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직무 -작업의 중지 및 재개 -같은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으로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도금사업 시의 안전,보건 조치 -수깁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및 그 사용에 관한 수급인 간의 협의, 조정 -안전인증대상 기계,기구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기구 등의 사용여부 확인 -ㄷㅐ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작성할 때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사항 [해설작성자 : 학생]
7.
무재해 운동의 3원칙 중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의욕적으로 문제해결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무의 원칙
2.
선취의 원칙
3.
실천의 원칙
4.
참가의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무의원칙 :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적극적으로 사전에 발견,파악,해결하여 재해를 없앰 2. 선취의원칙(안전제일의원칙) : 위험요인을 행동하기 전에 발견,파악,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하거나 방지 [해설작성자 : 맑갑]
선취:직장의 위험요인을 행동하기전에 발견,파악,해결하여 재해 예방 참가:작업에 따르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문제해결. [해설작성자 : 1]
무의원칙(제로의 원칙) : 산업재해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없앤다. 안전제일의 원칙(선취의 원칙) : 행동하기 전에 잠재위험요인을 발견하고 파악, 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 참여의 원칙 : 전원이 일치 협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하겠다는 것 [해설작성자 : 인하대 건축공]
8.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작성해야 하는가?
1.
15
2.
30
3.
60
4.
90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안전보건 관리 규정 30일 안전보건개선 계획서 60일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15일 [해설작성자 : 하루]
9.
산업안전보건법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안전·보건진단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2년간 사업장의 연간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낮은 사업장
2.
사업주가 안전·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3.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시행명령을 받은 사업장
4.
추락·폭발·붕괴 등 재해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은 사업장으로서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안전·보건진단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장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안전보건진단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에서 제외되는 경우임 [해설작성자 : 맑갑]
10.
산업안전보건법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하는 때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의 점검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윤활유의 상태
2.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3.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4.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공기압축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 압력 방출장치의 기능 - 언로드밸브의 기능 - 윤활유 상태 -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 그 밖의 연결부위의 이상유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산업용 로봇의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 표지 중 지시표지의 보조색은?
1.
파란색
2.
흰색
3.
녹색
4.
노란색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시표시 : 바탕은 파랑, 관련그림은 흰색 [해설작성자 : soya]
12.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건설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높이가 21m인 비계를 사용하는 건설공사
2.
지하 15m를 굴착하는 건설공사
3.
15층 건축물의 리모델링
4.
항타 및 항발기가 사용되는 건설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원자력시설공사는 제외 -1종시설물 및 2종 시설물의 건설공사 -지하10m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 -폭발물을 사용하는 건설공사로서 20m안에 시설물이 있거나 100m안에 사육하는 가축이 있어 해당 건설공사로 인한 영향을 받을것이 예상되는 건설공사 -10층이상 16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축물의 건설공사 또는 10층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건설기계 중 항타 및 항발기가 사용되는 건설공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에서 높이 21m는 기준 미달이기때문에 오답입니다. 가설구조물을 사용하는 건설공사 - 높이가 31미터 이상인 비계, 브라켓 비계 [해설작성자 : Grit]
1. 높이가 "31m 이상"인 비계, 브라켓 비계 2. 지하 10m 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 3. 10층 이상인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해체공사 4. 항타 및 항발기가 사용되는 건설공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 준수
2.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
3.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 및 방호장치·보호구 등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
4.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조건을 개선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번은 '관리감독자 업무'에 해당 [해설작성자 : 맑갑]
14.
재해 발생 시 조치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산업재해발생 -> 재해조사 -> 긴급처리 -> 대책수립 -> 원인강구 -> 대책실시계획 -> 실시 -> 평가
2.
산업재해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강구 -> 대책수립 -> 대책실시계획 -> 실시 -> 평가
3.
산업재해발생 -> 재해조사 -> 긴급처리 -> 원인강구 -> 대책수립 -> 대책실시계획 -> 실시 -> 평가
4.
산업재해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대책수립 -> 원인강구 -> 대책실시계획 -> 실시 -> 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산업재해발생 ◎ ☞ 긴급처리 1. 피재기계의 정지와 피해확산방지 2. 피해자의 구출 3. 피해자의 응급조치 4. 관계자에게 통보 5. 2차 재해예방 6. 현장보존 ☞ 재해조사(잠재재해요인의 적출) 1. 누가 2. 언제 2. 어떠한 장소에서 4. 어떠한 물적요인 또는 환경에 5. 어떠한 불안한 상태 또는 행동이 있었기에 6. 어떻게 하여 재해가 발생하였는가? ☞ 원인강구(원인분석) 1. 사람(직접원인) 2. 물체(직접원인) 3. 관리(간접원인) ☞ 대책수립 1. 동종재해의 예방 2. 유사재해의 예방 ☞ 대책실시계획 1. 육하원칙(5W1H) ☞ 실시 ☞ 평가 [해설작성자 : 라크아라]
15.
시몬즈(Simonds)의 총재해 코스트 계산방식 중 비보험 코스트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재해 건수
2.
통원상해 건수
3.
