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역 기계에서 무거운 것은 저속으로, 가벼운 것은 고속으로 작업하여 고속이나 저속에서 다같이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는?
1.
정토크 부하
2.
제곱토크 부하
3.
정동력 부하
4.
정속도 부하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문제에서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을 "정동력 부하"로 쉽게 쉽게 가봅시다.
나머지 보기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①정토크 부하 : 속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토크를 가지는 것 Ex) 인쇄기, 압연기, 권상기, 선반 등 ②제곱토크 부하 : 토크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 Ex) 유체기계 : 펌프, 송풍기 등 ③정속도 부하 : 부하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것 [해설작성자 : AAA]
<문제 해설> ◈SCR의 특징 1. 스위칭 소자이다 2. 대전류 제어 정류용으로 이용된다. 3. turn-off 시간 및 순방향 전압 강하는 사이라트론보다 우수하다. (사이라트론과 기능이 닮았으며, 용량이 작은 수은정류기를 사이라트론이라 한다.) 4. 도통시간이 짧다 5. 단방향역저지3단자 소자의 총칭이다. 6. 소형이면서 가볍고 고속동작을 한다. 7. 입력신호의 제어로 전류, 출력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8. SCR은 순방향으로 부성저항을 갖고 있다. 9. OFF상태에서의 저항은 매우 높고 ON상태에서의 저항은 매우 낮다 10. PNPN 4층으로 구성되어있다. 11. ON 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흐르는 전류를 유지전류(holding current) 이하로 낮추거나 애노드(+)의 극성을 바꿔주어야 한다. 12. PN형 반도체이다 13. Anode, Cathode, Gate의 3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14. 게이트에 신호를 가해야만 동작되는 소자이다. (동작 이후 게이트의 기능은 상실한다.)
13과 같이 에노드(A), 케소드(K), 게이트(G) 3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SCR이 정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AAA]
4.
용접부의 비파괴 검사의 종류가 아닌것은?
1.
고주파 검사
2.
방사선 검사
3.
자기 검사
4.
초음파 검사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비파괴 검사 : 자기검사, X, 감마선 검사, 초음파 검사, 육안 외관검사 파괴 검사 : 충격시험, 부식시험 [해설작성자 : 이용자]
5.
광도가 312 cd인 전등을 지름 3m의 원탁 중심 바로 위 2m 되는 곳에 놓았다.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는 약 몇 lx인가?
반지름을 기준으로 직각 삼각형을 그리자면 (높이 2, 밑변 1.5) 빗변의 길이는 r이라 하고 r= 루트(22+ 1.52) = 2.5[m]가 되죠.
우리가 구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조도, 즉 수평면조도가 됩니다. 수평면 조도의 공식은 Eh = I/r2x Cos세타 입니다. I = 312 [cd]이고 r = 2.5 [m]로 아까 구했었죠. Cos 세타는 여기서 문제에서 몇도인지 나오지 않죠. 여기서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각 변을 ABC로 하자면 삼각함수 아시죠?
Sin 세타 = B/A Cos 세타 = C/A Tan 세타 = B/C
감이 오시죠? Cos 세타는 2/2.5 가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그린 사인세타의 각도와 같습니다.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Cos세타는 저희가 그린 삼각형의 Cos세타 각도를 구하는게 아닙니다. 수평면 조도입니다.)
