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그림은 겹치기 용접에 의한 양면 이음을 나타낸다. 작용하중 F=50000N, 용접선의 허용인장응력 50N/mm2, t=10mm일 때, 필요한 용접선의 최소길이 l [mm]은?(2010년 04월)
1.
100
2.
71
3.
50
4.
36
정답 : [
2
] 정답률 : 86%
4.
회전수 600 rpm으로 20 kW의 동력을 전달하는 지름 50 mm의 회전축에 묻힘키(폭과 높이가 각각 8 mm)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재료의 허용압축응력이 25MPa일 때, 키의 길이[mm]는? (단, 키의 묻힘 깊이는 키높이의 1/2로 하고 안전율은 1로 한다)(2009년 04월)
1.
32
2.
48
3.
64
4.
128
정답 : [
4
] 정답률 : 78%
5.
비틀림 모멘트 T가 작용하면 비틀림각이 4 ° 발생하는 지름 d인 축에서 축지름만 변경하여 비틀림각을 1 °로 줄이고자 할 때, 축지름[mm]은? (단, 축은 실축이고, 탄성 거동한다고 가정한다)(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1%
6.
그림과 같이 필렛 용접된 두 금속판의 좌우로 10 [kN]의 하중이 가해질 때, 필요한 용접부 최소 길이 m, n에 가장 근사한 치수[mm]는? (단, 용접부의 허용전단응력은 10 [N/mm2]이다) (순서대로 m, n)(2018년 04월)
1.
188, 94
2.
137, 69
3.
110, 55
4.
95, 48
정답 : [
4
] 정답률 : 61%
7.
다음 IT 기본 공차표를 이용하여, ø62H9의 일반공차 표기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ø62H9는 지름 62mm, IT9의 공차등급을 가진 구멍이다. 지름 치수가 50 초과 80 이하, 공차등급이 IT9이므로 74μm의 공차를 갖는다. 구멍이므로 위치수가 +0.074mm가 된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8.
지름이 30 mm이고 허용전단응력이 80MPa인 리벳을 이용하여 두 강판을 1줄 겹치기 이음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연결된 두 강판에 100 kN의 인장하중이 작용한다면 요구되는 리벳의 최소 개수는? (단, 판 사이의 마찰력을 무시하고, 전단력에 의한 파손만을 고려한다)(2016년 04월)
1.
2
2.
4
3.
6
4.
8
정답 : [
1
] 정답률 : 61%
9.
1,000rpm으로 회전하면서 100πkW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축이 4kNㆍm의 굽힘모멘트를 받고 있을 때, 상당 비틀림모멘트 Te에 대한 상당 굽힘모멘트 Me의 비(Me/Te)는?(2021년 04월)
1.
0.6
2.
0.7
3.
0.8
4.
0.9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틀림모멘트 T = 30H/πN = 3 [kN] 상당 비틀림모멘트 Te = root(T^2 + M^2) = 5 [kN] 상당 굽힘모멘트 Me = (Te + M)/2 = 4.5 [kN] Me/Te = 0.9 [해설작성자 : 형준형]
10.
평기어를 설계할 때, 언더컷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잇수는 압력각에 따라 다르다. 표준치를 갖는 피니언과 맞물리는 기어가 랙일 때, 압력각(p)에 따른 피니언의 이론적 최소잇수(N)는? (단, sin 20°=0.34, cos 20°=0.94, tan 20°=0.36, sin 25°=0.42, cos 25°=0.91, tan 25°=0.47이다)(2012년 04월)
1.
p=20°일 때 N=18 , p=25°일 때 N=12
2.
p=20°일 때 N=12 , p=25°일 때 N=18
3.
p=20°일 때 N=18 , p=25°일 때 N=22
4.
p=20°일 때 N=22 , p=25°일 때 N=18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N≥2/sin2p [해설작성자 : 아이언맨 ]
11.
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비틀림 모멘트만을 받는 원형 중실축의 중심에서 전단응력은 없다.
2.
바흐(Bach)의 축 설계조건은 굽힘모멘트를 받는 축의 강도설계에 사용된다.