응급조치 건수
4.
무상해 사고 건수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시몬즈(R.H.Simonds) 방식 ∴ 총재해 코스트(cost) = 산재보험 코스트 + 비보험 코스트 ① 산재보험코스트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해 보상된 금액과 보험회사의 보상에 관련된 제경비 및 이익금을 합친금액 ② 비보험 코스트 = (휴업상해건수 ×A) + (통원상해건수 ×B) (응급조치건수 ×C) + (무상해 사고 건수 ×D) 여기서 A, B, C, D는 장해 정도별에 의한 비보험 코스트의 평균치 [해설작성자 : 미사천]
16.
에너지 저촉형태로 분류한 사고유형 중 에너지가 폭주하여 일어나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에너지의 활동영역에 사람이 침범한 경우 2: 사람과 물체, 물체와 물체가 충돌한 유형 4: 대기 중의 에너지에 사람이 노출된 유형 [해설작성자 : ㅎㄷ]
17.
무재해운동 추진기법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TBM(Tool Box Meeting)
2.
원 포인트 위험예지훈련
3.
삼각위험 예지훈련
4.
터치 앤드 콜(Touch and Call)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원 포인트 위험예지훈련: 위험예지 4라운드 중 2,3,4라운드 훈련을 원포인트로 요약하여 실시 3. 삼각위험 예지훈련: 소수 인원이 기호, 메모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소그룹 미팅 4. 터치앤드콜: 팀 동료 간에 왼손을 마주잡고 팀의 행동 목표에 대해 행하는 지적확인 활동. [해설작성자 : ㅎㄷ]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법상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하게 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령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사망재해가 연간 1건 발생한 경우
2.
중대재해가 연간 2건 발생한 경우
3.
관리자가 질병의 사유로 3개월 이상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4.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1.5배 이상인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해당 사업장의 연간 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중대재해가 연간 3건 이상 발생할 때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된 경우 [해설작성자 : 맞아]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으로 변경 (2019.12.26 개정) [해설작성자 : 드래곤]
관리 그리드(Managerial Grid) 이론에 따른 리더십의 유형 중 과업에는 높은 관심을 보이고 인간관계 유지에는 낮은 관심을 보이는 리더십의 유형은?
1.
과업형
2.
무기력형
3.
이상형
4.
무관심형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과업형(9,1) : 업무에 높은 관심 인기형(1,9) : 인간에 높은 관심 이상형(9,9) : 인간과 업적에 둘다 높은관심 중간형(5,5) : 업적과 인간 둘다 중간치 무기력형(1,1) : 인간과 업적 둘다 무관심 [해설작성자 : 맑갑]
25.
Taylor의 과학적 관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 – 동작 연구를 적용하였다.
2.
생산의 효율성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3.
인간중심의 관점으로 일을 재설계한다.
4.
인센티브를 도입함으로써 작업자들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인간중심의 관점을 무시하고 일을 재설계한다가 맞음 [해설작성자 : 맑갑]
26.
교육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다.
2.
무의식적인 내영의 표현 기회를 준다.
3.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4.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례연구법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다. -강의법에 비해 실제 업무 현장에서 전이를 촉진시킨다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향상된다 [해설작성자 : 학생]
사례연구법은 사례를 중심이로 연구하므로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는 거의 앖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27.
교육훈련 평가의 목적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문제해결을 위하여
2.
작업자의 적정배치를 위하여
3.
지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4.
학습지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은 교육훈련 실시의 목적임 [해설작성자 : 맑갑]
28.
레빈(Lewin)은 인간의 행동관계를 B=f(P·E)라는 공식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B가 나타내는 뜻으로 맞는 것은?
1.
인간의 개념
2.
안전 동기부여
3.
인간의 행동
4.
인간 주변의 환경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B=f(P ‧ E ) B(Behavior, 행동), f(function, 함수 관계), P(Person, 개체 : 연령, 지능, 경험), E(Environment, 심리적 환경 : 인간관계) [해설작성자 : 도움]
29.
학습전이가 일어나기 가장 쉽고, 좋은 상황은?
1.
정보가 많은 대단위로 제시될 때
2.
훈련 상황이 실제 작업장면과 유사할 때
3.
한 가지가 아닌 다양한 훈련기법이 사용될 때
4.
“사람 – 직무 – 조직”을 분리시키기 위한 조치들을 시행할 때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학습전이란 교육을 전달받고, 학습내용을 유지하여 현업으로 돌아가서 학습한 내용을 실행에 옳기는것 [해설작성자 : 맑갑]
30.
다음과 같은 학습의 원칙을 지니고 있는 훈련기법은?
1.
역할연기법
2.
사례연구법
3.
유사실험법
4.
