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안전관리조직에 있어 100명 미만의 조직에 적합하며, 안전에 관한 지시나 조치가 철저하고 빠르게 전달되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여 직장의 실태에 즉각 대응하는 대책수립이 어려운 조직은?
1.
라인형(line)
2.
스탭형(staff)
3.
관리형(manage)
4.
라인스탭형(line-staff)
정답 : [
1
] 정답률 : 86%
1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근로조건을 개선하여 적절한 작업환경 조성
2.
사업장의 안전ㆍ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
3.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을 지킬 것
4.
유해위험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방호장치ㆍ보호구 등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업주의 의무 1. 사업주는 이 법과 이 법에 의한 명령에서 정하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기준을 준수하며, 해당 사업장의 안전,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하고, 근로조건의 개선을 통하여 적절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생명보전과 안전 및 보건을 유지, 증진하다록 하여야 하며, 국가에서 시행하는 산업재해예방시책에 따라야 한다. 2. 기계, 기구 그 밖에 설비를 설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 원재료 등을 제조, 수입하는 자 또는 건설물을 설계, 건설하는 자는 그 설계, 제조, 수입 또는 건설을 함에 있어서 이법과 이법에 의한 명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고, 그 물건의 사용에 의한 산업재해 발생의 방지에 노력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oshoh92]
18.
다음 중 산업재해조사표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휴업예상일수는 재해발생일을 제외한 3일 이상의 결근 등으로 회사에 출근하지 못한 일수를 적는다.
2.
같은 종류 업무 근속기간은 현 직장에서의 경력(동일ㆍ유사 업무 근무경력)으로만 적는다.
3.
고용형태는 근로자가 사업장 또는 타인과 명시적 또는 내재적으로 체결한 고용계약 형태를 적는다.
4.
근로자 수는 사업장의 최근 근로자수를 적는다.(정규직, 일용직ㆍ임시직 근로자, 훈련생 등 포함).
정답 : [
2
] 정답률 : 64%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ㆍ시행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사업장을 말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
2.
직업성질환자가 동시에 10명 발생한 사업장
3.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4.
사업주가 안점ㆍ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사업장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안전, 보건개선계획수립 대상사업장 1. 중대재해발생 사업장 2.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3. 직업병에 걸린사람이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발생한 사업장 4. 작업환경 불량, 화재, 폭발 또는 누출사고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5. 젷 1호부터 제 4호까지 규정에 준하는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사업장 [해설작성자 : joshoh92]
joshoh92 님의 설명과 같이 정답은 3번입니다. 2번은 2명(3명)이상이니 맞구요. 2번은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2배이상 높지 않으므로 틀린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PUREWATER]
중대재해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그러므로 선택지 2번은 중대재해에 속함으로 안전, 보건개선계획수립 대상 사업장 1번에 해당함으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3번 선택지의 평균2배를 넘는다는 말이 없으므로 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룡룡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작업환경이 불량한 사업장 2. 직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3명 발생한 사업장 3.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4. 산업재해발생률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발생률의 2배인 사업장
이문제에선 1번으로 답이 되어있는데
어떤차이점인지 아시는분 해설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공부하는자 ]
[추가 오류 신고] 산안법을 직접 찾아봤습니다
법 제49조(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 명령)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직업성 질병자가 발생한 사업장 4. 제106조에 따른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시행령 49조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2. 법 제49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위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은 1번(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 입니다. 따라서 답은 1번입니다 (21.05.04일 기준) [해설작성자 : 4기사 도전 중]
[추가 오류 신고] 출처 - 고시넷2021 건설안전기사 필기 문제집 해설 내용입니다. 답은 - 2. 직업성 질환자가 동시에 10명 발생한 사업장입니다. 해설 - 고용노동부장관은 직업병에 걸린사람이 연간 2명이상(상시근로자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이상) 발생한 사업장에 대해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및 제출 하도록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토티]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시행령 49조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2. 법 제49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이므로 1번이 답입니다. 1번은 그냥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으로만 나와있는데
시행령49조 4.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작업환경 불량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이라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rhetorics]
20.
