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830067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물류일반


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조직구성원에 대한 성과평가방법으로 옳은 것은?(2022년 05월)

   

     1. 행동관찰척도법(BOS: behavioral observation scales)
     2. 단순서열법(simple ranking method)
     3. 쌍대비교법(paired-comparison method)
     4. 행위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5. 강제배분법(forced distribution metho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강제배분법은 전체의 평점등급을 수,우,미,양,가 또는 A,B,C,D,E 등 5등급으로 나누어 각 급 에다 피고과자의 총액의 10%,20%,40%,20%,10%을 강제 할당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 싫어.]

2. 다음 박스의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2015년 07월)

   

     1. 복합형 생활건물
     2. 주상복합건물
     3. 시장정비건물
     4. 근린건물
     5. 상가건물

     정답 : []
     정답률 : 47%

3. 유통경로의 세 가지 구성원(제조업체-도매업체-소매업체)간에는 서로 주도자가 되기 위해 권력(power)을 행사하려고 하는데, 소매업체 권력의 원천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10월)
     1. 제조업체의 제품 브랜드가 구매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경우
     2. 제조업체에 전속된 소매업체인 경우
     3. 소매업체가 집중적인 구매를 하는 경우
     4. 도매업체가 소매업체에게 의도적으로 공급을 지연하는 경우
     5. 전방통합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4. 경제활동의 윤리적 환경과 조건을 세계 각국 공통으로 표준화하려는 것으로 비윤리적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국제거래에서 제한하는 움직임을 뜻하는 것은?(2023년 08월)
     1. 우루과이라운드
     2. 부패라운드
     3. 블루라운드
     4. 그린라운드
     5. 윤리라운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윤리적 행위를 기업 경영활동에 적용하려는 국제적 시도로서 경제활동의 윤리적 환경과 조건을 세계 각국 공통으로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비윤리적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국제 거래에서 규제하자는 것이 대표적인 움직임이다. 무역장벽 철폐를 목적으로 한 우루과이라운드(UR), 환경보호를 위한 그린라운드(GR), 부패추방을 위한 부패라운드(CR)에 이어 21세기 기업의 생존에 필요한 필수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 사전
[해설작성자 : 비기]

5. 자재·부품·서비스·설비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지 않고 외부에서 구매하거나 외주를 주는 일반적인 이유를 기업 측면에서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설계, 제조 및 배송 프로세스 등에 직접 관여하여 리드타임과 물류비를 쉽게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자재에 대해서 비용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3. 충분한 생산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나 수요가 예상보다 갑자기 증가하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4. 기업이 특정 품목을 생산할 만한 기술과 전문성이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5. 공급자가 우수한 기술과 공정, 숙련된 작업자 등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구매 부품이 품질 면에서 더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6. 택배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택배란 운송물을 고객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에서 수탁하여 수하인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까지 운송하여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2. 일반적으로 소형, 소량화물의 배송에 적합한 운송체제이다.
     3. 원칙적으로 화물운송 전 과정에 걸쳐 운송인이 일관적으로 책임을 부담한다.
     4. 도시 간 지선수송과 도시 내 집배송, 간선배송을 연계시키는 운송이다.
     5. 택배운송업의 집배송차량이 도시 내에서 화물을 집화하고 배송하기 위해서는 도심 내 권역별 화물터미널의 확보를 통한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지선수송(Feeder Service)피더서비스에는 도로, 철로, 내외항    선박에 의한 보조적인 수송 모두를
포함하나 협의의 피더서비스는 해상수송에 한정된다.
[해설작성자 : AJ29]

도시 간 '간선수송'과 도시내 '지선수송'
[해설작성자 : 야호]

4번 도시 간 간선운송과 도시 내 집배송 그리고 지선운송을 연계시키는 운송
[해설작성자 : 강만두]

7. 다음 글상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이것은?(2016년 07월)

   

     1. 유통경로 관리
     2. 유통경로 성과평가
     3. 유통경로 설계
     4. 유통경로 갈등관리
     5. 유통경로 영향력 전략

     정답 : []
     정답률 : 75%

8. 소매상의 구매관리에서 적정한 거래처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구매자의 목표 달성에 부합되는 적정 품질
     2. 최적의 가격
     3. 적정서비스 수준
     4. 납기의 신뢰성
     5. 역청구(chargebacks) 가능성 여부

     정답 : []
     정답률 : 80%

9. 운송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파이프라인의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고 특정형태의 상품만을 수송하는데 유리하다.
     2. 항공수송은 부피가 작고 부패성이 높은 고가의 상품인 경우 유용하다.
     3. 해상운송과 트럭을 함께 사용하는 수송방식을 피기백(piggy back)방식이라 한다.
     4. 버디백(birdy back)방식은 트럭과 항공운송을 결합한 방식이다.
     5. 트럭은 일반적으로 소량의 상품을 단거리 수송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10. 제3자물류가 제공하는 혜택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여러 기업들의 독자적인 물류업무 수행으로 인한 중복투자 등 사회적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탁업체들의 경쟁을 통해 물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유통 등 물류를 아웃소싱함으로써 리드타임의 증가와 비용의 절감을 통해 고객만족을 높여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3. 기업들은 핵심부문에 집중하고 물류를 전문업체에 아웃소싱하여 규모의 경제 등 전문화 및 분업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4. 아웃소싱을 통해 제조∙유통업체는 자본비용 및 인건비 등이 절감되고, 물류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화주기업의 비용을 절감해 준다.
     5. 경쟁력 강화를 위해 IT 및 수송 등 전문업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비용절감 및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리드타임의 증가가 아니라 리드타임의 감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초보]

11. 제품 또는 서비스 등을 거래하는 데 수반되는 거래비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코즈(Coase)의 견해에 의하면,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장을 통한 거래비용이 내부조직 구축비용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2. 거래비용은 다른 기업과 거래하기 전에 정보수집 비용, 협상비용, 계약이행비용 등을 비롯하여 최초계약의 불완전으로 인한 비용을 모두 포함한다.
     3. 거래비용이론은 유통경로시스템 구성원들 간의 기회주의적 행동경향을 기본적인 가정으로 하고 있으며, 거래비용으로 인하여 시장실패의 가능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4. 거래비용이론에서는 유통시장에 소수의 거래자만이 참가하거나 자산의 특수성이 존재하는 경우 경로구성원들 간에 거래비용이 커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계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5. 거래비용이론에 의하면 거래 특유적 자산이 이전될 경우 교환파트너의 기회주의적 행동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높아져, 철저한 감시체계나 타율적 제재 등 권위통제메커니즘을 통한 보호 장치의 필요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직적 통합의 가능성을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나) 코즈(Coase)의 관점에서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장을 통한 거래비용이 기업조직을 통한 경제활동비용에 비해 훨씬 높기에 내부조직이 생겨난다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고객서비스의 구성요소는 거래전 요소, 거래중 요소, 거래후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거래중 요소들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11월)

    

     1. (가), (나), (다)
     2. (나), (다)
     3. (가), (라), (마)
     4. (다), (라)
     5.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21%

13. 다음 박스의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7월)

    

     1. 화물운송정보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2.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3.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TRS: Trunked Radio System)
     4.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5. 화물운송정보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정답 : []
     정답률 : 59%

14. 한 유통업체에서는 A상품을 연간 19,200개 정도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상품의 1회 주문비가 150원, 연간 재고유지비는 상품 당 16원이라고 할 때 경제적주문량(EOQ)은?(2020년 06월)
     1. 600개
     2. 650개
     3. 700개
     4. 750개
     5. 800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EOQ = 루트[(2 * 수요량 * 주문비용) / 재고유지비]

> 루트[(2* 19200 * 150) / 16]
> 루트[ (360000) ]

> 600개

15. 물류와 고객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고수준이 낮아지면 고객서비스가 좋아지므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추가재고 보유비용의 관계가 적절한지 고려해야 한다.
     2. 주문을 받아 물품을 인도할 때까지의 시간을 리드타임이라고 한다면 리드타임은 수주, 주문처리, 물품준비, 발송, 인도시간으로 구성된다.
     3. 리드타임이 길면 구매자는 그동안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재고를 늘리게 되므로 구매자의 재고비용이 증가한다.
     4. 효율적 물류관리를 위해 비용의 상충(trade-off)관계를 분석하고 최상의 물류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5. 동등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 여럿있을 때 그 중 비용이 최저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물류관리의 과제 중 하나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유통기업의 경영전략을 계층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에서 사업전략(business strategy)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10월)
     1. 최근 외부적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업태를 개발한다.
     2. 우리기업과 유사한 경쟁기업을 인수한다.
     3. PB상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제조기업에 지분투자를 한다.
     4.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 고급화를 추구한다.
     5. 판매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교육과 근로환경을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17. 아래 글상자에서 글로벌 제품조직(global product struc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2025년 08월)

    

     1.
     2. ㉠, ㉡
     3. ㉠, ㉡, ㉢
     4. ㉠, ㉡, ㉢, ㉣
     5. ㉠, ㉡, ㉢, ㉣, ㉤

     정답 : []
     정답률 : 48%

1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유통경영조직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기능화의 원칙
     2. 권한위양의 원칙
     3. 명령통일의 원칙
     4. 관리한계의 원칙
     5. 조정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능화의 원칙 : 사람이 아닌 직무 중심의 조직 개편
권한 위양의 원칙 : 조직이 커지면 상사는 중요성에 따라 권한의 일부를 부하직원에게 위임해야 한다는 원칙
명령통일의 원칙 : 한사람의 직속상관에게만 보고하고 그로부터 명령은 받아야 함
관리 한계의 원칙 : 상급자가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하급자의 수는    한정적임
[해설작성자 : 유관사뽀개기]

19. 유통산업발전법(법률 제19117호, 2022.12.27., 타법개정)의 제2조 정의에서 기술하는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매장이란 상품의 판매와 이를 지원하는 용역의 제공에 직접 사용되는 장소를 말한다. 이 경우 매장에 포함되는 용역의 제공 장소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임시시장이란 다수(多數)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일정한 기간 동안 상품을 매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3. 상점가란 일정 범위의 가로(街路) 또는 지하도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도매점포·소매점포 또는 용역점포가 밀집하여 있는 지구를 말한다.
     4. 전문상가단지란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여러 도매업자 또는 소매업자가 일정 지역에 점포 및 부대시설 등을 집단으로 설치하여 만든 상가단지를 말한다.
     5. 공동집배송센터란 여러 유통사업자 또는 물류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집배송시설 및 부대업무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및 시설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물류업자 X    ->    제조업자 O
“공동집배송센터”란 여러 유통사업자 또는 제조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집배송시설 및 부대업무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및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릴리]

20. 소매업체의 업종과 업태를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소유 및 운영 주체에 따라 점포소매상과 무점포 소매상으로 나눌 수 있다.
     2.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로 분류할 수 있다.
     3. 판매하는 방법에 따라 업종별로 분류할 수 있다.
     4. 상품계열에 따라 완전서비스 도매상과 한정서비스 도매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5. 마진과 회전율 같은 소매상의 전략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21. POS(point of sales)시스템의 업무처리절차가 옳게 나열된 것은?(2025년 08월)
     1.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스토어 컨트 롤러에서 POS 시스템으로 발신 - 정보가 스토어 컨트 롤러로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2.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스토어 컨트 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3.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롤러로 발신 - POS 단말기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4.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5.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 롤러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정답 : []
     정답률 : 45%

22. 유통과 유통경로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유통의 상적기능에는 소유권이전기능, 매매기능, 장소적 조정기능이 포함된다.
     2. 수직적경로시스템이란 생산자가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유통구조의 통로를 말한다.
     3. 유통경로에서 중간상이 생략됨으로써 유통이 단순화, 통합화되어 실질적인 거래비용이 감소되는 것을 총 거래수 최소원칙이라고 한다.
     4. 제조분야는 변동비 비중이 고정비보다 커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하지만, 유통은 고정비 비중이 커서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고정비 우위의 원리가 적용된다.
     5. 도매상이 대량으로 보관하고 소매상은 적정량만 보관하므로 상품의 사회적 보관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집중준비의 원리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장소적 조정기능은 '물적기능'에 속함
2. 위 글은 '유통경로'에 대한 글임
4.제조분야는 고정비가 변동비 비중보다 큼

[추가 해설]
3번은 중간상이 개입입니다

23. 물류채산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비용상충분석은 이율배반적인 관계가 발생하는 경우 수익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선택하는 방법이다.
     2. 일률적인 계산방식보다 상황에 맞는 계산방식을 활용한다.
     3. 물류의 원가로는 미래원가, 실제원가를 사용한다.
     4. 총비용접근분석법은 각 비용의 부분적인 절감이 아닌 총액의 관점에서 비용절감에 대해 분석하는 방법이다.
     5. 개선이나 투자가 필요한 부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① : 비용상충분석은 비용을 중심으로 비교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2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리더십 유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5월)

    