프로그램 학습법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역할연기법(롤플레잉) 1. 집단심리요법 2. 체험활동을 통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태도, 통찰력, 자기 이해를 목표로 개발된 교육기법 3. 참가자에게 흥미와 체험감을 부여하고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인식시킨다. 4. 자기 태도 반성, 문제 배경 통찰, 감수성 향상, 교육 참석자의 장단점 파악의 효과가 있음. 5. 높은 수준의 의사결정에 대한 훈련에는 효과가 적다. 6.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다른 방법과 병행이 필요하다. 7. 훈련장소확보가 어렵다. 8. (예문)관찰에 의한 학습, 실행에 의한 학습, 피드백에 의한 학습 분석과 개념화를 통한 학습 [해설작성자 : 주5일근무가 하고싶어요]
31.
Off.J.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우수한 강사를 확보할 수 있다.
2.
교재, 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개개인의 능력 및 적성에 적합한 세부교육이 가능하다.
4.
다수의 대상자를 일괄적, 체계적으로 교육을 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 개개인의 능력 및 적성에 적합한 세부교육이 가능하다. : OJT(On the Job Training)의 특징 [해설작성자 : 도움]
32.
재해 빈발자 중 기능의 부족이나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은?
1.
상황성 누발자
2.
습관성 누발자
3.
소질성 누발자
4.
미숙성 누발자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상황성 누발자 : 작업의 어려움, 기계설비의 결함, 환경상 주의력의 집중혼란, 심신의 근심등 때문에 재해를 누발하는 자 2. 습관성 누발자 : 재해경험으로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되어 재해를 누발하는 자, 일종의 슬럼프상태에 빠져서 재해를 누발하는자 3. 소질성 누발자 : 재해의 소질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재해자로서 사고요인은 지능, 성격, 감각(시각)기능으로 분류 4. 미숙성 누발자 : 기능의 부족이나 환경에 익숙하지 못했기 때문에 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사람 [해설작성자 : 도움]
3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굴착면의 높이가 5m 되는 암석의 굴착작업
2.
5m인 구축물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
3.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4.
휴대용 목재가공기계를 3대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특별 안전보건교육 대상작업 -굴착면 높이가 5m이상 암석의 굴착작업 -5m이상인 구축물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목재가공용 기계(휴대용 제외)를 5대 이상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학생]
1. 굴착면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이 되는 지반 굴착(터널 및 수직갱 외의 갱 굴착은 제외한다)작업 2. 2m이상인 구축물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 [해설작성자 : 케일]
34.
운동의 시지각이 아닌 것은?
1.
자동 운동(自動 運動)
2.
유도 운동(誘導 運動)
3.
항상 운동(恒常 運動)
4.
가현 운동(假現 運動)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착각현상(운동의 시지각) (1) 자동운동 : 암실내에서 정리된 소광점을 응시하고 있으며 그 광점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자동운동이라 한다. 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광점이 작을 것.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 것. ② 광의 강도가 작을 것. 대상이 단순할 것. (2) 유도운동 :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어느 기준의 이동에 유도되어 움직이는 것 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말한다. (3) 가현운동 : 객관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대상물이 급속히 나타나든가 소멸하는 것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운동으로 마치 대상물이 운동하는 것처럼 인식되는 현상을 말한다.(β운동 : 영화 영상의 방법) [해설작성자 : 미사천]
35.
시각 정보 등을 받아들일 때 주의를 기울이면 시선이 집중되는 곳의 정보는 잘 받아들이나 주변부의 정보는 놓치기 쉬운 것은 주의력의 어떤 특성과 관련이 있는가?
1.
주의의 선택성
2.
주의의 변동성
3.
주의의 방향성
4.
주의의 시분할성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방향성 : 주시점(시선이 가는쪽)만 인지 하는 기능 시선의 초점에 맞는 곳은 잘 인지되지만 시선이 떨어진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해설작성자 : J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 3번인 것 같습니다. 방향성 : 공간적으로 시선의 초점에 맞았을 때는 쉽게 인지되지만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오류신고 반론] -선택성 : 시각정보등을 받아들일 때 주의를 기울이면 시선이 집중되는곳의 정보는 잘 받아들이나 주변부의 정보는 놓치기 쉽다(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것)/인간의 주의력은 한계가 있어 여러 작업에 대해 선택적으로 배분된다 /중복집중 곤란 -방향성 : 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진다)/공간적으로 보면 시선의 초점을 맞았을 때는 쉽게 인지되지만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변동성 : 주의에는 주기적으로 부주의의 리듬이 존재하는 것, 고도의 주의는 장시간 지속할수 없다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 인간의 욕구는 생리적 욕구 -> 안전의 욕구 -> 사회적 욕구 -> 자기존경의 욕구 -> 자아실현의 욕구 순으로 발생 [해설작성자 : ㅎㄷ]
(저차원적->고차원적) 강력한 욕구는 본능과 관련된 생리적욕구 [해설작성자 : 유도리맛도리]
37.
작업장의 정리정돈 태만 등 생략행위를 유발하는 심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폐합의 요인
2.
간결성의 원리
3.
Risk taking의 원리
4.
주의의 일점집중 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폐합의요인 : 기존의 지식을 토대로 완성되지 않은 형태도 완성시켜 인지 Risk taking : 객관적인 위험을 자기 나름대로 판단해서 결정에 옮기는 것 [해설작성자 : 맑갑]
38.