3.
축에 묻힘키를 사용하는 경우 축에 파여진 키홈의 영향으로 축의 강도가 저하된다.
4.
같은 크기의 토크를 전달할 때, 중공축이 중실축에 비해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12.
나사의 피치가 4 mm인 2줄 나사를 1.5회전시켰을 때 축 방향의 이동거리[mm]는?(2008년 04월)
1.
8
2.
12
3.
16
4.
20
정답 : [
2
] 정답률 : 92%
13.
회전축의 위험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굽힘과 비틀림 변형에너지가 축의 변형과 복원을 반복해서 일으키는 것과 관계가 있다.
2.
진동현상이 발생되면 축이 파괴되기도 한다.
3.
축의 상용회전수는 위험속도로부터 ± 20% 내에 들어야 한다.
4.
세로진동은 비교적 위험성이 적으므로, 주로 휨진동과 비틀림진동을 고려해서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험속도 근처에 가면 안되니까 더 멀어져야 합니다 (플마 25% 밖으로) [해설작성자 : 기계90가자]
14.
두 축이 서로 평행하고 중심선의 위치가 서로 약간 어긋났을 경우, 각속도의 변화 없이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려고 할 때 사용되는 커플링(coupling)은?(2009년 04월)
1.
머프(muff) 커플링
2.
오울드 햄(old ham) 커플링
3.
유니버설(universal) 커플링
4.
셀러(Seller) 커플링
정답 : [
2
] 정답률 : 82%
15.
원통마찰차의 원동차 지름이 300 [mm], 회전수 600 [rpm], 단위 길이[mm]당 허용수직힘이 2.5 [kgf/mm]일 때, 최대전달동력 9 [PS]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바퀴의 최소 폭[mm]은? (단, 원동차의 표면재료는 목재, 종동차는 주철재이며, 마찰계수는 0.15, π=3으로 한다)(2015년 04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3
] 정답률 : 55%
16.
다음 기계요소 중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은?(2008년 04월)
1.
캠과 캠기구
2.
체인과 스프로킷 휠
3.
래칫 휠과 폴
4.
웜과 웜기어
정답 : [
1
] 정답률 : 82%
17.
두께가 10mm인 평벨트로 연결된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를 각각 300rpm, 200rpm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 종동축 풀리의 지름[mm]은? (단, 원동축 풀리의 지름은 600mm이고 벨트 두께를 고려하며 벨트와 풀리 사이에 미끄럼은 없다)(2023년 04월)
1.
895
2.
900
3.
905
4.
910
정답 : [
3
] 정답률 : 73%
18.
양쪽 덮개판 한줄 맞대기 리벳이음에서 리벳지름은 10mm, 강판두께는 10mm, 리벳피치는 50mm이다. 리벳 전단강도가 강판 인장강도의 50%일 때, 가장 가까운 리벳효율[%]은? (단, W=인장하중, π=4이다)(2020년 07월)
1.
18
2.
24
3.
30
4.
36
정답 : [
1
] 정답률 : 50%
19.
그림과 같이 200 kN·mm의 토크가 작용하여 브레이크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드럼을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레버에 가해야 할 힘 F[N]는? (단, d=400mm, a=1,500 mm, b=280mm, c=100mm, 마찰계수 μ=0.2이다)(2017년 04월)
1.
866.7
2.
1,000
3.
1,733.3
4.
2,000
정답 : [
2
] 정답률 : 74%
20.
그림과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질량 M=10 [kg]인 물체를 체결하는 기구가 있다. 나사는 바깥지름 20 [mm], 유효지름 18 [mm], 피치 3.14 [mm]인 사각나사이다. 물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최소 축력 Q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 P[N]로 가장 가까운 값은? (단, 나사면의 마찰계수는 0.1, 물체와 기구와의 마찰계수는 0.2이다)(2013년 07월)
1.
0.346
2.
3.46
3.
0.692
4.