     1. 거래적 리더십
     2. 변혁적 리더십
     3. 상황적 리더십
     4. 지시형 리더십
     5. 위임형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리더와 구성원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여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스스로 추구하도록 만드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25. 중간상의 사회적 존재 타당성에 대한 설명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2021년 08월)
     1. 제조업은 고정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변동비보다 크다.
     2. 제조업자가 중간상과 거래하여 사회적 총 거래수가 감소한다.
     3. 유통업은 고정비보다 변동비의 비율이 높다.
     4. 중간상이 배제되고 제조업이 유통의 역할을 통합하는 것이 비용측면에서 이점이 크지 않다.
     5. 제조업체가 변동비를 중간상과 분담함으로써 비용면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총 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3: 변동비 우위의 원칙
[해설작성자 : 발등에 떨어진 불 따뜻하다]

1,3,4,5는 변동비 우위의 원칙에 대한내용
2는 총 거래수 최소화의 원칙내용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따면 100만원]

2과목 : 상권분석


2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한 상권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11월)
     1. 토지이용 등의 정보는 면(面) 데이터로 지도에 수록된다.
     2. 지하철노선, 도로 등은 선(線) 데이터로 지도에 수록된다.
     3. 고객의 인구통계정보는 DB로 구축하여 표적고객집단 파악, 상권경계선 추정 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4. 주제도 작성, 공간 조회, 버퍼링을 통해 효과적인 상권 분석이 가능하다.
     5.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상권분석정보는 대규모점포에 한정하여 상권분석, 입지선정, 잠재수요 예측, 매출액 추정에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점포의 입지선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14년 04월)
     1. 지역 내 주민의 인구통계학적 사항
     2. 지역 내 산업체의 수출품목 수와 종업원 수
     3. 지역 내 주민의 소득수준
     4. 지역 내 잠재고객의 구매관습
     5. 지역 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의 종류

     정답 : []
     정답률 : 60%

28. 입지의사결정 과정에서 점포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조건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1월)
     1. 상권단절요인에는 하천, 학교, 종합병원, 공원, 주차장, 주유소 등이 있다.
     2. 주변을 지나는 유동인구의 수보다는 인구특성과 이동방향 및 목적 등이 더 중요하다.
     3. 점포가 보조동선 보다는 주동선상에 위치하거나 가까울수록 소비자 유입에 유리하다.
     4. 점포나 부지형태는 정방형이 장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5. 층고가 높으면 외부가시성이 좋고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점포나 부지형태는 '장'방형이 '정'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설명이 거꾸로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123]

29. 입지의 매력도 평가 원칙 중 유사하거나 보완적인 소매 업체들이 분산되어 있거나 독립되어 있는 경우보다 군집하여 있는 경우가 더 큰 유인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원칙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보충가능성의 원칙
     2. 고객차단의 원칙
     3. 동반유인의 법칙
     4. 접근가능성의 원칙
     5. 점포밀집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충가능성의 원칙- 두개의 사업이 고객을 서로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면 매출액이 높아짐
고객차단의 원칙- 고객이 특정 지역에서 타지역으로 이동시 점포를 방문함
동반유인의 원칙- 유사하거나 보충적인 소매업이 흩어진 것보다 군집해서 더 큰 유인잠재력을 갖게함
접근가능성의 원칙- 지리적으로 인접하거나 교통이 편리하면 매출을 증대시킴
점포밀집의 원칙- 지나치게 유사한 점포나 보충 가능한 점포는 밀집하면 매출액이 감소
[해설작성자 : 미나]

30. 비교적 넓은 공간인 도시, 구, 동 등의 상권분석 상황에서 특정지역의 개략적인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구매력지수(BPI: Buying Power Index)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부분 지역들의 인구수(population)
     2. 전체 지역의 인구수(population)
     3. 부분 지역들의 소매점면적(sales space)
     4. 부분 지역들의 소매매출액(retail sales)
     5. 부분 지역들의 가처분소득(effective buying incom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구매력지수는(BPI)
BPI=(인구수x0.2)+(소매 매출액x0.3)+(소득비x0.5) 이므로
3번 소매면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10002Hertz]

31. 기존 점포 상권의 공간적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고객이나 거주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조사기법과 관련성이 가장 먼 것은?(2015년 05월)
     1. 점두조사
     2. 내점객조사
     3. 지역표본추출조사
     4. 체크리스트법
     5. CST(Customer Spotting Technique) map

     정답 : []
     정답률 : 54%

32. 상권을 구분하거나 상권별 대응전략을 수립할 때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상권의 개념과 일반적 특성을 설명한 내용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1월)
     1. 1차상권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상대적으로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2. 1차상권은 전체상권 중에서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을 의미하는데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약 60% 정도까지를 차지하지만 그 비율은 절대적이지 않다.
     3.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주변에 위치하여 매출이나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4.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 범위로, 많은 경우 지역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위치하여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낮다.
     5. 3차상권은 상권내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1차상권에 비해 높으며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차상권 : 점포 기준 직경 1km 이내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60~70%. 점포에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로 구성되며, 이용 빈도가 가장 높고 매출액 비중도 가장 높음. 생필품 중심 식품류, 편의품류 구성.
2차상권 : 점포 기준 직경 2km 이내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20~30%. 1차상권 외곽에 있으며, 전체 점포 이용 고객의 10% 내외를 흡인하는 지역 범위. 1차상권에 비해 비교적 넓게 분산되어 있음.
3차상권 : 점포기준 직경 2km 이외의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5~10%. 상권 외곽, 1/2차상권 외의 고객들이 거주하는 지역. 고객들이 매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고객 수와 빈도가 낮아 매출액 비중이 낮음.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33. 상권분석 기법들에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중심지이론에 의하면 최대도달거리보다 최소수요 충족거리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2. 체크리스트법과 유추법은 기술적방법(descriptive method)에 속한다.
     3. CST map은 점포간의 상권의 잠식상태를 표현하는데 쓰일 수 있다.
     4. 확률적 점포선택 모델에서 특정점포의 효용은 점포의 매력도를 나타낸다.
     5.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에서 실제거리와 소비자가 지각하는 거리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34. 점포 입지에 영향을 주는 유통활동 중 상류와 물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상류는 상적 유통의 준말로 유통의 거래에 관한 제도적 측면의 기능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2. 물류는 물적 유통의 준말로 제품의 실질적 이동 및 보관에 관련된 사항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3. 기업이익창출 관점에서 볼 때 상류는 이익을 극대화하고, 물류는 비용을 극대화하는 목적이 있다.
     4. 상적 유통활동은 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최대화를 지향하게 된다.
     5. 물적 유통활동은 물적교류권의 축소와 수송거리의 단축화를 지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5. 폐업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절차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5월)
     1. 직원 4대보험 상실 신고
     2. 폐업 후 부가가치세 신고
     3. 지급명세서 제출
     4. 폐업 후 소득세 신고
     5. 점포임대차계약 종료증명서 제출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점포임대차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계약이므로 폐업시 계약관계가 끊어져 제출할 필요가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제품 및 업종형태와 상권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식품은 대부분 편의품이지만, 선물용 식품은 선매품이고 식당이 구매하는 일부 식품은 전문품일 수 있다.
     2. 선매품을 취급하는 소매점포는 편의품보다 상위의 소매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더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져야 한다.
     3. 소비자는 생필품을 구매거리가 짧고 편리한 장소에서 구매하려 하므로 생필품을 취급하는 점포는 주택지에 근접한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으므로 그 상권은 밀도가 높고 범위는 좁은 특성을 가진다.
     5. 동일업종이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구성에 따라 점포의 상권 범위가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잠재고객이 지역적으로 널리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권의 밀도는 낮으나, 범위는 넓은 특성을 갖고 있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7. 도시의 공간구조는 도심, 부도심, 주거지, 산업지구, 교외 등으로 계층을 이루며 이에 따라 도시의 상권도 계층구조를 갖는다. 상업입지들 가운데 공간구조의 특징 때문에 쇼핑센터를 계획적으로 개발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2017년 04월)
     1. 도심 쇼핑센터
     2. 부도심 쇼핑센터
     3. 주거지 인근 상점가
     4. 교외 광역쇼핑센터
     5. 교외 파워쇼핑센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주거지 인근 상점가가 저차중심지라 계획적으로 쇼핑센터를 만들기 힘듬.

38. 입지를 선정할 때 취급상품의 물류비용을 고려할 필요성이 가장 낮은 도매상은?(2017년 04월)
     1. 산업재 도매상
     2. 현금거래 도매상
     3. 제조업자 도매상
     4. 트럭도매상
     5. 브로커(broker)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5. 브로커는 구매자와 판매자를 알선하거나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취급상품의 물류비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소매점포 입지조건의 평가를 위한 교통통행량 또는 유동인구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교통통행량 계측시에는 차종을 구별해야 한다.
     2. 조사일정은 주중, 주말, 휴일 등을 구분해야 한다.
     3. 조사시간은 영업시간대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4. 유동인구수보다 이동목적 파악이 더 중요할 수 있다.
     5. 퇴근동선보다 출근동선을 중시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0. 최근 민주는 조금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려고 결정하였다. 현재 민주가 살고 있는 도시는 주변에 인구 250만 명인 A시, 1000만명인 B시 사이에 있는 위성도시이다. 현재 민주네 집에서 A시까지는 12km, B시까지는 24km 떨어져 있다고 할 때 민주의 이사에 따른 변화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10월)
     1. A시에서 13km, B시에서 23km 떨어진 곳으로 이사를 하면 B시의 점포를 이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2. A, B도시를 연결하는 직선상에서 B시 쪽으로 이사를 가야 A시와 B시의 점포이용에 대한 무차별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3. 현재 거주하는 집에서 민주는 A시에서 점포를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4. B시 점포를 더 많이 이용하려면 A시와 B시까지의 거리가 1:2비율로 떨어진 지역을 선택하면 된다.
     5. 민주가 A시 점포를 더 많이 이용하려면 역설적으로 B시와 더 가까운 곳으로 이사 가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41. 소매점포의 입지조건을 평가할 때 점포의 건물구조 등 물리적 요인과 관련한 일반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점포 출입구에 단차를 만들어 사람과 물품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2. 건축선후퇴는 타 점포에 비하여 눈에 띄기 어렵게 하므로 가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3. 점포의 형태가 직사각형에 가까우면 집기나 진열선반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쉽고 데드스페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4. 건물너비와 깊이에서 점포의 정면너비가 깊이보다 넓은 형태(장방형)가 가시성 확보 등에 유리하다.
     5. 점포건물은 시장규모에 따라 적정한 크기가 있다. 일정규모수준을 넘게 되면 규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단차 = 계단
계단이 있으면 출입 용이가 어렵겠죠?
[해설작성자 : 윰윰윰]

42. 입지유형에 따른 일반적 상권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중심지체계에서 도심상권은 상대적으로 소비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길다.
     2. 중심업무지구(CBD)는 주간과 야간의 인구차이가 뚜렷하다.
     3. 아파트단지 상권의 경우, 개별점포의 면적을 아파트세대수로 나누어 점포 입지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4. 아파트단지 상권의 외부에서 구매하는 소비성향은 소형평형단지 보다 대형평형단지의 경우가 더 높다.
     5. 역세권상권은 대중교통이 집중되는 연결점이기 때문에 입체적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개별점포 면적이 아닌 가구당 점포면적으로 입지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jbhdm]

43. 임차할 점포를 평가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입점 가능한 업종
     2. 임대면적 중 전용면적
     3. 점포 소유자의 전문성
     4. 점포의 권리관계
     5. 점포의 인계 사유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임차인의 전문성이라면 영업 노하우 등을 가져서 고려해야할 수 있음.
그러나 점포 소유자는 걍 건물주임 따라서 고려해야할 필요 없음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한방 합격 가즈아...]

