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전자식 교환기의 가입자선 정합 기능을 담당하는 'BORSCHT'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B: 통화 전류 공급
2.
R: 호출 신호 송출
3.
S: 직류 전류 감시
4.
H: 과전압 보호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H 아날로그 2선 전송과PCM신호 4선 전송간의 상호변환
[추가 해설] B:(Battery feed) 통화전류공급 O:(over voltage protection) 과전압으로 부터의 보호 R:(Ringing) 수호전류 공급 S:(Supervision) 가입자 상태감시 C:(Coding/decoding) A/D, D/A 선 변환 기능 H:(Hybrid) 2/4, 4/2선 변환 기능 T:(Test) 시험 엑세스 제공기능 [해설작성자 : 국선문노]
2.
교환기 간의 각종 신호 방식 중에서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 적합한 신호 방식은?
1.
ITU No.6 공통선 신호 방식
2.
ITU No.7 공통선 신호 방식
3.
Dc 루프 신호 방식
4.
CEPT 신호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ITU NO.7 공통선 신호방식 : 디지털 교환망에 가장 적합한 신호방식이며, ISDN망을 구현하는 망이다.
3.
다음 중 디지털 위성 방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서비스 지역이 좁아진다.
2.
아날로그 위성 방송에 비해 화질이 우수하다.
3.
다채널이 가능하다.
4.
전파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95%
4.
8위상 변ㆍ복조를 사용하는 모뎀의 데이터 신호 속도가 9,600일 때 변조 속도는 몇 [Baud]인가?
1.
1,200[Baud]
2.
2,400[Baud]
3.
3,200[Baud]
4.
4,800[Baud]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변조속도[baud]=신호속도[bps]÷log M 2 9,600÷3=3-200[baud]
5.
다음 중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타임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전송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갖는 방식은?
1.
동기식 TDM
2.
FDM
3.
비동기식 TDM
4.
WDM
정답 : [
3
] 정답률 : 83%
6.
다음 중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FD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CH] 당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넓다
2.
아날로그 신호 형태이므로 기설 전송장치와 정합이 용이하다.
3.
단국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다.
4.
직렬 전송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7.
1개의 신호당 2개의 비트로 표현한 신호단위의 경우, 1,200[bps]는 몇 보[Baud]에 해당하는가?
1.
600[Baud]
2.
1,200[Baud]
3.
2,400[Baud]
4.
4,800[Baud]
정답 : [
1
] 정답률 : 78%
8.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해 패리티 검사(Parity Check)를 사용하는 이유는?
1.
데이터 링크를 확립
2.
전송 용량을 확대
3.
전송된 부호의 오류를 검출
4.
통신 속도를 향상
정답 : [
3
] 정답률 : 93%
9.
다음 중 데이터 통신상에서 원활한 데이터의 흐름과 정확성을 위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장치는?
1.
통신 제어 장치
2.
전송 제어 장치
3.
통신 종단 장치
4.
단말 입ㆍ출력 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8%
10.
데이터 비트가 4비트이고 패리티 비트가 1개 일때, 홀수 패리티 체크가 되도록 ①과 ②를 채우면?
1.
0 , 0
2.
0 , 1
3.
1 , 0
4.
1 , 1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ㅇ홀수 패리티 : 패리티 비트(P)를 포함하여 "1"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한다. 데이터 비트가 4bit 이고 패리티 bit가 1개이므로 "1"의 개수가 홀수가 되기 위해서는 1은 "0", 2는 "1"이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1.
다음 중 F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형변조방식에 속한다.
2.
FM은 각변조 방식의 일종이다.
3.
반송파 주파수 부근에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발생한다.
4.
변조신호를 가지고 반송파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ㅇ주파수 변조(FM)방식 1. 비선형변조방식에 속한다. 2. 변조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3. 협대역 FM과 광대역 FM방식이 있다. 4. 반송파로 cos이나 sin 함수와 같은 연속함수를 사용한다. 5. AM방식보다 품질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2.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주파수를 높게 선정했을 때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영상주파수 관계가 개선된다.
