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전송 제어 문자(TCC) 중에서 전송의 종료 및 데이터 링크의 해제를 알리는 제어 문자는?
1.
ETX
2.
ETB
3.
EOT
4.
DLE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SYN(Synchronous Idle)문자동기 SOH(Start Of Heading)헤딩의 시작 STX(Start Of Text)본문의 지작및 헤딩 종료 EXT(End Of Text)본문의 종료 ETB(End of Transmission Block)블록종료 EOT(End of Transmission)전송종료 데이터 링크 해제 ENQ(Enquiry)상대편에 데이터링크설정과 응답요구 DLE(Data Link Escape)전송제어문자앞에 삽입 전송제어문자임을 알림 ACK(Acknowledge)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긍정응답 NAK(Negative Acknowledge)부정응답
4.
시간폭과 진폭이 일정한 펄스의 위치를 입력 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은?
1.
PAM
2.
PCM
3.
PPM
4.
PWM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펄스 진폭변조(PAM) - 신호파에 따라서 그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방식 펄스 코드변조(PCM) - 펄스 코드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는 화상, 음성, 동영상 비디오, 가상 현실 등과 같이 연속적인 시간과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변환하는 변조 방식 펄스 위치변조(PPM) - 각각의 변조파 순시 표본값이 펄스의 시간 위치를 변조시키는 펄스시간 변조 펄스 폭변조(PWM)- 변조될 신호에 따라 파형의 진폭은 일정하고 펄스의 폭을 변조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조현성]
5.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에서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FSK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동기검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FSK모뎀 구현이 매우 간단하다.
2.
FSK신호는 직교신호이어야 한다.
3.
전송 점유대역폭이 커서 주파수 사용 효율이 떨어진다.
4.
선형 변조이므로 비선형변조방식에 비해 신호분석이 어렵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포락선진폭 일정 주파수 정확성이 필요없음 대역폭 효율성이 나쁨 에러확률 성능이 PSK보다 좋지 않음 사용가능 주파수자원이 한정 회로구성이 간단 전신데이터전송에 많이 사용
6.
50[Baud]의 통신 속도를 100[Baud]로 향상 시켰다면 단위 펄스의 시간 길이는 얼마로 변하는가?
1.
10[ms]
2.
20[ms]
3.
30[ms]
4.
40[ms]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Baud=1/T(시간) 50=1/T T=1/50 0.02
100=1/T T=1/100 0.01
7.
다음 중 베이스밴드 전송(Baseband Transmission)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디지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2.
전송매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 때문에 컴퓨터 주변기기 간의 통신이나 LAN 등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만 사용한다.
3.
전송부호의 종류에는 RZ, NRZ, AMI(Bipolar), Manchester, CMI 등이 있다.
4.
협대역으로 저속전송에 사용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베이스밴드(Base Band) 전송은 컴퓨터나 단말장치 등에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지 않고 직류 펄스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저대역 전송이라고 한다. * 신호만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신호의 품질이 좋다. * 직류를 사용하므로 감쇠 등의 문제가 있어 장거리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 컴퓨터와 주변장치 간의 통신이나 LAN 등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된다 * 베이스밴드 전송 방식은 RZ,NRZ,Bipolar,Manchester,CMI등이 있다.
8.
다음 중 양자화 잡음의 개선책이 아닌 것은?
1.
양자화 계단을 크게 한다.
2.
양자화 계단수를 증가시킨다.
3.
비선형 양자화를 행한다.
4.
압신기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양자화 잡음 개선책으로, 양자화 계단수를 증가 시키는데, 계단수가 증가 할수록 계단(폭)은 작아진다.
고로, 양자화계단은 작게 한다. [해설작성자 : Talma]
9.
전송하고자 하는 총 비트 수가 20개일 때 해밍비트 수는 얼마인가?
1.
2비트
2.
3비트
3.
4비트
4.
5비트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p > d + p + 1
p : 해밍비트 d : 전송하고자하는 비트수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10.
다음 중 펄스코드변조(PCM)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과정을 거친다.
2.
양자화 잡음(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자화 스텝(Step) 수를 감소시킨다.
3.
표본화란 신호에 대한 시간적인 이산화 과정이다.
4.
부호화란 신호에 대한 진폭의 이산화 과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표본화란 시간에 대한 이산화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Talma]
1. 표본화->양자화->부호화 2. 양자화 잠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자화 스탭수를 증가시킨다. 4. 양자화는 신호에 대한 진폭의 이산화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자연인]
11.
다음 중 SSB 송신기가 DSB 송신기와 비교할 때 장・단점이 아닌 것은?
1.
