를 한다.
     4. 앞 공정에서 도포한 방수재가 완전히 건조하여 손가락으로 눌러 하얗게 묻어 나오는 상태로 되었을 때 다음 공정의 도포를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3.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 중 고무 아스팔트계 자착형 방수시트의 공정 순으로 옳은 것은? (단, 노출용(1/100~1/50)으로 평탄부(단열재 있음)의 경우)(2014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90%

54.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공사에서 방수층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보강재는 방수층 1층 시공 전에 미리 삽입하여 둔다.
     2. 각 층의 시공간격은 온도 20℃에서 5~6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3. 바탕이 건조할 경우에는 수화응고형 방수재의 수분이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바탕을 물로 적신다.
     4. 프라이머는 솔, 롤러 또는 뿜칠기로 규정량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흡수가 현저할 경우에는 추가 도포하여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55.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공사에서 시트 붙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70mm로 한다.
     2. 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100mm로 한다.
     3.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치켜올림부와 평면부와의 접합폭은 100mm로 한다.
     4. 시트의 접합부는 원칙적으로 물매 위쪽의 시트가 물매 아래쪽 시트의 위에 오도록 겹친다.

     정답 : []
     정답률 : 55%

56. 가황 고무계 시트 방수·접착공법에서 평탄부의 면적이 10m2인 경우, 1공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의 표준 도포량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1kg
     2. 2kg
     3. 3kg
     4. 4kg

     정답 : []
     정답률 : 62%

57. 도막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 또는 이어 바르기의 폭은 100mm내외로 한다.
     2. 보강포 위에 도포하는 경우, 침투하지 않은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도포한다.
     3.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의 도포방향은 앞 공정에서의 도포방향과 직교해서 실시한다.
     4.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 시공은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14년 08월)
     1. 신축줄눈은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림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지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9. 우레탄 고무계 도막방수공법∙전면접착에서 보호 및 마감의 표준은? (단, 스프레이 공법의경우)(2019년 08월)
     1. 마감도료 도장
     2. 콘크리트 블록
     3. 시멘트 모르타르
     4. 현장타설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6%

60.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층의 층별 사용재료가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1층 - 프라이머
     2. 2층 - 방수재
     3. 3층 - 방수재
     4. 4층 - 방수재

     정답 : []
     정답률 : 57%

61. 방수하자 유형 중 방수층 파단에 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도막계 방수재가 보강재 없이 시공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2. 방수층 파단 방지에 시멘트계 방수재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과 평창에 따라 방수층이 파괴되는 현상이다.
     4. 방수층이 바탕 콘크리트에 완전 밀착되어 시공된 경우 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62. 방수 점검 시 평면부 점검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들뜸
     2. 동결융해
     3. 누름층의 균열
     4. 두겁대의 변형

     정답 : []
     정답률 : 79%

63. 시트 방수제의 접합부 들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접합부에 롤링 작업을 실시하였을 경우 주로 발생한다.
     2. 가장자리의 시공에 있어서 바탕 요철부에 대한 처리가 미흡할 경우 발생한다.
     3. 접합부 들뜸 방지를 위해 접합부 시공 시 4겹 이상의 겹침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한다.
     4. 시트와 시트 겹침부위에 단차로 인한 들뜸이 발생할 경우 물길이 형성되어 누수의 원인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64. 조적조의 표면에 발수제를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미려한 광택 확보
     2. 벽돌의 중성화 방지
     3. 모르타르의 탈락 방지
     4. 누수 및 백화현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90%

65. 시멘트 모르타계 방수공사에서의 하자 방지 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접합부위 용융시공
     2. 철저한 배합비 준수
     3. 반턱 이음 접합 방식 적용
     4. 겹침부 상단 1~2차 롤링 작업 실시

     정답 : []
     정답률 : 63%

66. 실링재의 열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기상조건
     2. 피로현상
     3. 조인트 변동
     4. 알칼리 반응

     정답 : []
     정답률 : 59%

67. 도막계 방수공사에서 부풀음이 발생된 부위가 수분 공기가 밀폐되어 직사광선에 의해 팽창되면서 벙수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2019년 08월)
     1. 박리
     2. 들뜬
     3. 물고임
     4. 흘러내림