2.
근접주파수 선택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3.
충실도가 개선된다.
4.
인입 현상 영향이 개선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장점
- 중간 주파수를 높게 잡을 때 1. 충실도 좋아 진다. 2. 영상 주파수에 의한 영향이 개선 된다. 3. 인입 현상의 의향 영향이 개선 된다.
- 중간 주파수를 낮게 잡을 때 1. 선택도를 좋게 할 수 있다. 2. 단일 조정(tracking)이 쉽다. 3. 감도 및 안정도 향상 된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3.
다음 중 진폭제한기(Limiter) 역할을 수행하는 주파수 변별기는?
1.
Ratio형 검파기
2.
Foster-Seeley형 검파기
3.
복동조형 (Round-Travis) 주파수 변별기
4.
Stagger-Tuned 검파기
정답 : [
1
] 정답률 : 85%
14.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고주파증폭부의 역할과 관계가 먼 것은?
1.
국부발진세력의 방사 방지
2.
수신기 입력단에서의 S/N비 저하
3.
선택도 향상
4.
영상주파수 제거의 개선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ㅇ고주파 증폭 회로 사용 시 이점 1. 감도가 좋아진다. 2. 이득이 증가한다. 3. S/N비가 향상된다. 4. 불요 복사가 억제된다. 5. 영상 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 6. 안테나와의 임피던스 정합에도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5.
다음 중 마이크로파 전송에 적합한 급전선은?
1.
평행 2선식 급전선
2.
동축 급전선
3.
도파관
4.
단선식 급전선
정답 : [
3
] 정답률 : 85%
16.
다음 중 전파의 파장범위 1[cm]~10[cm]에 해당하는 주파수대는 어느 것인가?
1.
3[MHz]~30[MHz]
2.
30[MHz]~300[MHz]
3.
300[MHz]~3000[MHz]
4.
3[GHz]~30[GHz]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F=속도(빛)/파장 파장 1cm 의 주파수는 : 3*10^8(m/s)/(1*10^-2)(m)= 30GHz 파장 10cm 의 주파수는 : 3*10^8(m/s)/(10*10^-2)(m)= 3GHz [해설작성자 : 려리]
17.
폴디드(Folded) 안테나를 만들 때 2개의 도체를 사용하여 2단으로 구성할 경우 복사저항은 얼마인가?
1.
약 36[Ω]
2.
약 73[Ω]
3.
약 293[Ω
4.
약 658[Ω]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73.13×n^2
3개의 도체를 이용한 3단 폴디드 안테나란 두 번 접어진 폴디드 안테나를 말하는 것으로 복사저항은 73.13 * n^2 에 의거(n은 접어진 횟수) 약 293 옴이 된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8.
야기안테나의 소자 중 길이가 가장 짧고 용량성을 갖는 소자는?
1.
도파기
2.
투사기
3.
반사기
4.
흡수기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ㅇ야기 안테나 : 도파기, 반사기, 복사기로 구성된 안테나 1) 투사기 : 일반적인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 2) 반사기 : 파장의 1/2의 길이보다 긴 도체로 투사기에서 역발사된 전파를 발사한다. 투사기보다 짧고 유도성을 갖는다. 3) 도파기 : 투사기에서 발사된 전파의 지향성을 높여준다. 투사기보다 짧고 용량성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19.
다음 중 위성통신용 지구국 안테나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혼 안테나
2.
파라볼라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안테나
4.
다이폴 안테나
정답 : [
3
] 정답률 : 83%
20.
무선채널에서 집중에러(Burst Error)를 분산시켜 에러 정정 능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은?
1.
엠퍼시스
2.
인터리빙
3.
핸드오버
4.
부호확산
정답 : [
2
] 정답률 : 84%
2과목 :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PN 부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기성을 갖는다.
2.
주파수 대역을 확산시킨다.
3.
간섭신호의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4.
주로 TDMA 방식에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PN 부호는 CDMA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sunt33]
22.