Eh = I/r2x Cos세타 = 312 / 2.52x 2 / 2.5 = 39.94
즉, 40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헷갈려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F/S, F=w*I, 원뿔이니 w=2*pi*(1-cos(theta))입니다. 테이블 반지름r=1.5 따라서 S=1.5^2*pi, 마지막으로 cos(theta)는 2/root(2^2+1.5^2)=0.8이구요. 모두 대입하면 E=(2*pi*(1-0.8)*312)/(1.5^2*pi)=55.47로 반올림하면 60입니다. 위의 해설 1은 면적을 2*pi*r로 면적이 아닌 둘레를 구하셨구요, 해설 2는 아래 면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일때에 사용하는 역제곱 법칙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띠용쓴]
[오류신고 반론] 조도의 일반적 의미 처음에 50이라고 생각 했던 사람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법선 조도가 기본 조도인줄 알았고 수직,수평면 조도는 그 구성 성분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도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조도는 작업을 위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광량이라 일반적으로 조도를 지칭할 때는 수평면 조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조도의 방향에 대한 추가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평면 조도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도 차이]
6.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원형을 복제하는 것을 전주라 하며, 원형의 요철을 정밀하게 복제하는 곳에 사용된다.
2.
전기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을 양극, 도금되는 금속을 음극으로 하고 음극으로 금속을 석출시키는 것이다.
3.
전해연마는 연마하고자 하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분해하는 것으로 금속 표면의 요철을 평활화 한다.
4.
전열화학의 장점은 높은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광범위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주란 전기도금을 계속하여 두꺼운 금속층을 만든후 원형을 떼어내 그대로 복제하는 방법
△ 전주 ⦁ 전기도금을 이용해서 원형과 똑같은 모양의 것을 복제하는 방법 ⦁ 형태만을 복제할 때 사용 [해설작성자 : D3]
넘넘 어렵지만 전주는 원형에 도금을 반복하여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 "전기도금"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전기 화학용 직류전원장치에 요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저전압 대전류일 것
2.
전압 조정이 가능할 것
3.
정전류로써 연속 운전에 견딜 것
4.
저전류에 의한 저항손의 감소에 대응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저항손은 적어야 한다 대응할 필요 X [해설작성자 : 절미]
8.
발열체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내열성이 클 것
2.
내식성이 클 것
3.
가공이 용이할 것
4.
저항률이 비교적 작고 온도계수가 높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발열체의 구비조건 1) 내열성이 클것 2) 내식성이 클것 3) 가공이 용이 할것 4) 적당한 고유저항 값을 가질 것 5) 저항의 온도계수가 정이며 작을것 6) 선팽창 계수가 적을 것 [해설작성자 : DoubleM2]
9.
전기철도에서 전기 부식방지 방법 중 전기 철도측 시설이 아닌 것은?
1.
레일에 본드를 시설한다.
2.
레일을 따라 보조귀선을 설치한다.
3.
변전소간 간격을 짧게 한다.
4.
매설관의 표면을 절연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번 매설관의 표면 절연은 매설관측 시설이지 전기 철도측 시설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조혁준]
<전기철도 전식 방지 대책> 1. 보조귀선 설치 2. 레일본드 시행 3. 변전소간의 간격을 짧게 한다 4. 레일절연저항을 크게한다 5. 3선 배전법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전자빔으로 용해하는 고융점 활성금속 재료는?
1.
니크롬 제 2종
2.
철크롬 제 1종
3.
탄화규소
4.
탄탈, 지르코늄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니크롬 제1, 2종 철-크롬 제1,2종 탄화규소 등은 발열체임
[추가 해설] 위의 해설은 틀린해설임. 고융점활성금속재료는 온도가 1500도씨를 초과 해야함. 보기1,2,3,번은 각 각 900도, 1200도, 1400도 이므로 해당이 안됌. [해설작성자 : 양토마스]
기본적으로 이 문제에 핵심은 활성금속을 묻는거임 순금속 니크롬,철크롬 합성금속 탄화규소 활성금속 탄탈,지르코늄
또한 온도는 니크롬 2종 900도 니크롬 1종 1100도 철크롬 1종 1200도 탄화규소 1500도(탄화규소는 범위가 넓어 꼭 1500은 아님) [해설작성자 : 전기땃다공사가자]
11.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이것을 접지하기 위한 인하도선에 동선 재료를 사용할 경우의 단면적 [mm2]은 얼마 이상인가?
1.
50
2.
35
3.
16
4.