44. 소매포화지수(IRS)는 지역시장의 공급대비 수요수준을 총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지표의 하나이다. 소매포화지수를 구하는 공식의 분모(分母)에 포함되는 요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3년 08월)
     1. 관련 점포의 총매출액
     2. 관련 점포의 총매장면적
     3. 관련 점포의 고객수
     4. 관련 점포의 총영업이익
     5. 관련 점포의 종업원수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소매포화지수 = 지역시장의 총가구수 x 가구당 특정업체에 대한 지출액 / 특정업체의 총 매장면적
[해설작성자 : 비기]

45. 상권내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점포의 상대적 매력도를 파악할 수는 있으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수는 없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사점포법
     2. MNL모델
     3. 허프모델
     4. 회귀분석법
     5. 체크리스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법은 매출액을 수치화하기 어렵기때문에 추정할수도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과목 : 유통마케팅


46. 회계데이터를 기초로 유통마케팅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고객 만족도 조사
     2. 고객 획득률 및 유지율 측정
     3. 매출액 분석
     4. 브랜드 자산 측정
     5. 고객 생애가치 측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회계데이터는 재무와 관련된 것이므로 보기 중에서 돈 얘기를 하고 있는 걸 고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Freshbread]

47. 고객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일반적으로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것 보다 기존고객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더 높다.
     2. 고객과 지속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기업경영의 중요 성공요소 중 하나이다.
     3. 경쟁자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하여야 고객 획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효과적인 애호도 증진 프로그램 등을 통해 고객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고객유지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데 드는 비용이 더 높다.
[해설작성자 : 도일동]

48. 상품의 판매촉진을 위한 광고(advertis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10월)
     1. 메시지가 복잡한 경우에는 빈도(frequency)보다는 도달범위(reach)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광고의 노출빈도가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광고효과가 떨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광고의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라고 한다.
     3. 유머소구(humor appeal)광고는 소비자의 주의를 끄는데 효과적이며 제품 특성을 이해시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4. 인포머셜(informercial)이란 의도적으로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선별하여 다양한 근거를 통해 반박하는 형태의 광고를 말한다.
     5. 총접촉률(gross rating points;GRP)은 도달범위(reach)에 도달횟수(frequency)를 곱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총접촉률(gross rating points;GRP)은 도달범위에 평균 도달횟수를 곱한 값
[해설작성자 : 4일]

49. 머천다이징 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사항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사회ㆍ경제적 환경과 경쟁상황 및 시장 트렌드 파악
     2. 효율적 적정 재고수준 결정 및 판매에 대비한 재고수준 관리
     3. 우수한 제품의 원활한 조달을 위한 지속적인 바이어 관리 및 협력
     4. 효율적 매입을 위한 공급업체와의 관계유지 및 중간상 판촉의 계획 수립 및 진행
     5. 향상된 머천다이징을 위한 이번 회기의 성과 평가 및 다음 회기를 위한 제품선정

     정답 : []
     정답률 : 12%

50. 다음 중 마케팅믹스 요소인 4P 중 유통(place)을 구매자의 관점인 4C로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고객비용(customer cost)
     2. 편의성(convenience)
     3. 고객문제해결(customer solution)
     4.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5. 고객맞춤화(customization)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P - 4C
        place - convenience
    product - customer value
        price - cost
promotion - communication
[해설작성자 : 홈즈hz]

4C
고객 (Customer Value)
비용 (Cost)
편의 (Convenience)
소통 (communication)
[해설작성자 : 230826시험예정 ]

51.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과 대중마케팅 (mass marketing)의 차별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목표고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다면 CRM은 고객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대일 마케팅을 지향한다.
     2. 커뮤니케이션 방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이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한다면 CRM은 쌍방향적이면서도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3. 생산방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은 대량생산, 대량판매를 지향했다면 CRM은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을 지향한다.
     4. CRM은 개별 고객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중마케팅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5. 소비자 욕구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은 목표고객의 특화된 구매욕구의 만족을 지향하는 반면 CRM은 목표고객들의 동질적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마지막 답은 딱봐도 CRM과 대중마케팅의 내용을 반대로 쓴게 보이시죠?^^
[해설작성자 : 그만하고싶다]

52. 유통경로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1월)
     1. 새로운 중간상들의 수와 비율
     2. 단위당 총 유통비용
     3. 손상된 제품의 비율
     4. 재고부족방지를 위한 관련 비용
     5. 역할에 대한 의견 일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76%

53. 경쟁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을 모두 고르면?(2018년 11월)

    

     1. 가, 나, 다
     2. 가, 나, 라
     3. 나, 다, 라
     4. 나, 다, 마
     5. 다, 라, 마

     정답 : []
     정답률 : 71%

54. 아래 글상자의 ( ㉠ )과 ( ㉡ )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 후방통합, ㉡ 전방통합
     2. ㉠ 전방통합, ㉡ 후방통합
     3. ㉠ 경로통합, ㉡ 전방통합
     4. ㉠ 전략적 제휴, ㉡ 후방통합
     5. ㉠ 전략적 제휴, ㉡ 경로통합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방통합- 제조회사가 자사의 유통센터나 소매상을 통해서 판매하는 경우
후방통합- 소매상이나 도매상 등 유통업체가 제조회사를 소유하게 되는 경우

전방기능 흐름의 통합은 유통업체의 관점에서 상품의 공급흐름방향에 존재하는 경로 구성원을 통합하는 것이다.
-전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 물적소유기능, 상품 소유권 및 촉진기능을 들수 있다.
후방기능은 상품의 흐름과 반대로 이동하는 주문 및 지불기능 등을 말한다.
유통경로의 후방기능흐름은 주문 대금결제와 같이 최종소비자로부터 소매상 도매상 생산자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55. 중간상이 제조업자를 위해 지역광고를 하거나 판촉을 실시할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제조업체가 지급하는 보조금은?(2017년 04월)
     1. 거래할인
     2. 현금할인
     3. 수량할인
     4. 계절할인
     5. 판매촉진지원금

     정답 : []
     정답률 : 75%

56. 아래 글상자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8년 11월)

    

     1. (가) 도입기, (나) 쇠퇴기
     2. (가) 도입기, (나) 성숙기
     3. (가) 성장기, (나) 성숙기
     4. (가) 성장기, (나) 쇠퇴기
     5. (가) 성숙기, (나) 쇠퇴기

     정답 : []
     정답률 : 73%

57. 아래 글상자의 사례에서 나타난 두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기술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2018년 11월)

    

     1. 쇼루밍(showrooming)
     2. 역 쇼루밍(reverse showrooming)
     3. 웹루밍(webrooming)
     4. 윈도우 쇼핑(window shopping)
     5. 오프라인 쇼핑(offline shopping)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살펴본 후
실제 구입은 온라인사이트를 통하는 쇼핑 행태
[해설작성자 : AJ29]

58. 기업의 비용구조나 수요보다는 경쟁제품의 가격을 중심으로 다소 높게 또는 낮게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은?(2016년 04월)
     1. 경쟁입찰에 따른 가격결정
     2. 시장가격에 따른 가격결정
     3. 비용가산에 따른 가격결정
     4. 손익분기점 분석에 의한 가격결정
     5. 이윤중심적 가격결정

     정답 : []
     정답률 : 47%

59. 전통적 대중매체 마케팅과 비교했을 때 CRM전략이 갖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가격이 아닌 서비스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2. 고객채널의 이용률을 개선함으로써 개별 고객과의 접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3. 특정 캠페인의 효과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광고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특정 고객의 요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표적화가 더 용이하다.
     5. 고객의 세부욕구 만족을 위해 상품 개발과 출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60. 항시염가정책(EDLP: everyday low price)과 비교하여 고저(High/Low) 가격정책이 가지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고저가격정책에서의 저가격은 다른 점포의 보통때 판매가격보다 저렴하지만 다른 점포의 할인 가격보다는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2. 고저가격정책은 사실상 소매업자가 그들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상당히 저가격에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저가격정책은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상표 충실성과 점포 충실성을 높이며, 광고 비용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4. 고저가격정책은 백화점들이 주로 쓰는 가격정책으로 한정된 할인 품목을 구매하러 오게 하는 유인책이 된다.
     5. 고저가격정책은 규모의 경제가 달성 가능한 유통기업을 중심으로 대량 구매를 통해 연중 저가로 판매한다는 특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61. 다음 사례에서 나타난 경로갈등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영역불일치
     2. 목표불일치
     3. 이해불일치
     4. 인식불일치
     5. 수단불일치

     정답 : []
     정답률 : 57%

62. 소매점의 공간, 조명,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레일조명은 고객 쪽을 향하는 것보다는 상품을 향하는 것이 좋다.
     2. 조명의 색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객이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다.
     3. 벽면에 거울을 달거나 점포 일부를 계단식으로 높이면 실제 점포보다 넓어 보일 수 있다.
     4. 푸른색 조명보다 붉은색 조명 위에 생선을 진열할 때 더 싱싱해 보인다.
     5. 소매점 입구에 밝고 저항감이 없는 색을 사용하면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생선은 붉은색 위에 진열하는 것보다 푸른색 위에 진열하는 것이 낫다!
[해설작성자 : 3주합격가즈아]

63. 유통업체의 상품관리 의사결정은 단품 관리수준과 상품카테고리 관리수준의 의사결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품 관리수준에 해당하는 의사결정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11월)
     1. 품질
     2. 포장
     3. 구색
     4. 스타일
     5. 색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단품관리수준 의사결정
-하나의 상품

구색-스커트+블라우스
커피+베이글

단품은 생각할 필요 x

상품카테고리 관리수준에서 의사결정..

64. 서비스삼각형(service triangle) 이론에서 종업원이 고객과 직접 접촉을 통해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약속한 제품 및 서비스를 실제로 제공하는 마케팅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5월)
     1. 바이럴마케팅
     2. 외부마케팅
     3. 상호작용 마케팅
     4. 내부마케팅
     5. 코즈마케팅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회사]
                            /        \    대충 삼각형이라고 치면
[내부]             /             \    [ 외부]
                        /                 \
[종업원]        ㅡ ㅡ ㅡ ㅡ    [고객]

종업원과 고객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임.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ㅠㅠ]

서비스 삼각형은 기업-종업원-고객 간 관계
이때 고객    - 기업은 외부마케팅
고객 -종업원은 상호작용마케팅
기업 -종업원은 내부마케팅임
[해설작성자 : ㅠ]

65. CRM 실행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항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 ㉣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RM 실행 프로세스는 고객데이터 수집부터 분석,맞춤형 마케팀,영업,성과 측정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고객 관계 관리 절차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66. 유형별 고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고객이란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2. 이탈고객은 기업의 기준에 의해서 더 이상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 고객을 말한다.
     3. 내부고객은 조직 내부의 가치창조에 참여하는 고객으로서 기업의 직원들을 의미한다.
     4. 비활동 고객은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도 향후 자사의 고객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없는 고객을 말한다.
     5. 가망고객은 현재 고객은 아니지만 광고, 홍보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비활동 고객은 과거에는 이용하였으나 정기적인 구매를 할 시기가 지났는데도 더 이상 구매하지 않는 고객이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67. 소매점에서 카테고리 캡틴(category captain)을 활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가격설정, 촉진활동 등의 위임을 통한 해당 카테고리 관리의 부담 감소
     2. 고객에 대한 이해 증진에 협력함으로써 해당 카테고리 전반의 수익 증진
     3. 재고품절의 방지를 통한 관련된 손해의 회피 및 서비스 수준의 향상
     4. 해당 카테고리 품목의 여타 납품업체들과의 구매협상 노력을 생략하여 비용 절감
     5. 해당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전체 브랜드들의 균형적 성장을 통한 벤더 관계 개선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카테고리 캡틴 - 소매업체가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공급업체를 지원하는 것.
균형있는 성장 X

68. 소매업체에서 '고객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기획하여 적합한 장소와 시점, 수량, 가격에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지칭하며, 상품구색, 진열, 재고관리, 가격설정 등을 포괄하는 용어는?(2016년 11월)
     1. 고객관계관리
     2. 판촉관리
     3. 머천다이징
     4. 공급망관리
     5. 제품관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고객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기획하여 적합한 장소와 시점, 수량, 가격에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활동'= 머천다이징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69. 고객 컴플레인 처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상대방 의견에 동조하면서 긍정적으로 듣는다.
     2. 변명을 피한다.
     3. 설명은 감성적으로 접근한다.
     4. 솔직하게 사과한다.
     5. 신속하게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70. 경쟁 점포와는 차별적으로 자사 점포가 대상으로 하는 고객이 가장 원하는 품종에 중점을 두거나, 가격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품질을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머천다이징으로 옳은 것은?(2024년 05월)
     1. 혼합식 머천다이징(scrambled merchandising)
     2. 세그먼트 머천다이징(segment merchandising)
     3. 선별적 머천다이징(selective merchandising)
     4. 계획적 머천다이징(programmed merchandising)
     5. 상징적 머천다이징(symbolic merchandising)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① 혼합식 머천다이징 : 소매점이 상품의 구색, 즉 구성을 확대하여 가는 유형의 상품화가 혼합식 머천다이징이다. 이러한 머천다이징, 즉 상품화에 의해 예컨대 자전거점이 사이클링 용품에 속하는 의류나 식품을 취급함으로써 점포 이미지를 청소년의 사이클링을 파는 점포로 변환하여 업태 변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종래의 소매점이 취급하지 않던 非전통적인 상품 계열을 더 많이 취급하는 되는 혼합식 상품화는 업태 간 경쟁 때문에 생겨났는데, 이 때문에 업태 간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② 세그먼트 머천다이징 : 세분시장 대응 머천다이징인데, 동일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되 경쟁점과는 달리 그들 고객이 가장 희구하는 품종에 중점을 두거나, 가격대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품질을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머천다이징이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하는 경쟁전략은 경합점 상호 간에 양립성을 생기게 하여 직접적인 경쟁을 회피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왜냐하면, 동일한 가구점이라고 하더라도 한 점포는 침실가구 중심, 다른 점포는 주방가구 중심, 또 다른 점포는 거실가구 중심으로 상품화하여 판매한다면 이 세 점포 간에는 경합보다는 양립성이 생기고 한 곳에 모여서 영업을 함으로써 오히려 집적 효과를 거둘 수도 있기 때문이다.