다음 중 사업장 무재해운동 적용 업종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식료품관리업
2.
건설기계관리사업
3.
기계장치공사
4.
철도ㆍ궤도운수업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건설기계관리사업, 기계장치공사업 철도 귀도운수업, 철도 궤도 및 삭도운수업 [해설작성자 : 오땡]
식료품관리업 해당(x),식료품제조업 해당 (o) [해설작성자 : 푸짐한곰돌이]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인간의 안전심리의 5요소 중 습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기
2.
피로
3.
감정
4.
습성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산업심리의 5요소 - 동기 기질 감정 습성 습관 [해설작성자 : 오땡]
22.
다음 중 안전교육의 필요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재해현상은 무상해사고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물건과 사람과의 접촉점에서 일어난다.
2.
재해는 물건의 불안전한 상태에서 의해서 일어날 뿐만 아니라 사람의 불안전한 행동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3.
현실적으로 생긴 재해는 그 원인 관련요소가 매우 많아 반복적 실험을 통하여 재해환경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재해의 발생을 보다 많이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식이나 행동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3. 복원 불가능 [해설작성자 : ㅡㅡ]
23.
레윈이 제시한 인간의 행동특성에 관한 법칙에서 인간의 행동(B)은 개체(P)와 환경(E)의 함수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다음 중 개체(P)에 해당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령
2.
지능
3.
경험
4.
인간관계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P(개체): 심신상태,성격,소질 [해설작성자 : 1]
24.
다음 중 학습평가의 기본적인 기준으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1.
타당성
2.
주관도
3.
실용성
4.
신뢰도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학습평가의 기본적인 기준 4가지 1. 타당도 2. 신뢰도 3. 객관도 4. 실용도 [해설작성자 : 뚠바]
일용근로자 및 1주일 이하인 기간제근로자 - 1시간 이상 그밖의 근로자 - 2시간 이상 [해설작성자 : 핑팽퐁퐁]
32.
다음 중 강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학생들의 참여가 제약된다.
2.
일부의 교과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3.
학급 인원수의 크기에 제약을 받는다.
4.
수업의 중간이나 마지막 단계에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33.
다음 중 교육지도의 효율성을 높이는 원리인 훈련 전이(transfer of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훈련생은 훈련 과정에 대해서 사전정보가 없을수록 왜곡된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2.
훈련 상황이 가급적 실제 상황과 유사할수록 전이효과는 높아진다.
3.
실제 직무수행에서 훈련된 행동이 나타날 때 보상이 따르면 전이 효과는 더 높아진다.
4.
훈련 전이란 훈련 기간에 학습된 내용이 실무 상황으로 옮겨져서 사용되는 정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34.
다음 중 의식의 우회에서 오는 부주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적정배치
2.
작업순서 정비
3.
카운슬링
4.
안전교육훈련
정답 : [
3
] 정답률 : 60%
35.
다음 중 성실하며 성공적인 지도자(leader)의 공통적인 소유 속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강력한 조직능력
2.
실패에 대한 자신감
3.
뛰어난 업무수행능력
4.
자신 및 상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실패에 대한 강한예견과 두려움 [해설작성자 : 오땡]
36.
암실 내에서 정지된 소광점을 응시하고 있으면 그 광점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다음 중 이러한 현상이 생기기 쉬운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광점이 클 것
2.
대상이 복잡할 것
3.
광의 강도가 적을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문제에서 설명하는 현상은 '자동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은 1. 광점이 작을 것 2.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 것 3. 광의 강도가 작을 것 4. 대상이 단순할 것 [해설작성자 : 토목취린이]
37.
다음 중 스트레스에 대하여 반응하는데 있어서 개인 차이의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기 존중감의 차이
2.
성(性)의 차이
3.