태도교육을 통한 안전태도교육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청취한다.
2.
모범을 보인다.
3.
권장, 평가한다.
4.
벌을 주지 않고 칭찬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청취한다, 이해하고 납득하다, 항상 모범을 보여준다, 권장한다. 상과 벌을 준다. 좋은 지도자를 얻도록 힘쓴다, 적정 배치한다. 평가한다 [해설작성자 : 학생]
39.
Maslow의 욕구위계와 Alderfer의 욕구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aslow의 욕구위계 중 가장 상위에 있는 욕구는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2.
Maslow는 욕구의 위계성을 강조하여, 하위의 욕구가 충족된 후에 상위욕구가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3.
Alderfer는 Maslow와 달리 여러 개의 욕구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4.
Alderfer의 생존욕구는 Maslow의 생리적 욕구, 물리적 안전, 그리고 대인관계에서의 안전의 개념과 유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Maslow의 욕구 5단계 ① 1단계 : 생리적 욕구(기아, 갈증, 호흡, 배설, 성욕등) ② 2단계 : 안전의 욕구(안전을 구할려는 욕구) ③ 3단계 : 사회적 욕구(애정, 소속에 대한 욕구) ④ 4단계 : 인정받으려는 욕구(자존심, 명예, 성취, 지위에 대한 욕구) ⑤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잠재적인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3) Alderfer의 ERG 이론 ① 생존(Existence)욕구 : 신체적인 차원에서 유기체의 생존과 유지에 관련된욕구 ② 관계(Relatedness)욕구 :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족되는 대인 욕구 ③ 성장(Growth) : 개인적인 발전과 증진에 관한 욕구 [해설작성자 : 미사천]
40.
조직에서 의사소통망은 조직 내의 구성원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경로구조를 의미하는데, 이 의사소통망의 유형이 아닌 것은?
[추가 해설] 근전도(EMG, eledromyogram) 근의 활동전위를 근섬유에 직접 바늘전극을 꽂아서 도출하거나, 표면전극에 의하여 근섬유군의 활동전위의 집합으로서 측정한 것. [해설작성자 : 멋진남]
42.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단계 중 “관계 자료의 작성준비”에 있어 관계 자료의 조사항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온도, 압력
2.
화학설비 배치도
3.
공정기기목록
4.
입지에 관한 도표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온도, 압력은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 단계 중 3단계인 정량적평가의 조사항목에 해당 [해설작성자 : 맑갑]
43.
인간공학 연구방법 중 실제의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 및 수준이 달성되는지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은 어떤 연구에 속하는가?
1.
조사연구
2.
실험연구
3.
분석연구
4.
평가연구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인간공학 연구방법 1. 묘사(Descriptive): 인간기준을 이용한 현장 연구 2. 실험(Experimental): 작업 성능에 대한 모의 실험 3. 평가(Evaluation): 제품이나 시스템이 추구하는 특성과 수준이 달성 되는지를 비교, 분석 [해설작성자 : ㅎㄷ]
44.
인간의 눈의 부위 중에서 실제로 빛을 수용하여 두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은?
1.
망막
2.
각막
3.
눈동자
4.
수정체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각막 : 최초빛 통과 및 눈보호 홍채 : 동공크기 조절 빛의 양 조정 수정체 : 빛을 굴절 [해설작성자 : 맑갑]
망막(Retina) 정의 안구의 안쪽을 2/3정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입니다. 위치 안구의 뒷부분에 위치합니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45.
운용위험분석(OHA)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위험 혹은 안전장치의 제공, 안전방호구를 제거하기 위한 설계변경이 준비되어야 한다.
2.
운용위험분석(OHA)은 일반적으로 결함위험분석(FHA)이나 예비위험분석(PHA) 보다 일반적으로 복잡하다.
3.
운용위험분석(OHA)은 시스템이 저장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 등의 위험에 초점을 맞춘다.
4.
안전의 기본적 관련사항으로 시스템의 서비스, 훈련, 취급, 저장, 수송하기 위한 특수한 절차가 준비되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OHA의 특징 1. 위험, 안전장치의제공, 안전방호구를 제거하기위한 설계변경이 준비. 2. OHA는 시스템이 저장되고, 실행됨에따라 발생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등의 위험에 초점을 맞춘다. 3. 기본적 관리사항으로 시스템의서비스, 훈련, 취급,저장, 수송하기위한 특수한 절차가 준비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부곡동고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2022년 에듀윌 건설안전기사 책에는 운용위험분석(OHA)는 일반적으로 결함위험분석(FHA)나 예비위험분석(PHA)보다 복잡하지 않다. 라고 나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이라 하네요. [해설작성자 : 진주곰]
[오류신고 반론] 운용위험분석(OHA)는 일반적으로 결함위험분석(FHA)이나, 예비위험분석(PHA)보다 복잡하지 않다. -고시넷 고패스 [해설작성자 : 호매실고]
46.
소음에 의한 청력 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대는?
1.
2000Hz
2.
10000Hz
3.
4000Hz
4.