③ 선별적 머천다이징 : 소매업, 2차 상품 제조업자, 가공업자 및 소재 메이커가 수직적으로 연합하여 상품계획을 수립하는 머천다이징 방식인데, 이는 시장 세분화를 통해 파악된 한정된 세분시장을 목표고객으로 하여 이들에 알맞은 상품화 전략을 전개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유행상품의 상품화, 즉 패션 머천다이징(fashion merchandising)에 이용된다. 패션머천다이징은 혁신성도층을 목표고객으로 하여 최첨단의 고급 디자인의 고가품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패션 머천다이징(high fashion merchandising)과 광범위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로 기성복, 스포츠 의류 등을 중심으로 대량생산, 대량 유통시스템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대중 패션 머천다이징(mass fashion merchandising)으로 나누어진다.

④ 계획적 머천다이징 : 대규모 소매업과 선정된 주요 상품 납품회사(key merchandising resources) 사이에 계획을 조정 통합화시켜 머천다이징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대규모 소매점의 경우에 일반화되고 있다. 이때에는 소매점과 납품회사의 최고 경양자가 공통으로 머천다이징 계획을 입안하고 문서화하는데, 그 내용은 상품계획, 촉진 프로그램, 판매 훈련, 책임과 납품기한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하여, 아주 구체적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점포가 선호하는 납품업자에 구매가 집중되어 납품업자가 생산일정, 생산 소요량 및 판매에 대한 계획을 보다 잘 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하여 선정된 납품회사는 소매점에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전제로 납품을 집중시키게 된다.

⑤ 상징적 머천다이징 : 대형 슈퍼마켓이나 지방의 백화점이 전문점이나 대형 도시 백화점과 차별화하려는 입장에서 양판품목군(volume zone) 중심의 종합적인 구색을 갖추되 그중의 일부를 자기 점포의 상징으로서의 구색을 정하여 중점을 두어 갖추면, 이러한 상징 구색은 자기 점포의 주장을 명확히 하여 점포의 매력을 증대시켜 준다. 이러한 구색은 경우에 따라 전문점이나 대도시형 백화점과 비슷한 가격 수준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주기도 하며, 다른 상품에도 개성적인 이미지가 파급되게 된다.

출처: neptunuseyes tistory
[해설작성자 : 뿡뿡]

71.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CRM에서의 활용용도를 연결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군집화 규칙 - 제품 카테고리
     2. 분류 규칙 - 고객이탈 수준 등급
     3. 순차 패턴 - 로열티 강화 프로그램
     4. 일반화 규칙 - 연속 판매 프로그램
     5. 연관 규칙 - 상품 패키지 구성 정보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4. 연속 판매 프로그램은 순차 패턴.
[해설작성자 : 운니]

72.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유통업 패러다임 변화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생산요소를 투입하다 보면 어느 순간 투입 단위당 산출량이 감소하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2. 자산의 의미도 유형자산(Tangible Assets)에 국한되지 않고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3. “네트워크의 가치는 가입자 수에 비례해 증대하고 어떤 시점에서부터 그 가치는 비약적으로 높아진다.”는 메트칼프(Metcalf)의 법칙이 적용된다.
     4. 인터넷의 쌍방향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구매자는 복수의 판매자를 비교하고 가격협상까지 할 수 있는 구매자 주도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5. 생산자는 제품당 이윤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지만, 거래비용이 낮아져 소비자 수요가 확대되고, 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함으로써 오히려 전체적으로는 이윤이 늘어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수확체감의 법칙은 디지털 경제가 아닌 전통적인 산업에 적용되는 법칙.
[해설작성자 : 운니]

디지털 경제에서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73. 인터넷비즈니스와 관련된 네트워크기술의 하나로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창시한 팀 버너스 리(Lee)가 창안한 현재의 웹이 의미의 웹으로 진화한 개념으로 컴퓨터가 스스로 문장이나 문맥 속의 단어의 미묘한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을 뜻하는 것은?(2015년 07월)
     1. RSS(Rich Site Summary)
     2. Bluetooth
     3. Semantic web
     4. WiBro
     5. Wi-Fi

     정답 : []
     정답률 : 66%

74. 의사결정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최고경영층은 주로 비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운영층은 주로 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2. 운영층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마케팅 계획설계, 예산 수립 계획 등과 같은 업무를 한다.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수요 예측 문제, 민감도 분석 등에 활용된다.
     4.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의사결정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의사결정 품질 개선을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고차원적 알고리즘(algorism)이 활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마케팅 계획설계, 예산 수립 계획등과 같은 업무는 비구조적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최고경영층이 하는 업무임.
[해설작성자 : 호맨]

75. 최근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아래 글상자는 하버드 대학교 버크만 센터에서 제시한 개인정보보호 AI윤리원칙이다. ㉠과 ㉡에 해당하는 각각의 권리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 자기 결정권, ㉡ 정보 열람권
     2. ㉠ 자기 결정권, ㉡ 정보 정정권
     3. ㉠ 정보 삭제권, ㉡ 자기 결정권
     4. ㉠ 정보 정정권, ㉡ 정보 삭제권
     5. ㉠ 정보 열람권, ㉡ 자기 결정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정 - 정보를 정정할 수 있다
삭제 -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QR시스템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유통업자와 제조업자간의 정보네트워크를 축으로 하기 때문에 납기를 단축할 수 있다.
     2. 물류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EDI를 통해 문서거래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정확성이 늘어난다.
     4. 공급업자의 빈번한 배송으로 상품이 보충되어 물류센터가 재고품을 더 많이 보유하게 된다.
     5. 유행의 속성을 지닌 패션상품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1%

77.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성과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신규 캠페인 빈도는 마케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2. 고객 불만 처리 시간은 서비스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3. 고객유지율은 판매 성과를 위한 성과지표이다.
     4. 신규 판매자 수는 판매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5. 캠페인으로 창출된 수익은 마케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객유지율은 고객관점에서 고객가치창출과 차별화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해설작성자 : 호맨]

78. 기업이 CRM의 성과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지표를 크게 판매지표, 고객 서비스지표, 마케팅 지표로 구분할 때, 고객 서비스 지표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4월)
     1. 판매 요청 건수, 유지된 고객 수, 평균 해결시간
     2. 서비스 요청 건수, 유효한 판매 기회 건수
     3. 고객만족도 수준, 고객 유지율
     4. 일별 평균 서비스 요청건수, 평균 해결 시간
     5. 잠재적 고객 수, 신규 고객 유치율

     정답 : []
     정답률 : 42%

79. POS(Point of Sale) System 도입에 따른 제조업체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경쟁상품과의 판매경향 비교
     2. 판매가격과 판매량의 상관관계
     3. 기후변동에 따른 판매동향 분석
     4. 신제품·판촉상품의 판매경향 파악
     5. 상품구색의 적정화에 따른 매출증대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5. 소매업체가 점포관리 측면에서 얻게되는 효과임.
[해설작성자 : 호맨]

80. 유통업체에서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로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데이터베이스
     2. 빅데이터 분석
     3. 데이터 댐
     4. 데이터마이닝
     5. 마이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57%

81. 아래 글상자의 OECD 프라이버시 8대 원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만을 나열한 것은?(2024년 11월)

    

     1. ㉠, ㉡
     2. ㉠, ㉢
     3. ㉠, ㉤
     4. ㉢, ㉣
     5. ㉣, ㉤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ㄱ - 수집 제한의 원칙
ㅁ - 안전성 확보의 원칙
[해설작성자 : 양이]

82. 유통정보시스템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 물류비용과 재고비용을 감축하여 채널단계에 참여하는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2. 유통정보와 프로세스의 흐름을 확보해 시간차로 발생하는 가시성 문제를 최소화하여 시장수요와 공급을 조절해 주고 각 개인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 공급이 원활하도록 지원한다.
     3. 유통정보시스템은 경영자가 유통과 관련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4. 유통거래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으로 관련된 기존 시스템의 정보를 추출, 변환,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 업무담당자 목적에 맞는 정보만을 모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5. 유통정보시스템은 기업의 유통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통합하여 전사적 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유통계획, 관리, 거래처리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통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절차, 설비, 인력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4번 : ETL 설명으로 보임
ETL: 추출, 전환, 적재(ETL)다양한 소스의 데이터를 데이터 웨어하우스라고 부르는 대형 중앙 집중식 리포지토리에 결합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아래의 그림은 조달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이다. 협상에 의한 계약 전 과정에 대하여 사업발주를 위한 제안요청서 작성부터 평가, 사업관리 등 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서비스하는 시스템 명칭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e-담합감시정보시스템
     2. e-온라인평가시스템
     3. e-협업시스템
     4. e-정보공유시스템
     5. e-발주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55%

84. RFID 도입에 따른 제조업자 측면에서의 이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재고 가시성
     2. 노동 효율성
     3. 제품 추적성
     4. 주문 사이클 타임의 증가
     5. 제조자원 이용률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재고 관리 측면 효율성 상승으로 주문사이클 타임(=리드타임)이 줄어듭니다
[해설작성자 : 뿌루뿡]

85. 아래 글상자 설명은 유통업체의 정보시스템 구현과 관련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서비스 수준관리
     2. 엣지 컴퓨팅
     3. 블록체인
     4. 분산 처리
     5. 가상화 기술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블록체인 = 분산처리    3,4번 같이있으니 복수정답은 아닐테고 첫번째 지문의 가상하드웨어와 두번째 지문 클러스터 모두 가상화 기술임.
[해설작성자 : YB250830]

86. 유통 분야의 RFID 도입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검수 정확도가 향상된다.
     2.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가능하다.
     3. 입·출고 리드타임이 늘어난다.
     4. 도난 등 상품 손실비용이 절감된다.
     5. 반품 및 불량품을 추적하고 조회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리드타임: 제품 하나를 생산하고 인도하는데 걸리는 시간
1, 2, 4, 5가 전부 긍정적효과이며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가능케 되면 리드타임은 당연이 줄어들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암묵지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주관적인 지식
     2. 경험적인 지식
     3. 초 언어적 지식
     4. 명시적인 지식
     5. 직관적인 지식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암묵지=언어로 표현되지 않은 지식을 의미
학습과 경험으로 체화되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혹은 노하우(know-how)
형식지
외부적으로 표출되는 지식인 명시지(형식지)가 있다
명시지 혹은 형식지는 문서나 매뉴얼 등을 통해 외부적으로
표출되어 여러 사람에게 공유될 수 있는 지식을 의미
[해설작성자 : AJ29]

88. 지식경영이 중요한 경영기법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 배경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지식경영은 프로젝트 지식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2. 지식경영은 복잡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빠르고,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이다.
     3. 지식경영은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 향상을 위해 지식을 기반으로 혁신하여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지식경영은 대화와 토론을 장려하여 효과적 협력과 지식공유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5. 지식경영은 조직이 지식경제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식노동자 개인의 암묵적 지식 축적을 장려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암묵지와 형식지의 선순환 과정을 통해 경쟁우위를 획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e-비즈니스 모델별로 중점을 두어야할 e-CRM의 포인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서비스모델의 경우 서비스차별화나 서비스 이용 행태 정보제공을 고려한다.
     2. 상거래모델의 경우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제공을 고려한다.
     3. 정보제공모델의 경우 맞춤정보제공에 힘쓴다.
     4. 커뮤니티 모델의 경우 회원관리도구 제공에 힘쓴다.
     5. 복합모델의 경우 구성하는 개별모델에 적합한 요소를 찾아 적용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RM은 고객을 광리하는 것이기에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제공과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쮸]

2. 정보제공모델에 대한 설명

* e-비즈니스 모델별로 중점을 두어야 하는 e-CRM의 포인트
1) 서비스모델 : 서비스차별화/서비스 이용 행태 정보 제공
2) 정보제공모델 : 맞춤정보제공,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 제공
3) 커뮤니티 모델 : 회원관리도구 제공
4) 복합모델 : 구성하는 개별모델에 적합한 요소를 찾아 적용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90.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근거로 유통정보시스템의 개발 절차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 ㉣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1.정보활용목적에 대한 검토- 2.정보활용주체에 대한 결정- 3.필요정보에 대한 정의- 4.정보제공주체 및 방법에 대한 결정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1.주요 의사결정영역 확인 및 정보활용목적 검토
2.각각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담당자(정보활용주체)결정
3.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정의
4.정보제공주체 및 방법에 대한 결정
[해설작성자 : 100%]


정 답 지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830067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물류일반


1.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조직구성원에 대한 성과평가방법으로 옳은 것은?(2022년 05월)

   

     1. 행동관찰척도법(BOS: behavioral observation scales)
     2. 단순서열법(simple ranking method)
     3. 쌍대비교법(paired-comparison method)
     4. 행위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5. 강제배분법(forced distribution metho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강제배분법은 전체의 평점등급을 수,우,미,양,가 또는 A,B,C,D,E 등 5등급으로 나누어 각 급 에다 피고과자의 총액의 10%,20%,40%,20%,10%을 강제 할당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 싫어.]