작업시간의 차이
4.
강인성의 차이
정답 : [
3
] 정답률 : 73%
38.
수퍼(Super, D.E)의 역할이론 중 자아탐구의 수단인 동시에 자아실현의 수단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역할 연기(role playing)
2.
역할 기대(role expectation)
3.
역할 형성(role shaping)
4.
역할 갈등(role conflict)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역할 연기(role playing) : 자아탐구의 수단인 동시에 자아실현의 수단 2. 역할 기대(role expectation) : 자기 자신의 역할을 기대하고 감수하는 자는 자기 직업에 충실 하다고 본다 3. 역할 형성(role shaping) :여러가지 역할의 발생시 어떤 역할에는 불응 또는 거부감을 나타내거나, 다른 역할에는 적응하여 실현하기 위해 일을 구할 때. 4. 역할 갈등(role conflict: 개인이 가지는 서로 다른 지위에 따른 역할기대(役割期待)가 다양할 경우 역할기대들 간에 발생하는 긴장 또는 갈등을 말함
[해설작성자 : bsh5188]
39.
다음 중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self-instruction method)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학습자의 사회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2.
한 강사가 많은 수의 학습자를 지도할 수 있다.
3.
지능, 학습적성, 학습속도 등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4.
매 반응마다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갖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40.
다음 중 직무분석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찰법은 직무의 시작에서 종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직무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2.
면접법은 자료의 수집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정량화된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
3.
설문지법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짧은 시간 내에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관찰법이나 면접법과는 달리 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중요사건법은 일상적인 수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므로 해당 직무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일상적인 -> 중요한 가치가 있는 [해설작성자 : 해작성설자]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중 흐름공정도(Flow Process Chart)에서 기호와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 : 검사
2.
▽ : 저장
3.
⇨(화살표) : 운반
4.
○ : 가공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ㅁ: 검사 [해설작성자 : bsh5188]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부 다 맞는거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 : 검사 [해설작성자 : REDROCK]
[추가 오류 신고] □는 행동, ◇는 결정 ▽는 정보의 기억 ○는 정보의 수신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건안기러기차표]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5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번 2시간이상 10회이상 반복적
56.
다음 중 항공기나 우주선 비행 등에서 허위감각으로 부터 생긴 방향감각의 혼란과 착각 등의 오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위의 다른 물체에 주의를 한다.
2.
정상비행 훈련을 반복하여 오판을 줄인다.
3.
여러 가지의 착각의 성질과 발생상황을 이해한다.
4.
정확한 방향 감각 암시신호를 의존하는 것을 익힌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허유감각은 정상비행 시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나도 시험자]
정상비행시에 일어나지 않는게 아니라, 방향감각혼란은 감각기관에서 감지한 위치와 대상물체의 운동에 관한 암시신호 사이의 불일치로 일어나는데 훈련 반복한다고 해결될 사안이 아님 [해설작성자 : 호매실고]
57.
다음 중 컷셋과 패스셋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시스템에서 패스셋의 개수와 컷셋의 개수는 같다.
2.
패스셋은 동시에 발생했을 때 정상사상을 유발하는 사상들의 집합이다.
3.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최소 컷셋의 개수가 늘어나면 위험수준이 높아진다.
4.
일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최소 컷셋 내의 사상 개수가 적어지면 위험 수준이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소 컷셋은 시스템의 위험성을 나타내기에 최소 컷셋 개수가 늘어나면 당연히 위험수준이 높아짐 [해설작성자 : 철구와보겸이]
58.
다음 중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가 가장 유효한 경우는?
1.
일정 고장률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2.
고장 발생을 최소로 하고자 하는 경우
3.
마멸 고장만 발생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4.
시험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고장의 형과 영향 분석 시스템 안전분석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요소의 고장을 형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harlie]
59.
다음 중 자동화시스템에서 인간의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설비 보전
2.
작업계획 수립
3.
