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같은 막대가 있다. 길이는 4 m이고 힘은 지면에 평행하게 200 N 만큼 주었을 때 o점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는?
1.
Fox=0, Foy=200N, Mz=200Nㆍm
2.
Fox=200N, Foy=0, Mz=400Nㆍm
3.
Fox=200N, Foy=200N, Mz=200Nㆍm
4.
Fox=0, Foy=0, Mz=400Nㆍm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Fox = 200N 은 F에 작용하는 힘과 같으므로 200N 이고, Foy = 0 은 y축으로 작용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0 이고, Mz = 400N ㆍ m 는 Mz = Fㆍhㆍsin a 이기 때문에 Mz = 200Nㆍ4mㆍ1/2 = 400nㆍm 이다. [해설작성자 : ㅁㄴㅇㄹㅁㄴㅇㄹ]
2.
두께 8 mm의 강판으로 만든 안지름 40 cm의 얇은 원통에 1 MPa의 내압이 작용할 때 강판에 발생하는 후프 응력(원주 응력)은 몇 MPa인가?
1.
25
2.
37.5
3.
12.5
4.
50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원주방향 응력= pd/2t 세로방향 응력(축방향)= pd/4t
(단, p=내압,d=안지름,t=두께) [해설작성자 : 백수예정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이나 검색해 본 결과로는 답이 4번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1번 맞는 거 같은데요 원주방향 응력이니 pd/2t 식 써야하고 계산식 써보면 1MPa(0.4m)/2(8*10^-3) 계산해보면 25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ㅁ]
[오류신고 반론] 계산 결과 답이 1번이 맞습니다. 원주방향 응력이므로 pd/2t식을 사용해야 하고 계산 결과 (1N/mm^2)*400mm/2(8mm)=25N 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뀨무멍이]
[추가 오류 신고] 원주응력이면 식의 이용이 pd/t 가 되어서 50 같습니다
3.
그림과 같은 균일단면을 갖는 부정정보가 단순 지지단에서 모멘트 M0를 받는다. 단순지지단에서의 반력 Ra는? (단, 굽힘강성 EI는 일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외팔보 부정정보에서의 쳐짐의 크리고 계산 하면된다. 집중하중을 가했을때 외팔보의 쳐림량:Ra*L3/3EI 우력을 가했을때의 외팔보의 쳐짐량:Mo*L2/2EI 에서 , '집중하중의 쳐짐량=우력하중의 쳐림량' 으로 두고 반력 Ra를 구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잇찡]
4.
진변형률(εT)과 진응력(σT)를 공칭 응력(σn)과 공칭 변형률(εn)로 나타낼 때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9%
5.
폭 b=60 mm, 길이 L=340 mm의 균일강도 외팔보의 자유단에 집중하중 P=3 kN이 작용한다. 허용 굽힘응력을 65 MPa이라 하면 자유단에서 250 mm되는 지점의 두께 h는 약 몇 mm인가? (단, 보의 단면은 두께는 변하지만 일정한 폭 b를 갖는 직사각형이다.)
1.
24
2.
34
3.
44
4.
5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오른쪽에서 250mm 인 곳의 모멘트 M = 3 kN * 250 mm M = σ* z 에서, z = (bh3/ 12) / (h/2) : 단면계수 = (단면2차모멘트:bh3/ 12) / (도심에서의거리:h/2) = bh2/ 6 σ= 65 MPa, z = 60mm * h2/ 6 좌변: 750 Nm, 우변: 6.5e5 * h2Nm 계산하면 h = 0.0339683 m 답: 34mm [해설작성자 : 수험생]
6.
부재의 양단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길이가 4 m인 압축 부재의 좌굴 하중을 오일러 공식으로 구하면 약 몇 kN인가? (단, 세로탄성계수는 100 GPa이고, 단면 b × h=100 mm×50 mm이다.)
1.
52.4
2.
64.4
3.
72.4
4.
84.4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좌굴하중의 오일러 공식 Pcr=n π2 EI/L2 을 이용한다 여기서 I:단면2차모멘트 , n:1(양단힌지이므로) 이렇게 두고 풀면 된다. [해설작성자 : 잇찡]
7.