     정답 : []
     정답률 : 85%

68. 다음 중 방수층 시공 완료 후 누수시험의 적용이 가장 곤란한 것은?(2014년 08월)
     1. 수조
     2. 실내방수
     3. 지하 구조물
     4. 소규모의 평지붕

     정답 : []
     정답률 : 91%

69. 방수 하자 유형 중 풍압에 의한 들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들뜸 방지를 위해 내풍압 시험을 통해 검증된 재료를 사용한다.
     2. 풍압에 의한 부상압은 옥상층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값을 갑는다.
     3. 시트방수재를 전면부착 시공하여 부착력을 높이면 들뜸이 방지된다.
     4. 옥상층에서 풍앞에 의한 부상압으로 인해 방수층이 떠오르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0. 다음 중 콘크리트 바탕면의 균열폭과 누수량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14년 08월)
     1.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2제곱에 비례한다.
     2.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3제곱에 비례한다.
     3.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4제곱에 비례한다.
     4.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5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1. 다음 중 누수의 메카니즘(mechanism)에 따른 누수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2.
     3. 압력차
     4. 온도차

     정답 : []
     정답률 : 90%

72.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에폭시 수지의 점성에 따른 분류 중 주로 균열, 들뜸의 보수에 사용하고 중점도로 유연성을 부여한 것의 기호는?(2016년 08월)
     1. G
     2. H
     3. L
     4. M

     정답 : []
     정답률 : 70%

73. 합성고분자 시트방수 보수공사에서 접착제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접착제는 솔, 롤러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2. 접착제의 도포에 앞서 먼저 도포한 프라이머의 적정한 건조를 확인한다.
     3. 접착형 방수시트를 사용하는 공사에서는 반드시 접착제 도포 후 시트를 붙여야 한다.
     4. 접착제의 도포범위는 접착 유효시간 내에 시트 부착 작업이 가능한 범위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누수 보수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은?(2017년 08월)

    

     1. 투수저항 성능
     2. 수질 안전 성능
     3. 습윤면 부착 성능
     4. 균열 거동 대응 성능

     정답 : []
     정답률 : 82%

75. 다음과 같은 파라펫 부위 누수 원인의 보수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방수층 끝부분은 홈을 파서 방수재를 말아 넣고 코킹한다.
     2. 방수 전 콘크리트면 청소 및 코너부위 면접기를 철저히 한다.
     3. 방수턱의 폭은 누름 벽돌 마감선에서 3cm 이상 유지되게 한다.
     4. 방수턱의 높이는 보호 모르타르 마감면에서 5cm 이하로 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6.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공사의 하자 유형은?(2020년 08월)

    

     1. 핀홀
     2. 부풀음
     3. 경화불량
     4. 풍압에 의한 들뜸

     정답 : []
     정답률 : 69%

77. 다음 중 방수층의 핀홀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용제의 과다 사용
     2.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미세 공극
     3. 바탕콘크리트의 완만한 물흐름 경사
     4. 방수재의 혼합 또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된 공기의 잔류

     정답 : []
     정답률 : 78%

78. 다음 중 방수유지관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보수비용의 절감을 위해
     2. 방수면 바탕 정리를 위해
     3. 기능불량 등의 이상 징후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
     4. 시설물의 사용 가능한 기간 연장 및 재산의 보존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72%

79. 루프 드레인 부위의 누수 발생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누름벽돌 내 모르타르 충진 불량
     2. 루프 드레인 설치 전 방수층 높이 미고려
     3. 루프 드레인 주위 구배 불량에 따른 담수현상 발생
     4. 루프 드레인 주위의 방수층과 구조체의 접착불량

     정답 : []
     정답률 : 70%

80. 누수 부위에 대한 콘크리트의 보수, 보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퍼터 수지로 표면처리한다.
     2. 균열은 에폭시로 주입한다.
     3. V 커팅의 폭은 10mm 이상으로 한다.
     4. 0.5mm 이상의 균열은 충전공법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정 답 지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2611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방수일반


1. 금속 커든윌 공사에서 시험소 실물모형 시험(mock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내화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71%

2. 소음·진동관리법령에 따른 소음발생건설기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천공기
     2. 향타 및 향발기
     3. 실내용 발전기
     4. 콘크리트 절단기