2. 다음 박스의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2015년 07월)

   

     1. 복합형 생활건물
     2. 주상복합건물
     3. 시장정비건물
     4. 근린건물
     5. 상가건물

     정답 : []
     정답률 : 47%

3. 유통경로의 세 가지 구성원(제조업체-도매업체-소매업체)간에는 서로 주도자가 되기 위해 권력(power)을 행사하려고 하는데, 소매업체 권력의 원천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10월)
     1. 제조업체의 제품 브랜드가 구매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경우
     2. 제조업체에 전속된 소매업체인 경우
     3. 소매업체가 집중적인 구매를 하는 경우
     4. 도매업체가 소매업체에게 의도적으로 공급을 지연하는 경우
     5. 전방통합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4. 경제활동의 윤리적 환경과 조건을 세계 각국 공통으로 표준화하려는 것으로 비윤리적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국제거래에서 제한하는 움직임을 뜻하는 것은?(2023년 08월)
     1. 우루과이라운드
     2. 부패라운드
     3. 블루라운드
     4. 그린라운드
     5. 윤리라운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윤리적 행위를 기업 경영활동에 적용하려는 국제적 시도로서 경제활동의 윤리적 환경과 조건을 세계 각국 공통으로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비윤리적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국제 거래에서 규제하자는 것이 대표적인 움직임이다. 무역장벽 철폐를 목적으로 한 우루과이라운드(UR), 환경보호를 위한 그린라운드(GR), 부패추방을 위한 부패라운드(CR)에 이어 21세기 기업의 생존에 필요한 필수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 사전
[해설작성자 : 비기]

5. 자재·부품·서비스·설비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지 않고 외부에서 구매하거나 외주를 주는 일반적인 이유를 기업 측면에서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설계, 제조 및 배송 프로세스 등에 직접 관여하여 리드타임과 물류비를 쉽게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자재에 대해서 비용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3. 충분한 생산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나 수요가 예상보다 갑자기 증가하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4. 기업이 특정 품목을 생산할 만한 기술과 전문성이 없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5. 공급자가 우수한 기술과 공정, 숙련된 작업자 등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구매 부품이 품질 면에서 더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6. 택배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택배란 운송물을 고객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에서 수탁하여 수하인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까지 운송하여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2. 일반적으로 소형, 소량화물의 배송에 적합한 운송체제이다.
     3. 원칙적으로 화물운송 전 과정에 걸쳐 운송인이 일관적으로 책임을 부담한다.
     4. 도시 간 지선수송과 도시 내 집배송, 간선배송을 연계시키는 운송이다.
     5. 택배운송업의 집배송차량이 도시 내에서 화물을 집화하고 배송하기 위해서는 도심 내 권역별 화물터미널의 확보를 통한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지선수송(Feeder Service)피더서비스에는 도로, 철로, 내외항    선박에 의한 보조적인 수송 모두를
포함하나 협의의 피더서비스는 해상수송에 한정된다.
[해설작성자 : AJ29]

도시 간 '간선수송'과 도시내 '지선수송'
[해설작성자 : 야호]

4번 도시 간 간선운송과 도시 내 집배송 그리고 지선운송을 연계시키는 운송
[해설작성자 : 강만두]

7. 다음 글상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이것은?(2016년 07월)

   

     1. 유통경로 관리
     2. 유통경로 성과평가
     3. 유통경로 설계
     4. 유통경로 갈등관리
     5. 유통경로 영향력 전략

     정답 : []
     정답률 : 75%

8. 소매상의 구매관리에서 적정한 거래처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구매자의 목표 달성에 부합되는 적정 품질
     2. 최적의 가격
     3. 적정서비스 수준
     4. 납기의 신뢰성
     5. 역청구(chargebacks) 가능성 여부

     정답 : []
     정답률 : 80%

9. 운송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파이프라인의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고 특정형태의 상품만을 수송하는데 유리하다.
     2. 항공수송은 부피가 작고 부패성이 높은 고가의 상품인 경우 유용하다.
     3. 해상운송과 트럭을 함께 사용하는 수송방식을 피기백(piggy back)방식이라 한다.
     4. 버디백(birdy back)방식은 트럭과 항공운송을 결합한 방식이다.
     5. 트럭은 일반적으로 소량의 상품을 단거리 수송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10. 제3자물류가 제공하는 혜택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여러 기업들의 독자적인 물류업무 수행으로 인한 중복투자 등 사회적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탁업체들의 경쟁을 통해 물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유통 등 물류를 아웃소싱함으로써 리드타임의 증가와 비용의 절감을 통해 고객만족을 높여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3. 기업들은 핵심부문에 집중하고 물류를 전문업체에 아웃소싱하여 규모의 경제 등 전문화 및 분업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4. 아웃소싱을 통해 제조∙유통업체는 자본비용 및 인건비 등이 절감되고, 물류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화주기업의 비용을 절감해 준다.
     5. 경쟁력 강화를 위해 IT 및 수송 등 전문업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비용절감 및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리드타임의 증가가 아니라 리드타임의 감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초보]

11. 제품 또는 서비스 등을 거래하는 데 수반되는 거래비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코즈(Coase)의 견해에 의하면,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장을 통한 거래비용이 내부조직 구축비용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2. 거래비용은 다른 기업과 거래하기 전에 정보수집 비용, 협상비용, 계약이행비용 등을 비롯하여 최초계약의 불완전으로 인한 비용을 모두 포함한다.
     3. 거래비용이론은 유통경로시스템 구성원들 간의 기회주의적 행동경향을 기본적인 가정으로 하고 있으며, 거래비용으로 인하여 시장실패의 가능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4. 거래비용이론에서는 유통시장에 소수의 거래자만이 참가하거나 자산의 특수성이 존재하는 경우 경로구성원들 간에 거래비용이 커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계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5. 거래비용이론에 의하면 거래 특유적 자산이 이전될 경우 교환파트너의 기회주의적 행동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높아져, 철저한 감시체계나 타율적 제재 등 권위통제메커니즘을 통한 보호 장치의 필요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직적 통합의 가능성을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나) 코즈(Coase)의 관점에서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장을 통한 거래비용이 기업조직을 통한 경제활동비용에 비해 훨씬 높기에 내부조직이 생겨난다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고객서비스의 구성요소는 거래전 요소, 거래중 요소, 거래후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거래중 요소들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11월)

    

     1. (가), (나), (다)
     2. (나), (다)
     3. (가), (라), (마)
     4. (다), (라)
     5.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21%

13. 다음 박스의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7월)

    

     1. 화물운송정보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2.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3. 운송관리시스템(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TRS: Trunked Radio System)
     4.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5. 화물운송정보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정답 : []
     정답률 : 59%

14. 한 유통업체에서는 A상품을 연간 19,200개 정도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상품의 1회 주문비가 150원, 연간 재고유지비는 상품 당 16원이라고 할 때 경제적주문량(EOQ)은?(2020년 06월)
     1. 600개
     2. 650개
     3. 700개
     4. 750개
     5. 800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EOQ = 루트[(2 * 수요량 * 주문비용) / 재고유지비]

> 루트[(2* 19200 * 150) / 16]
> 루트[ (360000) ]

> 600개

15. 물류와 고객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고수준이 낮아지면 고객서비스가 좋아지므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추가재고 보유비용의 관계가 적절한지 고려해야 한다.
     2. 주문을 받아 물품을 인도할 때까지의 시간을 리드타임이라고 한다면 리드타임은 수주, 주문처리, 물품준비, 발송, 인도시간으로 구성된다.
     3. 리드타임이 길면 구매자는 그동안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재고를 늘리게 되므로 구매자의 재고비용이 증가한다.
     4. 효율적 물류관리를 위해 비용의 상충(trade-off)관계를 분석하고 최상의 물류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5. 동등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 여럿있을 때 그 중 비용이 최저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물류관리의 과제 중 하나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유통기업의 경영전략을 계층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에서 사업전략(business strategy)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10월)
     1. 최근 외부적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업태를 개발한다.
     2. 우리기업과 유사한 경쟁기업을 인수한다.
     3. PB상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제조기업에 지분투자를 한다.
     4.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 고급화를 추구한다.
     5. 판매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교육과 근로환경을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17. 아래 글상자에서 글로벌 제품조직(global product struc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2025년 08월)

    

     1.
     2. ㉠, ㉡
     3. ㉠, ㉡, ㉢
     4. ㉠, ㉡, ㉢, ㉣
     5. ㉠, ㉡, ㉢, ㉣, ㉤

     정답 : []
     정답률 : 48%

1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유통경영조직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기능화의 원칙
     2. 권한위양의 원칙
     3. 명령통일의 원칙
     4. 관리한계의 원칙
     5. 조정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능화의 원칙 : 사람이 아닌 직무 중심의 조직 개편
권한 위양의 원칙 : 조직이 커지면 상사는 중요성에 따라 권한의 일부를 부하직원에게 위임해야 한다는 원칙
명령통일의 원칙 : 한사람의 직속상관에게만 보고하고 그로부터 명령은 받아야 함
관리 한계의 원칙 : 상급자가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하급자의 수는    한정적임
[해설작성자 : 유관사뽀개기]

19. 유통산업발전법(법률 제19117호, 2022.12.27., 타법개정)의 제2조 정의에서 기술하는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매장이란 상품의 판매와 이를 지원하는 용역의 제공에 직접 사용되는 장소를 말한다. 이 경우 매장에 포함되는 용역의 제공 장소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임시시장이란 다수(多數)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일정한 기간 동안 상품을 매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3. 상점가란 일정 범위의 가로(街路) 또는 지하도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도매점포·소매점포 또는 용역점포가 밀집하여 있는 지구를 말한다.
     4. 전문상가단지란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여러 도매업자 또는 소매업자가 일정 지역에 점포 및 부대시설 등을 집단으로 설치하여 만든 상가단지를 말한다.
     5. 공동집배송센터란 여러 유통사업자 또는 물류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집배송시설 및 부대업무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및 시설물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물류업자 X    ->    제조업자 O
“공동집배송센터”란 여러 유통사업자 또는 제조업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집배송시설 및 부대업무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및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릴리]

20. 소매업체의 업종과 업태를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소유 및 운영 주체에 따라 점포소매상과 무점포 소매상으로 나눌 수 있다.
     2.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로 분류할 수 있다.
     3. 판매하는 방법에 따라 업종별로 분류할 수 있다.
     4. 상품계열에 따라 완전서비스 도매상과 한정서비스 도매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5. 마진과 회전율 같은 소매상의 전략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21. POS(point of sales)시스템의 업무처리절차가 옳게 나열된 것은?(2025년 08월)
     1.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스토어 컨트 롤러에서 POS 시스템으로 발신 - 정보가 스토어 컨트 롤러로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2.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스토어 컨트 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3.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롤러로 발신 - POS 단말기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4.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5.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 롤러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정답 : []
     정답률 : 45%

22. 유통과 유통경로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유통의 상적기능에는 소유권이전기능, 매매기능, 장소적 조정기능이 포함된다.
     2. 수직적경로시스템이란 생산자가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유통구조의 통로를 말한다.
     3. 유통경로에서 중간상이 생략됨으로써 유통이 단순화, 통합화되어 실질적인 거래비용이 감소되는 것을 총 거래수 최소원칙이라고 한다.
     4. 제조분야는 변동비 비중이 고정비보다 커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하지만, 유통은 고정비 비중이 커서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고정비 우위의 원리가 적용된다.
     5. 도매상이 대량으로 보관하고 소매상은 적정량만 보관하므로 상품의 사회적 보관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집중준비의 원리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장소적 조정기능은 '물적기능'에 속함
2. 위 글은 '유통경로'에 대한 글임
4.제조분야는 고정비가 변동비 비중보다 큼

[추가 해설]
3번은 중간상이 개입입니다

23. 물류채산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비용상충분석은 이율배반적인 관계가 발생하는 경우 수익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선택하는 방법이다.
     2. 일률적인 계산방식보다 상황에 맞는 계산방식을 활용한다.
     3. 물류의 원가로는 미래원가, 실제원가를 사용한다.
     4. 총비용접근분석법은 각 비용의 부분적인 절감이 아닌 총액의 관점에서 비용절감에 대해 분석하는 방법이다.
     5. 개선이나 투자가 필요한 부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① : 비용상충분석은 비용을 중심으로 비교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2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리더십 유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5월)

    

     1. 거래적 리더십
     2. 변혁적 리더십
     3. 상황적 리더십
     4. 지시형 리더십
     5. 위임형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리더와 구성원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하여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스스로 추구하도록 만드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25. 중간상의 사회적 존재 타당성에 대한 설명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2021년 08월)
     1. 제조업은 고정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변동비보다 크다.
     2. 제조업자가 중간상과 거래하여 사회적 총 거래수가 감소한다.
     3. 유통업은 고정비보다 변동비의 비율이 높다.
     4. 중간상이 배제되고 제조업이 유통의 역할을 통합하는 것이 비용측면에서 이점이 크지 않다.
     5. 제조업체가 변동비를 중간상과 분담함으로써 비용면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총 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3: 변동비 우위의 원칙
[해설작성자 : 발등에 떨어진 불 따뜻하다]