평면 응력상태의 한 요소에 σx=100 MPa, σy=-50 MPa, τxy=0을 받는 평판에서 평면내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인가?
*참고: engineershelp 님의 tistory 에서 371 번 글 [해설작성자 : 수험생]
11.
단면적이 2 cm2이고 길이가 4 m인 환봉에 10 kN의 축 방향 하중을 가하였다. 이때 환봉에 발생한 응력은 몇 N/m2인가?
1.
5000
2.
2500
3.
5×105
4.
5×107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σ=P/A (단면적=힘/면적)으로 구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잇찡]
12.
양단이 고정된 직경 30 mm, 길이가 10 m인 중실축에서 그림과 같이 비틀림 모멘트 1.5 kN ㆍ m가 작용할 때 모멘트 작용점에서의 비틀림 각은 약 몇 rad인가? (단, 봉재의 전단탄성계수 G=100 GPa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45
2.
0.56
3.
0.63
4.
0.77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좌단의 반력을 T1, 우단을 T2라고 하면, 전체 T = T1+ T2이고, T1= T*b, T2= T*a 가 된다. (여기서 b=6, a=4, L = a+b = 10)
거리 a 에서의 비틀림각은 θ= (T1* a) / (G * Ip) = (T * a * b) / (G * Ip * L) ... (T1자리에 위의 식을 대입)
Ip = πd4/32 이므로, 값을 모두 대입하여 계산하면 0.4527 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탄성에너지 공식 = Pㅅ/2 (여기서 ㅅ는 람다로서 압축, 인장에 의한 길이 변화를 말함, ㅅ=PL/EA) U1 = Tab*L1/EA L1 = 0.4m U2 = Tbc*L2/EA L2 = 0.5m U = U1 + U2 하면 답이 나온다, [해설작성자 : 샤잠 (공기업 준비 화이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해설의 탄성에너지 공식에서 U1 = Tab^2*L1/EA U2 = Tbc^2*L2/EA 가 되어 정답 3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오류신고자]
그림과 같이 단면적이 2 cm2인 AB및 CD막대의 B점과 C점이 1 cm만큼 떨어져 있다. 두 막대에 인장력을 가하여 늘인 후 B점과 C점에 핀을 끼워 두 막대를 연결하려고 한다. 연결 후 두 막대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약 몇 kN인가? (단, 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00 GPa이다.)
1.
33.3
2.
66.6
3.
99.9
4.
133.3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변형량 = ( P * L ) / ( A * E ) 변형량AB + 변형량CD = 0.01 = ( P * 2 ) / ( A * E ) + ( P * 1 ) / ( A * E ) = ( P * 3 ) / ( A * E ) = ( P * 3 ) / ( 2 * 10^-4 * 200 * 10^9 ) < [cm^2] = 10^-4 [m^2] > = 0.01 위에서 P를 계산하면 P = 133.3 kN [해설작성자 : 짜보]
2과목 : 기계열역학
21.
압력 2 MPa, 300 ℃의 공기 0.3 kg이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팽창하여, 압력이 0.5 MPa로 변화하였다. 이때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 kJ/(kg ㆍ K)인 이상기체이고, 폴리트로픽 지수는 1.3이다.)
1.
416
2.
157
3.
573
4.
45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폴리트로피에서의 일에 관한식 (P1V1- P2V2)/n-1 = mR(T1-T2)/n-1 여기서는 mR(T1-T2)/n-1 식을 이용하여 풀면된다 여기서,n=1.3,R=0.287 T2=(P2/P1)^(n-1/n)*(300+273)으로 구할수다 여기서 T2는 절대값이므로 섭씨온도 로 바꾸어 서 식에 대입하여 풀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잇찡]
22.
다음 중 기체상수(gas constant, R[kJ/(kg ㆍ K)] 값이 가장 큰 기체는?
1.
산소(O2)
2.
수소(H2)
3.
