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으로 수전하는 변전소에서 접지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전류를 공급하는 계전기는?
1.
CT
2.
PT
3.
ZCT
4.
GPT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ZCT : 영상변류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접지 보호용' 만 보고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Ground Potential Transformer)를 선택하는 일이 없길 바람. GPT는 비접지계통에서 '영상 전압'을 검출하여 지락 과전압 계전기(OVGR)를 동작시키기 위해 쓰이며, 오픈델타 결선방식으로 하여 쓰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아웃렛 박스(정션박스)에서 전등선로를 연결하고 있다. 박스 내에서 전선 접속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납땜
2.
압착 단자
3.
비닐 테이프
4.
와이어 커넥터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와이어 커넥터 -박스 내에서 전선 접속을 할 때 많이 사용한다. -아웃렛 박스(정션박스)에서 전등선로를 연결하는 곳 등 에 주로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이슬기]
2과목 : 전력공학
21.
송전선로의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은 등가 선간거리 D가 증가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인덕턴스는 증가하고 정전 용량은 감소한다.
2.
인덕턴스는 감소하고 정전용량은 증가한다.
3.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감소한다.
4.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증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L[mH/Km] = 0.05 + 0.4605log10( D / r ) C[μF/Km] = 0.02413 / log10( D / r ) ※ 인덕턴스는 증가하고 정전용량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2.
피뢰기의 접지 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 1종 접지 공사
2.
제 2종 접지 공사
3.
제 3종 접지 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 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23.
가공전선을 200[m]의 경간에 가설하였더니 이도가 5[m] 이었다. 이도를 6[m]로 하려면 이도를 5[m]로 하였을 때보다 전선의 길이는 약 몇 [cm] 더 필요한가?
1.
8
2.
10
3.
12
4.
15
정답 : [
4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 이도가 5m일 경우의 전선 길이 L1 = S + 8D1^2/3S = 200 + 8*5^2/3*200 = 200.33[m] - 이도가 6m일 경우 전선 길이 L2 = S + 8D2^2/3S = 200 + 8*6^2/3*200 = 200.48[m] - 추가되는 전선의 길이 L2-L1 = 200.48-200.33 = 0.15[m]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하자]
24.
증기터빈 출력을 P[kW], 증기량을 W[t/h], 초압 및 배기의 증기 엔탈피를 각각 i0, i1[kcal/kg]이라 하면 터빈의 효율 ῃ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1%
25.
ACSR을 동일한 길이와 전기저항을 갖는 경동연선에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바깥지름은 작고, 중량은 크다.
2.
바깥지름은 크고, 중량은 작다.
3.
바깥지름과 중량이 모두 작다.
4.
바깥지름과 중량이 모두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알루미늄이 구리에 비해서 더 가볍지만, 저항률은 더 높음(도전성이 구리보다 안좋음) [해설작성자 : 동국전전]
26.
주파수를 f전압을 E라고 할 때 유전체 손실은?
1.
fE
2.
fE2
3.
E/f
4.
f/E2
정답 : [
2
] 정답률 : 28%
27.
모선방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일 모선
2.
2중 모선
3.
3중 모선
4.
환상 모선
정답 : [
3
] 정답률 : 35%
28.
송전 계통의 전력용 콘덴서와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리액터로 제거되는 고조파는?
1.
제 2고조파
2.
제 3고조파
3.
제 5고조파
4.
제 7고조파
정답 : [
3
] 정답률 : 42%
29.
전원전압 6600[V], 1선의 저항 3[Ω], 리액턴스 4[Ω]의 단상 2선식 전선로의 중간 지점에서 단락한 경우, 단락용량은 약 몇 [MVA]인가? (단, 전원 임피던스는 무시한다.)
P[MVA] = V * I ▶ 6600 * 1320 * 10^-6 = 8.712[MVA] I[A] = V / √( R^2 + X^2 ) ▶ 6600 / √( 3^2 + 4^2 ) = 132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0.
가스절연 개폐장치(GIS)의 내장기기가 아닌 것은?
1.
차단기
2.
단로기
3.
주변압기
4.
계기용 변압기
정답 : [
3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주 변압기는 외형이 너무 크다 [해설작성자 : Kicc]
31.
직접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에 채용되는 이유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송전선의 안정도가 높으므로
2.
