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가구의 배치유형 중 일렬형은 면적이 좁은 경우 이용에 효과적이므로 소규모 부엌에 주로 활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부엌에서의 작업순서는 '준비대- 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로 진행되는 것이 맞지만, 부엌의 작업삼각형은 '준비대(또는 냉장고)→개수대→조리대(또는 가열대)'가 맞다. [해설작성자 : 민히히]
2.
상점의 매장 및 정면 구성에서 요구되는 AIDMA 법칙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emory
2.
Interest
3.
Attention
4.
Attraction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A : ATTENTION I : INTEREST D : DESIRE M : MEMORY A : ACTION [해설작성자 : GONE]
주목 흥미 욕구 기억 행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상점의 판매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면판매방식은 직원 동선의 이동성이 많다.
2.
대면판매방식은 측면판매방식에 비해 상품진열면적이 넓어진다.
3.
측면판매방식은 고객이 직접 진열된 상품을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선택이 용이하다.
4.
대면판매방식은 쇼케이스를 중심으로 판매원이 고정된 자리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대면판매방식은 측면판매방식에 비해 상품진열면적이 좁다. [해설작성자 : GONE]
4.
다음 중 르 꼬르뷔제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5원칙에 속하는 것은?
1.
옥상정원
2.
유기적 건축
3.
노출 콘크리트
4.
유니버셜 스페이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필로티(les polotis) 2. 옥상테라스(Le Toit-Terrasse) : 옥상정원 3. 자유로운 평면(Le Plan Livre) 4. 가로로 긴 창(La Fenetre en Longeu) 5. 자유로운 파사드(Le Facade Livre) [해설작성자 : GONE]
5.
다음 중 구조코어로서 가장 바람직한 코어형식으로, 바닥면적이 큰 고층, 초고층사무소에 적합한 것은?
1.
중심코어형
2.
편심코어형
3.
독립코어형
4.
양단코어형
정답 : [
1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중심코어형 - 바닥 면적이 큰 경우, 특히 고층, 초고층에 적합하다. 유효율이 높고 대여빌딩으로서 가장 경제적인 계획을 할 수 있다. 편심코어형 - 기준층 바닥면적이 적은 경우 적합하며 고층인 경우 적합하지 않다. 외코어형 - 방재상 분리하며, 바닥면적이 커질 경우 피난시설을 포함한 서브 코어가 필요해진다. 양단코어 - 방재상으로는 유리하다. [해설작성자 : 민히히]
6.
도서관의 출납시스템 중 폐가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2.
도서의 유지 관리가 좋아 책의 망실이 적다.
3.
대출절차가 간단하여 관원의 작업량이 적다.
4.
규모가 큰 도서관의 독립된 서고의 경우에 많이 채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대출절차가 복잡, 관원이 작업량이 많다. *폐가식 특징: -도서의 유지관리가 양호 -감시할 필요가 없다. -희망한 내용이 아닐 수 있다. -대출절차가 복잡, 관원이 작업량이 많다. [해설작성자 : 세운상가]
7.
척도 조정(M.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계작업이 단순해지고 간편해진다.
2.
현장작업이 단순해지고 공기가 단축된다.
3.
건축물 형태의 다양성 및 창조성 확보가 용이하다.
4.
구성재의 상호조합에 의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건축척도조정(M.C., Modular Coordination) 가.장점 1) 설계작업이 단순 2) 건축 구성재 대량 생산이 용이, 생산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3) 건축 구성재의 수송이나 취급이 편리해진다. 4) 현장 작업이 단순하므로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5) 시공의 균질성과 질의 향상을 도모한다. 6) 국제적인 M.C.를 사용하면 건축 구성재의 국제 교역이 용이해진다. 나. 단점 1) 건축물 형태에 있어서 창조성 및 인간성의 상실 우려가 있다. 2) 동일한 형태가 집단을 이루는 경향이 있으므로 건물의 배치와 외관이 단순해지므로 배색에 신중을 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세운상가]
건축물이 단순하여 형태의 다양성 및 창조성 확보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종합병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술부는 타 부분의 통과교통이 없는 장소에 배치한다.
2.
수술실의 바닥은 전기도체성 마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간호사 대기실은 각 간호단위 또는 층별, 동별로 설치한다.
4.
평면계획 시 모듈을 적용하여 각 병실을 모두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인실 2인실 다인실 중환자실 생각하세요 [해설작성자 : 세광건설]
9.
봉정사 극락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띠고 있다.
2.
공포를 주상에만 짜놓은 주심포 양식의 건축물이다.
3.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4.
정면 3칸에 측면 4칸의 규모이며 서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봉정사 극락전 -고려시대 건축물; 신라시대 일반목조 양식 과 북송요의 주심포 형식을 가미한 건축물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건축물 -주심포 양식 건축물 -맞배지붕 양식(맞배지붕은 주로 주심포 양식에 적용) [해설작성자 : 세운상가]
10.