일산화탄소(CO)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기체 상수 R = 일반기체상수(=8.314kJ/kmolK) / 분자량 M - 분자량 작은 기체 고르기
분자량 값 산소 - 32 수소 - 2 일산화탄소 - 28 이상화탄소 - 44 [해설작성자 : 짜보]
23.
이상기체 1 kg이 초기에 압력 2 kPa, 부피 0.1 m3를 차지하고 있다. 가역등온과정에 따라 부피가 0.3 m3로 변화했을 때 기체가 한 일은 약 몇 J인가?
그림과 같은 단열된 용기 안에 25 ℃의 물이 0.8 m3 들어있다. 이 용기 안에 100 ℃, 50 kg의 쇳덩어리를 넣은 후 열적 평형이 이루어졌을 때 최종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8 kJ/(kg ㆍ K), 철의 비열은 0.45 kJ/(kg ㆍ K)이다.)
1.
25.5
2.
27.4
3.
29.2
4.
31.4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열적평형을 이용 1. 평형온도를 T 라 두면 2. 물이 얻은 열량 : mC(T-273-25) 3. 철이 잃은 열량 : mC(273+100-T)
물이 얻은 열량 = 철이 잃은 열량 800x4.18(T-298)=50x0.45(373-T) 여기서 T =298.5K=25.5C [해설작성자 : 기계돌이]
31.
실린더에 밀폐된 8 kg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P1=800 kPa, 체적 V1=0.27m3에서 P2=350 kPa, 체적 V2=0.80 m3으로 직선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1.
305
2.
334
3.
362
4.
390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V선도에서의 일은 그래프 면적의 넓이 이다. [해설작성자 : 잇찡]
문제에서 밀폐된 8kg의 공기 = 밀폐계 밀폐계에서 일의양 = 절대일 = (Pdv)적분 = P - V 선도 그래프 면적 넓이
개방계일 경우 공업일 = (VdP)적분 = V - P 선도 그래프 면적 넓이 [해설작성자 : 짜보]
32.
어떤 기체 동력장치가 이상적인 브레이턴 사이클로 다음과 같이 작동할 때 이 사이클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온도(T)-엔트로피(s) 선도에서 T1=30 ℃, T2=200 ℃, T3=1060 ℃, T4=160 ℃이다.)
이상기체에 대한 다음 관계식 중 잘못된 것은? (단, Cu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u는 내부에너지, T는 온도, V는 부피, h는 엔탈피, R은 기체상수, k는 비열비이다.)
1.
2.
3.
Cp-Cu=R
4.
정답 : [
2
] 정답률 : 57%
34.
열역학 제2법칙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다음 중 열역학 제2법칙과 관계되는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열을 일로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열효율이 100 %인 열기관을 만들 수 없다.
3.
열은 저온 물체로부터 고온 물체로 자연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4.
입력되는 일 없이 작용하는 냉동기를 만들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역학 제 1법칙 -열과 일은 서로변화 가능(가역의 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열은 일로 변환이 가능하지만 일은 열로 변환이 불가능하다(비가역의 법칙) [해설작성자 : 잇찡]
35.
계의 엔트로피 변화에 대한 열역학적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T는 온도, S는 엔트로피, U는 내부에너지, V는 체적, P는 압력, H는 엔탈피를 나타낸다.)
1.
Tds=dU-PdV
2.
Tds=dH-PdV
3.
Tds=dU-VdP
4.
Tds=dH-VdP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Tds=dQ =dU+PdV=dH-VdP [해설작성자 : 하루누]
36.
공기 1 kg이 압력 50 kPa, 부피 3 m3인 상태에서 압력 900 kPa, 부피 0.5 m3인 상태로 변화할 때 내부 에너지가 160 kJ 증가하였다. 이 때 엔탈피는 약 몇 kJ이 증가하였는가?
1.
30
2.
185
3.
235
4.
460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엔탈피=내부에너지+일의양 [해설작성자 : 잇찡]
160+(900*0.5-50*3) [해설작성자 : 찐쓰]
dU+(P2*v2-P1*v1) 160+(900*0.5-50*3) [해설작성자 : 빛]
37.