20000Hz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청력손실 최대주파수 : 4000Hz [해설작성자 : 서지훈]
죽을 死 4입니다 (웃자고 쓴 글입니다) ㅎㅎ [해설작성자 : 이 또한 지나가리라]
47.
제조업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장에서 제출하여야 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첨부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사개요서
2.
기계·설비의 배치도면
3.
건축물 각 층의 평면도
4.
원재료 및 제품의 취급, 제조 등의 작업방법의 개요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출서류 : - 건축물 각 증의 평면도 - 기계,설비의 배치도면 - 원재료 및 제품의 취급,제조 등의 작업방법의 개요 - 기계,설비의 개요를 나타내는 서류 -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도면 및 서류 [해설작성자 : 짱그이]
공사개요서는 건설업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 ]
48.
체계 설계 과정의 주요 단계가 다음과 같을 때 인간·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 인간성능 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등의 활동을 하는 단계는?
1.
계면 설계
2.
체계의 정의
3.
기본 설계
4.
촉진물 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79%
49.
은행창구나 슈퍼마켓의 계산대를 설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인체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1.
가변적(조절식) 설계원칙
2.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3.
최소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4.
최대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정답 : [
2
] 정답률 : 84%
50.
단순반복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건강장애 즉, CTDS의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1.
긴 작업주기
2.
과도한 힘의 요구
3.
장시간의 진동
4.
부적합한 작업자세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TDs의 발생요인 - 반복적인 동작 - 부적합한 작업자세 - 무리한 힘의 사용 -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 진동 및 온도 등 [해설작성자 : ㅎㄷ]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누적외상병 오랜 시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직업병이다. 특정 신체 부위 및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육, 관절,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는 일종의 만성적인 근골(筋骨)계 질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누적외상증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그림과 같이 여러 구성요소가 직렬과 병렬로 혼합 연결되어 있을 때, 시스템의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단, 숫자는 각 구성요소의 신뢰도이다.)
1.
0.741
2.
0.812
3.
0.869
4.
0.904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3번 보기을 0.855 에서 0.869로 변경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1. 한중콘크리트 : 시멘트 가열금지, 재료가열시 물 또는 골재를 가열(골재직접가열 금지), 재료가열온도 60℃이하 • 물시멘트비(W/C비)는 작게 함. • 재료를 가욯하는 경우, 물을 가열하는 것이 원칙 •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 중 어느 한 종류는 반드시 사용 • 빙설이 혼입된 골재는 원칙적으로 비빔에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도움]
62.
벽돌벽 두께 1.0B, 벽높이 2.5m, 길이 8m인 벽면에 소요되는 점토벽돌의 매수는 얼마인가?(단, 규격은 190×90×57mm, 할증은 3%로 하며, 소수점 이하 결과는 올림하여 정수매로 표기)
순환수와 함께 지반을 굴착하고 배출시키면서 공 내에 철근망을 삽입,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기초를 형성하는 현장타설 말뚝공법은?
1.
S.I.P(Soil cement Injected Pile)
2.
D.R.A(Double Rod Auger)
3.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4.
S.I.G(Super Injection Grouting)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C.D(Reverse Circulation Drill)역순환 굴착공법이라고 하며 순환수를 재이용하는 방식에 지반 굴착공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64.
지정 및 기초공사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레인 재료 : 지반개량을 목적으로 간극수 유출을 촉진하는 수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재료
2.
슬라임 : 지반을 천공할 때 천공벽 또는 공저에 모인 침전물
3.
히빙 : 굴착면 저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4.
원위치 시험 : 현지의 지반과 유사한 지반에서 행하는 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원위치 시험은 현지의지반에서 행함 [해설작성자 : 맑갑]
65.
폼타이, 컬럼밴드 등을 의미하며, 거푸집을 고정하여 작업 중의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부담하는 것은?
1.
박리재
2.
간격재
3.
격리재
4.
긴결재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박리재(formoil):중유,석유,동식물유,아마인유,파라핀,합성수지 등을 사용,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 2.간격재(spacer):철근와 거푸집의 간격 유지를 위한 것 3.격리재(separator):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 측벽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긴결재(form tie) : 콘크리트의 측압에 거푸집널이 벌어지거나 우그러들지 않도록 거푸집널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 철선, 볼트 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멋진남]
66.
지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하며, 굴착은 디퍼(dipper)가 행하는 토공사용기계로 적합한 것은?
1.
불도저(bulldozer)
2.
클램셜(clamshell)
3.
스크레이퍼(scraper)
4.
파워쇼벨(power shovel)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파워쇼벨(power shovel) - 지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하며, 굴착은 디퍼(dipper)가 행하는 토공사용기계 [해설작성자 : 룡룡이]
67.
모재표면위에 플럭스를 살포하여, 플러스 속에 용접봉을 꽂아 넣는 자동 아크용접은?
1.
일렉트로 슬래그(Electro slag) 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Submerged arc) 용접
3.
피복 아크 용접
4.