조정 장치로 기계를 통제
4.
모니터로 작업 상황 감시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 기계화 시스템의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구월동]
60.
다음 중 제조업의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장에서 제출하여야 하는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첨부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사개요서
2.
건축물 각 층의 평면도
3.
기계ㆍ설비의 배치도면
4.
원재료 및 제품의 취급, 제조 등의 작업방법의 개요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첨부서류(제42조제3항 관련)
1. 공사 개요 및 안전보건관리계획 가. 공사 개요서(별지 제101호서식) 나.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 현황을 포함한다) 다.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라. 전체 공정표 마.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서(별지 제102호서식) 바. 안전관리 조직표 사.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답 4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오류신고 내용은 건설업의 첨부서류 내용입니다. 제조업의 첨부서류와 구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입니다.
4과목 : 건설시공학
61.
불량품, 결점, 고장 등의 발생건수를 현상과 원인별로 분류하고,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류해서 문제의 크기 순서로 나열하여, 그 크기를 막대그래프로 표기한 품질관리 도구는?
1.
파레토그램
2.
특성요인도
3.
히스토그램
4.
체크시트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결함, 불량품, 고장 등의 분류 항목을 문제의 크기 순서대로 나열하여 막대그래프로 만든 것 2.결함 항목을 집중관리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Charlie]
62.
벽돌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1.
흡수율 및 인장강도
2.
흡수율 및 전단강도
3.
흡수율 및 휨강도
4.
흡수율 및 압축강도
정답 : [
4
] 정답률 : 67%
63.
콘크리트 공사의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응결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는 줄눈은?
1.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2.
컨트롤 조인트(control joint)
3.
컨트랙션 조인트(contraction joint)
4.
콜드 조인트(cold joint)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콘크리트를 연속해서 타설할 때 먼저 타설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한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지 않은 시공불량에 의한 이음부(계획하지 않은 이음) 2.콘크리트 불량 품질 현상 [해설작성자 : Charlie]
64.
강관 파이프 구조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이며 외관이 경쾌하다.
2.
휨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크다.
3.
접합부 및 관 끝의 절단가공이 간단하다.
4.
국부좌굴에 유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강관 파이프 구조의 특징 장점 1.강도가 어느 방향에서나 균등하다. 2.휨강성, 비틀림 강성이 크다. 3.국부좌굴에 유리하다. 4.가볍고 외관이 경쾌하다. 단점 1.관 끝 및 접합부의 절단가공이 어렵다. 2.이음, 맞춤부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3.접합이 복잡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문제 해설> 혼화제 1.사용량이 적어 배합설계에서 무시 2.콘크리트속의 시멘트 중량에 대해 5% 이하, 보통은 1%라는 극히 적은 양을 사용 3.콘크리트의 시공연도개선, 내구성 개선, 블리딩 현상이나 수화열을 억제 4.AE제, 분산제(감수제), 응결,경화촉진제, 급결제 및 지연제, 방청제, 방수제 -팽창재는 혼화재이다. [해설작성자 : Charli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시멘트 혼화재료- 시멘트 중량의 5% 이하로 소량만 사용 되는 것을 혼화제 시멘트 중량의 5% 이상 사용되는 것을 혼화재
1. 혼화제: AE제, AE감수제, 방수제, 방청제, 유동화제, 응결경화조절제 등 2. 혼화재: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포졸란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혼화제는 ㅔ자로 끝남 이거 알면 쉬움 [해설작성자 : 나문희]
68.
흙의 함수율을 구하기 위한 식으로 옳은 것은?
1.
(물의용적/토립자의용적)×100
2.
(물의 중량/토립자의중량)×100
3.
(물의용적/(토립자+물의용적))×100
4.
(물의중량/(토립자+물의 중량))×100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물의중량/(토립자+물의 중량))×100 [해설작성자 : 오땡]
69.
지반조사방법 중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빼올리기 등의 저항력으로 토층의 성상을 탐사, 판별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표준관입시험
2.