다음의 호텔 중 연면적에 대한 숙박면적의 비가 일반적으로 가장 큰 것은?
1.
커머셜 호텔
2.
클럽 하우스
3.
리조트 호텔
4.
아파트먼트 호텔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숙박면적이 커(머셜 호텔) [해설작성자 : 역시트레이너십니다 형님]
커머셜 호텔: 일반 여행자용 호텔. 도시중심지에 위치해서 부지가 좁으므로 고층화하는 경우가 많다.편리와 능률이 중요하다. [해설작성자 : 돼지바맛 바닐라라떼]
11.
테라스 하우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가 심할수록 밀도가 높아진다.
2.
각 세대의 깊이는 7.5m 이상으로 하여야한다.
3.
평지보다 더 많은 인구를 수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시각적인 인공테라스형은 위층으로 갈수록 건물의 내부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테라스 하우스에서는 일반적으로 후면에 창문이 없기 때문에 각 세대의 깊이가 6~7.5m 이상 되어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oddyt]
12.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실 시스템은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
2.
개방식 배치는 전면적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개방식 배치는 개실 시스템보다 공사비가 저렴하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는 개실 시스템을 위한 실단위계획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는 개방식 시스템을 위한 실단위계획이다.
13.
아파트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복도형은 부지의 이용률이 적다.
2.
홀형(계단실형)은 독립성(privacy)이 우수하다.
3.
집중형은 복도부분 자연환기, 채광이 극히 나쁘다.
4.
편복도형은 복도를 외기에 터놓으면 통풍, 채광이 중복도형보다 양호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중복도형의 특징 부지의 이용률 높음, 통풍 및 채광불리, 프라이버시 불리 [해설작성자 : 윤서니의 건축존버]
14.
극장건축에서 무대의 제일 뒤에 설치되는 무대 배경용의 벽을 의미하는 것은?
1.
사이클로라마
2.
플라이 로프트
3.
플라이 갤러리
4.
그리드 아이언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2. 플라이 로프트 : 극장의 무대 상부 공간. 4. 그리드 아이언 : 무대 천장밑 낮은보
[추가 해설] 플라이 갤러리 : 무대 주위의 6~9m 정도의 벽이며, 좁은 통로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ㅇㅅㅇ ㅇㅅㅇ]
15.
주택 단지 내 도로의 형태 중 쿨데삭(cul-de-sac)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단 외부 전체 길이를 구하세요 10+5+10+5 전체 길이 30M에 높이 10M 하면 300입니다. 여기서 외줄은 건물에서 45센치만큼 간격두고 세우고 쌍줄은 90센치라고 보세요 그러면 전체길이 30M 를 45센치만큼 밖으로 키운다고 보면 한쪽코너가 45+45 ㄱ자가 길어지겠죠? 그럼 코너 꼭지가 4개소면 총 8개 M계산하면 0.45 * 8군데 하면 36입니다. 300 + 36 = 336 오래전에 학교에서 배웠던 방식이였던거 같은데 맞나 모르겠네요 이게 꼭지점 4 각형 아니면 (윗글 : 공식에 8 이게 다를꺼에요 아마도) [해설작성자 : 왕초보]
22.
건설현장에서 공사감리자로 근무하고 있는 A씨가 하는 업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세시공도면의 작성
2.
공사시공자가 사용하는 건축자재가 관계법령에 의한 기준에 적합한 건축자재인지 여부의 확인
3.
공사현장에서의 안전관리지도
4.
품질시험의 실시여부 및 시험성과의 검토, 확인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상세시공도면의 작성 : 시공자
23.
다음 각 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망입유리는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튀지 않으므로 진동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곳에 사용된다.
2.
복층유리는 단열 및 차음성이 좋지 않아 주로 선박의 창 등에 이용된다.
3.
강화유리는 압축강도를 한층 강화한 유리로 현장가공 및 절단이 되지 않는다.
4.
자외선 투과유리는 병원이나 온실 등에 이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복층유리는 단열과 방음을 목적으로 2장의 유리사이에 공기층을 둔 유리이다. 따라서 단열 및 차음성이 좋다 [해설작성자 : 박태신]
복층유리는 단열 및 차음성이 좋아 주로 주택의 창 등에 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1. 스팬드럴 유리 : 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 컬러를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만든 불투명의 강화유리 2. 접합유리 : 두장이나 그이상의 판유리 사이에 합성수지막을 넣어 접착시킨 것으로 보온성 및 차음성 우수함 3. 배강도유리 :연하점 이하로 가열한후 서서히 냉각시킨 반강화유리 [해설작성자 : gone]
25.
다음 중 가설비용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가설건물비
2.