S/N비가 개선된다.
2.
회로구성이 간단하다.
3.
비화통신이 가능하다.
4.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좁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ㅇ 주파수대역이 좁아(DSB의 1/2), - 다중화 통신 등 대역효율성 도모에 적합
ㅇ 억압 반송파 단측파대(SSB-SC)의 경우에, - 반송파의 제거로 반송파에 의한 채널사이의 혼변조가 제거됨 . 반송파가 제거되므로 송신기의 전력소비가 적어짐 - 수신 시 수신기의 복조는 동기 검파를 해야 하므로 수신 회로가 복잡해짐 . 반송파가 제거되어 수신기는 반송파에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반송파 주파수를 발진할 수 있는 회로가 있어야 함 (회로 복잡) [해설작성자 : ggchoi]
12.
다음 중 AM방식과 비교한 FM방식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전력이 적다.
2.
선택도가 우수하다.
3.
충실도가 높다.
4.
이득이 낮아도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주파수변조(FM)의 진폭변조(AM) 방식에 대한 장단점 비교
ㅇ 장점 - 진폭변조(AM)에 비해 이득, 선택도, 감도가 우수 - 저 전력 변조를 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AM 보다는 적음 - 페이딩의 영향을 덜 받음 ㅇ 단점 - 송수신기의 회로가 복잡함 - 주파수대역폭(점유폭)이 넓음 [해설작성자 : ggchoi]
네이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시스템 자원을 오용하거나 비정상적인 행위로 데이터를 훼손하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로 만드는 외부의 침입에 대한 보안 위협들을 탐지하기 위한 것은?
1.
Distributed DoS
2.
Intrusion Detection System
3.
Virtual Private Network
4.
Denial of Service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 탐지 시스템(IDS:Intrusion Detection System)은 네트워크에서 백신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공격을 탐지하기 위한 장비이다.
즉 방화벽이 차단하지 못한 내부의 해킹이나 악성코드의 활동을 탐지한다.
앞서 방화벽을 성문을 지키는 병사에 비유한 것과 마찬가지로 침입 탐지 시스템은 성 안에서 거리를 돌며 순찰하는 병사에 비유할 수 있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설치 위치와 목적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호스트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HIDS:Host-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과 네트워크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NIDS:Network-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이다. [해설작성자 : goodviz]
26.
각 노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토큰(Token)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는?
1.
망형(Mesh)
2.
트리형(Tree)
3.
링형(Ring)
4.
성형(Star)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Token (Ring) 또는 Token (Bus) 사용. [해설작성자 : Talma]
27.
다음 중 어플리케이션 수준 방화벽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프록시가 외부에서 내부 호스트로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2.
필요할 경우, 부가적인 인증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3.
외부네트워크와 내부네트워크의 경계선 방어가 제공된다.
4.
속도가 빠르고 투명성이 보장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28.
회사에서 하루 동안 발생된 전체 호(Call) 수는 120이고, 통화 완료된 호 수가 90이라면 통화 완료율은?
1.
25[%]
2.
50[%]
3.
75[%]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90/120] X 100 = 75% [해설작성자 : CYGNUS]
29.
다음 중 ICM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컴퓨터 상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2.
오류보고 및 수정의 기능이 없는 I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
메시지의 형태는 동일한 형식을 사용한다.
4.
메시지 전송에 따른 신뢰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IPv4, IPv6에 따라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다. 발신 주소가 무의미하거나 수신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인 경우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PeacewithLove]
30.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에서 긴급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URG
2.
ACK
3.
RST
4.