지락 시의 지락 전류가 적으므로
3.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4.
지락 고장 시 병행 통신선에 유기되는 유도 전압이 적기 때문에
정답 : [
3
] 정답률 : 30%
32.
전력 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유효 전력
2.
코로나 손실
3.
조상 용량
4.
전력 손실
정답 : [
2
] 정답률 : 42%
33.
수차의 조속기 구성요소 중 회전속도의 과도 현상에 의한 난조를 방지하기 위한 요소는?
1.
스피더
2.
배압 밸브
3.
서보 모터
4.
복원 기구
정답 : [
4
] 정답률 : 20%
34.
전력선에 의한 통신선로의 전자유도장해의 주된 발생요인은?
1.
영상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2.
전력선의 연가가 충분하기 때문에
3.
전력선의 전압이 통신선로보다 높기 때문에
4.
전력선과 통신선로 사이의 차폐효과가 충분하기 때문에
정답 : [
1
] 정답률 : 40%
35.
유수가 갖는 에너지가 아닌 것은?
1.
위치 에너지
2.
수력 에너지
3.
속도 에너지
4.
압력 에너지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유수 즉 물이 갖는 에너지 위치유두 압력수두 속도수두
36.
송전 계통에서 재폐로 방식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1.
선택 차단이 가능하므로
2.
다중 지락으로 발전되므로
3.
다중 지락으로의 이행이 적으므로
4.
송전 선로의 고장이 대부분 순간 고장이므로
정답 : [
4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재폐로란 차단기가 차단되고 사고가 소멸된후 자동적으로 송전선을 투입하는 일런의 동작을 재폐로라고 한다. 송전산 사고는 대부분 순시적인것으로 영구 고장은 거의 없다
37.
부하에 따라 전압 변동이 심한 급전선을 가진 배전 변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압 조정장치는?
1.
유도전압 조정기
2.
직렬 리액터
3.
계기용 변압기
4.
전력용 콘덴서
정답 : [
1
] 정답률 : 34%
38.
직류 송전방식이 교류 송전방식에 비하여 유리한 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선로의 절연이 쉽다.
2.
통신선에 대한 유도잡음이 적다.
3.
표피효과에 의한 송전손실이 없다.
4.
정류가 필요 없고 승압 및 강압이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36%
39.
그림과 같은 전력 계통에서 A점에 설치된 차단기의 단락용량은 몇 [MVA]인가? (단, 각 기기의 리액턴스는 발전기 G1,G2=15[%](정격용량 15[MVA]기준), 변압기 8[%](정격용량 20[MVA]기준), 송전선 11[%](정격용량 10[MVA]기준)이며, 기타 다른 정수는 무시한다.)
1.
20
2.
30
3.
40
4.
50
정답 : [
4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어느 한 지점을 기준한다. 발전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15[MVA] 2. 기준에 따른 각 %Z를 구하고 이를 합한 %Zt를 구한다. 발전기=15%/2 변압기=(15/20)*8% 송전선=(11/10)*11% Zt=7.5%+6%+16.5% 3. 단락용량 Ps=100P/%Zt 100*15/30=50 [해설작성자 : 1]
%Z의 장점이죠. 기준용량만 통일시켜 계산하면 어느 값이든 상관없습니다. 가령 문제에서 나온 기기들 기준용량의 최소 공배수인 60[MVA]으로 윗댓분 계산에 대입해보면 발전기 = 15% * 4/2 = 30% (발전기가 병렬 연결이므로 1/2을 곱해줍니다.) 변압기 = 8% * 3 = 24% 송전선 = 11% * 6 = 66% Zt = 120 단락용량 = 100/%Zt * 기준용량 = 100/120 * 60 = 50[MVA] 똑같이 50[MVA]가 나오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머로 가든 합격만 하면 그만]
<문제 해설> 변압기의 TAP = 단자 1차전압 * 1차전류 = 2차전압 * 2차전류 전압 ∝ COIL의 횟수, 전류 ∝ (1/횟수)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2차전압이 높거나 낮을 경우 기기를 운전하는데 문제가 발생 할수 있기 때문에 변압기의 1차측 COIL의 권수(횟수)를 조정 할수 있도록 탭을 설치한다. (1차측에 전압을 조정) [해설작성자 : DoubleM2]
49.