     정답 : []
     정답률 : 87%

3.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2016년 08월)
     1. 셀구조
     2. 절판구조
     3. 아치구조
     4. 현수구조

     정답 : []
     정답률 : 90%

4. 버드(Bird)의 재해발생 이론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사고
     2. 통제부족
     3. 기본원인
     4. 개인적 결함

     정답 : []
     정답률 : 76%

5. 건축물의 온도에 의한 신축팽창, 부동침하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축의 전체적인 불규칙한 균열을 한 곳에 집중시키도록 설계 및 시공 시 고려되는 줄눈은?(2018년 08월)
     1. 신축줄눈
     2. 치장줄눈
     3. 시공줄눈
     4. 콜드조인트(Cold Joint)

     정답 : []
     정답률 : 73%

6. 금속 커튼월의 성능 시험 중 시험소 실물 모형 시험(mock up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예비시험
     2. 기밀시험
     3. 차음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89%

7. 대리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변성암에 속한다.
     2.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3.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이다.
     4. 산과 염에 강하여 주로 외장재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8. 소음·진동관리법령에 따른 소음발생건설기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천공기
     2. 항타 및 항발기
     3. 실내용 발전기
     4. 콘크리트 절단기

     정답 : []
     정답률 : 88%

9. 재해발생 원인 중 인적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착오
     2. 피로
     3. 무의식 행동
     4. 안전교육 부족

     정답 : []
     정답률 : 82%

10. 목재 건조의 목적 및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중량 증대
     2. 강도 증진
     3. 균류 발생 방지
     4. 사용 후의 수축균열 방지

     정답 : []
     정답률 : 93%

11.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아비(Harvey.J.H)의 시정책(3E)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감독의 실시
     2. 교육 및 훈련
     3. 처벌규정 강화
     4. 시설과 장비의 결함개선

     정답 : []
     정답률 : 93%

12. 작업조건과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구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감전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대
     2. 물체가 흩날림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3.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모
     4.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면

     정답 : []
     정답률 : 89%

13. 벽돌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내화·내구적이다.
     2. 외관이 장중·미려하다.
     3. 풍압, 지진 등의 횡력에 강하다.
     4. 구조와 시공법이 비교적 간단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14. 목재의 유성 방주재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흑갈색으로 외관이 좋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크레오소트유
     2. 펜타클로로페놀
     3. 황산동 1%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 : []
     정답률 : 82%

15. 건축제도에서 치수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16. 다음 중 산업재해발생의 기본원인 4M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Man
     2. Material
     3. Machine
     4.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84%

17. 벽돌조 벽 하부에 바닥의 습기가 상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08월)
     1. 방수턱
     2. 방습층
     3. 펀칭메탈
     4. 닫힌줄눈

     정답 : []
     정답률 : 84%

18. 홈통에 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처마홈통과 선홈통을 연결하는 경사홈통을 깔대기 홈통이라 한다.
     2.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빗물을 받는 홈통을 처마홈통이라 한다.
     3. 처마홈통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지상으로 유도하는 수직 홈통을 선홈통이라 한다.
     4. 두 개의 지붕면이 만나는 자리 또는 지붕면과 벽면이 만나는 수평지붕골에 쓰이는 홈통을 장식홈통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19.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카시험의 경우)(2020년 08월)
     1. 60분 이상 10시간 이하
     2. 60분 이상 12시간 이하
     3. 90분 이상 10시간 이하
     4. 90분 이상 12시간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20. 건축제도에서 중심선, 절단선, 기준선 등의 표시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파선
     2. 1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방수재료


21. 다음의 시멘트 액체형 방수제의 품질시험 항목 중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체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2019년 08월)
     1. 안정성
     2. 응결시간
     3. 압축강도
     4. 부착강도

     정답 : []
     정답률 : 72%

22.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재의 사용 부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습윤 조건에 있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2. 직사광선을 직접 받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3. 구조물의 진동 또는 거동 환경 조건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4. 산 및 염소 등의 화학적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에서의 사용은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3. 폴리우레아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 성능에서 파단시 신장률의 품질기준은?(2016년 08월)
     1. 100% 이상
     2. 200% 이상
     3. 300% 이상
     4. 4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77%