1,3,4,5는 변동비 우위의 원칙에 대한내용
2는 총 거래수 최소화의 원칙내용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따면 100만원]

2과목 : 상권분석


2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한 상권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11월)
     1. 토지이용 등의 정보는 면(面) 데이터로 지도에 수록된다.
     2. 지하철노선, 도로 등은 선(線) 데이터로 지도에 수록된다.
     3. 고객의 인구통계정보는 DB로 구축하여 표적고객집단 파악, 상권경계선 추정 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4. 주제도 작성, 공간 조회, 버퍼링을 통해 효과적인 상권 분석이 가능하다.
     5.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상권분석정보는 대규모점포에 한정하여 상권분석, 입지선정, 잠재수요 예측, 매출액 추정에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점포의 입지선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14년 04월)
     1. 지역 내 주민의 인구통계학적 사항
     2. 지역 내 산업체의 수출품목 수와 종업원 수
     3. 지역 내 주민의 소득수준
     4. 지역 내 잠재고객의 구매관습
     5. 지역 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의 종류

     정답 : []
     정답률 : 60%

28. 입지의사결정 과정에서 점포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조건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1월)
     1. 상권단절요인에는 하천, 학교, 종합병원, 공원, 주차장, 주유소 등이 있다.
     2. 주변을 지나는 유동인구의 수보다는 인구특성과 이동방향 및 목적 등이 더 중요하다.
     3. 점포가 보조동선 보다는 주동선상에 위치하거나 가까울수록 소비자 유입에 유리하다.
     4. 점포나 부지형태는 정방형이 장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5. 층고가 높으면 외부가시성이 좋고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점포나 부지형태는 '장'방형이 '정'방형보다 가시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설명이 거꾸로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123]

29. 입지의 매력도 평가 원칙 중 유사하거나 보완적인 소매 업체들이 분산되어 있거나 독립되어 있는 경우보다 군집하여 있는 경우가 더 큰 유인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원칙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보충가능성의 원칙
     2. 고객차단의 원칙
     3. 동반유인의 법칙
     4. 접근가능성의 원칙
     5. 점포밀집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충가능성의 원칙- 두개의 사업이 고객을 서로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면 매출액이 높아짐
고객차단의 원칙- 고객이 특정 지역에서 타지역으로 이동시 점포를 방문함
동반유인의 원칙- 유사하거나 보충적인 소매업이 흩어진 것보다 군집해서 더 큰 유인잠재력을 갖게함
접근가능성의 원칙- 지리적으로 인접하거나 교통이 편리하면 매출을 증대시킴
점포밀집의 원칙- 지나치게 유사한 점포나 보충 가능한 점포는 밀집하면 매출액이 감소
[해설작성자 : 미나]

30. 비교적 넓은 공간인 도시, 구, 동 등의 상권분석 상황에서 특정지역의 개략적인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구매력지수(BPI: Buying Power Index)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5월)
     1. 부분 지역들의 인구수(population)
     2. 전체 지역의 인구수(population)
     3. 부분 지역들의 소매점면적(sales space)
     4. 부분 지역들의 소매매출액(retail sales)
     5. 부분 지역들의 가처분소득(effective buying incom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구매력지수는(BPI)
BPI=(인구수x0.2)+(소매 매출액x0.3)+(소득비x0.5) 이므로
3번 소매면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10002Hertz]

31. 기존 점포 상권의 공간적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고객이나 거주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조사기법과 관련성이 가장 먼 것은?(2015년 05월)
     1. 점두조사
     2. 내점객조사
     3. 지역표본추출조사
     4. 체크리스트법
     5. CST(Customer Spotting Technique) map

     정답 : []
     정답률 : 54%

32. 상권을 구분하거나 상권별 대응전략을 수립할 때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상권의 개념과 일반적 특성을 설명한 내용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1월)
     1. 1차상권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상대적으로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2. 1차상권은 전체상권 중에서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을 의미하는데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약 60% 정도까지를 차지하지만 그 비율은 절대적이지 않다.
     3.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주변에 위치하여 매출이나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4.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 범위로, 많은 경우 지역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위치하여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낮다.
     5. 3차상권은 상권내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1차상권에 비해 높으며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차상권 : 점포 기준 직경 1km 이내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60~70%. 점포에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로 구성되며, 이용 빈도가 가장 높고 매출액 비중도 가장 높음. 생필품 중심 식품류, 편의품류 구성.
2차상권 : 점포 기준 직경 2km 이내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20~30%. 1차상권 외곽에 있으며, 전체 점포 이용 고객의 10% 내외를 흡인하는 지역 범위. 1차상권에 비해 비교적 넓게 분산되어 있음.
3차상권 : 점포기준 직경 2km 이외의 지점, 사업장 이용고객의 5~10%. 상권 외곽, 1/2차상권 외의 고객들이 거주하는 지역. 고객들이 매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고객 수와 빈도가 낮아 매출액 비중이 낮음.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33. 상권분석 기법들에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중심지이론에 의하면 최대도달거리보다 최소수요 충족거리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2. 체크리스트법과 유추법은 기술적방법(descriptive method)에 속한다.
     3. CST map은 점포간의 상권의 잠식상태를 표현하는데 쓰일 수 있다.
     4. 확률적 점포선택 모델에서 특정점포의 효용은 점포의 매력도를 나타낸다.
     5.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에서 실제거리와 소비자가 지각하는 거리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34. 점포 입지에 영향을 주는 유통활동 중 상류와 물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상류는 상적 유통의 준말로 유통의 거래에 관한 제도적 측면의 기능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2. 물류는 물적 유통의 준말로 제품의 실질적 이동 및 보관에 관련된 사항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3. 기업이익창출 관점에서 볼 때 상류는 이익을 극대화하고, 물류는 비용을 극대화하는 목적이 있다.
     4. 상적 유통활동은 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최대화를 지향하게 된다.
     5. 물적 유통활동은 물적교류권의 축소와 수송거리의 단축화를 지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5. 폐업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절차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5월)
     1. 직원 4대보험 상실 신고
     2. 폐업 후 부가가치세 신고
     3. 지급명세서 제출
     4. 폐업 후 소득세 신고
     5. 점포임대차계약 종료증명서 제출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점포임대차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계약이므로 폐업시 계약관계가 끊어져 제출할 필요가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제품 및 업종형태와 상권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식품은 대부분 편의품이지만, 선물용 식품은 선매품이고 식당이 구매하는 일부 식품은 전문품일 수 있다.
     2. 선매품을 취급하는 소매점포는 편의품보다 상위의 소매중심지나 상점가에 입지하여 더 넓은 범위의 상권을 가져야 한다.
     3. 소비자는 생필품을 구매거리가 짧고 편리한 장소에서 구매하려 하므로 생필품을 취급하는 점포는 주택지에 근접한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고객이 지역적으로 밀집되어 있으므로 그 상권은 밀도가 높고 범위는 좁은 특성을 가진다.
     5. 동일업종이더라도 점포의 규모나 품목구성에 따라 점포의 상권 범위가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문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경우 잠재고객이 지역적으로 널리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권의 밀도는 낮으나, 범위는 넓은 특성을 갖고 있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37. 도시의 공간구조는 도심, 부도심, 주거지, 산업지구, 교외 등으로 계층을 이루며 이에 따라 도시의 상권도 계층구조를 갖는다. 상업입지들 가운데 공간구조의 특징 때문에 쇼핑센터를 계획적으로 개발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2017년 04월)
     1. 도심 쇼핑센터
     2. 부도심 쇼핑센터
     3. 주거지 인근 상점가
     4. 교외 광역쇼핑센터
     5. 교외 파워쇼핑센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주거지 인근 상점가가 저차중심지라 계획적으로 쇼핑센터를 만들기 힘듬.

38. 입지를 선정할 때 취급상품의 물류비용을 고려할 필요성이 가장 낮은 도매상은?(2017년 04월)
     1. 산업재 도매상
     2. 현금거래 도매상
     3. 제조업자 도매상
     4. 트럭도매상
     5. 브로커(broker)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5. 브로커는 구매자와 판매자를 알선하거나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취급상품의 물류비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소매점포 입지조건의 평가를 위한 교통통행량 또는 유동인구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교통통행량 계측시에는 차종을 구별해야 한다.
     2. 조사일정은 주중, 주말, 휴일 등을 구분해야 한다.
     3. 조사시간은 영업시간대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4. 유동인구수보다 이동목적 파악이 더 중요할 수 있다.
     5. 퇴근동선보다 출근동선을 중시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0. 최근 민주는 조금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려고 결정하였다. 현재 민주가 살고 있는 도시는 주변에 인구 250만 명인 A시, 1000만명인 B시 사이에 있는 위성도시이다. 현재 민주네 집에서 A시까지는 12km, B시까지는 24km 떨어져 있다고 할 때 민주의 이사에 따른 변화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10월)
     1. A시에서 13km, B시에서 23km 떨어진 곳으로 이사를 하면 B시의 점포를 이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2. A, B도시를 연결하는 직선상에서 B시 쪽으로 이사를 가야 A시와 B시의 점포이용에 대한 무차별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3. 현재 거주하는 집에서 민주는 A시에서 점포를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4. B시 점포를 더 많이 이용하려면 A시와 B시까지의 거리가 1:2비율로 떨어진 지역을 선택하면 된다.
     5. 민주가 A시 점포를 더 많이 이용하려면 역설적으로 B시와 더 가까운 곳으로 이사 가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41. 소매점포의 입지조건을 평가할 때 점포의 건물구조 등 물리적 요인과 관련한 일반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점포 출입구에 단차를 만들어 사람과 물품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2. 건축선후퇴는 타 점포에 비하여 눈에 띄기 어렵게 하므로 가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3. 점포의 형태가 직사각형에 가까우면 집기나 진열선반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쉽고 데드스페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4. 건물너비와 깊이에서 점포의 정면너비가 깊이보다 넓은 형태(장방형)가 가시성 확보 등에 유리하다.
     5. 점포건물은 시장규모에 따라 적정한 크기가 있다. 일정규모수준을 넘게 되면 규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단차 = 계단
계단이 있으면 출입 용이가 어렵겠죠?
[해설작성자 : 윰윰윰]

42. 입지유형에 따른 일반적 상권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중심지체계에서 도심상권은 상대적으로 소비자들의 평균 체류시간이 길다.
     2. 중심업무지구(CBD)는 주간과 야간의 인구차이가 뚜렷하다.
     3. 아파트단지 상권의 경우, 개별점포의 면적을 아파트세대수로 나누어 점포 입지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4. 아파트단지 상권의 외부에서 구매하는 소비성향은 소형평형단지 보다 대형평형단지의 경우가 더 높다.
     5. 역세권상권은 대중교통이 집중되는 연결점이기 때문에 입체적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개별점포 면적이 아닌 가구당 점포면적으로 입지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jbhdm]

43. 임차할 점포를 평가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입점 가능한 업종
     2. 임대면적 중 전용면적
     3. 점포 소유자의 전문성
     4. 점포의 권리관계
     5. 점포의 인계 사유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임차인의 전문성이라면 영업 노하우 등을 가져서 고려해야할 수 있음.
그러나 점포 소유자는 걍 건물주임 따라서 고려해야할 필요 없음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한방 합격 가즈아...]