정격부하로 운전 중인 3상 유도전동기의 전원 한 선이 단선되어 단상이 되었다. 부하가 불변일 때 선전류는 대략 몇 배인가?
1.
3
2.
3/2
3.
√3
4.
2/√3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전원 한 선이 단선되면 상전류->상전류가 된다. root3배 [해설작성자 : 1]
3상 동기 발전기의 각 상의 유기기전력에서 제3고조파를 제거할 수 있는 코일간격/극간격은? (단, 전기자 권선은 단절권으로 한다.)
1.
0.11
2.
0.33
3.
0.67
4.
1.34
정답 : [
3
] 정답률 : 24%
58.
직류 전동기를 정격전압에서 전부하 전류 100[A]로 운전할 때, 부하토크가 1/2로 감소하면 그 부하전류는 약 몇 [A]인가? (단, 자기 포화는 무시한다.)
1.
60
2.
71
3.
80
4.
91
정답 : [
2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토크 T=kΦI^2에서 I^2은 토크 T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I는 루트 T에 비례하며 루트(1/2)*100=70.7[A]가 나오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59.
변압기에 사용되는 절연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응고점이 높아야 한다.
2.
인화점이 높아야 한다.
3.
냉각 효과가 커야 한다.
4.
고온에서 산화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60.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
1.
극성이 같아야 한다.
2.
권수비가 같아야 한다.
3.
3상식에서는 상회전 방향 및 위상 변위가 같아야 한다.
4.
%저항강하 및 %리액턴스 강하는 같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같아야 하는 것 - 극수, 권수비, 정격전압, 상회전, 각변위 - %Z, x/r(내부저항과 리액턴스 비) [해설작성자 : 1]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각 상의 전류가 다음과 같을 때 영상 대칭분 전류[A]는?
1.
10sinwt
2.
30sinwt
3.
4.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i0 = 1/3 x (ia + ib + ic) = 1/3 x 30·sinωt[A] = 10·sinωt[A]
sinA + sinB = 0.5 x sin(A+B / 2)·cos(A-B / 2)에서, ib + ic = 0.5 x {30·sinωt x 30·cos(-90˚)} = 0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1.
s2F(s)
2.
sF(s)
3.
4.
정답 : [
3
] 정답률 : 30%
63.
대칭 12상 교류 성형(Y) 결선에서 상전압이 50[V]일 때 선간전압은 약 몇 [V]인가?
1.
86.6
2.
43.3
3.
28.8
4.
25.9
정답 : [
4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성형결선 공식 vl = 2sin(180/n) vp [해설작성자 : 박근학]
n상 star 결선의 경우, 선간전압 V_L = 2·sin(π/n)·Vp∠π/2·(1-2/n)이므로
n=12, Vp=50[V]일때, V_L = 2·sin(π/12)·50∠π/2·(1-2/12) = 2 x 0.2588 x 50∠75˚ = 25.88∠75˚[V] [해설작성자 : 나대로]
64.
3개의 같은 저항 R[Ω]를 그림과 같이 △결선하고, 기전력 V[V], 내부저항 r[Ω]인 전지를 n개 직렬 접속하였다. 이때 전지 내에 흐르는 전류가 I[A]라면 R[Ω]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Δ결선 저항을 Y결선으로 바꾸면 1/3·R[Ω]의 저항값을 가지게 되고,
두 개의 1/3·R[Ω]의 저항을 통해서 흐르는 폐회로를 고려하면, nV = I[A] x (2/3·R[Ω] + nr[Ω]) nV - nrI = 2/3·R·I
R = 2/3·n·(V/I - r)[Ω] [해설작성자 : 나대로]
65.
다음 회로에서 a-b 사이의 단자전압 Vab[V]는?
1.
2
2.
-2
3.
5
4.
-5
정답 : [
1
] 정답률 : 29%
66.