다음 중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물리계층, 링크계층, 패킷계층 등으로 구성된다.
2.
패킷형 단말기를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다.
3.
패킷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는 호 설정, 데이터 전송, 호 해제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4.
모든 패킷은 최소 2옥텟의 헤드를 가지며, 이를 공통의 헤드는 일반형식식별자(GFI), 가상회선식별자(VCI) 필드들로 구성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23.
다음 중 OSI 참조모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네트워크 장비간의 상호 운영성을 제공한다.
2.
개방형 통신 시스템의 통신 구조를 제공한다.
3.
각 계층의 기능과 인터페이스는 상호 독립적이다.
4.
실제 시스템의 적합성 검증을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OSI 계층 모델 (참조 모델) : 표준화를 위한 기본골격
ㅇ 컴퓨터 통신 분야에서 다양한 표준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 정의를 위한 기본골격 - 네트워크 상호간 접속을 위한 각종 규격 개발작업을 조정하는 공통기반 . 각기 따로 개발된 표준 규격들이, 이러한 참조모델에 의거, 쉽게 적응토록 하기 위함
ㅇ 한편,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 이란? -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 Open(개방형) <-(반대어)-> Proprietary(독점적,전매의,특허의,폐쇄형) - 1983년, ISO에 의해, 개발이 시작된 표준화 프로그램을 말함
※ 결론적으로, OSI 참조모델은 - 표준이라기 보다는 표준의 표준화로써, 다만 표준화를 유도하기 위한 기본 골격에 불과함 . 각 계층별로, 다양한 표준 프로토콜이 개발,발전될 수 있도록 기본틀을 제공
2. 계층 간 독립성
ㅇ 각 계층별 독립은 융통성(Flexibility)을 부여 - 예를들면,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진 전기적 인터페이스가 개발되면, - 상위계층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킨채 교체가 가능하는 등 [해설작성자 : ggchoi]
24.
다음 중 오류제어, 동기제어 등의 제어절차에 대한 내용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의 구성요소로 적합한 것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시간(Timing)
4.
동기화(Synchronizatio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ㅇ프로토콜의 구성요소 1. 형식(Syntax : 문법, 구문) : 데이터 포맷(형식), 부보화 및 신호 레벨 등 2. 의미(Semantics)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 결정. 전송의 조정 및 오류처리를 위한 제어 정보 등 3. 타이밍(Timing) : 속도 일치 및 순서의 제어 등 [해설작성자 : 피묻은오리]
25.
대역확산(Spread Spectrum)기술을 이용하는 다중화 방식은?
1.
FDM
2.
TDM
3.
CDM
4.
WDM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ㅇ대역확산 통신(Spread Spectrum)방식 : CDMA란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확산 코드(Spreading Code)를 이용하여 하나의 기지국 (또는 하나의 위성)에 다원접속하는 기술 중의 하나로 CDAM를 구현하기위해 Spread-Spectrum(대역확산) 기술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어떤 IP주소가 192.57.30.225이고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일 때 네트워크 ID는?
1.
192.57.30.0
2.
192.57.30.1
3.
192.57.30.225
4.
192.57.30.255
정답 : [
1
] 정답률 : 75%
27.
다음 중 ADS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상ㆍ하향 데이터 전송률이 같지 않다.
2.
쌍방향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3.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저속통신만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최대 적용거리는 5[Km] 정도이며 거리에 무관하게 속도가 일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한국통신에서 제공하는 ADSL 서비스는 전통적인 개념의 ADSL 방식입니다. 각 지방 전화국을 각각의 교환국으로 삼아 디지털 회선으로 상호 연결하고 지방 전화국과 가정 사이에는 기존 전화선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이미 각 전화국 사이에는 디지털 회선이 매설되어 있으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들지 않으며 전화회선이 들어온 가정, 사무실이라면 어디든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 또는 사무실과 전화국 사이가 멀어지면 노이즈로 인해 송수신 능력이 급격히 떨어져 만족할 만한 통신 서비스를 얻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통신의 ADSL 서비스는 경쟁사인 하나로통신과는 비교 할 수 없는 넓은 지역에서 서비스가 이루어 지고 있지만, 통신 회선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전화국과 먼 지역일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런]
28.