CO2 아크 용접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서브머지드 용접: 모재표면위에 블럭스를 살포하여, 플럭스 속에 용접봉을 꽂아 넣는 용접 아크에 접촉한 플럭스가 용융하여 용접금속을 보호 대직경 와이어에 대전류를 보내 고능률의 용접이 가능
일렉트로 슬래그: 전류의 저항열을 이용하여 연속주조방식에 의한 단층 상진 용접을 하는 것 피복 아크용접: 용접봉과 용접물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 CO2 아크용접: 불활성 가스 대신 경제적인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용접 [해설작성자 : 수험생]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 현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물과 함께 떠오르는 미세한 물질은 무엇인가?
1.
피이닝(Peening)
2.
블로우 홀(Blow hole)
3.
레이턴스(Laitance)
4.
버블쉬트(Bubble sheet)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레이턴스(laitance)란? 잉여수로 인한 굳은 콘크리트 표면에 생기는 젖 모양의 퇴적층, 불경화층 [해설작성자 : 멋진남]
콘크리트를 친 후 블리딩 현상(물이 상승하는 현상)에 따라 내부의 미세한 물질이 부상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표면에 형성되는 흰빛의 얇은 막을 가리킨다. 성분의 대부분은 시멘트의 미립분이지만, 부착력이 약하고 수밀성(水密性)도 나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그 위에 쳐서 이어나갈 때는 레이턴스를 제거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레이턴스 [laitance] (두산백과)
76.
착공단계에서의 공사계획을 수립할 때 우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현장 직원의 조직편성
2.
예정 공정표의 작성
3.
시공상세도의 작성
4.
실행예산편성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시공상세도는 건축 본공사 수행시 필요 [해설작성자 : 맑갑]
착공단계에서 공사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 현장원의 편성 2. 공정표의 작성 3. 실행예산의 편성 4. 하도급업체의 선정 5. 설비 및 자재의 설치계획(가설물의 계획) 6. 노무수배 및 조달계획 7. 재해방지 대책 [해설작성자 : ㅎㄷ]
77.
AE제의 사용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초기강도 및 경화속도의 증진
2.
동결융해 저항성의 증대
3.
워커빌리티 개선으로 시공이 용이
4.
내구성 및 수밀성의 증대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AE(Air entraining agent)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시공연도 및 볼베어링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혼화제 효과 1.단위수량이 감소되어 동해가 적게 된다 2.시공연도가 좋게 되어 쇄석골재를 써도 시공이 용이하다 3.수밀성이 증가된다 4.빈배합 콘크리트에서는 AE제를 쓴 것이 압축강도가 크게된다 5.경량골재를 쓴 콘크리트에도 시공이 좋아진다 6.철재의 부착력이 감소되고 콘크리트의 표면 활성이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 초기강도 및 경화속도의 촉진 : 경화촉진제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건축기사]
78.
흙막이 공법 중 슬러리월(slurry wall)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 소음이 적다.
2.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3.
차수효과가 양호하다.
4.
기계, 부대설비가 소형이어서 소규모 현장의 시공에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기계부대설비가 대형이어서 대규모 현장 시공에 적당 [해설작성자 : 맑갑]
슬러리월(지하연속벽)은 건축공사에서 도심공사에서 많이 이용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로폼은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 거푸집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문항 정답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Lynnkyu]
[오류신고 반론]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에도 안들어감. [해설작성자 : 1]
[추가 오류 신고] Euro Form 유로폼 강재틀과 특수합판으로 구성된 패널폼으로 거푸집이라고 표현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세화 2022개정판 p.4-73에서 유로폼 해설에 보면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거푸집"이라고 되어있네요. 책내용으로 보면 유로폼도 시스템거푸집의 일종으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아니면 교재가 오류라고 볼수밖에요...... [해설작성자 : 허걱켁]
[오류신고 반론] 에듀월 건설 안전기사 교재에는 3번 유로폼으로 정답이 되어있네요.. 해설: 건물의 평면향샹이 규격화되어 표준형태의 거푸집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합으로써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의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과목 : 건설재료학
81.
목재의 섬유방향 강도에 대한 일반적인 대소관계를 옳게 표기한 것은?
1.
압축강도 > 휨강도 > 인장강도 > 전단강도
2.
전단강도 > 인장강도 > 압축강도 > 휨강도
3.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4.
휨강도 > 압축강도 > 인장강도 > 전단강도
정답 : [
3
] 정답률 : 69%
82.
콘크리트의 방수성, 내약품성, 변형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량의 고분자재료를 혼입시킨 시멘트는?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금속, 석재, 도자기, 글라스,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의 접착에 모두 사용된다.
3.
에폭시수지 도료는 충격 및 마모에 약해 내부 방청용으로 사용된다.
4.
경화시 휘발성이 없으므로 용적의 감소가 극히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에폭시 수지 도료는 충격 및 마모에 강해 외부 방청용으로 사용되며 내열성 및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맑갑]
95.
건물의 외장용 도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성페인트
2.
수성페인트
3.
페놀수지 도료
4.