체적이 일정하고 단열된 용기 내에 80 ℃, 320 kPa의 헬륨 2 kg이 들어 있다. 용기 내에 있는 회전날개가 20 W의 동력으로 30분 동안 회전한다고 할 때 용기 내의 최종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헬륨의 정적비열은 3.12 kJ/(kg ㆍ K)이다.)
1.
81.9 ℃
2.
83.3 ℃
3.
84.9 ℃
4.
85.8 ℃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Q = dU + PdV 에서 V가 일정하므로 dQ = dU 회전날개가 해준 일 W = 헬륨의 열량 Q W = 20 [J/s] x 30 [min] x 60 [s/min] = 36000 = 36kJ dU = mCdT , 36 = 2 x 3.12 x dT , dT = 5.8 그러므로 T2 = 85.8 [해설작성자 : 으라라랏]
38.
그림과 같은 Rankine 사이클로 작동하는 터빈에서 발생하는 일은 약 몇 kJ/kg인가? (단, h는 엔탈피, s는 엔트로피를 나타내며, h1=191.8 kJ/kg, h2=193.8 kJ/kg, h3=2799.5 kJ/kg, h4=2007.5 kJ/kg이다.)
1.
2.0 kJ/kg
2.
792.0 kJ/kg
3.
2605.7 kJ/kg
4.
1815.7 kJ/kg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h3-g2 = 들어오는 열 h3-h4 = 발생하는 일 h4-h1 = 나가는 열
39.
시간당 380000 kg의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에 공급하는 물의 엔탈피는 830 kJ/kg이고, 생산되는 수증기의 엔탈피는 3230 kJ/kg이라고 할 때, 발열량이 32000 kJ/kg인 석탄을 시간당 34000 kg씩 보일러에 공급한다면 이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인가?
1.
66.9 %
2.
71.5 %
3.
77.3 %
4.
83.8 %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보일러는 개방계, 열량 계산시 q=h2-h1) 보일러의 효율=유효 열량/공급 열량 유효열량=q * M = (3230-830)*380000=912*10^6 kJ/h 공급열량=q_s * M = 32000*34000=1088*10^6 kJ/h 따라서, 효율= 912/1088=0.838 즉, 83.8% [해설작성자 : 티핀]
40.
터빈, 압축기, 노즐과 같은 정상 유동장치의 해석에 유용한 몰리에(Molier) 선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가로축에 엔트로피, 세로축에 엔탈피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2.
가로축에 엔트로피, 세로축에 온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3.
가로축에 엔트로피, 세로축에 밀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4.
가로축에 비체적, 세로축에 압력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몰리에르 선도 엔탈피 h를 종축에 엔트로피 s를 횡축으로 취해, 증기의 상태(압력 p, 비용적 v, 온도 t, 건도 x 및h, s)를 나타낸 선도다(=h-s선도). 증기의 상태(t, p, v, x, h, s) 중 2개의 상태를 알면, 몰리에르 선도로부터 다른 상태를 알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몰리에르 선도 [Mollier chart, - 線圖, モリエ線図] (도해 기계용어사전, 1990. 4. 1., 기계용어편찬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2번 엔트로피 -> 엔탈피
[오류신고 반론] 1번 맞다 몰리에선도 [해설작성자 : 자기장]
[추가 오류 신고] 보기 2번이 엔트로피가 아니라 엔탈피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류신고]
온도 27 ℃, 절대압력 380 kPa인 기체가 6 m/s로 지름 5 cm인 매끈한 원관 속을 흐르고 있을 때 유동상태는? (단, 기체상수는 187.8 N ㆍ m/(kg ㆍ K), 점성계수는 1.77×10-5 kg/(m ㆍ s), 상, 하 임계 레이놀즈수는 각각 4000, 2100이라 한다.)
1.
층류영역
2.
천이영역
3.
난류영역
4.
포텐셜영역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레이놀즈수(Re)=(유속*지름*밀도)/점성계수 인데 밀도는 단위체적당 질량으로 (질량/체적)=절대압력/(기체상수*절대온도) 로 구해줍니다. 그리고 계산한 레이놀즈수가 2100보다 작으면 층류영역, 4000보다 크면 난류 영역입니다. [해설작성자 : hskyy]
48.