정상상태에서 t=0인 순간 스위치 S를 열면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t)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정상상태, 즉 Switch를 오랜 시간 close해둔 상태에서, 즉, 유도성 reactance jωL은 주파수가 없는 직류 전원 입력 회로의 상태로서 0[Ω], 즉, 단락이었던 상태에서, 전류 i(0) = E/r이 흐르다가,
Switch를 열어버리면, 대문자 저항 R에 걸려있는 전압 E가 사라지는 것을 못하게, 관성/유도성으로 기존의 정상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부리는 전류가 흐름! (시간 경과에 따라 사라지지만)
그래서, 대문자 저항 R 및 소문자 저항 r에 걸려있는 전압이 V_R = Vr = E = r·i(0)[V]로 같았다가, 전류 i(t)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0(zero)가 되어 저항 R과 r에 걸리는 전압도 사라지는 (R+r)L 직렬회로의 특징을 보이므로, (R+r)·i(t) + V_L = 0 = (R+r)·i(t) + jωL·i(t) = (R+r)·i(t) + L·di(t)/dt
분자 (2/S + 1) = (2+S)/S 로 고쳐 쓸 수 있으니, 전달함수 = (2+S)/{S(S + 4)} [해설작성자 : 나대로]
72.
보드선도의 이득곡선이 0[dB]인 점을 지날 때 주파수에서 양의 위상여유가 생기고 위상곡선이 –180°를 지날 때 양의 이득여유가 생긴다면 이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1.
항상 안정
2.
항상 불안정
3.
조건부 안정
4.
안정성 여부를 판가름 할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73.
그림과 등가인 논리회로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26%
74.
의 미분 방정식을 상태방정식 로 표현할 때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3번 미분한 것만 좌변에 남겨 놓고, 나머지는 우변으로 이항하면, 3번 미분한 것은 한 번도 미분 안한 것(x0)의 -12배 된 것하고, 한 번 미분한 것(x1)의 -19배 된 것하고, 두 번 미분한 것(x2)의 - 8배 된 것들의 합에 기존에 있던 6까지 고려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은 보기 1번임! [해설작성자 : 나대로]
75.
그림과 같은 보드 선도를 갖는 계의 전달함수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ω가 0일때, 20[dB]가 나오려면 G(s)가 10 이어야, 20log10 = 20 이 되니까, s(jω)대신에 0을 넣었을때 10이 되는 G(s)는 보기에서 4번이 있고,
검증을 위해 좀 더 계산을 수행하자면,
4번 전달함수에 [dB]을 취해서, G(jω)의 크기 GdB = 20log10 - 20log│1+jω│ - 20log│1+10jω│
나온 위 식에, ω = 0.1을 대입해보면, GdB = 20log10 - 20log1.005 - 20log1.4142 = 17[dB]이고,
저압 옥내간선에서 분기하여 전동기 등에만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를 시설하는 경우 저압 옥내 배선의 각 부분마다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동기 등의 정격전류의 합계가 60[A]이면 최소 몇[A] 이상의 허용전류를 갖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3
2.
66
3.
75
4.
80
정답 : [
2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서 차단기에 사용하는 압축공기장치는 사용압력의 몇 배의 수압으로 몇 분간 연속하여 가했을 때 이에 견디고 새지 않아야 하는가?
1.
1.25배, 15분
2.
1.25배, 10분
3.
1.5배, 15분
4.
1.5배, 10분
정답 : [
4
] 정답률 : 32%
93.
직류식 전기 철도용 급전선로, 직류식 전기 철도용 전차선로 또는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이 기설 가공 약전류 전선로와 병행하는 경우에 유도 작용에 의한 통신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하는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 사이의 이격 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직류 복선식 전기 철도용 급전선 또는 전차선의 경우에는 2.5[m] 이상
2.
직류 복선식 전기 철도용 급전선 또는 전차선의 경우에는 3[m] 이상
3.
직류 단선식 전기 철도용 급전선, 전차선 또는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의 경우에는 4[m] 이상
4.
직류 단선식 전기 철도용 급전선, 전차선 또는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의 경우에는 4.5[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통신상의 유도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철도용 급전선로와 가공약전류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단선식은 4m이상 복선식은 2m이상 이격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석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KEC 적용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1]
94.
사용전압이 220[V]인 경우 애자사용 공사에서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5
2.
4.5
3.
6.0
4.
8.0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400보다 작다! 2.5 400보다 크다! 4.5
사용전압 중요합니다!!! 전선과 조영재 이격거리만 보고 고르시면 큰일납니다!! (400보다 크더라도 건조할 경우 2.5지만 나오는 경우는 못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전선의 단면적 55[mm2]인 경동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 경간의 최대한도는 몇 [m]인가? (단, 지지물은 목주 또는 A종 철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