44. 소매포화지수(IRS)는 지역시장의 공급대비 수요수준을 총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지표의 하나이다. 소매포화지수를 구하는 공식의 분모(分母)에 포함되는 요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3년 08월)
     1. 관련 점포의 총매출액
     2. 관련 점포의 총매장면적
     3. 관련 점포의 고객수
     4. 관련 점포의 총영업이익
     5. 관련 점포의 종업원수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소매포화지수 = 지역시장의 총가구수 x 가구당 특정업체에 대한 지출액 / 특정업체의 총 매장면적
[해설작성자 : 비기]

45. 상권내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점포의 상대적 매력도를 파악할 수는 있으나 예상매출액을 추정할 수는 없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사점포법
     2. MNL모델
     3. 허프모델
     4. 회귀분석법
     5. 체크리스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법은 매출액을 수치화하기 어렵기때문에 추정할수도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3과목 : 유통마케팅


46. 회계데이터를 기초로 유통마케팅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고객 만족도 조사
     2. 고객 획득률 및 유지율 측정
     3. 매출액 분석
     4. 브랜드 자산 측정
     5. 고객 생애가치 측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회계데이터는 재무와 관련된 것이므로 보기 중에서 돈 얘기를 하고 있는 걸 고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Freshbread]

47. 고객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일반적으로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것 보다 기존고객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더 높다.
     2. 고객과 지속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기업경영의 중요 성공요소 중 하나이다.
     3. 경쟁자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하여야 고객 획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효과적인 애호도 증진 프로그램 등을 통해 고객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고객유지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데 드는 비용이 더 높다.
[해설작성자 : 도일동]

48. 상품의 판매촉진을 위한 광고(advertis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10월)
     1. 메시지가 복잡한 경우에는 빈도(frequency)보다는 도달범위(reach)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광고의 노출빈도가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광고효과가 떨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광고의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라고 한다.
     3. 유머소구(humor appeal)광고는 소비자의 주의를 끄는데 효과적이며 제품 특성을 이해시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4. 인포머셜(informercial)이란 의도적으로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선별하여 다양한 근거를 통해 반박하는 형태의 광고를 말한다.
     5. 총접촉률(gross rating points;GRP)은 도달범위(reach)에 도달횟수(frequency)를 곱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총접촉률(gross rating points;GRP)은 도달범위에 평균 도달횟수를 곱한 값
[해설작성자 : 4일]

49. 머천다이징 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사항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사회ㆍ경제적 환경과 경쟁상황 및 시장 트렌드 파악
     2. 효율적 적정 재고수준 결정 및 판매에 대비한 재고수준 관리
     3. 우수한 제품의 원활한 조달을 위한 지속적인 바이어 관리 및 협력
     4. 효율적 매입을 위한 공급업체와의 관계유지 및 중간상 판촉의 계획 수립 및 진행
     5. 향상된 머천다이징을 위한 이번 회기의 성과 평가 및 다음 회기를 위한 제품선정

     정답 : []
     정답률 : 12%

50. 다음 중 마케팅믹스 요소인 4P 중 유통(place)을 구매자의 관점인 4C로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고객비용(customer cost)
     2. 편의성(convenience)
     3. 고객문제해결(customer solution)
     4.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5. 고객맞춤화(customization)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P - 4C
        place - convenience
    product - customer value
        price - cost
promotion - communication
[해설작성자 : 홈즈hz]

4C
고객 (Customer Value)
비용 (Cost)
편의 (Convenience)
소통 (communication)
[해설작성자 : 230826시험예정 ]

51.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과 대중마케팅 (mass marketing)의 차별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목표고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다면 CRM은 고객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대일 마케팅을 지향한다.
     2. 커뮤니케이션 방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이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한다면 CRM은 쌍방향적이면서도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3. 생산방식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은 대량생산, 대량판매를 지향했다면 CRM은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을 지향한다.
     4. CRM은 개별 고객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중마케팅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5. 소비자 욕구 측면에서 대중마케팅은 목표고객의 특화된 구매욕구의 만족을 지향하는 반면 CRM은 목표고객들의 동질적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마지막 답은 딱봐도 CRM과 대중마케팅의 내용을 반대로 쓴게 보이시죠?^^
[해설작성자 : 그만하고싶다]

52. 유통경로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1월)
     1. 새로운 중간상들의 수와 비율
     2. 단위당 총 유통비용
     3. 손상된 제품의 비율
     4. 재고부족방지를 위한 관련 비용
     5. 역할에 대한 의견 일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76%

53. 경쟁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을 모두 고르면?(2018년 11월)

    

     1. 가, 나, 다
     2. 가, 나, 라
     3. 나, 다, 라
     4. 나, 다, 마
     5. 다, 라, 마

     정답 : []
     정답률 : 71%

54. 아래 글상자의 ( ㉠ )과 ( ㉡ )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 후방통합, ㉡ 전방통합
     2. ㉠ 전방통합, ㉡ 후방통합
     3. ㉠ 경로통합, ㉡ 전방통합
     4. ㉠ 전략적 제휴, ㉡ 후방통합
     5. ㉠ 전략적 제휴, ㉡ 경로통합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방통합- 제조회사가 자사의 유통센터나 소매상을 통해서 판매하는 경우
후방통합- 소매상이나 도매상 등 유통업체가 제조회사를 소유하게 되는 경우

전방기능 흐름의 통합은 유통업체의 관점에서 상품의 공급흐름방향에 존재하는 경로 구성원을 통합하는 것이다.
-전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 물적소유기능, 상품 소유권 및 촉진기능을 들수 있다.
후방기능은 상품의 흐름과 반대로 이동하는 주문 및 지불기능 등을 말한다.
유통경로의 후방기능흐름은 주문 대금결제와 같이 최종소비자로부터 소매상 도매상 생산자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55. 중간상이 제조업자를 위해 지역광고를 하거나 판촉을 실시할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제조업체가 지급하는 보조금은?(2017년 04월)
     1. 거래할인
     2. 현금할인
     3. 수량할인
     4. 계절할인
     5. 판매촉진지원금

     정답 : []
     정답률 : 75%

56. 아래 글상자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8년 11월)

    

     1. (가) 도입기, (나) 쇠퇴기
     2. (가) 도입기, (나) 성숙기
     3. (가) 성장기, (나) 성숙기
     4. (가) 성장기, (나) 쇠퇴기
     5. (가) 성숙기, (나) 쇠퇴기

     정답 : []
     정답률 : 73%

57. 아래 글상자의 사례에서 나타난 두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기술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2018년 11월)

    

     1. 쇼루밍(showrooming)
     2. 역 쇼루밍(reverse showrooming)
     3. 웹루밍(webrooming)
     4. 윈도우 쇼핑(window shopping)
     5. 오프라인 쇼핑(offline shopping)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살펴본 후
실제 구입은 온라인사이트를 통하는 쇼핑 행태
[해설작성자 : AJ29]

58. 기업의 비용구조나 수요보다는 경쟁제품의 가격을 중심으로 다소 높게 또는 낮게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은?(2016년 04월)
     1. 경쟁입찰에 따른 가격결정
     2. 시장가격에 따른 가격결정
     3. 비용가산에 따른 가격결정
     4. 손익분기점 분석에 의한 가격결정
     5. 이윤중심적 가격결정

     정답 : []
     정답률 : 47%

59. 전통적 대중매체 마케팅과 비교했을 때 CRM전략이 갖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1. 가격이 아닌 서비스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2. 고객채널의 이용률을 개선함으로써 개별 고객과의 접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3. 특정 캠페인의 효과를 파악하기 용이하며 광고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특정 고객의 요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표적화가 더 용이하다.
     5. 고객의 세부욕구 만족을 위해 상품 개발과 출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60. 항시염가정책(EDLP: everyday low price)과 비교하여 고저(High/Low) 가격정책이 가지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고저가격정책에서의 저가격은 다른 점포의 보통때 판매가격보다 저렴하지만 다른 점포의 할인 가격보다는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2. 고저가격정책은 사실상 소매업자가 그들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상당히 저가격에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저가격정책은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상표 충실성과 점포 충실성을 높이며, 광고 비용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4. 고저가격정책은 백화점들이 주로 쓰는 가격정책으로 한정된 할인 품목을 구매하러 오게 하는 유인책이 된다.
     5. 고저가격정책은 규모의 경제가 달성 가능한 유통기업을 중심으로 대량 구매를 통해 연중 저가로 판매한다는 특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61. 다음 사례에서 나타난 경로갈등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영역불일치
     2. 목표불일치
     3. 이해불일치
     4. 인식불일치
     5. 수단불일치

     정답 : []
     정답률 : 57%

62. 소매점의 공간, 조명,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레일조명은 고객 쪽을 향하는 것보다는 상품을 향하는 것이 좋다.
     2. 조명의 색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객이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다.
     3. 벽면에 거울을 달거나 점포 일부를 계단식으로 높이면 실제 점포보다 넓어 보일 수 있다.
     4. 푸른색 조명보다 붉은색 조명 위에 생선을 진열할 때 더 싱싱해 보인다.
     5. 소매점 입구에 밝고 저항감이 없는 색을 사용하면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생선은 붉은색 위에 진열하는 것보다 푸른색 위에 진열하는 것이 낫다!
[해설작성자 : 3주합격가즈아]

63. 유통업체의 상품관리 의사결정은 단품 관리수준과 상품카테고리 관리수준의 의사결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품 관리수준에 해당하는 의사결정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11월)
     1. 품질
     2. 포장
     3. 구색
     4. 스타일
     5. 색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단품관리수준 의사결정
-하나의 상품

구색-스커트+블라우스
커피+베이글

단품은 생각할 필요 x

상품카테고리 관리수준에서 의사결정..

64. 서비스삼각형(service triangle) 이론에서 종업원이 고객과 직접 접촉을 통해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약속한 제품 및 서비스를 실제로 제공하는 마케팅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5월)
     1. 바이럴마케팅
     2. 외부마케팅
     3. 상호작용 마케팅
     4. 내부마케팅
     5. 코즈마케팅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회사]
                            /        \    대충 삼각형이라고 치면
[내부]             /             \    [ 외부]
                        /                 \
[종업원]        ㅡ ㅡ ㅡ ㅡ    [고객]

종업원과 고객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임.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ㅠㅠ]

서비스 삼각형은 기업-종업원-고객 간 관계
이때 고객    - 기업은 외부마케팅
고객 -종업원은 상호작용마케팅
기업 -종업원은 내부마케팅임
[해설작성자 : ㅠ]

65. CRM 실행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항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 ㉣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RM 실행 프로세스는 고객데이터 수집부터 분석,맞춤형 마케팀,영업,성과 측정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고객 관계 관리 절차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66. 유형별 고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고객이란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2. 이탈고객은 기업의 기준에 의해서 더 이상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 고객을 말한다.
     3. 내부고객은 조직 내부의 가치창조에 참여하는 고객으로서 기업의 직원들을 의미한다.
     4. 비활동 고객은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도 향후 자사의 고객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없는 고객을 말한다.
     5. 가망고객은 현재 고객은 아니지만 광고, 홍보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비활동 고객은 과거에는 이용하였으나 정기적인 구매를 할 시기가 지났는데도 더 이상 구매하지 않는 고객이다.
[해설작성자 : 도일출사랑해]

67. 소매점에서 카테고리 캡틴(category captain)을 활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가격설정, 촉진활동 등의 위임을 통한 해당 카테고리 관리의 부담 감소
     2. 고객에 대한 이해 증진에 협력함으로써 해당 카테고리 전반의 수익 증진
     3. 재고품절의 방지를 통한 관련된 손해의 회피 및 서비스 수준의 향상
     4. 해당 카테고리 품목의 여타 납품업체들과의 구매협상 노력을 생략하여 비용 절감
     5. 해당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전체 브랜드들의 균형적 성장을 통한 벤더 관계 개선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카테고리 캡틴 - 소매업체가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공급업체를 지원하는 것.
균형있는 성장 X

68. 소매업체에서 '고객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기획하여 적합한 장소와 시점, 수량, 가격에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지칭하며, 상품구색, 진열, 재고관리, 가격설정 등을 포괄하는 용어는?(2016년 11월)
     1. 고객관계관리
     2. 판촉관리
     3. 머천다이징
     4. 공급망관리
     5. 제품관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고객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기획하여 적합한 장소와 시점, 수량, 가격에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활동'= 머천다이징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69. 고객 컴플레인 처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1. 상대방 의견에 동조하면서 긍정적으로 듣는다.
     2. 변명을 피한다.
     3. 설명은 감성적으로 접근한다.
     4. 솔직하게 사과한다.
     5. 신속하게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70. 경쟁 점포와는 차별적으로 자사 점포가 대상으로 하는 고객이 가장 원하는 품종에 중점을 두거나, 가격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품질을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머천다이징으로 옳은 것은?(2024년 05월)
     1. 혼합식 머천다이징(scrambled merchandising)
     2. 세그먼트 머천다이징(segment merchandising)
     3. 선별적 머천다이징(selective merchandising)
     4. 계획적 머천다이징(programmed merchandising)
     5. 상징적 머천다이징(symbolic merchandising)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① 혼합식 머천다이징 : 소매점이 상품의 구색, 즉 구성을 확대하여 가는 유형의 상품화가 혼합식 머천다이징이다. 이러한 머천다이징, 즉 상품화에 의해 예컨대 자전거점이 사이클링 용품에 속하는 의류나 식품을 취급함으로써 점포 이미지를 청소년의 사이클링을 파는 점포로 변환하여 업태 변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종래의 소매점이 취급하지 않던 非전통적인 상품 계열을 더 많이 취급하는 되는 혼합식 상품화는 업태 간 경쟁 때문에 생겨났는데, 이 때문에 업태 간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② 세그먼트 머천다이징 : 세분시장 대응 머천다이징인데, 동일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되 경쟁점과는 달리 그들 고객이 가장 희구하는 품종에 중점을 두거나, 가격대에 대응하는 상품이나 품질을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머천다이징이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하는 경쟁전략은 경합점 상호 간에 양립성을 생기게 하여 직접적인 경쟁을 회피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왜냐하면, 동일한 가구점이라고 하더라도 한 점포는 침실가구 중심, 다른 점포는 주방가구 중심, 또 다른 점포는 거실가구 중심으로 상품화하여 판매한다면 이 세 점포 간에는 경합보다는 양립성이 생기고 한 곳에 모여서 영업을 함으로써 오히려 집적 효과를 거둘 수도 있기 때문이다.