FIN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ㅇ URG (Urgent) - Urgent Pointer 필드에 값이 채워져있음을 알림 . 송신측 상위 계층이 긴급 데이터라고 알려주면, . 긴급비트 URG를 1 로 설정하고, . 순서에 상관없이 먼저 송신됨 - 긴급 데이터의 마지막 바이트 위치가 Urgent Pointer로 가리켜짐
ㅇ ACK (Acknowledgement) - 확인응답 필드에 확인응답번호(Acknowledgement Number) 값이 셋팅됐음을 알림 . 1로 셋팅되면, 확인번호 유효함을 뜻함 . 0로 셋팅되면, 확인번호 미포함 (즉, 32 비트 크기의 확인응답번호 필드 무시됨) - SYN 세그먼트 전송 이후(TCP 연결 시작후) 모든 세그먼트에는 항상 이 비트가 1로 셋팅됨
ㅇ PSH (Push) - 버퍼링된 데이타를 가능한한 빨리 상위 계층 응용프로그램에 즉시 전달할 것 . 수신측은 버퍼가 찰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수신 즉시 버퍼링된 데이터를 응용프로그램에 전달 - 사용 例) . Telnet 세션에서 `q` 입력 만으로 세션 종료를 알릴 때 등 . 때론, 서버측에서 더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기도 함
※ 아래 3개 비트 플래그(RST,SYN,FIN)는 TCP 연결설정 및 TCP 연결종료에 주도적으로 사용됨
ㅇ RST (Reset) [강제 연결 초기화 용도] - 연결확립(ESTABLISHED)된 회선에 강제 리셋 요청 . 강제 리셋 : RST=1 (RST 세그먼트 또는 RESET 세그먼트)
. 연결 상의 문제를 발견한 장비가 RST 플래그를 `1`로 설정한 TCP 세그먼트를 송출 .. LISTEN,SYN_RCVD 상태일때 => RST 수신한 경우에 => LISTEN 상태로 들어감 .. 그밖의 상태 일때 => RST 수신한 경우에 => 연결 끓고 CLOSED 상태로 들어감
* 반 개방 또는 연결 문제 등의 상황 처리를 위한 특별한 초기화용 제어 비트
ㅇ SYN (Synchronize) [연결시작,회선개설 용도] - TCP 연결설정 초기화를 위한 순서번호의 동기화 ☞ TCP 연결 설정 . 연결요청 : SYN=1, ACK=0 (SYN 세그먼트) . 연결허락 : SYN=1, ACK=1 (SYN+ACK 세그먼트) . 연결설정 : ACK=1 (ACK 세그먼트)
* 즉, 송수신 간에 순서번호의 동기화
ㅇ FIN (Finish) [연결해제,회선종결 용도] - 송신기가 데이타 보내기를 끝마침 ☞ TCP 연결 종료 . 종결요청 : FIN=1 (FIN 세그먼트) . 종결응답 : FIN=1, ACK=1 (FIN+ACK 세그먼트)
다음 중 아날로그 방식의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에 가장 적합한 통신케이블은?
1.
나선케이블
2.
동축케이블
3.
UTP케이블
4.
스크린케이블
정답 : [
2
] 정답률 : 84%
36.
다음 그림의 광섬유 코어의 비원율을 계산하여 광섬유 케이블이 선로 포설용으로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클래딩의 직경은 125[μm]이고, 코어경이 찌그러져 최대 직경이 51[μm]이고, 최소 직경은 49[μm], 광섬유 심선의 코어의 표준 규격 직경은 50[μm]이다.)
1.
비원율 : 7[%], 코어의 허용 비원율은 10[%] 미만으로 불가능하다.
2.
비원율 : 6[%], 코어의 허용 비원율은 9[%] 미만으로 가능하다.
3.
비원율 : 5[%], 코어의 허용 비원율은 7[%] 미만으로 불가능하다.
4.
비원율 : 4[%], 코어의 허용 비원율은 5[%] 미만으로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비원율 = (최대직경-최소직경) / 평균치경 [해설작성자 : tk]
37.
광송신기의 출력이 -3[dBm]이고, 광수신기의 수신감도가 -36[dBm]이며, 광섬유의 손실이 1[dB/km]이다. 여기에 접속손실과 광커넥터 손실을 무시한다면, 광전송 시스템이 무중계 전송 가능한 최대 거리는 얼마가 되는가?
1.
12[km]
2.
33[km]
3.
39[km]
4.
108[km]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 - (-36)]/1 [해설작성자 : CYGNUS]
38.
광섬유의 손실 중 외적인 손실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구조 불완전 손실
2.
마이크로 밴딩 손실
3.
구부러짐에 의한 손실
4.
접속에 의한 손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ㅇ 재료 손실 (내적 요인, Intrinsic factors) - 흡수손실 (Absorption Loss) . 빛 에너지 일부가 열에너지로 변환 .. 진성손실 (Intrinsic Loss) : 재료(Silica) 고유의 흡수손실 .. 불순물손실(Impurity Loss/Extrinsic Loss) : 재료의 불순물 정도에 기인 - 산란손실 (Scattering Loss) . 직진하는 빛이 여러 갈래로 흩어짐. 주로 재료의 불균질성에 기인 . 레일리히 산란 .. 1550 nm에서 손실 최소임. 따라서, 레일리히 산란손실 만이 압도적임
ㅇ 부가적 손실 (외적 요인, Extrinsic factors) - 구부림손실 (Bending Loss) . 마이크로벤딩손실(Microbending Loss) . 매크로밴딩손실(Macrobending Loss) - 접속손실 (Connection Loss) . 결합손실(Coupling Loss) : 광원 및 광섬유 간 결합에 따른 손실 . 스플라이싱손실(Splicing Loss) : 광섬유 간 접속(Splicing)에 따른 손실 - 불균질 접속 형태에 의한 손실 : 주로, 주위환경변화, 설치과정 등에서 발생 . 불결한 광커넥터 접속 . 불완전 스플라이싱 접속 . 광섬유 밴딩 . 광케이블 손상 : 클리브(cleave,절단),핀치(pinch,눌림) 등 [해설작성자 : hoony]
39.
