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인 제품원가계산을 위해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원가에 배부하고자 한다. 다음 중 기계장치의 감가상각비를 배부하는 기준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제조부문과 보조부문간의 전력사용량 비율
2.
제조부문과 보조부문간의 종업원수 비율
3.
제조부문과 보조부문간의 건물면적 비율
4.
제조부문과 보조부문간의 기계사용시간 비율
정답 : [
4
] 정답률 : 87%
9.
다음은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원가계산을 하기 위해 완성품환산량의 개념이 필요하다.
2.
공정별로 집계된 원가를 인위적인 기준으로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한다.
3.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로 구분하여 제조간접비의 배분을 핵심과제로 한다.
4.
종합원가계산이 적합한 업종의 예로 시멘트공업을 들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상기 설명은 개별원가계산의 핵심과제이다.
10.
(주)부산상사는 종합원가계산시스템을 사용하여 제품원가계산을 하고 있다. 당기에 36,000단위를 생산에 착수하였으며, 35,000단위를 완성하였다. 원재료와 가공비는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할 경우 선입선출법을 사용하여 완성품 환산량을 계산하면 각각 몇 단위인가? (순서대로 재료비, 가공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