10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피뢰침 설비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 등은 동선 50[mm2] 이상으로 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제20조(피뢰설비) 영 제87조제2항에 따라 낙뢰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높이 20미터 이상의 건축물 또는 영 제118조제1항에 따른 공작물로서 높이 20미터 이상의 공작물(건축물에 영 제118조제1항에 따른 공작물을 설치하여 그 전체 높이가 20미터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0. 11. 5., 2012. 4. 30.>
1.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일 것. 다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에 설치하는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시스템레벨 Ⅱ 이상이어야 한다.
2.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센티미터 이상 돌출시켜 설치하되,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9조에 따른 설계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일 것
3. 피뢰설비의 재료는 최소 단면적이 피복이 없는 동선을 기준으로 [[[수뢰부, 인하도선 및 접지극은 50제곱밀리미터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 [해설작성자 : 1111]
12.
방전등의 일종으로 효율이 좋으며 빛의 투과율이 크고, 등황색의 단색광이며 안개속을 잘 투과하는 등은?
1.
나트륨 등
2.
할로겐 등
3.
형광 등
4.
수은 등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나트륨등의 특징 및 용도 - 특징 ① 분광분포는 D선(파장589[nm], 주황색)이 대부분(76[%])이다. ② 효율이 높다, 시감도는 0.765이다. ③ 이론상의 효율은 395[lm/W]이다. - 용도 ① 연색성이 좋지 않아 실내조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② 투과력이 좋아 안개지역의 도로 또는 터널조명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AAA]
13.
소호능력이 우수하며 이상전압 발생이 적고, 고전압 대전류 차단에 적합한 지중 변전소 적용 차단기는?
1.
유입 차단기
2.
가스 차단기
3.
공기 차단기
4.
진공 차단기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스차단기(GCB)-고성능 절연 특성을 가진 특수가스(SF6)를 흡수해서 차단 [해설작성자 : 합정KB오피스빌딩]
중거리 송전선로의 π형 회로에서 송전단 전류 Is는? (단, Z, Y는 선로의 직렬임피던스와 병렬 어드미턴스이고, ET, IT은 수전단 전압과 전류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22%
24.
선택지락 계전기의 용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단일 회선에서 지락 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2.
단일 회선에서 지락 전류의 방향 선택 차단
3.
병행 2회선에서 지락 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4.
병행 2회선에서 지락 고장의 지속시간 선택 차단
정답 : [
3
] 정답률 : 33%
25.
그림과 같은 선로의 등가선간 거리는 몇 m인가?
1.
5
2.
5√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5%
26.
송배전 계통에 발생하는 이상전압의 내부적 원인이 아닌것은?
1.
선로의 개폐
2.
직격뢰
3.
아크 접지
4.
선로의 이상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35%
27.
수력 발전소를 건설할 때 낙차를 취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로식
2.
댐식
3.
유역 변경식
4.
역조정지식
정답 : [
4
] 정답률 : 30%
28.
초고압용 차단기에서 개폐 저항기를 사용하는 이유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차단 전류의 역률 개선
2.
차단전류 감소
3.
차단속도 증진
4.
개폐서지 이상전압 억제
정답 : [
4
] 정답률 : 37%
29.
이상전압의 파고치를 저감시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리액터
2.
피뢰기
3.
아킹혼(arcing horn)
4.
아마로드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이상전압은 외부 이상전압, 내부 이상전압으로 구분되며, 절연설계의 기본대책은 외부 이상전압에 대한 방호장치 설치하여, 이상전압에 대한 파고치를 저감시키고 그것에 대하여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진 절연강도를 정하여 절연체계를 구성한다. => 절연협조 피뢰기의 제한전압 : 유도뢰의 파고치를 일정레벨 이하로 떨어뜨림 [해설작성자 : 을지]
30.
보일러 급수 중의 염류 등이 굳어서 내벽에 부착되어 보일러 열전도와 물의 순환을 방해하며 내면의 수관벽을 과열시켜 파열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은?