2 m×2 m×2 m의 정육면체로 된 탱크 안에 비중이 0.8인 기름이 가득 차 있고, 위 뚜껑이 없을 때 탱크의 한 옆면에 작용하는 전체 압력에 의한 힘은 약 몇 kN인가?
그림과 같은 원형관에 비압축성 유체가 흐를 때 A단면의 평균속도가 V1일 때 B단면에서의 평균속도 V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Q=AV 연속방정식을 사용 유량이 동일하다 가정하여 계산을 하면 Q=AV_1=BV 로 식을 성립하게 놓을 수 있다 그러하면 V=(A/B)V_1로 놓을 수있다 원형의 단면적은 (PI/4)*d^2 이므로 A와 B단면적은 서로 원형이므로 (pi/4)는 소거할수있다 그러므로 V = (d_1/d_2)^2*V_1 이 된다. [해설작성자 : 장교수]
53.
유속 3 m/s로 흐르는 물 속에 흐름방향의 직각으로 피토관을 세웠을 때, 유속에 의해 올라가는 수주의 높이는 약 몇 m인가?
1.
0.46
2.
0.92
3.
4.6
4.
9.2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피토관에서의 수주의 높이는 속도수두의 값을 구하면된다 속도수두=V2/2g [해설작성자 : 잇찡]
54.
2차원 유동장이 로 주어질 때, 가속도장 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단, 유동장에서 c는 상수를 나타낸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a(x,y) = u dv/dx + v dv/dy = c^2xi + c^2yj [해설작성자 : 으라라랏]
55.
그림과 같이 유속 10 m/s인 물 분류에 대하여 평판을 3 m/s의 속도로 접근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약 몇 N인가? (단, 분류의 단면적은 0.01 m2이다.)
1.
130
2.
490
3.
1350
4.
1690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F=ρQ(V-U) (V-U):상대속도 ρA(V-U)2 식을 이용 여기서 V:10,U=3
물(비중량 9800 N/m3) 위를 3 m/s의 속도로 항진하는 길이 2 m인 모형선에 작용하는 조파저항이 54 N이다. 길이 50 m인 실선을 이것과 상사한 조파상태인 해상에서 항진시킬 때 조파 저항은 약 얼마인가? (단, 해수의 비중량은 10075 N/m3이다.)
1.
43 kN
2.
433 kN
3.
87 kN
4.
867 kN
정답 : [
4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프로이드 수와 항력 계수 2번의 상사법칙을 이용해야 한다. 프로이드 수 = v/(g*l)^(0.5) 를 통해 실제 속도가 15 m/sec 임을 구할 수 있다. 항력 = C(항력계수)*(밀도*속도^2/2)*면적 항력계수 = (2*항력)/(밀도*속도^2*면적) 밀도는 비중량을 중력가속도로 나눠준 값을 대입하고 면적은 길이의 제곱, 속도는 위에서 구한 값을 항력계수 식에 대입 실제 조파 저항 = (10074/9800)*(15/3)^2 * (50^2/2^2) * 54= 867.73 kN [해설작성자 : 점수가안올라]
57.
골프공 표면의 딤플(dimple, 표면 굴곡)이 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딤플은 경계층의 박리를 지연시킨다.
2.
딤플이 층류경계층을 난류경계층으로 천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3.
딤플이 골프공의 전체적인 항력을 감소시킨다.
4.
딤플은 압력저항보다 점성저항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58.
다음과 같은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가정과 관계가 먼 것은? (단, 식에서 P는 압력, ρ는 밀도, V는 유속, γ는 비중량, Z는 유체의 높이를 나타낸다.)
<문제 해설> 미터 인 회로, 미터 아웃 회로, 블리드 오프 회로는 속도제어 회로이다. [해설작성자 : dj]
76.
유체를 에너지원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가압 상태로 저장하는 용기는?
1.
디퓨져
2.
액추에이터
3.
스로틀
4.
