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의 DNA로 항생제나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를 가지며, 유전자 운반체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Marker
2.
Transposon
3.
Probe
4.
Plasmid
정답 : [
4
] 정답률 : 80%
13.
상인으로 연관된 A, B 두 유전자의 재조합빈도가 20%이면, AABB × aabb 교배시 F1에서 형성되는 배우자 AB: Ab : aB: ab의 비율은?
1.
1 : 2 : 2 : 1
2.
2 : 1 : 1 : 2
3.
4 : 1 : 1 : 4
4.
1 : 4 : 4 : 1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싱인연관 n : 1 : 1 : n 에서 재조합빈도(교차율)은 100 / (n + 1) 100 / (n + 1) = 20이면, n = 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시설 내에서 이산화탄소시비 시기로 가장 적합한 시간은?
1.
일출 2시간 전부터 일출 때까지
2.
일출 30분 후부터 2~3시간
3.
오후 4시부터 2~3시간
4.
일몰 후 2~3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89%
15.
안티센스 RNA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형질전환식물은?
1.
Bollgard - 면화
2.
TMV저항성 - 담배
3.
Roundup Ready - 콩
4.
Flavr Savr - 토마토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안티센스 RNA 기술이란, 특정 유전자와 상보적인 가닥의 RNA를 이용하여 해당 유전자가 발현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Flavr Savr는 안티센스 RNA 기술로 세포벽 분해효소의 유전자를 억제한 무르지 않는 토마토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작물의 엽록소형성, 굴광현상, 일장효과 및 야간조파에 가장 효과적인 광으로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엽록소형성, 굴광현상, 일장효과, 야간조파)
1.
자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2.
적색광, 청색광, 적색광, 적색광
3.
황색광, 청색광, 황색광, 청색광
4.
적색광, 적색광, 자색광, 적색광
정답 : [
2
] 정답률 : 88%
17.
다음 중 우리나라 논에 주로 발생하는 다년생 광엽잡초로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ㄷ, ㄹ, ㅁ
4.
ㄹ, ㅁ, ㅂ
정답 : [
2
] 정답률 : 74%
18.
계통육종과 집단육종의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통육종은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나며,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
2.
계통육종은 육안관찰이나 특성검정이 용이한 질적형질의 개량에 효율적이다.
3.
집단육종은 양적형질의 개량에 유리하며, 유용유전자를 상실할 염려가 적다.
4.
집단육종은 출현빈도가 낮은 우량유전자형을 선발할 가능성이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19.
논토양에서 일어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수된 논토양의 심토는 유기물이 극히 적어서 산화층을 형성한다.
2.
토양의 상층부는 산화제1철에 의해 표층이 적갈색을 띤 산화층이 된다.
3.
암모니아태질소를 산화층에 주면 질화균의 작용에 의해 질산으로 된다.
4.
암모니아태질소를 심부 환원층에 주면 토양에 잘 흡착되므로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 토양표층은 산화제2철에 의해 산화층이고 토양작토층은 산화제1철에 의해 환원층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이산화탄소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2.
잎이 무성한 공기층은 여름철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고, 가을철에 높아진다.
3.
식생이 무성하면 지면에 가까운 공기층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진다.
4.
미숙퇴비, 녹비를 시용하면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높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②
④
③
①
③
①
①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③
②
④
②
②
①
②
③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