1.
스케일
2.
부식
3.
포밍
4.
캐리오버
정답 : [
1
] 정답률 : 34%
31.
송전선로에서 고조파 제거 방법이 아닌 것은?
1.
변압기를 △결선한다.
2.
유도전압 조정장치를 설치한다.
3.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한다.
4.
능동형 필터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7%
32.
전기 공급 시 사람의 감전, 전기 기계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이 아닌 것은?
1.
보호용 개폐기
2.
축전지
3.
과전류 차단기
4.
누전 차단기
정답 : [
2
] 정답률 : 37%
33.
선로에 따라 균일하게 부하가 분포된 선로의 전력 손실은 이들 부하가 선로의 말단에 집중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 보다 어떻게 되는가?
1.
2배로 된다.
2.
3배로 된다.
3.
1/2배로 된다.
4.
1/3배로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선로에 따라 균일하게 부하가 분포된 선로는 부하가 선로 말단에 집중적으로 접속 되어 있을 때 보다 전력손실은 1/3배, 전압강하는 1/2배 차이 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34.
서지파가 파동임피던스 Z1의 선로 측에서 파동 임피던스 Z2의 선로 측으로 진행할 때 반사계수 β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27%
35.
일방적인 비접지 3상 송전선로의 1선 지락 고장 발생시 각 상의 전압은 어떻게 되는가?
1.
고장 상의 전압은 떨어지고, 나머지 두 상의 전압은 변동되지 않는다.
2.
고장 상의 전압은 떨어지고, 나머지 두 상의 전압은 상승한다.
3.
고장 상의 전압은 떨어지고, 나머지 상의 전압도 떨어진다.
4.
고장 상의 전압이 상승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36.
전력용 콘덴서를 변전소에 설치할 때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직렬 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식은? (단, f0는 전원의 기본 주파수, C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 용량 L은 직렬 리액터의 용량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5%
37.
Y결선된 발전기에서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류에 관한 식 중 옳은 것은? (단, Z0, Z1, Z2는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 이다.)
1.
Ia+Ib+Ic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22%
38.
같은 선로와 같은 부하에서 교류 단상 3선식은 단상 2선식에 비하여 전압 강하와 배전 효율은 어떻게 되는가?
1.
전압강하는 적고, 배전 효율은 높다.
2.
전압강하는 크고, 배전 효율은 낮다.
3.
전압강하는 적고, 배전 효율은 낮다.
4.
전압강하는 크고, 배전 효율은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28%
39.
발전 전력량 E[kWh], 연료 소비량 W[kg], 연료의 발열량 C[kcal/kg]인 화력 발전소의 열효율 ῃ[%]는?
22.9kV 3상 4선식 다중 접지방식의 지중 전선로의 절연내력시험을 직류로 할 경우 시험전압은 몇 V인가?
1.
16448
2.
21068
3.
32796
4.
42136
정답 : [
4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22900x0.92 = 21068 직류로 할 경우 기준값의 2배
21068x2 = 42136 [해설작성자 : 킹만해]
86.
시가지에서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할 수 없는 통신선은?
1.
지름 4mm의 절연전선
2.
첨가 통신용 제 1종 케이블
3.
광섬유 케이블
4.
CN/CV 케이블
정답 : [
4
] 정답률 : 23%
87.
특별 제 3종 접지공사를 시공한 저압 전로에 지기가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가 설치되었다면 접지 저항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물기가 있는 장소로써 자동 차단기의 정격 감도전류는 300mA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
2.
50
3.
150
4.
500
정답 : [
2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삭제입니다 인체감전보호용 ELB - 금속제 외함 사용전압 50[V]초과하는 저압 기계기구, 정격감도전류 30[mA], 동작시간 0.03[초] 이하 전류동작형 많이 바꼇쥬? 자주나오니까 꼭 암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의 저압 보안 공사에 전선으로 경동선을 사용할 경우 지름은 몇 mm 이상인가?