24. 천연의 유기섬유를 원료로 한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만든 방수재료는?(2020년 08월)
     1. 아스팔트 루핑
     2. 아스팔트 펠트
     3. 아스팔트 컴파운드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 : []
     정답률 : 70%

25.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 방수용으로 사용하는 수 팽창성 벤토나이트 방수시트의 종류중 일반형을 나타내는 기호는?(2016년 08월)
     1. GB
     2. HB
     3. NB
     4. RB

     정답 : []
     정답률 : 70%

26. 방수재료를 정형재료와 부정형재료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정형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분말형
     2. 시트형
     3. 패널형
     4. 매트형

     정답 : []
     정답률 : 82%

27. 시멘트 액체 방수공사를 위한 보조 재료 중 지수제의 주된 용도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방수층의 동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2. 바탕 결함부로부터의 누수를 막기위하여 사용한다.
     3. 공기단축을 위하여 경화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4. 보소성의 향상과 작업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28. 개량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기준 중 제품을 평면으로 펼쳐서 관찰한 겉모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끝부분의 절단선이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2. 표층의 일부가 결손 또는 보강재와 적충한 재료 사이에 박리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3. 1롤의 길이가 8.0m 이상인 경우, 1롤 도중에서 최소 3곳 이상 절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4. 1롤 길이가 8.0m이상이고 1롤 도중에서 1곳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 한편의 길이는 2.0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롤의 길이가 8.0m 이상인 경우, 1롤 도중에서 최소 2곳 이상 절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동광SC]

29. 인열 시험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바탕면에 부착된 방수재의 박리저항성 확인
     2. 방수재를 찢으려는 힘에 대한 저항성능 확인
     3.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발생에 따른 방수재 파단 유무 확인
     4. 외부로부터 발생 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한 방수층의 손상유무 평가

     정답 : []
     정답률 : 82%

30. 방수재를 찢으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능력을 확인하는 시험은?(2020년 08월)
     1. 인열성능 시험
     2. 압축성능 시험
     3. 접합성능 시험
     4. 내구성능 시험

     정답 : []
     정답률 : 69%

31. 방수재료를 정형재료와 부정형재료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정형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분말형
     2. 시트형
     3. 패널형
     4. 매트형

     정답 : []
     정답률 : 89%

32.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착형 방수 시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천연고무계
     2. 부탈고무계
     3. 우레아고무계
     4. 고무 아스팔트계

     정답 : []
     정답률 : 56%

33. 시멘트 액체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시멘트의 종류는?(2017년 08월)
     1.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 2종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3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4. 4종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76%

34.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1류와 2류로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2016년 08월)
     1. 용도
     2. 겉모양
     3. 온도 특성
     4. 재료 구성

     정답 : []
     정답률 : 82%

35. 다음의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의 품질기준에 알맞은 항목은?(2020년 08월)

    

     1. 겉모양
     2. 부착 성능
     3. 내피로 성능
     4. 파단시 신장률

     정답 : []
     정답률 : 65%

36. 건축용 실링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령제는?(2016년 08월)
     1. E형
     2. F형
     3. G형
     4. H형

     정답 : []
     정답률 : 89%

37. 시멘트 혼입 폴리머 방수재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흡수량: 2.0g 이하
     2. 인장 강도: 0.5N/mm2 이상
     3. 부착강도(표준): 0.8N/mm2 이상
     4. 내투수성: 0.3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장강도 : 1.0N/mm2 이상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8. 합성고분자계 방수시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가황 고무계
     2. 고무 아스팔트계
     3. 염화비닐 수지계
     4.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정답 : []
     정답률 : 40%

39. 건설용 도막방수재 중 우레탄 고무계 1류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인장강도 : 2.5N/mm2 이상
     2. 인열강도 : 7.3N/mm2 이상
     3. 파단 시의 신장률 : 450% 이상
     4. 가열 신축 성상(신축률) : -4% 이상 1%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40. 아스팔트 펠트(KS F 4901)에 따르는 아스팔트 펠트 제품의 종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220품
     2. 440품
     3. 540품
     4. 650품

