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손품의 검사시점이 기말재공품의 완성도 이전인 경우에 공손품원가를 모두 완성품에만 부담시킨다.
3.
비정상공손원가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4.
정상공손은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손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번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안분하여 부담시킨다. [해설작성자 : 열공신아영님]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여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익단체에 유상으로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 : 과세
2.
전기 : 면세
3.
국민주택 규모 초과 주택의 임대 : 과세
4.
수돗물 : 과세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공익단체에 유상으로 공급=부가세과세대상 [해설작성자 : 메이]
12.
다음은 부가가치세법상 공급시기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된 것은?
1.
상품권 등을 현금 또는 외상으로 판매하고 그 후 그 상품권 등이 현물과 교환되는 경우 : 재화가 실제로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2.
내국신용장에 의한 재화의 공급 : 재화를 인도하는 때
3.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의 경우 : 가공된 재화를 인도하는 때
4.
전력이나 그 밖에 공급단위를 구획할 수 없는 재화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 예정신고기간 또는 과세기간 종료일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번의 상품권은 유가증권으로 부가가치세법상의 재화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공급시기와 무관하며 판매 재화가 구매자에게 실제로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부가세예수금이 인식되어 1번은 맞는 답입니다 위에 적힌 부가세법시행령상의 공급시기는 장기할부판매, 완성도기준지급, 중간지급조건부, 계속적공급에만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학과졸업생]
①,④ 각 대가를 받기로 한 때가 공급시기이다.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28조 제3항 4호) [해설작성자 : 김김김]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를 적용 받을 수 있는 사업자는? (단, 보기 외의 다른 소득은 없다.)
1.
당기에 사업을 개시한 패션 악세사리(재생용 아님) 도매 사업자 김정수씨
2.
직전년도의 임대료 합계액이 3,000만원인 부동산 임대사업자 장경미씨
3.
직전년도의 공급대가가 5,000만원에 해당하는 의류 매장을 운영하는 박민철씨가 사업확장을 위하여 당기에 신규로 사업을 개시한 두 번째 의류 매장
4.
직전년도의 공급가액이 4,800만원(부가가치세 480만원 별도)인 한식당을 운영하는 이영희씨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직전 연도 공급대가(부가세 포함)가 4,800만원 미만인 경우 간이과세자 [해설작성자 : 다들홧팅]
14.
다음은 소득세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거주자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개인을 말한다.
2.
외국을 항행하는 선박 또는 항공기 승무원의 경우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 거주하는 장소 또는 승무원이 근무기간 외의 기간 중 통상 체재하는 장소가 국내에 있는 때에는 당해 승무원의 주소는 국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3.
국내에 거소를 둔 기간은 입국하는 날의 다음날부터 출국하는 날까지로 한다.
4.
미국시민권자나 영주권자의 경우 비거주자로 본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비거주자=거주자가 아닌 개인 [해설작성자 : ㅇㅅㅇ]
15.
다음 중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으로 보지 않는 금액은?
1.
법인세법에 의해 상여로 처분된 금액
2.
종업원에게 지급하는 통근수당
3.
종업원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4.
종업원이 회사로부터 주택의 구입에 소요되는 자금을 무상으로 대여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주주가 아닌 임원, 임원이 아닌 종업원이 사택을 제공받아 얻는 이익=근로소득 아님 [해설작성자 : ㅇㅅ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