통신선로 누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정전결합
2.
전자결합
3.
임피던스 부정합
4.
선로상 전파속도의 지연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누화(Cross talk)는 하나의 회로나 전송 시스템의 채널에 전송된 신호가 다른 채널에 의도하지 않은 효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지연과는 큰 관계가없다고 봐야한다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40.
다음 중 트위시트 페어 케이블(Twisted Pair Cable)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연된 두 가닥의 구리선이 균일하게 서로 감겨 있는 형태이다.
2.
다른 전송매체와 비교하여 거리, 대역폭, 데이터 전송률에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제약점을 가진다.
특성임피던스가 200[Ω]인 동축케이블의 무손실 선로에서 50[Ω]의 부하를 접속할 때 이 선로의 정재파비는?
1.
0.6
2.
1.2
3.
3.2
4.
4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진행하는 파가 아니고 정지한채 진동만 하는 파(정재파:Standing Wave) - 부하임피던스(Zr)와 선로임피던스(Z0)가 다를 경우 선로상에 진행파와 반사파 모두 존재 - 이들 두 파가 서로 간섭하여 동위상으로 만나는 곳은 최대점, 역위상으로 만나는 곳에서는 최소점이 생김 - 정재파비(VSWR)= 최대전압/최소전압= (|V+|+|V-|)/(|V+|-|V-|)
ㅇ 광 수동소자에 의한 가입자구간용 광 통신망 (즉, 광 가입자망) -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광수동소자 만으로 구성 . FSAN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바 있음
2. PON 전송 구조
ㅇ 1대多 형태 ☞ OLT, ONT, ONU 참조 - 집중 국사에 1개의 OLT(Optical Line Terminal)를 두고 하나의 광섬유에 의해, - 그 중간 지점에 광결합점(Optical Splitter,전원공급이 불필요한 수동소자)을 두어, . 하향 : 광 분배기(1:N), 상향 : TDMA 등에 의한 광 결합기(N:1) -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 또는 ONT(Optical Network Terminal)들이 연결되는,
- Point-to-Multipoint (1대多, PTMP, 1:32 등) 형태로 구성
ㅇ 상하향 비대칭 경쟁방식(Contention Method) - 하향 전송 : 단방향 브로드캐스팅 방식 - 상향 전송 : 시분할(TDMA,TDM-PON) 또는 파장분할(WDM,WDM-PON) 등의 다원접속 방식에 의해 각 ONU/ONT가 경쟁을 함
3. PON 특징
ㅇ 광선로의 공유에 의한 설치비용 절감 - PON은 스플리터와 같은 수동소자(별도의 전원 공급 불필요함)를 사용 - 광케이블 하나를 다수의 ONU가 공유하는 경제적 구축 기술 . 기존의 FTTH 에서처럼 1대1로 광케이블을 연결했을 때보다 비용절감 가능 . 광송수신장치와 광케이블 비용의 상당부분을 절감 가능
ㅇ 수동소자 사용에 의한 유지비용 절감 -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수동소자 만이 전송로에 사용되어 유지비용 낮음
ㅇ 전송거리가 긴 편 - xDLS은 전송거리가 약 4 km 이내이나, PON은 10~20 km 정도도 가능
4. PON 주요 구분 ☞ PON 기술방식별 비교 참조
ㅇ 계층 2 프로토콜별 구분 - B-PON : ATM PON . G.983 (B-PON) : 하향 (155 M, 622 Mbps) / 상향 (155 M, 622 Mbps, 1.25 Gbps) - G-PON : Ethernet 및 ATM PON (B-PON의 확장) . G.984 (G-PON) : 하향 2.488 Gbps / 상향 1.244 Gbps . G.987 (XG-PON) : 하향 10 G / 상향 2.5 G 또는 하향 10 G / 상향 10 G - E-PON : Ethernet PON . E-PON (802.3ah EFM) : 하향 1 G / 상향 1 G . 10G E-PON (802.3av) : 하향 10 G / 상향 1 G 또는 10 G - 계층 2 프로토콜이 투명 . WDM-PON
ㅇ 하향/상향 전송방식별 구분 - TDMA 방식 (하향 TDM, 상향 TDMA) : TDM-PON (B-PON / G-PON / XG-PON / E-PON / 10G-EPON) . 상향,하향에 각 1 파장씩 사용 . 하향은 TDM 브로드캐스팅 방식, 상향은 TDMA 다원접속 방식 - WDMA 방식 (하향 WDM, 상향 WDMA) : WDM-PON . 가입자별로 별도의 광 파장 사용 . 하향은 WDM 브로드캐스팅 방식, 상향은 WDMA 다원접속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기지국 제어장치(Base Station Controll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지국과 이동통신교환기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한다.