1.
2.6
2.
6.5
3.
4.0
4.
5.0
정답 : [
3
] 정답률 : 20%
89.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의 배선을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설치 높이는 노면상 몇 m이상인가?
1.
1.5
2.
2
3.
2.5
4.
3
정답 : [
3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 배선은 지름: 2.5 mm 이상 높이 2.5m 이상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4mm에 3M는 고압 기준입니다 [해설작성자 : 양토마스]
90.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설치하는 배전반 시설에 법규상 확보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호 장치
2.
통로를 시설
3.
기기 조작에 필요한 공간
4.
공기 여과 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34%
91.
345kV 가공 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전선은 인장강도 77.47kN 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 몇 mm2 이상의 경동연선 이어야 하는가?
1.
100
2.
125
3.
150
4.
200
정답 : [
4
] 정답률 : 19%
92.
사용전압 22.9kV의 가공전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 전선의 레일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인가?
1.
5
2.
5.5
3.
6
4.
6.5
정답 : [
4
] 정답률 : 34%
93.
교류 전차선과 식물 사이의 이격거리는?(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1.
2m 이상
2.
5m 이상
3.
7m 이상
4.
10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431.11 전차선 등과 식물사이의 이격거리 교류 전차선 등 충전부와 식물사이의 이격거리는 5 m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5m 이상 확보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방호벽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한다.
94.
전체의 길이가 16m이고 설계하중이 6.8kN 초과 9.8kN 이하인 철근 콘크리트주를 논, 기타 지반이 연약한 곳 이외의 곳에 시설할 때, 묻히는 깊이를 2.5m보다 몇 cm 가산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기초의 안전율에 대한 고려없이 시설하여도 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문제가 30cm 가산으로도 나오고 2.8m로도 나오니까 수치 두개다 외웁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KS C IEC 60364에서 전원의 한점을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 도전성 부분을 전원 계통의 접지극과 별도로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접지하는 방식은?
1.
TT 계통
2.
TN-C 계통
3.
TN-S 계통
4.
TN-CS 계통
정답 : [
1
] 정답률 : 24%
96.
옥내의 저압전선으로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전개된 곳에 나전선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1.
전기로용 전선
2.
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3.
제분 공장의 전선
4.
전선의 피복 절연물이 부식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정답 : [
3
] 정답률 : 32%
97.
강관으로 구성된 철탑의 갑종풍압하중은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을 기초로 하여 계산한 값이 몇 Pa인가?
1.
1255
2.
1340
3.
1560
4.
2060
정답 : [
1
] 정답률 : 34%
98.
사용전압이 25kV 이하의 특고압 가공 전선로에는 전화 선로의 길이 12km마다 유도전류가 몇 ㎂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1.
1.5
2.
2
3.
2.5
4.
3
정답 : [
2
] 정답률 : 34%
99.
“고압 또는 특별고압의 기계기구, 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울타리, 담 등의 높이는 (㉠)m 이상으로 하고, 지표면과 울타리, 담 등의 하단사이의 간격은 (㉡)cm 이하로 하여야 한다.”에서 ㉠,㉡에 알맞은 것은?
1.
㉠ 3, ㉡ 15
2.
㉠ 2, ㉡ 15
3.
㉠ 3, ㉡ 25
4.
㉠ 2, ㉡ 25
정답 : [
2
] 정답률 : 26%
100.
발, 변전소의 주요 변압기에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계측 장치는?
1.
역률계
2.
전압계
3.
전력계
4.
전류계
정답 : [
1
] 정답률 : 3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③
③
①
②
①
④
④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①
②
③
①
②
②
③
①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③
④
③
③
②
④
④
②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②
④
①
②
③
③
①
①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④
①
④
③
④
③
②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①
④
④
②
①
④
③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④
①
③
①
②
④
③
②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①
②
②
②
①
①
①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④
①
④
④
④
②
③
③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④
②
③
①
③
①
②
②
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