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567573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기준점표지의 설치ㆍ관리 등에 관한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2킬로미터 이상 5킬로미터 이하
     2. 지적삼각보조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1킬로미터 이상 3킬로미터 이하
     3.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1킬로미터 이하
     4. 멸실되거나 훼손된 지적기준점표지를 계속 보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폐기 가능

     정답 : []
     정답률 : 96%

2. 경위의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한 경우 실측거리가 100m일 때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 좌표로 계산한 거리의 교차는 몇 cm 이내여야 하는가?(2019년 06월)
     1. 3cm 이내
     2. 10cm 이내
     3. 13cm 이내
     4. 15cm 이내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 + L/10 (cm) (L : 경계점간 실측거리)
-> 3 + 100M/10 (cm) 이므로, 3 + 10 = 13 (cm) 입니다.
[해설작성자 : 스위밍]

3. 다음 지적재조사측량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스테이션측량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지적소관청은 위성측량, 토털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방법 등으로 지적재조사측량성과(지적기준점측량성과는 제외)의 정확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4. 경계점의 지적재조사측량성과와 지적재조사측량성과에 대한 검사의 연결교차가 ±0.1m 이내이면 지적재조사측량성과를 최종 측량성과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변환계수”란 절대좌표 변환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산출한 계수를 말한다.
     2. “편차량”이란 변환계수를 이용하여 세계측지계로 변환한 성과와 세계측지계 기준의 계산성과 또는 실측성과와의 차이를 말한다.
     3. “2차원 헬머트(Helmert) 변환”이란 2차원 평면상에서 이동·축척·회전을 이용하여 도형의 좌표를 변환하는 모델을 말한다.
     4. “공통점변환”이란 세계측지계 변환을 위해 공통점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5.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기를 사용하여 정지측량방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 측량 시 기지점과의 거리, 세션 관측시간, 데이터 취득간격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21년 06월)
     1. 5km 미만, 20분 이상, 40초 이하
     2. 5km 미만, 30분 이상, 30초 이하
     3. 10km 미만, 20분 이상, 30초 이하
     4. 10km 미만, 30분 이상, 40초 이하

     정답 : []
     정답률 : 94%

6.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에 의한 표고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정지측량 또는 이동측량에 의하며, 통합기준점, 수준점 및 표고가 등록된 지적기준점 등을 기지점으로 하여야 한다.
     2. 3점 이상의 표고점의 지오이드고를 내삽하여 소구점의 지오이드고를 산출하여 그 값과 타원체고와의 차이를 표고로 한다.
     3. 소구점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에 표고점이 있는 경우에는 소구점과 표고점간의 타원체고의 차이를 표고차로 한다.
     4. 국가 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지점에서 지오이드모델로부터 구한 지오이드고에서 고시된 타원체고 차이를 계산하고 소구점 지오이드고에 더하여 보정지오이드고를 산출하고 그 값과 타원체고와의 차이를 표고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7.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방법 및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6월)
     1. 폐합기선장의 총합이 10km 미만일 때 기선벡터 각 성분(△X, △Y, △Z)의 폐합차가 3cm를 초과하면 재관측하여야 한다.
     2. 관측점으로부터 위성에 대한 고도각은 10° 이상으로 한다.
     3. 정지측량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세션 관측시간은 10분 이상, 데이터 취득간격은 30초 이하로 한다.
     4.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PDOP은 3이내, 기선거리는 1km 이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8.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상 지적재조사지구의 지정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지적소관청은 지적재조사지구 지정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실시계획 수립 내용을 주민에게 서면으로 통보한 후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실시계획을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람하여야 한다.
     2. 시⋅도지사는 지적재조사지구를 지정할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 지적재조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지적소관청이 시⋅도지사에게 지적재조사지구 지정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지적재조사지구 토지소유자(국유지⋅공유지의 경우에는 그 재산관리청을 말한다.) 총수의 3분의 1 이상과 토지면적 3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대통령에게 지적재조사지구 지정 신청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9. 측량의 오차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우연오차는 확률법칙에 따르고 정오차는 측정횟수에 비례하여 누적된다.
     2. 직접 측정한 거리나 각을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해 계산된 값의 오차는 직접 측정량의 오차로부터 오차전파법칙에 따라 구할 수 있다.
     3. 직사각형 토지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길이를 여러 번 측정하여 최확값 x=10m, y=20m, 각각의 표준오차 σx=0.02m, σy=0.03m를 얻었다면 이 토지 면적의 표준오차는 0.05m2이다.
     4. 삼각수준측량에서 경사거리와 연직각을 관측하여 높이차 및 그 표준오차를 구할 때 각의 오차는 라디안 단위로 환산하여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10. 지적재조사측량에서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측량하는 경우 측량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정지측량
     2. 다중기준국실시간이동측량
     3. 지적평판측량
     4. 토털스테이션측량