2.
단말기와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제어한다.
3.
셀 간 소프트 핸드오프 수행 및 하드 핸드오프를 결정한다.
4.
유니트는 Interface unit, CDMA mod/Demod unit, RF unit 등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3 기지국 제어장치(Base Station Controller)설명 4 기지국 장치(Base Transceiver Station) 유닛에 대한 설명 BC : 기지국 (BS, Base Station) BSC : BSC (Base Station Controller) : 기지국 제어기 BTS : BTS (Base Transceiver Subsystem) : 기지국 송수신기 [해설작성자 : 착한아이]
47.
다음 중 전송선로에 부정합이 존재할 경우의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반사에 의하여 전송손실의 증가 원인이 된다.
2.
불균등 반사 손실을 가져온다.
3.
간접누화의 원인이 된다.
4.
2선식 음성회선의 경우 명음 안정도가 높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48.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 업무처리 시 구내배선 성능 측정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구내배선 성능은 EIA/TIA 568B의 채널 측정방법을 적용한다.
2.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 내에 위치한 단자반(배선반) 등은 패치코드 또는 점퍼선 등으로 In/Out 단자를 직결하여 선로를 구성한 후 측정한다.
3.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의 양단에서 패치코드 길이는 1[m] 이상이고, 카테고리5(Cat.5)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4.
EIA/TIA 568B에 기준에 라 측정하며, 규정 된 채널성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의 양단에서 패치코드 길이는 3[m] 이상이고, 카테고리5e(Cat.5e)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Talma]
49.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방송통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으로 정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
2.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지원
3.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운영
4.
방송통신기술 자격제도의 정착 및 전문인력 수급 지원
정답 : [
3
] 정답률 : 80%
50.
정보통신설비공사의 감리용역 계약문서에 해당되는 것은?
1.
시방서
2.
공사입찰 유의서
3.
기술용역계약 일반조건
4.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산출내역서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감리용역 계약문서 계약서,유의서,기술용역 계약일반조건, 기술용역계약특수조건, 과업내용서 및 한출내역서
[추가 해설] 감리용역계약서,기술용역입찰유의서,기술용역계약 일반조건,감리용역 계약 특수조건,과업지시서,감리비산출내역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을 통한 방송통신서비스 발전을 위하여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과 관련된 기술수준의 조사, 기술의 연구개발, 개발기술의 평가 및 활용에 관한 사항
2.
방송통신 기술협력, 기술지도 및 기술이전에 관한사항
3.
방송통신기술의 고도화 및 새로운 방송통신기술의 수출 등에 관한 사항
4.
방송통신 기술정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75%
52.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의 범위로 틀린 것은?
1.
간이무선국・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연면적 1천 제곱미터 이하의 건축물의 자가유선방송설비・구내방송설비 및 폐쇄회로텔레비젼의 설비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4.
라우터 또는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지 아니하는 10회선 이하의 근거리통신망(LAN)선로의 증설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라우터 또는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지 아니하는 5회선 이하의 근거리통신망(LAN)선로의 증설공사 [해설작성자 : hoony]
53.
다음 중 홈네트워크 설비 중 홈게이트웨이의 설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홈게이트웨이는 동작상태와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이지 않는 공간에 설치해도 된다.
2.
홈게이트웨이는 세대단자함 또는 세대통합관리반에 설치할 수 있다.
3.
세대단자함 또는 세대통합관리반에 설치되는 홈게이트웨이는 벽에 부착할 수 있어야 하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4.
홈게이트웨이는 이상전원 발생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0%
54.
감리수행에 따른 업무연락 및 문제점 파악, 인원해결, 용지보상지원 기타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발주자가 지정한 사람을 무엇이라 칭하는가?
1.
용역업자
2.
시공자
3.
보조감리원
4.
지원업무수행자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지원업무 수행자 란 설계용역 및 설계감리 용역에 관한 업무를 주관하는 사람으로서 발주자의 소속직원을 말함 [해설작성자 : ho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