바탕처리비
3.
동력, 전등설비
4.
용수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바탕처리비는 미장, 도장, 방수공사 시 사용됨. [해설작성자 : 밀안니]
26.
공사장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m 이내에 주거·상가건물이 있는 경우에 공사현장 주위에 가설울타리는 최소 얼마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 m
2.
1.8 m
3.
2 m
4.
3 m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원칙은 1.8m이나 공사장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m 이내 주거/상가건물이 있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3m이다, [해설작성자 : 달뭉이]
콘크리트 균열의 발생 시기에 따라 구분할 때 콘크리트의 경화 전 균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크리프 수축
2.
거푸집의 변형
3.
침하
4.
소성수축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크리프수축은 경화이후에 진행되는 균열발생이다. [해설작성자 : 이현호]
29.
조적식 구조의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벽의 기초는 연속 기초로 한다.
2.
기초판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할 수 있다.
3.
기초판은 무근콘크리트 구조로 할 수 있다.
4.
기초벽의 두께는 최하층의 벽체 두께와 같게 하되, 2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30조(기초) 1항.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의 기초(최하층의 바닥면 이하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는 연속 기초로 하여야 한다. 2항.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기초중 기초판은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무근콘크리트 구조로 하고, 기초벽의 두께는 250밀리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부천원주민]
다음과 같은 단순보의 최대 처짐량(δmax)이 30cm 이하가 되기 위하여 보의 단면 2차모멘트는 최소 얼마 이상이 되어야하는가? (단, 보의 탄성계수는 E=1.25×104N/mm2)(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5000 cm4
2.
16700 cm4
3.
20000 cm4
4.
25000 cm4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답2번입니다 최대처짐공식에서 처짐값과 단면2차모멘트 자리를 바꾸어 등식으로 계산하게되면 16,666cm^4입니다 그럼 답은 2번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청대건공]
<문제 해설>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4층 이상의 층은 다음 요건 모두 갖춘 대피공간 1개소 이상 설치 1. 대피공간은 바깥 공기와 접할 것 2. 대피공간은 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될 것 3. 대피공간의 바닥면적은 인접세대와 공동으로 설치하는 경우 3m2, 세대별로 설치하는 경우 2m2 이상일 것
예외) 1. 경량구조 or 피난구 설치한 경계벽 2. 바닥에 하향식 피난구 설치한 경우
82.
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1.
건축주
2.
건축사
3.
설계자
4.
공사시공자
정답 : [
1
] 정답률 : 80%
83.
용도지역의 건폐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거지역 : 70% 이하
2.
상업지역 : 90% 이하
3.
공업지역 : 70% 이하
4.
녹지지역 : 30%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최고한도를 묻는 문제
녹지지역: 20% 이하
+보전,생산관리지역: 20% 이하 계획관리지역: 40% 이하
농림지역: 20% 이하 자연환경보전지역: 20% 이하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광장·공원·녹지·유원지·공공공지가 속하는 기반 시설은?
<문제 해설> 특별건축구역 지정대상구역 1. 법령에 따른 국가정책사엽 (1) 행정중심복합도시 안의 사업구역 (2) 혁신도시 안의 사업구역 (3) 경제자유구역 (4) 택지개발사업구역 (5) 보금자리주택지구 (6) 도시개발지구 (7) 국제자유도시 안의 사업구역 (8)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설사업구역 (9) 지구단위계획구역 중 특별계획구역 등
2. 예외 개발제한구역, 자연공원, 접도구역, 보전산지
86.
같은 건축물 안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할 것
2.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 할 것
3.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하여 서로 차단할 것
4.
공동주택의 출입구와 위락시설의 출입구는 서로 그 보행거리가 30m 이상이 되도록 설치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은 서로 (이웃하지 않도록) 배치 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와 설치 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위락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2.
종교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3.
판매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4.
수련시설 – 시설면적 350 m2 당 1대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위락시설 : 시설면적 100m2 당 1대 문화,종교,판매,운수,의료,운동,업무,방통,장례 : 150m2 당 1대 1,2종 근린,숙박 시설 : 200m2 당 1대
88.
용적률 산정에 사용되는 연면적에 포함되는 것은?
1.
지하층의 면적
2.
층고가 2.1m인 다락의 면적
3.
준초고층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4.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 공간의 면적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연면적합산 제외 :지하층바닥면적,부설주차장,피난안전구역 면적 등 [해설작성자 : U]
2. 다락은 가중평균높이 1.5m 이하일때 면적 제외 [해설작성자 : 그라씨아스]
2. 다락은 높이 1.5m 이하일 때 (경사진 경우 1.8m 가중평균을 구할 때는 경사진 경우이므로 1.8m) 면적제외 [해설작성자 : 약간다른거같아서 남겨요]
8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용도지구의 세분은?