     정답 : []
     정답률 : 90%

3과목 : 방수시공


41. 방수시공 직적의 바탕 상태의 표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RC 또는 PC 바탕의 거친면은 연마기 등으로 치밀하고 매끄럽게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2. 건조를 전제로 하는 방수공법을 적용할 경우의 바탕표면 함수상태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3. 바탕 표면에 돌출된 철선 등은 바탕면까지 절단하여 연마기 등으로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4. 치켜올림부 표면은 요철이 없도록 단차가 있는 곳은 연마기 등으로 평탄하게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2.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보호층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콘크리트 : 두께 30mm 이상
     2. 하드보드 : 두께 6.4mm 이상
     3.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 두께 12.7mm 이상
     4.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 두께 3.9m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콘크리트: 50mm 이상
습기 차단막: 0.1mm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
[해설작성자 : ㅇ]

43. 아스팔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종별 용융온도의 표준이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1종 : 210 ~ 220℃
     2. 2종 : 240 ~ 250℃
     3. 3종 : 250 ~ 260℃
     4. 4종 : 270 ~ 280℃

     정답 : []
     정답률 : 85%

44.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에서 보행용 전면접착의 표준적용 부위로서 적합하지 않은 곳은?(2013년 08월)
     1. PC 바탕 지붕
     2. PC 바탕 차양
     3. RC 바탕 실내 주차장
     4. RC 바탕 지하외벽(외부쪽)

     정답 : []
     정답률 : 74%

45.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공사에서 시트 붙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70mm로 한다.
     2. 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100mm로 한다.
     3.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치켜올림부와 평면부와의 접합폭은 100mm로 한다.
     4. 시트의 접합부는 원칙적으로 물매 위쪽의 시트가 물매 아래쪽 시트의 위에 오도록 겹친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방수바탕의 형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치켜 올림부의 콘크리트는 제물마감으로 한다.
     2. 오목모서리는 각이 없는 완만한 면처리로 한다.
     3. 치켜올림 끝부분에 설치되는 빗물막이 턱은 치켜 올림부 콘크리트와 일체로 하여 만든다.
     4. 바탕의 콘크리트 표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 샌딩블라스터 등으로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47.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그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평면부 콘크리트에는 3m 내외로 신축줄눈을 설치한다.
     2. 콘크리트에는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 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3. 신축줄눈은 폭 50mm 정도, 깊이는 콘크리트의 중간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설치한다.
     4.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 시트를 깔아 점착테이프 또는 기타 테이프로 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번. 신축줄눈 폭 20mm
[해설작성자 : 김상률]

48. 시멘트 액체방수공사의 방수층 구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바닥용으로 5층으로 구성)(2018년 08월)
     1. 1층-프라이머 도포
     2. 2층-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 3층-방수액 침투
     4. 4층-방수시멘트 페이스트 2차

     정답 : []
     정답률 : 46%

49.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공사에서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붙이는 방법의 표준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접착제를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눌러서 붙인다.
     2. 프라이머를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과 바탕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눌러서 붙인다.
     3. 토치로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앞면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개량 아스팔트를 용융시켜 붙인다.
     4. 토치로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뒷면과 바탕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개량 아스팔트를 용융시키고, 눌러서 붙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50.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의 보호층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두께 6mm의 하드보드
     2. 두께 50mm의 콘크리트
     3. 두께 12.7mm의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4. 두께 3.9mm의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정답 : []
     정답률 : 72%

51. 도막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평면 부위를 도포한 다음, 치켜올림 부위를 도포한다.
     2.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는 원칙적으로 앞 공정에서의 겹쳐 바르기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한다.
     3.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시공은 아래에서부터 위의 순서로 실시한다.
     4. 지정된 겹쳐 바르기의 시간 간격을 초과한 경우,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건조하기 전에 겹쳐 바르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52. 규산질계 도포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를 솔로 바를 경우에는 바름 방향이 일정하도록 한다.
     2. 방수재는 솔, 흙손, 뿜칠 및 롤러 등으로 콘크리트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3. 앞 공정의 도포 후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음 공정의 도포를 시작할 경우에는 물뿌리기를 한다.
     4. 앞 공정에서 도포한 방수재가 완전히 건조하여 손가락으로 눌러 하얗게 묻어 나오는 상태로 되었을 때 다음 공정의 도포를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3.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 중 고무 아스팔트계 자착형 방수시트의 공정 순으로 옳은 것은? (단, 노출용(1/100~1/50)으로 평탄부(단열재 있음)의 경우)(2014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90%