6.92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물체무게 W=mg=98N=μQn 여기서 물체와 기구의 마찰면 수 n=2, μ=0.2 대입하면 Q=245N
아래 그림은 겹치기 용접에 의한 양면 이음을 나타낸다. 작용하중 F=50000N, 용접선의 허용인장응력 50N/mm2, t=10mm일 때, 필요한 용접선의 최소길이 l [mm]은?(2010년 04월)
1.
100
2.
71
3.
50
4.
36
정답 : [
2
] 정답률 : 86%
4.
회전수 600 rpm으로 20 kW의 동력을 전달하는 지름 50 mm의 회전축에 묻힘키(폭과 높이가 각각 8 mm)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재료의 허용압축응력이 25MPa일 때, 키의 길이[mm]는? (단, 키의 묻힘 깊이는 키높이의 1/2로 하고 안전율은 1로 한다)(2009년 04월)
1.
32
2.
48
3.
64
4.
128
정답 : [
4
] 정답률 : 78%
5.
비틀림 모멘트 T가 작용하면 비틀림각이 4 ° 발생하는 지름 d인 축에서 축지름만 변경하여 비틀림각을 1 °로 줄이고자 할 때, 축지름[mm]은? (단, 축은 실축이고, 탄성 거동한다고 가정한다)(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1%
6.
그림과 같이 필렛 용접된 두 금속판의 좌우로 10 [kN]의 하중이 가해질 때, 필요한 용접부 최소 길이 m, n에 가장 근사한 치수[mm]는? (단, 용접부의 허용전단응력은 10 [N/mm2]이다) (순서대로 m, n)(2018년 04월)
1.
188, 94
2.
137, 69
3.
110, 55
4.
95, 48
정답 : [
4
] 정답률 : 61%
7.
다음 IT 기본 공차표를 이용하여, ø62H9의 일반공차 표기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ø62H9는 지름 62mm, IT9의 공차등급을 가진 구멍이다. 지름 치수가 50 초과 80 이하, 공차등급이 IT9이므로 74μm의 공차를 갖는다. 구멍이므로 위치수가 +0.074mm가 된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8.
지름이 30 mm이고 허용전단응력이 80MPa인 리벳을 이용하여 두 강판을 1줄 겹치기 이음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연결된 두 강판에 100 kN의 인장하중이 작용한다면 요구되는 리벳의 최소 개수는? (단, 판 사이의 마찰력을 무시하고, 전단력에 의한 파손만을 고려한다)(2016년 04월)
1.
2
2.
4
3.
6
4.
8
정답 : [
1
] 정답률 : 61%
9.
1,000rpm으로 회전하면서 100πkW의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축이 4kNㆍm의 굽힘모멘트를 받고 있을 때, 상당 비틀림모멘트 Te에 대한 상당 굽힘모멘트 Me의 비(Me/Te)는?(2021년 04월)
1.
0.6
2.
0.7
3.
0.8
4.
0.9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틀림모멘트 T = 30H/πN = 3 [kN] 상당 비틀림모멘트 Te = root(T^2 + M^2) = 5 [kN] 상당 굽힘모멘트 Me = (Te + M)/2 = 4.5 [kN] Me/Te = 0.9 [해설작성자 : 형준형]
10.
평기어를 설계할 때, 언더컷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잇수는 압력각에 따라 다르다. 표준치를 갖는 피니언과 맞물리는 기어가 랙일 때, 압력각(p)에 따른 피니언의 이론적 최소잇수(N)는? (단, sin 20°=0.34, cos 20°=0.94, tan 20°=0.36, sin 25°=0.42, cos 25°=0.91, tan 25°=0.47이다)(2012년 04월)
1.
p=20°일 때 N=18 , p=25°일 때 N=12
2.
p=20°일 때 N=12 , p=25°일 때 N=18
3.
p=20°일 때 N=18 , p=25°일 때 N=22
4.
p=20°일 때 N=22 , p=25°일 때 N=18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N≥2/sin2p [해설작성자 : 아이언맨 ]
11.
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비틀림 모멘트만을 받는 원형 중실축의 중심에서 전단응력은 없다.
2.
바흐(Bach)의 축 설계조건은 굽힘모멘트를 받는 축의 강도설계에 사용된다.