     정답 : []
     정답률 : 91%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거리관측 단위는 1cm로 하며, 토지의 경계가 곡선인 경우에는 가급적 현재의 상태와 다르지 않게 경계점을 측정하여 연결한다.
     2.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3.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이나 2배각의 배각법에 의한다.
     4. 연직각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인 경우는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4%

12.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지적도근점 량을 1등도선으로 측정한 5개의 측선거리가 각각 100m, 150m, 70m, 120m, 160m일 때,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2019년 06월)
     1. 5√6cm 이하
     2. 7.5√6cm 이하
     3. 10√6cm 이하
     4. 15√6cm 이하

     정답 : []
     정답률 : 83%

13.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측량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지적삼각점측량의 계산은 평균계산법이나 망평균 계산법에 따를 것
     2.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계산은 도선법 또는 망평균 계산법에 따를 것
     3. 지적도근점측량의 계산은 방사법 및 다각망도선법에 따를 것
     4. 세부측량의 계산은 교회법 또는 다각망도선법에 따를 것

     정답 : []
     정답률 : 92%

14. 지적측량수수료의 반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측량의뢰 후 현지에 출장하여 의뢰인이 측량착수 전에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본 1필지에 대한 수수료의 10퍼센트를 차감한 잔액을 반환한다.
     2. 현지측량을 완료하였으나 지적측량수행자의 사정에 의하여 측량성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수료의 50퍼센트를 반환한다.
     3. 지적공부의 정리를 목적으로 실시한 측량을 완료하였으나 관계법규에 저촉되어 지적공부를 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측량의뢰인과 협의하여 업무를 종결하거나 지적현황측량으로 종목을 변경하고 그 차액을 반환한다.
     4. 수수료 기준을 잘못 적용하여 과다 수입되었음을 발견하면 30일 이내 과다 수입된 금액을 반환하며, 반환금액은 1천원 단위(1,000원 미만은 절상)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5.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측량성과 결정을 위한 지적재조사측량성과와 지적재조사측량성과에 대한 검사의 연결교차 범위를 옳게 짝지은 것은?(2020년 06월)
     1. 지적기준점: ±0.03m 이내, 경계점: ±0.07m 이내
     2. 지적기준점: ±0.05m 이내, 경계점: ±0.10m 이내
     3. 지적기준점: ±0.03m 이내, 경계점: ±0.15m 이내
     4. 지적기준점: ±0.05m 이내, 경계점: ±0.15m 이내

     정답 : []
     정답률 : 97%

16.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 스테이션측량의 방법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일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기초측량과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세부측량으로 구분한다.
     4. 세부측량과 기초측량은 국가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7. 도면의 축척이 1/600인 지역을 1/3,000로 잘못 측정한 결과 면적이 500m2였을 때 올바른 면적은?(2016년 06월)
     1. 15m2
     2. 20m2
     3. 25m2
     4. 30m2

     정답 : []
     정답률 : 82%

18. 다음 그림과 같은 수치(좌표)측량의 원과 직선 교차점 계산식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수선장 E=(PY-OY)cosα0-(Px-Ox)sinα0
     2. ϕ=cos-1(E/R)
     3. 방위각 VOA=VPA±ϕ
     4. AX=OX+R⋅cosVOA

     정답 : []
     정답률 : 51%

19. 「지적재조사 측량⋅조사 등의 수행자 선정기준」상 지적재조사사업 측량⋅조사 등의 수행자 선정에 있어서 동점자가 나온 경우,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하는 선정기준 평가항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1년 06월)
     1.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2.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3.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4.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정답 : []
     정답률 : 56%

20. 전자기파거리측량기에 의한 거리측량 시 거리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오차의 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기온측정 오차
     2. 위상차관측 오차
     3. 광변조주파수 오차
     4. 기압측정 오차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567573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기준점표지의 설치ㆍ관리 등에 관한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지적삼각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2킬로미터 이상 5킬로미터 이하
     2. 지적삼각보조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1킬로미터 이상 3킬로미터 이하
     3.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1킬로미터 이하
     4. 멸실되거나 훼손된 지적기준점표지를 계속 보존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폐기 가능

