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적지출로 처리하여야 할 것을 자본적지출로 잘못 회계처리한 경우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당기순이익이 과대 계상된다.
2.
현금 유출액이 과대 계상된다.
3.
자본이 과대 계상된다.
4.
자산이 과대 계상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익적 지출을 자본적 지출로 처리하면 비용이 과소계상되고 자산이 과대계상된다. 비용이 과소계상되면 당기순이익이 과대계상된다. 자산이 과대계상되면 자본이 과대계상된다. 현금유출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윤즌]
3.
다음 중 재고자산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취득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한 하역료
2.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직접재료원가
3.
추가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외의 보관비용
4.
수입과 관련한 수입관세
정답 : [
3
] 정답률 : 64%
4.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 계속성원칙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1.
중요한 회계정보를 필요한 때에 적시성있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2.
기간별로 재무제표의 비교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
수익과 비용을 적절히 대응하기 위함이다.
4.
기업간 회계처리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5.
㈜한국은 12월 1일에 ㈜서울에 대한 외상매출금 1,000,000원에 대하여 ㈜서울의 파산으로 대손처리하였다. 대손처리 전에 외상매출금 및 대손충당금의 잔액이 다음과 같을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손처리 후의 외상매출금의 총액은 1,000,000원이 감소된다.
2.
12월 1일의 회계처리에서는 일정한 비용이 인식된다.
3.
대손처리 후의 대손충당금의 잔액은 1,000,000원이 감소된다.
4.
대손처리 후의 외상매출금의 순액은 변동이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6%
6.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에 나타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직접재료비
2.
직접노무비
3.
당기제품제조원가
4.
제품매출원가
정답 : [
4
] 정답률 : 90%
7.
(주)청윤은 제조간접비를 기계사용시간으로 배부하고 있다. 당해 연도초의 제조간접비 예상액은 1,500,000원이고 예상 기계사용시간은 30,000시간이다. 당기말 현재 실제 제조간접비 발생액이 1,650,000원이다. 실제 기계사용시간이 36,900시간일 경우 당기의 제조간접비 과소(과대)배부액은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