54.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공사에서 방수층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보강재는 방수층 1층 시공 전에 미리 삽입하여 둔다.
     2. 각 층의 시공간격은 온도 20℃에서 5~6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3. 바탕이 건조할 경우에는 수화응고형 방수재의 수분이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바탕을 물로 적신다.
     4. 프라이머는 솔, 롤러 또는 뿜칠기로 규정량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흡수가 현저할 경우에는 추가 도포하여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55.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공사에서 시트 붙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70mm로 한다.
     2. 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시트 상호간의 접합폭은 종횡으로 100mm로 한다.
     3. 비가황고무계 방수시트의 경우, 치켜올림부와 평면부와의 접합폭은 100mm로 한다.
     4. 시트의 접합부는 원칙적으로 물매 위쪽의 시트가 물매 아래쪽 시트의 위에 오도록 겹친다.

     정답 : []
     정답률 : 55%

56. 가황 고무계 시트 방수·접착공법에서 평탄부의 면적이 10m2인 경우, 1공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의 표준 도포량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1kg
     2. 2kg
     3. 3kg
     4. 4kg

     정답 : []
     정답률 : 62%

57. 도막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 또는 이어 바르기의 폭은 100mm내외로 한다.
     2. 보강포 위에 도포하는 경우, 침투하지 않은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도포한다.
     3.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의 도포방향은 앞 공정에서의 도포방향과 직교해서 실시한다.
     4.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 시공은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14년 08월)
     1. 신축줄눈은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림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지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9. 우레탄 고무계 도막방수공법∙전면접착에서 보호 및 마감의 표준은? (단, 스프레이 공법의경우)(2019년 08월)
     1. 마감도료 도장
     2. 콘크리트 블록
     3. 시멘트 모르타르
     4. 현장타설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6%

60.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층의 층별 사용재료가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1층 - 프라이머
     2. 2층 - 방수재
     3. 3층 - 방수재
     4. 4층 - 방수재

     정답 : []
     정답률 : 57%

61. 방수하자 유형 중 방수층 파단에 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도막계 방수재가 보강재 없이 시공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2. 방수층 파단 방지에 시멘트계 방수재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과 평창에 따라 방수층이 파괴되는 현상이다.
     4. 방수층이 바탕 콘크리트에 완전 밀착되어 시공된 경우 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62. 방수 점검 시 평면부 점검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들뜸
     2. 동결융해
     3. 누름층의 균열
     4. 두겁대의 변형

     정답 : []
     정답률 : 79%

63. 시트 방수제의 접합부 들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접합부에 롤링 작업을 실시하였을 경우 주로 발생한다.
     2. 가장자리의 시공에 있어서 바탕 요철부에 대한 처리가 미흡할 경우 발생한다.
     3. 접합부 들뜸 방지를 위해 접합부 시공 시 4겹 이상의 겹침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한다.
     4. 시트와 시트 겹침부위에 단차로 인한 들뜸이 발생할 경우 물길이 형성되어 누수의 원인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64. 조적조의 표면에 발수제를 사용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미려한 광택 확보
     2. 벽돌의 중성화 방지
     3. 모르타르의 탈락 방지
     4. 누수 및 백화현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90%

65. 시멘트 모르타계 방수공사에서의 하자 방지 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접합부위 용융시공
     2. 철저한 배합비 준수
     3. 반턱 이음 접합 방식 적용
     4. 겹침부 상단 1~2차 롤링 작업 실시

     정답 : []
     정답률 : 63%

66. 실링재의 열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기상조건
     2. 피로현상
     3. 조인트 변동
     4. 알칼리 반응

     정답 : []
     정답률 : 59%

67. 도막계 방수공사에서 부풀음이 발생된 부위가 수분 공기가 밀폐되어 직사광선에 의해 팽창되면서 벙수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2019년 08월)
     1. 박리
     2. 들뜬
     3. 물고임
     4. 흘러내림