3.
축에 묻힘키를 사용하는 경우 축에 파여진 키홈의 영향으로 축의 강도가 저하된다.
4.
같은 크기의 토크를 전달할 때, 중공축이 중실축에 비해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12.
나사의 피치가 4 mm인 2줄 나사를 1.5회전시켰을 때 축 방향의 이동거리[mm]는?(2008년 04월)
1.
8
2.
12
3.
16
4.
20
정답 : [
2
] 정답률 : 92%
13.
회전축의 위험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굽힘과 비틀림 변형에너지가 축의 변형과 복원을 반복해서 일으키는 것과 관계가 있다.
2.
진동현상이 발생되면 축이 파괴되기도 한다.
3.
축의 상용회전수는 위험속도로부터 ± 20% 내에 들어야 한다.
4.
세로진동은 비교적 위험성이 적으므로, 주로 휨진동과 비틀림진동을 고려해서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위험속도 근처에 가면 안되니까 더 멀어져야 합니다 (플마 25% 밖으로) [해설작성자 : 기계90가자]
14.
두 축이 서로 평행하고 중심선의 위치가 서로 약간 어긋났을 경우, 각속도의 변화 없이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려고 할 때 사용되는 커플링(coupling)은?(2009년 04월)
1.
머프(muff) 커플링
2.
오울드 햄(old ham) 커플링
3.
유니버설(universal) 커플링
4.
셀러(Seller) 커플링
정답 : [
2
] 정답률 : 82%
15.
원통마찰차의 원동차 지름이 300 [mm], 회전수 600 [rpm], 단위 길이[mm]당 허용수직힘이 2.5 [kgf/mm]일 때, 최대전달동력 9 [PS]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바퀴의 최소 폭[mm]은? (단, 원동차의 표면재료는 목재, 종동차는 주철재이며, 마찰계수는 0.15, π=3으로 한다)(2015년 04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3
] 정답률 : 55%
16.
다음 기계요소 중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은?(2008년 04월)
1.
캠과 캠기구
2.
체인과 스프로킷 휠
3.
래칫 휠과 폴
4.
웜과 웜기어
정답 : [
1
] 정답률 : 82%
17.
두께가 10mm인 평벨트로 연결된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를 각각 300rpm, 200rpm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 종동축 풀리의 지름[mm]은? (단, 원동축 풀리의 지름은 600mm이고 벨트 두께를 고려하며 벨트와 풀리 사이에 미끄럼은 없다)(2023년 04월)
1.
895
2.
900
3.
905
4.
910
정답 : [
3
] 정답률 : 73%
18.
양쪽 덮개판 한줄 맞대기 리벳이음에서 리벳지름은 10mm, 강판두께는 10mm, 리벳피치는 50mm이다. 리벳 전단강도가 강판 인장강도의 50%일 때, 가장 가까운 리벳효율[%]은? (단, W=인장하중, π=4이다)(2020년 07월)
1.
18
2.
24
3.
30
4.
36
정답 : [
1
] 정답률 : 50%
19.
그림과 같이 200 kN·mm의 토크가 작용하여 브레이크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드럼을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레버에 가해야 할 힘 F[N]는? (단, d=400mm, a=1,500 mm, b=280mm, c=100mm, 마찰계수 μ=0.2이다)(2017년 04월)
1.
866.7
2.
1,000
3.
1,733.3
4.
2,000
정답 : [
2
] 정답률 : 74%
20.
그림과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질량 M=10 [kg]인 물체를 체결하는 기구가 있다. 나사는 바깥지름 20 [mm], 유효지름 18 [mm], 피치 3.14 [mm]인 사각나사이다. 물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최소 축력 Q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 P[N]로 가장 가까운 값은? (단, 나사면의 마찰계수는 0.1, 물체와 기구와의 마찰계수는 0.2이다)(2013년 07월)
1.
0.346
2.
3.46
3.
0.692
4.
6.92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물체무게 W=mg=98N=μQn 여기서 물체와 기구의 마찰면 수 n=2, μ=0.2 대입하면 Q=245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