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조기 입력단에서 측정된 잡음전력이 -120[dBm]일 때, SNR이 10[dB] 이상이 되기 위한 최소 신호전력[dBm]은?
1.
-100
2.
-110
3.
-120
4.
-130
정답 : [
2
] 정답률 : 81%
6.
DSB(Double Side Band) 진폭 변조방식과 SSB(Single Side Band) 진폭 변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SB 방식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DSB 방식에 비해 좁다.
2.
SSB 방식의 SNR은 동일한 전력일 때 DSB 방식에 비해 나쁘다.
3.
SSB 방식의 시스템 구현은 DSB 방식에 비해 복잡하다.
4.
SSB 방식의 주파수 이용 효율은 DSB 방식에 비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SSB 방식의 SNR은 동일한 전력일 때(평균 송신전력이 같을 때) DSB 방식에 비해 10.8dB 개선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10[kHz]의 아날로그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전송할 때 요구되는 최소 데이터 전송률[kbps]은? (단, 양자화 레벨 수는 50이다)
1.
100
2.
120
3.
140
4.
160
정답 : [
2
] 정답률 : 93%
8.
길이가 고정된 안테나의 고유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안테나에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안테나 기저부에 코일을 직렬로 연결한다.
2.
안테나 기저부에 코일을 병렬로 연결한다.
3.
안테나 기저부에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한다.
4.
안테나 기저부에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테나를 원래의 안테나가 가지는 고유주파수 이외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안테나의 로딩) 좀 더 긴 파장에 공진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연장 Coil을 사용하고, 좀 더 짧은 파장에 공진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단축 condenser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샤논(Shannon)의 채널용량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널용량은 SNR과 채널대역폭의 함수이다.
2.
채널대역폭이 2배 증가하면 채널용량은 2배 증가한다.
3.
SNR이 0[dB]일 때 단위 주파수당 채널용량은 1[bits/sec/Hz]이다.
4.
SNR이 2배 증가하면 채널용량은 2배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100%
<문제 해설> 샤넌채널용량법칙 C = Blog(S/N+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15[kHz]의 정현파가 180[kHz]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로 주파수 변조되었다. 칼슨(Carson)의 법칙을 이용할 때 최대 주파수편이(Peak Frequency Deviation) [kHz]는?
1.
15
2.
30
3.
75
4.
150
정답 : [
3
] 정답률 : 83%
11.
위성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그 명칭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1.5[GHz] 대역-L 밴드
2.
6[GHz] 대역-C 밴드
3.
14[GHz] 대역-K 밴드
4.
30[GHz] 대역-Ka 밴드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L Band : 1~2 GHz S Band : 2~4 GHz C Band : 4~8 GHz X Band : 8~12 GHz Ku Band : 12~18 GHz K Band : 18~26.5 GHz Ka Band : 26.5~40 GHz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1.5[GHz]인 신호를 반파장 다이폴(Dipole)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할 때 최대 방사효율을 얻기 위한 안테나의 길이[cm]는? (단, 전파의 속도는 300,000[km/s]이다)
1.
1
2.
2
3.
10
4.
20
정답 : [
3
] 정답률 : 92%
13.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두 지구국이 서로 통신할 때 전파의 최소 지연시간[ms]은? (단, 전파의 속도는 300,000[km/s]이고, 정지궤도 위성의 고도는 36,000[km]이다)
1.
0.24
2.
2.4
3.
24
4.
240
정답 : [
4
] 정답률 : 55%
14.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인 AMPS는 아날로그 통신시스템이다.
2.
부호 분할 다중접속 기술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W-CDMA 시스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3.
핸드오버는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4.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는 송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부호 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은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디지털 셀룰러 (동기식 CDMA, 개인휴대통신(PCS)) 시스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펄스레이더 장치로 최대 탐지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펄스폭을 좁게 한다.
2.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3.
안테나의 개구면을 크게 한다.
4.
안테나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펄스폭을 좁게 하는 것은 최소 탐지거리 결정요인이며, 펄프속을 좁게 하면 거리 분해능이 좋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경로 페이딩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구현이 가능하다.
2.
전체의 전송속도는 낮추고 각 안테나에서의 전송속도는 높여 전체의 채널용량을 증가시킨다.
3.
통신 링크의 채널 상태를 송ㆍ수신기 모두가 아는 경우, 송신기에서 안테나별 송신전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더 높은 채널용량을 얻을 수 있다.
4.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디지털 변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17.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때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수신기의 증폭도와 필터의 정밀도에 의한 신호 품질 차이
2.
다중경로(Multi-path)에 의한 수신 경로 차이
3.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동기 시간 차이
4.
전리층과 대기층에서의 굴절에 의한 수신 경로 차이
정답 : [
1
] 정답률 : 50%
18.
그림 ㉠~㉢의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오류제어방식과 그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단, 'Go Back N ARQ'는 'N 후진 ARQ', 'Stop-and-wait ARQ'는 '정지-대기 ARQ', 'Selective ARQ'는 '선택적 ARQ'이다)(순서대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