유성바니시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바니시를 다른 말로 니스라고 불림
[추가 해설] 유성바니시는 건조가 빠르고 광택이 좋아 건물의 내장용 도료로 많이 쓰인다 [해설작성자 : 맑갑]
96.
다음 도료 중 광택이 없는 것은?
1.
수성페인트
2.
유성페인트
3.
래커
4.
에나멜페인트
정답 : [
1
] 정답률 : 71%
97.
각 창호철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피벗 힌지(pivot hinge) : 경첩대신 촉을 사용하여 여닫이문을 회전시킨다.
2.
나이트 래치(night latch) : 외부에서는 열쇠, 내부에서는 작은 손잡이를 틀어 열 수 있는 실린더장치로 된 것이다.
3.
크레센트(crescent) : 여닫이문의 상하단에 붙여 경첩과 같은 역할을 한다.
4.
레버터리 힌지(lavatory hinge) : 스프링힌지의 일종으로 공중용 화장실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크레센트 : 창호의 잠금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에도 사용합니다. 크레센트(crescent) : (여닫이문)이 아니고 미닫이문에 사용하여야하며, (상하단)이 아니고 중간에 붙여 경첩과 같은 역할을 한다.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Grit]
98.
프리즘(prism)판 유리는 어느 용도에 가장 적합한가?
1.
지하실 채광용
2.
방도용
3.
흡음용
4.
방화용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프리즘은 빛을 굴절, 모아주는 용도이죠 빛이 별로 없는 지하실에서 빛을 모으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하는어두워유]
99.
리녹신에 수지, 고무물질, 코르크분말 등을 섞어 마포(hemp cloth) 등에 발라 두꺼운 종이모양으로 압면·성형한 제품은?
1.
스펀지 시트
2.
리놀륨
3.
비닐 시트
4.
아스팔트 타일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마인유의 산화물인 리녹신, 고무, 수지 등의 혼합물을 올이 굵은 삼베와 비슷한 버랩이나 펠트 천에 도포하여 만드는, 표면이 매끈한 장판 [해설작성자 : 멋진남]
100.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의 제조성분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2.
골재의 성질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3.
시멘트량의 다소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4.
된비빔일수록 수축량이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된비빔은 물의 사용량이 적으므로 건조수축이 적다. [해설작성자 : 선바라기]
101.
흙속의 전단응력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굴착에 의한 흙의 일부 제거
2.
지진, 폭파에 의한 진동
3.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
4.
외력의 작용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함수비의 감소에 따른 흙의 단위체적 중량의 감소는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02.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에 그 기계의 전도 또는 전락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취해야할 조치와 거리가 먼 것은?
1.
갓길의 붕괴방지
2.
지반의 침하방지
3.
유도자 배치
4.
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의 기능 점검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업주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에 그 기계가 굴러 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조치사항 1. 유도자 배치 2.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3. 갓길 붕괴방지 [해설작성자 : 룡룡이]
브레이크 및 클러치 등의 기능 점검은 작업 전 점검사항이쥬~ [해설작성자 : 나야나]
103.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에서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파이프서포트 설치높이 기준은?
1.
높이 2m 초과시
2.
높이 2.5m 초과시
3.
높이 3m 초과시
4.
높이 3.5m 초과시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높이가 3.5m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해설작성자 : 룡룡이]
파이프 서포트 설치 시 주의사항 1.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2.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경우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 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3. 높이 3.5m 초과 시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해설작성자 : ㅎㄷ]
104.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사용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머의 운동에 의하여 증기호스 또는 공기호스와 해머의 접속부가 파손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접속부가 아닌 부위를 선정하여 증기호스 또는 공기호스를 해머에 고정시킬 것
2.
증기나 공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작업지휘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것
3.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의 드럼에 권상용 와이어로프가 꼬인 경우에는 와이어로프에 하중을 걸어서는 아니 된다.
4.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에 하중을 건 상태로 정지하여 두는 경우에는 쐐기장치 또는 역회전 방지용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제동하는 등 확실하게 정지시켜 두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증기나 공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해머의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서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룡룡이]
105.
물이 결빙되는 위치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조건에서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토중수가 얼어 생성된 결빙크기가 계속 커져 지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은?
1.
압밀침하(consolidation settlement)
2.
연화(frost boil)
3.
동상(frost heave)
4.
지반경화(hardening)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Frost heave, 즉 동상 혹은 서릿발 현상이라고 부름 [해설작성자 : 멋진남]
압밀침하: 물로 포화된 점토를 다지면 압축하중으로 인하여 간극 수압이 높아져 물이 배출되면서 침하하는 현상 연화: 겨울철에 땅이 얼었다가 다시 녹을 때 흙 속으로 수분이 들어가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ㅎㄷ]
106.
사업주는 리프트를 조립 또는 해체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을 지휘하는 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이 때 작업을 지휘하는 자가 이행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방법과 근로자의 배치를 결정하고 해당 작업을 지휘하는 일
2.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운전방법 또는 고장 났을 때의 처치방법 등을 근로자에게 주지시키는 일
4.