화란식 관입시험
3.
지내력 시험
4.
베인 테스트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내력 시험은 지반의 지지력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관입저항시험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필기공]
70.
철골공사에서 용접 시 튀어나온 슬래그가 굳은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1.
슬래그(slag) 감싸기
2.
오버랩(overlap)
3.
피트(pit)
4.
스패터(spatter)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슬래그 감싸기 : 용접봉의 피복재 심선과 모재가 변하여 생긴 회분이 용착금속내 혼입되는것 *오버랩 :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겹쳐지는것 *피트 : 용접부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 녹 또는 모재의 화학성분이 원인으로 되어 기공이 발생함으로서 용접부의 표면에 생기는 작은구멍 *스패터 : 용접시 튀어나온 슬래그가 굳는 현상을 의미 [해설작성자 : 솜주먹]
71.
석재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m3 이상 되는 석재는 높은 곳에 사용하지 않는다.
2.
압축 및 인장응력을 크게 받는 곳에 사용한다.
3.
되도록 흡수율이 낮은 석재를 사용한다.
4.
가공 시 예각은 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72.
지하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배수공법이 아닌 것은?
1.
집수정 공법
2.
웰포인트 공법
3.
전기침투 공법
4.
샌드드레인 공법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문제 4번이 답이 맞나요? 지반개량공법으로알고있는데요
[오류신고 반론] 샌드 드레인 - 탈수공법 [해설작성자 : 학생]
[오류신고 반론] 배수공법 섬프공법(sump):굴삭면에 스며나온 물을 섬프(수채통)에 모아 펌프로 배수 깊은 우물공법 : 지름30cm정도 케이싱을 박아 우물을 만들어 펌프로 배수 전기 침투법 : 땅 속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대전한 물을 전류와 함께 이동 웰 포인트 공법(well point): ①라이저 파이프를 1~2m간격으로 박아 5m내의 지하수 펌프 ②수압 및 토압이 줄어 흙막이벽의 응력이 감소 ③지반이 압밀되어 흙의 전단저항 상승 ④점토질 지반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⑤인접 지반의 침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범상]
73.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온이 낮을수록 측압은 작아진다.
2.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측압은 커진다.
3.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은 커진다.
4.
조강시멘트 등을 활용하면 측압은 작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측압 -콘크리트 타설시 기둥, 벽체의 거푸집에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수평압력을 말한다. -거푸집 측압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측압이 큰 경우) 1.거푸집 부재단면이 클수록 2.거푸집 수밀성이 클수록 3.거푸집 강성이 클수록 4.콘크리트의 슬럼프가 클수록 5.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6.콘크리트의 다짐이 좋을수록 7.콘크리트의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8.진동기를 사용할수록 9.시공연도가 좋을수록 10.타설높이가 높을수록 11.거푸집표면이 평활할수록 12.습도가 높을수록 13.철골, 또는 철근량이 적을수록 14.외기온도가 낮을수록 [해설작성자 : Charlie]
외기온도.습도가 낮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1]
74.
화강암의 표면에 묻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염산
2.
소금물
3.
황산
4.
질산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석재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은 물씻기를 원칙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 염산으로 닦아내고 즉시 물로 씻어내어 산분이 남아있지 않게한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5.
설계가 시작되기 전에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알아보거나 설계의 초기단계 또는 진행단계에서 여러 설계대안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은?
1.
입찰견적
2.
명세견적
3.
상세견적
4.
개산견적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과거의 실적, 경험 등을 토대로 개략적으로 산출한 가격 [해설작성자 : Charlie]
76.
철골부재 공장제작에서 강재의 절단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 절단법
2.
가스 절단법
3.
로터리 베니어 절단법
4.
프라즈마 절단법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로터리베니어절단법은 합판의 제조법 [해설작성자 : Charlie]
77.