다음 중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 전달하는 기반기술은?
1.
디바이스 기술
2.
네트워크 접속 기술
3.
센싱 기술
4.
암호화 기술
정답 : [
3
] 정답률 : 89%
29.
정보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위ㆍ변조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정보보호의 기능은?
1.
인증
2.
기밀성
3.
부인방지
4.
무결성
정답 : [
4
] 정답률 : 81%
30.
다음 중 TCP와 UDP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TCP는 연결 지향성 프로토콜이다.
2.
UDP는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이다.
3.
UDP는 IP 프로토콜 번호 18번을 사용한다.
4.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TFTP, SNMP 등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프로토콜 ID : 17 [해설작성자 : ggchoi]
31.
다음 중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10명의 사용자가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는 경우에 필요한 비밀키의 개수는 얼마인가?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이다.
2.
64비트 평문에 대하여 동작한다.
3.
키의 길이는 128비트이다.
4.
8라운드 암호 방식을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국제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IDEA)는 스위스에서 1990년 Xuejia Lai, James Messey가 만든 PES(Proposed Encryption Standard)를 개량하여, 1991년에 제작된 블록 암호 알고리즘이다.
동작 IDEA의 한 라운드(round). IDEA는 64비트의 블록을 128비트의 key를 이용하며, 8개의 round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위치백과] [해설작성자 : 김병태]
33.
다음 중 케이블 선로에서 '장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R를 첨가하는 것
2.
L을 첨가하는 것
3.
C을 첨가하는 것
4.
G를 첨가하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81%
34.
다음 중 동축케이블에서 특성 임피던스가 가장 좋은 것은?(단, d : 내부 도체의 직경, D : 외부 도체의 직경)
다음 중 접지설비ㆍ구내통신설비ㆍ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등에 대한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국선수용 및 국선단자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구내로 인입된 국선은 구내선과의 분계점에 설치된 주단자함 또는 주배선반에 수용하여야 한다.
2.
광섬유케이블 또는 300회선 미만의 동케이블을 수용하는 경우 : 주단자함 또는 주배선반에 설치
3.
300회선 이상의 동케이블을 수용하는 경우 : 주배선반에 설치
4.
통신사업자는 국선단자함 및 구내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하고 운영ㆍ관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ㅁ 사용전검사 대상공사 ㅇ 구내통신선로설비 - 국선접속 설비를 제외한 구내 상호간 및 구내ㆍ외간의 통신을 위하여 구내에 설치하는 케이블 선조, 이상전압전류 에 대한 보호장치 및 전주와 이를 수용하는 관로, 통신터널, 배관, 배선반, 단자 등과 그 부대설비
관련법 : 정보통신공사업번 제36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35조, 제36조 [해설작성자 : 시간의 눈]
주택/건축 관련 정보통신공사 사용전검사란 정보통신공사 사용전검사는 신축ㆍ증축ㆍ개축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구내통신선로설비, 방송공동수신(종합유선방송, 지상파 TV, 위성방송, FM라디오방송)설비, 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 등의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로서, 건축물 준공전에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도 관련법 : 정보통신공사업법 제36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35조, 제36조
사용전검사 대상공사
구내통신선로설비
국선접속 설비를 제외한 구내 상호간 및 구내ㆍ외간의 통신을 위하여 구내에 설치하는 케이블 선조, 이상전압전류 에 대한 보호장치 및 전주와 이를 수용하는 관로, 통신터널, 배관, 배선반, 단자 등과 그 부대설비
통신단자함 혹은 국선단자함 설치는 건물시공사에서 설치합니다.
출처 : 관악구청 분야별정보 도시/주택/부동산 정보통신사용전검사 [해설작성자 : 시간의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