1.
시가지방재지구
2.
특정개발진흥지구
3.
복합개발진흥지구
4.
중요시설물보호지구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시가지란 건물이 이어지고 접합한 지역이므로 시가지+방재지구라 생각 [해설작성자 : 동아대건축공남]
90.
건축허가를 하기 전에 건축물의 구조안전과 인접 대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는 건축물 안전영향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6층 이상으로 연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6층 이상으로 연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16층 이상으로 연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16층 이상으로 연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건축물 안전영향평가의 대상 1. 초고층 건축물 2. 건축물 한 동의 연면적이 10만m2 이상이며 16층 이상인 건축물
[추가 해설] < 건축물의 안전영향평가 대상건물 > 1. 초고층 건물 2.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건물 - 연면적(한 대지에 둘 이상의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 각각 건물의 연면적을 말함)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일 것 - 16층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Detail_Lee]
91.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1.8m 이상일 것
2.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3.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1m이상 [해설작성자 : U]
92.
건축물과 해당 건축물의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주유소 - 자동차관련시설
2.
야외음악당 - 관광휴게시설
3.
치과의원 - 제1종 근린생활시설
4.
일반음식점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주유소 -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해설작성자 : gone]
93.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2000m2 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8인승 승강기 기준)
1.
4대
2.
5대
3.
6대
4.
7대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승용승강기 설치기준(면적A: 6층이상의 거실면적 합계)
전시장 및 동식물원, 업무시설, 위락시설, 숙박시설: 1대 + 3000m2를 초과하는 2000m2 이내마다 1대의 비율로 가산한 대수 이상 => 1대 + (12000-3000)/2000 = 1 + 4.5 = 5.5 =>올림=> 6대
+공연장/집회장/관람장, 판매시설, 의료시설: 2대 + 3000m2를 초과하는 2000m2 이내마다 1대의 비율로 가산한 대수 이상 기타시설: 1대 + 3000m2를 초과하는 3000m2 이내마다 1대의 비율로 가산한 대수 이상
*대수 산정시 8인승~15인승을 1대, 16인승 이상을 2대로 본다.
94.
피난용승강기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2.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m2 이상으로 할 것
3.
각 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4.
승강장의 출입구 부근의 잘 보이는 곳에 해당 승강기가 피난용승강기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6제곱미터 [해설작성자 : U]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아파트를 건축할 수 있는 지역은?
1.
자연녹지지역
2.
제1종 전용주거지역
3.
제2종 전용주거지역
4.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파트: 주택으로 쓰이ㅐ는 층수가 5개층 이상인 주택(1층 전부를 필로티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부분을 층수에서 제외)
1. 녹지지역은 4층 이하의 건축물만 건축 허용 => 불가 2. 제1종 전용주거지역: 단독주택(다가구주택 제외),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가목 내지 사목의 건축물(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미만인 것에 한함) 만 건축 허용 => 불가 3. 제2종 전용주거지역: 단독주택,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미만인 것에 한함)건축 허용 => 공동주택이므로 가능 4. 제1종 일반주거지역: 4층 이하의 건축물만 건축 허용 => 불가
96.
지하층에 설치하는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 및 유효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주택이 아닌 경우)
1.
유효너비 0.5m 이상, 유효높이 1.0m 이상
2.
유효너비 0.5m 이상, 유효높이 1.5m 이상
3.
유효너비 0.75m 이상, 유효높이 1.0m 이상
4.
유효너비 0.75m 이상, 유효높이 1.5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하층의 비상탈출구의 크기는 유효너비 0.75m이상, 높이 1.5m 이상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3조 ① 법 제6조제1항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 경형 1.7*4.5 - 일반 2.0*6.0 - 보차 구분 없는 2.0*5.0 2.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 경형 2.0*3.6 - 일반 2.5*5.0 - 확장 2.6*5.2 - 장애인 3.3*5.0 [해설작성자 : 부천원주민]
98.
노외주차장의 구조·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입구의 너비는 3.0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주차구획선의 긴 변과 짧은 변 중 한 변 이상이 차로에 접하여야 한다.
3.
지하식인 경우 차로의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주차에 사용되는 부분의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1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 4항] 노외주차장의 출입구 너비는 3.5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에는 출구와 입구를 분리하거나 너비 5.5미터 이상의 출입구를 설치하여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여야 한다.
김왜웅님 말씀하신 4m, 200대이상 6m는 노외주차장 출입구 설치불가장소 항목 중 도로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5조 5항 다목] 5.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노외주차장의 차로의 노면이 도로의 노면에 접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하 같다)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너비 4미터 미만의 도로(주차대수 200대 이상인 경우에는 너비 6미터 미만의 도로)와 종단 기울기가 10퍼센트를 초과하는 도로 [해설작성자 :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