점토벽돌벽을 쌓은 후 외부에 흰가루가 돋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10%이하의 흡수율을 가진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
2.
벽돌면 상부에 빗물막이를 설치한다.
3.
쌓기 후 전용발수제를 발라 벽면에 수분흡수를 방지한다.
4.
염분을 함유한 모래나 석회질이 섞인 모래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백화현상방지법 1.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 2.우천시 조적공사를 하지 않는다. 3.줄눈모르타르에 방수제를 넣는다. 4.벽면 상부에 차양, 돌림띠 등을 설치하여 빗물의 침투를 막는다. 5.벽돌 벽면에 실리콘, 파라핀 도료를 바른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8.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관리에서 활용되는 비파괴검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슈미트해머법
2.
방사선 투과법
3.
초음파법
4.
자기분말 탐상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기분말 탐상법:철강제의 부품이나 재료를 자기화 하여 표면에 갈라짐 등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미사천]
<문제 해설> 혼합시멘트 1.시멘트에 특수한 성질을 가지도록 혼화재를 혼합한 시멘트 2.종류: 고로시멘트, 실리카시멘트, 플라이애쉬시멘트 팽창시멘트 1.시멘트, 물, 팽창재와 함께 혼합할 경우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시멘트 2.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1.
사문암 또는 각섬암이 열과 압력을 받아 변질하여 섬유 모양의 결정질이 된 것으로 단열재ㆍ보온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것은?
1.
암면(rock wool)
2.
석면(asbestos)
3.
질석(vermiculite)
4.
샌드스톤(sand stone)
정답 : [
2
] 정답률 : 72%
92.
다음 미장재료 중 건조 시 무수축성의 성질을 가진 재료는?
1.
시멘트 모르타르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3.
회반죽
4.
석고 플라스터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수경성 2.경화가 매우 빠르다. 3.내화성이 크다. 4.무수축성이며, 여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5.경화,건조시 치수 안정성 우수 [해설작성자 : Charlie]
석고플라스터: 소석고를 주성분으로 한 미장재료 기경성이 있고 경화가 빠르고 균열이 적다 소석회,돌로마이트 등을 가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1]
93.
건물의 외장용 도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성페인트
2.
수성페인트
3.
합성수지 에멀션페인트
4.
유성바니시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유용성 수지를 건조성 오일에 가열,용해하여 휘발성용제로 희석한 것 2.무색, 담갈색의 투명도료로 광택이 있고 강인하다. 3.내수성, 내마모성이 크다. 4.실내의 목재의 투명도장에 사용한다. 5.내후성이 작아 건물 외장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4.
석재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규산분을 많이 함유한 석재는 내산성이 약하므로 산을 접하는 바닥은 피한다.
2.
대리석, 사문암 등은 내장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조암광물 중 장석, 방해석 등은 산류의 침식을 쉽게 받는다.
4.
산류를 취급하는 곳의 바닥재는 황철광, 갈철광 등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95.
재료의 기계적 성질 중 작은 변형에도 파괴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강성
2.
소성
3.
탄성
4.
취성
정답 : [
4
] 정답률 : 74%
96.
목재의 방화제 종류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방화페인트
2.
규산나트륨
3.
불화소다 2% 용액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목재의 방화제 1.표면처리법: 방화페인트, 규산나트륨, 인산암모늄, 붕사 등 2.방화제 주입법: 황산암모니아, 제2 인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탄산나트륨 등 3.피복법: 모르타르, 플라스터, 금속판 등 -불화소다 2% 용액은 목재의 방부재 [해설작성자 : Charlie]
97.
깬자갈을 사용한 콘크리트가 동일한 시공연도의 보통 콘크리트 보다 유리한 점은?
1.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부착력 증가
2.
수밀성 증가
3.
내구성 증가
4.
단위수량 감소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시멘트 페이스트와의 부착력 증가 2.강도 증가 3.워커빌리티 저하 4.유동성 저하 [해설작성자 : Charl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