어큐뮬레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축압기=어큐물레이터 [해설작성자 : 기사....]
77.
점성계수(coefficient of viscosity)는 기름의 중요 성질이다.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유압기기에 나타나는 현상은?
1.
유동저항이 지나치게 커진다.
2.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이 증대된다.
3.
각 부품 사이에서 누출 손실이 커진다.
4.
밸브나 파이프를 통과할 때 압력손실이 커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점성=끈적임 또는 점도 를 뜻한다,
1.유동저항이 지나치게 커진다=기름사이간의 점성(끈점임,점도)가 강하다 즉,저항력이 높아진다. 2,4.저항력이 높아짐에따라 작동하는 힘의 크기 또한 커지므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압력손실도 커진다)
3.손실누출이 커진다= 점성(점도)가 낮다 유동하는데 큰힘이 필요치 않다. 누출이 커진다
78.
저 압력을 어떤 정해진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회로의 명칭은?
1.
부스터 회로
2.
플립플롭 회로
3.
온오프제어 회로
4.
레지스터 회로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저압력을 어떤 정해진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회로 [해설작성자 : 구스타프]
79.
베인펌프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캠링
2.
베인
3.
로터
4.
모터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구성 요소 - Ports(포트), Rotor(로터), Vane(베인), Camring(캠링) [해설작성자 : 테오]
80.
유공압 실린더의 미끄러짐 면의 운동이 간헐적으로 되는 현상은?
1.
모노 피딩(Mono-feeding)
2.
스틱 슬립(Stick-slip)
3.
컷 인 다운(Cut in-down)
4.
듀얼 액팅(Dual acting)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스틱슬립 - 원활하지 못하고 어딘가 무엇이 걸린듯한 진동을 동반하는 마찰현상으로서 이동테이블과 안내면 사이에서 일어나고 이송기구에서 발생하는 탄성변형과 그 복원의 반목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2주만에 필기합격]
81.
무게 20 N인 물체가 2개의 용수철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놓여 있다. 한 용수철은 1cm 늘어나는데 1.7 N이 필요하며 다른 용수철은 1 cm 늘어나는데 1.3 N이 필요하다. 변위 진폭이 1.25 cm가 되려면 정적 평형 위치에 있는 물체는 약 얼마의 초기속도(cm/s)를 주어야 하는가? (단, 이 물체는 수직 운동만 한다고 가정한다.)
1.
11.5
2.
18.1
3.
12.4
4.
15.2
정답 : [
4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k1 = 1.7(N/cm) , k2 = 1.3(N/cm) 병렬 조합 K = k1 + k2 = 3(N/cm) 1/2*k*x^2 = 1/2*m*v^2 v = 15.3 정도 나옴 [해설작성자 : 샤잠 (공기업 준비 화이팅)]
스프링계수 3(N/cm)나오면 이를통해 고유진동수를 계산 Wn= 12.12 변위 X=1.25cm이므로 속도 V= X*Wn = 15.15 [해설작성자 : 도새치]
82.
전동기를 이용하여 무게 9800 N의 물체를 속도 0.3 m/s로 끌어올리려 한다. 장치의 기계적 효율을 80 %로 하면 최소 몇 kW의 동력이 필요한가?
1.
3.2
2.
3.7
3.
4.9
4.
6.2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력 P = F*V 인것만 알고있어도 이론 상 P = 9800 * 0.3 (W)로 계산이 된다. 다만 가끔 효율을 분자, 분모 중 어디에 곱해줘야 하는데 헷갈리는 분들이 계신다면, 손실을 생각하면 이론 상 내야 하는 동력보다 항상 더 많은 동력을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필요동력은 효율을 나눠주어 이론 상 동력보다 커지에 해줘야 한다. 따라서 P = FV/eta 가 된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항공역학]
83.
그림과 같이 Coulomb 감쇠를 일으키는 진동계에서 지면과의 마찰계수는 0.1, 질량 m= 100 kg, 스프링 상수 k=981 N/cm이다. 정지상태에서 초기 변위를 2 cm 주었다가 놓을 때 4 cycle후의 진폭은 약 몇 cm가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