     정답 : []
     정답률 : 85%

68. 다음 중 방수층 시공 완료 후 누수시험의 적용이 가장 곤란한 것은?(2014년 08월)
     1. 수조
     2. 실내방수
     3. 지하 구조물
     4. 소규모의 평지붕

     정답 : []
     정답률 : 91%

69. 방수 하자 유형 중 풍압에 의한 들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들뜸 방지를 위해 내풍압 시험을 통해 검증된 재료를 사용한다.
     2. 풍압에 의한 부상압은 옥상층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값을 갑는다.
     3. 시트방수재를 전면부착 시공하여 부착력을 높이면 들뜸이 방지된다.
     4. 옥상층에서 풍앞에 의한 부상압으로 인해 방수층이 떠오르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0. 다음 중 콘크리트 바탕면의 균열폭과 누수량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14년 08월)
     1.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2제곱에 비례한다.
     2.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3제곱에 비례한다.
     3.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4제곱에 비례한다.
     4. 균열폭에 의한 누수량은 균열폭의 5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1. 다음 중 누수의 메카니즘(mechanism)에 따른 누수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2.
     3. 압력차
     4. 온도차

     정답 : []
     정답률 : 90%

72.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에폭시 수지의 점성에 따른 분류 중 주로 균열, 들뜸의 보수에 사용하고 중점도로 유연성을 부여한 것의 기호는?(2016년 08월)
     1. G
     2. H
     3. L
     4. M

     정답 : []
     정답률 : 70%

73. 합성고분자 시트방수 보수공사에서 접착제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접착제는 솔, 롤러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2. 접착제의 도포에 앞서 먼저 도포한 프라이머의 적정한 건조를 확인한다.
     3. 접착형 방수시트를 사용하는 공사에서는 반드시 접착제 도포 후 시트를 붙여야 한다.
     4. 접착제의 도포범위는 접착 유효시간 내에 시트 부착 작업이 가능한 범위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4. 다음 설명에 알맞은 누수 보수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은?(2017년 08월)

    

     1. 투수저항 성능
     2. 수질 안전 성능
     3. 습윤면 부착 성능
     4. 균열 거동 대응 성능

     정답 : []
     정답률 : 82%

75. 다음과 같은 파라펫 부위 누수 원인의 보수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방수층 끝부분은 홈을 파서 방수재를 말아 넣고 코킹한다.
     2. 방수 전 콘크리트면 청소 및 코너부위 면접기를 철저히 한다.
     3. 방수턱의 폭은 누름 벽돌 마감선에서 3cm 이상 유지되게 한다.
     4. 방수턱의 높이는 보호 모르타르 마감면에서 5cm 이하로 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6.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공사의 하자 유형은?(2020년 08월)

    

     1. 핀홀
     2. 부풀음
     3. 경화불량
     4. 풍압에 의한 들뜸

     정답 : []
     정답률 : 69%

77. 다음 중 방수층의 핀홀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용제의 과다 사용
     2.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미세 공극
     3. 바탕콘크리트의 완만한 물흐름 경사
     4. 방수재의 혼합 또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된 공기의 잔류

     정답 : []
     정답률 : 78%

78. 다음 중 방수유지관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보수비용의 절감을 위해
     2. 방수면 바탕 정리를 위해
     3. 기능불량 등의 이상 징후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
     4. 시설물의 사용 가능한 기간 연장 및 재산의 보존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72%

79. 루프 드레인 부위의 누수 발생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누름벽돌 내 모르타르 충진 불량
     2. 루프 드레인 설치 전 방수층 높이 미고려
     3. 루프 드레인 주위 구배 불량에 따른 담수현상 발생
     4. 루프 드레인 주위의 방수층과 구조체의 접착불량

     정답 : []
     정답률 : 70%

80. 누수 부위에 대한 콘크리트의 보수, 보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퍼터 수지로 표면처리한다.
     2. 균열은 에폭시로 주입한다.
     3. V 커팅의 폭은 10mm 이상으로 한다.
     4. 0.5mm 이상의 균열은 충전공법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26113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26113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2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81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0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79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8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7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6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0년03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4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2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8239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1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9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8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83399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7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85221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6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5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64 스포츠경영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64 Next
/ 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