③ 선별적 머천다이징 : 소매업, 2차 상품 제조업자, 가공업자 및 소재 메이커가 수직적으로 연합하여 상품계획을 수립하는 머천다이징 방식인데, 이는 시장 세분화를 통해 파악된 한정된 세분시장을 목표고객으로 하여 이들에 알맞은 상품화 전략을 전개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유행상품의 상품화, 즉 패션 머천다이징(fashion merchandising)에 이용된다. 패션머천다이징은 혁신성도층을 목표고객으로 하여 최첨단의 고급 디자인의 고가품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패션 머천다이징(high fashion merchandising)과 광범위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로 기성복, 스포츠 의류 등을 중심으로 대량생산, 대량 유통시스템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대중 패션 머천다이징(mass fashion merchandising)으로 나누어진다.

④ 계획적 머천다이징 : 대규모 소매업과 선정된 주요 상품 납품회사(key merchandising resources) 사이에 계획을 조정 통합화시켜 머천다이징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대규모 소매점의 경우에 일반화되고 있다. 이때에는 소매점과 납품회사의 최고 경양자가 공통으로 머천다이징 계획을 입안하고 문서화하는데, 그 내용은 상품계획, 촉진 프로그램, 판매 훈련, 책임과 납품기한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하여, 아주 구체적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점포가 선호하는 납품업자에 구매가 집중되어 납품업자가 생산일정, 생산 소요량 및 판매에 대한 계획을 보다 잘 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하여 선정된 납품회사는 소매점에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전제로 납품을 집중시키게 된다.

⑤ 상징적 머천다이징 : 대형 슈퍼마켓이나 지방의 백화점이 전문점이나 대형 도시 백화점과 차별화하려는 입장에서 양판품목군(volume zone) 중심의 종합적인 구색을 갖추되 그중의 일부를 자기 점포의 상징으로서의 구색을 정하여 중점을 두어 갖추면, 이러한 상징 구색은 자기 점포의 주장을 명확히 하여 점포의 매력을 증대시켜 준다. 이러한 구색은 경우에 따라 전문점이나 대도시형 백화점과 비슷한 가격 수준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주기도 하며, 다른 상품에도 개성적인 이미지가 파급되게 된다.

출처: neptunuseyes tistory
[해설작성자 : 뿡뿡]

71.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CRM에서의 활용용도를 연결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군집화 규칙 - 제품 카테고리
     2. 분류 규칙 - 고객이탈 수준 등급
     3. 순차 패턴 - 로열티 강화 프로그램
     4. 일반화 규칙 - 연속 판매 프로그램
     5. 연관 규칙 - 상품 패키지 구성 정보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4. 연속 판매 프로그램은 순차 패턴.
[해설작성자 : 운니]

72.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유통업 패러다임 변화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생산요소를 투입하다 보면 어느 순간 투입 단위당 산출량이 감소하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2. 자산의 의미도 유형자산(Tangible Assets)에 국한되지 않고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3. “네트워크의 가치는 가입자 수에 비례해 증대하고 어떤 시점에서부터 그 가치는 비약적으로 높아진다.”는 메트칼프(Metcalf)의 법칙이 적용된다.
     4. 인터넷의 쌍방향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구매자는 복수의 판매자를 비교하고 가격협상까지 할 수 있는 구매자 주도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5. 생산자는 제품당 이윤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지만, 거래비용이 낮아져 소비자 수요가 확대되고, 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함으로써 오히려 전체적으로는 이윤이 늘어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수확체감의 법칙은 디지털 경제가 아닌 전통적인 산업에 적용되는 법칙.
[해설작성자 : 운니]

디지털 경제에서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73. 인터넷비즈니스와 관련된 네트워크기술의 하나로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창시한 팀 버너스 리(Lee)가 창안한 현재의 웹이 의미의 웹으로 진화한 개념으로 컴퓨터가 스스로 문장이나 문맥 속의 단어의 미묘한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을 뜻하는 것은?(2015년 07월)
     1. RSS(Rich Site Summary)
     2. Bluetooth
     3. Semantic web
     4. WiBro
     5. Wi-Fi

     정답 : []
     정답률 : 66%

74. 의사결정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최고경영층은 주로 비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운영층은 주로 구조적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2. 운영층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마케팅 계획설계, 예산 수립 계획 등과 같은 업무를 한다.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수요 예측 문제, 민감도 분석 등에 활용된다.
     4.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해 의사결정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의사결정 품질 개선을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고차원적 알고리즘(algorism)이 활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마케팅 계획설계, 예산 수립 계획등과 같은 업무는 비구조적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최고경영층이 하는 업무임.
[해설작성자 : 호맨]

75. 최근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아래 글상자는 하버드 대학교 버크만 센터에서 제시한 개인정보보호 AI윤리원칙이다. ㉠과 ㉡에 해당하는 각각의 권리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5월)

    

     1. ㉠ 자기 결정권, ㉡ 정보 열람권
     2. ㉠ 자기 결정권, ㉡ 정보 정정권
     3. ㉠ 정보 삭제권, ㉡ 자기 결정권
     4. ㉠ 정보 정정권, ㉡ 정보 삭제권
     5. ㉠ 정보 열람권, ㉡ 자기 결정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정 - 정보를 정정할 수 있다
삭제 -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QR시스템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유통업자와 제조업자간의 정보네트워크를 축으로 하기 때문에 납기를 단축할 수 있다.
     2. 물류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EDI를 통해 문서거래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정확성이 늘어난다.
     4. 공급업자의 빈번한 배송으로 상품이 보충되어 물류센터가 재고품을 더 많이 보유하게 된다.
     5. 유행의 속성을 지닌 패션상품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1%

77.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성과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신규 캠페인 빈도는 마케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2. 고객 불만 처리 시간은 서비스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3. 고객유지율은 판매 성과를 위한 성과지표이다.
     4. 신규 판매자 수는 판매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5. 캠페인으로 창출된 수익은 마케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객유지율은 고객관점에서 고객가치창출과 차별화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해설작성자 : 호맨]

78. 기업이 CRM의 성과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지표를 크게 판매지표, 고객 서비스지표, 마케팅 지표로 구분할 때, 고객 서비스 지표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4월)
     1. 판매 요청 건수, 유지된 고객 수, 평균 해결시간
     2. 서비스 요청 건수, 유효한 판매 기회 건수
     3. 고객만족도 수준, 고객 유지율
     4. 일별 평균 서비스 요청건수, 평균 해결 시간
     5. 잠재적 고객 수, 신규 고객 유치율

     정답 : []
     정답률 : 42%

79. POS(Point of Sale) System 도입에 따른 제조업체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경쟁상품과의 판매경향 비교
     2. 판매가격과 판매량의 상관관계
     3. 기후변동에 따른 판매동향 분석
     4. 신제품·판촉상품의 판매경향 파악
     5. 상품구색의 적정화에 따른 매출증대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5. 소매업체가 점포관리 측면에서 얻게되는 효과임.
[해설작성자 : 호맨]

80. 유통업체에서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로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데이터베이스
     2. 빅데이터 분석
     3. 데이터 댐
     4. 데이터마이닝
     5. 마이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57%

81. 아래 글상자의 OECD 프라이버시 8대 원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만을 나열한 것은?(2024년 11월)

    

     1. ㉠, ㉡
     2. ㉠, ㉢
     3. ㉠, ㉤
     4. ㉢, ㉣
     5. ㉣, ㉤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ㄱ - 수집 제한의 원칙
ㅁ - 안전성 확보의 원칙
[해설작성자 : 양이]

82. 유통정보시스템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 물류비용과 재고비용을 감축하여 채널단계에 참여하는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2. 유통정보와 프로세스의 흐름을 확보해 시간차로 발생하는 가시성 문제를 최소화하여 시장수요와 공급을 조절해 주고 각 개인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 공급이 원활하도록 지원한다.
     3. 유통정보시스템은 경영자가 유통과 관련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4. 유통거래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으로 관련된 기존 시스템의 정보를 추출, 변환,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 업무담당자 목적에 맞는 정보만을 모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5. 유통정보시스템은 기업의 유통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흐름을 통합하여 전사적 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유통계획, 관리, 거래처리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통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절차, 설비, 인력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4번 : ETL 설명으로 보임
ETL: 추출, 전환, 적재(ETL)다양한 소스의 데이터를 데이터 웨어하우스라고 부르는 대형 중앙 집중식 리포지토리에 결합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아래의 그림은 조달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이다. 협상에 의한 계약 전 과정에 대하여 사업발주를 위한 제안요청서 작성부터 평가, 사업관리 등 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서비스하는 시스템 명칭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e-담합감시정보시스템
     2. e-온라인평가시스템
     3. e-협업시스템
     4. e-정보공유시스템
     5. e-발주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55%

84. RFID 도입에 따른 제조업자 측면에서의 이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재고 가시성
     2. 노동 효율성
     3. 제품 추적성
     4. 주문 사이클 타임의 증가
     5. 제조자원 이용률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재고 관리 측면 효율성 상승으로 주문사이클 타임(=리드타임)이 줄어듭니다
[해설작성자 : 뿌루뿡]

85. 아래 글상자 설명은 유통업체의 정보시스템 구현과 관련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서비스 수준관리
     2. 엣지 컴퓨팅
     3. 블록체인
     4. 분산 처리
     5. 가상화 기술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블록체인 = 분산처리    3,4번 같이있으니 복수정답은 아닐테고 첫번째 지문의 가상하드웨어와 두번째 지문 클러스터 모두 가상화 기술임.
[해설작성자 : YB250830]

86. 유통 분야의 RFID 도입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검수 정확도가 향상된다.
     2.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가능하다.
     3. 입·출고 리드타임이 늘어난다.
     4. 도난 등 상품 손실비용이 절감된다.
     5. 반품 및 불량품을 추적하고 조회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리드타임: 제품 하나를 생산하고 인도하는데 걸리는 시간
1, 2, 4, 5가 전부 긍정적효과이며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가능케 되면 리드타임은 당연이 줄어들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암묵지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주관적인 지식
     2. 경험적인 지식
     3. 초 언어적 지식
     4. 명시적인 지식
     5. 직관적인 지식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암묵지=언어로 표현되지 않은 지식을 의미
학습과 경험으로 체화되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혹은 노하우(know-how)
형식지
외부적으로 표출되는 지식인 명시지(형식지)가 있다
명시지 혹은 형식지는 문서나 매뉴얼 등을 통해 외부적으로
표출되어 여러 사람에게 공유될 수 있는 지식을 의미
[해설작성자 : AJ29]

88. 지식경영이 중요한 경영기법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 배경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지식경영은 프로젝트 지식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2. 지식경영은 복잡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빠르고,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이다.
     3. 지식경영은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 향상을 위해 지식을 기반으로 혁신하여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지식경영은 대화와 토론을 장려하여 효과적 협력과 지식공유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5. 지식경영은 조직이 지식경제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식노동자 개인의 암묵적 지식 축적을 장려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암묵지와 형식지의 선순환 과정을 통해 경쟁우위를 획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e-비즈니스 모델별로 중점을 두어야할 e-CRM의 포인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서비스모델의 경우 서비스차별화나 서비스 이용 행태 정보제공을 고려한다.
     2. 상거래모델의 경우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제공을 고려한다.
     3. 정보제공모델의 경우 맞춤정보제공에 힘쓴다.
     4. 커뮤니티 모델의 경우 회원관리도구 제공에 힘쓴다.
     5. 복합모델의 경우 구성하는 개별모델에 적합한 요소를 찾아 적용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RM은 고객을 광리하는 것이기에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제공과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쮸]

2. 정보제공모델에 대한 설명

* e-비즈니스 모델별로 중점을 두어야 하는 e-CRM의 포인트
1) 서비스모델 : 서비스차별화/서비스 이용 행태 정보 제공
2) 정보제공모델 : 맞춤정보제공, 유사커뮤니티에 대한 정보 제공
3) 커뮤니티 모델 : 회원관리도구 제공
4) 복합모델 : 구성하는 개별모델에 적합한 요소를 찾아 적용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90. 아래 글상자의 내용을 근거로 유통정보시스템의 개발 절차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 ㉣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1.정보활용목적에 대한 검토- 2.정보활용주체에 대한 결정- 3.필요정보에 대한 정의- 4.정보제공주체 및 방법에 대한 결정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1.주요 의사결정영역 확인 및 정보활용목적 검토
2.각각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담당자(정보활용주체)결정
3.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정의
4.정보제공주체 및 방법에 대한 결정
[해설작성자 : 10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830067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79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3
23478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477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385167) 좋은아빠되기 2025.11.28 3
23476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475 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474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473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2453074)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4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425209)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471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70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469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68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9652779)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467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66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465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64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63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4453176)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462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461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8300677)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184 Next
/ 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