     정답 : []
     정답률 : 96%

2. 경위의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한 경우 실측거리가 100m일 때 경계점 간 실측거리와 경계점 좌표로 계산한 거리의 교차는 몇 cm 이내여야 하는가?(2019년 06월)
     1. 3cm 이내
     2. 10cm 이내
     3. 13cm 이내
     4. 15cm 이내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 + L/10 (cm) (L : 경계점간 실측거리)
-> 3 + 100M/10 (cm) 이므로, 3 + 10 = 13 (cm) 입니다.
[해설작성자 : 스위밍]

3. 다음 지적재조사측량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스테이션측량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지적소관청은 위성측량, 토털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방법 등으로 지적재조사측량성과(지적기준점측량성과는 제외)의 정확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4. 경계점의 지적재조사측량성과와 지적재조사측량성과에 대한 검사의 연결교차가 ±0.1m 이내이면 지적재조사측량성과를 최종 측량성과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규정」에 따른 용어의 정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변환계수”란 절대좌표 변환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산출한 계수를 말한다.
     2. “편차량”이란 변환계수를 이용하여 세계측지계로 변환한 성과와 세계측지계 기준의 계산성과 또는 실측성과와의 차이를 말한다.
     3. “2차원 헬머트(Helmert) 변환”이란 2차원 평면상에서 이동·축척·회전을 이용하여 도형의 좌표를 변환하는 모델을 말한다.
     4. “공통점변환”이란 세계측지계 변환을 위해 공통점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5.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기를 사용하여 정지측량방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 측량 시 기지점과의 거리, 세션 관측시간, 데이터 취득간격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21년 06월)
     1. 5km 미만, 20분 이상, 40초 이하
     2. 5km 미만, 30분 이상, 30초 이하
     3. 10km 미만, 20분 이상, 30초 이하
     4. 10km 미만, 30분 이상, 40초 이하

     정답 : []
     정답률 : 94%

6.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에 의한 표고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정지측량 또는 이동측량에 의하며, 통합기준점, 수준점 및 표고가 등록된 지적기준점 등을 기지점으로 하여야 한다.
     2. 3점 이상의 표고점의 지오이드고를 내삽하여 소구점의 지오이드고를 산출하여 그 값과 타원체고와의 차이를 표고로 한다.
     3. 소구점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에 표고점이 있는 경우에는 소구점과 표고점간의 타원체고의 차이를 표고차로 한다.
     4. 국가 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지점에서 지오이드모델로부터 구한 지오이드고에서 고시된 타원체고 차이를 계산하고 소구점 지오이드고에 더하여 보정지오이드고를 산출하고 그 값과 타원체고와의 차이를 표고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7.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방법 및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6월)
     1. 폐합기선장의 총합이 10km 미만일 때 기선벡터 각 성분(△X, △Y, △Z)의 폐합차가 3cm를 초과하면 재관측하여야 한다.
     2. 관측점으로부터 위성에 대한 고도각은 10° 이상으로 한다.
     3. 정지측량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세션 관측시간은 10분 이상, 데이터 취득간격은 30초 이하로 한다.
     4.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PDOP은 3이내, 기선거리는 1km 이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8.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상 지적재조사지구의 지정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지적소관청은 지적재조사지구 지정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실시계획 수립 내용을 주민에게 서면으로 통보한 후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실시계획을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람하여야 한다.
     2. 시⋅도지사는 지적재조사지구를 지정할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 지적재조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지적소관청이 시⋅도지사에게 지적재조사지구 지정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지적재조사지구 토지소유자(국유지⋅공유지의 경우에는 그 재산관리청을 말한다.) 총수의 3분의 1 이상과 토지면적 3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대통령에게 지적재조사지구 지정 신청을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9. 측량의 오차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우연오차는 확률법칙에 따르고 정오차는 측정횟수에 비례하여 누적된다.
     2. 직접 측정한 거리나 각을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해 계산된 값의 오차는 직접 측정량의 오차로부터 오차전파법칙에 따라 구할 수 있다.
     3. 직사각형 토지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길이를 여러 번 측정하여 최확값 x=10m, y=20m, 각각의 표준오차 σx=0.02m, σy=0.03m를 얻었다면 이 토지 면적의 표준오차는 0.05m2이다.
     4. 삼각수준측량에서 경사거리와 연직각을 관측하여 높이차 및 그 표준오차를 구할 때 각의 오차는 라디안 단위로 환산하여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10. 지적재조사측량에서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측량하는 경우 측량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정지측량
     2. 다중기준국실시간이동측량
     3. 지적평판측량
     4. 토털스테이션측량