작업 중 안전대 등 보호구의 착용상황을 감시하는 일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리프트 조립 해체 작업시 작업지휘자의 업무 1. 작업방법과 근로자의 배치를 결정하고 해당 작업을 지휘하는 일 2.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가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작업중 안전대 등 보호구의 착용상황을 감시하는 일 [해설작성자 : 룡룡이]
107.
최고 51m 높이의 강관비계를 세우려고 한다. 지상에서 몇 미터까지의 비계기둥을 2개로 묶어 세워야 하는가?
1.
10m
2.
20m
3.
31m
4.
51m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강관비계는 비계기둥의 최상위부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야 한다 51 - 31m = 20m [해설작성자 : 맑갑]
108.
대상액 50억원 이상의 공사종류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건설공사(갑) : 1.97[%]
2.
일반건설공사(을) : 2.10[%]
3.
중건설공사 : 2.44[%]
4.
철도·궤도신설공사 : 1.27[%]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철도,궤도신설공사 : 1.66% 특수 및 그 밖에 건설공사 : 1.27% [해설작성자 : 공부하자]
대상액 50억원 이상인 경우 적용비율 건축공사 1.97% / 토목공사 2.10 % / 중건설공사 2.44% / 특수건설공사 1.27% 일반건축공사 (갑),(을)은 각각 건축공사, 토목공사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24.7.30]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5년 2.12 건축 2.37 토목 2.6 중건설 3.11 특수 1.64 [해설작성자 : KKN]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09.
달비계용 달기 체인의 사용금지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3퍼센트를 초과한 것
2.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퍼센트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3.
균열이 있는 것
4.
심하게 변형된 것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퍼센트를 초과한 것 [해설작성자 : 삼송빵집]
110.
위험성평가에 활용하는 안전보건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업장 근로자수와 금년 퇴직자수
2.
작업표준, 작업절차 등에 관한 정보
3.
기계·기구, 설비 등의 사양서
4.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답 : [
1
] 정답률 : 76%
111.
안전대의 종류는 사용구분에 따라 벨트식과 안전그네식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안전그네식에만 적용하는 것은?
구축물이 풍압·지진 등에 의하여 붕괴 또는 전도하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했는지 확인
2.
건설공사 시방서에 따라 시공했는지 확인
3.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구조기준을 준수했는지 확인
4.
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성능검정 합격품을 사용했는지 확인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시행 2024. 1. 1.] 제51조(구축물등의 안전 유지) 사업주는 구축물등이 고정하중, 적재하중, 시공ㆍ해체 작업 중 발생하는 하중, 적설, 풍압(風壓), 지진이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하여 전도ㆍ폭발하거나 무너지는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설계도면, 시방서(示方書),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조제15호에 따른 구조설계도서, 해체계획서 등 설계도서를 준수하여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개정 2019. 1. 31., 2023. 11. 14.> [해설작성자 : paintier]
113.
산업안전보건관리비사용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단,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의 지도를 필요로 하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사금액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가정)
1.
공사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공사
2.
육지와 연결되지 아니한 섬지역(제주특별자치도 제외)에서 이루어지는 공사
3.
안전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사람을 선임하여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는 공사
4.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공사가간이 1개월 미만인 공사 문제오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공사기간이 3개월 미만인 공사에 한해 재해예방 전문 지도기관의 자도를 받지 않아도 된다. 1번보기는 3개월 이상이니까 받아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ㅈ]
[추가 오류 신고] 1. 공사기간이 1개월 미만인 공사 2. 육지와 연결되지 않은 섬지역 (제주도 제외) 3. 안전관리전담자 선임계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한 현장 4. <산안법 42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대상공사 이렇게 되어 있지만 1번 항목에서 금액이 나와있지 않아서 문제자체의 오류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기술지도 대상 제외 사업장
1. 공사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공사 2. 육지와 연결되지 아니한 섬지역(제주특별자치도 제외)에서 이루어지는 공사 3. 안전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사람을 선임하여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는 공사 4.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공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본 터널(main tunnel)을 시공하기 전에 터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지질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은?
1.
파일럿(pilot) 터널
2.
프리패브(prefab) 터널
3.
사이드(side) 터널
4.
쉴드(shield) 터널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파일럿 터널 : 터널 굴착 전, 본터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뚫는 터널. 환기, 재료운반, 버럭반출 목적으로 만든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115.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거푸집 수밀성이 크면 측압은 작다.
2.
철근의 양이 적으면 측압은 작다.
3.
외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은 크다.
4.
부어넣기 속도가 빠르면 측압은 작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측압이 커지는 경우 1. 벽체두께가 두꺼울때 2. 슬럼프치가 클때 3. 타설속도가 빠를때 4. 외기의 온도 습도가 낮을 때 5. 철근량이 적을 때 6. 폼의 표면이 평평할때 7. 다짐이 충분할 때 8. 시공연도가 좋을때 9. 거푸집의 수평단면이 클때 10. 거푸짐의 강성이 클때 [해설작성자 : 공부하자]
외기온도가 낮으면 경화속도가 느려 유동성이 커서 측압이 더 크게 걸리겠죠? [해설작성자 : 내가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