     정답 : []
     정답률 : 91%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거리관측 단위는 1cm로 하며, 토지의 경계가 곡선인 경우에는 가급적 현재의 상태와 다르지 않게 경계점을 측정하여 연결한다.
     2.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3. 수평각 관측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이나 2배각의 배각법에 의한다.
     4. 연직각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5분 이내인 경우는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4%

12.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지적도근점 량을 1등도선으로 측정한 5개의 측선거리가 각각 100m, 150m, 70m, 120m, 160m일 때, 연결오차의 허용범위는?(2019년 06월)
     1. 5√6cm 이하
     2. 7.5√6cm 이하
     3. 10√6cm 이하
     4. 15√6cm 이하

     정답 : []
     정답률 : 83%

13.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측량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지적삼각점측량의 계산은 평균계산법이나 망평균 계산법에 따를 것
     2.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계산은 도선법 또는 망평균 계산법에 따를 것
     3. 지적도근점측량의 계산은 방사법 및 다각망도선법에 따를 것
     4. 세부측량의 계산은 교회법 또는 다각망도선법에 따를 것

     정답 : []
     정답률 : 92%

14. 지적측량수수료의 반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측량의뢰 후 현지에 출장하여 의뢰인이 측량착수 전에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본 1필지에 대한 수수료의 10퍼센트를 차감한 잔액을 반환한다.
     2. 현지측량을 완료하였으나 지적측량수행자의 사정에 의하여 측량성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수료의 50퍼센트를 반환한다.
     3. 지적공부의 정리를 목적으로 실시한 측량을 완료하였으나 관계법규에 저촉되어 지적공부를 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측량의뢰인과 협의하여 업무를 종결하거나 지적현황측량으로 종목을 변경하고 그 차액을 반환한다.
     4. 수수료 기준을 잘못 적용하여 과다 수입되었음을 발견하면 30일 이내 과다 수입된 금액을 반환하며, 반환금액은 1천원 단위(1,000원 미만은 절상)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15.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측량성과 결정을 위한 지적재조사측량성과와 지적재조사측량성과에 대한 검사의 연결교차 범위를 옳게 짝지은 것은?(2020년 06월)
     1. 지적기준점: ±0.03m 이내, 경계점: ±0.07m 이내
     2. 지적기준점: ±0.05m 이내, 경계점: ±0.10m 이내
     3. 지적기준점: ±0.03m 이내, 경계점: ±0.15m 이내
     4. 지적기준점: ±0.05m 이내, 경계점: ±0.15m 이내

     정답 : []
     정답률 : 97%

16.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지적재조사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기초측량은 위성측량 및 토털 스테이션측량의 방법으로 한다.
     2. 세부측량은 위성측량, 토털 스테이션측량 및 항공사진측량 등의 방법으로 한다.
     3. 일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기초측량과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세부측량으로 구분한다.
     4. 세부측량과 기초측량은 국가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17. 도면의 축척이 1/600인 지역을 1/3,000로 잘못 측정한 결과 면적이 500m2였을 때 올바른 면적은?(2016년 06월)
     1. 15m2
     2. 20m2
     3. 25m2
     4. 30m2

     정답 : []
     정답률 : 82%

18. 다음 그림과 같은 수치(좌표)측량의 원과 직선 교차점 계산식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수선장 E=(PY-OY)cosα0-(Px-Ox)sinα0
     2. ϕ=cos-1(E/R)
     3. 방위각 VOA=VPA±ϕ
     4. AX=OX+R⋅cosVOA

     정답 : []
     정답률 : 51%

19. 「지적재조사 측량⋅조사 등의 수행자 선정기준」상 지적재조사사업 측량⋅조사 등의 수행자 선정에 있어서 동점자가 나온 경우,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하는 선정기준 평가항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1년 06월)
     1.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2.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3.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 →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 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4. 최근 3년내 지적재조사측량 수행실적→지적측량기술자 → 측량장비 → 지적재조사측량⋅조사 수행계획서

     정답 : []
     정답률 : 56%

20. 전자기파거리측량기에 의한 거리측량 시 거리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오차의 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기온측정 오차
     2. 위상차관측 오차
     3. 광변조주파수 오차
     4. 기압측정 오차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567573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93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1월18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92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91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90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351100)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5675733)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288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2691619)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7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905366)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6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4712729)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28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3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2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1 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80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597680)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9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8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7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4904174)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6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5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517064)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274 가스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176 Next
/ 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